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촌 민박의 물리적 환경과 농촌 정체성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김영진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Effects of Physical Environment and Rural Identityon Loyalty in Rural Guest HousesYoungjin Kim Abstract: The background of the study is that it is required to revitalize rural guest houses by local residents and local government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obtain implications for improving rural guest houses through research on the effect of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rural identity on loyalty of rural guest houses.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verified using SPSS 22.0 and AMOS 22.0 statistical programs. For hypothesis verification, path analysis, measurement identity evaluation, and multi-group analysis were performed as structural equations. First,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rural identity of rural guest houses affected loyalty.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accessi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vironment and rural identity on loyalty. Groups that value accessibility value the physical environment, but a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rural identity. In places where rural identity is not strong, it was suggested to attract rural tourists by investing in improving the physical environment. Key Words: Rural Guesthouse, Physical Environment, Rural Identity, Loyalty, Accessibility 농촌 민박의 물리적 환경과 농촌 정체성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김 영 진** 연구 목적: 연구 배경은 지역민과 지자체의 농촌 민박 활성화가 요구되고 있다. 연구 목적은 농촌 민박의 물리적 환경과 농촌 정체성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를 통해 농촌 민박 증진을 위한 함의를 얻는 것이다. 연구 방법: SPSS 22.0과 AMOS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 신뢰성과 타당성 검증을 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으로 경로분석과 측정 동일성 평가,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연구결과는 첫째, 농촌 민박의 물리적 환경과 농촌 정체성은 충성도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물리적 환경과 농촌 정체성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접근성의 중요도에 따라 차이가 났다. 결론 및 제언: 접근성을 중요하게 여기는 집단은 물리적 환경은 중요시 했지만, 농촌 정체성에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 정체성이 강하지 않은 곳에서는 물리적 환경개선에 투자하여 농촌관광객 유입을 제언했다. 핵심어: 농촌 민박, 물리적 환경, 농촌 정체성, 충성도, 접근성 □ 접수일: 2022년 8월 9일, 수정일: 2022년 9월 15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이 연구는 2022년도 광주대학교 대학 연구비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 ** 광주대학교 항공서비스학과 부교수(Professor, Gwangju Univ., Email: skyqueen@gwangju.ac.kr)

      • KCI등재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농촌 도로 매핑을 위한 영상 분류 및 영상 분할 방법 비교에 관한 연구

        정윤재 ( Yun-jae Choung ),구본엽 ( Bon-yup Gu ) 한국지리정보학회 2021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4 No.3

        농촌 도로는 농촌 지역의 개발과 관리를 위한 핵심 기반시설로서 원격탐사 자료를 활용한 농촌도로 관리 기술은 농촌 교통 인프라 확대, 농촌 주민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농촌 지역을 촬영한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농촌 도로를 매핑하기 위해 영상 분류 방법과 영상 분할 방법을 다음의 과정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영상 분류의 경우, 심층 신경망 기반 딥러닝 기법을 주어진 고해상도 위성영상에 적용하여 고정밀 객체 분류 지도를 제작하였고 이로부터 농촌 도로 객체를 추출함으로써 농촌 도로를 매핑하였다. 영상 분할의 경우, multiresolution segmentation 기법을 동일한 위성영상에 적용하여 세그먼트 영상을 제작하였고 농촌 도로에 위치한 다중 객체들을 선택하고 이들을 최종적으로 융합하여 농촌 도로를 매핑하였다. 영상 분류 및 영상 분할 방법을 통해 매핑한 농촌 도로의 정확도 검증을 위해 100개의 검사점을 사용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영상 분류 방법에서는 객체 분류 지도 내 오분류 에러로 인해 영상 내 일부 농촌 도로의 인식이 불가능하였으나 영상 분할 방법에서는 영상 내 모든 농촌 도로의 인식이 가능하였으므로 영상 분할 방법이 영상 분류 방법보다 위성영상을 이용한 농촌 도로 매핑 작업에 더 적합한 방법이었다. 그러나 영상 분할 방법을 통해 매핑한 농촌 도로를 구성하는 일부 세그먼트들이 농촌 도로 외 객체를 포함하고 있어 영상 내 일부 농촌 도로에서 오분류 에러가 발생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객체 기반 분류 또는 합성곱 신경망 등 다양한 정밀 객체 인식 기법을 고해상도 위성영상에 적용하여 농촌 도로의 정확도를 개선할 계획이다. Rural roads are the significant infrastructure for developing and managing the rural areas, hence the utilization of the remote sensing datasets for managing the rural roads is necessary for expanding the rural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and improving the life quality of the rural residents. In this research, the two different methods such as image classification and image segmentation were compared for mapping the rural road based on the given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 acquired in the rural areas. In the image classification method, the deep learning with the multiple neural networks was employed to the given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 for generating the object classification map, then the rural roads were mapped by extracting the road objects from the generated object classification map. In the image segmentation method, the multiresolution segmentation was employed to the same satellite image for generating the segment image, then the rural roads were mapped by merging the road objects located on the rural roads on the satellite image. We used the 100 checkpoints for assessing the accuracy of the two rural roads mapped by the different methods and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s. The image segmentation method had the better performance than the image classification method for mapping the rural roads using the give satellite image, because some of the rural roads mapped by the image classification method were not identified due to the miclassification errors occurred in the object classification map, while all of the rural roads mapped by the image segmentation method were identified. However some of the rural roads mapped by the image segmentation method also had the miclassfication errors due to some rural road segments including the non-rural road objects. In future research the object-oriented classification or th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widely used for detecting the precise objects from the image sources would be used for improving the accuracy of the rural roads using the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

