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마사토 운동장 포장의 유지관리를 위한 입자 파쇄 및 현장 다짐 정도 검토

        김동근 ( Donggeun Kim ),김태진 ( Taejin Kim ),전지훈 ( Jihun Jeon ),손영환 ( Younghwan Son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학교 운동장은 학생들의 전인적 교육활동 공간으로 지속적인 단체 체육활동이 이루어지는 장소이다. 따라서, 단체활동에 의한 반복적인 사용과 훼손에 견딜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학교 운동장 포장에 사용되는 마감재의 종류는 마사토, 천연잔디, 인조잔디, 우레탄 등의 탄성포장재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화강암이 풍화되어 생긴 흙인 마사토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 또한, 2014년 개선된 마사토 운동장 설계 기준을 바탕으로 기존의 운동장을 친환경 마사토 운동장으로 변환하는 친환경 마사토 운동장 조성사업이 계속 진행 중이다. 마사토를 이용한 흙 운동장은 흙 자체가 가지는 친환경적 가치와 친숙함으로 인해 선호되는 경향이 있지만, 풍화토의 특성상 체육활동, 차량 운행 등으로 인해 흙 입자의 파쇄와 다짐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입자 파쇄가 발생하면 조립질의 흙이 점차 세립질로 바뀌면서 강우 시 물이 통과하는 경로가 되는 간극이 점차 막히게 되고 이는 운동장 포장의 배수 성능을 악화시키게 된다. 또한 다짐이 발생하는 경우도 입자의 재배열로 인해 간극이 감소하여 배수성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마사토 운동장의 설계 당시의 배수성능 유지를 위해 장기간 사용에 따른 입자 파쇄 및 다짐의 발생 정도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 시공된 마사토 운동장에 대한 현장 모니터링 및 시험을 수행하였다. 입자 파쇄 및 다짐 정도의 검토를 위해 시공 당시의 시험 성적 자료를 확보하고 있는 서울시 내 친환경 마사토 운동장 10개교를 대상으로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시공 당시와 현장 모니터링 당시의 입도분포, 현장 밀도를 비교하여 입자 파쇄 정도와 현장 다짐도를 검토하였다. 특히, 마사토 운동장의 깊이에 따른 입자 파쇄 및 다짐도의 검토를 위해 표층에서 깊이 15cm지점까지 5cm 간격으로 시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 마사토 포장의 유지관리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몇 가지 배양토가 수출 도자기 분화 식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송천영,문자영,문응식,김리나,신경진 한국화훼학회 2017 화훼연구 Vol.25 No.4

