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뉴실버 세대의 패키지 디자인 원리와 상품 구매동기의 관련성 분석

        김영석,박규원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1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9 No.2

        정보화 사회에서는 아무리 좋은 물건이라도 ‘사람들이 알지 못하면 팔 수 없다’는 이유 때문에, 디자인 감각의 대부분이 상품의 특징을 시각적으로 인상 깊게 하는 수단으로 동원되는 것이 현실이다. 이것은 항상 새로운 것, 다시 말하면 겉보기에 의외성이 있는 것, 혹은 아름다운 것이 늘 디자인에서 요구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면 패키지 디자인도 예외가 아니다. 패키지 디자인은 상품의 신분을 분명히 해 주며, 소비자가 그 상품에 대해 구매충동을 일으키고, 제품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보호하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패키지는 적절한 값(Price), 우수한 제품(Product), 적절한 시장(Place), 활발한 판매촉진과 광고(Advertising), 치밀한 시장계획(Sales Plan)을 적용하여 시대적 분위기를 업그레이드하여 소비자의 구매동기를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뉴 실버세대의 구매동기와 패키지 디자인의 관련성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패키지 디자인의 원리를 독창성, 감성, 차별성, 편리성, 신뢰성, 심미성 등으로 설정하고 이들 원리에 대한 선행연구와 문헌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기초연구를 바탕으로 새로운 소비층인 45~65세 미만의 뉴 실버세대의 구매동기와 패키지디자인의 관련성을 가설로 설정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는 3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패키지 디자인 원리로 제시된 독창성, 감성, 차별성, 편리성, 신뢰성, 심미성은 구매동기와의 관련성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남으로써 뉴 실버세대의 구매동기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이 전체적으로 지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뉴 실버세대의 구매동기에 가장 영향력을 크게 미치는 요인은 ‘감성’ 요인이며, 셋째, 젊은 세대에게 높게 나타난 ‘실용성’의 원리가 뉴 실버세대의 경우에는 다른 요인보다 상대적으로 영향력 낮으므로 ‘실용성’보다 ‘차별성’, ‘독창성’ 등을 더 중시해야 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뉴 실버세대를 고객층으로 하는 패키지 디자인의 경우에는 무엇보다도 ‘감성’의 원리를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패키지 디자인의 전략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on the analysis of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purchase motivation and package design for the New Silver. To this end, the principles of package design as been set on the following elements; creativity, emotion, differentiation, convenience, reliability and aesthetics. Research on these package design elements by former studies and literature review has been conducted. Based on these basic studies, interrelation between purchase motivation of the New Silver, new group of consumer with ages of 45-65, and package design has been set as hypotheses. This hypotheses is tested through a survey.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in three. First, the package design principles, such as creativity, emotion, differentiation, convenience, reliability and aesthetics, showed similar statistics on purchase motivation. Therefore, it is conclusive the elements of package design does support the overall hypotheses - the package design elements does have an affect on New Silver purchase motivation. Second, 'emotion' factor has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on purchase motivation of the New Silver, followed by the 'aesthetic' , 'differentiation', 'creativity', 'convenience' and 'reliability' factor respectively. Therefore, a package designed targeted for the New Silver should focus on the 'emotion' factor on the preferential basis than other elements. Third, 'convenience' factor, an element deemed so important to the young generation, has relatively less affect on the New Silver compared to other elements of package design. This result indicates 'differentiation' and 'creativity' factors should have more emphasis than 'convenience' factor. Therefore, it is suggestive that the package design targeted for the New Silver should have priority on the 'emotion' elements.

