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폴란드 사회주의리얼리즘 시(詩)에 나타난 한국전쟁

        최성은(Choi Sung Eu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03 동유럽발칸연구 Vol.11 No.2

        예술의 적극적인 사회 참여를 통해 민중의 계몽과 교화를 지향했던 사회주의리얼리즘 (Socialist Realizm)은 19세기 후반 러시아의 프롤레타리아 문학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 다. 러시아 문학이 보유하고 있는 리얼리즘의 풍부한 전통에 맑시즘을 접목시키면서 사회주 의리얼리즘은 모순에 찬 현실에 눈을 돌리고, 지배계급의 피지배계급에 대한 착취를 폭로하 는 계급 문학으로 발전을 거듭하였다. 193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사회주의리얼리즘은 점 차 스탈린 독재 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정치 선전의 도구로 전락하게 되었다. 전후(戰後)에는 구소련의 위성국가였던 폴란드, 헝가리, 체코 등 신흥 사회주의 국가들이 자국 내에서 사회 주의 체제를 토착화하고, 인민들을 효과적으로 선동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회주의리얼리즘을 적극적으로 표방하였다. 폴란드에서 사회주의리얼리즘은 폴란드 인민공화국이 공식 출범했던 1949년부터 폴란드 예술의 유일한 공식적 방법론이 되었다. 경직되고 도식화된 이념 지상주의로 치우치게 되면 서 사회주의리얼리즘은 그 본연의 의미를 상실하고, 창작의 자유를 저해하는 걸림돌이 되었 다. 당에 의해 철저하게 규정되어진 교훈적이고 계몽적인 틀에 충실히 부합되지 않는 작품 은 출판되지 못하였다. 이 시기에 사회주의리얼리즘을 거부하는 예술가들은 해외로 망명하 거나 작품 활동 자체를 중단해야만 했다. 세계사에 유래 없는 동족상잔의 비극을 낳은 한국전쟁은 폴란드의 사회주의리얼리즘 문학 작품에서 빈번하게 등장하는 소재였다. 본 논문에서 자세하게 언급하고 있는 쉼보르스카(W. Szymborska)의 「한국에서」(Z Korei), 루제비츠(T. Różewicz)의 「38선」(38 Równoleżnik)과 「한국의 봄, 파종기에」(Wiosenny siew na Korei), 그리고 바직(A. Ważyk)의 「코카콜라에 대한 노래」(Piosenka o Coca-Cola)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이들 폴란드 시인들의 눈에 비친 한국은 역사의 질곡 속에 가혹한 운명을 짊어진 불행한 약소국, 그리고 기아와 빈곤이 난무한 비극의 영토였다. 한국전쟁의 책임을 철저하게 미국에 돌리고 있으며, 미국에 의해 탄압 받는 일종의 속국(屬國)으로 한국을 묘사하고 있는 것도 사회주의리얼리즘 시의 특징 가운데 하나였다. 이러한 편파적인 역사인식의 오류에도 불구하고, 이 시들에는 폴란드 작가들의 한국에 대 한 뜨거운 연대의식이 반영되어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 이것은 한국과 폴란드 상호간에 공 통된 역사인식의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두 나라 모두 지정학적 특수성으로 인해 역사적으로 끊임없이 주변국의 침략을 당했으며, 특히 2차 대전 당시에는 양국이 모두 국권의 상실이라는 민족적 비극을 겪어야만 했던 것이다. 따라서 두 나라 사이에 직접적인 교류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폴란드의 작가들은 동족상잔을 몰고 온 한국 전쟁의 가혹한 운명을 지켜보면서 동병상련의 애틋한 감정과 끈끈한 형제애를 숨김없이 드러내고 있다. 폴 란드 시인들이 쓴 사회주의리얼리즘 작품들 속에는 역사적으로 폴란드와 많은 유사성을 보 여주고 있는 한국의 현실을 거울삼아 자국의 현재와 미래를 냉철하게 진단하려는 단호한 의 지가 표출되고 있다. Socialist Realism is an art methodology that was born in the Old Soviet Union with a view to widely spread socialism to the public through art. Since World War Ⅱ, the rising socialism countries such as Poland, Hungary and Czech had actively accepted Socialist Realism as a means to make socialism come to stay within their own territory. Socialist Realism was greatly in fashion in Poland until 1955 when Stalin died, as People's Republic of Poland sailed off in 1949 and Socialist Realism became the sole official guide for arts and literature. Socialist Realism enforced a reversion to techniques of the second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and prohibited any avant-garde experiment. From 1949 year to 1955 year literature was subjected to recipes imposed by watchdog officials and "terroreticians" in Poland. The stress was upon the so-called "production novel" with a factory or collective farm setting. Eventually, this period is evaluated as "period of errors and mistakes" in today's Polish literary history. Due to the socialist Government's strict inspection and political tendency to excessively agitate people, Socialist Realism caused negative function to suppress freedom of creation. At that time, one of the materials that frequently appeared in Polish Socialist Realism literature was the very Korean War. The representative works include Wisława Szymborska's 「From Korea」, Tadeusz Różewicz's 「38 Line」 and 「Korean Spring, at the time of sowing」 and Adam Ważyk's 「Song about Coca-Cola」. In these works, Korea is depicted as the unfortunate weak country that should point a gun to the same race and the tragic land that is full of starvation and poverty. In addition, they thoroughly attributed the blame for Korean War to USA, and they defined USA as the enemy that Poland should join efforts together with Korea and defeat. Even if they commit the error of biased historical recognition, the strong solidarity feeling with Korea appears in Polish Socialist Realism Poems. This is due to the historical similarity between Korea and Poland. Historically, Korea and Poland have been continuously invaded by neighboring countries, and especially during World War Ⅱ, both of them had to experience the tragedy to lose their sovereignty. Although Korea and Poland had no direct exchange each other in 1950's, Polish writers showed the brotherhood and same feeling to Korean people. In addition, we can find their will to model Korean reality, which is historically very similar to Poland, and then calmly examine Polish present and future.

