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일 대학 기초디자인 교육과정에 관한 비교 연구

        방경란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2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0 No.1

        현시대에 있어서 특정한 학문의 영역을 명확하게 규정짓고, 규정된 개념 속에서 단편적으로 해석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은 측면이 있다. 왜냐하면, 사회 문화적 인식의 변화, 매체의 다양화, 학문의 통합화 등에 따라 교육내용과 과정의 전반적인 변화가 필요하며, 이는 다학문적이고 통합적인 특성이 강한 디자인학에는 더욱 그러하다. 전문인양성을 위한 대학교육의 기초교육 중요성이 날로 주목받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전공별 특성이 고려된 대학별 기초교육의 교과구성과 개선방안에 대한 교육적 논의와 방안이 구체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학제구성이나 교과 과정에 있어서 유사한 측면이 있는 한국과 일본 대학의 디자인전공 기초 교육과정 현황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국내 대학교육에 적용 가능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목적인 대학 기초디자인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논의는 입시중심 교육에서 나타난 단편적인 지식전달과 암기 위주 방식의 교육체계에서 탈피하여야 함을 알게 되었다. 또한 전문인양성을 위한 대학교육에 있어서 ‘새로운 사고방식의 전환’과 ‘보편적인 자율’, 그리고 ‘미래지향적인 차별화’에 의한 디자인교육을 통하여 그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자 한다. In the present age, there is an aspect which is not enough to be able to define the particular study domain clearly and not enough to interpret things fragmentarily only within prescribed conception. Because an entire change of education contents and curriculum is need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socio-cultural cognition, diversity of the medium and integration of study, especially in design, is strongly interdisciplinary and integrated. The importance of the basic curriculum of a university for educating professionals is receiving attention day by day. For this, educational discussion and planning on the organization of subjects and the way of improvement in the basic curriculum of universities considering the quality of each major should be done concretely. This study will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basic curriculum which is applicable in the reality of Korea’s university education through the present condition of basic curriculum and the compare is on and analysis on Korea-Japan Design universities. There are some similarities with the two countries and they are the organization of the universities’ school systems and their curriculum. In other words, the discussion on the importance of the basic design education in universities, which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moves away from the education system that is focused around fragmentary knowledge transmission and memorization that are shown in the curriculum and contents of entrance examination-centered education system. In conclusion, the following information was derived, and seeks answers from the ‘transforming into the new ideas’, ‘universal liberty’, and ‘future-oriented difference’ in university education, training professionals.

      • KCI등재후보

        유아교구에 있어서 시각적 조형성에 대한 연구

        방경란 한국기초조형학회 2004 기초조형학연구 Vol.5 No.3

        Teaching tools as instructional media that are developed to educate young children are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perceptional and emotional developments in early childhood. Starting with the Gifts offered by Froebel in 1837, teaching materials for young children bring about the great learning effect for children and help them build up diverse conceptions. Since the learning effect is expected in the process of touching and playing with teaching tools, the forms of these tools should be selected with careful deliberation. Even though it is difficult to define what particular forms or colors are more effective for the perceptional and emotional developments in early childhood, there is too much design similarity between the forms and the colors of most teaching materials currently utilized for young children in educational circumstances.Young children are on the developmental stage where the forms of objects are not reflected properly, and the existing circumstances of teaching tools, which are featured by the structured component system with too geometric forms, should be changed now. This study is a theoretical inquiry into the history of teaching materials for early childhood, and is also an analysis on the formative theory of design for these materials that are in use these days. In this process, the comments are made that it is necessary to have diverse design approaches,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current component system of simple and repeated geometric forms in teaching materials for young children. 유아들의 교육적인 목적으로 개발된 교수매체로서의 교구는 유아들의 인지 및 정서 발달을 고려하여 만들어진다. 1837년의 프뢰벨(F. Froebel)이 제안한 은물(Gifts)에서부터 시작된 유아교구는 어린이들에게 많은 학습효과를 가져다주며, 다양한 개념을 형성해 주는 역할을 한다. 유아들이 만지고 가지고 노는 과정을 통하여 학습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유아교구에 있어서 형태는 신중하게 선택되어져야 한다. 어떠한 특정한 형태와 색채가 유아들의 인지 및 정서발달에 더욱 효과적이라고 말하기는 어렵지만, 현재 교육환경에서 반영되고 있는 대부분의 유아교구 디자인은 너무나도 유사한 형태와 색채로 이루어져 있다.대상의 형태가 바르게 재현되지 않는 발달단계의 유아들에게 지나치게 기하학적인 형태와 구조화된 구성체계의 교구환경은 이제 변화되어야만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유아교구의 역사를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현재 사용되고 있는 유아교구 디자인의 조형적 원리를 분석하여 보았다. 이를 통하여 유아교구에 있어서 단순반복적인 기하형태를 지닌 현재의 구성체계와는 다른 다양한 디자인 접근의 필요성에 대하여 말하고자 한다.

