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어와 서술어의 생략 현상 연구

        박청희 우리말학회 2013 우리말연구 Vol.32 No.-

        이 연구는 주어와 서술어의 생략 현상을 고찰하고 분석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주어와 서술어의 특성에 따른 생략 현상의 차이를 연구하 고 시나리오를 분석하여 주어 생략의 차이와 서술어 생략의 차이에 대한 통 계적인 연구를 시도하였다. 한국어의 주어는 회복가능성 조건만 충족이 되어 도 쉽게 생략이 일어나고, 영어에서는 동일성 조건이 충족이 되어야만 생략이 일어난다. 한국어에서는 담화참여자가 복구만 할 수 있으면 주어가 생략이 되지만 영어는 담화참여자가 복구할 수 있는 주어라고 해도 반복이 되어서 사용되거나, 가주어나 대용어를 사용하여 생략되지 않고 실현되는 경우가 많 다. 서술어는 한국어보다는 영어에서 생략이 많이 일어나는데 이것은 영어의 서술어가 일반동사와 be동사로 나뉘어 be동사가 한국어의 서술격 조사와 같 은 역할을 함으로써 쉽게 생략이 되기 때문이다. 또한 한국어는 술어 중심의 언어여서 서술어를 취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영어는 주어 중심의 언어여서 부사어 혹은 명사구로만 이루어진 문장들이 많이 쓰이므로 서술어가 생략이되기 쉽다. 주어는 한국어가 68.79%, 영어가 32.22%의 비율로 생략이 일어나 고 있으며 서술어는 한국어가 4.75%, 영어가 16.31%의 비율로 생략이 일어나 고 있다. 주어는 영어보다 한국어에서 생략이 많이 일어나며, 서술어는 한국 어보다 영어에서 생략이 많이 일어난다. 또한 두 언어 모두 서술어보다 주어 에서 생략이 많이 일어난다.

      • KCI등재

        러시아어 선행사 명사구의 생략과 대명사화

        이은순(Lee Eun Soon) 한국노어노문학회 2007 노어노문학 Vol.19 No.2

        본 논문은 러시아어의 생략 현상 중에서 등위 구조에서 선행절의 동사의 보어가 후행절에서 대명사로 대치되거나 생략되는 현상에 대한 연구이다. 대격을 위주로 연구된 이전 연구에 바탕을 두고 사격 보어와 관련된 예문들을 통해 이러한 구문들에서의 생략의 공통된 규칙을 찾아내고 이를 구조적인 생략 이론에 적용시켜 보았다. 연구 결과 1. 양 절의 동사가 같은 격을 지배할 때; 양 절의 동사가 반복될 때(생략 선호); 양 절의 동사의 의미가 유사할 때; 양절의 동사가 넓은 의미로 같은 의미 군에 속할 때; A&E 전략이 적용될 때; 논항가가 이중적인 동사의 경우; 보어가 추상명사인 경우 (주로 생략이 사용되나 후행절에서 구체적인 의미로 사용되거나 문맥에 의해 명확한 경우는 대명사 사용); 새로운 문장으로 시작될 때는 대명사, 생략 두 가지가 다 가능하며, 등위 접속사 중에서 대조의 의미가 강할수록(но 또는 а > и) 생략 가능성이 높다. 2. 보어가 대명사인 경우; 보어가 [-동일 지시] 불특정 양을 나타내는 명사인 경우; 선행절과 후행절의 명사구가 전체 /일부의 관계에 있는 경우는 생략만 가능하다. 3. 양 절의 동사가 다른 격을 지배하고 서로 다른 의미 군에 속할 때; 기능적 관점에서 볼 때 대명사가 레마에 속할 때; 선행절의 명사구가 존재문, 의사 존재문, 위치문의 주어가 아닌 어휘 동사의 주어로 사용될 때는 대명사만 사용될 수 있다. 생략은 통사적으로 대명사가 생략되었다고 보기보다는, [+동일 지시]인 경우에는 [+definite] pro가 [-동일 지시]인 경우에는 [-definite] pro가 위치하여 대명사의 역할을 하면서도 어휘적 대명사 보다는 약화된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고 보았다. ‘경로 찾기 이론’으로 생략된 성분과 선행사를 구조적으로 연결시켰으며, 어휘적 동사의 주어가 선행사로 사용될 때는 왜 생략이 불가능한가도 구조적으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생략(эллипсис)의 담화기능 및 유형

