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산관리서비스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관한 연구 - 국내 중대형 증권사를 중심으로 -

        김찬숙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3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1 No.3

        국내 금융 산업은 자본시장통합법을 시작으로 패러다임의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고, 그 어느 때 보다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 금융업종 간 업무의 제한을 없애고 경쟁을 유도함으로써 금융상품의 차별성이 희석되는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금융기업들은 이러한 환경에 적응하기 위하여 자산관리서비스를 중심으로 하는 브랜드 구축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증권사 자산관리서비스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관한 연구로 대표적인 연구자들의 이론적 고찰과 각 증권사의 브랜드 체계 및 자산관리서비스 브랜드 분석을 통해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가져야 하는 주요 구성요소를 크게 실체 요소, 의미 요소, 표현 요소로 보았다. 현재, 국내 증권사들의 자산관리서비스 브랜드는 금융상품이나 서비스와 같은 실체 요소와 의미 요소는 각 기업별로 차별성이 적은 반면, 표현 요소에 있어서는 기업마다 차별성을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브랜드 표현 요소의 전략적 활용은 실체 요소를 보완하고 의미 요소들을 부각시킴으로서 브랜드를 타사와 보다 차별화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브랜드의 체계적인 구축을 위해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구성하고 있는 전체적인 핵심 요소들을 파악하여 이를 브랜드에 반영할 수 있도록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접근 방법은 오늘날과 같은 어려운 금융환경에 있어 국내 증권사 자산관리서비스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구축과 지속적 관리를 위한 전략적 가능성을 제시할 것이다. The paradigm of the domestic financial industry is rapidly changing. It is disappears boundaries among financial companies by the ‘Capital Market and Financial Investment Business Act’. Financial companies are trying to build brands that are centered wealth management services in this circumstance. This study is about the building brand identity of wealth management services through theoretical study on the brand identity and the analysis of brand system and wealth management services brands of domestic brokerages. A brand identity consists of three main elements(products or services, concept or meaning, visual and non-visual) based on the major theories and models about brand identity. In the analysis of the medium and large securities companies, the elements such as product or service no less differentiation each companies. The other hand, the elements such as verbal and visual have differentiations for each brokerages. Differentiation through visual elements could be an effective and strategic way to complement product or service and to highlight brand concepts. Also, the systematic building of a brand is important to the overall structure. It will be a strategic methodology to establish the brand identity for wealth management services and to enhance corporate image and brand value.

      • KCI등재

        브랜드 연상네트워크가 화폐가치로 측정된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오명열(Oh Myoung Yul) 한국마케팅학회 2013 마케팅연구 Vol.28 No.4

