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상기』 글쓰기에 나타난 희곡적 특성

        김미령 ( Kim Miryeong ) 온지학회 2017 溫知論叢 Vol.0 No.53

        『북상기』 작가는 당대 조선 사회가 금하고 있는 금기를 여러 번 깨트린다. 우선 ‘성’에 대한 욕망을 너무도 직설적으로, 그것도 자극적으로 드러냈는가 하면 당대 사회가 금하고 있는 구어체 백화문투를 구사하고, 낯설고 생소한 ‘희곡’이라는 장르를 굳이 선택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북상기』의 희곡적 특성에 집중하여 거기에 담긴 문학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첫째, 『북상기』는 기본적으로 ‘인간의 성에 대한 욕망’을 솔직하게 담아내고 이것을 긍정한 작품이다. 나아가 『북상기』는 당대로서는 상상조차 힘든 파격적인 성문화와 외설적 묘사를 함께 담고 있다. 이는 『북상기』가‘성’에 대한 단순한 긍정을 떠나 ‘성 지상주의’적 시각을 담보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이 지점에서 『북상기』는 기존의 성 담론과는 차별화된다. 이것이 『북상기』가 가진 문학적 의미다. 둘째, 작가는 중국 희곡의 형식 및 특징, 체제에 대해 상당한 수준의 식견을 갖추고 있는 지식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북상기』 작가는 희곡이라는 장르가 가진 장르적 매력을 익히 알았던 인물로, 이러한 희곡적 특성은 작품 곳곳에서 드러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익숙한 소재들을 활용한 탄탄한 구조 2)입체적이고 개성적인 인물 설정 3)생동감 있는 구어체와 읽는 재미 4)파격적 어휘와 섬세한 지시문 등의 문학적 전략들이 작품 속에 충분히 구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들은 『북상기』 독자의 몰입감을 끌어 올리는 전략적 장치로 유효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북상기』는 희곡의 장점과 판소리 장점을 적절히 혼용해 『북상기』만의 희곡적 특성을 가진 새로운 장르를 개척해 내었다. 공연용은 아니나, 공연용 희곡이 가지고 있는 희곡적 특성과 희곡이 가지고 있는 한계를 판소리가 가지고 있는 장점으로 보완하여 기존의 희곡과 판소리의 한계를 뛰어 넘고, 독자의 읽는 재미를 한층 끌어 올린 작품이 바로 『북상기』인 것이다. 그런 점에서 『북상기』의 문학적 의미는 새롭게 평가받아야 할 것이다. The author of the 『Buksangki』 broke taboos of the Joseon Dynasty several times. He straightforwardly and provocatively showed desire for sexuality to be restrained from listening and seeing and used 'Baekhwamuntoo,' a colloquial language which was prohibited at that time, obstinately in a strange genre of drama. However, there were only a few studies on 『Buksangki』. Therefore, this study gave a focus on dramatic characteristics of the 『Buksangki』. Especially, it was interesting that the genre of drama was selected for the story. However, specific discussion on dramatic characteristics in 『Buksangki』 has never been made ye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uthor who positively accepted human desire for sexuality described unprecedented sexual culture and pornography which was hard to imagine at that time in 『Buksangki』. This novel has a perspective of sexuality for sexuality's sake beyond simple acceptance of sexuality, which was different from existing discourses on sexuality. Second, it was discovered that the author was an intellectual who had high level of knowledge on styles, characteristics and frameworks on Chinese drama. In particular, he was familiar with the attractive characteristics of drama as a genre and such dramatic characteristics were found in his novel. :1). solid structure using familiar materials; 2). characteristic and multi-dimensional characters; 3). lively and fun colloquial language to read; and 4). exceptional words and detailed directive sentences. He made the use of those literary strategies in his novel. Third, in particular,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author of 『Buksangki』 developed a new genre with its own dramatic characteristics through properly mixed use of advantages of Drama and Pansori. It was not written to perform, but as limitations of drama were supplemented by advantages of Pansori, the limitations were overcome, which gave more fun to read. It is suggested that the literary meaning 『Buksangki』 should be newly considered in this respect.