        엄순천(Eom Sun Cheon) 한국노어노문학회 2006 노어노문학 Vol.18 No.1

        언중들은 구체적인 담화활동 속에서 ‘언어경제성’과 ‘정보전달의 효율성’을 실현하기 위하여 생략기제를 사용한다. 그런데 무의식적인 언어활동으로 인식되기 쉬운 생략은 대화를 지루하게 이끌거나 대화의 초점을 흐리게 하는 요소들은 언표화 시키지 않는것이 합리적이라는 대화참여자들 사이의 암묵적인 협력 작용에 의한 것이다. 이 때 생략이 발생하게 되는 동기와 원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근본적으로는 ‘반복성과 빈번한 사용의 자제’를 위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동기에서 촉발된 생략의 담화기능을 ‘발화의 간결성 및 정보전달의 신속성의 기능’, ‘발화의 단호함을 강조하는 기능’, ‘초점요소를 강조하는 기능’, ‘비격식성을 강조하는 기능’, ‘유머 창조의 기능’, ‘감정 격화를 나타내는 기능’, ‘담화 결속성 강화의 기능’으로 분석하고 있다. 물론 구체적인 화행활동 속에서 이러한 생략의 담화기능은 독립적으로 나타나기 보다는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복원가능성에 따라서 생략의 유형을 어휘적, 문법적 동일성에 의한 생략, 의미의 동일성에 의한 생략, 형태범주의 동일성에 의한 생략, 의미범주의 동일성에 의한 나누고 있다. 이 때 가장 많이 찾아지는 유형이 어휘적, 문법적 동일성에 의한 생략인데 이는 생략기제와 선행발화문에서 언표화 된 부분이 문법적, 어휘적으로 동일한 경우이다. 의미의 동일성에 의한 생략은 형태적으로는 다르지만 지시하는 의미가 동일함으로 인해 생략이 발생하는데 이 유형의 생략은 대화 참여자와 생략된 대상과의 감정적, 심리적, 사회적 거리가 반영된다. 형태범주의 동일성에 의한 생략은 후행발화에서 생략된 요소가 선행발화에서 언급된 정보와 형태적으로 완전히 같지는 않지만 동일한 형태의 범주에 포함되는 경우를 말한다. 따라서 복원된 생략정보도 동종의 대상일 뿐 동일물이 될 수는 없다. 의미범주의 동일성에 의한 생략은 의미범주의 동일성에 의한 생략은 선행발화문에서 언표화 된 부분과 형태적 동일성은 가지고 있지 않지만 전체 담화텍스트의 의미 맥락을 통해 생략기제를 복원할 수 있는 유형으로 생략기제를 전체 발화 텍스트를 통해서만 찾을 수 있다. 물론 구체적인 화행활동에서 생략은 어느 한 유형만이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복합적인 양상을 띠고 나타난다. 이상으로 본 논문에서 생략의 담화기능과 유형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고 있지만 생략은 아직 연구가 미진한 분야이기 때문에 지속적인 연구와 관심이 필요하다. People tend to use the linguistic device of ‘ellipsis’ in their discourse activity in order to achieve (ⅰ) the economical way of using language (i.e. the economy of language use) and (ⅱ) the efficient way of conveying information. Even though ellipsis is sometimes mistakenly understood as an unconsciously-used linguistic device, it is in fact deliberately executed by a silent consensus between the discourse-engaging people, who all agree that itis reasonable not to use some expressions that either can make the discourse tedious or blur the focus of the discourse. There can be many ways of explaining why people use ellipsis in their discourse, but the most fundamental reason is (ⅰ) the elimination of repetition and surplus and (ⅱ) the self-restraint of frequent use of expression. This paper analyses the linguistic function of ellipsis as follows; (ⅰ) the function of both simplifying utterance and speeding up the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ⅱ) the function of emphasizing the determination of utterance, (ⅲ) the function of emphasizing the essential parts of discourse, (ⅳ) the function of emphasizing the informality of dialogue, (ⅴ) the function of creating humor, (ⅴ) the function of intensifying emotion, and (ⅵ) the function of discourse cohesion. Of course, all these functions will be displayed in an inter-connected and complicated way rather than independently in our daily and specific dialogic activity. This paper also classifies ‘ellipsis’ into many different categories according to ‘recoverability’ such as (ⅰ) the ellipsis by the identity of expressional shape, (ⅱ) the ellipsis by the identity of expressional meaning, (ⅲ) the ellipsis by the identity of shape-category and (ⅳ) the ellipsis by the identity of meaning-category. Among these categories, the most frequently-used one is the ellipsis by the identity of shape-category, which is the case in which the linguistic components expressed in the previously-used paragraph is identical grammatically and linguistically to what is recovered from an ellipsis. Of course, in our daily discourse activity, all the different categories of ellipsis appear not as an isolated form, but as a mixed and complex way.