        강력한 브랜드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브랜드자산을 구성하는 제반 구성요소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브랜드자산을 구성하는 요소 중에 브랜드인지, 충성도, 지각되는 품질과 같은 요소에 관해서는 많은 연구가 있어 왔지만 브랜드 연상과 관련해서는 선행연구가 많지 않다. 브랜드 연상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브랜드 간에 차이를 크게 나타내지 않으며, 최종적으로 브랜드의 가치를 결정하는 것은 브랜드와 관련된 연상이 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연상의 본질에 대한 규정이나 측정방법, 브랜드 자산과의 관계에 대 한 연구는 많지 않다. 기존의 연구는 연상의 측정을 위해서 초기에는 자유연상 방법을 사용해 측정하였다. 이후 래더링이나 ZMET(Zaltman Metaphor Elicitation Technique), BCM(Brand Concept Mapping)과 같은 방법을 통해 소비자의 브랜드 연상에 대한 측정을 시도하였지만 방법론상의 문제나 실행상의 문제를 담고 있다. 본 연구는 첫째, 연상네트워크적인 관점에서 연상의 측정을 시도하였으며 사회연결망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에서 적용되는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브랜드 연상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둘째, PSM(Price Sensitivity Measurement)방식에 의해 화폐가치로 브랜드 자산을 측정하여 연상네트워크 분석에서의 결과와 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첫째, 브랜드 연상네트워크 지표는 기본지표 4가지와 중심성 지표 3가지로 측정을 하였으며, 브랜드자산과의 관계에서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브랜드 자산을 기준으로 강한 브랜드와 약한 브랜드 간에 연상네트워크 지표상에서도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네트워크분석을 통해 나타난 지표와 화폐가치로 측정한 브랜드 자산 간의 관계분석을 통해 브랜드자 산의 측정과 관리를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 학술적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는 심리학이나 뇌과학에서 발전된 연상네트워크에 대한 개념에 사회학의 네트워크 분석을 적용하고 소비자를 인식하는 새로운 방법으로서 인접 분야 지식의 접목이 요구된다는 점을 강조한 데에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실무적으로 본다면 브랜드자산을 관리 강화해야 하는 관리자의 입장에서 관리가능한 지표로서 브랜드연상의 계량적 측정이 가지는 의미는 클 것이다. 네트워크 분석이 제시하는 다양한 지표를 통해 연상에 대한 정밀한 분 석이 가능하며, 최종적으로 브랜드자산과의 관계 규정도 가능하다는 점은 브랜드 관리가 보다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o build a strong brand, it is important to manage several components of brand equity. There are many studies about the effects of brand awareness, loyalty, and perceived quality on brand equity, but few about brand association. In the course of development of individual brand, other factors do not seem to have much contributing power as brand associations in making a specific brand distinctive. Therefore the brand association can be said to be the key factor in building brand equity. But There are only a few researches on the in-depth meaning, measurement, and relationship with brand equity, of brand associations. Some researches had measured brand association through the free association method in the early stage. Along with these researches, other methods measuring brand association - laddering, ZMET (Zaltman Metaphor Elicitation Technique), and BCM(Brand Concept Mapping) - has been developed. But these methods have some methodological and operational problems. The main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first, this study measures brand associations quantitatively and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association and brand equity, using network method widely used in social network analysis. Second, this study clar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quantitative results of brand associations and the monetary value of brand equity measured by PSM(price sensitivity measurement) method. UCINET 6, a software in the field of social network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brand association networks. Even though network analysis calculate over 50 various indices, this study use two sets of indices, basic and centrality index. Network size, degree, density, and distance are the basic indices and degree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and between centrality are the centrality indices that are used in this study. We fin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five brand association network indices(network size, degree, degree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and brand equity. We also fi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trong and weak brand in terms of four indices(network size, degree centrality, and closeness centrality). The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first, brand association is quantitatively measured by network analysis based on both sociology and cognitive psychology and brand equity was measured by moneytary value based on price sensitivity measurement. There have been no researches that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quantitatively measured brand association and dollarmetric brand equity. Second, this study suggests a new alternative way to solve complicated phenomena of brand association based on sociology, neural science, and cognitive psychology. This study also have some managerial implications. Brand manager must have keen interest on brand association to build strong brand equity. Up to now, tools like free association, laddering, ZMET, and BCM have been proved insufficient to measure brand associations quantitatively, especially in real settings. Additionally there are many other network indices those are not mentioned in this study. The indices should give important information about the in-depth meaning of brand associative network for the brand managers. The procedure recommended in this study will provide some guidance to systematic management of brand equity.

      • KCI등재

        종업원브랜드자신이 브랜드시민행동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SOBC 모델을 중심으로