      • KCI등재

        『북상기(北廂記)』의 곡문(曲文)에 나타난 글쓰기 특징 -김성탄 비평본 『서상기(西廂記)』와 『도화선(桃花扇)』의 비교를 중심으로-

        雷挺 ( LEI TING ) 민족어문학회 2015 어문논집 Vol.- No.75

        본고에는 『북상기』의 曲文(노래가사)에 나타난 형식 특징을 고찰하고, 동시에 그 특징이 형성된 이유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北廂記』는 19세기에 창작된 한문 희곡이다. 지금까지 『북상기』에 대한 연구는 주로 창작 시기, 체재 분석, 주제, 인물, 욕망,性담론, 음악, 창작의식 등 방면에서 이루어졌다. 그러나 『북상기』작품의 曲文을 고찰한 연구가 아직 없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북상기』 곡문에 나타난 글쓰기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이 나타났다. 먼저 중국 희곡의 특유한 특징인 ‘.字’를 중심으로 『북상기』와 『西廂記』, 『桃花扇』을 각각 비교하면서 친자의 有無를 고찰하였다. 『서상기』는 元雜劇으로 친자가 많고, 『도화선』은 명`청 전기로 친자가 약간 적은 편이다. 한편 『북상기』에는 친자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특징이 나타나게 된 배경으로는 『북상기』가 독서물로서 창작된 목적성이 강하게 띄고 있는 점에서 기인한듯하다. 아울러 명`청 전기의 영향도 작용한 듯하다. 다음으로 詞라는 문학 양식을 통해, 『북상기』의 곡문 형식을 고찰하고 비교하였다. 詞는 모두 片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대부분이 上下 兩片으로 구성되어 있다. 『북상기』의 곡문도 역시 사와 같이 上下 양편으로 되어 있다. 그 중에 중국 詞의 격식과 운율을 가끔 무시해 지은 곡문이 있었다. 이러한 점은 중국 詞 문학 양식이 조선에 들어와 변용된 것에서 어느 정도 영향관계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동시에 조선문인들이 중국 詞·曲 문학에 대해 능통했다는 것을 짐작해 볼 수 있다. 『북상기』는 희곡작품이면서도 사대부의 독서물로서의 전아한 취향을 고려하여 변용한 글쓰기 양식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특성은 『동상기』등의 여타 한국한문희곡과 비교해 보았을 때, 뚜렷이 변별되는 지점이다. 아울러 『북상기』가 명·청전기의 문체를 수용하면서 새로운 문체를 모색하려고 시도하려 한 흔적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review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Gokmun(lyrics) in Buksanggi and identify the reasons why these characteristics are embodied. Buksanggi is a Chinese drama written in Korea in the 19th century. There have been several studies conducted on Buksanggi, however, with focus on the date of writing, system analysis, themes, figures, desires, discourse on sex, music, and creative consciousness, etc. In this study, the author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 identified in Gokmunof Buksanggi.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uthor reviewed the presence of Chinja while comparing Buksanggi, Seosanggi and Dohwasoen with focus on Chinja which is peculiar to Chienese dramas. Seosanggi, poetic drama of the Yuan Dynasty, has a lot of Chinja whereas Dohawswon, drama of the Ming and Qing Dynasty, hasless Chinja. Meanwhile, Chinja almost does not appear in Buksanggi. It was deemed that Buksanggi was written since it functioned as a reading material, as well as being influenced by the dramas of the Ming and Qing Chuan Qi. Second, the author reviewed the structure of Gokmun of Buksanggi through the form of literature called Sa. Sa mostly consist of 2 Pyeons-the first Pyeon and the second Pyeon. Likewise, the lyrics of Buksanggi also consists of 2 Pyeons-the first Pyeon and the second Pyeon. Of them, some Gokmunignored the formality and rhymes of Chinese Sa, implying this serves as the background to the transformation of Chinese Sa literature form in the Chosun Dynasty. At the same time it explained why the literary circle of the Chosun Dynasty was proficient in Chinese Sa. Gok literature. Buksanggi is a drama, yet shows the transformed form of writing considering the graceful taste as the reading materials for the gentry society. These characteristics become distinct when compared with the Korean dramas in Chinese letters such as Dongsanggi. Furthermore, Buksanggi shows a hint that it attempted to seek new writing style when accommodating the writing style of the dramas in the Ming and Qing Chuan Qi.