      • KCI등재

        공공디자인 정책 결정에 ChatGPT의 활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손동주,윤명한 서비스사이언스학회 2023 서비스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공공디자인 정책 결정에 있어 거대 언어 및 정보 모델인 ChatGPT가 기여할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해 공공디자인 가진 특징을 중심으로 연구했다. 공공디자인은 디자인의 원리와 접근법을 사용하여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공공서비스 개선을 목표로 한다. 공공디자인 정책과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일반 현황, 인구 현황, 인프라 현황, 자원 현황, 안전 현황, 정책 현황, 법규 현황, 경관 현황, 공간 현황, 공공디자인 현황, 지역 이슈 등 방대한 자료를 기반으로 한다. 따라서 공공디자인은 방대한 자료와 더불어 방대한 언어를 수록하는 디자인 연구 분야다. 인공지능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공공디자인의 중요성을 고려해 ChatGPT와 같은 거대 언어 및 정보 모델이 공공디자인 정책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와 함께, 공공디자인의 개념 및 원칙, 그리고 정책 개발과 실행에 대한 역할을 검토하고, ChatGPT의 개요 및 특징, 적용 사례나 ChatGPT의 선행 연구를 살펴 공공디자인 정책 결정에 활용할 수 있는지 연구했다. 연구 결과, ChatGPT는 공공디자인 정책 수립과정에서 방대한 언어 정보를 제공하고, 의사결정의 지원 역할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밝혔다. 특히, ChatGPT는 정책 수립과정에서 다양한 관점을 제공하고, 정책 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는 데 유용함이 있었다. 이와 함께 정부 정책 개발에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추세라는 것이 여러 논문을 통해 확인되었다. 하지만, ChatGPT의 활용에는 윤리적, 법적, 개인 프라이버시 등의 문제 또한 발견되었다. 무엇보다 윤리적인 문제가 제기되었으며, 편향성과 공정성 관련 문제 또한 나타났다. ChatGPT를 공공디자인의 정책 결정에 실질적으로 활용하려면, 첫째, 정책 개발자와 공공디자인 전문가의 역량을 일정부분 키워 활용해야 한다. 둘째, 가칭‘인공지능 정책 활용에 관한 조례’라는 법령(法令)을 마련해 법률(法律)적 정비가 이뤄지기 전까지 지속해서 보완해 가면서 활용하는 것이다. 현재로서는 이 두 가지 방안을 적용해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공공디자인 정책 결정에 있어 ChatGPT와 같은 거대 언어 및 정보 모델의 활용은 방대한 언어를 수록하는 디자인 분야에서는 활용할 가치가 충분하다는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tential contribution of ChatGPT, a massive language and information model,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public design policies,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inherent to public design. Public design utilizes the principles and approaches of design to address societal issues and aims to improve public services. In order to formulate public design policies and plans, it is essential to base them on extensive data, including the general status of the area, population demographics, infrastructure, resources, safety, existing policies, legal regulations, landscape, spatial conditions, current state of public design, and regional issues. Therefore, public design is a field of design research that encompasses a vast amount of data and language. Considering the rapid advancements i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the significance of public design,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massive language and information models like ChatGPT can contribute to public design policies. Alongside, we reviewed the concepts and principles of public design, its role in policy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and examined the overview and features of ChatGPT, including its application cases and preceding research to determine its utility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public design policies. The study found that ChatGPT could offer substantial language information during the formulation of public design policies and assist in decision-making. In particular, ChatGPT proved useful in providing various perspectives and swiftly supply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policy decisions. Additionally, the trend of utiliz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 government policy development was confirmed through various studies. However, the usage of ChatGPT also unveiled ethical, legal, and personal privacy issues. Notably, ethical dilemmas were raised, along with issues related to bias and fairness. To practically apply ChatGPT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public design policies, first,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capacities of policy developers and public design experts to a certain extent. Second, it is advisable to create a provisional regulation named 'Ordinance on the Use of AI in Policy' to continuously refine the utilization until legal adjustments are made. Currently, implementing these two strategies is deemed necessary. Consequently, employing massive language and information models like ChatGPT in the public design field, which harbors a vast amount of language, holds substantial value.

      • KCI등재

        설중매 상표디자인 리뉴얼 전략에 관한 연구

        박상규(주저자) ( Sang Gyu Park ),문재성(공동저자) ( Jae Sung Moon ),문수민 ( Soo Min Mu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3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44 No.-

        본 연구 결과 4개의 결론을 얻을 수 있었는데 먼저 5가지 디자인 시안 중에서 매화를 컨셉으로 한 디자인 시안의 호감도가 가장 높게 조사 되었다. 이 시안은 남성보다는 여성이, 40대보다는 30대가, 그리고 큰 차이는 없지만 부산보다는 서울에서 호감도가 높게 조사 되었다. 둘째, 남성과 여성의 성별에 따라 호감을 나타내는 디자인시안이 달랐다. 남성들은 매실을 컨셉으로 한 디자인 시안에 가장 높은 호감도를 보였으며, 여성들은 매화를 컨셉으로 한 디자인 시안에 가장 높은 호감도를 보였다. 셋째, 30대와 40대의 연령 차이에서도 호감을 나타내는 디자인 시안이 다르게 조사 되었다. 30대에서는 매화를 컨셉으로 한 디자인 시안이 가장 높은 호감도를 보였으며, 40대에서는 매실을 컨셉으로 한 디자인 시안에 가장 높은 호감도를 보인 것으로 조사 되었다. 넷째, 서울과 부산의 지역별 호감도가 가장 높은 디자인 시안은 모두 매화를 컨셉으로 한 디자인 시안으로 조사 되었다. 하지만눈(snow)을 컨셉으로 한 디자인 시안의 경우 서울(3.42)과 부산(2.56)에서의 호감도 편차(0.86)가 전체 편차 중가장 심한 것으로 조사 되었다. This study is to document favorability of 5 design drafts for trademark design change of Seulgungmae product, and differences in favorability based on gender, age and region. Four results were shown; firstly, there was the highest favorability from a design which has a concept with a Japanese apricot tree among those 5 design drafts. Specifically, women favoured this design more than men, 30``s favoured than 40``s and Seoul people favoured more than Busan people (not significantly though). Secondly, gender played a role to show a favorability difference in design draft. Male shows the highest favorability for the design draft with a Japanese apricot concept and female favoured the design draft with a Japanese apricot tree the most. Thirdly, age (30``s and 40``s) was another variable. While 30``s showed the highest favorability for the design draft with a Japanese apricot tree, 40``s favoured the design draft with a Japanese apricot the most. Finally, for the region variable, both Seoul and Busan showed the highest favorability for the design draft with a Japanese apricot tree. However, for the design draft with concept of snow, there was favorability variation (0.86) between Seoul(3.42) and Busan(2.56) which was the most significant variation.

