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사가독서(賜暇讀書)와 "평생독서교육" 연구

        이국환 ( Kook Hwan Lee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0 石堂論叢 Vol.0 No.47

        조선시대의 사가독서(賜暇讀書)는 그 교육적 의의에 있어 오늘날 평생교육의 이상과 맞닿아 있다. 세종대에 시작된 사가독서 제도는 교육과정의 고정된 틀에 매이지 않았고 운영 과정도 ‘자발성·즐거운 학습’을 바탕으로 한 자기주도학습(self-oriented learning)을 지향하였다. 하지만 사가독서는 시대 환경의 차이로 누구에게나 동등하게 공급되는 것을 이상으로 하는 평생교육의 공공성은 확보할 수 없었다. 이제 주 5일 근무시대를 맞아 현대인은 독서에 필요한 3L(Literacy, Leisure, Libraries)의 환경을 갖추었고, 이를 활용해 평생교육 차원에서 독서할 수 있다. 정보사회를 이끌어가는 사람은 기존 지식과 정보를 많이 가진 사람이 아니라, 새로운 정보나 지식을 창출할 수 있는 사람이며, 정보사회의 경쟁력을 갖추는 가장 큰 기반은 바로 전통적인 독서력에 있다. 이제 기존 학교교육의 틀을 벗어나 ‘자발성’과 ‘즐거운 학습’에 중점을 두어, 누구나 편안하고도 평등하게 접근할 수 있는 평생독서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공공도서관, 학교도서관, 기업이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그 밖의 대학 평생교육원, 각종 문화센터, 시민사회의 자발적인 독서동아리와 사이버공간의 독서 모임도 독서교육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 평생독서교육은 사회구성주의 교육 이론을 바탕으로 독서동아리의 형태로 이루어질 때, 개인적 독서에서 벗어나 독서를 통해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고, 지식기반사회가 요구하는 지적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독서동아리의 운영 원리는 ‘자발성’과 ‘즐거운 학습’이란 평생교육의 이상을 존중하고 ‘실천성’과 ‘개방성’을 지켜나가야 한다. Education ideal of Sagadogseo(賜暇讀書) in Chosun Dynasty is linked with idea of lifelong education today. Sagadogseo (賜暇讀書) drawing that King Sejong makes was not tied down on fixed frame of course of study. Education operation process intended self-oriented learning that base on ‘Spontaneity·joyful studying’. However, Sagadogseo (賜暇讀書) was no public of lifelong education that do by idal that is supplied everybody equally by difference of environment age. All life of individual, because escape frame of existing school education in four corners of life and emphasize ``Spontaneity`` and ``Joyful studying``, reading education that can approach everybody comfortably and impartially must consist all life. Public library, school library, corporation act leading role for this, and reading session of cyber space must become subject of reading education with voluntary reading part of other college`s lifelong education circle, various culture centers, civic society. All life reading education can foster communication ability through reading, and secure competitive power of knowledge that knowledge based society requires escaping in private reading when consist of form of reading part with social constructivism. And operation principle of reading part ``Spontaneity`` and ``Joyful studying`` ideal of lifelong education respect and must keep ``Practice`` and ``Openness``. Also, all life reading education must take charge function that can cure injury between reading club constituent each other not that is limited in sacred ground of culture and knowledge. Reading coach, reading specialist, teacher-librarian of present reading education are taking charge. Is guiding reading to all children or take charge reading education in school. Expectation level about reading education by adults` attainments in scholarship level is high. Therefore, in lifelong education period, lead reading part and reading educationist to conduce need to be trained. General observation of graduate course that train lifelong education reading specialist to take charge reading education is expected to examine. Realistic discussion is thought to become another practical groping that can overcome humanistic crisis when consider the recent situation that request of lifelong education increases rapidly in reply.