      • KCI등재

        19세기 리얼리즘과 춤 연구

        이송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09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5 No.1

        이 논문은 춤에 있어서의 리얼리즘을 연구해 나가기 위한 초석으로, 리얼리즘이 탄생된 19세기 리얼리즘의 역사적 배경과 당시의 리얼리즘 개념을 연구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춤에 있어 ‘리얼리즘 발레’를 표방한 최초의 안무가 알렉산더 고르스키의 예술 세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19세기 리얼리즘의 역사적 배경의 특징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되는데, 첫째, 영국의 ‘산업혁명’이라는 사회․경제적 변화에 힘입어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중산층이라는 새로운 계층이 형성되었다. 둘째로 리얼리즘은 자연과학의 발전으로 ‘과학주의’, ‘실용주의’, ‘유물론’이라는 철학적인 토대와 더불어 마지막으로, 당시에 풍미하던 낭만주의에 반기를 들고 현실적인 삶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표현하려고 노력에 기인한 것이다. 이렇게 리얼리즘은 19세기 당시의 시대정신을 표현하는 ‘새로운 예술사조(思潮)’로 탄생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새로운 예술사조인 리얼리즘은 ‘동시대의 이야기’를 ‘있는 그대로’ ‘진실하고 객관적이며 편견 없이 표현하는 것을 목적’이었다. 리얼리즘이 춤과의 만남은 러시아의 모스크바 볼쇼이극장 발레단의 안무가인 고르스키에 의해 최초로 이루어졌다. 그는 리얼리즘 발레를 통해 ‘발레를 당대의 예술’로 만들고자 했다. 판토마임과 조형적 가치를 지닌 연극적 영역에 가까운 ‘묵극(黙劇, mimeddrama)’ 또는 ‘춤으로 된 무언극(mimodrama)’이라는 새로운 장르를 만들었고, 스타니슬라브스키의 원리에 따라 꼬르드 발레(군무)를 위한 안무법도 새롭게 만들어냈다. 그는 리얼리즘이라는 새로운 예술 창작 방법을 발레에 적용한 발레사(史)뿐 아니라 무용사에 지워지지 않는 분명한 족적을 남겼다. This research is studied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concept of 19 century as the basic investigation for the realism study in a dance. It searched into the artistic idea of Alexandre Gorsky, the first choreographer. There was the new social class what is called the middle class by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United Kingdom and it was historial background of Realism. The characteristic of Realism in 19 century is scientism, practicalism, materialism and real expression. Realism has appeared the new trend that was expressed the spirit of the 19 century. The objective expression of the new trend without prejudice was the object purpose. Realism and a dance were combined by Alexandre Gorsky, the choreographer of the Bolshoi Ballet. He wanted to make ballet as the typical art at that time. He made the new genre, mimed drama or mimodrama as like a play and the corps de ballet through the principle of Stanislavskii. The historical achievement of his new creative method with Realism is not only ballet but also dance history

      • KCI등재

        부조리에 대한 변론 : 오베리우 미학과 ‘진정한 실재’의 탐구

        이지연(Lee Ji Yeon) 한국노어노문학회 2011 노어노문학 Vol.23 No.1

        이 논문은 ‘네오리얼리즘’이라고 일컬어지는 20세기 초반 러시아 산문의 한 경향이 산문의 조건으로서의 리얼리즘과 ‘진정한 실재’에 대한 시대적 탐구라는 두 가지 때로 상충하는 문학적 지향의 결과라는 전제로부터 출발하여 네오리얼리즘의 확장 가능성을 타진한다. 자먀틴, 바벨 필냑 등을 대표적인 네오리얼리즘 작가로 간주할 수 있지만, 때로 벨르이와 안드레예프의 상징주의적 산문이나 레미조프의 민속적 색채가 강한 그로테스크한 단편들 또한 네오리얼리즘과 관련된 것으로 이해되기도 한다. 자먀틴을 비롯한 많은 당대의 작가들이 ‘네오리얼리즘’ 혹은 ‘새로운 리얼리즘’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들에게서의 새로운 리얼리즘이란 자주 새로운 현실과 진정한 실재의 반영에 대한 이들의 문학적 강령을 함축하는 용어임이 드러난다. 네오리얼리즘은 심지어 이러한 진정한 실재를 그리기 위해 리얼리즘에 배치되는 환상을 차용하고 사물을 ‘낯설게 만든다’. 20세기 초반의 네오리얼리즘이란 적어도 리얼리즘의 부활은 아니다. 오히려 그것은 새롭게 변화한 세계의 형상을 그려내기 위한 문학적 실험들을 가리킨다. ‘네오리얼리즘’의 ‘리얼리즘적’ 요소란 산문 문학의 최소조건이며 ‘네오’란 산문이라는 최소조건 위에서 가능했던 모든 새로운 형식적 실험들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 글은 확장된 네오리얼리즘 개념을 바탕으로 리얼리즘과는 정반대에 서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 오베리우(ОЪЭРИУ) 미학에서의 ‘실재’의 문제를 탐색한다. 흔히 그들의 작품을 부조리 문학이라 칭하지만 그들에게서의 실재가 결국 부조리한 형태를 띨 수밖에 없음을, 그들에게 있어서 이러한 부조리한 표면이 결국 다른 어떤 작가들에게서보다 강한 실재에의 지향을 드러내고 있음을 보인다. 베덴스키의 부조리가 존재하지만 재현될 수 없는 것을 재현하려는 데서 기인한다면 하름스의 부조리는 그 어떤 가능세계도 부정하는 패러독스를 보여준다. 이 때 하름스의 패러독스는 궁극적으로 삶과 예술의 양립불가능성으로 수렴된다. 이 글에서는 하름스, 베덴스키의 부조리를 삶과 예술의 관점에서 설명한다. 또한 오베리우인 하름스와 베덴스키의 작품 뿐 아니라 드루스킨과 리팝스키 등 오베리우를 배태한 철학적 모임이었던 치나리(Чинари)의 대표자들의 에세이와 유사철학적 논고들을 고찰함으로써 오베리우의 미학에서의 ‘실재’의 문제를 본격적으로 탐구한다.

