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생애목표와 삶의 만족의 관계: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매개효과

        고영남 안암교육학회 2017 한국교육학연구 Vol.23 No.4

        본 연구는 청소년의 생애목표와 삶의 의미가 삶의 만족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삶의 의미의 하위요인인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은 생애목표와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어떠한 매개효과를 갖는지를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고등학생 282명을 대상으로 생애목표 척도, 삶의 의미 척도, 삶의 만족 척도를 실시하였고, 연구분석 방법으로는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PROCESS macro를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애목표로서 삶지향 목표는 물론 성취지향 목표도 삶의 만족과 정적 상관이 있고, 삶의 의미 차원에서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은 삶의 만족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삶지향 목표는 삶의 만족에 직접적인 효과가 있으며,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매개변수를 통한 간접적인 효과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취지향 목표는 삶의 만족에 직접적인 효과가 없고,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매개변수를 통한 간접적인 효과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생애목표로서 삶지향 목표와 성취지향 목표 모두 삶의 만족과의 관계에서 의미추구 또는 의미발견만을 거치는 단일매개효과는 없고,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을 순차적으로 거치는 이중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주요 시사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roles of the search for meaning and the presence of mean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goals and life satisfaction in adolescents. Participants were 282 high school students in Chungbuk province, South Korea. Three measurement instruments were employed: the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the Life Goal Questionnaire,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ROCESS macro, a bootstrapping method that is known to be a more accurate mediation method than the Baron and Kenny and Sobel test.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oth achievement goals and personal life goal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Second,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 search for meaning, the presence of meaning, and life satisfaction. Third, the search for meaning and the presence of meaning produced complete mediation effect when achievement goals impacted on life satisfaction. Also, the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life goals and life satisfaction. Fourth, the effects of life goals(achievement goal, personal life goal) on life satisfaction had significant serial double mediation effect through the search for meaning and the presence of meaning.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들의 삶의 목표 유형에 따른 진로정체감, 공동체의식 및 삶의 만족도 차이

        인효연,길혜지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7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istinct profiles of life goals and to examine the associations of life goal profile membership with vocation identity(VI), community sense(CS), and life satisfaction(LS) among a sample of 2,091 second-year high school students. Using the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four domains of life goals(relations, challenge, external achievement, and social particip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dolescents of the sample were divided into 6 life goal cluster groups: high goal(16.1%), extrinsic achievement-oriented(14.5%), intrinsic goal-oriented(19.1%), stability-oriented(11.6%), mid-to-low goal(26.5%), and low goal(12.1%) groups.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distribution of the life goal profiles. Levels of VI, CS, and LS differed significantly among 6 life goal groups. The group reporting high life goals across four domains (high goal group) showed the highest levels of VI and CS, whereas the group reporting low life goals for all domains (low goal group) had the lowest VI and CS. The high goal group and the intrinsic goal-oriented group showed the highest levels of LS, compared to the other four life goal group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dolescents are likely to achieve the most positive outcomes when they develop high life goals across diverse domains including intrinsic(relations, challenge, social participation) and extrinsic goals(external achievement).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or each life goal profile. 본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의 중1패널 5차년도 자료(고2, 2,091명)를 활용하여 청소년들의 삶의 목표를 유형화하고, 삶의 목표에 따라 진로정체감, 공동체의식 및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요인분석을 통해 삶의 목표의 하위 영역(관계, 도전, 외적성취, 사회참여)을 도출하였다. 4개 하위 영역을 바탕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 영역에 걸쳐 목표가 높은 ‘고목표형(16.1%)’, 모든 유형 중 외적성취 목표가 가장 높은 ‘외적성취지향형(14.5%)’, 관계, 도전, 사회참여 등 내재적 목표가 상대적으로 높은 ‘내재적목표지향형(19.1%)’, 도전 목표가 가장 낮은 ‘안정지향형(11.6%)’, 모든 영역의 목표가 평균 수준이거나 낮은 ‘중저목표형(26.5%)’, 전 영역의 목표가 매우 낮은 ‘저목표형(12.1%)’ 등 6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삶의 목표 유형은 성별에 따라 그 분포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다변량분산분석 결과, 삶의 목표 유형에 따라 진로정체감, 공동체의식, 삶의 만족도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진로정체감과 공동체의식의 경우 ‘고목표형’에 속하는 청소년들이 가장 높았고 ‘저목표형’은 가장 낮았다. 삶의 만족도에 있어서는 ‘고목표형’과 ‘내재적목표지향형’이 ‘안정지향형’, ‘외적성취지향형’, ‘중저목표형’, ‘저목표형’보다 높았다. 전반적으로, 내․외재적 삶의 목표의 하위요소들을 균형 있게 추구하는 청소년들이 가장 긍정적인 발달과 삶의 만족도를 나타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각 유형별 청소년들의 건강한 발달을 지원하기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우수등재