        In this study, we aimed to select the optimum media for pottery pot plant growth of Ilex cornuta Lindl., Ardisia pusilla “Variegata,” Dendrobium moniliforme Sw., and Crassula portulacea, which were plant commercial medium, a hydro ball, kanumatsuchi, decomposed granite, and sphagnum m oss. T he s urvival rate o f Ilex cornuta in the hydro ball, sphagnum moss, and kanumatsuchi was 100%. The increass inplant height growth and in the number of leaves were 26.7% and 26.8% in sphagnum moss and 20.6% and 23.7% in kanumatsuchi, respectively; the increase was low when grown in decomposed granite (6.7% and 14.1%, respectively). The number of leaves per plant height was 10.0 in kanumatsuchi and 8.0 in decomposed granite. T /R r atio w hen grown in k anumatsuchi and sphagnum moss was balanced at 1.0 or 1.1. The survival rate of Ardisiapusilla “Variegata” in all media was 100%. The increas plant height growth and in the number of leaves was 27.3% and 60.8% in kanumatsuchi and 30.7% and 50.5% in sphagnum moss, respectively, which was higher than that in the other potting media. The number of leaves per plant height was 2.5 in kanumatsuchi and 2.2 in sphagnum moss, which was higher than that in the other media. The survival rate of Dendrobiummoniliforme Sw. was also 100% in all media. T he i ncreas p lant h eight growth a nd n umber of leaves was 17.6% and 12.6% in a commercial medi 16.0% and 24.6% in ahydro ball, respectively, the increase was low when grown in decomposed granite (8.5% and 7.2%, respectively). The number of leaves per plant height was 3.4 in ahydro ball and 1.9 in decomposed granite. T/R ratio was 2.5 in ahydro ball and 2.0 in kanumatsuchi. The survival rate of Crassula portulacea was also 100% in all media. The increas plant height growth rate and in the number of leaves was 62.6% and 50.9% in a commercial medium and 69.7% and 53.1% in kanumatsuchi, respectively, which was higher than that in the other media. However, the increase was low when grown in hydro ball (28.0% and 27.7%, respectively). The number of leaves per plant height was all media, except for the hydro ball. The T/R ratios of sphagnum moss and the commercial medium was 10.8 and 10.7, in which top growth was higher than root growth. Therefore, for commercial export purpose, it is preferable to plant Ilex cornuta Lindl., Ardisiapusilla “Variegata,” and Crassula portulacea in sphagnum moss and kanumatsuchi and Dendrobium moniliforme Sw. in hydro ball. 도자기 분 식물의 식재 배양토를 선발하기 위하여 호랑가시나무(Ilex cornuta Lindl.), 무늬산호수(Ardisia pusilla ‘Variegata’), 석곡(Dendrobium moniliforme Sw.) 및 염좌(Crassula portulacea) 를 인공배양토, 하이드로볼, 녹소토, 마사토와 수태에 심어 식물의생장을 조사하였다. 호랑가시나무의 생존율은 하이드로볼, 수태, 녹소토에서 100%이었으며 초장 및 엽수의 생장율은 수태가 26.7% 와 26.8%, 녹소토는 20.6%와 23.7%로 양호하였으나 마사토는6.7%와 14.1%로 낮았다. 초장당 엽수는 녹소토가 10.0개, 마사토는 8.0개 이었으며, T/R율은 녹소토와 수태가 1.0과 1.1이었다. 무늬산호수의 생존율은 모든 배양토에서 100%이었고, 초장 및엽수의 생장율은 녹소토가 27.3%와 60.8%, 수태가 30.7%와50.5%로 높았다. 초장당 엽수는 녹소토와 수태가 2.5개와 2.2개이었다. 석곡의 생존율은 모든 배양토에서 100%이었고, 초장과엽수의 생장율은 인공배양토가 17.6%와 12.6%, 하이드로볼이16.0%와 24.6%이었으나 마사토는 8.5%와 7.2%로 낮았다. 초장당엽수는 하이드로볼이 3.4개로 많고 마사토는 1.9개 적었으며, T/R율은 하이드로볼과 녹소토가 2.5와 2.0이었다. 염좌의 생존율은 모든 배양토에서 100%를 보였으며, 초장과 엽수의 생장율은인공배양토가 62.6%와 50.9%, 녹소토가 69.7%와 53.1%로 높았고, 하이드로볼은 28.0%와 27.7%로 낮았다. 초장당 엽수는 하이드로볼을 제외한 토양에서 3.0개 이상이었다. 염좌의 T/R율은수태와 인공배양토가 10.8과 10.7로 높아 지상부가 과도하게생장하였다. 따라서 호랑가시나무, 무늬산호수, 염좌는 수태 및녹소토에, 석곡은 녹소토 및 하이드로볼에 식재하여 수출하는것이 바람직하다.

      • KCI등재

        참지네고사리의 포자발아, 전엽체 및 포자체 번식에 영향을 미치는 배양 조건

        장보국(Bo Kook Jang),조주성(Ju Sung Cho),이기철(Ki Cheol Lee),이철희(Cheol Hee Lee) 한국원예학회 2017 원예과학기술지 Vol.35 No.4