      • KCI등재

        라인홀드 니버의 기독교 리얼리즘의 재구성

        유경동(Yoo, Kyoung-dong)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20 기독교사회윤리 Vol.47 No.-

        본 연구는 니버의 신학적 리얼리즘에 대해서 연구한다. 본 연구는 기독교정치신학에서 사용하는 전통적인 ‘현실주의 윤리’를 보다 광의적으로 확대하여 생각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한다. 리얼리즘 또는 이와 연관된 리얼리티(reality)의 한국어 의미는 ‘현실’이나 ‘실재’의 의미를 넘어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는데, 그것은 ‘존재’, ‘실제’, ‘사실’, ‘직시’, ‘상태’, ‘상황’, ‘일시성’, ‘현상’, 심지어 ‘참상’, 그리고 현실의 모든 조건을 넘어 은혜로 주어지는 ‘궁극적 이상’인 ‘하나님 나라의 실재’로도 그 의미지평을 확대되기도 한다. 이런 관점에서 니버의 신학적 리얼리즘은 인간이 구성하고 있는 현재 세계 내 문제를 보다 심층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인간 존재론의 지평을 열어준다. 즉, 니버의 리얼리즘은 역사와 인간 존재, 정치 경제적 현실, 문화, 그리고 더 나아가 하나님의 세계에 대한 궁극적인 의미와 연관이 된다. 본 연구는 현재 세계 내 정치윤리적인 현실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되, 리얼리즘이나 리얼리티에 대한 보다 광의적이고 심층적인 해석을 통해 인간의 역사와 문명에 대한 반성과 함께 책임을 묻다. 본 논문은 니버의 ‘현실주의’라는 개념 대신 ‘리얼리즘’으로 통일하며 일반적으로 ‘실재’ 또는 ‘현실’로 해석되는 리얼리티(reality) 개념도 문맥의 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의미의 지평을 확대해서, ‘리얼리 티’라는 단어의 의미를 유지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니버가 이해하는 ‘신학적 리얼리즘’이나 ‘리얼리티’의 개념이 정치적 현실의 문제를 넘어서, 신과 연관된 존재론을 통하여 책임적 자아, 그리고 무엇보다도 포스트 코로나19 시대에 공공신학의 이론을 구축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길을 제시한다. This study studies theological realism of Reinhold Niebuhr. This study provides an opportunity to think more broadly about the traditional ‘realist ethics’ used in Christian political theology. The Korean meaning of ‘realism’ or ‘reality’ can be interpreted in a variety of ways like ‘exist,’ ‘realism,’ ‘fact,’ ‘straightforward,’ ‘status,’ ‘situation,’ ‘temporary,’ ‘phenomenon,’ ‘misery’ and even ‘reality of the kingdom of God,’ which is given in grace beyond all conditions of reality. From this point of view, Niebuhr’s theological realism opens the horizon for human existentialism, which allows us to interpret the present problems in the world in greater depth. This paper holds the meaning of the word ‘reality,’ expanding the horizon of meaning to suit the context of the context. Therefore, this paper presents a way for the concept of ‘theological realism’ or ‘reality’ understood by Niebuhr to go beyond the problem of political reality, to help build the theory of responsible self through the theory of existence associated with God, and, above all, public theology in this post-Corna19 era.