      • KCI등재

        『북상기(北廂記)』에 나타난 ‘홍천’의 문학지리 고찰

        김금숙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23 다문화콘텐츠연구 Vol.- No.46

        이 논문은 『북상기(北廂記)』의 주요 공간인 홍천을 문학지리학의 관점에서 살펴본 연구이다. 『북상기』는 강원도 홍천을 배경으로 주인공들에게 벌어지는 사건들을 다룬 이야기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북상기』의 서사공간인 홍천이 실제 지리적 공간과 어떤 관계 양상을 보여 주는지, 그리고작품 속 홍천에는 어떤 공간 이미지가 투영되어 있는지를 고찰해 보았다. 『북상기』는 홍천에 사는 61세 선비 김낙안과 18세 기생 순옥의 사랑 이야기를 중심으로 하면서, 그 주변 인물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참여하여 더 풍부한 이야기를 구성하고 있는 18세기 고전 희곡 작품이다. 이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모두 작품 속에서 홍천에 살고 있다. 그리고 서사 속 크고작은 사건들 역시 대부분 홍천을 배경으로 벌어진다. 이렇게 이 작품에서홍천은 단순한 배경을 넘어 인물들의 정체성과 연결되어 있는 공간으로서의 중요성을 지닌다. 『북상기』에는 홍천의 구체적인 지명이 다수 등장한다. 또 구체적인 지명을 밝히지 않은 주인공들의 생활 공간들 역시 대체로 실제의 지리적 공간에서 어디쯤인지를 짐작할 수 있다. 『북상기』는 이렇게 당대의 실제 지리적공간인 홍천현, 나아가서는 현재의 홍천읍과도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작품이다. 『북상기』에 나타난 홍천이라는 공간의 이미지는 세 가지 정도로 정리할수 있다. 첫째, 홍천은 풍요롭고 안정적인 삶의 공간으로 나타난다. 둘째,홍천은 중앙에서 멀지도 가깝지도 않은 곳으로 표현된다. 셋째, 홍천은 당대의 지배 이데올로기에서 적절히 벗어나 있는 유연하고 유쾌한 공간으로 그려진다 This paper is a study that examines Hongcheon, the main space of the『Buksanggi(北廂記)』, from the perspective of literary geography. 『Buksanggi』is a story about the main characters set in Hongcheon, Gangwon-do. This paper researches the relationship between Hongcheon, the epic spaceof the 『Buksanggi』, and actual geographical space. I then considered whatkind of spatial image appears in Hongcheon in the work. 『Buksanggi』 is a play that centers on the love story of Kim Nak-an andSun-ok. The surrounding characters also participate in various ways to createa richer story. All the characters appearing in this work live in Hongcheon. Most of the incidents in the story take place against the backdrop of Hongcheon. In this way, Hongcheon is a space that goes beyond a simple backgroundand is connected to the identity of the person in this work. There are many specific place names in Hongcheon in the 『Buksanggi』.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infer the actual geographical location of mostof the living spaces of the main characters, even though specific place namesare not mentioned. 『Buksanggi』 is a work that is closely connected to theactual geographical space of Hongcheon-gun at the time, as well as to present-dayHongcheon-eup. The spatial image of Hongcheon that appears in the 『Buksanggi』 can besummarized into three levels. First, Hongcheon appears as a rich and stableliving space. Second, Hongcheon is depicted as a place neither far nor nearthe center. Third, Hongcheon is depicted as a flexible and pleasant spacethat appropriately deviates from the dominant ideology of the day.