      • KCI등재

        중간생략등기청구권과 중간생략등기의 효력에 관한 일고찰

        정병호(Jung, Byoung-Ho) 한국재산법학회 2014 재산법연구 Vol.31 No.1

        중간생략등기청구권의 성립에 관해 현재 학설은 대체로 관계당사자 전원 합의를 요건으로 하여 이를 긍정하고 판례도 이와 같다. 다수설과 판례는 당사자 사이에 중간생략등기의 합의가 있어 중간생략등기청구권이 인정되는 경우에도 중간자의 최초매도인에 대한 이전등기청구권은 소멸하지 않고 따라서 최종매수인은 중간자를 대위하여 최초매도인을 상대로 이전등기를 청구할 수 있다고 본다. 다수설과 판례의 최대 약점은 최종매수인의 최초매도인에 대한 중간생략등기청구권과 중간자의 최초매도인에 대한, 그리고 최종매수인의 중간자에 대한 등기청구권이 조화되기 어렵다는 점이다. 청구권 법리상 최종매수인의 최초매도인에 대한 등기청구권을 인정할 수 있기 위해서는 최초매도인의 의무부담의사가 존재하여야 한다. 관계 당사자의 중간생략등기의 합의에서 최초매도인의 최종매수인에 대한 이전등기의무를 부담한다는 의사를 발견할 수 있는지가 문제이다. 따라서 이는 의사표시 내지 계약의 해석 문제이다. 그러나 실무상 거론되는 중간생략등기의 합의에서는 일반적으로 이런 의사를 도출할 수 없다고 본다. 오히려 초기 판례가 언급하듯이 '이행에 편의를 봐주겠다'는 정도의 의미, 즉 "중간등기를 생략하여도 당사자 간에 이의가 없겠고 또 그 등기의 효력이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하겠다는 의미"라고 새기는 것이 당사자의 의사에 부합한다 할 것이다. 따라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중간생략등기의 합의가 있더라도 최종매수인의 최초매도인에 대한 등기청구권은 부인되어야 한다고 본다. 이렇게 본다면 보통의 경우 중간생략등기청구권의 認否 문제는 부동산등기특별조치법의 관계규정을 효력규정인가 단속규정인가 하는 문제와 무관하게 된다. 또한 다수설ㆍ판례처럼 중간생략등기청구권은 당사자 전원의 합의가 있어야만 이를 허용한다고 하면서도, 중간생략등기는 당사자의 합의를 불문하고 효력을 인정한다는 부조화가 생기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중간생략등기의 효력에 대해 판례는 부동산등기특별조치법상 관계규정을 단속규정이라고 보고, 당사자 간 대가관계, 보상관계라는 원인관계가 유효하게 성립되고 이행된 이상 중간생략등기의 합의가 없더라도 유효라고 보고, 현재 학설도 대체로 이에 동조하고 있다. 판례는 그 이유를 적시하지 않은 것이 대부분이나 중간생략등기가 실체적 권리관계에 부합한다고 한 것도 있다. 유효설을 취하는 견해도 대부분 설득력 있는 이유를 제시하지 못했다. 무권리자의 처분에의 동의설은 중간생략등기청구권을 뒷받침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나 이미 이루어진 중간생략등기의 유효성을 뒷받침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했다고 본다. 즉 최초매도인과 중간자 그리고 중간자와 최종매수인 간에 채권행위가 있고 무권리자인 중간자와 최종매수인 사이에 처분행위가 있더라도 권리자인 최초매도인이 이 처분을 승인하면 최종매수인이 적법하게 소유권을 취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초매도인과 중간자 사이의 원인관계에 하자가 없는 한, 을의 처분에 대한 갑의 동의에 기초하여 갑에서 직접 병으로의 이전등기는 유효하다 할 것이다. A sells a parcel of his real estate to B, B sells it without entry in the land register to C. In the case arise two questions. Can C request from A, to be registered in the land register? Is the entry is valid when C is entered immediately after A in the land register? According to the predominant view, and the supreme court C may then require A to be registered in the land register, if all parties agree on such registration. But in normal cases of resale of real estate without intermediate registration which is often done by transfer of documents for registration, C don't have claim to A for direct registration, because A didn't want to obligate himself in spite of his agreement on the direct registration without intermediate registration. A thought at most that he will not mind if C will be by resale immediately after A registered. Regarding the second question the vast literature and the jurisprudence is of the opinion that the registration of C immediately after A is valid even without the parties' agreement if only obligations between parties are fulfilled. The result deserves approval. But the reason lies not in the agreement of all parties on the shortcut registration, but in the consent of A (according to § 185 para 1 BGB), with which non-authorized B's disposal of the real estate to C takes effect.