      • KCI등재

        리얼리즘 시의 발화 특성 : 반복, 멸거, 관습적 비유와 가치 평가적 수식어를 중심으로

        장석원(Jang Seok-won) 韓國批評文學會 2012 批評文學 Vol.- No.43

        국권 상실, 일제 강점기, 해방, 한국전쟁, 4·19, 5·16, 군사 독재, 광주 항쟁, 민주화 운동 등으로 이어지는 한국의 역사와 시의 관계는 문학 예술의 사회적 가치를 평가하는 중요한 척도였다. 리얼리즘 시의 역사적 맥락은 일제 강점기의 카프 문학에서 시작되었다. 정치 이념 성향으로 나뉘는 좌·우익과 관계없이 역사적 사건에 대응하는 시의 실천적 양식으로 리얼리즘의 맥락을 확대시킬 수 있지만, 한국에서 리얼리즘 시는 정치적으로 현실 참여적 작품을 의미할 수밖에 없다. 이렇게 볼 때 한국의 리얼리즘 시를 포괄하는 요소로 우선 '좌파'라는 이데올로기적 특성이 부각된다. 1980년대의 민중시, 노동시 역시 이러한 이념적 특성을 설득력 있게 제시한다. 이념적 특성을 근간으로 할 때, 리얼리즘 시를 구별하는 중요한 기준으로는 정치적 현실이 내용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리얼리즘 시의 핵심 기준은 시의 내용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리얼리즘 시의 내용적 특성에 근거하여 한국 리얼리즘 시의 형식적 특성을 개관한다. 이를 위해 일제 강점기, 해방, 1980년대라는 중요한 역사적 시기를 선택하고 세 시인의 작품을 논의의 대상으로 삼는다. 시대적 맥락에 의해 각 단계의 역사적 목표에는 차이가 있다. 광복, 근대국가 건설, 민주화라는 각 시대의 커다란 이념적 목표와 시의 대응 관계 에는 공통점이 있다. 당대의 역사 목표를 이루기 위해 시는 민중을 각성시키고, 투쟁의 현장에서 선동의 무기로 사용되고, 올바른 미래상을 제시하는 이념적 도구로 사용되었다는 것이다. 카프의 이론적 수장으로 자신의 시에 카프의 이념을 투영시킨 임화, 해방공간에서 노동자 전위 시인으로 활동한 김상훈, 1980년대 현장 투쟁가로 활동하면서 제주도 4·3 항쟁의 진실을 알리기 위해 장시 『한라산』을 써서 필화사건으로 구속된 이산하. 이상의 세 시인의 작품에 드러난 형식적 특성을 통해 이 논문은 리얼리즘 시의 문학적 공통 양식을 추출할 것이다. 역사 현실에 대응한다는 이념적 당위 속에 시를 구성하는 형식적 동일성이 존재한다는 가정 하에서 이 논문은 리얼리즘 시의 문학사적 흐름의 지속 과정에서 형성되는 내용과 형식의 일관된 관계를 찾아볼 것이다. 시대별 역사 현실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표현하여 역사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시가 어떤 형식적 장치를 사용하는가에 대한 논의 과정에서 리얼리즘 시의 목적 문학적 특성이 드러날 것이다. 세 시인의 작품에 사용된 반복과 열거, 관습적 비유와 가치 평가적 수식어를 통해 리얼리즘 시의 공통 양식을 찾아본다. 리얼리즘 시의 형식적 특징은 시의 목적성과 연결된다. 역사 현실에 직접 참여하여 그것의 변혁을 시의 일차적 목표로 삼는 리얼리즘 시에서 내용은 형식보다 우위에 선다. Realism poems are closely related to historic events. In Korean, the term 'realism poetry' is used to refer to a certain trend in literature.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historic events and poetry exerts a significant influence on setting the scope of the term. The relationship, which was established b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history, is based on the undisputed idea that poetry contributes to revolutionizing society. Therefore, poetry should disclose unknown historic events and make the public acquainted with them, enlighten the public, educate laborers and encourage them to fight, and present the image of a desirable future. Certain concepts such as imperialism, dictatorship, revolution, suppression, exploitation, liberation, and public are an ideological basis for realism poems.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s of Korean realism poem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contents. In the study, three important historic periods-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liberation period, and the 1980s-were selected to discuss the works of following three poets: Im Hwa, who projected KAPF's ideology in his poems as an ideological leader of KAPF; Kim, Sang-hun, who worked as a poet representing laborers in liberated Korea; Lee, San-ha, who was arrested in the 1980s for writing a long poem, Mountain Halla which reveals the truth about the April 3 Jeju uprising. This study extracted the common literary style of realism poems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s of the three poets' works. The undisputed idea that poetry should deal with historic events becomes the basis for establishing uniformity in the forms of poems. This study examined the consistent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 and content which had been built during the development of realism poetry. In spite of historical differences in each period,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realism poetry will be revealed in discussions about what formal devices were employed in realism poems in order to express historic events. Therefore, the study tried to find the common style of realism poems through repetition and enumeration, customary metaphors, and modifiers evaluating values which were employed in the works of the three poets.

      • KCI등재후보

        하이퍼리얼리즘에 나타난 파생실재이미지(Image of Hyperreality) 연구

        박경애 ( Kyeong Ae Park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6 예술과 미디어 Vol.15 No.2

