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지역 노인자살률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박영미(朴英美),김병규(金炳圭) 한국정부학회 2020 한국행정논집 Vol.32 No.4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시행으로 인해 구현된 치매 등 중증질환 노인에 대한 돌봄의 사회화 기능이 실제로 노인의 자살현상에 긍정적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측하였다. 이에 226개 기초자치단체의 2010년부터 2017년까지 총 8년 동안의 노인자살률을 종속변수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실적을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지역 단위 노인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통제변수로 고려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지역의 노인장기요양급여제도가 노인자살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 결과, 노인장기요양급여 이용수급자 비율과 노인 1인당 공단부담금은 기초자치단체의 노인자살률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부(-)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공기관 비율은 부의 관계이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지역사회 자살률 감소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 of long-term care insurance on suicide rates of elderly. For the analysis, suicide rates of the elderly at local government levels is considered as the dependant variable, and index on long-term care insurance is considered as the explanatory variable in 226 local governments from 2010 to 2017. In the results, the proportion of elderly long-term care recipients and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s share in expenses per capita have negative relationships with suicide rates of the elderly.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 policy alternatives to decrease suicide rates of the elderly.

      • KCI등재

        한국의 노인장기요양 관련 법제도의 현황과 과제

        전광석(Cheon Kwang Seok) 한국사회보장법학회 2013 사회보장법학 Vol.2 No.1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이 시대적으로, 사회구조적으로, 그리고 제도적으로 주어진 과제를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이 필요하다. 노인장기요양의 문제 자체는 새로운 현상이 아니며, 또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은 기존에 다른 사회적 위험을 보호하는 기제들과 부분적으로 기능이 중첩된다. 노인복지법 및 건강보험법이 좋은 예이다. 따라서 노인장기요양의 문제를 특유하게 규율하는 제도, 즉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을 체계적ㆍ합리적으로 형성하여야 할 뿐 아니라 부분적으로 장기요양의 기능을 수행하거나 혹은 적어도 보충하는 다른 제도들과의 협력관계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조정하여야 한다. 노인장기요양보호의 사회화는 다양한 제도적 및 규범적 선택의 문제를 제기한다. 제도선택과 보호의 대상, 보호의 방법론, 보호의 내용과 수준, 그리고 재정부담 및 분담의 문제, 관리운영 주체의 문제 등이 논의를 필요로 한다. 이 글에서는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의 제정과정에서 이루어졌던 이에 관한 논의를 정리하였다. 이러한 서술은 한편으로는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체계를 이해하는 기반이 되지만, 다른 한편 앞으로의 입법과제를 논의하는 출발점이기도 하다. 입법과정에서 논의되었던 쟁점을 다시 점검하고, 경우에 따라서 대안을 모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의도적이든 아니든 입법과정에서 미루어졌던 혹은 소홀히 되었던 쟁점들을 새롭게 검토하는 계기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이 실험적 입법의 성격을 갖기 때문에 기존의 사회구조에 대한 검토, 제도에 대한 평가, 그리고 사회현실과 제도의 상관관계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계속 개선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장기요양의 개념, 대상자선정 및 다른 제도와의 조정, 급여의 내용과 수준, 급여의 구체적인 방법론과 관련하여 고려되어야 할 요양정책과 가족정책, 여성정책과 고용정책의 문제, 장기요양이 서비스의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필요한 하부구조의 형성, 그리고 요양요원에 대한 사회적 배려 등이 향후 입법과제를 구성한다. The long-term care act of 2008 should be seen from the various perspectives, above all, socio-structural and institutional. The protection of the long-term care is itself not new, and some other acts work in this field, even though they mainly aim to protect other kinds of social risks such as illness, industrial accidents or poverty. The welfare act for the elderly and the act for the minimum standard of living belong to these realm. For this reason one should strive not only to establish the long-term care insurance act systematically, which is a specified instrument for the long-term care. But also it should be coordinated with the related acts which partly concerned with or at least support the protection of the elderly. The socialization of the problem of long-term care raises some questions of policy choice. These are normative as well as institutional. This article explains the decision process in the problem of the institutional choice, the insured persons, the coverage, the method of the protection, the contents of benefits, and the financing and organisation. This part of this article could be the base on which one can understand the long-term care insurance act of Korea on the hand. On the other hand it could also deliver the normative and institutional situations which should be examined for the further reform.