      • KCI등재

        한국어 조각의문문에 대한 소고

        전혜원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3 No.2

        In this paper, I present some properties of Fragment Questions (FQ) in Korean. The implication pointed by connectivity effects would seem to be : (i) there exists syntactic structure inside ellipsis sites, but it is unpronounced. (ii) Remnants in FQs in Korean are considered as a Contrastive Topic. (ⅲ) Remnants in FQs in Korean moves to a higher position than a (covert) wh-phrase. Ellipsis phenomena cover a range of constructions, such as predicate ellipsis, ellipsis in the nominal phrase and clausal ellipses found in sluicing, gapping, fragment answers. In this paper, we primarily focus on a fragment. Specifically, considerable attention is paid to how to derive a fragmentary expression that nonetheless yields a full-fledged clausal interpretation. Maeda(2019) presents that such topic-marked remnants in FQs in Japanese are constructed as a contrastive topic of the interrogative clause, and such a fragmentary expression with a contrastive topic remnant is derived by deleting a full-fledged interrogative clause. Armed with Maeda(2019), Maeda and Jeon(2019) following Merchant(2001, 2004), among others, we assume that Top-FocP projects above FocP in the left periphery, a remnant moves to a higher position than a (covert) wh-phrase in Fragment Questions Korean. In analogy with fragment answer (FA) to sluicing, Merchant(2004:675) argues that FA in fact involves a full-fledged structure, in which the fragment moves from within TP to a clause-peripheral position, Spec FP, headed by F containing [E](elide) feature, prior to the constituent TP ellipsis. This paper shows that the notion of fragment in English also applies to fragmentary questions in Korean, so-called FQ. The derivation of FQ in Korean can be assimilated to that of FA in English, involving focus movement and TP ellipsis. For explicitness, we suggest the structure of the left periphery for FQs in Korean. 생성문법(Generative Grammar)에서는 영어의 생략구문 연구에서 Merchant(2001, 2004, 2006)가 제안하는 이동 후 생략(movement and deletion)의 접근법을 통해 절 생략(Clusal Ellipsis), 시제구 생략(TP Ellipsis), 동사구 생략(VP Ellipsis), 명사구 생략(NP Ellipsis) 등 다양한 생략 현상을 통합된 이론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Maeda(2019)는 Rizzi(1997)가 주장하는 지도 분석(a cartographic analysis)에 따라 일본어 조각 의문문이 좌분지(left periphery)에서 형성됨을 보이며, 조각의문문은 좌분지로 이동을 하고, 그 후에 시제구(TP)가 생략되어 이미 이동을 겪은 조각의문문은 생략되지 않고 남는다고 분석한다. 실제로 발화(Spell out) 되는 것은 조각문 형식을 취하고 있지만 사실상 해석을 위해서는 전체 문장(a full-fledged clausal interpretation)이 필요하다는 것이 조각문의 중요한 특징이며, 이는 Morgan(1973,1979), Park(2005), Ahn and Cho(2006), Nichigauchi(2006, 2010, 2011), Merchant(2001, 2004, 2006) 등 많은 학자들의 연구에서 입증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조각의문문(Fragmentary questions, FQs)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격(Case), 결속(Binding), 문미에 소사‘-요’(Particles in Korean Fragmentary Questions)가 나타나는 현상을 통해 연결성 효과(Connectivity Effect)를 제시하며, 한국어 조각의문문에 나타나는 다음의 통사적 특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한국어 조각의문문은 생략된 부분이 발음은 되지 않지만, 문장 전체를 수반하는데, 이를 통해 생략된 부분에도 통사 구조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또한, 한국어 조각의문문은 대조 주제화(Contrastive Topic)되어, 좌분지의 가장자리(Top Foc P)로 이동을 하여 의문사구(Wh-phrase)보다 더 상위에 존재한다. 본고에서는 한국어 조각의문문의 통사적 구조를 도식화하여 제안한다. 이를 통해, 한국어 조각의문문은 생성문법에서 영어의 생략 구조 연구에서 중심이 되는 이동 후 생략의 접근법에 잘 부합하여 설명이 가능함을 보이고자 한다. 그리하여, 영어의 생략 구문과 통합된 방식으로 한국어 조각의문문을 분석하여, 이론의 최소화에도 기여하고자 한다.