      • KCI등재

        농촌 학교와 지역의 협력을 통한 지역교육공동체 형성 - 충남 홍동 지역 “풀무교육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

        양병찬(Yang Byung Chan) 한국평생교육학회 2008 평생교육학연구 Vol.14 No.3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농촌 지역의 과소화는 농촌 학교의 폐교로 이어지고 이는 다시 이농을 촉진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농촌교육의 악순환은 농촌 지역 활성화를 위해 가장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과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 중앙 정부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는 ‘소규모학교 통폐합’이라는 농촌 교육 정책의 맥락과 이에 대항하고 있는 주민과 교사들의 농촌 학교 살리기 운동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이러한 운동은 농촌교육의 문제를 학교라는 제도교육 안에서만 풀려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농촌 학교의 문제가 농촌의 사회경제적 문제와의 관계 속에서 해결될 수 있다는 관점에서 학교와 지역 간의 긴밀한 협력 사례인 충남 홍동 지역의 풀무교육공동제의 형성 과정을 분석하였다.<BR>  풀무학교는 설립 초기부터 지역과의 협력에 주력하였으며, 최근에는 전공부를 신설하여 지역 사회학교ㆍ대학으로서 지역 발전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풀무학교의 변화와 함께 지역 공립학교의 교사들을 중심으로 한 범교과교육과정연구회의 지역 교육과정 실험은 풀무지역의 교육공동체 운동의 새로운 움직임으로 작용하고 있다. 풀무지역의 교육공동체 운동의 전개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농촌 해체와 마을 학교 폐교라는 위기 상황에서 한 지역교육공동체가 어떻게 그들의 고유의 가치를 가지고 농촌 학교 정책에 대응하고 있는지와 지역 주민들과의 협력을 통해 지역 발전을 이루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풀무학교를 통해서 시작된 농촌 학교와 지역의 협력 과정이 주민과 지역의 내발적(內發的) 역량을 강화하여 갔던 것이다. 최근 몇 몇 농촌 지역에서 주민들과 교사들을 중심으로 한 지역 교육공동체가 만들어지고 있다. 이제 농촌 학교와 지역의 협력적 관계를 중심으로 한 지역 교육공동체 형성에 주목하여야 할 것이다.   The rapid depopulation in rural areas led to many rural schools closed and a lot of rural out-migration. So education is the most important task to deal with for the sake of the regeneration of the rural areas. This study is about the context of the rural education policy called "the consolidation for small-scale schools" and the revitalization movement which is led by the inhabitants and the teachers in rural areas. Especially, in order to resolve the education problem with which the rural areas are confronted, the cooperation of schools and communities is the urgent problem to deal with. This study mainly analyzed the forming process of the Pull-mu education community in Chungnam Hong-dong Area which can be called the model of the cooperation of rural schools and communities in Korea.<BR>  Pull-mu school has put forth strength in the cooperation with the community since it was found. But recently, it is facing the limits of the connection with the community because of its tendency to become an alternative school. To pass beyond the limits above, Pull-mu school has established majors and is showing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rural area as a community school or a community college. With the changes of pull-mu school, an inter-subject curriculum research forum organized by the public school teachers is promoting an education community movement in pull-mu area as a community education experiment.<BR>  I can know how the education experiences in rural schools are turned to the residents" endogenous potential by analyzing the education community movement of Pull-mu area. Besides, I can also find how to cope with the external policies and how to form the education community by connecting the residents in the dissolution crisis of rural areas and closed rural schools. Now we should promote the solidarity between the rural areas and schools. There are already a variety of movements been developed in many areas to form the rural education communities.

