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6세기 노수신의 진도(珍島) 유배와 주민과의 교우 -노수신의 『소재집(穌齋集)』을 중심으로-

        이도정 역사문화학회 2024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27 No.1

        이 연구는 진도에서 19년 동안 유배되어 다양한 기록을 남긴 노수신과 그의 저작인 『소재집』을 진도 기록물이라는 차원에서 주목하여, 16세기 중엽의 진도 지역사회를 살펴본다. 이 연구의 목적은 진도에 새롭게 읍치를 창설한지 1세기가 지난 16세기 유배자 노수신의 눈을 통해 진도로 이주ㆍ복귀한 진도 주요 성씨의 정착과 교류 활동을 포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부분에 주목한다. 첫째, 노수신이 유배기간 머문 장소를 그의 글을 통해 분석하여 기존에 제시되던 지산면 안치리가 아닌 읍성 서쪽 지역이었음에 주목한다. 둘째, 노수신이 배소와 인접한 진도의 주요 성씨와 교류하고 있었으며, 그들은 이 시기 이미 상호 통혼관계를 맺고 있었고 성황제를 통해 자신들의 위세를 과시하고 있었음을 보인다. 셋째, 당시 진도 지배층의 주요 교류 장소로 읍치 동부 지역을 주목한다. 이 지역은 향교를 중심으로 유배대와 당동암 같은 지역 지배층의 교류를 위한 시설이 위치한 곳이었음을 보인다. 이를 통해 이 연구는 16세기 중엽 진도 읍치의 중심성을 포착하였다. 당시 노수신은 진도 읍치 인근에서 유배생활을 하였고, 읍성 밖 동서쪽에 포진해 있던 진도의 주요 성씨 인물들과 활발하게 교류했으며, 이 시기 진도 읍치의 동부 지역은 지역의 유력 성씨와 지역의 관리는 물론 문과 출신 유배자까지 함께 모여 교류하는 장소였음을 포착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mid-16th century local community of Jindo through the perspective of Noh Soo-shin, who was exiled to Jindo for 19 years and left various records, including 『SoJae-Jip(穌齋集)』. The aim is to capture the settlement and social activities of the major Jindo lineages who migrated to Jindo after the establishment of a new governing cattle, through Noh Soo-shin’s poetry. To achieve this, the study focuses on three aspects. Firstly, by analyzing Noh Soo-shin’s writ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location where he resided during his period of exile was in the western area of the fortress, rather than the previously suggested Anchi-ri in Jisan-myeon. Secondly, it reveals Noh Soo-shin’s interactions with the major lineages’ member in Jindo adjacent to Noh Soo-shin’s place, showing that they were already engaged in intermarriages and showcasing their influence through Seounghwang-je(城隍祭). Thirdly, it emphasizes the eastern area of the town as a major exchange hub for the rulling class in Jindo at the time, with facilities such as Hyanggyo(鄕校), Yubaedae(遊杯垈), Dangdongam(唐洞庵). Through these findings, this study has illuminated the pivotal role of Jindo’s urban center during the mid-16th century. During this era, Noh Soo-shin resided in the vicinity of Jindo’s central area, actively engaging with key figures of Jindo’s prominent lineages. Futhermore,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 estern district of the town served as a nexus for interaction, where influential lineage members, local administrators, and even exiles of scholarly and bureaucratic backgrounds convened.

      • KCI등재

        李滉과 盧守愼, 그 同曲異調

        안병걸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9 嶺南學 Vol.0 No.71

        This study aims to recognize the difference of interpretations on <Suk Heung Ya Mae Jam Hae> by reviewing the debate between Yi Hwang and Noh Susin. Both of those scholars stand for Dohak[道學], the study for development of mind to become a Sage[聖學], while their methods are different. Specifically, Yi Hwang adheres to analytic method on separating human nature from emotion, as well as separating sincerity from mindfulness, while staying faithfully on neo-Confucian theory. On the other hand, Noh Susin emphasises consistency of mind, which does not separate human nature from emotion, and sincerity from mindfulness. This aspect is seen on <In Sim Do Sim Byun[인심도심변]>, and <Suk Heung Ya Mae Jam Hae[숙흥야매잠해]>. Yi Hwang and Noh Susin have had serious discussion on this matter, regarding seperation of pharagraphs, interpretation of sentences and context of writing. Althoughh Noh Susin accepts Yi Hwang's opinion on the interpretation of sentences, he does not accept Yi Hwang's opinion on relationship between Sincerity and Mindfulness. Future generations' perspectives on the opinion of those two scholars vary differently. Scholars of Youngnam School, especilly Yi Hyunil[이현일], is critical on Noh Susin's interpretation, while scholars such as Hur Mok[허목] and Jung Yakyong[정약용], from Kyungki province, are in favor of Noh Susin's opinion. Particularly, Jung Yakyong highly appreciates those two scholars' active debate despite their different academic stances. 이 글은 盧守愼의 저작 <夙興夜寐箴解>를 둘러싼, 李滉과 노수신 두 사람 간의 해석의 차이를 검토하여, 두 사람의 학문적 성향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두 사람은 모두 道學을 표방하였으나, 그에 이르는 방법이 달랐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이황은 주자학적 이론에 충실하여 天道와 人道, 마음과 本性, 誠과 敬을 구분하는 분석적 시각을 견지하였다. 노수신은 성리학적 도학 실천을 위한 마음의 한결같음을 강조하였다. 그는 천도와 인도, 성과 경을 구분하지 않았다. 말하자면 합일적, 통합적 관점을 가졌던 것이다. 이것은 노수신이 지은 <인심도심변>에서 확연하게 드러나는데, 그에 앞서 저술한 <숙흥야매잠해>에서도 그 단초가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황과 노수신은 이 주제를 두고 진지한 토론을 진행하였다. 양인 간의 견해차는 분장과 자구 해설, 의미 이해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채로웠다. 이 중에 자구 해설 등에 대한 이황의 지적은 노수신이 상당 부분 수용하였으나, 앞서 말한 천도와 인심, 성과 경에 대한 이의 제기, 특히 경에 대한 한결같음이라는 해석에 대하여는 조금도 양보하지 않았다. 두 사람의 학문을 바라보는 후인들의 시각 또한 크게 달랐다. 이황을 계승한 영남학파의 학자, 특히 李玄逸은 노수신의 해석에 대하여 비판적이었다. 그러나 경기지방에서 살았던 許穆과 丁若鏞 등은 노수신에 대하여 우호적이었다. 무엇보다도 양인이 학문적 견해가 크게 달랐음에도 적극적으로 토론하였던 것을 정약용은 높이 평가하였다.