      • KCI등재

        절차법적 측면에서의 중간생략등기의 검토

        최명구 한국토지법학회 2017 土地法學 Vol.33 No.1

        According to article 186 of civil act, a real right by a juristic act over an immovable takes effect upon its registration. Some special acts(e.g. act on special measures for the registration on real estate) also should inhibit the transfer of real right without registration. Nevertheless, the registration of intermediate omission in which an acquisitor intermediate can’t acquire the ownership, exists on real state transaction in our society. The registration of intermediate omission has legal force if the agreement of concerned legal three-part on this registration exists or this registration conforms the entity relationship. The registration of intermediate omission divided in the preservative registration with omission in the middle, the registration of intermediate omission in heritance, the registration of intermediate omission in acquisitive prescription, the title registration under a third party’s name with omission in the middle and the registration of intermediate omission in cause of sale. On the preservative registration with omission in the middle, a transferee has the ownership in public on the substantive law. Therefore, this registration doesn’t have problems on the procedural law. On the registration of intermediate omission in heritance, a transferer is a inheritor on the substantial law, but a inheritee is a transferer on the procedural law. Therefore, a transferee has a right to request title transfer registration to a inheritor and has the right of provisional registration to preserve the right to request title transfer registration. On the registration of intermediate omission in acquisitive prescription, a transferee can’t exercise the right to request title transfer registration to owner on registration of real estate because a transferee dosen’t have the right to request title transfer registration to a seller(a owner on the acquisitive prescription) in base on the transfer of an obligation. On the title registration under a third party’s name with omission in the middle, a title truster as a buyer has a right to request title transfer registration to a seller on the sale and also has the right of provisional registration to preserve the right to request title transfer registration. Then on the registration of intermediate omission in cause of sale, the final transferee has the a right to request title transfer registration and a right of provisional registration to preserve above right only if a final transferee has a right to request title transfer registration to a first transferer. 민법 제186조에 따르면, 법률행위로 인한 부동산물권변동은 등기를 하여야 한다. 또한 등기 없는 부동산물권변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동산물권변동의 공시를 위하여 부동산등기 특별조치법 등 특별법을 시행하여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절차법상 부동산물권변동의 공시를 중간에 생략하는 “중간생략등기”가 행해지고 있다. 판례는 이러한 중간생략등기에 대하여 실체관계에 부합하거나, 3자의 합의가 있는 경우에 유효하다고 하고 있다. 이는 실체법적 측면에서 중간생략등기의 효력을 언급한 것이다. 