      • KCI등재후보

        고령화 시대의 노인 범죄 현황과 교정복지적 대책

        유학수 한국교정복지학회 2012 교정복지연구 Vol.- No.25

        우리나라는 2000년을 기점으로 노인 인구가 전체 인구의 7% 이상을 차지하는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고, 이러한 추세라면 2018년에는 노인 인구가 14% 이상을 차지하는 고령 사회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러한 우리나라의 노인 인구의 증가속도는 세계에서 그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빠르게 진행되고 있지만 이러한 노인 인구의 증가에 대비한 제도적인 대책들은 미흡하여 빈곤, 질병, 고독, 소외 등 다양한 노인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함께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것 중 하나는 노인 범죄 문제이다. 1995년에는 전체 범죄자 가운데 61세 이상 노인의 범죄 비율은 1.8%였다. 그러나 2006년에는 4.3%로 2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그동안은 노인 범죄 수가 많지 않아 노인 범죄 문제가 관심이 되지 못하였지만 이제는 전체 범죄 중에서 노인 범죄가 차지하는 비율이 늘어나고 있어 이에 대한 다음의 교정복지적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첫째, 공적 연금 제도가 확대되어야 한다. 둘째, 노인을 위한 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확대가 필요하다. 셋째, 재범 방지를 위한 노인의 교정복지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넷째, 역모기지 제도의 적극 홍보 및 확대 실행이 필요하다. 다섯째, 취업 알선 및 고령자 고용촉진을 활성화 시켜야 한다. 앞으로 노인 인구의 증가와 함께 노인범죄자 수가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노인 범죄 예방에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이러한 대책 마련을 위해 앞으로 노인 범죄와 관련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Korea is become an aging society that the elderly account for more than 7 percent of the total population in 2000. In trend, we expect aged society in 2018 which accounts for more than 14% of the elderly population. Though the growth rate of the elderly population of our country is too fast to find hard another example in the world, the institutional measures about this are insufficient. So the various senior problems that the lack of poverty, sickness, loneliness, alienation, and so on are arising. In addition, Elderly crime is the one that socially issued. In 1995 the rate of the whole of criminals aged over 61 was 1.8 percent. However, in 2006 an increase of 4.3% is more than twice. Meanwhile, the Elderly crime is not a big issue because the number of the elderly do not have a lot of crime, but the correctional welfare measure is necessary to protect increasing proportion of elderly crime. First, the public pension system should be expanded. Second,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counseling programs for the elderly is needed. Third, recidivism prevention program for correctional welfare of the elderly should be developed. Fourth, actively promote and expand the reverse mortgage loan program execution is required. Fifth, to promote job placement and employment of the elderly should be activated. Future with the increasing elderly population is expected to be continued to increase the number of elderly offenders. Therefore, we continue our effort to prevent the elderly crime and many studies of the elderly with regard to crime will be needed.

      • KCI등재

        장애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장애노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전동일,양숙미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2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1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and present the political and practical plan for the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with disability. We analyzed the raw data of the old people life actual condition which executes from 200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subjects for the study was the elderly with disability at the age of 65 and over. and comparative group was the elderly without disability at the age of 65 and over. The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are the function and healthy and productive activity, and family. The results appeared that the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the family factors influenced highly the quality of life. ADL and the chronic disease didn't affected in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with disability and affected in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without disability. Economic activity and Caring their grandchildren didn't affected in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with disability and did affected negatively for the elderly without disability. We proposed the implication for the political and practical improvement plan as follows : will have to provide the service of culture and leisure life participation reinforcement, family support, and employment service for the elderly with disability. 본 연구는 장애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여 이들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장애노인복지 정책적,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8년 보건복지부에서 실시한 노인생활실태 및 욕구조사 자료를 2차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65세 이상 장애노인이며 비교 집단으로 비 장애노인을 설정하였다. 장애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크게 인구학적 특성, 기능 및 건강, 생산적 활동, 가족 요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장애노인과 비 장애노인 모두 생산적 활동 요인 중 사회활동 참여와 가족요인이 생활만족도에 높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노인은 ADL과 만성질환이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비 장애노인은 건강요인이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활동과 돌봄활동의 생산적 활동요인이 장애노인에게는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비 장애노인에게는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애노인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비 장애노인과 같은 서비스가 제공됨과 동시에 문화와 여가생활 참여 강화, 가족지원정책 강화, 그리고 장애노인에게 일자리사업의 우선적 지원 등을 제시하였다.