        본 연구는 참지네고사리의 기내 포자발아, 전엽체 증식 및 포자체 형성에 적합한 배지 및 배양토를 구명하고 균일묘를 생산하고자 수행되었다. 포자는 배지의 종류와 농도에 관계없이 모든 처리구에서 발아율이 우수하였다. 그 중 Knop배지에서는 MS 계열 배지에 비해 전엽체로의 발달이 빠르게 진행되었다. 포자를 발아시켜 획득한 전엽체를 재료로 배지의 구성물질을 달리하여 배양하였다. 전엽체의 증식율은 Knop배지에 비해 낮았으나, 장정기 등 생식기관의 형성이 활발한 1MS배지가 전엽체 증식용 배지로 적합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또한 MS배지의 sucrose 농도는 2%, 총 질소급원의 농도는 60mM, NH4<SUP>+</SUP>와 NO3<SUP>-</SUP>의 비율을 20:40mM로 조절하는 것이 전엽체의 생육 및 형태형성에 효과적이었다. 포자체 형성에 적합한 배양토를 선발하기 위하여 믹서기로 분쇄한 전엽체를 인공토양(원예상토, 피트모스, 펄라이트, 마사토)을 단용 또는 혼용한 토양에 분주하여 14주간 재배하였다. 그 결과, 원예상토를 사용한 처리구에서 포자체의 형성 및 생육이 우수하였으며, 특히 원예상토와 마사토를 2:1(v:v)로 혼용하였을 때 포자체의 형성(0.83개/cm<SUP>2</SUP>)이 가장 왕성하였다. We investigated a suitable method for in vitro germination of spores, propagation of prothalli, and the formation of sporophytes in the fern Dryopteris nipponensis Koidz. Spore germination rate was relatively high regardless of culture medium. Prothallus development was faster in Knop medium than in Murashige and Skoog (MS) media. Prothalli used in all experiments were obtained from germinated spores, and were cultivated in different concentrations of media components. The active formation of sexual organs such as antheridium made 1MS medium suitable for prothallus propagation, although there was a lower propagation ratio compared to Knop medium. Growth and morphogenesis of prothalli were most effective on 1MS medium containing 2% sucrose, and 60 mM of total nitrogen source with 20:40 mM ratio of NH4<SUP>+</SUP>:NO3<SUP>-</SUP>.To select a suitable soil composition for sporophyte formation, ground prothalli were cultivated on single and mixed soils using bed soil, peat moss, perlite, and decomposed granite for 14 weeks. Bed soil promoted sporophyte formation and growth regardless of single or mixed use. In particular, a mixture of bed soil and decomposed granite in a 2:1 ratio (v:v) led to accelerated sporophyte formation (0.83/cm<SUP>2</SUP>).