      • KCI등재

        조선시대 사가독서(賜暇讀書)와 ‘평생독서교육’ 연구

        이국환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0 石堂論叢 Vol.0 No.47

        Education ideal of Sagadogseo(賜暇讀書) in Chosun Dynasty is linked with idea of lifelong education today. Sagadogseo (賜暇讀書) drawing that King Sejong makes was not tied down on fixed frame of course of study. Education operation process intended self-oriented learning that base on ‘Spontaneity․joyful studying’. However, Sagadogseo (賜暇讀書) was no public of lifelong education that do by idal that is supplied everybody equally by difference of environment age. All life of individual, because escape frame of existing school education in four corners of life and emphasize ‘Spontaneity’ and ‘Joyful studying’, reading education that can approach everybody comfortably and impartially must consist all life. Public library, school library, corporation act leading role for this, and reading session of cyber space must become subject of reading education with voluntary reading part of other college's lifelong education circle, various culture centers, civic society. All life reading education can foster communication ability through reading, and secure competitive power of knowledge that knowledge based society requires escaping in private reading when consist of form of reading part with social constructivism. And operation principle of reading part ‘Spontaneity’ and ‘Joyful studying’ ideal of lifelong education respect and must keep ‘Practice’ and ‘Openness’. Also, all life reading education must take charge function that can cure injury between reading club constituent each other not that is limited in sacred ground of culture and knowledge. Reading coach, reading specialist, teacher-librarian of present reading education are taking charge. Is guiding reading to all children or take charge reading education in school. Expectation level about reading education by adults' attainments in scholarship level is high. Therefore, in lifelong education period, lead reading part and reading educationist to conduce need to be trained. General observation of graduate course that train lifelong education reading specialist to take charge reading education is expected to examine. Realistic discussion is thought to become another practical groping that can overcome humanistic crisis when consider the recent situation that request of lifelong education increases rapidly in reply. 조선시대의 사가독서(賜暇讀書)는 그 교육적 의의에 있어 오늘날 평생교육의 이상과 맞닿아 있다. 세종대에 시작된 사가독서 제도는 교육과정의 고정된 틀에 매이지 않았고 운영 과정도 ‘자발성․즐거운 학습’을 바탕으로 한 자기주도학습(self-oriented learning)을 지향하였다. 하지만 사가독서는 시대 환경의 차이로 누구에게나 동등하게 공급되는 것을 이상으로 하는 평생교육의 공공성은 확보할 수 없었다. 이제 주5일 근무시대를 맞아 현대인은 독서에 필요한 3L(Literacy, Leisure, Libraries)의 환경을 갖추었고, 이를 활용해 평생교육 차원에서 독서할 수 있다. 정보사회를 이끌어가는 사람은 기존 지식과 정보를 많이 가진 사람이 아니라, 새로운 정보나 지식을 창출할 수 있는 사람이며, 정보사회의 경쟁력을 갖추는 가장 큰 기반은 바로 전통적인 독서력에 있다. 이제 기존 학교교육의 틀을 벗어나 ‘자발성’과 ‘즐거운 학습’에 중점을 두어, 누구나 편안하고도 평등하게 접근할 수 있는 평생독서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공공도서관, 학교도서관, 기업이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그 밖의 대학 평생교육원, 각종 문화센터, 시민사회의 자발적인 독서동아리와 사이버공간의 독서 모임도 독서교육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 평생독서교육은 사회구성주의 교육 이론을 바탕으로 독서동아리의 형태로 이루어질 때, 개인적 독서에서 벗어나 독서를 통해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고, 지식기반사회가 요구하는 지적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독서동아리의 운영 원리는 ‘자발성’과 ‘즐거운 학습’이란 평생교육의 이상을 존중하고 ‘실천성’과 ‘개방성’을 지켜나가야 한다.