        생애목표추구의 삶 만족도에 대한 영향: 연령대별 비교

        이현주(Lee, Hyunjoo)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1

        본 연구에서는 생애목표추구의 목표유형(내재적 자기초점 목표, 내재적 자기초월 목표, 외재적 목표)과 목표차원(목표중요성, 목표기대, 목표성취)이 삶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10대부터 60대까지의 연령대별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각 연령대별로 약 200명씩, 총 1212명을 전국 표집하여 인터넷 설문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연구변인에서의 연령대별 차이와, 생애목표추구가 삶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성별과 종교유무를 고려하여 연령대별로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생애목표추구에서 연령대별 차이가 확인되었다. 내재적 자기초월 목표에 대한 목표중요성, 목표기대, 지각된 목표성취는 60대에서 높게 나타났고, 외재적 목표에 대한 목표중요성과 목표기대는 20대와 30대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전 연령을 대상으로 삶 만족도에 대한 생애목표와 인구학적 변인의 영향을 위계적 중다회귀분석한 결과, 삶 만족도에 대하여 성별은 유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고, 생애목표 변인을 고려하였을 때 종교의 정적 영향 또한 유의하지 않았다. 삶 만족도에 대한 생애목표추구 하위변인의 설명량을 살펴보면, 목표중요성보다 목표기대와 목표성취의 설명량이 더욱 컸다. 이 중 외재적 목표성취, 내재적 자기초점 목표성취 순으로 삶 만족도에 대한 정적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삶 만족도에 대한 영향 변인을 연령대별로 비교하였을 때, 10대에서는 외재적 목표기대가, 20대에서는 내재적 자기초점 목표성취가, 30대 이상에서는 외재적 목표성취가 가장 큰 정적 영향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내재적 자기초월 목표중요성은 50대와 60대에서만 삶 만족도에 대한 유의한 정적 영향 변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생애목표와 관련된 발달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것과 목표기대와 지각된 목표성취가 삶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The effect of life goal types (intrinsic self-focused goal, intrinsic self-transcendence goal, and extrinsic goal) and life goal dimensions (goal importance, goal expectation, goal achievement) on life satisfaction was analyzed by age group. A total of 1,212 people were sampled nationwide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net survey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erceived importance, expectation, and achievement of intrinsic self-transcendence goals were higher in participants in their 60s. The importance and expectation of extrinsic goals were higher for those in their 20s and 30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all participants’ data showed that goal expectation and goal achievement had a greater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an goal importance.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was greater in the order of extrinsic goal achievement and intrinsic self-focused goal achievement. The variables most positively affecting life satisfaction were extrinsic goal expectation for those aged 10-19, intrinsic self-focused goal achievement for those in their 20s, and extrinsic goal achievement for those above 30. The positive effect of the intrinsic self-transcendence goal importance on life satisfaction was found only for those in their 50s and 60s. Finally, the importance of developmental tasks related to life goals, and the role of goal expectations and perceived goal achievement in life satisfaction are discussed.