      • 소규모 노인요양시설 운영현황 및 발전방안 연구

        강현주,신인순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3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11 No.-

        본 연구는 경기도 내 소규모 노인요양시설의 운영현황, 문제점 및 제도개선에 대한 인식 파악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현장 실무자와 학계 전문가들로 포커스 그룹을 구성하여 심층면접을 하고 이를 통해 작성된 설문지로 조사를 실시하는 것이다. 조사대상은 2013년 현재 경기도 내 30인 미만 요양시설과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739개소, 주야간보호시설 168개소, 총 907개소였으며, 이중 344개소의 요양시설과 445명의 입소노인 보호자가 응답하였다. 조사결과, 시설운영상 어려움을 야기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낮은 요양보험수가를 가장 많이 지적했고, 여러 종류의 과다한 업무, 입소자 모집의 어려움 등이 뒤를 이었다. 입소노인의 만족도를 좌우하는 요인으로 10인 이상 30인 미만 요양시설에서는 요양시설의 역량을,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에서는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직원과 입소자 간 유대관계를 가장 큰 요인으로 꼽았다. 소규모 노인요양시설의 경영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요양보험 수가인상과 요양시설 운영에 대한 각종 규제완화가 우선되어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현 제도의 개선과 발전을 위한 주요행위자가 누구인가에 대한 인식조사에는 모든 시설 유형에서 보건복지부가 주체가 되어야 한다고 가장 많이 응답하였고, 다음으로 국민건강보험공단, 개별시설, 관할 시․군, 경기도순으로 응답하여 중앙정부의 개선의지가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소규모 노인요양시설의 발전을 위해 소규모의 시설임을 고려한 개선방안,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에 대한 별도의 정책, 국가차원의 장기요양제도의 개선이 시급하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awareness about operation, problems and improvement of system of small nursing home for elders in Gyeonggi-do status. We made a focus group consisted of research hand-on workers and academic experts in the field. And we progressed an depth interview survey and investigated the completed questionnaire. Objections of study were 739 points of nursing home and elderly care group home, and 168 points of day and night care facilities less than 30 people in Gyeonggi-do status in 2013. They were 907 points in total and 344 points of nursing home and 445 protectors of elderly residents admitted to respond. On the survey, the major reason that causes difficulties in operating the facility was the low insurance fee in nursing. And excessive working load and the difficulty in recruitment of the residents followed. As a factor that influencing the satisfaction of the residents, nursing homes with 10 or more than 30 people selected the capacity of nursing homes, and elderly care group home selected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staffs and residents. To improve small nursing homes' management, it was noted first to increase Care insurance fee for the elderly and deregulate about operating nursing homes.In a survey of recognition about who is the main actor for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the current system, Minister of Health and Welfare was mostly responded, followed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private facilities, the competent city and county, and the administration of Gyeonggi-do. This means the willingness to be improved of central administration is recognized to be important. This study propose it is needed to prepare some improvement plans considering that the nursing homes are small scale, special policy for the elderly care group home and improvement of long-termed care for the elderly as a national plan for the development of small nursing homes.

      • KCI등재

        노인돌보미의 직무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요인 연구 : 노인돌보미 집단 간 차이를 중심으로

        김옥희 한국노인복지학회 2011 노인복지연구 Vol.0 No.52

        This study was aimed to analyze the job satisfaction affecting the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effects of job satisfac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between two helper groups for the elderly- the basic care services and the total care services.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cas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level between two groups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were reported. Second, in case of helpers those who give the elderly the total care services the Multi Regression analysis found that the variables influencing affective commitment were helper’s health and relation with the elderly, pay, welfare facilities, that the variables influencing continuance commitment were the elderly health and welfare facilities, and that the variables influencing normative commitment were relation with the elderly and pay. Third, in case of helpers those who give the elderly the basic care services the Multi Regression analysis found that the variables influencing affective commitment were age, level of education, helper’s health, relation with the elderly and welfare facilities, that the variables influencing continuance commitment were age, activity period and helper’s health, and that the variables influencing normative commitment were age and relation with the co-workers. 본 연구에서는 경남지역 노인돌봄기본서비스사업체와 노인돌봄종합서비스사업체에 서비스를 받고 있는 210명을 대상으로 노인돌보미의 직무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두 집단 간에 직무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대한 두 집단 간의 차이검증 결과, 조직몰입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종합-노인돌보미의 조직몰입 평균이 기본-노인돌보미보다 더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직무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요인은 종합-노인돌보미의 경우 돌보미의 건강, 대상노인과 관계, 임금 적정성과 기관의 후생복지요인은 정서적 몰입에, 대상노인의 건강상태와 기관의 후생복지요인은 지속적 몰입에, 노인과의 관계와 임금의 적정성 요인은 규범적 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본-노인돌보미의 경우 연령, 학력, 건강, 노인과의 관계와 기관의 후생복지요인은 정서적 몰입에, 연령, 활동기간과 건강요인이 지속적 몰입에, 연령과 동료와의 관계는 규범적 몰입에 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 노인돌보미의 조직몰입 향상을 위하여 후생복지 수준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광주광역시 노인복지서비스에 관한 연구