      • KCI등재

        『북상기(北廂記)』에 나타난 하위주체 여성의 욕망과 창작 의도

        김정녀 ( Kim Jeong-nyeo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21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52 No.-

        본고는 『北廂記』에 등장하는 하위주체 여성의 신념과 욕망을 구체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작가의 창작 의도를 재조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간 『북상기』는 ‘19세기 性愛 문학의 정점에 서 있는 작품’으로 평가되면서 인물들의 성적 욕망과 성 담론을 중심으로 논의되었다. 그러나 성 담론에 집중하면서 간과한 부분들도 적지 않은 바, 본고에서는 성 담론 그 자체보다 중심 인물과 사건을 면밀히 검토함으로써 하위주체 여성의 욕망 구현을 작품의 중심 서사로 내세운 작가의 의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북상기』는 妓生 舜玉이 ‘두 남자를 섬기지 않겠다’는 뜻을 세우고 그 욕망을 주체적으로 실현해 나간 작품이다. 기생이면서도 평범한 여성의 삶을 욕망하고, 그 욕망 실현을 통해 자기 정체성을 확인하고자 한 하위주체 여성의 이야기가 중심 서사를 이루고 있다. 물론 순옥의 신념과 욕망은 반복적으로 난관에 부딪친다. 그럼에도 자기 정체성을 잃지 않기 위해 순옥은 지속적으로 노력한다. ‘針線婢 選上’ 사건을 통해서는 기생이라는 신분적 구속을 벗고, ‘樂安 선생의 내기 바둑’ 사건을 통해서는 주변 인물들의 공감과 지지를 얻으면서 자신의 욕망을 마침내 구현한다. 이러한 순옥의 욕망 서사에 주목한 작가 東皐魚樵는 평생을 학문에 정진했던 선비였던 듯하다. 그러나 궁벽한 시골에 살면서 인정을 받지 못하였고, 만년에는 물고기를 잡고 나무하는 사람들 틈에 자취를 숨긴 몰락 양반으로 추정된다. 작가는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살 수 없는 기생의 신분이면서도 본래 간직한 의지를 꺾지 않고 굳건히 지켜낸 순옥의 서사를 통해 자신의 불우한 처지와 소신을 우의적으로 드러내 보였다. 선행 연구에서도 밝혔듯이 『북상기』는 19세기 성 담론의 현장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작품이며, 18세 기생과 61세 노인의 사랑이라는 파격적인 설정과 노골적인 묘사를 통해 흥미와 오락성을 강화한 작품이다. 그러나 작품의 중심 서사와 창작 의도를 재조명한 결과, 작가는 단순히 당시의 세태나 성 풍속을 담아내기 위해서가 아니라, 남에게 인정받지 못하고 수많은 곡절을 겪더라도 본래 품은 뜻을 지켜내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이 작품을 창작하였음을 밝혔다. 이러한 본고의 논의는 『북상기』를 ‘色情 戱曲’으로 바라보던 기왕의 시각을 조정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hed light on the author's creative intentions by specifically reviewing the belief and desire of a woman who is a subject of the lower class in Buksangki(北廂記). In the meantime, Buksangki was regarded as a work that stands at the pinnacle of 19th century sex literature, and was discussed around the sexual desire and sexual discourse of the characters. However, many parts of the work were overlooked while focusing on sex discourse. So in this article by examining the central figures and events rather than the sex discourse itself, I intended to identify the writer's intention to express the desire of the subject of the lower class woman as the central narrative of the work. Buksangki is a work in which Gisaeng(妓生) Sun-ok(舜玉) set an aim in life as "I won't serve two men" and had self-realized her desire. The central narrative of this story is about a subject of the lower class woman who desires the life of the ordinary woman in spite of a gisaeng herself and tries to confirm her identity through the realization of her desire. Of course, Sun-ok's belief and desire repeatedly run into difficulties. Nevertheless, Sun-ok constantly tries not to lose his identity. She finally embodies her desire by removing her status as a giseang through the "Chim Seon-bi(針線婢)" event and gaining sympathy and support from people around her through the "Nak-an(樂安)'s betting Baduk" event. The author, DongKoEoCho(東皐魚樵) who paid attention to the narrative of Sunok's desire seems to have been a classical scholar who devoted his whole life to learning. However, he lived in a remote countryside and was not recognized by others, and in his later years, he is presumed to be a Yangban(兩班) of the collapsing family who hid his tracks among people who gather trees and fish(the common people). The writer seems to have shown his bad situation and his convictions allegorically through Sun-ok's story, which has been preserved without breaking his original decision despite many twists and turns as a gisaeng who cannot live his life independently. As the preceding study also revealed, Buksangki is a work that showed the scene of sexual discourse in the 19th century and strengthened interest and entertainment through unconventional settings and sexually specific depictions, including scenes of sexual intercourse between 18-year-old gisaeng and 61-year-old elderly person. However, as a result of re-examining the central narrative and creative intentions of the work, I revealed that the author created the work not only to capture the social conditions or sexual customs of the time, but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keeping the original meaning even if it is not recognized by others. This discussion of the research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adjust the previous perspective of viewing Buksangki as a sexual play.