      • KCI등재

        생애목표검사 개발 및 타당화

        신종호(Jong Ho Shin),서은진(Eun Jin Seo),이유경(You Kyung Lee) 한국교육심리학회 2011 敎育心理硏究 Vol.25 No.2

        일을 통해 성취하고자 하는 ``성취지향목표와`` 개인적 삶의 안녕을 달성하고자하는 ``삶지향목표`` 간의 균형은 개인의 발달과 삶의 행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성취지향목표와 삶지향목표를 인지와 행동의 다차원으로 측정하는 ``생애목표검사``를 개발하고, 각 목표의 수준에 따라 실제로 학생들의 삶의 의미, 안녕감, 성취동기 및 학업 자기개념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성취지향목표와 삶지향목표를 인지 및 행동의 측면에서 측정하는 본 생애목표검사가 적절한 요인적합도와 문항내적일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취지향목표와 삶지향목표가 균형 있게 발달한 균형목표집단의 경우 삶의 의미, 안녕감, 성취동기, 학업 자기개념의 수준이 전반적으로 높은데 반해, 성취목표집단, 삶목표집단, 저목표집단의 경우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심리적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생애목표검사가 타당하다는 것을 보여주며, 학생들의 성취지향목표와 삶지향목표가 균형 있게 발달하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balance between achievement and personal life goals is important in personal development and happi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Life Goal Questionnaire which examines cognitive and behavioral aspects of achievement and personal life goal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ife Goal Questionnaire possesses internal reliability and measurement validity, along with criterion validity. In addition, cluster analysis of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based on the scores of the Life Goal Questionnaire- 1) balanced goals group, 2) achievement goal group, 3) personal life goal group, and 4) low goal group. Group analysis indicated that balanced goal group showed the highest level of life meaning, well-being, achievement motivation and self-concept among the four group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Life Goal Questionnaire is a valid measure of students` life goals and suggest educating students to develop their life goals that are not biased toward either achievement or personal life goals but balanced in both goals.

      • KCI등재

        대학생의 물질주의, 생애목표 유형에 따른 그릿, 삶의 의미, 행복감의 차이: 잠재프로파일분석의 적용

        한혜원(Hyewon Han),양수진(Sujin Yang)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21 사회과학연구논총 Vol.37 No.1

        가치와 목표는 개인이 이루고자 추구하는 대상으로서 행동과 삶의 양상을 결정짓는다. 두 요인은 서로 유기적으로 개인의 동기를 구성하겠기에 본 연구는 물질의 소유를 중시하고, 높은 소비욕망을 가지며, 물질을 통해 성공을 판단하고자 하는 물질주의 가치와 생애목표(성취지향목표, 삶지향목표)에 따라 잠재유형을 분류하고 그에 따른 심리적 적응성(그릿, 삶의 의미, 행복감)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대학생 369명을 대상으로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였고, 4개의 프로파일 유형이 도출되었다. ‘탈물질-삶추구형’은 물질주의가 가장 낮고 삶지향목표가 특히 높았다. ‘물질중시-목표지향형’은 물질주의가 네 집단 중 가장 높고 두 생애목표 역시 높은 수준이었다. ‘소비갈망-목표결여형’은 소비갈망은 높지만 생애목표 추구는 가장 낮았으며, ‘도구적 물질주의-목표지향형’은 성공의 기준을 물질로 보나 가장 높은 생애목표를 가졌다. 유형별 심리적 적응을 살펴본 결과, 가장 적응적인 탈물질-삶추구형과 도구적 물질주의-목표지향형과 달리 물질중시-목표지향형과 소비갈망-목표결여형의 심리적 적응성은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물질주의 성향도 개인이 추구하는 생애목표에 따라 다차원적으로 나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classified undergraduate students by value and goal properties of materialism and life goals, and identified any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adjustment(grit, meaning in life, happiness) between the profiles. A latent profile analysis(LPA) of 369 students provided four distinct profiles: ‘Non-materialistic/life-oriented group’ was the lowest for overall materialism and particularly high for personal life goal. ‘Materialistic/goal-oriented group’ was the highest for overall materialism and showed high scores in both achievement and personal life goals. ‘Consumption-desiring/goal-deficient group’ had an average level of materialism with high score in happiness dimension, while scoring the lowest in both life goals. ‘Success-seeking/goal-oriented group’ also had an average level of materialism with high score in success dimension, and had the highest level of both life goals. Regarding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adjustment, ‘Non-materialistic/life-oriented’ and ‘Success-seeking/goal-oriented’ were the most adaptive groups, followed by ‘Materialistic/goal-oriented’ and ‘Consumption-desiring/goal-deficient’. Further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이 지각하는 취업전망, 영역별 삶의 목표 및 삶의 만족도의 관계