      • KCI등재

        패션디자인 보호를 둘러싼 분쟁양상과 법적 쟁점 - 저작권법ㆍ디자인보호법 및 부정경쟁방지법상 판례를 중심으로 -

        차상육 한국지식재산학회 2010 産業財産權 Vol.- No.32

        This paper suggests that Copyright Approach appears to be better alternative for protection of fashion design when compared to design law or unfair competition law. However, for the solutions to the problems of implementing copyright for fashion, the Copyright Protection of fashion design is necessary to meet realistic needs and provide a realistic duration. In sum, the Copyright Act provide substantive protection to fashion design. In sum, a more substantive, stronger protection of fashion design can be found through the Copyright Act as works of applied art. This paper will be described with the following;In section Ⅱ, this paper will discuss whether or not fashion design currently is or could be protected under the copyright law, highlighting existing doctrines on useful articles and separability and comparing the US and Japanese legal approach to copyright protection for fashion design. The current copyright law will be maintain settled copyright principles concerning physical or conceptual separability and the useful article doctrine. However,highlighting the legislative intent of the provisions of works of applied art under the current copyright law, the court must not be continuing to uphold the traditional, restrictive interpretations of the Copyright Act and its provisions of works of applied art. Consequently, it is necessary to adopt a limited duration applied to the appropriate protection of fashion designs in addressing the concerns of the overprotection suchlike long-term duration (during the survival of the author and until 50 years after death). In section Ⅲ, this paper will discuss whether or not fashion design currently is or could be protected under the unfair competition law. Under the unfair competition law, a designer must show that the sale of a copy is likely to confuse the public, because the public has acquired a secondary meaning for mark. Fashion is notoriously ephemeral and transient. In fact, by the transient and seasonal nature of the fashion industry, the majority of designers will be defeated. Thus, the Dead Copy Prohibition provision was newly established and introduced as an act of unfair competition as Article 2,subparagraph (1), item (Ja) of the amended Act of Unfair Competition Law of 2004. The protection period is very short, only for 3 years as the minimun investment pay-back period. In section Ⅳ, this paper will discuss whether or not fashion design currently is or could be protected under the design law. Under the current Design Protection Act, protection is granted to a new, original and ornamental design for an article of manufacture. However, fashion designs have frequently held to have failed these requirements in the court decisions. Even if they met these requirements, the design right is difficult and expensive to obtain, and entail a lenthy examin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commentator, design law would appear to be a poor fit fashion design. Thus,A non-examination design registration system(Article 2, subparagraph (v))was introduced under the former Design Act(enforced on March 1, 1998). The design registration procedure of Korea is characterized by being referred to as the double track. In section Ⅴ, this paper will summarize conclusions.