        현대미술에서 실재에 관한 논의가 자리하는데 있어 하이퍼리얼리즘(Hyperrealism)은 중요하다. 하이퍼리얼리즘이 관여하는 실재는 하이퍼리얼리티이다. 다른 말로 ‘파생실재’라고도 불려지는데, 이는 인위적으로 만든 가상실재이다. 가상실재는 현대미술의 한 언저리에서 파생실재이미지를 전면에 내세운다. 파생실재이미지의 특이점은 원 실체에 주목하지 않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파생실재이미지에 관한 논쟁은 ‘리얼리즘 이상의 리얼리즘’이 제시하는 화면으로 시선이 집중된다. 이제 “이미지는 실재와 무관하다”는 보드리야르식의, 실체와 관계없음에 대한 사유는 이미 많은 이들의 논쟁거리가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하이퍼리얼리즘을 연구하는데 있어 중요하다. 본고에서는 하이퍼리얼리즘을 초기적 측면과 동시대적 관점으로 구분해 각각의 파생실재이미지를 분석한다. 초기 하이퍼리얼리즘이 세상을 객관적으로 보는 것에 관한 것이라면, 동시대 하이퍼리얼리즘은 작가의 내적 공간에 관한 것이다. 때문에 이 글은 하이퍼리얼한 이미지의 시대적 관점에서의 재해석, 즉 파생실재이미지에 대한 재고찰이 중심을 이룬다. 하이퍼리얼리즘에서 창조된 초현실(하이퍼리얼리티)은 또 다른 기호를 산출하며 기호 스스로가 하나의 주체가 된다. 여기서의 기호는 어떠한 근원도 어떠한 지시대상도 찾을 수 없는 하이퍼리얼리티의 기호이다. 본고는 하이퍼리얼리즘의 역사성과 현재적 의미를 이해하려는 목적으로, 초기 하이퍼리얼리스트인 리차드 에스테스와 척 클로스의 주요 작품과 동시대 하이퍼리얼리스트인 마크 데니스의 작품을 분석하고자 한다. 에스테스와 클로스 등의 초기 하이퍼리얼리스트들은 객관적으로는 현실을 건조하고 냉엄하게 바라보고 주관적으로는 감정을 철저히 배제한 이미지를 구사해, 오로지 감상자의 눈과 정서로만 화면을 읽어내도록 하고 있다. 이에 반해 동시대 하이퍼리얼리스트인 마크 데니스의 화면에서는 작가의 감정적 텍스트가 확연히 보이는 자세를 취한다. 도시의 무의미한 거리를 빛의 반사를 통해 자신의 프레임으로 새롭게 화면을 구성해낸 에스테스와, 회화의 오랜 주제인 초상화를 하이퍼리얼리즘으로 번역한 클로스는 감상자에게 새로운 미적 경험을 선사한다. 사진을 작업의 도구이자 수단으로 사용한 이들 작가들의 작품에선 사진과 복제, 실물과 복제의 구분이 사라진다. 데니스의 그림은 우리에게 이미 익숙한유명 작품이미지를 차용해 자신의 의미론적 해석을 덧붙이는 방식으로 작업을 한다. 데니스의 이미지에서 읽혀지는 환영적 방식은, 여러 대가(大家)들의 원작이지니는 의미를 해체하고 왜곡시키면서 자신의 시뮬라크르한 코드를 입력시키는방식을 취한다. 그의 화면에서 보여 지는 시뮬라크르한 이미지는 차용된 화면 위에 작가의 감정이 추가된, 원본과는 전혀 상이한 파생실재이미지다. 이들이 만들어낸 새로운 화면은 원래의 대상을 소멸시키며 시뮬라크르를 잉태한다. 다시 말해 에스테스와 클로스, 데니스가 보여주는 극사실적 화면은 원래 대상이 가지고있는 실재 그 이상의 실재를 보여주며 스스로 실재가 된다. 이는 모사된 이미지가 실재를 대체하는 상황을 시뮬라시옹의 공간으로 정의하면서 모사할 실재가 없어진, 실재보다 더 실재 같은 세계를 하이퍼리얼리티의 세계로 언급한 보드리야르의 개념과 그 맥을 함께 한다고 볼 수 있다. 보드리야르의 주장대로라면 실재로부터 해방된 이미지는 실재보다 더 실재적인 것을 만들 수 있다. 이러한 하이퍼리얼리즘의 이미지는 현대사회의 특징과 결부된 중요한 흐름 중 하나로 정의될수 있다. 특히 마크 데니스의 이미지가 던지는 파생실재의 강한 충격은 21세기 하이퍼리얼리즘의 현재적 의미를 설명하기에 적절한 암시가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요컨대 본 논의를 통해 시대를 아우른 하이퍼리얼리즘의 특성을 정초(定礎)할수 있었다는 데 그 의의를 둔다. To have a discussion about the existence place in contemporary Hyperrealism is important. The existence is that this hyperrealism involved hyperreality. In other words, it called ``hyperreality``, which is artificially created by virtual reality. Virtual reality is nominate in front of the image of hyperreality from one edge of the contemporary art. Singularity of the image of hyperreality will not pay attention to the original entity. For this reason, the debate on the image of hyperreality is gaze focused on the screen to present a ``realism beyond realism``. Now "image has nothing to do with reality" no reason for the relationship with the reality of Baudrillard``s, are already many of these debates. These critical mind are important for study the hyperrealism. In this hyperrealism and to distinguish the initial aspect and contemporary perspective to analyze the respective image of hyperreality. If the initial hyperrealism of seeing the world objectively, contemporary hyperrealism relates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artist. Since this article forms a reinterpretation center for the study, that image of hyperreality from the perspective of contemporary hyperrealistic images. The surreal(hyperreality) created from the hyperrealism produces another symbol that becomes single subject by itself. This symbol is hyperreality’s symbol that can’t find any source or referent. This article tries to analyse the works of early hyperrealists Richard Estes and Chuck Close with the object of understanding historicity and characteristic of hyperrealism. Early hyperrealists like Estes and Close objectively look the reality with dryness and coldness and subjectly make use of image that exclude feeling thoroughly, which makes appreciators read off screen with their eyes and emotion. Per contra the screen of contemporary hyperrealist Marc Dennis take the posture of showing the emotional text of artist. Estes who constitutes meaningless streets of city to screen through reflection of light with his own frame afresh and Close who translates portrait, the old theme of painting, to hyperreality present new aesthetic experiences to the appreciators. The distinction between photographs and copies and the distinction between real materials and copies disappears in these artists’ works using photographs as tools and means of work. Dennis’ pictures was made in the manner of adding own semantic interpretation borrowing famous works’ images familiar to us. The manner of phantasm was read in Dennis’s image adopt the way of inputting his own code of Simulacre dismantling and distorting meaning of several maestro’s original works. The image of Simulacre read in his screen is image of hyperreality, that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original work, being added emotion of the artist. The new screen made by these artists gestates Simulacre putting original object out of existence. In other words, extremely realistic screen that Estes, Close and Dennis show becomes existence by itself showing existence beyond existence that original object has. This is in the line with Baudrillard’s concept that refer world of more actual than existence, world that existence disappears to world of hyperreality defining Simulation’s space as situations of substituting existence with copied images. According to Baudrillard’s opinion, image liberated from existence can make things that more actural than existence. This image of hyperrealism can be defined as one of the important flows associated with characteristic of modern society. It seems that especially the strong impact of hyperreality castered by image of Marc Dennis can be a proper implication to explain the current meaning of 21st century. In the last this article has a significance that forming the foundation of characteristic of hyperreality embracing periods.