        심미승,이형준 경인행정학회 2013 한국정책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현재 65세 이상의 노인과 향후 복지서비스의 수요자가 될 베이비부머들의 노인복지서비스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이들이 필요로 하는 복지서비스는 무엇인지를 세대간 비교분석 하였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에서 시행하고 있는 10개의 노인복지서비스에 대하여 노인과 베이비부머 23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베이비부머가 노인보다 노인복지서비스에 대한 인지정도가 약 1.2배에서 1.7배정도 높게 나타났다. 또한 향후 필요한 복지서비스로 노인은 기초노령연금, 노인일자리 창출, 대중교통 이용시 경로우대 서비스를 우선시 하였으며 베이비부머는 노인일자리 창출, 기초노령연금, 노인장기요양보험 순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부모를 봉양하고 자식을 부양하느라 정작 자신의 노후대비에는 소홀했던 베이비붐 세대들이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제공하는 복지서비스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음으로 이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노인복지정책이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가 사회적 자본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장유미(Jang Yu-Mi) 한국사회복지학회 2011 한국사회복지학 Vol.63 No.2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사업이 노인의 사회적 자본 변화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 규명하여 노인일자리사업의 효과성을 사회적 자본 변화를 통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한 노인 중 사회적 자본이 변화하였을 때, 사회적 자본의 변화를 유형별로 나누어 참여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노인일자리사업 특성을 변화유형별로 비교해 보았다. 이는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가 노인 삶을 변화 시키는데 직ㆍ간접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는 실증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한 노인 중 사회적 자본이 변화하였을 때, 생활상의 어려움에 있는 노인층에서 사회적 자본 중 신뢰, 관계망, 사회참여가 모두 증가하였고,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가 생활상의 어려움을 가진 노인층에게 사회적 자본 증가의 효과를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들 사회적 자본 중 노인 일자리사업에 참여한 노인은 신뢰가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특히 생활상의 어려움에 있는 노인층과 생계비를 벌기 위해 참여한 노인층에서 사회적 자본 중 신뢰, 관계망, 사회참여가 모두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으며, 노인일자리사업이 생활상의 어려움을 가진 노인층에게 사회적 자본 변화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일자리유형에서 사회참여는 상승하였고, 생계를 위해서 참여한 노인층이나 생활상의 어려움이 있는 노인층에서 특히 사회참여가 증가하였다. 짧은 참여기간 동안의 조사로 나타난 결과이기도 하지만, 궁극적으로 노인의 노동참여를 통한 사회참여는 보호적 시장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효과적이었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through change of social capital by understanding how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in the elderly employment policy of Korea has effected the change of social capital. The method of research was to design the research in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s design from the quasi-experimental design for the 500 elderly who participated and 250 who have not participated in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through distributing structured questionnaire by classifying into before and after the project during 7 months from March 1, 2010 to September 30, 2010 to those above 65 living in Changwon. The social capital which is an important variable among the measurement index of the study has been set as trust, network, and social participation fields based on the aforementioned theoretic background. When the fact that there is a partial difference in the change of social capital of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in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and the timing (before/after) is looked at in terms of change of social capital after controlling the general character of the elderly and the pre-score, there are differences per timing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in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Thus, the participation in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of social capital. It is possible to see that the trust, network, and social participation of the social capital all increased in the elderly with difficulties in their living status. It can be seen that the participation in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brings forth increase of social capital for the elderly with difficulties in their living status. Among the social capitals, the elderly who participated in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showed that the trust increased the most. Consequently, in order to increase the comprehensive social capital, the programs must be carried out focused on the vulnerable class in parallel to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for the general elderly of other classes.