      • KCI등재후보

        『북상기(北廂記)』와 『귀의 성(鬼-聲)』에 나타난 춘천 기생 계심(桂心)의 스토리텔링

        김금숙 ( Kim Gum-suk ) 강원대학교 강원문화연구소 2023 강원문화연구 Vol.47 No.-

        This study is a comparative analysis of how the story of Chuncheon's Gisaeng Gyesim(桂心) is storytelling in the classic play Buksanggi(北廂記) and the new-style novel Gwiuiseong(鬼-聲). Chuncheon's Gisaeng Gyesim is a historical figure. However, Gyesim's story is also passed down as a folk tale. The story of Gyesim has been widely known in the surrounding area since the early 19th century. Buksanggi was created by Donggoeocho(東皐漁樵) while he was staying in Hongcheon around 1840. The work is based on the actual story of Gyesim. However, the author reversed the tragedy of Gyesim and told the story as a delightful comedy of Sunok. The new-style novel Gwiuiseong is about the events that take place after Gilsun, a resident of Chuncheon's Solgaemaeul, becomes the concubine of the Chuncheon mayor. This work was created by Leeinjik(李人稙) based on the story of Gyesim. However, Gilsun's life in the novel is more unfortunate and tragic than Gyesim's life. Given the nature of newspaper serialized fiction, tragedy would have been more effective than comedy. As we have seen above, the storytelling styles of Buksanggi and Gwiuiseong are very different. Buksanggi is told in a comedic manner. On the other hand, Gwiuiseong is told in a tragic way