        신동호(Sihn, Tongho) 한국물류학회 2020 물류학회지 Vol.30 No.2

        This paper expanded the research of brand equity perspective to employees who play an important role for building brand equity to overcome limitations of previous researches based on financial and consumer perspective to provide comprehensive strategy of brand equity.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provide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by investigating the affective relationship of employee brand equity and three dimensions of employee brand equity: brand knowledge, role clarity, and brand commitment with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brand citizenship behavior and customer orientation based on the SOBC model. The 10 hypotheses were proposed and explained based on precedent researches for this study. Survey method was adopted to collect data from domestic employees in Kore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 was used to validate and verify the proposed model and hypothe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all of three dimensions of employee brand equity respectively which were brand knowledge, role clarity, and brand commitment. Second, both brand knowledge and brand commitment ha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brand citizenship behavior, but role clarity did not have direct relationship with brand citizenship behavior. Third, role clarit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ustomer orientation, but both brand knowledge and brand commitment did not have direct relationships with customer orientation. Fourth, brand citizenship behavior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customer orientation. Additionally this research confirmed tha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d indirect effects on both brand citizenship behavior and customer orientation respectively. Brand commitment also had indirect e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ed that companies should re-evaluate the importance of employee roles to build and enhance brand equity, moreover, they are required to develop a comprehensive brand equity strategy including employee brand equity which can be the foundation for future performance indicators of employee behaviors such as brand citizenship behavior and customer orientation. 종합적인 브랜드자산 전략 수립을 위해 기존의 제한적인 소비자 관점 및 재무적 관점의 브랜드자산 연구를 확장하여 브랜드자 산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종업원을 기반으로 하는 종업원브랜드자산의 연구는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SOBC 모델을 적용하여 브랜드자산 연구에서 새롭게 등장한 3번째 관점인 종업원브랜드자산에 대한 타당성과 효과성을 실증하여 학문적 실무적 관심을 유도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종업원브랜드자산의 구성개념인 브랜드지식, 역할명료성, 브랜드몰입과 조 직지원인식, 브랜드시민행동 및 고객지향성의 영향관계를 규명함으로써 기업의 브랜드자산 전략에 대한 학문적 실무적인 시사점 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실증연구는 국내 종업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된 326부를 활용하여 구조모형방정식 분석을 통한 연구모형의 적 합도와 제안된 가설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조직지원인식은 종업원브랜드자산의 구성 요인인 브랜드지식, 역할명료성 및 브랜드몰입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종업원브랜드자산 의 구성요인인 브랜드지식과 브랜드몰입은 브랜드시민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역할명료성은 브 랜드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종업원브랜드자산의 구성요인인 역할명료성은 고객지향성에 유 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브랜드지식과 브랜드몰입은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브랜드시민행동은 고객지향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종업원브랜드자산이 기업 성과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종업원의 브랜드시민행동과 고객지향성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기업이 성공적으로 브랜드자산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브랜드에 대한 종업원 역할을 재검토하고 종업 원브랜드자산을 포함하는 확장된 브랜드자산 전략을 고려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채널자산이 유통업체 브랜드 이미지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귀정 ( Gwi Jeong Park ),정기한 ( Ki Han Chung ),박소영 ( So Young Park ) 한국유통경영학회(구 한국유통정보학회) 2011 유통정보학회지 Vol.14 No.5

        소비재 유통시장 환경은 빠르게 변화하고 복잡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소매유통기업의 자산형성에 중요한 요소인 채널 자산(channel equity)에 관한 것이며 기존 연구들에서 상대적으로 간과되어 왔던 채널자산을 온·오프라인 채널로 그 유형을 구분하여 측정을 시도하였다. 또한 채널자산을 유통업체 브랜드 제품으로 측정하여 어떤 채널 자산 요인이 브랜드 이미지와 유통업체 브랜드 제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특히 채널자산에 관해 진행되어온 선행연구들의 연구방향은 특정점포보다는 특정상품으로 다수 소매점들의 유통 채널자산을 측정하는데 초점을 맞추었지만 본 연구에서는 특정소매점에서 유통되는 유통업체 브랜드 제품으로 채널별 유통업체 브랜드 이미지와 구매의도를 측정하는데 연구의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였다. 그 이유는 특정 점포를 방문해야만 구매할 수 있는 유통업체 브랜드가 채널 자산의 특성(매력성)을 잘 반영하기 때문이며 멀티채널 쇼핑환경에서 유통기업은 경쟁점포에 대항하기 위해 그 기업만의 매력성을 유통업체 브랜드 제품을 통해 구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먼저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소매점에 접근하는 유통채널을 온라인과 오프라인 유통채널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측정하였고 연구결과 세 가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이성적 채널자산은 온·오프라인 채널 모두 PB 브랜드 이미지와 구매의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격, 제품구색, 점포위치, 품질의 채널 자산요인은 PB 브랜드 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감성적 채널 자산은 PB 브랜드 이미지와의 영향관계에서 오프라인 채널에서 정(+)의 영향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감성적 채널자산과PB 구매의도와의 영향관계에서는 온라인 채널에서 정(+)의 영향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감성적 채널자산 요인 즉, 매장분위기, 신뢰성, 반응성, 판매원서비스는 채널 유형에 따라 영향관계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PB브랜드 이미지와 구매의도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채널유형 모두 정(+)의 영향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오프라인 채널의 경우 소비자들에게 감성적 채널 자산으로 PB브랜드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형성시키더라도 이는 PB에 대한 구매의도로 연결되지는 않는 것을 의미하며 온라인 채널의 경우 감성적 채널 자산은 PB 브랜드 이미지 인식이 선행되지 않아도 감성적 채널 자산만으로도 소비자들에게 긍정적인 구매의도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통산업에 종사하는 사람들과 마케터들에게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Channel environment is increasingly complex and rapidly changing in the consumer`s goods market. this study is relates to distribution channels which an important factor in the formation of channel equity. In previous studies, which has been relatively overlooked on channel equity. so in this study distribution channels is separated by online and offline channel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at channel equity affects PB brand image and purchase intent. In particular, previous studies has been researched channel equity on research directions to a specific product rather than a specific number of branches of retail distribution channels focused on measuring the equities, but in this study that certain retailers and distributors in the private brands to brand image and also to measure the purchase of the study was performed to focus. Why should visit a particular store to purchase private brand(PB), because the characteristics reflected. in this study retail distribution channels, both online and offline distribution channels, divided into two types were measured. The results of research implications could be drawn. First, the rational channel equity on offline channels PB brand image and purchase intent also appeared to influence positively. In other words, price, product assortment, location, quality factor of the channel equity in the PB brand image and purchase intent positive (+) appeared to influence. Second, the emotional channel equ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B brand image in an offline channel positive (+) showed that the impact of the relationship. In addition, emotional channel equity to help purchase intent and the effect of PB in a relationship online channel positive (+) showed that the impact of the relationship. Third, PB brand and purchase intent both online and offline channels also positive (+) showed that the impact of the relationship. These findings will be help the people engaged in the retail industry and will be able to provide the practical implications are considered.