      • KCI등재

        농촌마을지도자의 리더역량과 주민 간 갈등관리 및 농촌마을 사업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안동섭(Dong-Seop Ahn),이병준(Byung-Jun Lee),정안성(Ahn-Seong Jeong)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3

        농촌마을의 사업성과는 정부의 지원외에도 농촌마을지도자의 리더역량과 주민 간 갈등관리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촌마을지도자의 리더역량과 주민 간 갈등관리 및 농촌마을 사업성과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으며, 이를 위해 농촌마을사업을 받고 있는 전라북도 농촌마을주민 3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구조방정식모형분석과 Sobel-test를 통해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농촌지도자의 인간관계 역량, 관리 역량, 의사소통 역량, 산업지식 역량이 주민 간 갈등관리자산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주민 간 갈등관리는 농촌마을 사업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농촌지도자의 인간관계 역량, 감성․인지 역량, 관리 역량, 의사소통 역량, 산업지식 역량 모두 농촌마을 사업성과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주민 간 갈등관리를 매개로 하여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농촌마을 지역개발전략에 있어서, 농촌마을지도자의 리더역량을 적용함으로써, 주민 간 갈등관리 및 농촌마을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도출하였고, 농촌마을지도자의 리더역량의 역할 및 중요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Farm village business performance may be influenced by village leaders leadership and conflict management between villagers, so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farm village leaders leadership, conflict management between villagers and farm village business performance. The questionnaire was performed for 376 villagers in Jeollabuk-do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Sobel test. The result shows that farm village leaders leadership such as human-relationship ability, management ability, communication skills, and industrial knowledge ability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conflict management between villagers. The conflict management between villagers also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social and economic performance. The farm village leaders leadership such as human-relationship ability, sensibility․awareness ability, management ability, communication skills, industrial knowledge ability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social and economic performance. But, the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farm village business performance in indirect manner with the mediating effect of the conflict management between villagers. It is worthwhile that in this study, the effect of village leaders leadership on the conflict management between villagers and farm village business performance was verified, and then, it is meaningful to present the role and importance of farm village leaders leadership.