      • KCI등재

        브랜드 디자인의 마케팅 평가요소 가이드라인 개발에 관한 연구 - 패스트푸드 브랜드 맥도날드를 중심으로 -

        양효,방경란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2 한국디자인포럼 Vol.27 No.3

        연구배경 코로나 시대의 영향으로 삶의 방식에 큰 변화가 발생하고, 음식문화 환경도 O2O커머스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었다. 특히, 패스트푸드 브랜드 분야에서는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위해 통합 디자인 커뮤니케이션의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기존의 디자인 평가요소 가이드라인은 세부적인 디자인 항목으로 평가 분석을 하는 경우에 집중되었다. 본 연구는 패스트푸드 브랜드 디자인 마케팅 전략에서 있어서 객관성과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브랜드 디자인 마케팅의 평가요소 가이드라인 개발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디자인 마케팅의 4Cs를 이론적 기반으로 브랜드의 외부 요소 분석과 디자인 마케팅의 내용을 재구성하여 3가지의 상위 평가요소와 6개의 하위 평가요소를 도출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커뮤니케이션디자인의 8가지 요소를 중심으로 관계성을 재구성함으로써 디자인 마케팅 전략을 위한 통합적인 가이드라인의 기준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최종적으로 도출하고 정리한 평가요소 6개와 이와 연관되는 총 23개의 세부평가 항목으로 정리한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내용은 ‘시각적’, ‘감성적’, ‘인지적’ 세 가지의 측면에서 소비자와 직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고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는지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개발하였다. 결론 개발한 가이드라인은 디자인 요소와 마케팅이 서로 결합하여 소비자와의 접점을 중심으로 전략화 하였다. 본 연구는 시각적 접근에서부터 감성적 접근, 인지적 접근 단계까지 포괄적이며 객관적인 평가 가이드라인 개발에 기여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개발된 가이드라인은 향후 브랜드 디자인 마케팅 평가를 위한 기초 자료로서 가치 있게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제품-서비스 통합 시스템을 통한 물리적 증거 도출 연구

        최성익(Sung Ick Choi),김원경(Won Kyoung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3

        기술의 발달로 전자제품의 컨버전스가 용이해지면서 제품의 수가 줄어들고, 탈 물질화가 가속화되면서 전통적으로 물질을 디자인해왔던 디자인의 영역이 축소되는 듯하다. 그러나 그러한 경향으로 인해 비물질적, 비가시적 영역의 디자인 또한 중요하게 되었다. 근래 제조업이나 기타 산업의 비중이 축소되고 서비스 산업 중심으로 경제가 빠르게 재편되면서 디자인의 비가시적 영역인 서비스 디자인이 디자인 영역에 화두로 등장하게 되었다. 그에 따라 기존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을 설명하고 국내에서 개발 중인 제품-서비스 통합 시스템(PSS, Product-Service Integrated System)기반을 활용한 헤어드라이기 관련 서비스 디자인을 진행하였다. 첫 번째로 Life Cycle Step과 E3 value를 통해 각각의 관련자들의 요구조건을 조사하고 그 둘과의 관계성 연구를 통해 “남성의 헤어 스타일링을 도와줄 수 있는 헤어용품 또는 헤어드라이기”라는 비즈니스 모델을 정하였다. Context 기반 PSS 행위 모델링을 통해 고객의 전후 맥락과 상황 변화에 따른 고객의 행위를 분석하였고, Service Blue Print를 통해 비즈니스 모델 아이디어 적용적과 적용 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Role Playing을 통해 도출된 비즈니스 모델 아이디어의 검증 및 분석하였으며, Customer Emotional Journey Map를 통해 각각의 상황에 따른 고객의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Business Model Canvas를 통해 비즈니스 모델의 전반적인 가치와 환경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비교분석을 통해 서비스 디자인이 제품-서비스 통합 시스템을 포함하는 광의적인 개념임을 밝히고 또한 고객은 물리적 증거를 통해 서비스를 선택 및 평가하고 그 서비스에 대한 신뢰와 믿음은 얻기에 통합적 디자인 커뮤니케이션의 각각의 영역인 제품디자인, 정보디자인, 아이덴티티 디자인, 디지털 미디어디자인, 공간디자인의 분야별 물리적 증거가 무엇이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has made convergence easier between digital electric products and it has seemed to shrink the realm of design that has designed things traditionally according to acceleration of the dematerialization of things. Due to such the trend, the design for immaterial and invisible area has been also important. Recent years, the share of manufacturing and other industries are shrinking rapidly and reorganizing to the service industry-oriented economy. Therefore, the services design which is the invisible realm of design emerges as a buzzword in the design area. Therefore, explained the existing service design methodology, and studied about a hair dryer through the utilization of ``Product-Service Integrated System`` (PSS) that had being developed in Korea. Firstly, investigated the requirements of the stakeholder through the Life cycle step and E3 value, and chose “A hair dryer or hair product that can help hairstyling for men” as business model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requirements came out from the those tools. Analyzed the customer`s behavior according to the customer`s situation changing through the context-based activity modeling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of service blue print of “before and after” applied the business idea. Analyzed and verified the idea of the business model through the role playing, and evaluated the customer`s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each situation through the customer emotional journey map. Finally, analyzed the value and the environment of the business model through the business model canvas. In those comparative analysis, studied that the service design was a broad concepts including ``Product- Service Integration System`` (PSS) and found the physical evidences in the area of space design, information design, identity design, digital media design and product design that were in the area of the integrated design communication because customers tended to select and evaluate the service and also obtain trust and faith through the physical evidences.

