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판지정학과 지리학적 지정학의 비교 연구

        이대희 ( Daehee Lee ) 대한정치학회 2021 大韓政治學會報 Vol.29 No.1

        2차 세계대전 후에 나치의 학문으로 규정되어서 학술계에서 퇴출된 지정학을 1980년대에 부활시킨 주역은 영어권의 비판지정학과 프랑스의 지리학적 지정학이다. 두지 정학은 서로 학술적인 교류가 없었기 때문에 여러 면에서 당연하게 차이점을 보이고 있지만 또한 흥미롭게도 유사성도 발견할 수 있다. 이 논문은 두 지정학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규명함으로써 두 지정학이 정치학에 주는 시사점을 밝히고자 한다. 우선 두 지정학은 소위 전통지정학을 비판하는데 그 바탕에는 후기구조주의와 탈근대론의 영향을 받은 지리와 공간에 대한 관계적이고 비본질적인 인식이 자리 잡고 있다. 또한 두 지정학에는 고유한 이론이 부재하고 오히려 각각 담론분석과 지리학적 논리라는 방법론으로 차별화된다. 비판지정학이 국제정치 영역의 지정학적 담론을 주요한 연구주제로 삼고 있는 반면에 지리학적 지정학은 국내외를 초월해서 지정학적 갈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비판지정학과 지리학적 지정학은 지리학과 국제정치학에 지정학 연구의 새로운 방법과 영역을 제시하고 정치학에 지리적 공간을 재성찰할 것을 요청하고 있다. Critical geopolitics in Anglosphere and French geographical geopolitics played a major role in the 1980s in the resurrection of the geopolitics dismissed out of the academic world from the second world war because it was accused as Nazi science. The absence of academic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geopolitics led to a differentiation in many features but they interestingly have several features in common. This paper aims to show some features of similarity and difference between them so as to find some implications to the politics. The two geopolitics criticize so-called classical geopolitics on the basis of relational and anti-essentialist perspective on the geographical space, affected by post-structualism and post-modernism. They are not theory-based disciplines but analysis approaches or methodologies. While critical geopolitics focuses on geopolitical discourses in the international relations, geographical geopolitics focuses on multi-dimensional geopolitical conflicts. The two geopolitics provide geography and international relations with new scope and analysis method to geopolitical study and ask the politics to reflect on the geographical space.

      • KCI등재후보

        지정학의 재발견과 비판적 재구성: 비판지정학

        지상현,콜린 플린트 한국공간환경학회 2009 공간과 사회 Vol.31 No.-

        This paper investigates critical geopolitics, one of the most prominent approaches in geopolitics since the 1980s. A group of political geographers, most prominently Gearóid Ó Tuathail, were influenced by postmodernism and reconstructed geopolitics with a critical perspective by problematizing the political neutrality of so called ‘classical geopolitics’. They defined geopolitics as a cultural phenomenon and investigated how diverse geopolitical agents strategically used geopolitical representations at multiple scales of space beyond a state-centric description of geopolitics. Critical geopolitical scholars have exposed the assumptions and political intentions of classical geopolitics and foreign policy by deconstructing discourses. Critical geopolitics is evaluated as a new research paradigm for geopolitics to overcome its tainted historical ties to imperialism. However, critical geopolitics has been challenged by feminist perspectives that argue it failed to overcome a patriarchal and western-centric world view and that critical geography scholars ignore the politics of everyday life and economic factors. Critical geopolitics has evolved by absorbing these critics. The paper concludes by suggesting that critical geopolitics may be a useful perspective to explore Korean geopolitics. 본 논문은 1980년대 이후의 지정학 연구에서 중요한 흐름을 차지하는 비판지 정학에 대한 검토를 주 내용으로 한다. 포스트모더니즘에 영향을 받은 Ó Tuathail 과 일단의 정치지리학자들은 고전지정학의 정치적 중립성과 연구방법에 대한 문 제 제기를 통해 지정학을 비판적 시각으로 재구성했다. 이들은 지정학을 문화적 현상으로 규정하고 국가 중심의 지정학 기술에서 벗어나 다양한 지정학 주체가 다층위의 공간 속에서 어떻게 지정학을 전략적으로 이용했는지 분석했다. 비판지 정학자들은 담론 분석을 통해 고전지정학 이론과 현대 외교정책을 비판적으로 연 구했으며 제국주의로 얼룩진 과거를 극복하고 지정학의 새로운 연구의 장을 열었 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페미니즘 학계로부터 가부장적·서구 중심적 세계 관을 극복하지 못했다는, 비판지리학 그룹으로부터는 지정학의 경제적 요인을 간 과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 KCI우수등재