      • KCI등재

        『농촌사회』와 한국의 농촌사회학 연구 - 경향과 과제

        김철규(Kim, Chul-Kyoo) 한국농촌사회학회 2018 農村社會 Vol.28 No.2

        이 논문은 한국농촌사회학 연구가 어떻게 변해왔으며, 현재 어디에 있는지를 고찰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우선 한국농촌사회학회의 학술지인 『농촌사회』의 논문들에 대한 경험적 분석을 시도했다. 1991년 창간호부터 2017년 겨울호에 게재된 총 324편을 주제별, 전공별로 분석하여 특징들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초기에 많이 연구되던 농촌 현장의 구체적인 문제들에 대한 연구가 감소하고, 식품 관련 연구가 크게 증가하였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2018년 아시아농촌사회학회에서 발표된 84편의 논문들을 농촌사회에 최근 게재된 88편의 논문들과 비교하여, 한국 농촌연구의 특징을 보다 선명하게 밝히고자 하였다. 아시아농촌사회학회 발표 논문들과의 비교를 통해서도 한국 농촌사회학 연구가 식품 관련 연구에 편중되어 있고, 상대적으로 농촌 문제 관련 연구는 소수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한국 농촌사회학의 정체성에 대한 깊은 고민과 치열한 토론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사회변동과 연구 환경의 변화 속에서 이뤄진 식품과 대안먹거리에 대한 연구 활성화가 농촌 현장의 구체적 문제에 대한 연구 부족 현상과 무관하다고 할 수 없기 때문이다.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changes and key features of Korean rural studies by examining researches carried out by sociologists and experts in the related fields. In order to so, I analyzed 324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Rural Studies, the official journal of Korean Rural Sociological Society, since 1991 till 2017 by categorizing the articles according to the subjects and the authors’ majors. I found that there has been significant growth of food-related studies while researches on rural communities and rural problems have decreased. In addition, I have analyzed the subjects of recently published articles at Journal of Rural Studies with papers that were presented at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Asian Rural Sociological Association. The comparison of two groups of papers also showed that Korean rural studies are much more interested in food-related issues while researches in other regions of Asia are more interested in the problems that are directly related with the rural communities. These results, I argue, raise the identity issue of what is Korean rural sociology. While food issue is certainly very important one today in Korea, this may have led to relative neglection of concrete issues that are of concer for Korean farmers and rural communities.

      • KCI등재후보

        중국 농촌 체험관광 요인이 농,특산물 구매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다이훼이 ( Hui Dai ),곽춘려 ( Guo Chun Li ) 한국관광산업학회 2014 Tourism Research Vol.39 No.3

        최근 들어 많은 중국 관광객들이 여행목적지로 농촌을 선택하고 다양한 농촌관광활동이 일어나고 있다. 농어촌 마을의 전통문화·경관·어메니티 등을 관광객에게 휴식과 레크리에이션·체험·교육을 제공함과 동시에 농산물, 먹을거리 판매 및 숙박 제공 등을 통하여 농촌경제의 활성화에 기여한다. 따라서 농촌 특산물의 구매에 어떠한 체험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 연구하는 것은 관광객이 다시 찾는 농촌, 지속적인 거래를 희망하는 농산물을 어떻게 구입하는지 그 행위에 관한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농촌체험관광을 통해 관광객들은 농촌의 자원요소와 농촌의 생활, 체험 등에 얼마나 만족하고, 체험과 농촌 특산물 안전성의 신뢰를 바탕으로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농촌 특산물 구매와 재방문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실증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문제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농촌체험관광은 ‘농·특산물의 특성``, ‘교육성과 프로그램’, ‘휴양·일탈성’, ‘시설편리성’, ‘문화·자연환경’ 등의 다섯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농촌 체험관광의 “농·특산물의 특성”과 “교육성과 프로그램”요인들이 농·특산물구매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농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우려와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시점에서 농산물생산과정의 신뢰성, 우수한 맛 등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필요하다. 농촌관광객이 지역의 농·특산물을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홍보하여야 하며, 생산자가 소비자와의 관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농촌 체험관광의 “농·특산물의 특성”, “교육성과 프로그램”과 “휴양·일탈성”요인들이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본 연구는 농촌체험 관광활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농촌의 생태자원, 생활 및 생업 자원을 활용한 차별화되고 고급화된 다양한 체험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방문객들의 특성을 고려한 마케팅 전략을 수행하여 안정적인 수익창출을 위한 기반을 조성하여야 할 것이다. Recently, rural tourism is booming in China since Chinese tourists have increasingly visited rural areas for vacation. Rural tourism provides various opportunities for urban residents to experience traditional culture, landscape, and environment of rural villages and to relax and learn. At the same time, rural tourism contributes to local economy by selling their special agricultural products and food and providing accomodations to tourists. Hence,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major factors of tourist experience that influence the purchase of special agricultural products of the village because it resulted in sustainable development of rural tourism.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rural tourist experiences and how these experiences influence their intentions to purchase special agricultural products of the village and to revisit there. The results show that the rural tourist experience consists of the five main factors: "characteristics of special agricultural products", "education & program", "recreation & excape", "conveniences", and "cultural and natural environments". Among these factors, two factors, namely "characteristics of special agricultural products" and "education & program" positively influence responedents`` intention to purchase special agricultural products. This implies that it is necessary to inform consumers about the trustworthiness of the products as consumers have increasingly paid more attention to the safety of special agricultural products. Moreover, it is also needed to develop and promote various programs through which consumers can experience the special agricultural products and to support the relationship between manufactures and customers. Also, respondents`` intention to revisit the rurla village is positively influenced by three factors, namely "characteristics of special agricultural products", "education & program", and "recreation & excape". This indicates that rural villages should develop distinguished and advanced experiencce programs and perform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visitors in order to make stable profits.