      • KCI등재

        업사이클(Upcycle) 에코패키지의 디자인 가치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운송포장재 사례를 중심으로-

        송지성(Song, Ji Sung),이민지(Lee, Min Ji)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7 No.2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 장기화로 대한민국은 몸살을 앓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 비대면 문화가 정착되면서 배달 포장 수요가 많아지고 그에 따른 폐기물 쓰레기 또한 엄청나다. 현재 국내 · 외 기업에선 친환경적인 에코패키지를 개발하여 적용하고 있다. 버려지는 제품에 친환경적인 디자인을 가미하여 전혀 새로운 용도의 예술성과 심미성, 기능성을 두루 가춘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재탄생시키는 작업, 인간과 자연환경을 고려한 디자인을 연구한다는 것은 우리 디자이너가 풀어나가야 할 지속적인 과제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최근 출시된 업사이클링 에코패키지 기업 사례를 바탕으로 디자인 가치 분석을 통해 독창적인 예술의 형태, 디자인의 개념을 확장하고 재해석하여 디자인의 활용범위를 넓게 표현하는 업사이클링 운송포장재 활용방안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환경문제에 대한 하나의 창조적인 대안으로서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범위 및 방법으로는 현재 출시된 에코패키지 및 업사이클링 운송포장재 14개의 국내 · 외 기업 사례를 바탕으로 가치 요소를 규정하여 대입 분석하였다. 가치요소의 분석 기준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공통적 가치요소 3가지(환경적, 경제적, 사회적)와 디자인 가치요소 4가지(매뉴얼아트, 스토리텔링, 트렌스포머, 스타일리시)를 도출하였다. 선행연구 조사결과 업사이클의 미적 가치 중 디자인의 형태적 가치만을 평가해보는 연구사례가 미비하였고 디자인의 형태적 측면을 디테일하게 분석하기 위해 앞서 말한 디자인 가치요소 4가지를 선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가치요소 분석결과, 에코패키지 운송포장재 사례 5가지에선 대체적으로 환경성, 경제성, 사용성, 진정성, 윤리성 등이 높은 빈도수로 측정되었다. 반면 업사이클링 운송포장재의 사례에선 생산성, 경제성, 판매성, 시장성의 요소들이 확연히 돋보이는 형태를 찾을 수 있었다. 에코패키지는 전반적으로 환경성과 공공성을 찾아 볼 수 있지만 새롭게 탄생되는 업사이클링의 에코패키지 제품에서 부각되는 가치요소는 환경성과 공공성에서 더 나아가 경제적 가치까지 포함한다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디자인가치요소 분석결과(형태) 업사이클링의 목적이 실용적인 측면으로 구성되는지, 예술 작품 쪽으로 발전되는지에 따라 확연한 차이를 볼 수 있었다. 기능적인 측면과 장식적, 감상적인 측면을 추구하는 매뉴얼아트는 생활용품으로 변형되는 업사이클링 사례에서 강한 빈도를 볼 수 있었으며 완전한 변형, 해체, 분해가 이루어지는 예술작품 업사이클링 사례에선 트렌스포머, 스타일리시의 개념이 상대적으로 높게 측정되었다. 업사이클 디자인은 다양한 디자인의 형태에 따라 그 가치도 좌우 된다. 지속적으로 나오는 폐기물의 문제에 있어 업사이클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긍정적 성장 방향을 제시하며, 그 영향력과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혁신적인 디자이너의 역할과 보다 개방적인 사고를 지닌 기업과 사회는 더욱 필요하다. 본 연구가 운송포장재 에코패키지 활용방안 후속연구에 기초자료가 되길 기대한다. South Korea is suffering from a prolonged new coronavirus infection (COVID-19) crisis. As social distancing and non-face-to-face culture are settled, the demand for delivery packaging is increasing, and the resulting waste garbage is enormous. Currently, domestic foreign companies are developing and applying eco-friendly eco packages. The work of adding eco-friendly design to discarded products and re-creating a high value-added product with a completely new use of artistry, aesthetics, and functionality, and studying design in consideration of humans and the natural environment can be thought as a continuous task for our designers to sol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possibility of utilization of upcycling transport packaging materials that broadly express scope of application of design by expanding and reinterpreting the original art form and design concept through design value analysis, based on the recently released case of Upcycling eco-package company. Furthermore, it intends to present the possibility as a creative alternative to environmental problems. As for the scope and method of the study, based on cases of 14 domestic and foreign companies currently released eco-packages and upcycling transport packaging materials, value elements were defined and analyzed for substitution. Based on previous studies, three common value elements (environmental, economic, social) and four design value elements (manual art, storytelling, transformer, and stylish) were derived as value element analysis standards. As a result of the previous studies, the study case of evaluating only the formal value of design among the aesthetic values of Upcycle was insufficient, and to analyze the formal aspect of design in detail, the above mentioned four design value elements were selecte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 of the value element analysis, in the five cases of eco-package transport packaging materials, environment, economy, usability, authenticity, and ethics were generally measured with a high frequency.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upcycling transport packaging materials, the elements of productivity, economy, sales, and marketability were clearly stood out. Eco-package can be found in the overall environment and publicity, but it was found that the value elements standing out in the newly emerging eco-package products of Upcycling include economic value as well as environment and publicity.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design value elements (form) analysis,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depending on whether the purpose of Upcycling was composed of a practical aspect or developed toward a work of art. Manual art that pursues functional, decorative, and sentimental aspects can be seen strong frequency in the case of upcycling that is transformed into household goods, and in the case of works of art upcycling that is completely transformed, dismantled, and disassembled, the concept of transformer and stylish was measured relatively high. Upcycle design also depends on its value according to various design forms. As for the problem of continuous waste, a company and society with a more open minded and the role of an innovative designer that can increase its influence and effect, presenting positive growth-direction that can overcome the limitations of Upcycle are even more needed. I expect this study to serve as basic data for the follow-up study on how to utilize eco-package for transport packaging materials.