        오현숙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4 No.4

        The youth unemployment issue has not shown any improvement in yea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how employment issues affecting university students influence their life aims, self-efficacy, view of reality, view of the future, and life satisfaction. 239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assessed through the instrument FLL and questions about employment issues, their life aims, life satisfaction and also their employment perspective. A total of 34 items of the FLL were divided through factor analysis into six higher life aims, self-love, family love and interpersonal aims, personal-financial aims, social-public aims, moral aims and political and ideological aims. Using Cluster analysis, three group profiles were found depending on the employment perspective such as a better view of reality, better self-efficacy, and better life satisfaction. A t-test was conducted in order to compare the two groups classified according to favorable or unfavorable employment perspectives. No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ed between the groups in the perception of youth unemployment or in social-demographic factors, such as gender, age, and academic year. However, in life aims, the unfavorable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nterest in the domains of family love and interpersonal aims, personal -financial aims, and social-public aims than the favorable perspective group. Conversely, this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greater negative view of reality in most life domains, as it evaluated that its aims are more poorly achieved than the comparable group. Also, the unfavorable perspective group showed a lesser degree of self-efficacy in most life domains and the same in the category of life satisfaction, i.e., lesser satisfaction in all life domains except for family love, and moral aim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existed between the groups in the view of the future.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other social-cognitive factors for life satisfaction found in preceding studies. 본 연구에서는 수년 동안 악화돼온 청년실업 문제가 개선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부정적인 취업전망과 같은 사회인지 요인이 대학생의 삶의 목표 구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그들의 자아관, 현실관, 미래관 및 삶의 만족도와는 어떤 관계에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삶의 목표와 만족도 검사 FLL’ 및 지각된 취업전망에 관한 질문을 통한 조사를 서울과 경기도 소재의 3개 종합대의 239명의 남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결과로서 FLL의 총 34개 문항의 영역별 삶의 목표들은 요인분석에 의해서 6개 상위 목표, 즉 자기애적 목표, 가족애/대인적 목표, 개인-경제적 목표, 사회공익적 목표, 도덕적 목표, 정치. 이념적 목표로 분류되었다. 조사된 전체 집단은 군집분석 결과 취업전망이 서로 다르며, 취업전망이 긍정적일수록 목표가 더 충족된 것으로, 또한 목표를 이루는 자신의 효능감이 더 높으며 아울러 영역별 삶의 목표에서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나는 총 3개의 집단 프로파일을 나타냈다. 취업전망에 따른 집단 간의 특성 차이를 유리한 또는 불리한 취업전망의 두 집단으로 구분한 뒤, t-검증을 통하여 비교해보았을 때는, 이들 두 집단 간에는 청년실업인지도 및 성별, 나이, 학년과 같은 인구통계학적 요인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불리한 취업전망의 집단은 가족애/대인적 목표, 개인-경제적 목표, 사회공익적 목표 영역에서 유리한 취업전망의 집단보다 목표들을 유의하게 더 중요한 것으로 인지하였다. 반면 이들은 가족애/대인적 목표 영역을 제외하고는 비교집단에 비해 목표들이 유의하게 덜 이루어졌다고 판단했으며(부정적 현실관), 자기애와 도덕적 목표 영역을 제외한 4개의 영역에서 목표를 이룰 능력이 자신들에게 더 적게 있다고 평가했다(부정적 자기효능감). 이들은 또한 삶의 만족도에서는 가족애/대인적 목표, 그리고 도덕적 목표 영역을 제외하고 4개의 전 영역에서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덜 만족하는 반응을 나타냈다. 그러나 미래관에 있어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연구결과와 함께 취업전망의 문제를 중요한 사회인지적 요인으로 다루어야 하는 이유가 논의되었다.