        1970년대 이란의 핵 개발 동인: 비판 지정학을 중심으로

        박장호(Jangho Park),김은비(Eunbee Kim) 한국국제정치학회 2020 國際政治論叢 Vol.60 No.4

        이란이 왜 핵을 개발하였는가에 대한 연구는 주변국의 안보 위협에 의한 것, 혹은 국내 정치적 다이나믹에 의한 것이라는 설명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1970년대 이란의 국내외적 상황은 그러한 설명에 오류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비판적 지정학’의 관점에서 1970년대 이란의 핵 개발 원인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기존 강대국 중심의 전통적 지정학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지정학적 상상력을 중시하는 ‘비판적 지정학’은, 각 국가는 ‘지정학 코드(Geopolitical Code)’와 ‘지정학 비전(Geopolitical Vision)’을 통해 국가의 지정학적 이익을 만들어낸다는 것을 그 핵심으로 한다. 이란은 국제적 수준에서는 미국과의 협력을 이룬 한편, 지역적, 국지적 수준에서는 지역 패권을 노리는 국가들을 잠재적 적으로 돌리며 이익을 최대화 하려는 지정학 코드를 가지고 있었다. 이는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으로 정당화되면서 핵 개발을 위한 동인이 되었던 것이다. 한편, 이란 국민들은 외세로부터의 자주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지정학 비전을 갖고 있었으며 이는 외세 트라우마의 극복과 석유자원의 공정한 분배, 수자원에 대한 생존권 보장이라는 측면에서 강화되었다. 국제적 수준에서의 지정학 코드는 이란 국민이 가졌던 지정학 비전과 충돌을 일으켜 1979년 이슬람 혁명으로 이어지면서 핵 개발에 대한 동력을 감소시켰으나 국지적, 지역적 수준에서의 이란의 지정학 코드와 비전은 이란이 자주적으로 자원안보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핵을 개발해야 한다는 정당성을 제공해주었다. 핵 개발 동인 연구는 지정학적 경쟁의 중심에서 북한 핵 위협을 안고 사는 우리에게 주는 의의가 크다. 이란의 핵 개발에 대한 비판 지정학적 접근은 핵 개발의 본질적인 동인을 입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비핵화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해줄 수 있다는데 가치가 있다. The literature on why Iran developed nuclear weapons mainly has focused on security threats from neighboring countries or domestic political dynamics. But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situation in Iran in the 1970s shows that there are limitations in such an explanation. In response,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auses of Iran’s nuclear development in the 1970s from the perspective of “Critical Geopolitics.” Critically looking at traditional geopolitics centered on existing superpowers and placing importance on geopolitical imagination, “Critical Geopolitics” is considered as a tool for each country’s creation of geopolitical interests through “Geopolitical Code” and “Geopolitical Vision.” Iran had a Geopolitical Code to maximize profits by turning countries seeking regional hegemony into potential enemies at the regional and local levels, while achieving cooperation with the United States at the international level. This was justified by the “peaceful use of nuclear power” and became the driving force for nuclear development. Meanwhile, the Iranian people had a Geopolitical Vision to secure independence from foreign powers, which was strengthened in terms of overcoming foreign forces trauma, fair distribution of oil resources, and ensuring the right to survive in water resources. Geopolitical Codes at the international level clashed with the Geopolitics Vision the Iranian people had, leading to the 1979 Islamic Revolution, but Iran’s Geopolitical Code and Vision at the local and regional levels gave Iran justification for developing nuclear weapons in order to establish resource security independently. The research on nuclear development is very meaningful to us since we have never been out of geopolitical competition and are living under the threat of North Korea’s nuclear threat. Therefore, this relatively new approach to the causes of nuclear development provides a clue for denuclearization by analyzing the essential drivers of nuclear development.