그렇다면 절차법적 측면에서 중간생략등기의 당사자의 법률관계, 권리의 모습과 행사의 방법은 어떻게 되는 것인가를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중간생략등기의 유형별 즉, 중간생략의 보존등기, 상속의 중간생략등기, 시효취득의 중간생략등기, 중간생략등기형 명의신탁 및 매매를 원인으로 하는 중간생략등기에 있어서, 당사자 사이의 법률관계, 권리의 모습과 행사방법은 각각 다르게 나타난다. 즉, 중간생략의 보존등기에서는 양도인의 소유권보존등기가 생략되고, 양수인이 실체법적 최초의 소유자로서 적법한 절차에 따라 소유권보존등기를 한다. 따라서 양수인의 중간생략의 보존등기는 실체법상 소유권을 공시한 것으로 절차법상 법적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상속의 중간생략등기에서는 양도인인 실체법상 상속인이 소유권자이지만, 절차법상 소유권자는 피상속인으로서 양수인은 상속인에게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을 갖고, 이를 보존하기 위한 가등기권도 행사할 수 있을 것이다. 시효취득의 중간생략등기에서는 양수인은 취득시효완성자인 매도인에 대하여 채권양도를 원인으로 하는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을 행사할 수 없기 때문에, 양수인은 등기부상 소유권자에 대하여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을 행사할 수 없을 것이다. 중간생략등기형 명의신탁에서는 명의신탁자는 매수인으로서 매도인에 대한 매매를 원인으로 하는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을 갖고, 이를 보존하기 위한 가등기권을 갖을 것이다. 끝으로 매매를 원인으로 하는 중간생략등기에서는 최종양수인이 최초양도인에 대하여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을 갖는 경우에 한하여,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을 갖고, 이를 보전하기 위한 가등기권을 행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어와 영어의 생략 현상에 대한 통계적 접근

        박청희 ( Cheong Hee Park ) 민족어문학회 2012 어문논집 Vol.- No.66

        이 연구는 주어와 목적어의 생략을 중심으로 한국어와 영어의 언어 특성에 따른 생략 현상을 고찰하고 분석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한국어와 영어의 언어특성에 따른 생략 현상의 차이를 연구하고 시나리오를 치밀하게 분석하여 주어 생략의 차이와 목적어 생략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추출하였다. 한국어는 존대법이 발달하고 종결어미가 다양하여 주체가 누구인지 쉽게 추측할 수 있고 어순이 자유로운 언어이므로 생략 현상이 잘 일어난다. 또한 한국어는 동사 중심의 언어이므로 명사구로 구성이 된 주어나 목적어는 상대적으로 비초점이 되어 쉽게 생략이 된다. 반면에 영어는 어순이 고정되어 있고 어순에 의해 격이 배당이 되므로 생략 현상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영어는 명사 중심의 언어이므로 명사구로 이루어진 주어나 목적어가 쉽게 생략이 일어날 수 없다. 통계적인 분석에 따르면 한국어에서는 주어가 67.82%, 목적어가 13.78%의 비율로 생략이 일어나고 있으며 영어에서는 주어가 31.5%, 목적어가 7.67%의 비율로 생략이 일어나고 있다. 한국어는 상황을 중시하는 언어이므로 경제적인 효율성을 위해 생략 현상이 보편적으로 나타나며 영어는 구조를 중시하는 언어이고 정해진 구조를 벗어나지 않으려고 하므로 생략 현상이 잘 나타나지 않는다.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consider ellipsis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and English around ellipsis of the subject and the object. This study analyzed scenarios precisely and extracted a difference of ellipsis between Korean and English statistically. Korean has highly developed an honorific and has diverse the end of a word to complete sentences. So ellipsis occur frequently at Korean because subject is supposed easily and word order of it is free. Also subject or object organized by noun phrases omit well because the verb is the center of Korean. On the contrary ellipsis does not occur almost at English because word order of it is fixed and the case is appointed by word order. Also subject or object does not omit well because the noun is the center of English. According to statistics of this study, ellipsis occur 69.22% of subject, 13.78% of object at Korean and ellipsis occur 31.5% of subject, 7.67% of object at English. Ellipsis occur well at Korean because a situation is the most highly regarded for economic efficiency. Ellipsis does not occur well at English because structure is the most highly regarded to maintain fixed structure.