      • KCI등재

        구성브랜드 브랜드자산이 비유사 공동브랜드 브랜드자산과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조절초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진균,임연수,이기영 한국광고PR실학회 2016 광고PR실학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비유사 공동브랜딩 상황에서 공동브랜드를 구성하는 구성브랜드 브랜드자산의수준이 어떻게 공동브랜드 브랜드자산과 브랜드태도의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또한 구성브랜드 브랜드자산의 수준과 함께 비유사 공동브랜드 브랜드자산 및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수로서 조절초점 성향을 제안하고 이를 2(구성브랜드 자산: 많음vs. 적음) × 2(조절초점 성향: 촉진 vs. 방어) 집단 간 요인설계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비유사 공동브랜딩 상황에서 실험참가자들은 구성브랜드 브랜드자산이 적을 때보다 많을 때 공동브랜드 브랜드자산 및 브랜드태도에 더욱 호의적인 평가를 내리는 것으로 밝혀졌다. 더불어 구성브랜드 브랜드자산과 조절초점 성향 간에 유의미한 상호작용이관찰되었는데 구체적으로 구성브랜드 브랜드자산이 적을 때 촉진초점 성향자가 방어초점성향자에 비해 공동브랜드 브랜드자산과 브랜드태도 평가에 더욱 호의적이었다. 구성브랜드 브랜드자산이 많을 때는 조절초점 성향에 따른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비유사 공동브랜딩의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rand equity of constituent brand on the co-branding brand equity and brand attitudes.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role of self-regulatory focus. In this experimental study, a 2(brand equity of constituent brand: low vs. high) × 2(self-regulatory focus: prevention-oriented vs. promotion-oriented) between-subject factorial design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200 college students. Findings of this research revealed that the brand equity of constituent brand positively affect co-branding brand equity and co-branding brand attitudes. Also, moderating role of self-regulatory focus was found in that when the brand equity of constituent brand is low, promotion-focused consumers tend to evaluate co-branding between two dissimilar product categories more favorably than prevention-focused consumers. However, no such effect was found when the brand equity of constituent brand is hig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in this area are provided.