      • KCI등재

        조선시대 사가독서(賜暇讀書)제를 모델로한 대학 독서교육 프로그램의 성과와 과제

        최선경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18 사고와표현 Vol.11 No.1

        This study introduces the case study of the university reading education program developed by applying the book reading system Sagadokseo in the Joseon Dynasty and analyzed the results. Making the most of characteristics of autonomy and self-initiative, this study provides students with an environment in which college students can immerse themselves in reading during the summer vacation, freeing themselves from the burden of assignments and examinations to develop Sagadokseo(sabbatical period system) of Joseon Dynasty, to provide the necessary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ssays submitted by participants after the end of Sagadokseo program, the readers expanded the horizon of thinking through reading and enhancing their experience through various practical activities, and reconstructed the meaning of reading. And this resulted in improving the level of self–reflection and self-understanding of the participants. The survey of participants’ satisfaction showed that participants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program and that they were helped in developing ability of self-directed academic quest, literacy, knowledge convergence, and integrated thinking ability. 이 연구는 조선시대 사가독서제도를 응용한 대학 독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운영 사례를 소개하고 그 성과를 분석한 것이다. 자율성과 자기주도성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시대 사가독서제도를 모델로 하여 설계한 사가독서 프로그램은 과제, 시험 등의 부담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방학 기간 동안 학생들이 몰입하여 독서할 수 있는 독서 환경을 제공해주고, 독서에 필요한 행정적, 경제적 지원을 통해 자율적이고 자기주도적인 독서를 경험하게 한 비교과 독서교육 프로그램이다. 사가독서 프로그램 종료 후 참가자들이 제시한 에세이 분석 결과 사가독서자들은 맵핑 독서를 통해 사고의 지평을 확장하고, 독서와 관련한 다양한 실천적 활동을 통해 경험을 확대하고 독서의 의미를 새롭게 재구성하였으며, 자기 성찰과 자기이해의 수준을 향상시킨 것으로 분석되었다. 프로그램 종료 후 실시한 참여자 만족도 조사를 통해서는 프로그램에 대한 높은 만족도와 함께 자기주도적 학문탐구능력, 문해력, 지식 융합과 통합적 사고력 등 핵심역량 함양에 도움을 받았다고 생각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학술연구 : 성종의 독서론

        이만수 ( Man Soo Lee ) 한국디지틀도서관포럼 2012 디지틀 도서관 Vol.65 No.-

        성종의 독서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많은 양의 책을 읽는 다독 스타일이다. (2)경서(經書), 사서(史書) 등을 읽었다. (3)읽다가 시강관들에게 질문을 던지며 토론하였다. (4)경연 중 입시한 대간들의 직무에 대하여 논하였다. (5)독서를 장려하기 위하여 독서 관련 과목을 선정하였다. (6)독서 규칙을 정하여 상을 주었다. (7)독서모임에는 특별한 혜택을 주어 독서인의 권위를 높였다. (8)독서를 통해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성균관에 존경각을 건립하였다. (9)사학과 종학을 활성화하여 학문에 몰두하게 하였다. (10)성리학과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인재양성을 위해 홍문관을 설립하였다. (11)사가독서제를 부활하여 인재를 선발하고 독서하도록 하였다. (12)독서의 장소로 산사독서를 권장하였다. (13)독서의 장소로 독서당을 건립하여 독서하게 하였다. The Reading of king Sungjong in Yi Dynasty is like these; (1)He had the reading style of reading book a lot. (2)He read the Confucian classics and historical records mainly. (3)He discussed the doubts about them with scholars, Sigangkwan, in his reading books. (4)He talked to Daegan presenting it about their duties while the Royal Lecture. (5)He chose the subjects related to reading for promoting the reading. (6)He gave the awards to good readers according to reading rules. (7)He rewarded good readers for their reading results in reading groups. (8)He constructed the building, Jonkungkak, in Seonggyungwan to foster the competent person. (9)He immersed the scholars in scholarship in revitalizing the history and Jonghak. (10)He established the Hongmunkwan to educate the competent persons in focusing the importance of the Confucianism. (11)He picked out the competent persons and had officers read the Confucian classics through Sagadokseoje, sabbatical period system. (12)He recommended the mountain temple reading as the reading place. (13)He constructed the reading building and had the officers read in it as reading place.