      • KCI등재

        반일의 비판지정학 : 유니클로 광고 사태와 불매운동

        박윤하 한국공간환경학회 2021 공간과 사회 Vol.31 No.3

        이 논문은 비판지정학에 대한 논의를 기반으로 ‘위안부 모독’ 의혹을 불러일으킨 유니클로 광고를 둘러싼 사회적 논란에 대한 고찰을 통해 한국사회에서 일본에 대한 특정한 담론과 실천이 어떻게 발전하였는지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유니클로 광고를 둘러싼 논란이 발생한 사회적·지정학적 맥락을 살펴보고, 유니클로 광고가 생산한 담론이 불매운동, 시위 등 다양한 사회적 실천으로 확장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아래로부터 나타난 지정·지경학적 담론과 실천이 대항 담론 및 실천과 경합하고, 사회의 다른 갈등 지형과 접목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이 연구에서는 민족주의를 국가의 기획으로 단순화하는 접근을 비판하고, 비정부 주체인 기업이 광고를 통해 국가 간 갈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유의미한 지정학적 행위자임을 강조하였다. 또한 기존의 비판지정학이 텍스트 해석에 초점을 둔 것에 대해 비판을 받았던 것에 반해, 이 연구에서는 담론의 생산, 다양한 실천으로의 확장, 그리고 정치적 경합 등의 역동적인 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해 비판지정학 연구의 지평을 넓히는 데에도 일조하였다. Based upon the discussions of critical geopolitics, we explore how particular discourses and practices on Japan emerged and developed in South Korea through social issues sparked by the Japanese clothing brand Uniqlo’s controversial commercial that was accused of mocking South Korea’s victims under Japan’s colonial rule. Specifically, we examine the social and geopolitical context in which the controversies around the Uniqlo commercial erupted and how the discourses caused by this ad evolved into various social practices such as boycotts and protests. In addition, we investigate how bottom-up geopolitical and geoeconomic discourses and practices intensely contested counter-discourses and practices and were grafted onto another social conflict. Through this analysis, we criticize the approach to naturalize nationalism as a tool for strengthening state legitimacy and note private companies (non-state actors) as a significant geopolitical player who can bear on inter-state conflict. While existing critical geopolitical approaches have been criticized for textualism, we expect that our analysis can enrich critical geopolitics through shedding light on dynamic processes of production of discourses, expansion into various practices and political contestations.

      • KCI등재

        한국사회의 통일론과 신지정학적 인식

        이상근(Sangkeun Lee)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16 동서연구 Vol.28 No.3

        Unification theories inevitably reflect geopolitical thoughts. They take affinity with either traditional or new geopolitical thought depending on the type of unification the theory pursues. The new geopolitical thought criticizes state and territory-oriented geopolitics and analyzes the power that operates across multiple layers of space among various individuals and groups. Following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unification theories of the Korean government have been in line with the traditional geopolitical thoughts that stress recovery of territory, increase of national strength, competition, and confrontation. Meanwhile, as the government attempted to monopolize unification discussions, there was little opportunity for private unification theories to be discussed publicly. Since the 2000s, however, the civil society in South Korea has suggested new unification theories. Some were influenced by the traditional geopolitics though most of them reflect new geopolitical thoughts. Advocates of the new geopolitical unification theories do not regard North Korea as a geopolitical competitor, and argue that the unification should be centered on the people rather than the State, thereby benefiting the citizens. Moreover, they oppose excessive emphasis on nationalism and underline the idea of creating an economic and social community that respects both individual and collective diversities instead of building a homogeneous nation state. 영토의 경계를 넘어선 통합을 다루는 통일론은 지정학적 인식을 반영할 수밖에 없다. 통일론은 어떤 통일을 지향하는지에 따라 전통적 지정학과 신지정학 중 어느 한편과 친화성을 갖는다. 신지정학은 국가와 영토 중심의 지정학을 비판하며, 다양한 개인들과 집단들 사이에서 여러 층위의 공간을 넘나들면서 작동하고 있는 권력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는다. 분단 이후 한국 정부의 통일론들은 영토 회복, 국력 신장, 경쟁, 대결 등을 중시하는 전통적 지정학과 궤를 같이 하였다. 한편, 통일논의를 정부가 독점하려 하였으므로 민간의 통일론들은 공식적으로 논의될 기회가 적었다. 2000년대 이후 남한의 시민사회에서는 새로운 통일론들이 제시되고 있다. 전통적 지정학의 영향을 받은 통일론도 있지만 대다수 통일론들이 신지정학적 사고를 반영하고 있다. 이 통일론 들은 북한을 지정학적 경쟁자로 인식하지 않으며, 국가가 아닌 시민이 중심이 되어 이들에게 이익이 되는 통일을 이루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 민족주의를 지나치게 강조하는 것을 반대하며 단일한 민족국가를 건설하는 것보다 집단과 개인의 다양성이 존중되는 경제적, 사회적 공동체를 구성하는 것을 중시한다.