      • KCI등재후보

        연구논문(硏究論文) : 농촌체험관광에 따른 삶의 질 인식이 농촌관광개발지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

        윤세남 ( Se Nam Yoon ) 한국관광산업학회 2015 Tourism Research Vol.40 No.1

        농촌관광에 대한 주요 트렌드는 농촌생활체험을 할 수 있는 농촌체험마을을 개발하는 것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농촌관광개발은 농촌지역의 지역주민의 삶에서 경제적, 사회문화적, 환경적인 부분에 영향을 주게 된다. 이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식은 농촌관광개발에 대한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러한 취지에서 본 연구는 농촌관광개발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인식이 농촌관광개발지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경상북도의 농촌체험마을 중에서 4곳(상주-밤원녹색농촌체험마을, 고령-신리녹색농촌체험마을, 예천-출렁다리녹색농촌체험마을, 김천-이화만리녹색농촌체험마을)을 선정하였다. 설문은 2013년 12월에 240부의 설문을 우편 배송하여 2014년 1월말까지 회수된 설문 183부 중 분석에 적합하게 작성되지 못한 설문 25부를 제거하여 158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SPSS 19.0과 AMOS 20.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통계분석은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였고,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결과 전체 분산 설명력은 79.24%를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탐색적 요인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Cronbach’s 값을 활용한 신뢰도 분석을 수행한 결과 신뢰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한 결과 확인요인분석 결과 모델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연구모델에 대한 적합도는 수용 가능한 것을 검증하였다. 또한 개념 신뢰도와 판별타당성도 확보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위해 수립한 가설에 대한 검증에서 가설1과 가설2는 채택이 되었고, 가설3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하여 기각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살펴볼 때 농촌관광개발에 따른 삶의 질 향상에 대해서 지역주민의 경제적, 사회적 삶의 질에 대한 인식이 농촌관광개발에 대한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는 선행연구들의 결과에서도 나타난 바와 같이 지역주민의 관광개발에 대한 지지에서 가장 중요한 고려요인은 경제적 영향인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볼 때 농촌관광개발을 통해 지역주민들은 지역경제의 활성화에 무엇보다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Nowadays, the trend in rural tourism is to develop rural villages allowing visitors to experience rural life. Rural tourism impacts on rural residents’ quality of life in the economic, sociocultural, and environmental aspects; therefore, the rural residents’ perceived impacts of rural tourism are expected to influence their behavioral intention associated with rural tourism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rural residents’ perceived impacts of rural tourism on their quality of life influence their support to rural tourism development. To achieve this purpose, four villages were selected among the Gyeong Sang Buk Do rural life experience villages: Sangju-Babwon Green Rural Life Experience Village, Goryeong-Sinri Green Rural Life Experience Village, Yecheon-Chuleongdari Green Rural Life Experience Village, and Gimcheon-Ewhamanri Green Rural Life Experience Village. Self-administrated mailing survey was conducted from the beginning of December, 2013 throught the end of January, 2014. A total of 183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158 usable questionnaires were included in the final sample.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were used for testing validity of the data and Chronbach’s alpha was used for testing reliability of the data. Both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good for testing the hypotheses. The results show that the rural residents’ perceived economic and social impacts associated with their quality of life positively influenced their behavioral intention to rural tourism development. The current results also support that the economic impac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be considered in rural tourism development.