      • KCI등재

        파우치 음료의 디자인 변화가 소비자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델라페 음료를 중심으로 -

        신상윤 ( Shin Sangyun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21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5 No.-

        본 연구의 목적은 파우치 음료 브랜드의 패키지디자인 변화에 대해 살펴보고, 그 변화가 소비자의 구매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범위는 편의점 CU의 대표 음료 상품인 델라페 파우치 음료로 2014년 브랜드 개발 후 2020년까지 디자인을 변경하여 출시한 총 6가지의 디자인으로 연구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파우치 음료와 소비자 구매행동에 대해 문헌 조사를 실시하였고 출시된 6가지 디자인을 분석하고 구매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 통계조사를 진행하였다. 2014년 브랜드를 강조하는 디자인, 2016년~2017년 라인프렌즈, 자사 캐릭터와의 콜라보레이션, 2018년 맛의 속성을 강조한 디자인, 2019년 인스타그램의 이미지를 적용한 디자인, 2020년 신진 청년작가와의 콜라보레이션에 대해 디자인 분석 후 소비자 구매행동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과로는 통계 부분에서 다른 패키지디자인 선호도 보다 2020년 신진 청년작가 작품 활용 패키지디자인의 선호도가 증가할수록 구매 행동은 더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보아 음료 구매 시 소비자들은 디자인의 선호도 외에도 디자인의 의도에도 관심을 두고 있으며 감성적 디자인에 구매 행동이 올라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보여준 파우치 음료 상품의 브랜드 개발 후 다양한 디자인 컨셉 전개 사례는 추후 브랜드 패키지디자인 진행 시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또한, 패키지디자인을 개발 시 기존의 상품 속성과 정보를 주는 디자인에서 벗어나 소비자의 호감도를 높이고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디자인을 전개한다면 소비자들의 구매에도 영향력을 줄 수 있으므로 음료 패키지디자인 진행 시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 개발하면 좋을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changes in pouch beverage package design and to find out how the design changes affect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The scope of this study is CU's pouch beverage product, “Delaffe“ developed with a total of 6 designs from 2014 to 2020. The research method conducted a literature survey on pouch drinks and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analyzed six designs released, and conducted surveys and statistical surveys on consumers with purchasing experience. Emphasizing the brand in 2014, collaborating with Line Friends & CU characters in 2016-2017, highlighting the attributes of taste in 2018, applying Instagram images in 2019, and collaboration with young rising artists in 2020 were researched. As a result, the more the preference for package designs using new young artists' works increases in 2020 than other package design preferences in the statistics sector, the greater the purchasing behavior. We hope that various design concept development cases after the brand development of pouch beverage products shown in this study will help us proceed with the brand package design in the future. In addition, if package design is developed to enhance consumers' favorability and stimulate emotions, it will be great to research and develop various ways to proceed with beverage package design.