      • KCI등재

        ≪북상기(北廂記)≫에 드러난 인물형상과 공간인식

        박수진 ( Park Su Jin ) 한국언어문화학회(구 한양어문학회) 2017 한국언어문화 Vol.0 No.63

        본고는 ≪北廂記≫에 드러난 사건을 중심으로 인물형상과 공간인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작품은 현실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작품 속에 나타난 인물과 공간은 시대상을 내재하고 있다고 보았다. ≪北廂記≫에 나타난 두 사건을 중심으로, 첫 번째 사건은 순옥과 낙안선생의 사랑이야기다. 61세의 낙안선생과 18세 기생 순옥의 마음을 확인하는 과정을 엮었다. 두 번째 사건은 봉래선과 이양진의 음모로 골탕 먹는 낙안선생의 이야기로, 내기 바둑으로 음모에 빠진 낙안선생을 구출하며 낙안선생과 순옥의 해피엔딩을 그렸다. 첫 번째 사건의 인물형상은 순옥과 낙안선생의 모순관계를 드러냈고, 두 번 째 사건의 인물형상은 봉래선과 이양진의 일치관계를 드러냈다. 또한, ≪北廂記≫의 공간은 다섯으로 나누어진다. 순옥의 집, 낙안당, 두물머리 주막, 이양진의 여관, 순옥의 집[北廂]으로 나눌 수 있다. 이 공간들은 ① 遊興· 奢侈의 공간, ② 安貧樂道· 演戱의 공간, ③ 約束· 解放의 공간, ④ 내기· 놀이의 공간, ⑤ 統合· 治癒의 공간으로 나타난다. 마지막 드러난 순옥의 집[北廂]은 모든 공간을 통합하는 공간으로 작품에서 가장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It was considered that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and spatial recognition of ≪Buksanggi≫. Fundamentally, This work was reflected an actuality. Accordingly, It was expressed Character and Space in this work, there was an argument behind a social phenomenon that showing the times. It was divide into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centering around two events of ≪Buksanggi≫. The frist event, It was Sunok and Nagan`s love story. This story was appeared inconsistent relation of two people. Nagan`s age was 61years. and Sunok`s age was 18year. Two people`s relation was irregularity. But, the second event, It was Bongraesun and Lee, yangjin`s story. At this story, two people exhibited consensus relation. Bongraesun and Lee, yangjin were very talented people in their early years. But, Lee, yangjin was exiled, Bongraesun was get old. Two people`s configuration was spoken for the other direction. The space of ≪Buksanggi≫ were divided into five. There were Sunok`s home, Nagandang[Nagan`s home], Dumulmeori inn, Yi yangjin`s hotel. This Space were came out ① a space of amusement· luxury, ② a space of comfort· theatricals, ③ a space of agreement· release, ④ a space of betting· play ⑤ a space of integration. healing. Among the rest, very important space was `Buksang(北廂)`.

      • KCI등재

        19세기 희곡 『북상기(北廂記)』 연구

        안대회 ( Dae Hoe Ahn ) 한국고전문학회 2008 古典文學硏究 Vol.33 No.-

        이 논문은 그 동안 학계에 전혀 알려지지 않은 『北廂記』라는 필사본 희곡을 발굴하여 작자와 창작시기, 형식과 내용, 그리고 작품의 특징과 문학사적 가치를 평가하였다. 분석한 결과, 이 희곡은 東皐漁樵라는 몰락한 사대부 작가에 의해 白話文으로 창작된 완벽한 희곡이며, 창작된 시기는 1840년으로 추정하였다. 1840년대 강원도 홍천을 배경으로 하고 있고, 주요인물은 18세 기생인 舜玉, 61세 양반 선비인 樂安 先生, 그리고 퇴기인 蓬萊仙이다. 작품은 金聖歎 批評本 『西廂記』의 영향을 받아 창작된 19척의 희곡으로서 明代 傳奇의 방식을 따랐다. 주 내용은 61세 환갑노인인 낙안 선생이 18세 처녀 기생 순옥과 나누는 기괴한 애정행각이다. 평범한 才子佳人의 낭만적 로맨스가 아니라, 성적 욕망의 성취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특히, 관음증을 유발하는 노골적인 성행위를 묘사함으로써 희곡을 표방한 작품으로서는 유례를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의 파격을 보인다. 이 작품은 소설을 비롯한 19세기 서사문학과 깊은 영향을 주고받고 있어 관련 연구를 촉진할 가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 희곡이 발굴됨으로써 조선 후기 문단에서 희곡을 예상보다 더 많이 향유하고 창작하였음이 드러났다. This paper illustrates the author, the writing period, form and contents of the play titled Buksanggi, which has never been known to the academic world and evalu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 and its literary value. This work is supposed to be the play written in colloquial Chinese by the ruined yangban called dong-go-eo-cho and produced in 1840. With the setting of Hongcheon in Gangwon province in 1840, the main characters of the play are Sun-ok who is a eighteen year- old gisaeng, a sixty one year- old yangban, Nagan and a retired gisaeng, Bongreseon. This play seems to have been influenced from Seosanggi criticized by Kim Seong-tan, following the form of fanciful stories in Ming-dynasty, which were composed of 19 units. The main contents is the bizarre love story between the young gisaeng, Sun-ok and the old man Nagan, focusing on the satisfaction of sexual desire, not on the romantic love. Especially, this work is an unprecedented example as a play, by describing the lewd sexual scenes which cause voyeurism. This work is worth to be more studied on the ground that it was correlated with other narratives including novels in the nineteenth century. Furthermore, this work presents the possibility of writing and enjoying the play as a literary genre in the late Joseon.