      • KCI등재

        교양과정으로서의 디자인교육에 대한 방향성 탐구

        방경란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2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0 No.2

        현행 국내대학에서 진행되는 혁신 가운데 대학의 교양교육은 중요한 영역으로 자리 잡고 있지만, 다양한 과도기적 혼란과 문제점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본 연구는 창의적 인재양성이라는 교육적 목표가 부합될 수 있는 교양교육으로서의 디자인이 가지고 있는 효과적인 역할과 가치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디자인 교양교육에 대한 국내대학의 현황을 고찰하고 분석하여 그 방향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이를 위하여, 첫째, 일반적인 교양교육의 의미와 목적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디자인 관련 교양교과목 편성과 내용을 살펴본다. 둘째, 국내 교양교육의 목적과 목표를 검토하고, 그 가운데 디자인관련 교과목의 유형을 살펴봄으로써 국내대학의 교양교육에서 디자인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한다. 셋째, 이제까지 고찰된 내용을 바탕으로 디자인 교양교육이 나아갈 방향으로서 미적 소양 교육, 창의 향상 교육, 융합형 교육이라는 세 가지의 내용을 제시하고 그 가능성에 대하여 논의한다. 본 연구는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한 디자인 교양교육을 연구의 범위로 한정하며, 융합형 교육으로서의 적용과 창의성 함양을 위한 효과적인 미적 교육으로서의 역할에 대한 주장과 위치를 공고히 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교양교육에서의 디자인 관련 교과목의 구성과 내용에 대한 교육의 질적 향상과 함께, 창의적 미래지식 융합교육을 위한 디자인 교양교과목 개발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Although the college liberal education has an important place amidst the diverse innovations that are currently iterated in universities in Korea. In particular, the design studies, through which the educational goal of creative fostering of talents could be met, are focused on the effective role and value as a liberal education. To this end, first, through a theoretical consideration with respect to the general meaning and purpose of liberal education, the design-related organization and contents that are encompassed in the liberal arts education are examined. Second, the goals and objectives of the liberal education that is currently practiced in universities in Korea are reviewed, for which, by examining the types of subjects that are related to art and design, the current status of design education in the liberal education at national universities is observed, and the problems are analyzed. And third, using the observed contents to date as the basis, as the directions for design liberal education, the three contents of aesthetic literacy education, creative improvement education and fusion-type education are proposed and their possibilities are discussed. This study limits as the scope of study the design liberal education that is tailored for the non-major students, and, further, this study attempts to solidify the assertions and positions about the application as a fusion-type education and effective aesthetic education for the cultivation of creativity. As such,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hope that multifaceted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design liberal education for a fusion education for creative future knowledge would be accomplished.

      • KCI우수등재

        영국 풍경식 정원가 <Capability Brown>의 스타일에 관한 연구 - 설계 특성과 미적 평가를 중심으로 -

        방경란,최기수 한국조경학회 1998 韓國造景學會誌 Vol.26 No.3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is to provide meaning of landscape history and to find out landscape origines which were strongly concerned with the nature through breaking out the form of conventional adapting elements from an exterior.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Brown's philosophy as picturesque landscape architectur and to provide useful Brown's characteristics to contemporary landscape by epitomizing his design elements. Brown estiablished a foundation of the English landscape garden of the eighteenth century. And the concept, the beauty of nature, is considered as a beginning point of modernism study. The study of the Brownian style as profoundity theme is conversion view to the development of the history of garden. These days, the restoration of the Brownian style at the public or garden design in England is based on the nature recourse of the original character of human. And also his style can be understood to seek the progressive transformation as to perfectly known the possibility of the place, to get clues to the solutions, and to be able to iprove the quality of environment. Therefore, Brown's efforts for seeding the essence of landscape architecture escaping from Englands old-fashioned landscape design skills might be considered in high worth.