      • KCI등재

        한반도의 지정학적 구조 분석과 국가전략: 비판지정학을 중심으로

        문인혁 (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15 전략연구 Vol.66 No.-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critical analyses focusing on Korea in the perspectiv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tronger and weaker nations as well as on the classical geopolitical structure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critical theory of the resulting search for national strategy by Korea. An analysis on the international political structure based on realism or neorealism recognizes Korea as a weaker nation or one that seeks its national strategy as a balancer caught on between regional hegemons. As a result, a negative conclusion was made about whether Korea, the relatively weaker nation, would be able to achieve its national interests. Outstanding research on the structural analysis of the Korean Peninsula’s geopolitics and the Sino-american stand off, as well as the classical geopolitical approach to the conflict between continental power and maritime powers, as the buffer zone of the conflict between the outward expansion of inland and coastal Eurasian powers and maritime powers. Korea searches for a national strategy as the central balancer of stronger nations in the new multilateral cooperation within the region. However, a re-evaluation of whether China acknowledges itself as a rising continental power or global hegemon is needed and it is understood that China’s national development strategy no longer follows an ideology driver route but a more practical diplomatic approach that reaches out to partners from all sorts of backgrounds. This approach sought by China, via a critical geopolitical review, is compared to the Roh Tae-woo Administration’s “Nord politik”, and thus seeks to offer a national strategy for Korea appropriate for the economic and political situation both inside and outside the region. 본 연구는 강대국과 약소국의 관계성을 바탕으로 한 역내체제 분석과 고전지정학적인 한반도의 지정학 구조 분석을 기반으로 하였던 한국의 국가전략 모색에 대한 비판을 모티브로 한다. 국제정치구조에 대한 현실주의 또는 신현실주의적 분석은 한국을 약소국으로, 혹은 역내 패권국 사이의 균형자로서의 인식을 전제로 국가전략을 모색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는 ‘상대적 약소국인 한국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국가이익을 획득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회의적 결과로 귀결되었다고 판단된다. 한반도의 지정학적 구조 분석에 대한 기존 연구 또한 고전지정학적 접근을 바탕으로 한 대륙세력과 해양세력의 충돌, 유라시아 내부세력의 외부 진출에 입각한 접근과 유라시아 동단의 한반도가 지니고 있는 대륙과 해양세력 사이의 완충지대로서 인식하였으며, 역내 신 다자협력체 구성의 중심체 역할을 통한 강대국 사이의 균형자적 국가전략을 모색하였다. 하지만 중국이 대륙세력 또는 세계제국으로서의 부상에 대한 인식을 지니고 있는가에 대한 부분은 재판단할 필요가 있으며, 중국의 국가발전 전략은 근본적으로 진영외교를 벗어난 다층화된 양자관계 확대를 바탕으로 하는 실리외교로서 해석된다. 이러한 중국의 국가전략에 대하여 공간과 정치의 관계성에 대한 다양한 영향요소를 로컬적 특성을 변화시키기 위한 전략차원에서 모색하는 비판지정학적 접근을 바탕으로 노태우 정권의 북방정책과 비교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역내·외 정치·경제 상황에서 모색할 수 있는 한국의 국가전략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일대일로’에 대한 비판지정학적 고찰에 관한 연구 :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NT)을 중심으로

        김세윤(Kim, Se Yoon)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0 한국과 국제사회 Vol.4 No.2