      • KCI등재

        앙드레 바쟁의 리얼리즘 이론에 대한 재론

        정헌(Jeong, Heon)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5 씨네포럼 Vol.0 No.22

        본 논고는 앙드레 바쟁의 영화 존재론에 대해 재검토한다. 일반적으로 바쟁의 영화 미학은 ‘사진적 존재론’에 기초한 리얼리즘 이론으로 간주되어 왔다. 즉, 바쟁의 리얼리즘 이론은 주로 이미지의 현실모방성과 지표적 인과관계에 초점을 맞춘 채 논의되어 왔다. 하지만, 1990년대 중반 이래 디지털 시네마 시대의 본격화는 바쟁의 리얼리즘 미학을 새롭게 재해석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왜냐하면, 디지털 테크놀러지의 발전과 함께 영화 예술은 현실의 재현과 모방을 넘어 보다 자유로운 합성과 변형의 시대로 접어들기 때문이다. 영화 예술이 사진적 복제를 넘어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합성의 시대로 나아갈수록 리얼리즘 미학의 복합적 성격이 강화된다. 이런 맥락에서, 바쟁의 영화 리얼리즘을 이미지의 객관성과 공간적 모방의 견지에서 편협하게 이해하는 견해들은 적극적으로 수정될 필요가 있다. 비록 바쟁이 사진화학적 이미지의 ‘객관적 리얼리티’를 강조했다할지라도, 그는 영화 이미지의 물질적 모호성과 복잡성, 주체와 스타일, 예술적 표현의 중요성을 동시에 강조했다. 그러므로, 바쟁의 사진적 존재론은 지표성의 의미를 넘어 영화적 상상력의 확장이라는 면에서 보다 풍부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이 글은 리얼리즘에 대한 바쟁의 복합적 시각을 재검토함으로써 디지털 시대의 리얼리즘 미학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화 리얼리즘은 현실에 대한 지표적 모방과 재현의 개념을 넘어선다. 디지털 리얼리즘은 물질과 이미지, 복제와 합성, 지표성과 환영성, 객체와 주체, 운동과 시간의 복합적 결합과 잡종성(hybridity)을 의미한다. 컴퓨터 합성 이미지에 기초한 새로운 리얼리즘 이론은 현실과 이미지의 이분법을 넘어, 실재성과 가상성이 뒤섞이는 새로운 디지털가상성의 영화 미학으로 나아간다. This article recounts André Bazin"s realism of photographic images. In general, his aesthetics of cinematic realism has been considered as photographic ontology of cinema that means the film theory of reproduction and imitation. As it were, it implies that film images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indexicality and causality of reality. However, there is an urgent necessity to review Bazin"s concept of realism in the advent of digital era. This is because computer-simulated images raise questions of the authenticity of reproduced images. The cinematic technology of computer synthesis creates the cinematic aesthetics of transformation and configuration beyond filmic imitation and reproduction. In this sense, Bazin"s cinematic ontology should be reinterpreted in terms of the new realism. Bazin"s realism means neither the ontology of objective reality nor the aesthetics of spatial imitation. Although he indicates the importance of photographic reality, he simultaneously highlights the ambiguity and complexity of material images, and the subjective expression and cinematic styles. Therefore, Bazin"s photographic ontology should be understood with the implication of the combination of material-image, objectivity-subjectivity, and space-time beyond indexicality and causality. Consequently, this article argues the new aesthetics of realism in digital era by reviewing Bazin"s theory of photographic images. It goes beyond the cinematic imitation and representation of real world. The digital realism implies the hybridity and complexity of material and image, reproduction and synthesis, actuality and virtuality, indexicality and imagination. and objectivity and subjectivity. The new realism based on computer simulation and synthesis moves toward the hybrid aesthetics of digital virtuality beyond the dichotomy of the reality and the image.