      • KCI등재

        1920年 以前 國語文法書의 省略 現象에 대한 認識

        전지영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2 어문연구(語文硏究) Vol.50 No.2

        전지영, 2022, 1920년 이전 국어문법서의 생략 현상에 대한 인식, 어문연구, 194 : 29~59 본고는 국어문법 연구의 기틀이 세워진 1920년 이전으로 범위를 한정하고 국어문법서를 통해 생략 현상에 대한 당시의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생략, 은각, 숨은 뜻, 속 뜻, 줄임, 숨어있음’ 등 다양한 생략 관련 용어들을 정리하는 일에서 시작하여, 전통문법서에 나타난 생략 현상에 대한 인식을 현대적인 관점에서 종합적으로 논의하였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문법서에서 관찰되는 생략 성분의 종류는 점차 늘어갔지만 생략의 기능이나 조건 등은 주목되지 않아서 유형의 체계를 갖추지는 못하였다. 생략된 요소를 복원할 수 없는 추상적인 생략이 발견되기도 하였는데 이는 통일성 있는 문장구조 체계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상정된 것으로 이해된다. 그럼에도 생략 현상을 포착한 예문들을 통해 선행발화에 의한 생략, 발화 현장에 의한 생략, 개념 생략, 접속문과 같은 구조적 맥락에 의한 생략 등 오늘날 논의되고 있는 생략의 유형들이 모두 확인되었다. 다만 해당 예문들이 여러 문법서에 흩어져 있고 일부 문법서에서 한때 조명되었다가 이후 논의에서는 제외되기도 하였다. 문법 체계 변화의 중간 과정에 대해 후속 연구가 절실한 이유이다.