      • KCI등재

        서비스디자인 기반 공유주택 공간 연구 : 중국 ‘포유(泊寓)’ 공유주택을 중심으로

        마시우,홍창기,안국강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2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ut forward a plan to optimize and create a shared housing service strategy for residents' experience and satisfaction with shared housing. The scope of the research site selected the “Puyou", a public house with branches all over China. Boyu shared house is the most advanced brand of public housing in China at present. It has been selected as a demonstration project by the Digital Standardization Technical Committee of China's Intelligent Buildings and Residential Areas, providing places for residents to live, communicate, study and entertain. Based on the analysis matrix of shared housing based on service design, this paper discusses the shared housing in China, and obtains the value of space service design characteristics of "Boyu" shared housing through the examination of experts' evaluation indicators. It shows that the excellent housing evaluation index, the highest safety value, the perfect convenience evaluation index, and the outstanding aesthetic evaluation index among the service design features of "Boyu" shared housing. On the contrary, it has common comfort and interactivity evaluation indexes of shared housing without satisfactory information evaluation indexes, which means that the low comfort of shared housing facilities with the interactive services of shared housing workers and residents, as well as the insufficient services of immediate information transmission.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among the service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Boyu shared housing, the value of safety was the highest, and the value of convenience and aesthetics was also higher. However, the level of comfort, interactivity, and information is low, there are insufficient rest facilities in the public space, and the interactive facilities of residents in shared housing are insufficient, so information cannot be transmitted in time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residents. These results prove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plan the space by reflecting the service design components and making the service characteristics evenly distributed in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shared housing. This is because when the needs and characteristics of service users (tenants or potential tenants) are balanced with the servic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it can provide a better experience and creates a good brand image for the service provider and the company. This study only evaluates and analyzes the service design of shared residential spaces and facilities, which has limitations. In order to conduct in-depth research on shared housing, it is necessary to conduct follow-up research on the strategy and system construction to improve the service design orientation of shared housing. Finally,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come meaningful basic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shared housing in China, space service design and design research in related fields. 본 연구는 주민들을 위해 공유주택에서의 체험담과 만족도를 목표로 하여, 공유주택 서비스 전략의 최적화와 창조 방안을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장소적 범위는 중국의 각 지역에 지점을 두고 있는 공유주택 ‘포유(泊寓)’를 선정하였다. ‘포유(泊寓)’ 공유주택은 현재 중국에서 가장 발전이 된 공유주택 브랜드로 중국 스마트 건축 및 주거지역의 디지털 표준화 기술 위원회1)로부터 시범적 프로젝트로 선정되었으며 주민들에게 주거, 소통, 학습, 오락 등을 모두 누릴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고 있는 곳이다. 연구 방법은 서비스디자인을 기반으로 한 공유주택 분석의 매트릭스를 제안하여 중국 공유주택을 분석하고 전문가의 평가지표에 대한 심사를 거쳐 ‘포유’ 공유주택의 공간 서비스디자인 특성의 가치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포유’ 공유주택의 서비스디자인 특징에서 ‘포유’ 공유주택의 평가지표는 매우 우수하며 안정성 수치가 가장높게 나타났고, 편의성 평가지표 또한 매우 우수하였으며, 심미성 평가지표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공유주택의쾌적성과 양방향성 평가지표는 보통으로 나타났고, 정보성 평가지표는 미흡하였는데 이는 공유주택 시설의 쾌적성이 낮고, 공유주택 근로자와 주민들의 인터랙티브 서비스, 그리고 정보가 즉시 전달되는 서비스가 부족하다는 것을 말한다. 이유는 공유주택 시설의 쾌적도와 공공공간 휴게시설이 부족하고 공유주택에서 주민들이 상호 교류할 수 있는 시설이 부족하며, 주민에 대한 몰이해로 정보 전달이 즉시 이뤄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같은 결과는 공유주택 형성에서 서비스디자인 구성 요소를 반영하여 공간 계획을 진행하고, 서비스 특성을 균일하게 분포하여 만드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는 사실을 입증한다. 서비스 사용자(세입자 혹은 잠재적 세입자)의 욕구 및 특성과 공간의 서비스 특성이 균형을 잡을 때, 더 좋은 체험을선사하고 서비스 제공자 및 기업의 좋은 브랜드 이미지를 조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공유주택 공간과 시설의 서비스 디자인만을 평가하고 분석했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공유주택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위해서는 공유주택 서비스디자인 방향성을 향상시키는 전략과 시스템 구축에 대한 후속 연구도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중국 공유주택의 발전, 공간 서비스디자인 및 관련 영역에서의 디자인 연구에 도움이 되는 의미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21C 공예 · 미술 · 디자인 결합에 의한 디자인콜라보레이션 2.0 연구