      • KCI등재

        국내 특성화시장 사례를 통한 전통시장 디자인경영에 관한 고찰

        방경란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1

        This paper looks into the design management approach to specialized markets by focussing on traditional markets and how they can be developed. Especially with the surge in interest for traditional markets from a design management perspective and what kind of impact or change is actually taking affect. Methods for this study are look into the current situation of traditional markets, analyze the four major segments of specialized markets in Korea according to business type and content, organize issues based on the previous analysis and propose a design management based solution. For local and global perspectives on traditional markets cited publications and studies were considered along with relevant websites and on-locale research. The conclusion was that each market had issues that were unique and therefore required a tailored design management approach. In developed countries levels varied from location as to the strategy and concept for each market. Locally, such differentiation and uniqueness seemed low. Three general directions for further development: location, accessibility, innovation were propos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Location refers to the historic, geographic location of the market, accessibilit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nsumer, or those visiting the market, and innovation to develop unique products or events to differentiate the market from other markets or competitors. Also, to retain vitality in the markets cultivating a design approach, maintaining the brand, and establishing a unified identity and strategy for the market. Such goals can only be obtained though cooperation with design management specialists and market development infusion education initiatives for a successful solution to traditional markets. 본 연구는 국내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특성화시장의 사례분석을 통하여 디자인경영의 방향성에 대하여 논의하며, 그에 따른 시사점과 향후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에 있다. 특히, 최근 전통시장에 디자인경영을 도입하면서 나타나고 있는 가시적인 결과물에 대한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제기된 문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연구의 과정은 첫째, 국내외 전통시장의 동향을 고찰하고 둘째, 국내 특성화시장의 4가지의 유형에 따른 사업목적과 내용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고 셋째, 분석 후에 도출된 문제점을 정리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국내 전통시장의 디자인경영전략을 제안하였다. 국내외 전통시장 동향고찰과 현황파악을 위해서는 문헌조사 및 웹사이트 검색, 현장조사 등을 통해 선행연구와 현장사례를 분석하였는데, 지역과 목적에 따라 디자인경영 전략에 많은 차이점이 나타났다. 선진시장의 경우에는 동일한 국가 내에서도 지역에 따라 시장별 특화전략과 콘셉트가 명확하게 나타나 있었으며, 국내의 경우에는 시장별 가시적 성과물이 유사하여 차별성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연구결과, 전통시장의 장소성, 편리성, 혁신성이라는 3가지측면의 디자인경영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즉, 장소성 측면에서는 역사지리적인 지역적 특성, 편리성 측면에서는 소비자관점의 편의 제공, 혁신성 측면에서는 창의적 아이템 개발을 통한 차별화 전략이라는 세 가지 측면이 중요사항이 될 수 있다. 또한 전통시장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시장구성원의 디자인 마인드 인식과 시장브랜드 유지와 관리, 시장의 정체성과 특화전략의 통합적 연계가 우선되어야 한다. 이는 상인역량강화 교육과 함께 디자인경영 관련 전문가의 원활한 협조체계가 이루어질 때 전통시장 내 디자인경영이 성공적으로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색채의 의미전달 역할에 관한 연구-영화 ‘마지막 황제’를 중심으로