      • KCI등재

        李秉岐의 修學과 學術 活動에 대한 재검토 - 『가람일기』를 중심으로 -

        황재문 진단학회 2023 진단학보 Vol.- No.141

        Garam Yi Byeong-gi belongs to the first generation of modern Korean studies researchers. However, since he graduated from a teacher's school and worked as a teacher without any experience of studying abroad or university education, it can be said that at least in terms of academics, he has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in that he has not learned the methodology of modern studies subdivided into majors. However, recently, as the complete version of diary Garamilgi has been published, it has become possible to use it to find, even if fragmentarily, the momentum that led to participation in modern academic activities. During his school days, he studied mathematics and English outside of the regular curriculum and participated in a group for Korean language research. When he was a teacher at an elementary school, he showed interest in ‘modern studies’ such as law and hypnotism, read books in various fields, and developed an insight into old books and paintings. After moving to Seoul in 1919, he participated in several research groups and worked as a teacher at Donggwang School and Whimoon School. At this time, he participated in research groups, engaged in external activities including sijo lectures, and formed several academic groups. In addition, it is confirmed that he had complementary academic exchanges with university based scholars who had mastered modern academic methodologies, such as Yi Byeong-do and Tada Masatomo(多田正知). Through this, he gained an understanding of the modern academic system and was able to participate in academic groups based on the modern university system, such as the Chin-Tan Society. This can be said to be one part of Yi Byeong-gi's path to being recognized as a major researcher in early modern Korean studies. 가람 이병기는 근대 한국학 연구자의 첫 세대에 속하는 인물이다. 다만 해외 유학이나 대학 교육 등을 경험하지 못하고 사범학교를 졸업하여 교사 생활을 했으니, 적어도 학업 측면에서는 전공으로 세분화된 근대적 학문의 방법론을 익히지 못한 과도적 성격을 지니고 있었으며 학업의 실상이 분명치 않은 점이 있었다. 그렇지만 최근에는 삭제되지 않은 완전한 형태의 『가람일기』가 간행되었으므로, 이를 활용하여 근대적인 학술 활동에 참여하게 된 계기들을 단편적이나마 찾아낼 수 있게 되었다. 사범학교 시절에는 정규 교과 이외에 수학과 영어를 따로 학습하였고, 한글 연구를 위한 단체에서 활동하였다. 보통학교 교사 시절에는 법학, 최면술과 같은 ‘근대적 학문’에 관심을 보이고 다양한 분야의 서적을 탐독하며 고서화에 대한 식견을 높였다. 이를 통해 한국학 및 근대 학문에 대한 지식을 얻기 시작했다고 말할 수 있다. 이병기는 1919년에 다시 상경한 이후 조선불교회나 조선어연구회에서 활동하는 한편으로 동광학교와 휘문학교의 교사로 근무하는데, 이와 함께 연구 모임에 참여하거나 시조 강연 등의 외부 활동을 펼치고 가요연구회나 조선문흥회와 같은 학술적인 모임을 만들어 활동하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이병도나 다다 마사토모(多田正知) 등 근대 학문의 방법론을 익히고 대학 제도에 참여한 학자들과 상호보완적인 교류를 했던 것으로 확인되는데, 이를 통해 근대적인 학문 제도에 대한 이해를 갖춤으로써 진단학회와 같은 근대 대학 제도에 기반을 둔 학술 모임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고, 장차 연구에 대한 조언이나 교육을 통해 대학에서의 학술 활동에 직접 참여하는 계기를 마련했다고 판단된다. 이는 근대적인 대학 제도와 다소 거리를 둔 ‘과도적인 수학’의 과정을 거친 이병기가 초기 한국학의 주요 연구자로 인정받게 된 경로의 일단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김강사와 T교수 조선어문학회의 한국문학연구 정초(定礎)

        이용범 ( Lee Yong-beom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8 민족문학사연구 Vol.68 No.-