      • KCI등재

        개성 기행문을 통해 본 16세기 정치 개혁과 개성 이미지의 변화

        장지연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22 서울학연구 Vol.- No.86

        This article analyzes the travel essays on Gaeseong in the late fifteenth century by Kim Si-seup, Nam Hyo-on, Sagadokseo(사가독서/賜暇讀書) officials such as Chae Su & Yu Ho-in etc. It focuses on the difference of the context and reinterpre- taion. When these travel essays were written, each of them had different background and intention of travelling. Kim Si-seup’s essay was virtually identical with general expression of his era: being critical on the former dynasty Goryeo and praising the present dynasty Chosun. Sagadokseo officials had luxury trips served by local officials and intended to be seen having historical trips which will be beneficial for governance. They visited the assassined official Jeong Mong-ju’s home, however, they focused on praising the generosity of their dynasty. Kim Si-seup and Sagadokseo officials didn’ t show criticism on their present dynasty. In the contrast to these two groups, Nam Hyo-on’s travel was quite humble without enough resources which was caused by his marginalized political situation. He expressed sharp criticism on not only the present dynasy but also Jeong Mong-ju in his essay. In spite of all these distinctions, they were reinterpreted after Jungjong’s restoration of righteous governance(중종반정/中宗反正). The Sarim(사림/士林) group tried to rebuild the successful reign of King Seongjong and eradicate deep-rooted cal problems which dated back to King Sejo’s regime. In this course, Kim Si-seup, Sagadokseo officials and Nam Hyo-on were regarded as same symbolic figures of King Seongjong’s reign and their travel essays were reinterpreted as manuscripts which present historical lessons in regards to the virtue of loyalty. Sarim took Jeong Mong- ju as an historical example to restore people who suffered from King Sejo’s seizure of power. This caused the change of Gaeseong’s image to a town of loyalty with histori- cal lessons from various competitive images - such as a properous city, beautiful na- ture and so on. This changed image of Gaeseong in sixteenth century has become a fundamental element of its locality. 본 논문은 15세기 후반 개성을 여행하고 기록을 남겨 후대에 많은 영향을 준 김시습, 채수·유호인 등의 사가독서인, 남효온의 여행기를 분석하고 이것이 16 세기 중종대 이후 어떻게 재해석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각각은 여행 당시 처지 가 사뭇 달랐고 여행기의 주 관점도 달랐으나, 16세기 이후에는 같은 맥락에서 관심을 받으며 재출간되었다. 먼저 김시습의 여행은 고려를 비판하고 조선의 건 국을 찬양하는 15세기의 일반적인 감상에 머물러 있었다. 호화로운 사가독서인의 여행 역시 비슷하였는데, 이들은 정몽주의 절의에 주목을 하면서도 결국에는 그 절의를 표창하는 현 왕조에 대한 경배에 촛점을 두었다. 이에 비해 정계에서 소 외된 남효온은 현 왕조는 물론이고 정몽주에 대해서까지 날카롭게 비판하여 앞 의 두 여행과 큰 차별점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중종반정 후 이들은 모두 성종대 의 성대한 정치를 상징하는 인물로 묶이며, 이들의 개성여행은 일률적으로 절의 에 대해 환기하고 역사적 감계를 주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연산군대 폐정의 근원 이 되는 세조대의 역사를 바로 세우려는 기묘사림은 정몽주의 사례를 통해 소릉 을 복위하고 사육신을 복권하려 하였다. 이러한 중종대의 흐름은 개성이 갖고 있 던 번화한 도시, 아름다운 자연 등의 다양한 이미지를 절의의 고장과 역사적 교 훈의 도시로 좁히는 결과를 가져왔으며, 이는 18세기 증폭되어 현재까지 개성 로 컬리티의 핵심을 이루고 있다.