      • KCI등재

        대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양육방식 유형에 따른 삶의 목표 유형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

        조유경(Cho, Yukyeong),오인수(Oh, Ins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1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양육방식의 유형을 탐색하고 유형에 따른 대학생들의 삶의 목표 유형과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대학생이 인식한 부모양육방식의 유형과 이들의 삶의 목표 유형이 삶의 만 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서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 연구원이 2010년부터 2016년까지 7년 동안 추적 조사한 종단연구인 한국아동·청소년패널자료 가운데 중1패널 7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첫 째, 군집분석으로 통해 확인된 부모양육방식의 유형은 3가지로 애정친밀 집단, 과관여 집단, 방임적 집단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부모양육방식에 따른 대학생의 삶의 목표 유형에 있어서 내재적 삶의 목표의 경우에는 애정친밀 집단이 과관여 집단과 방임적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면, 외재적 삶의 목표는 과관여 집단이 방임적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부모양육방식에 따른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는 세 집단 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고 애정친밀 집단, 과관여 집단, 방임적 집단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부모양육방식의 유형 중 애정친밀 집단에 속하는 것이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 향상에 가장 높은 영향력을 미쳤으며 외재적 삶의 목표는 삶의 만족도에 부정적으로, 내재적 삶의 목표는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과를 종합하여 대학생들을 위한 상담적 시사점과 부모교육을 위한 교육적 함의들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explored the perceived types of parenting style by college students and tried to find out the changes of life goal types and life satisfactions level depending on types of parenting style. We also investigated the individual effects of perceived types of parenting style and life goal types on the life satisfaction level. The panel data of 1,881 college students from the Korea Child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of 2016 were used in this study.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luster analysis identified 3 types of parenting styles of affectionate intimate group, excessive involved group, uninvolved group. Secondly, the life goals of excessive involved group showed more of extrinsic than those of uninvolved group by types of parenting style. However, affectionate intimate group showed more of intrinsic than those of excessive involved group or uninvolved group. Thirdly, life satisfaction levels depending on the types of parenting style were significantly differ by groups and showed in order of affectionate intimate group, excessive involved group. uninvolved group. Lastly, being affectionate intimate group most highly enhances the life satisfaction level, and the negative effects of extrinsic goal while the positive ones of intrinsic goal on the life satisfaction were identified. With all the results, counseling implications for college students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parent education were discussed in this study

      • KCI등재

        목표 중심 자기조절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과 삶의 균형 매개효과: WLB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경화,탁진국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3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특성 변인으로서의 목표 중심 자기조절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목표 중심 자기조절과 삶의 만족 및 일과 삶의 균형 관계를 살펴보았고 자기조절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일과 삶의 균형과 삶의 만족 관계에 있어 일과 삶의 균형 (WLB) 조직문화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의 다양한 기업에 종사하고 있는 216명의 조직 구성원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불성실 응답 대상자 16명을 제외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목표 중심 자기조절은 일과 삶의 균형 및 삶의 만족과 정적인 관련을 보였고, 일과 삶의 균형은 삶의 만족과 정적인 관련성을 보였으며, 일과 삶의 균형은 자기조절과 삶의 만족과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과 삶의 균형과 삶의 만족 관계에 있어서 WLB 조직문화가 조절 효과를 나타내었고, 이는 WLB 조직문화가 좋을수록 조직원들은 일과 삶의 균형을 통해 삶의 만족을 좀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향후 연구과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사회공헌 목표의 발달 궤적과 그 유형: 공동체 의식, 시민성, 삶의 만족을 중심으로