        이 논문은 1930년을 전후한 시기 경성제국대학 조선어학조선문학 제1강좌를 배경으로 이루어진 조선문학 연구를 중심축으로 놓고, 조선문학의 체계를 조선인 스스로의 손으로 만들어내고자 한 조선어문학회 동인들의 학문적 고투의 자세한 양상을, 중층적인 식민지 학술사회 속에서 자신이 결정할 수 없던 식민지 현실에 ‘던져진’ 조선인들의 학문적 자아의 추구라는 관점에서 관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용언어, 제도, 매체 등의 기준으로 분열된 식민지 학술사회는 중국과 일본과는 달리 자국학 형성에 있어서 식민자와 피식민자가 끊임없이 길항해야하던 공간이었다. 이러한 ‘식민지 국학’의 특성은 조선어문학회 동인들에게는 커다란 부담이었지만, 조선문학의 권위가 부재하는 가운데 식민지관학과 민간학술사회 양자 모두를 상대해 나가는 것은 성장의 기회이기도 했다. 조선문학과 교수 다카하시 도오루(高橋享)의 전문영역은 사상사로, 개교 초기 조선문학에 대해서는 이론적 체계화는 물론 자료의 수집도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었다. 다카하시는 대표적인 식민지 관학의 이데올로그로 활동하였다. 다카하시의 도쿄제대 후배이자 사문회(斯文會)라는 인적관계로 엮인 예과 교수 다다 마사토모(多田正知)는 식민지 관학의 구도는 괄호에 넣은 채 그 내부를 학문의 언어로 채워나가는 ‘실증주의’의 작업을 충실히 수행했다. 조선어문학회 동인들은 식민지 관학자에 의해 조선이 정의되고 판단되는 학문적 위기에 대응하기 위하여 공동작업을 시작했다. 그들은 경성제대와 식민지 민간학술사회에 의해 ‘지나’에 속하는 것으로 배제되었던 한문학을 조선문학의 범주로 끌어들이는 것을 비롯하여, 표기체계의 경계를 넘나들며 ‘국민’의 상상을 가능케하는 장르로서 소설에 주목하기에 이른다. 이 시기 조윤제와 김태준이 보여주는 간곡한 이중부정과 미괄식의 논지 전개는 일본인 교수들과 조선인 선배학자들의 기성논리들을 극복하기 위한 고육책이었다. 조선문학사의 구도 중 한문학사와 소설사의 구성은 허술하나마 두 편의 조선어문학회 총서의 간행으로 일단락되는 가운데 조선연구의 초점은 민요연구로 이동한다. 다카하시 도오루는 ‘지나’를 배제한 ‘자연 그대로의 조선’을 민요를 통해 보고자 했다. ‘지나’=한적(漢籍)을 조선의 범주 밖으로 손쉽게 내버림으로써, 조선의 대부분의 전장(典章)·제도, 문화유산들은 부정당하게 된다. 다카하시는 ‘지나’를 잘라낸 이후에도 극히 협소하게 민요를 범주화하며, 오리엔탈리스트로서의 욕망을 모성(母性)에 투사한다. 그에게 ‘지나’를 벗겨낸 진정한 조선은 모녀간(間)의 민요에서만 찾을 수 있는 것이었다. 조선어문학회 동인들은 조선어문학과의 민요조사사업에 동원되면서도 동인내부에서 자료를 공유하고 주요 주제에 대한 논쟁을 전개하는 가운데 조선문학사의 구도를 그려내고자 했다. 동인들은 다카하시의 단순한 방법론을 극복하기 위해 서구, 일본, 중국의 연구서들을 참조하며 이론적 층위와 작품분석 능력을 키워 나간다. 그들의 노력이 집약적으로 드러나는 것이 김태준의 시가사연구였다. 이 시기 김태준은 동인들의 협력을 얻어 1차자료와 각국의 연구서들을 섭렵하는 가운데, 중국경험을 통해 유물사관 등의 학문방법론에까지 관심을 갖게 된다. 이러한 조선어문학회의 연구성과는 역으로 다카하시 도오루의 민요 연구에 영향을 끼치기에 이른다. This article analysis early trajectory of Korean literature researches done in Keijo Imperial University in 1930s. Its focus lies in Association of Korean Literature and Language(朝鮮語文學會, hereinafter AKL) which is organized by Korean students in Keijo Imperial University. They were literally ‘Being thrown’ since there were literally no established Korean study in the university. AKL challenges Professor Takahasi Toru and Tada Masatomo, whose researches were explicitly ingratiating to Government-General of Korea. Colonial Academic society, divided by nationality and medium, however, colonizer and colonized begin to confront each other in the field in 1930s. AKL members had to overcome Japanese professors and Korean amateur scholars have strong foundation in mass media. It is quite hardship, but, opportunity to take leadership in Korean literature research. AKL members face the crisis of being defined and judged by colonizer, they start cooperation to overcome established theories. First, they embrace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inside of Korean Literature, by doing so, re-define boundaries of Korean literature, contrary to Japanese professors and Korean senior scholars claimed that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is not Korean literature. Second, they made detour around obsession of Korean Character, could write Korean historia novella(1930). AKL can imagine ‘nation people(國 民)’ with quite long literary history frequently cross the border of languages. After the publication of Korean Historia novella, main theme of Korean literature research became folksongs. Professor Takahsi Toru have very Orientalistic-in Said’s manner- perspective, he was looking for ‘natural’ Koreanness in primitive. He fantasizes Koreness as Femininity, in his manner, pure Koreanness only exist in mother and daughter relationship, clearly castrated. AKL members were mobilized for folksong collecting projects of Keijo Imperial University, however, they share their materials internally, sometimes have trouble with Japanese professors. They not only share materials, but also develop ideas via academic discussions on public media. The members want to overcome Japanese professor, so they actively adopt extensive reading on publications originated from Europe, Japan, China, etc., by doing so, they could nurture capability on materials and theories by themselves. The summary of their efforts could be thesis of Korean verse written by Kim Tae-joon. He was able to access rare materials by cooperation of AKL members, and also develop theoretical approaches by discussion with them. He had attitude very eager to learn, so he even started to learn historical materialism at that time. This kind of Koren-national-cooperation done by AKL, eventually affect professor Takahashi Toru’s folksong research.