      • KCI등재

        농촌관광 자원을 활용한 의료관광 활성화 방안

        전명숙 ( Myung Sook Jeon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4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4 No.4

        농촌관광과 의료관광을 연계한 K-FARM NURI 사업이 대전시와 충청지역을 중심으로 진행 중이다. K-FARM NURI 사업은 도시의 의료관광 인프라와 농촌의 지역성을 결합하여 의료관광객에게 질병치료 및 예방과 한국의 전통문화체험을 동시에 경험할 수 있는 특성이 있다. 또한 농촌의 자연환경과 농촌체험위주의 관광활동과 도시의 의료관광과의 결합을 통하여 새로운 농촌형 관광 상품 개발방안을 제시한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농촌관광은 외래 관광자의 감성을 충족시키며 정신적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휴양과 치유를 목적으로 한다는 면에서 의료관광과 맥락을 같이하며 이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농촌지역 어메니티의 특성을 보존하며 심리적인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는 문화원형을 발굴하고 스토리텔링 기법을 개발하는 다각도의 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농촌관광자원 유형과 농촌관광개발방안 관련 개념을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였으며 K-FARM NURI 사업의 사례를 분석하여 이와 관련된 문제점을 살펴보고 농촌관광과 의료관광이 좀 더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 결과 해당 농촌지역의 정체성 확립을 통한 어메니티 발굴과 농촌유산의 보존, 의료관광 전문 인력 확보 등이 중요한 요소로 대두되었다.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K-FARM NURI Medical Tourism Project which is proceeding in Daejon city and Chungcheng area. K-FARM NURI Project is a Medical Tourism development project which is combine through rural tourism resources. It has characteristic point of provide to protect from the illness and to experience Korean traditional culture to the tourists. And it has meaning that to suggest a new paradime of a rural medical tourism products. Agricultural tourism resources development should consider of preservation of natural resources and rural amenities. Rural amenities such as designated as national agricultural heritages and rural amenities are the main resources of agricultural tourism development. And the development of Medical Tourism which is based on rural tourism resources basically requires regional identity and storytelling technique, regional tourist``s participation programme, and region representative food mene development at the same time.

      • 지방소멸지수의 농촌 소지역단위에의 적용성 평가

        이윤희 ( Yoonhee Lee ),최진용 ( Jin-yong Choi )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7 No.-

        현재의 농촌 지역 정주에 관한 논의는 도농간 격차 감소에서 농촌 지역 존폐에 관한 문제로 넘어가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국가적 단위에서 고령화 및 저출산에 대한 우려가 심화되고 있고, 지역 차원에서는 최근 ‘지방소멸’관점에서의 지속가능성 위기에 대한 보고가 발표되고 있다. 농촌 지역은 이러한 인구 과소화와 이로 인한 농촌 마을의 지속성에 대한 문제제기가 꾸준히 있어왔는데, 최근의‘지방소멸’에 대한 논의는 작은 농촌 마을뿐만 아니라 시군구 범위에서도 인구 급감에 대한 우려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우려는 농촌 지역의 마을 단위에서는 실질적인 지속가능성에 대한 문제이다. 농촌 마을이 속한 더 큰 단위의 지역 범위에서 지속가능성을 우려하게 된다면, 이미 지속가능성이 문제가 되고 있는 농촌 지역 마을은 자구책으로 회복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한정된 자원으로 농촌 지역에 적절한 정책과 투자를 유입하기 위해서는 농촌 지역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세부적인 탐색이 필요하다. 그간 농촌 및 지방의 쇠퇴에 관하여 다양한 연구가 지속되어 왔고, 이를 나타내는 지표 개발 또한 다수의 연구가 있다. 최근 대두되고 있는 지방소멸지수는 일본창성회의의 지방창생정책에 관한 보고서에서 지방 소멸가능성을 측정할 지표로 가임기 여성(20-39세)의 추세를 제안한 것으로 65세 이상 고령인구와 20-39세 여성 인구의 비율로 나타낸다. 이 지표의 특징은 인구의 재생산력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여성이라는 특정 성별을 표면적으로 드러낸 것은 인구증가 가능성에 대한 직접적인 접근인 동시에 다양한 논란이 제기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멸지수의 농촌지역에 대한 적용성을 살펴보기 위해 농촌 지역 과거 인구자료를 이용하여 소멸지수를 검토하고, 인구 추세 및 고령화 추세와 비교하였다. 이는 향후 농촌지역 지속가능성 검토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농촌여성의 노동분화 양상