        방경란 한국기초조형학회 2004 기초조형학연구 Vol.5 No.2

        This study is premised on the theory that the message of a film director can be delivered more strongly and effectively by color plan carried out in a movie. The role of colors as a meaning carrier was examined by means of analyzing and reinterpreting the relation between the colors displayed in the screen and the emotions of the leading characters in the film "The Last Emperor", which was directed by Bernardo Bertolucci and released in 1987. When colors are applied in the screen, a color plan that is different from other color applications for the printed media should be proceeded. Although the general color plan is not exactly applied to the motion pictures, the common symbolism of colors is introduced into many cases. The color plan in a movies, which has composite structure, is certainly differentiated from the usual color plan, and the significance of colors may be more or less underestimat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tion pictures. However, with colors introduced into the films, the importance of colors is getting greater and greater everyday. Consequently, the function of colors in conveying meaning was studied in process of analyzing the visual power, implications, and psychological effects on human feelings that colors have in the movies. 본 연구는 영화 속에 적용된 색채계획을 통하여 영화감독의 메시지 전달이 보다 배가될 수 있다는 논리를 전제로 하고 있다. 1987년에 상영된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Bernardo Bertolucci) 감독의 영화 ‘The Last Emperor'속에서 나타나 있는 주인공의 감정과 화면 속 색채와의 관계를 분석하고 재해석하여 색채의 의미전달 역할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영상에서 색채를 적용할 때에는 인쇄매체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색채적용과는 다른 색채계획이 진행되어야 한다. 보편적인 색채계획이 정확하게 영화 속에서 적용되고 있지는 않지만, 일반적인 색의 상징성은 여러 곳에서 도입되고 있다. 복합적 구조를 가지고 있는 영화에서의 색채계획이라고 하는 것은, 일반적인 색채계획과는 확실히 차별되며, 영화의 특성상 색채가 차지하는 부분이 다소 적게 평가 될 수도 있다.그러나 영화에 색채가 도입되면서 색채가 차지하는 비중은 나날이 높아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영화 속에서 색채가 가지고 있는 시각적 힘과 암시 그리고 인간에게 미치는 심리적인 영향력에 대하여 분석하여 색채가 가지고 있는 의미전달역할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KCI등재

        교양 교육으로서의 시네틱스 기반 창의 교육 사례

        방경란 ( Kyung Rhan Ba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6

        본 연구는 창의성 향상을 위한 교양교과목에서 진행된 교육 사례로서, 디자인 사고가 적용된 아이디어 발상 교육에 관한 것이다. 수업의 목표와 평가 기준(새로움, 독창성, 객관화)을 설정하여 교육진행의 내용을 제시하고, 학습자의 수업평가 등의 자료를 토대로 하여 창의 교육의 긍정적 효과를 가늠하고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본교과목의 중요한 내용이자 목표는 최초의 아이디어 생성단계에서 학문적 경계를 넘나들며 새로운 관점으로부터 통합적으로 문제를 인식하고 발견하여 해결할 수 있는 사고의 경험이다. 이를 통하여 궁극적으로는 창의적 인재양성이라는 대학의 교양 교육이 지향해야 하는 바를 얻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인문적 상상, 공학적 논리, 예술적 감성이 융합되어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생성하고 발상할 수 있도록 통합적인 문제인식과 문제발견을 통하여 그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수업의 평가결과, 학습자는 시네틱스 기반의 유추적 발상 과정을 경험함으로써 고착된 자신의 사고방법에서 벗어나 새로운 발상법을 터득하게 되었다는 창의 교육의 긍정적 결과를 얻었다. 반면, 과도한 학습 분량과 자기주도식 과제진행에 대한 부담과 함께 창의성 평가기준의 모호함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As a case of education conducted in general courses for creativity improvement, this study is about idea generation education utilizing design thinking. By setting the goals and evaluation criteria of classes(novelty, originality, objectification), the contents of conducting education were examined; based on materials such as the students’ evaluation of classes, the positive effects of creative education were estimated; and th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The important content and also the purpose of this class is the experience of thinking that recognizes and discovers and resolves issues in an integrated manner from a new perspective while crossing the academic boundaries at the first stage of idea generation. Through this, ultimately, we hope to obtain the goal of fostering creative talents toward which the university’s general education should be oriented. And this can be expressed more effectively when humanistic imagination, engineering logic and artistic sensibility are fused together. As a result of evaluation of classes, a positive result for creative education where the students by experiencing the process of analogical creation based on synetics escaped from one’s adhered way of thinking and learned new method of creation was derived. On the other hand, pointed out as problems were the burdens from excessive amounts of learning and self-leading style task, ambiguity of evaluation criteria, etc.

      • KCI등재
      • KCI등재

        국내 고등학교 디자인교육 내용 분석 - 2009 개정 미술 검정 교과서 내 예시자료를 중심으로 -

        방경란 ( Bang Kyung-rha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2 한국디자인포럼 Vol.37 No.-