        ‘투키디데스 함정’(Thucydides Trap)과 ‘중진국 함정’(Middle income Trap)이라는 두 개의 수렁 앞에 직면한 중국은 이를 돌파하기 위해 지정학에 기반한 전략인 ‘일대일로’를 내놓았다. 이에 대해 국제사회는 전통적 실크로드의 협력 공간이 확대 및 심화됨에 따라 이에 새롭게 부여된 시대성·선진성·개척성 등에 기대를 하면서 동시에 지정학적 긴장 야기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본 연구는 일대일로가 중국의 국가대외전략 변화의 맥락 속에서 어떻게 등장하고 변화하였는지를 살펴보았고, 전통적 지정학 및 지경학, 비판지정학의 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전통적 지정학이 가지는 영토주의, 국가주의의 근원적 한계로 인한 일대일로에 대한 이분법적 관점에 대해 비판지정학이 강조해온 탈영토 및 탈국가성에 주목하여 살펴보는 동시에, 최근 사회학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역에서 연구되는 있는 행위자-네트워크이론(ANT)의 개념을 다룬다. 인간과 비인간(자연) 행위자 사이에서 상호작용을 다루는 행위자-네트워크이론에 따라 일대일로는 교량, 댐 등을 도로, 철도 등의 ‘선’으로 연결하는 ‘일대일로 1.0 버전’과 중국 중심의 유라시아 경제블록인 ‘면’으로 확장 연결하는 ‘일대일로 2.0 버전’을 뛰어넘어 4차산업혁명 시대의 핵심기술들이 ‘입체’적으로 상호 교차·연계될 기술표준으로 확장 연결되는 ‘일대일로 3.0 버전’으로 진화할 것을 제안한다. 이로써 일대일로는 지정학적 갈등과 충돌의 위험을 줄이면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첨단기술 패권 선점을 위한 선의의 경쟁과 인류기술의 비약적 발전을 위한 진보된 플랫폼으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된다. China which faced with Thucydides Trap and Middle Incoming Trap has presented One belt, one road strategy based on geopolitics to break through these. In response,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expecting a newly added era, advancement, and reform as the cooperation space on traditional Silk Road is expanded and deepened, while others are concerned about the possibility of geopolitical tensions. This study looked at how One belt, one road emerged and changed in the context of changes in China s national external strategy, and analyzed based on the theories of traditional geopolitics, geoeconomics and critical geopolitics. Meanwhile, with regard to dichotomic perspective to One belt, one road due to the fundamental limitations of nationalism the territorialism of traditional geopolitics, take note of the desertionism and denationalism that have been emphasized by critical geopolitics, at the same time, it deals with the concept of actor-network theory (ANT) that has recently been studied in various areas as well as sociology. According to the Actor-Network Theory (ANT), which deals with interactions between humans and non-human (nature) actors, it suggests that ‘One belt, one road’ will evolve into One belt, one road version 3.0 that could be expanded to technical standards that will be interconnected in three dimensions core technologie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is is expected to reduce the risk of geopolitical conflicts, while shifting One belt, one road to an advanced platform for good-will competition to preempt high-tech hegemony and the rapid development of human technology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KCI우수등재

        Evaluating Geopolitical Impact through the Concept of Social Performance :The Case of a Mormon General Conference

        Ethan Yorgason(이튼 요거슨) 대한지리학회 2010 대한지리학회지 Vol.45 No.5

        종교 지정학은 그 영향이나 효과 보다는 내용을 확인하고 분석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고 비판을 받는다. 본 논문은 종교 지정학의 영향을 신중하게 고려하기 위하여 사회적 수행의 개념을 사용하는 측면들을 제안한다. Judith Butler의 정체성 지향적인 수행성의 개념은 주로 지리학자들이 수행의 문제에 접근하기 위한 시작점이 된다. 그러나 정체성 지향적인 수행성의 개념은 인간의 자율적인 행위 수행(agency)을 매우 불신함으로써 후기구조주의의 기본적인 믿음에 대한 의문을 제시하는 연구자들에게 그 개념의 영향력은 제한적이다. 본 논문은 종교 지정학적 행위의 영향을 평가하는데 수행의 다른 이론의-문화 사회학자인 Jeffrey Alexander에 의한 사회적 수행의 최근의 실용적, 연극론적, 비후기구조주의 이론화-부가적인 유용성을 최근의 지정학적인 몰몬교 연차대회를 사례로 실증한다. 본 연구는 Butler와 Alexander를 통해서 몰몬교 연차대회는 유의미한 지정학적 성취를 이루었다고 결론짓는다. 그러나 본 연구는 주로 Alexander를 통해서 이러한 지정학적 성취는 새롭거나 추가적인 지정학적 행위를 유발시키는데 제한된 역할을 했다는 것을 논의한다. 이러한 지정학적 성취의 영향력은 변환시키기 보다는 강화시키는 것이었다. Critical scholarship has shown itself much more adept at identifying and analyzing the content of religious geopolitics than its impacts or effects. This article suggests ways in which the concept of social performance can be used to more carefully consider the effects of religious geopolitics. Judith Butler’s identity-oriented notion of performativity is usually geographers’ point of entry into issues of performance. But its strong poststructuralist distrust of agency limits its power among those who question poststructuralism’s grounding beliefs. This article illustrates the added utility of other theories of performance―particularly the recent pragmatic, dramaturgical, and nonpoststructuralist theorization of social performance by the cultural sociologist Jeffrey Alexander―in evaluating the impact of religious geopolitical action. It does so through the case of a recent, particularly geopolitically laden Mormon General Conference. It concludes, through Butler and Alexander, that this General Conference likely accomplished significant geopolitical work. But it also, mainly through Alexander, argues that this work likely had limited capacity to motivate new or additional geopolitical action. Its power was more to reinforce than transform.