      • 교회노인대학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이문연(Lee Thomas Moon) 한국복지실천학회 2015 한국복지실천학회지 Vol.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교회에서 운영하고 있는 노인대학의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향후 노인대학의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우리나라는 이미 고령사회로 진입하여 길어진 노년기의 수명과 여가문제라는 사회문제로 부각하게 되었다. 그 동안 교회에서 운영되고 있는 노인대학의 실태를 보면 교회에서 운영되고 있던 노인대학은 대부분이 일주일에 한 차례만 운영되고 있었으며, 프로그램도 여가와 취미 프로그램이 가장 많았다. 그리고 교회의 노인대학과 일반 노인복지관과 다른 점이 있다면 예배와 설교가 있는 점인데, 현재는 설교형태의 단순한 주입식 교육이 많아서 노인의 교육욕구를 충분히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 교회의 노인대학의 강사들은 일반 노인복지관의 강사들에 비해서 전문성이 결여되고 있으며, 프로그램에 있어서도 큰 차이가 없어서 기독교적 변별력이 약했다.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도 대부분의 교회에서 노인대학이 단순히 교회성장의 수단이 되고 있는 점이었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바탕으로 그 발전방안으로 노인대학을 통한 노인들의 영혼구원에 중점을 두어야 하며, 개교회 중심의 노인대학 운영에서 교단 간 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미래의 교회노인대학은 현재의 노인들과 미래의 노인세대는 여러 가지로 차이가 있음을 염두고 두고 향후 전략적으로 차별화된 방법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atus and problems of the future development plans of the elderly enrolled in a collegiate setting operated by the Church. Korea has already entered the aging society where longer life and the leisure from old age has emerged as a social problem. Looking at the situation of the elderly universities operated through the church, the most frequent programs were the leisure and hobby programs which meet only once a week. The difference between the university of the church and the Government Social Welfare Center is that there is worship and sermons, which are the simplest forms of intrusive teaching and does not meet the elderly's educational needs. In addition, the church's elderly lecturers lack the expertise possessed of the state's education system. Above all, many churches have been setting up elderly universities simply as a means for the church to grow. Based on the problems, a development plan for the elderly needs to focus on the salvation of souls through the elderly university. Therefore, an inter-denominational coalition is preferably formed from the local churches. The future of the church is now the elderly college and the future generations of older people in many ways, so there needs to be a new strategic way to shape the future.

      • KCI등재

        우리나라 재가노인복지사업의 발전방향 인식 연구: Q 방법론을 활용하여

        김미혜,권금주,이은혜,최희진 한국노인복지학회 2011 노인복지연구 Vol.0 No.5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subjective perception types for developmental directions of the elderly home-care Service by Q methodology so as to recognize the directions of elderly home-care Service more clearly and to search for political measures to elderly home-care Service within the framework of the Senior Long-Term Care Insurance Program. A survey was made on 46 persons of elderly home-care related professionals. The research findings can be five major sorts of subjective perception types for developmental directions of the elderly home-care Service : stabilization of the elderly home-care welfare system (Type 1),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elderly home-care services and (Type 2), enhancing quality of elderly home-care facilities management (Type 3), settlement model which distinguishes the elderly home-care (Type 4), empowerment of the elderly home-care programs (Type 5).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some recommend to look for a realistic and practical approach focusing on the directions of elderly home-care while others emphasize the significance of a broad concept of well-positioning and building up the capabilities of the elderly home-care. Therefore, it is firmly believed that the directions of the elderly home care Services reflecting both ideas need to be formed in the future. 본 연구는 Q방법론을 활용하여 재가노인복지 관련 전문가 및 관심자를 대상으로 재가노인복지사업의 발전방향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유형화하여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재가노인복지 관련 전문가 및 관심자 46명이었고 Q방법론으로 분석한 결과 최종적으로 5개의 유형이 확인되었다. 5개의 유형은 재가노인복지 제도의 안정화(1유형), 재가노인복지 서비스의 통합적 관리 (2유형), 재가노인복지시설의 질 강화 (3유형), 차별화된 재가노인복지 모형 정착화 (4유형), 재가노인복지사업의 역량강화 (5유형)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서비스, 시설운영 등에 초점을 두고 현실적이고 실제적인 방법을 모색하는 것을 주장하는 반면, 사회환경의 변화 속에서 재가노인복지의 자리매김과 역량을 강화하는 광의적 개념을 중요하게 보는 인식도 있어 양 입장을 고려한 재가노인복지사업의 방향 정립이 앞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는 재가노인복지사업 방향을 좀 더 명확히 이해하여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라는 테두리 내에서 재가노인복지사업의 방향과 전략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