        박지은(Park, Gee eun) 한국농촌사회학회 2021 農村社會 Vol.31 No.1

        연구는 농촌여성의 노동-삶으로부터의 서사를 가시화하고자 하는 시도를 분석의 출발점으로 삼는다. 농촌여성의 실질적 노동은 국가적 인식의 표면에 잘 드러나지 않는데, 이를 여성 스스로의 삶에서 어떻게 수행하는지 파악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현재 농촌여성은 누구이며, 역사·사회적 맥락이 다르게 형성되어온 주체들의 노동분화 양상을 통해 이들이 노동권역과 생활권역에서 어떻게 살아가는지를 추적하고자 한다. 이 글의 연구방법은 참여관찰, 마을조사,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농촌여성의 노동과 삶에 대한 스스로의 인식과 실태를 이해하며 설명하고자 한다. 지역민이 보여주는 사실에 대한 이해를 다시 낯설게 보기 위해 2차, 3차 자료들과 중복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노력했다. 밭농업의 기계화와 상품생산의 가속화는 역설적으로 농촌여성의 노동 감당에서 한계를 직면하도록 만들었다. 대형 기계작업을 제외한 농업노동 전반에서 여성의 노동이 증가했으며, 가내와 가외 양자에서 복합적 노동을 수행해야 하는 여성의 역할은 세대에 따른 차이가 관측된다. 농촌여성은 가족과 농촌의 사회관계에서 공통적으로 자신의 자리가 명확하지 않은 채 경영주와 노동자 ‘사이’에 자리매김하며, ‘친밀한 노동’과 농업노동을 수행해왔다. 이와 유사한 자리매김은 결혼이주민에게 승계되는 한편으로 비숙련 노동은 이주노동자에게 할당되는 사회구조적 분업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여성이 해온 역할 즉 노동과 노동을 연결하고, 인간과 인간을 연결하는 초과노동과 추가노동에 의존하면서도 사회는 그 가치를 적절하게 인정하지 않았다. 여성의 노동 사례와 유형을 축적해나가며, 연구·미디어·제도·정책 차원에서 여성 생애적 관점의 공론화가 진전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농촌의 미래를 생각할 때 농촌여성에게 일면적으로 기대되는 역할은 전면적으로 재검토될 필요가 있으며, 가족, 사회, 국가가 제 몫을 찾아갈 필요가 있다. This study takes an attempt to visualize the narrative from work-life of rural women as a starting point for analysis. It is an exploratory study to understand how rural women perform practical labor in their lives that are not well exposed on the surface of national perception. This paper tries to find out who are current rural women and how they live in the labor and living areas through the differentiation of labor of subjects whose historical and social contexts have been differently formed. The research method in this article was focused on participatory observation, village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explain rural women"s own perceptions and realities in labor and life. In order to get an unfamiliar understanding of what local people show, this paper reviews the data duplicate checking with the 2nd and 3rd data. The mechanization of upland field and the acceleration of commodity production, paradoxically, made rural women face a limit in their labor endowment. Excluding large-scale mechanical work, women"s labor participation has increased in overall agricultural labor. Some cracks are observed according to the generations in the role of women who have to perform complex labor both at home and in and out of community. Rural women have established themselves as “between” managers and workers in common social relations between their families and rural communities, and have performed “intimate labor” and agricultural labor. It can be seen that a similar role is assigned to marriage migrant women, unskilled work is allocated to migrant workers as a social structural division of labor. While relying on the role that women have played, linking labor and labor, and connecting humans to humans, as excess labor and additional labor, society has not properly admitted its value. It is hoped that by accumulating examples and types of women"s labor, public debate from the perspective of women"s life in terms of research, media, institutions, and policies can progress. When thinking about the future of rural areas, it is necessary to fully review the role expected of rural women in one aspect that needs to reallocate portions by the family, society, and the st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