      • KCI등재

        반도의 숙명: 환경결정론적 지정학에 대한 비판적 검증

        지상현 국토지리학회 2013 국토지리학회지 Vol.47 No.3

        반도(半島, peninsular)의 사전적 정의는 주위가 거의 바다로 둘러싸인 육지의 돌출부를 말한다. 그러나 반도의 지정학적 해석은 단순한 육지와 해양의 분포와 배치를 넘어서게 된다. 국가의 위치가 국가의 운명을 결정한다는 환경(지리)결정론적 지정학은 지정학의 초기 발달단계부터 지정학의 주요한 특징 중 하나였으나, 제 2차대전 이후 논리적 비약과 과학적 근거가 미약하다는 비판을 받았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지정학적 담론 중 하나인 이른바 ‘반도의 숙명’은 이러한 환경결정론적 지정학의 연장선상에 있다. 즉, 한반도의 위치적 특성 때문에 우리 민족은 끊임없는 침략에 시달려 왔으며, 우리의 운명은 외부 세력의 팽창과 수축에 달려 있다는 논리가 반도의 숙명론의 핵심적인 주장이다. 본 논문에서는 반도에 위치한 국가가 그렇지 않은 국가에 비해 대륙세력과 해양세력에 의해 더 빈번한 침략을 받았는가를 실증적 자료를 통해 검증하였다. 나폴레옹 전쟁 이후의 국제 전쟁을 분석한 연구의 결과는 반도에 위치한 국가가 침략에 노출되어 있다는 반도의 숙명론은 근거가 미약한 것임을 보여준다. The definition of a peninsular is a piece of land that projects into a body of water. The geopolitical interpretation of peninsular, however, does not simply mention the location of land and ocean. A geographically deterministic geopolitics that argues the destiny of a state is determined by where the state is located has been a mainstream in the discipline of geopolitics. The geographically deterministic geopolitics has been severely criticized since it was built on logical jumps and weak scientific evidences. The so-called ‘destiny of peninsular’ that is the pivotal discourse in Korean geopolitics, however, shows the strong legacy of the geographically deterministic geopolitics. The key thesis of the destiny of peninsular is Korea has been frequently invaded because of the location of Korean Peninsula. Thus, the argument developed into the statement that the destiny of Korea is determined by the rise and falls of land and sea power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states located in peninsulas are more likely to be invaded by land and sea powers. Using data that include wars after Napoleonic war, this study shows that the destiny of peninsular receives little support from quantitative evidences.

      • KCI등재

        갈등과 협력의 동북아 지정학 - 동향과 과제 -

        지상현 국토지리학회 2016 국토지리학회지 Vol.50 No.3

        Despite the political and economic growth of East Asian countries, competition and conflicts have been continued in the region. However, even in such a situation, the level of economic dependency and cultural exchange between states in East Asia has been increasing. This irony is well represented in the expression “exchange without cooperation”. This paper is a part of project to have a critical look on the history of cooperation in East Asia and the research dealing with this irony. It also explores the possibilities for the new research trends of geopolitics for peace. Geopolitics of East Asia shows the dominance of political realism, desire and frustration of multilateral cooperation, and excessive emphasis on classical geopolitics. Recent studies, however, suggest the reconstruction of geopolitics beyond the competition between states by emphasizing the projects to overcome the territoriality in East Asian states, the political intention of the construction of East Asia, and accommodating critical geopolitics. 동아시아 국가들의 정치적·경제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역내 국가들의 갈등과 경쟁이 지속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에서도 동아시아의 경제적 의존관계와 문화적 교류의 수준은 깊어지고 있다. 이러한 아이러니는 “협력없는 교류”라는 표현으로 압축되고 있다. 본 논문은 그동안 동아시아의 협력의 역사와 이와 관련된 연구를 비판적으로 살펴보고 새로운 지정학 연구 동향과 평화를 위한 지정학의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한 시도의 일환이다. 동아시아의 지정학은 현실주의 정치학의 우세, 다자간 협력에 대한 열망과 좌절, 고전지정학적 논리의 과잉이라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 최근의 연구들은 영토성의 극복, 동아시아의 구성의 정치적 의도, 비판지정학의 수용 등을 통해 국가 간의 경쟁의 한계를 벗어난 새로운 지정학의 구성을 주장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