      • KCI등재

        세종조 집현전 학사의 교유 양상 연구 - 진관사 사가독서 참여인을 중심으로 -

        손유경 한국한문고전학회 2018 漢文古典硏究 Vol.37 No.1

        The 15th century was the era during which the Chosen[朝鮮] dynasty developed its cultural capacity through creating Hangul, compiling various books and organizing court music. At the center of these diverse achievements lied King Sejong[世宗] (1397-1450) and Jip-hyun-jeon[集賢殿], the royal academic institute, by whom the super structure of early Chosen such as politics, systems and culture were framed. As Munjong[文宗], the successor of Sejong, died from illness in the 2nd year of reign with young crown prince Danjong[端宗] enthroned, however, Jip-hyun-jeon became the center place of power struggle. This made the precedent studies only highlight the division and differences among Jip-hyun-jeon scholars based on their relationship with Sejo[世祖] reign, resulting in the lack of attention to the early form of exchanges among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companionship of the following 6 Jip-hyun-jeon scholars, all of who participated in Saga-dok-seo[賜暇讀書] (a leave program allowed to young scholars to foster talents and encourage academic study) which took place at Samgak[三角] mountain’s Jinkwan[津寬] temple upon the order of King Sejong in 1942; Park Paeng-nyun(朴彭年; 1417~1456), Lee Gae(李塏; 1417~1456), Sung Sam-moon(成三問; 1418~1456), Ha Weeji(河緯地; 1412~1456), Shin Sook-joo (申叔舟; 1417~1475), Lee Suk-hyung(李石亨; 1415~1477). For an in-depth analysis, the era and figures were limited to the elite group of early Chosen, through whom the political philosophy and ideology of Sejong can be revealed best. From the poems the scholars read to each other staying at Jinkwan and Jangeui(藏義)temples, we can detect their urgency for not being able to take a chance to participate in the real politics while they expressed their gratitude to the King’s grace for the leave. However, as opposed to their worry, after finishing Saga-dok-seo, they ended up monopolizing various national book compilation projects with their outstanding talents, and continued the companionship among them. Considering that, the existing four Yeon-gu(聯句) poems (Yeon-gu poem: a type of poem a number of writers compose together by dividing the stanzas) are noteworthy in that they intensively show the aspiration and writer consciousness of these young 6 scholars as bureaucrat writers. It is not an easy task to discuss their fellowship exchange based on scarce material. Nevertheless, considering that the interaction circumstance of these 6 scholars were relatively clear despite the limited data, we found it necessary to organize it. However, due to the limited space and capability, we couldn’t discuss their public exchanges in depth such as the poet reading with the Chinese envoys and couldn’t describe the poem meetings with the prince Anpyung-daegoon(安平大君) or their relationship with Monk Ilam. We believe the companionship aspect of these 6 scholars will come into view with more dimensions if a further study on these takes place. 15세기는 한글 창제, 각종 서적의 편찬, 예악의 정비 등을 통해 조선이 문화 적 역량을 채워나갔던 시기다. 이러한 다양한 업적의 중심에는 世宗(1397~1450)과 왕실연구기관 集賢殿이 있었으며, 이들에 의해 조선 초 정치⋅제도⋅문화 등의 상부구조가 뼈대를 갖추게 된다. 그러나 세종의 뒤를 이은 文宗이 재위 2년여 만에 병사하고, 나이 어린 세자 端宗이 즉위하면서 집현전은 권력 싸움의 한복판에 놓이게 된다. 이 때문에 선행연구에서는 世祖 정권과의 관계에 따른 집현전 학사들의 분열과 입장 차이가 강조되어 이들의 초기 교유 양상은 주목받지 못했다. 본 논문은 집현전 학사 중에서 1442년 세종의 명으로 삼각산 진관사 賜暇讀書에 참여했던 朴彭年(1417~1456)⋅李塏(1417~1456)⋅成三問(1418~1456)⋅河緯地(1412~1456)⋅申叔舟(1417~1475)⋅李石亨(1415~1477) 6인의 교유 양상을 살피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하였다. 심도 있는 분석을 위해서 시기와 인물은 세종의 정치철학과 이념을 가장 잘 엿볼 수 있는 조선 초 엘리트 집단에 한정하였다. 津寬寺와 藏義寺에 체류하면서 서로 수창한 시에서는 휴가를 내려준 임금의 은혜에 감사하는 마음 한편으로 현실 정치 참여의 기회를 잡지 못하고 있는 것에 대한 조급한 심사가 읽힌다. 그러나 걱정과는 다르게 사가독서를 마친 이후 이들은 뛰어난 실력으로 국가의 각종 편찬사업을 독식하면서 교유를 이어나가 게 된다. 그러한 면에서 현전하는 네 편의 聯句詩는 젊은 학자 여섯 명의 관료 문인으로서의 포부와 작가의식을 집약적으로 볼 수 있어 주목할 만하다. 많지 않은 자료를 근거로 하여 교유양상을 논하는 것은 쉬운 작업이 아니다. 다만 자료적 한계 속에서도 이들 6인 간의 교유 정황은 비교적 선명하게 남아 있어 이를 정리하는 것 역시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다만 편폭의 제한과 능력의 부족으로 중국 사신과의 수창 등 공적인 사귐에 대해 깊이 있게 다루지 못하였고, 安平大君과의 시모임 양상이나 一庵 스님과의 인연에 대해서도 서술하지 못했다. 이에 대해서 추후 연구가 진행된다면 이들의 교유양상이 좀 더 입체적으로 드러날 것이라고 생각한다.