      • KCI등재
      • KCI등재

        돈육 가공품의 브랜드 자산 - 선행요인과 결과 -

        한일문,지성구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08 경영컨설팅연구 Vol.8 No.1

        브랜드 자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축산제품의 브랜드화와 브랜드자산에 관한 연구는 매울 드물다. 국내외 급변하는 환경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축산제품의 브랜드화가 강력히 요구되며, 특히, 브랜드자산을 강화하는 선행요인과 그 결과에 대한 연구는 뒤늦은 감이 적지 않다. 그래서 이 연구는 축산제품 중에서 비중이 증가하는 돈육가공품을 대상으로 브랜드자산을 형성하는 선행요인과 구성요소 및 그 결과요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연구명제를 설정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기초로 하여 향후 실증적인 연구를 수행할 경우 관련 업계와 학계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In the present, the brand equity account for major part in the all enterprises. Especially, though the livestock is given much weight in foods because of increasing of the income and westernizing of eating habits, livestock has not been have a brand despite of almost industries has brand and any researches about livestock has not been conducted. S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know the antecedences(characteristics of products, advertisement, image of shops, price promotions), brand equity structural elements(perceived quality, awareness of brand, association/image of brand) and the consequences of brand equity by the antecedences and brand equity structural elements of hams and sausages. An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result and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 KCI등재

        브랜드가 제품 구매 및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학진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08 경영컨설팅연구 Vol.8 No.3

        21세기의 새로운 패러다임 중 하나는 기업가치의 주요 원천이 유형 자산에서 무형 자산으로 변화해 간다는 사실이다. 즉 부동산과 같은 유형 자산 보다는 인적 자산, 지식 자산, 브랜드 자산 등과 같은 무형자산이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중요한 잣대가 되었다. 지금까지의 브랜드 전략이 마케팅 믹스전략의 하부 구조로 인식되어 왔던 것과는 달리 마케팅 전략의 상부 구조로 존재하는 기업경영의 연장선상에서 브랜드관리의 중요성은 나날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사용자는 기업의 사업 포트폴리오 전략을 구축하듯이 브랜드 자산관리의 역할을 규정하고 상호 운용체계를 구축하는 실질적인 브랜드 중심경영의 축을 이루어야 할 것이다. 기업을 하나의 브랜드로 인식할 때 소비자들과의 일관성 있는 커뮤니케이션은 단순한 제품명이 아닌 기업의 브랜드 자산으로서의 위상과 역할을 가질 수가 있으며 최근에는 소비자에게 사랑을 표현하거나 사랑을 구하는 등 사랑을 주제로 사용한 광고 메시지를 적극적으로 채택하고 기능과 품질을 강조하는 이성소구형 광고 보다는 소비자의 감정과 정서에 호소하는 감성소구형 광고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가 제품구매 및 선택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서 수도권의 직장인, 주부 등을 표본으로 해서 실질적인 구매 행동을 분석하여 유의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브랜드에 대한 광고는 브랜드 충성도나 지각된 품질 및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브랜드의 독특한 개성, 역사성, 우월성, 기업에 대한 존경심 등의 요인이 제품 선택에 긍정적인 유의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사용자는 이러한 관점에 착안하여 마케팅 활동을 수행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연구성과에도 불구하고 한정된 변수들 간의 충분한 설명력이 뒷받침되지 못하고 주관적인 평가에 의존한 것은 본 연구의 한계를 나타내 아쉬움을 남기고 있다. Rapidly changing consumer environment at interior an exterior is exerting very big influences for enterprise activities. It's enterprise value of essential source that materiality property immaterial property change facts that 21th century new paradigm. So to speak compare with realty as than materiality of human property, knowledge property, brand property, immaterial property enterprise value for essential factor. The problem of selecting what brand to advance into within the country markets is one of the important enterprise marketing tasks. For the method of research, the reliability has been verified with th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by ascertaining the on-dimensional property through the primary factor analysis which is one of the multitudinism statistical techniques and feasibility has been verified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primary factor analysis.