      • KCI등재

        王蒙의 《坚硬的稀粥》번역에 나타난 생략의 유형과 양상

        신지언(Shin, ji-an),이선희(Lee, Sun-hee) 동아인문학회 2016 동아인문학 Vol.35 No.-

        이 글은 王蒙의 《坚硬的稀粥》번역에서 나타나는 생략의 유형들을 살펴보았다. 원문을 번역에서 생략하는 것은 주로 의미 전달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가운데 진행되었다. 그러나 표현 효과는 확실히 원문과는 달라질 수밖에 없다. 생략의 유형은 세 가지로 분석되었다. 우선 문장부호가 번역에서 종종 생략되고 있다. 이로 인해 느낌표나 물음표 등의 문장부호를 통해 화자의 목소리가 직접 전달될 수 있는 효과를 상실하고 있다. 다음으로 발견된 생략 유형은 어휘의 생략이다. 이는 주로 부사어의 생략으로 나타난다. 부사어란 문장의 핵심 의미에는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기 때문에 번역에서 자주 생략의 상황을 맞는다. 그러나 작품에 대한 저자의 서술의도와 표현효과를 고려한다면 생략을 재고하여야 한다. 끝으로 일부 내용이 생략되는 경우이다. 어휘의 차원을 벗어나서 문장이나 문단의 일부가 생략되는 경우이다. 이들은 주로 길고 장황한 서술에서 내용요약 형식으로 생략된다. 그러나 원작의 문체와 풍격, 의도된 상세 서술 등을 고려한다면, 의미전달만을 목적으로 내용을 생략하는 것은 재고되어야 할 부분이다. This study has examined the types of omission shown in the translation of 《Jianying de Xizhou》 by Wang Meng. The omission in the translation of the original text had no influence on the delivery of messages while the effects of its expression were certainly different from the original. The type of omission was divided into three. First, the punctuation marks are sometimes omitted in the translation. Therefore, the effects of directly delivering the speaker"s voice through punctuation marks such as exclamation mark or question mark, are lost. Next, words are omitted as well, which is usually shown as the omission of adverbial phrases. Since adverbial phrases have almost no influence on the core meanings of sentences, they are often omitted in the translation. Considering the author"s intention and the effect of expression, however, the omission should be reconsidered. Lastly, it is the case of omitting some parts of the contents, which is to omit some parts of sentences or paragraphs, rather than simply omitting words. They are usually omitted to summarize long and rambling descriptions. However, considering the intended detailed description, style, and character of the original, the omission of the contents just for the purpose of delivering messages should be reconsidered.

      • KCI등재

        한문교과에서 학습 요소로서의 생략에 대한 연구

        김성중 근역한문학회 2017 漢文學論集 Vol.47 No.-

        This paper is to discuss on the ellipsis as one of the learning elements established in the Korean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For this discussion, we need to consider at least three aspects.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sort out and absorb the relevant research results in academic grammar study. Secondly, it is necessary to refer to the content structure of the Korean Classical Chinese national curriculum. Thirdly, we need to investigate the relevant interpretations and analyses appeared in the current middle and high school Classical Chinese textbooks. We suggest that, when we apply ellipsis as one of the learning elements in the Korean Classical Chinese textbooks, it is not appropriate to approach the ellipsis of subject constituent at the range of the null subject sentences. We also think that the certain types of ellipsis such as “preposition ellipsis” are not suitable for school grammar because its difficulty is not only greater than the effect of education, but also easily make learners confused. o we suggest that it is best not to mention it in school grammar. 본고의 목표는 한문과 학교 문법에서 중요하게 여겨졌음에도 아직 본격적인 연구가 진행되지 않은, 생략에 대해 학습요소로서의 범주를 명료화함으로써 교과서 집필 및 학교 현장의 교수‧학습에 보탬이 되고자 하는 것이다. 학교 문법은 학문 문법이 간결화, 간이화 과정을 거친 것이므로 먼저 학문 문법에서 제시하는 생략의 개념을 정리, 분석함으로써 학교 문법으로의 적용 방안을 논의하였다. 학습 요소로서의 생략의 기준과 범위 관련해서는 언어학 일반의 각도에서, 생략으로 보아야 하는 주어 생략문과 생략으로 볼 수 없는 無主語文을 구분하였으며, 한문의 언어적 특성에 의거, 繫辭 생략을 학습 요소로 상정할 수 없음을 논하였다. 또한 학문 문법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개사의 생략은 학교 문법의 측면에서는 다루지 않는 것이 적정함을 고찰하였다. 생략의 유형 및 문장 풀이에의 활용 방안 관련해서는 현행 고등학교 한문Ⅰ 교과서 10종을 대상으로 하여 주어, 서술어, 보어, 목적어 등 문장의 주요 성분의 생략 유형 및 교과서 풀이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생략에 대한 문법 지식이 문장 풀이에 효과적일 수 있는 방안을 서술하였다. 아울러 현행 교육과정에서 학습 요소로 상정하지 않은 겸어, 개사 목적어의 생략도 언급하였는데, 교수‧학습 현장에서 교수자가 인지할 필요가 있거나 교과서 편찬에 일정 정도 요구될 것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본고의 논의가 향후 한문교육계의 생략에 대한 후속 연구에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