      • 東湖讀書堂의 공간 및 기능 분석을 통한 건축적 성격 연구

        김완(Kim Wan),한동수(Han Dong-soo) 대한건축학회 2011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31 No.2(계획계)

        ‘Dongho Dokseodang(東湖讀書堂)’ is important because it has the characteristic of the former part of the Choseon Dynasty. And it is a special case that literature and pictures both remain. With this historical records, we reproduced the architectural space of the past and analysed it. Based on this, we compared ‘Dongho Dokseodang’ with other types, and supposed that it was influenced by not only Hyanggyo’ but also ‘Gaeksa’. ‘Ondol’ and floor was in one building, but yet the ratio of ‘ondol’ was low. A fire place was not a independent room, yet. This could help to understand the flow of the architectural change between the Koryo Dynasty and the late of Chosun Dynasty.

      • KCI등재

        儒臣 홍이상의 학업과 관직 생활

        원창애 열상고전연구회 2014 열상고전연구 Vol.42 No.-

        洪履祥은 선조․광해군대 활동한 문관 관료이다. 그의 본관은 풍산이며, 초명 은 洪麟祥이다. 1573년(선조 3) 생원시에 합격하고, 1579년(선조 12) 문과 장 원으로 관직에 진출하여 대사헌까지 지냈다. 그는 서경덕의 제자인 민순의 문하에 서 공부하면서 의리를 깊이 연구하였고, 성균생원이 되어서는 교우들과 함께 성 리대전․심경과 같은 성리서를 강독하는 등 학문에 열의를 쏟았다. 經學으로 이름이 난 홍이상은 문과에 급제한지 1년 만에 사가독서를 받고, 홍문록에 올랐 다. 그는 특히 참상 청요직과 당상관을 거치는 동안 경연관으로서 활약이 컸다. 선조는 그를 최고의 講官이라고 인정했을 정도이다. 또한 홍이상은 조선 건국 후 에 門地가 약해져 가는 풍산홍씨 가문 출신으로 조선 후기 풍산홍씨 가문이 관료 가문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입지전적 인물이다. 본고에서는 홍이상이 관직에 나가기 전의 학업과 관직 생활를 통해서 그의 어떠 한 면들이 가문을 일으킬 수 있는 동력이 되었는지 살펴보았다. 홍이상은 12세 때 서울로 유학을 와서 승보시를 통해 성균관에 기재되었다. 그는 학교 교육이나 科 業에만 힘쓰는 유생은 아니었다. 20세 때에 민순을 찾아가 성리학을 깊이 연구하 였다. 배운 바의 실천을 중히 여긴 유생 홍이상은 성균관의 잘못된 관습인 성균관 유생 좌차 문제를 개혁하는 데에 앞장섰다. 그는 문과 급제 후 육조․홍문관․사헌부․성균관․의정부․사간원․사복시․ 사재감 등을 두루 거쳐서 12년 만에 당상관으로 승진하였다. 그의 승진은 당시 능 력 있고, 門地가 높은 관원의 승진과 비교할 때 결코 늦지 않았다. 당상관에 진출해 서 약 23년간 재직하였다. 홍이상이 관직 생활을 하는 동안 지켰던 소신은 ‘公明’과 ‘誠’이었다. 그가 ‘공명’을 추구했기에 학연이나 당파에 관심을 두지 않았다. 그는 사간으로 서 정여립의 난 당시의 처신, 당상관이 된 이후 임진왜란 발발 후 파천의 책임론 공방 그리고 기축옥사에 대한 성혼의 처벌론 등이 거론될 때 正道에 근거한 公明 만을 염두에 두고 간쟁하였다. 그가 역임한 관직을 볼 때, 실무형 관료는 아니지만 외관직에 나가서도 성실하게 직임에 임하였다. 그의 소신은 사적인 생활에서도 드러난다. 출사 이후 그는 사사로운 교유관계가 많지 않았다. 16세기에는 서울에 지식인들의 모임이 많았고, 관원의 계회도 성행 했다. 그럼에도 그가 주도한 계회는 과거 시험을 매개하거나, 노모를 위한 계회 정도였다. 그가 참석했던 모임 중 사사로운 성격을 띤 것은 新橋 모임이다. 그가 신교에 살았기에 이웃과 함께 하는 신교 모임에는 가끔 참석하였던 것으로 보인 다. 사적인 생활에서도 修身에 힘쓰는 성실한 삶의 태도는 형제들과 자손들에게 모범이 되었다. 그의 동생들도 생원진사시와 문과로 관직에 진출하였고, 그의 아 들 여섯 명 중 네 명이 문과에 급제하였다. 그가 닦은 기반 위에 후손들의 지속적 인 관직 진출로 가문의 門地가 높아져서 조선 후기 명문 관료 가문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 Mr. Isang Hong was a high scholar official who served his careers during the reigns from King Sun-jo to Kwang-hae-gun. His clan was from Pung-san Hong family. When he was young he was called In-sang Hong. He passed the first stage examination of Saeng-won in A. D. 1573(the 3rd year of the Sun-jo reign), won the first place of the list in the final official examination of Moon-kwa. He was finally in honour to be appointed at the topmost position, Tae-sa-heon, of Office of the Inspector-General. He began to learn, at the age of 20, Mind and Law under the supervision of Min-soon who was a disciple of the famous scholar, Kyong-duck Seo(The school of Hwadam). Becoming a student of National Confucian School, Sungkyun-kwan, he was eager to master typical books of