      • KCI등재

        고객자산, 브랜드 카리스마 및 타인추천 간의 관계 연구 : 수도권 뷰티숍을 중심으로

        김신애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6 마케팅논집 Vol.24 No.2

        본 연구는 글로벌시대를 맞아 K-pop, K-fashion, K-drama, K-beauty 등 전방위적으로 한류문화들이 확산되고 있는 시점에 K-beauty의 고객자산을 파악하고자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뷰티숍 시장을 중심으로 고객자산(관계자산, 가치자산, 브랜드특유자산, 브랜드자산), 브랜드 카리스마 및 소비자의 타인추천 간의 관계를 다루고자 하였다. 387명의 뷰티숍을 이용하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실증ㆍ분석한 결과, 첫째, 고객의 뷰티숍에 대한 고객자산(관계자산, 가치자산, 브랜드특유자산, 브랜드자산)은 브랜드 카리스마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브랜드 카리스마는 고객의 타인추천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영향관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고객자산(관계자산, 가치자산, 브랜드특유자산, 브랜드자산)과 소비자의 타인추천 간에 브랜드 카리스마의 매개효과 여부를 분석한 결과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놓고 볼 때, 뷰티숍의 고객자산은 미래의 비즈니스 안정화와 성장에 매우 중요한 지렛대로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 relationship study among customer equity, brand charisma and recommendation intentions in beauty shop markets focused on mediation effects of brand charisma for beauty shop in metropolitan region. Customer equity is what is called relationship asset, value assets. relationship specific asset, and brand assets. A total of 387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Data were gathered from respondents who use in metropolitan region. market. For this study, Data were analyzed by SPSS 21.0 Ver. After reliability and validity check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s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pproach was used to test the hypotheses. As expected in the hypotheses, customer equity( relationship asset, value assets. relationship specific asset, and brand assets) does directly influence to brand charisma. brand charisma positively impact on recommendation intentions. In additional analysis, brand charisma has mediating role between customer assets and recommendation intentions. This result strongly supports our research model. Theoretical contribution and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and the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are presented in the part of the end.

      • KCI등재

        정책브랜드 자산 구성요소 및 평가모형에 관한 연구

        최지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9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0 No.53

        본 연구는 국민의 인식에 기초한 정책브랜드 자산의 구성요소를 제안하고구성요소 간 구조적 연관성을 조사하여 자산 평가 모델에 대한 이론적 체계를수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기업/제품 브랜드 자산 평가 모형을 통해 정책브랜드 자산 구성요소의 차원과 순차적 이론적 프레임을 도출하였으며, 기존의 정책 평가에 활용된 변인에 대한 종합적 분석을 실시하여 정책브랜드 자산 평가를 위한 하위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정책브랜드 자산모형의 구성요소를 크게 인지적 자산(정책브랜드 소통인지 자산), 기능적 자산(지각된 속성, 지각된 혜택), 감성적 자산(정책브랜드 이미지), 행동적 자산(정책브랜드 충성도)로 구분하였다. 정책브랜드 자산의 구성차원과 측정문항의 확증과 정책브랜드 자산 구성차원들 간의 인과적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중앙정부의 정책과서울시 정책을 각각 3개씩 선정하여 총 6개의 정책브랜드에 대하여 일반 국민20~50대 62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정책브랜드구성차원에 따른 하위 구성 차원을 확정하고, 각 구성 차원에 따른 신뢰도와타당도를 확보한 측정문항을 도출하였다. 이후, 정책브랜드 자산 구성요소들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경로분석 결과, 정책브랜드 자산은 소통인지 – 지각된 속성 – 지각된 혜택 – 정책브랜드 이미지 – 정책브랜드 충성도의단계로 형성되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는 정책브랜드에 대한 학술적 단초를마련하였으며 중장기적 관리에 대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효율적 관리를 위한 자산 측정 및 관리의 방향성을 제시한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components of policy brand equity based on the public perception and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policy brand equity model by investigating the structural linkage among components. This study derive the dimension and sequential theoretical frame of the policy brand equity components through the corporate brand equity model and derive the sub-components for the policy brand equity valuation by performing a comprehensive analysis on the variables used in the existing policy evaluation. The components of the policy brand equity model are largely divided into cognitive equity(policy brand communicaiotn/awareness), functional equity(perceived features, perceived benefits), emotional equity(policy brand image), and behavioral equity(policy brand loyalty). In order to verify the causal model between constructive dimension of policy brand assets and constructive dimension of policy brand assets, survey was conducted on 624 people from 20s to 50s for six central government policies and Seoul city policies. As a resul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omponents of policy brand equity were measured. As a result of path analysi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policy brand asset equity components, the policy brand equity was formed as a step of policy brand communication/awareness - perceived features - perceived benefits - policy brand image - policy brand loyal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the academic basis for the policy brand and the strategic implications for long=term policy brand man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