      • KCI등재

        유치진의 리얼리즘을 토대로 한 로맨티시즘과<목격자> 공연

        김재석 한국극예술학회 2021 한국극예술연구 Vol.- No.71

        이 논문에서는 리얼리즘을 토대로 한 로맨티시즘을 통해 유치진의 1930년대 후반기 리얼리즘 연극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리얼리즘을 토대로 한 로맨티시즘의 모호성에 대한 당대 예술인들의 비판과 유치진의 대응, 그리고 <목격자> 공연에 주목하였다. 유치진은 <춘향전>(1936)을 공연하면서 리얼리즘을 토대로 한 로맨티시즘 연극이라 주장 했으나, 여타 극단이 공연한 <춘향전>의 낭만성과 어떤 차이가 나는지를 분명하게 설명하지 못했다. <춘향전>의 각색 의도에 나타난 바를 종합해보면, 리얼리즘을 토대로 한 로맨티시즘 작품이 지녀야 할 조건의 첫째는 이상을 추구하는 의지적 주동인물의 존재이며, 둘째는 느슨한 인과관계에 의한 극 전개, 셋째는 이상적 결과의 제시 의한 낭만성 부각이다. <춘향전>을 공연할 당시 유치진은 “이런 것이 존재 될 수 있는지 없는지 나는 모릅니다”라고 밝힐 정도로 리얼리즘과 로맨티시즘의 결합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다. 그는 리얼리즘과 로맨티시즘의 관계에 대한 임화의 설명을 차용함으로써 이론의 모호한 부분을 메우려 하였다. 그러나 리얼리즘을 토대로 한 로맨티시즘 연극의 실체를 <춘향전>으로 분명하게 보여주지 못한 탓에 유치진에 대한 비판이 계속 이어졌다. 그는 ‘리얼리즘의 심장’을 강화하는 로맨티시즘 효과를 <개골산>(1938) 창작에서 보여주고자 하였으나, 임화로부터 리얼리즘 연극으로 자격 미달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맥스웰 앤더슨의 <윈터셋>(Winterset)을 <목격자>(1938)로 제목 바꾸어 공연에 착수하면서, 유치진은 리얼리즘을 토대로 한 로맨티시즘의 미국 연극이라고 설명했다. 그의 시각에 따라 <윈터셋>을 분석해보면, 이상을 추구하는 의지적 주동인물인 미오(Mio)가 있고, 인과관계가 느슨한 극 전개와 미리암네(Miriamne)를 위시한 여러 인물들이 죽음을 각오하고 진실을 외치는 이상적 마무리에 의해 작품의 낭만성이 부각되고 있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유치진의 <윈터셋>의 충실한 재현을 목표로 공연하지 않았고, 식민지조선의 리얼리즘을 토대로 한 로맨티시즘극으로 만들고자 했다. 그는 미오와 트록의 대결구도로 극을 단순화 시켰으며 운문 대사를 버리고 산문 대사로 공연하였다. <목격자>는 불리한 위치에 놓인 자신의 처지를 역전시켜보려는 유치진의 의도에서 공연되었다. 유치진은 사코-반제티 사건과 연계성을 가진 리얼리즘 연극 <윈터셋>을 선택하여 리얼리즘을 토대로 한 로맨티시즘 작품의 지향점을 평론가들이 알게 하였다. 그 후 사코-반제티 사건을 지우고 자신의 의도에 맞추어 연출된 <목격자>의 공연을 통하여 리얼리즘을 토대로 한 로맨티시즘 연극은 본래 대중성이 강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을 그들이 인정하게 만들었다. 유치진의 기획 의도는 성공을 거두었으나, <목격자> 공연은 1930년대 후기 유치진 리얼리즘 연극이 자가당착에 빠져 새로운 길을 모색할 동력을 상실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유치진이 자가당착의 상태에 놓이게 된 것은 연극대중화 전략의 변화에 따라 리얼리즘 연극의 소재를 바꾸는 방식으로 창작을 지속 해온 결과이다. 그가 지키겠다고 강조하고 있는 ‘리얼리즘 연극 창작’과 연극 대중화를 위한 그의 ‘공연우선주의’는 상호 충돌할 수밖에 없는 이질적 입장이다. <윈터셋>은 사코-반제티 사건이 발생하게 된 문제의 근원과 사회적 치부를 직시하는 작가의 리얼리즘 정신...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Yoo Chijin's realism plays in the late 1930s through romanticism based on realism. To this end, the focus is on the contemporary artists' criticism on the ambiguity of romanticism based on realism, Yoo Chijin's response and the performance of MokgyeokjaWhile performing Chunhyangjeon(1936), Yoo Chijin claimed that it was a romanticism play based on realism, but he failed to explain clearly how it was different from Chunhyangjeon performed by other theater companies. To sum up what appeared in his intention of adapting Chunhyangjeon, the first of the conditions that a romanticism play based on realism must have is the existence of a willing protagonist who pursues ideals, the second is the development of the play by loose causal relationship, and the third is the emphasis on romantic nature by presenting the ideal results. At the time of the performance of Chunhyangjeon, Yoo Chijin lacked an understanding of the combination of realism and romanticism to the extent that he said, "I don't know if it could exist or not." He tried to fill the ambiguity of the theory by borrowing Im Hwa's expla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alism and romanticism. But the criticism on Yoo Chijin continued because the substance of a romanticism play based on realism was not clearly shown in the performance of Chunhyangjeon. He wanted to show the romanticism effect that reinforces 'the heart of realism’ with Gaegolsan (1938), but was criticized by Im Hwa for lacking qualifications as a realism play. As Yoo Chijin changed the title of Maxwell Anderson's Winterset to Mokgyeokja (1938) and embarked on the performance, he explained that it was an American romanticism play based on realism. Analyzing Winterset according to his perspective, it can be seen that the romantic nature of the work is highlighted by the willing protagonist of pursuing ideals, Mio, the development of a play with a loose causal relationship, and the ideal finish of various characters, including Miriamne, preparing for death and shouting the truth. He did not perform Winterset with the aim of its perfect reproduction ; he simplified the play by the confrontational plot between Mio and Troc, discarded the verse lines and used prose lines in the performance. Mokgyeokja was performed with the intention of Yoo Chijin to try to reverse his unfavorable position. Yoo Chijin selected the realism play, Winterset which is linked to the Sacco and Vanzetti Case, to let the critics know the direction of a romanticism play based on realism, and made them admit that a romanticism play based on realism has a strong characteristic of its original popularity through the performance of Mokgyeokja which erased the Sacco and Vanzetti Case and was directed to fit his intention. Although Yoo chijin's intention to plan was successful, the performance of Mokgyeokja showed that his realism plays of the late 1930s lost its momentum to seek a new path due to self-contradiction. The reason why Yoo Chijin was in a state of self-contradiction was that he had continued to create in a way that varied the material selection of realism play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in the strategy of theater popularization. His emphasis on 'creating realism plays' and his 'performance first principle' for the theater popularization were inevitably heterogeneous positions in conflict. Winterset is the work where the author's realism spirit is alive, facing the roots of the problem that led to the Sacco and Vanzetti Case and the social disgrace. Yoo Chijin was well aware of the fact, but he, who was immersed in the performance first principle position, did not have the courage to return to the problematic subjects of the time and fight against censorship. In the end, Yoo Chijin ended the 1930s without finding a way other than giving up his creative work.

      • KCI등재

        3D 콘텐츠의 리얼리즘 특성 고찰 - 3D 이미지 게임과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

        강태흔(Kang, Tae-Heun)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24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75