Neo-confucianism with his friends such as ‘Comprehensive Compilations of Mind and Law’ and ‘Scriptures on Mind’. He was renowned for his understanding on Confucian Classics. He was given, with honour, a Leave for Reading, a year after the final official examination, Moon-kwa, and was also listed in the Roster of Hong-moon-rock. King Sun-jo acknowledged that he was the best scholar around the time as he attended the seats regularly for teaching the King(Gyeongyeon-gwan). His ancestors were outstanding in the initial period of Chosun dynasty and then gradually faded out as much as other families. He was evaluated as a person who set up to reconstruct his family again in late Chosun dynasty. He came over to Seoul to study at the age of twelve. After he passed the Seung-po examination, he became a student of Seong-kyun-kwan. He was not satisfied with the routine course work at that time to be an official. He began to look for a new teacher to pursue some fundamental Neoconfucian ideas. He met a master, Soon Min, when he was twenty years old. He was not usual to aim at passing official examinations, but rather inclined to learn about the Essences of Conduct of the Neo-confucian Ideology. He also initiated a reform in Student Order of Seong-kyoon-kwan. He served so many low official positions as in six Ministries, Hong-moon-kwan, Sa-heon-pu, Seong-kyoon-kwan, Ui-jeong-pu, Sa-kan-won, Sa-pok-si, Sa-jaekam, and others, after he passed Moon-Kwa. It took twelve years that he was promoted to a High Official Rank, Tang-sang-kwan, after Moon-kwa. His advancement was relatively not to be late, when compared with good background persons at the time. Twenty three years witnessed his moto, ‘Fairness’ and ‘Sincerity’, as Tangsang- kwan careers. He did hardly pay attentions to belong to any party member nor a school lineage at all. He took his duty as a critic to dispute the matters with Fairness, when there happened historical disastrous events : when it was reported the rebellion trial by Yo-rip Chung, when they quarrelled over who was responsible to ask the King to flee to China around the Japanese invasion in 1592, and when they debated about the punishment of Mr. Hon Sung who instigated the treason in 1589 in which over a thousand of persons got harmed. He was not a practical bureaucrat if the positions which he seated were considered, but he was also assigned to a position outside the central administration body. Although it was common, among literati in 16th century, to join in gatherings in a private mode to support each other, he was unusual in setting up a few private bonding with others. To count, he joined in such a group as the official examination passers and the filial meeting supporting old mothers faithfully. He seemed occasionally to take part in a private gathering of Sinkyo villagers in which he lived in. His strict life style as a Confucian scholar was a model for his siblings and offsprings so that his younger brothers became officials after passing the national examinations and his four sons out of six passed the final stage examinations of Moon-kwa. The succeeding appointments of his family members to an official position elevated his family renowned again in late Chosun dynasty.