      • KCI등재

        19세기 애정 세태서사에 수렴된 하위주체의 욕망과 그 의미

        신상필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20 한국문학연구 Vol.0 No.63

        The Neo-Confucian ideology of the Joseon Dynast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thought and life of the people of the time, and this situation worked in the direction of restraining and restricting various human desires. But human needs could not be shrunk in a state of restraint. This is because various desires for sex, power, and affection have been erupting steadily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However, the records of the upper intellectuals did not reveal the lives and voices of these lower classes. In this regard, <Jeolhwagidam (折花奇談)>, <Pouigyojip (布衣交集)>, <Buksanggi (北廂記)>, <Baeksangrugi (百祥樓記)> requires special attention as the desires of sub-subjects are revealed in various ways. Above all, these works vividly portray the state of affection of the time, as the historical events that exist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corresponded to the time and space within the work, bringing out a more realistic sense. In addition, the sub-subjects who are the characters in the work awaken their reality through the desire for affection to raise certain problems in the irrational reality of life. In the process,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existence of an affectionate setae novel that has completed a narrative composition that is not tied to the Juja-based view of literature. And the emergence of setae novels in which the desires of the sub-subjects converged or expressed in a more realistic sense means that there is a literary class that can represent them. In this regard, the emergence of the 19th century Setae novels could be made possible by the existence of the creative class of writers and helpers, and this narrative logic of the creative class affirms the desire of the sub-subject and at the same time recognizes itself as a narrative writer. I tried to confirm. 조선시대의 성리학적 이념은 당대인들의 사고와 생활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더구나 이런 상황은 인간의 욕망을 절제하고 제약하는 방향으로 작동하였다. 하지만 인간의 다양한 욕구는 억제된 상태로 위축되어 있을 수만은 없었다. 성(性)과 애정, 부(富)와 권력에 대한 욕망들은 조선시대에 걸쳐 꾸준히 분출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다만 사대부 계층의 기록에 수많은 하위주체들의 생활상과 목소리가 잘 드러나지 않았을 뿐이다. 이 점에서 조선후기인 19세기에 애정 관련 세태를 다룬 『절화기담(折花奇談)』, 『포의교집(布衣交集)』, 『북상기(北廂記)』, 『백상루기(百祥樓記)』에는 하위주체들의 욕망이 다양하게 드러나고 있어 각별한 관심이 요구된다. 무엇보다 이들 작품은 조선후기의 실재했던 역사적 사건들이 작품 내적 시공간과 조응하여 보다 현실적인 감각을 살려내며 당대의 애정 세태를 실감나게 그려냈다. 뿐만 아니라 작중 인물인 하위주체들은 애정 욕망을 통해 자신의 현실을 각성함으로써 불합리한 생활 현실에 일정한 문제제기를 일으킨다. 본고는 그 과정에서 성리학적 문학관, 혹은 윤리적 관념과는 다른 서사적 구도를 구사한 애정 세태서사의 존재에 주목하는 것이다. 그리고 하위주체의 욕망이 보다 현실적인 감각으로 수렴되거나 발현되었던 애정 세태서사의 출현은 이를 대변할 수 있었던 문학 담당층의 존재를 말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본고는 이 점에서 19세기 애정 세태서사의 등장이 작가와 조력자라는 창작층의 존재로부터 가능할 수 있었으며, 이들 창작층의 서사적 논리가 하위주체의 욕망을 긍정함과 동시에 자신들 스스로를 서사 작가로 인식함으로써 성립하였음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동상기』, 『북상기』의 희곡적 특성 연구