        임효진(林孝璡)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아시아교육연구 Vol.20 No.4

        본 연구에서는 사회공헌 목표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탐색하고, 이러한 발달 궤적의 유형을 분류하여 그 특성을 기술한 뒤, 발달 유형과 공동체 의식, 시민성, 삶의 만족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을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 2005(KELS 2005)의 6차년도(2010년)부터 11차년도(2018년) 중 5시점에서 측정된 설문자료를 추출하였다. 이어 잠재집단 성장모형으로 발달 궤적과 그 유형을 분류한 뒤, 3단계 방식의 혼합모형을 사용하여 공변인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사회공헌 목표는 분할함수 성장모형에 의해 설명할 수 있었으며, 이질적인 발달 유형은 3개로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공헌 목표는 1기에는 변화가 적었던 반면 2기에는 변화율이 높아지거나 낮아지고 있었으며, 이에 따라 목표 평균 유형, 목표 상승 유형, 저목표 하락 유형으로 나뉘었다. 또한 6차년도 공동체 의식이 높을수록 평균이나 목표 상승 유형에 속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혼합회귀분석에서 공동체 의식은 성장 요인인 초기값과 변화율들을 유의하게 예측하였고, 시민성은 각 시점의 사회공헌 목표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마지막으로 발달 유형에 따른 삶의 만족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목표 상승 유형과 목표 평균 유형은 저목표 하락 유형보다 높은 삶의 만족을 보였다. 연구에서는 대학생 시기 이후의 사회공헌 목표의 발달을 구체적으로 알아보았고 이를 유형화하여 보다 적응적인 목표 발달을 위하여 필요한 지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social contribution goal change over time and whether there exist different types of development in terms of goal change. This study explores how sense of community, citizenship, and life satisfaction are related to the goal development. For the analysis, data from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05 (KELS) were extracted from 6th (year 2010) to 11th (year 2011) for five time points. A 3-step approach growth mixture model was employed to identify different trajectorie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 of sense of community, citizenship, and life satisfaction to the membership of developmental type and growth factors (i.e. initial status and rate of change). Results showed that a piecewise latent growth model fit the data.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three heterogeneous developmental types within the sample such as average type, goal-increasing type, and low goal-decreasing type. Together, social contribution goal was relatively stable in the first stage while the level of goal pursuit was differentiated in the second stage. In addition, the higher sense of community,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eing in the average or goal-increasing types. As a time-dependent variable, citizenship significantly predicted social contribution goal, meaning the higher citizenship at each time point, the higher the goal. Finally, goal-increasing type and average type scored higher in life satisfaction than low goal-decreasing typ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evelopment of social contribution goal after college level and discusses what support is needed to facilitate more adaptive goals according to the types of trajectory.

      • KCI등재

        경찰관 진로희망 고등학생의 목표내용과 삶의 의미 간 관계: 사회공헌목표의 매개효과

        박수원(Park, Soo Won),최병호(Choi, Boung Ho)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20 경찰학연구 Vol.20 No.1

        경찰관 진로를 희망하는 청소년이 어떠한 목표내용을 추구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목표내용이 삶의 의미와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 확인하는 것은 미래경찰 인력의 특성에 대한 청사진을 그리게 해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임경찰관 교육에서 어떤 교육적 철학과 목표를 세워야 하는지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해줄 수 있다. 본 연구는 경찰관으로의 진로를 희망하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다른 직업(교사, 군인, 공무원, 회사원, 의사, 법관) 진로를 추구하는 고등학생에 비해 목표내용(부, 명예, 사회공헌)에 있어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확인하였다. 또한 경찰관 진로희망 청소년이 추구하는 사회공헌목표내용이 삶의 의미와 어떤 연관을 가지는지를 종단적으로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경찰관 진로희망 고등학생들은 부목표나 명예목표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사회공헌목표에 있어서는 다른 진로희망(교사, 공무원, 회사원) 고등학생에 비해 사회공헌목표를 높게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공헌목표는 진로희망과 삶의 의미 추구 및 삶의 의미 확인 간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경찰관 진로를 희망하는 것이 사회공헌목표와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사회공헌 인식이 높아야 삶의 의미증진을 이끌 수 있음을 시사한다. 나아가, 경찰 양성의 과정에서 사회공헌목표를 추구하고 실현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와 체제를 형성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Examining goal contents and its relationships with meaning of life among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desired career as a police officer would not only serve to shed light on the blueprint of future human resources of police officers, but also suggest the direction of what is needed to develop educational environment for developing their professions. The current study examined if there is any differences between steudents who have desired carrer as police officer and who pursue different careers (police officer, teacher, soldier, public official, corporate staff, doctor, judge), in terms of goal contents (wealth, fame, social concern). In addition,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ncern goals and life meaning of adolescents desiring a career as a police officer was examined. High school students have desired career as a police officer pursued socially concerned goals, more so than those of other careers (teacher, public official, corporate staff). Also, social concern goals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ursuing a career as a police officer and the meaning of life (search and presence). These results exhibited that pursuing a career as a police officer is closely related to social concerns goals, which is also related with life meaning. Establishing social environment and educational systems for pursuing socially concerned goals is needed in the development process for future police offic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