      • KCI등재

        논문 : 김태준 초기이력의 재구성과 "조선학"의 새로운 맥락들

        이용범 ( Yong Beom Lee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5 민족문학사연구 Vol.59 No.-

        이 글은 다수의 신자료를 바탕으로 1926년부터 1931년까지 김태준의 행적을 추적한다. 그 가운데 그가 관계맺고 있던 네트워크들을 관찰하여 초기 근대학술로서의 ‘조선학’에 영향을 끼친 요소들을 재구(再構)한다. 그동안 저자를 찾지 못했던 필명들을 김태준의 것으로 확정해가며 예과부터 학부에 이르는 시기 김태준의 현실인식의 기반을 확인한다. 1931년의 북경행은 그동안 자세한 내용이 밝혀지지 않았으나, 그가 필명으로 남긴 기행문을 통해 북경대학 교수인 저우줘런[周作人], 장샤오위안[江召原], 웨이젠공[魏建功] 그리고 동경제대의 다카다 신지[高田眞治] 등과 교류한 것이 확인된다. 다수의 중국서적의 명칭 및 조선문학작품의 중국어 번역도 발견되어 근대 한중학술교류의 실질적인 양상들을 엿볼수 있다. 이러한 외부와의 접촉과 더불어 안으로는 경성제대의 조선인들, 특히 조선어문학회뿐만 아니라 지나문학과 선배 최창규와의 관계가 학문적 동지관계에까지 이르렀음이 확인된다. 이러한 가운데 경성제대의 조선인들에게 암묵적으로 부과되었던 제국학지의 영향력보다는 그들이 지녔던 강렬한 민족의식과 그것을 표현하기 위한 열망들이 확인된다. 이상을 통해 근대학문으로서의 ‘조선학’에 영향을 끼친 것들의 범주가 확장되며 동시에 그것이 지닌 복잡성을 재고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The article mainly traces early chronology of Kim Tae-joon, one of the earliest scholar on modern Korean study, with newly excavated materials. The focus is on the humane and academic networks connected on him, by doing so reconsider premised factors of modern Korean study. It discovers few pen names for Kim, through the discovering process scrutinize Kim’s epistemological bases. It has not been known his visit to Beijing in 1931, however,the article unveils his relationships with professors of Peking University such as Zhou Zuoren, Jiang Xiaoyuan, Wei Jiangong, and Takata Shijni in Tokyo Imperial University.Furthermore, existences of translated Korean books in Chinese library shows modern academic interchanges between Korea and China. For inside of Korea, there were academic relationships among Association of Korean Literature and Language(朝鮮語文學會), and his relationship with Choi Chang Kyu reveals early academic partnership of Korean students in Keijo imperial university. Those practical relationships challenge premised powerful influence of Japanese scholarship, and demonstrate young Korean’s enthusiasm for Korean nation and aspiration for autonomous Korean study. The article widened outline of Korean study and raises a question for complicated nature of origins of Korean Study.

      • 마사토 미립분을 활용한 친환경 흙 콘크리트 개발에 관한 기초적 연구

        홍성준 ( Hong Sung-jun ),박동천 ( Park Dong-cheon ),류동우 ( Ryu Dong-woo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1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1 No.1

        This study examined basic mechanical properties by developing eco-friendly soil concrete using Masato particulate matter treated as waste. Experiments show that DG10 satisfies the compressive strength criterion, but for DG20, the criterion was not reached. As the mixing volume of Masato particulates increased,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slump decreased, and in the case of the compression strength test after freezing and melting, it was found that the standards were not met.