        김미령 ( Miryeong Kim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4

        본 논문의 목적은 우리 고전 희곡물로 알려진 총 3편 중 두 편인 『동상기』, 『북상기』에 대한 희곡적 특성을 살펴보는 데 있다. 이는 두 작품이 우리 고전 희곡사에서 중요한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희곡적 성격을 함께 비교한 성과물이 없다는 점에서 출발했다. 방법론으로 희곡적 특성으로서 두 작품이 가진 형식적, 문학적 특징을 살펴보고 문학적 의미를 점검해 보았다. 결과적으로 『동상기』, 『북상기』는 중국의 극 장르에 영향 받은 희곡물이지만 작가의 선택적 의지에 따라 완성된 희곡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중국 극 양식인 ‘희곡’적 성격에 조선 본연의 익숙한 소리 ‘판소리’를 절묘하게 혼용한 것으로, 중국 희곡과는 다른, 한국 고유의 ‘읽는 희곡’으로서의 문체적 특징을 만들어 내었다는 점에서 두 작품은 새로운 의미와 가치를 가졌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dramatic characteristics of two of three pieces known as classical plays, in the Dongsangki and Buksangki. This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re is no comparable performance between two works in spite of being an important work in our classical plays. As a method of play, he examined the literary significance and the formal and literary character of the two works. As a result, Dongsangki, Buksangki is a drama influenced by the Chinese genre, but it can be confirmed that it is a completed drama based on the artist’s selective will. In other words, it is an exquisite mixture of ‘Pansori’, the familiar sound of Joseon in the Chinese drama ‘play’, Unlike Chinese dramas, they have meaning and values in that a new style of reading dramas was created.

      • KCI등재

        19세기 희곡 『北廂記』연구

        안대회 한국고전문학회 2008 古典文學硏究 Vol.33 No.-

        This paper illustrates the author, the writing period, form and contents of the play titled Buksanggi, which has never been known to the academic world and evalu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 and its literary value. This work is supposed to be the play written in colloquial Chinese by the ruined yangban called dong-go-eo-cho and produced in 1840. With the setting of Hongcheon in Gangwon province in 1840, the main characters of the play are Sun-ok who is a eighteen year- old gisaeng, a sixty one year- old yangban, Nagan and a retired gisaeng, Bongreseon. This play seems to have been influenced from Seosanggi criticized by Kim Seong-tan, following the form of fanciful stories in Ming-dynasty, which were composed of 19 units. The main contents is the bizarre love story between the young gisaeng, Sun-ok and the old man Nagan, focusing on the satisfaction of sexual desire, not on the romantic love. Especially, this work is an unprecedented example as a play, by describing the lewd sexual scenes which cause voyeurism. This work is worth to be more studied on the ground that it was correlated with other narratives including novels in the nineteenth century. Furthermore, this work presents the possibility of writing and enjoying the play as a literary genre in the late Joseon. 이 논문은 그 동안 학계에 전혀 알려지지 않은 『北廂記』라는 필사본 희곡을 발굴하여 작자와 창작시기, 형식과 내용, 그리고 작품의 특징과 문학사적 가치를 평가하였다. 분석한 결과, 이 희곡은 東皐漁樵라는 몰락한 사대부 작가에 의해 白話文으로 창작된 완벽한 희곡이며, 창작된 시기는 1840년으로 추정하였다. 1840년대 강원도 홍천을 배경으로 하고 있고, 주요인물은 18세 기생인 舜玉, 61세 양반 선비인 樂安 先生, 그리고 퇴기인 蓬萊仙이다. 작품은 金聖歎 批評本 『西廂記』의 영향을 받아 창작된 19齣의 희곡으로서 明代 傳奇의 방식을 따랐다. 주 내용은 61세 환갑노인인 낙안 선생이 18세 처녀 기생 순옥과 나누는 기괴한 애정행각이다. 평범한 才子佳人의 낭만적 로맨스가 아니라, 성적 욕망의 성취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특히, 관음증을 유발하는 노골적인 성행위를 묘사함으로써 희곡을 표방한 작품으로서는 유례를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의 파격을 보인다. 이 작품은 소설을 비롯한 19세기 서사문학과 깊은 영향을 주고받고 있어 관련 연구를 촉진할 가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 희곡이 발굴됨으로써 조선 후기 문단에서 희곡을 예상보다 더 많이 향유하고 창작하였음이 드러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