      • KCI등재

        죽애<SUB>竹崖</SUB> 임열<SUB>任說</SUB>의 백운시<SUB>百韻詩</SUB> 고찰 ― 시간의 재구성과 대상에 따른 표현 방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이연순(李演淳) 한국국학진흥원 2020 국학연구 Vol.0 No.43

        본고는 죽애 임열의 백운시 한 편을 발굴하여 그 문학적 특징을 고찰하고 의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죽애 임열은 16세기 중반 중종조에서 사가독서하며 당대 쟁쟁한 문인들과 교유한 인물로, 문학에 안목과 성취가 있었으나 문집이 남아 있지 않아 그 생애와 문학의 일면만이 알려져 있는 형편이다. 특히 현재 습유한 작품 가운데 문학사적 의의가 크리라 예상되는 백운시 「송임학사사수통판회산(용두공부운)送林學士士遂通判會山(用杜工部韻)」 작품에 대해 본격적으로 다룰 필요성이 요구된다. 죽애의 백운시는 회령판관으로 떠나는 임형수를 전별하는 자리에서 지어졌고, 그때 참석한 문인들의 시는 임형수의 문집 『금호유고錦湖遺稿』의 부록 「제현수창諸賢酬唱」에 대부분 수록되어 있다. 그러나 죽애의 시는 『금호유고』 부록에 들어 있지 않고 문중에 소장되어 있어 일반에서 쉽게 접근하지 못한 채, 연구도 이루어지지 못한 형편이다. 이에 본고에서 죽애 백운시의 창작 배경을 살핀 후, 죽애 백운시의 문학적 특징에 대해 시간이 재구성되어 있는 점과 대상에 따른 표현 방식이 변화하는 점에서 살펴본 결과, 그 당대적 의의와 함께 후대에 끼친 영향 관계까지 추출할 수 있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book is to discover a poem with a hundred rhymes written by Im Yeol of Jukae and examine its literary features and reveal its significance. In response, I first looked at the background of the creation of the poem with a hundred rhymes of Jukae and noted the poem with a hundred rhymes of Du Bo, a Tang Dynasty poet who influenced the poem with a hundred rhymes of Jukae. I also noted the writers of Jukae’s friendship.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reveal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 16<SUP>th</SUP> century poem with a hundred rhymes, which has been seen as a vacuum in the creation of the poem with a hundred rhymes, by looking at the poem with a hundred rhymes of Jukae created in the middle of the 16<SUP>th</SUP> century. Specifically, I looked at the literary features of the poem with a hundred rhymes of Jukae. So I found that the poem with a hundred rhymes of Jukae, as a whole, takes the reconstruction of time as a whole and recites it in an epic way, as in the present-the past-the present-the future. So I found a feature where the poem with a hundred rhymes of Jukae showed a partial change in the way that expressed the space of parting and the subject of parting. And I was able to extract the contemporary significance of the poem with a hundred rhymes of Jukae as well as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on later gener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