        남미경(Nam, Mee-ky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7 No.3

        본 논문은 공예 · 미술 · 디자인 협업에 의한 디자인 콜라보레이션 2.0의 개념을 고찰하고 사례 및 유형, 글로벌마켓에서의 평가를 분석하여 향후 관련 디자인산업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이론적이고 체계적인 학술 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되어졌다. 연구방법은 인터넷을 이용한 국내외 정보 D/B 및 네트워크 검색, 논문과 단행본을 포함한 도서 · 출판물등 문헌조사를 통한 고찰 및 분석이 중심이 되었다. 연구범위에는 공예 · 미술 · 디자인 협업에 의한 디자인콜라보레이션 2.0 개념 고찰과 사례 및 유형, 글로벌마켓에서의 평가에 대한 분석, 그리고 디자인 콜라보레이션 2.0의 확장성에 대한 논의와 제언이 포함되어진다. 연구의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콜라보레이션 2.0의 개념은 오랜 세월 동안 이어져 내려온 장인적 기술지식과 독특한 표현방식의 전통공예 · 미술을 현대 산업디자인 영역에 적용시켜 향후 새로운 형태의 지속가능한 디자인제품을 창조하고자 하는 것이다. 둘째, 전통공예 · 미술과 현대 산업디자인에 대한 비교분석 결과, 단일 vs 대량 생산방식, 수공예 vs 기계제작공정 및 기술, 그리고 제작물 결과(Artefact)에 이르기까지 확연한 차이점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디자인콜라보레이션 2.0의 특성은 고유한 장인정신(Craftsmanship)과 유니크(Unique)함을 기반으로 이어져 온 전통공예 · 미술 영역의 여러 요소들이 산업디자인 분야에 적용되어질 수 있는 다양한 조건들(Various Conditions)을 갖추고 있다는 것이다. 넷째, 다양한 디자인제품 사례 분석을 통하여 소비자들은 자연친화적이며 인간의 손길을 거친 수공예적 요소를 발견하고, 독특함과 개성에 가치를 부여하며 더 큰 만족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디자인콜라보레이션 2.0 관련 제품들은 2019-2024 년 동안 연평균 11 % 이상 글로벌마켓에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어졌으며, 21C 글로벌마켓에서의 성장 가능성을 점차 확대해 나가고 있는 것으로 분석 되어졌다. 마지막으로 향후 디자인콜라보레이션 2.0 제품들의 발전과 성장 가능성을 넓혀 가기 위해서는 그 자체만의 고유한 스토리를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해 낼 수 있는 전통적 · 지역적 개별성을 무한 자원으로 활용해나갈 필요성이 제안되어졌다. 본 연구가 관련 산업과 연구에 학술적 · 이론적 자료로서 활용되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article is designed to offer theoretical data and systematic scholarly materials through consider a concept of ‘Design Collaboration 2.0’ lied on collaboration of craft · art · design, and analysing its cases, types, and a evaluation in global market to finding a developing prospect of design field in the future. The main method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and analyze the data from internet D/B in domestic and abroad, and variety of literatures including thesis, books, periodicals and the other publications. A consideration of a concept of ‘Design Collaboration 2.0’ lied on collaboration of craft · art · design, an analysis on its cases, types, and a evaluation in global market, and a discussion and suggestion of ‘Design Collaboration 2.0’ expandability were studied in this article. The summary of contents and results of this article are as below. First, a concept of ‘Design Collaboration 2.0’ lies with creating a new shape of sustainable design product combining a traditional craft · art which handed down many years of artisan skills knowledge and unique way with modern industry design field. Second, a glaring difference was appeared from a single vs mass production basis, handmade vs mechanical manufacturing process and technology, and up to an artefact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in this study. Third, carrying a various conditions in the field of industrial design that can be applied with some diversity elements of craft · art sphere which grows on inherent craftsmanship and uniqueness are presented as the characteristic of ‘Design Collaboration 2.0’. Fourth, a result of analyzing design product cases shows that consumers were satisfied by finding some elements such as a nature-friendly and human-touch handmade requisites, and assigned a value to the uniqueness and individuality on them. Fifth, it was analyzed that design products which related with ‘Design Collaboration 2.0’ could be developed an average of more than 11% during 2019-2024, and gradually expanded its potential for growth in 21C global markets in the future. Finally, for expanding of develop and growth potential of ‘Design Collaboration 2.0’ products, a necessity utilizing infinite resources from traditional · regional elements having an original story which could express diverse way in products was suggested in this article. It is expected that this paper would be utilized as academical · theoretical data for its related design industry area in domestic and abroa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