      • KCI등재

        일본식 대안공간과 커뮤니티 아트의 시작: 나카무라 마사토

        고동연 미술사학연구회 2016 美術史學報 Vol.- No.46

        The essay focuses on Masato Nakamura’s path toward a successful curator of community art in Japan in light of the sociological condition of Japanese contemporary art in the 1990s. As I will argue, Nakamura’s undertaking of “Command N,” “Chiyoda Art Festival,” and the establishment of “3331 Arts Chiyoda” should be understood in close relationships with a number of guerrilla art events, either in the streets of Ginza or in Shinjuku during the early 1990s. The exhibitions are organized by a group of young artists called “Geidai,” the graduates of Tokyo National University of Arts. I will also look at Nakamura’s 3331 Arts Chiyoda, the renowned community art center in Japan, regarding its financial support system as the essay is also purported to address both achievement and dilemma involved with community arts designed to popularize and expand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contemporary art in Japan from the 2000s and onwards. 일본의 대표적인 커뮤니티 아트의 기획자이자 작가인 나카무라의 성장기를 1990년대 초 일본 미술계의 사회구조적인 상황에 비추어서 다루고자 한다. 1999년 아키아바라에서 열린 커맨드 N, 2005년 지역의 공예 예술가나 생활 예술가를 모아서 벌인 페스티벌, 그리고 3331 아트 치요다 등은 1990년대 초중반부터 작가가 동년배 작가들과 공동으로 조직하여 온 각종 거리 미술전의 연장선상에서 이해되어져 하기 때문이다. 또한 연구자는 나카무라의 3331 아트 치요다를 중심으로 벌어지는 커뮤니티 아트 프로젝트를 일본의 기금체계와도 연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것은 200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예술을 통한 도시 재생이나 도시 속의 다양한 공동체를 연결시키려는 나카무라의 활동이 일본 사회에서 예술의 대중적인 역할을 확충하는 데에 있어 어떠한 성과와 문제점을 던져주고 있는지를 심도 있게 논의하기 위함이다.

      • KCI등재

        고시키시마(甑島) 사토(里)방언 여격조사의 변이

        이병훈 대한일어일문학회 2023 일어일문학 Vol.100 No.-

        본 연구는 고시키시마사토방언에 나타나는 여격조사의 변이를 최적성 이론의 틀 속에서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토방언 여격조사의 기저형을 /ni/로 보고, 전설고모음류 앞 설정의 공명음을 금하는 *NI 제약을 채택, *NI 제약에 의한 /n/ 탈락이 여격조사의 다양한 변이를 초래한 원인으로 파악한다. *NI 제약에 의한 /n/ 탈락으로 명사 끝 모음과 /i/가 연접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러한 모음연속을 피하기 위해 명사 끝 모음과 /i/가결합하면서 [i:], [e:], [ja:] 등과 같은 다양한 표면형이 나타는 것이다. 여격조사가 장모음 뒤에 올 때는 /n/ 탈락이 일어나지 않는데 3모라의 초중음절을 금하는 *3μ 제약과 모라의삭제를 금하는 Maxμ 제약을 *NI 제약의 상위에 두어 이를 설명할 수 있다. 장모음 뒤에 위치한 여격조사 /ni/에서 /n/이 탈락하면 2모라의 모음과 1모라의 모음이 연속하게 된다. 이때 장모음과 단모음의 융합이 일어날 경우전체 모음이 3모라가 되어 *3μ 제약을 위반하게 되고, 모라수를 줄일 경우 Maxμ 제약의 위반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제약들의 위반을 피하기 위해 여격조사가 장모음 뒤에 올 때는 *NI 제약의 위반에도 불구하고 /n/ 탈락이일어나지 않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