        디지털 제작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3D 영상을 활용한 게임과 애니메이션 분야에서의 리얼리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초사실적인 영상들을 목표로 삼아, 서로의 특징들을 흡수하고 융합적인 콘텐츠로 발전시키고 있다. 현재는 4차 산업 혁명의 영향으로 게임과 애니메이션의 리얼리즘 특징을 융합하여, 감각 기술과 상호작용 기술을 결합한 가상현실 콘텐츠가 등장하면서 사용자에게 현실과 같은 몰입감을 제공하고 있다. 리얼리즘은 현실을 그대로 묘사하거나 사물과 사건을 실제로 경험한 것처럼 표현하는 예술적인 접근법으로 정의되어진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여러 형태로 변형되어 왔으며, 사실적인 것을 표현하는 것만이 아니라 주관적인 시각이나 표현적인 방법을 통해 새로운 형태로 재해석되기도 한다. 디지털 영상에서의 리얼리즘은 외형적 특징과 내적 본질을 현실적으로 담아내려는 노력을 하였고, 예술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기술적인 측면까지 탐구되어 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리얼리즘을 추구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분야에서의 영상 활용에 중점을 두고, 게임과 애니메이션의 리얼리즘 특징들을 분석하고, 이들을 융합한 가상현실 콘텐츠의 리얼리즘을 탐구해 본다. 게임에서의 리얼리즘은 캐릭터와 게임 속 시대적 배경이 반영된 외형적 표현과 함께 플레이어 시점으로 몰입감을 높여주는 커뮤니케이션적 특성을 갖추고 있다. 한편, 애니메이션에서는 과장이라는 고유의 특징으로 인해 현실을 반영한 스토리를 바탕으로 새로운 세계를 재창조하여 공감을 만들어낸다. 또한 과장과 현실의 움직임이 만들어내는 것 또한 애니메이션적 리얼리즘으로 해석될 수 있다. 기술적 발전과 더불어, 게임과 애니메이션의 융합한 콘텐츠는 게임적 리얼리즘과 애니메이션적 리얼리즘의 특징을 결합하여 초현실적인 영상뿐만 아니라 오감을 이용한 체험과 사용자의 주관적인 경험을 통한 융합적 리얼리즘을 형성하고 있다. 3D 디지털 콘텐츠에서 리얼리즘 특징과 융합된 콘텐츠를 통해 앞으로의 기술과 예술의 융합을 통한 새로운 가능성과 경험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advancement of digital production technology has led to active research on realism in the fields of games and animations using 3D imagery. Currently, virtual reality content that combines the realism characteristics of games and animations under the influenc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emerged, providing users with a sense of immersion like reality. Realism is defined as an artistic approach to portraying reality as it is, or to express things and events as if they were actually experiencing them. It has been transformed into various forms over time, and it is reinterpreted into a new form through subjective perspective or expressive methods as well as expressing realistic things. Realism in digital images has made efforts to realistically capture external characteristics and inner essence, and not only artistic aspects but also technical aspects are being explored. This paper focuses on the use of video in the field of digital content that pursues realism, analyzes the realism characteristics of games and animations, and explores the realism of virtual reality content that combines them. Realism in the game has communicative characteristics that enhance immersion from the player’s point of view, along with external expressions that reflect the character and the periodic background in the game. On the other hand, animation has the characteristic of recreating a new world based on a story that reflects reality, due to the unique characteristic of exaggeration,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animation. The movements created by exaggeration and movement of reality can also be interpreted as animation realism. The convergence of game and animation combines the characteristics of game realism and animation realism to form fusion realism through not only surreal images but also experiences using the senses and subjective experiences of users. It is expected that new possibilities and experiences will be able to be explored through the convergence of technology and art in the future through contents combin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realism in 3D digital content.

      • KCI등재

        70년대 리얼리즘 논쟁에서 ‘진실한 리얼리즘’의 문제 - 김현과 최인훈의 논의를 중심으로 -

        신제원 한성어문학회 2023 漢城語文學 Vol.50 No.-

        본 연구는 최인훈과 김현의 문학론 등에서 발견되는 논리적 유사성에 관한 최근의 연구 성과에 근거하여 이들의 ‘리얼리즘’ 논의를 상호 참조에 초점을 두어 분석한다. 70년도의 리얼리즘 논쟁에서 김현은 서구의 로브그리예 등을 참조하여 기존의 리얼리즘을 비판한다. 이때 김현의 주된 논거 중 하나는 최인훈의 소설 속 담론이다. 최인훈과 김현의 논리는 특히 ‘리얼리즘’에 관한 부분에서 상당히 겹친다. 최인훈과 김현은 리얼리즘을 재전유하고 ‘진실한 리얼리즘’을 내세우지만 새로운 문예 사조를 지향하지는 않는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가 크게 주목하지 않았던 이러한 사실에 대해 문제 제기하고 논증하면서 다음의 두 가지 사실을 밝히고자 했다. 첫째는 최인훈과 김현의 리얼리즘론의 실상은 표현주의에 가깝다는 점이다. 그러나 그들은 리얼리즘을 다시 쓰는 전략을 취했다. 둘째, 이들의 리얼리즘에 관한 입장은 근대성에 관한 문제의식을 내포하며, 당대 한국의 근대성의 문제는 그것의 역사적 연속성이나 자생의 문제와 결부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 부분에서 리얼리즘 다시쓰기의 의도를 유추해 낼 수 있다. 김현의 리얼리즘론을 최인훈이라는 참조점을 경유해서 해석할 때 리얼리즘 양식의 실질과 우리 현실을 일치시키려는 합리성 추구의 노력과 근대와 근대문학의 계보와 연속성을 재인식하려는 시도를 읽어낼 수 있다. Based on recent research on the logical similarities found in the literary theories of Choi In-hoon and Kim Hyun, this study analyzes their debates on ‘realism’ with a focus on cross-references. In the realism debate of the 1970s, Kim criticizes conventional realism by referring to Alain Robbe-Grillet and others in the West. One of Kim's main arguments is the discourse in Choi In-hoon's novel. Choi In-hoon's and Kim Hyun's logic overlaps considerably, especially when it comes to ‘realism’. Choi In-hoon and Kim Hyun reappropriate realism and advocate ‘true realism’, but they do not aim for a new literary school of thought. This study attempts to problematize the above facts, which have been largely ignored by existing research, and to reveal the following two facts through argumentation: first, Choi In-hoon and Kim Hyun's realism is actually expressionism, but they have adopted a strategy of rewriting realism; second, their stance on realism implies a questioning of modernity, and the problem of modernity in contemporary Korea is tied to the problem of its historical continuity or self-generation. This is where we can infer the intention of rewriting realism. When interpreting Kim's theory of realism through the reference point of Choi In-hoon, we can read the pursuit of rationality to match the substance of the realist style with our reality, and the attempt to recognize the genealogy and continuity of modernity and modern literature ane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