        현행 국내 고등학교에서의 디자인교육은 미술과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창의성 함양이라는 목표에 따라 디자인 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점차 증대하고 있음에도, 그 중요성에 비하여 교육의 내용과 구성에 있어서 다양한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대학에서의 일반 교양과정으로서의 디자인 교과목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이며, 이를 위하여 고등학교 디자인 교육의 교과 과정 및 내용 분석을 통하여 교육의 연계를 도모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고등학교에서의 교육과정 변화에 의해 미술 교육의 목표와 가치가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2009년 제7차 개정 미술 검정 교과서 총 5종에서 제시되고 있는 디자인영역의 그림예시자료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부족한 이수 단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내용이 방대하고, 단원별 학습 목표와 수업 예시의 연계에 있어서 난이도 및 영역별 선정이 일정하지 않은 측면이 있었다. 특히, 현재 국내 미술 교육의 중점방향으로 제시하고 있는 역사적·문화적 가치, 개인적·사회적 기능의 활용, 교과적 기초라는 세 가지 방향과도 다소 거리가 멀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교육 현실을 감안한 교과과정 및 교육 목표와 내용의 수정이 요구되며, 초·중·고등 교육이 서로 유연하게 연계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Design education in domestic high schools is currently being included as part of the art curriculum. In particular, although the social demand for design education is gradually increasing with the goal of improving creativity, there are lots of problems with the contents and the construction of the education. This basic research aims to develop design subjects for a college liberal arts curriculum. Taken into theoretical consideration was the fact that the objectives and values of art education change between high school and college, and design illustrations in a total of five art textbooks for the seventh curricular revision in 2009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y had too many contents despite insufficient hours and that there was inconsistency in determining the degree of difficulty and area selection to associate a learning objective for each unit with instructional illustration. In particular, they had a little difference in aim from those currently suggested as central to domestic art education: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use of personal and social functions, and the textual basi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contents of curricula and educational goals in consideration of this educational reality and conduct constant research and development in pursuit of flexible association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 KCI등재

        메카니칼 발상법을 기반으로 한 디자인교육 사례 연구

        방경란 ( Bang Kyung-rha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2 한국디자인포럼 Vol.34 No.-

        대학교육과정 내에서의 저학년을 위한 기초디자인교과목은 각 세부전공으로의 진입을 위한 필수과정이므로 교육의 내용과 구성이 다양한 전공을 고려한 통합적인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특히 기초실기교육은 전공심화 단계 이전의 가장 본질적이고 기초적인 디자인의 개념을 파악함과 동시에 창의적인 디자인사고를 통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조형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창의적인 발상을 위해서는 기존의 사고를 새롭게 전환하고, 대상을 다각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아이디어 발상의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창의력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서 메카니칼 발상법에 근거한 교육 사례를 통하여 기초디자인교육에 있어서 새로운 교육방안을 제안하고, 그 가능성에 대하여 탐색하고자 한다. 메카니칼 발상법은 사고를 전환함에 있어 기존의 개념에서 탈피하고 변환할 수 있는 구체적인 과정을 제시함으로써 새로운 개념을 착안하고 설정할 수 있도록 논리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발상교육법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교육 사례는 사고의 논리적 접근에 기반하여 이중적 사고, 연동적 사고, 감각적 사고라는 세 가지의 접근법을 제안하면서 동시성, 필연성, 우연성이란 요소별 특성을 제시하였다. 즉, 이러한 교육 사례를 통하여 창의적인 디자인 발상력에 대한 그 해결의 실마리를 논의하고, 그 한계점에 대하여 모색하고자 하였다. Curriculum of basic design for the lower grades in university education courses is a required course to take for each particular major, and the curriculum should be progressed into an integrated way that considers majors which contain diversity in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curriculum organization. Especially, basic practical education should be the most essential before the stage of the deepening major, and also be able to find out the basic design conception along with being formed with contents that could solve problems of formativeness with various ways through the creative design thinking. For creative thinking, we need to transform our existing idea in to a new idea and to analyze objects in a variety of ways resulting in expected positive effects of the new ideas by doing that. According to this, this study is going to suggest new education methods and to ferret out the possibility of the method in the design education through examples of education based on Mechanical Thinking. Mechanical Thinking is one of the Thinking methods of education, consisting of thinking logically in order to pay attention to the new idea and establish it with a detailed process that is suggested by Mechanical Thinking, which is where we transform our existing conception into the new one during the change of thinking. Education examples adduced by this study suggested double think, linked thought, and sensible thought based on the logical approach of thought, as well as simultaneity, necessity, and possibility, which are characteristic elements. So, we have tried to discuss the clue to the solution of the problem and find the critical point on the creative ability of thinking about design through these education examp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