      • KCI등재

        蘇齋 盧守愼의 人心道心說

        정대환 대한철학회 2009 哲學硏究 Vol.112 No.-

        주자학이 조선에 유입된 이후, 조선 초중기의 성리학자들은 주자학의 理氣論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에 지대한 관심을 가졌다. 당시 학자들은 理와 氣라는 범주를 통해 학문체계를 구축하였다. 그들은 理와 氣의 관계를 不相離와 不相雜으로 이해하고 심화시키면서 主氣論과 主理論으로 나아갔다. 본고는 노수신의 人心道心說을 고찰하였다. 노수신은 자신의 학문체계에서 朱子學的 이기론을 심도있게 전개하지 않고 또한 심성론 영역 가운데 인심도심설을 주자학에서 벗어나 전개하였다. 당시 학계는 朱熹의 인심도심설을 추종하였기에 그의 인심도심설 전개는 학계에 큰 파문을 일으켰다. 그러한 파란은 그가 整菴 羅欽順의 『困知記』를 조선 학계에 소개하면서 人心道心體用說을 강력히 주장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주장은 이항・김인후・기대승의 공격을 받았고 이황으로부터 禪學의 혐의가 있다는 지적을 받았다. 하지만 노수신은 학계의 지적과 힐난에도 자신의 논지를 초지일관 견지하면서 응대하였다. 본고의 전개는 노수신의 인심도심설을 고찰하기에 앞서 朱熹와 羅欽順의 인심도심설을 개략적으로 고찰한 다음, 노수신이 주장한 인심도심설의 논지와 그 주장에 대한 학자들의 반박을 살펴보았다. 특히 노수신의 반박은 나흠순처럼 일원론적 입장에서 人心을 已發로 道心을 未發로 간주하여 人心道心體用說을 정당화하면서 진행된다. 이러한 그의 논지 고찰은 조선 중기 성리학의 큰 줄기인 主氣論의 형성과정의 한 부분이 드러날 것이고 또한 일원론적 사유에서 한결같이 心一元論을 주장하고 있기 때문에 그의 사상적 개성과 독자성을 확인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주자학 속에 숨은 양명학: 노수신의 주자학과 그의 인심도심 해석

        최진덕 ( Choi Jin Duk ) 한국사상사학회 2015 韓國思想史學 Vol.0 No.51

        노수신은 16세기 당시부터 양명학을 한다고 비판받아 왔다. 오늘날에도 신향림은 그를 “최초의 양명학자”로 지목한다. 하지만 노수신의 산문은 매우 주자학적이다. 그의 시에서 간혹 양명학적 소신이 드러날뿐이다. 간혹 보이는 그의 양명학은 그의 주자학과 모순이라 보기 어렵다. 주자학적 본체론의 깊이에는 “이는 하나(理一)”라는 진리가 있다. 이 진리는 왕양명의 만물일체설과 다르지 않다. 주자학적 본체론의 깊은 곳에 양명학이 숨어있다. 그러므로 모든 주자학자는 잠재적으로 양명학자일 수 있다. 노수신은 주자학적 본체론의 깊이에 침잠함으로써 양명학과 만난다. 그의 『인심도심변』은 주희의 인심도심 해석이 주자학적 본체론과 공부론의 체와 용을 겸비하지 못하고 용의 차원에 그치고 있음을 안타깝게 여겨 16자 전심결을 주자학적으로 완전하게 해석한다. 『중용장구서』 에서의 주희의 인심도심 해석보다 더 주자학적인 노수신의 인심도심 해석은 나정암의 그것과 흡사하다. 그런데 노수신은 주자학적 본체론의 깊이에서 하나(一)과 무(無)를 말하면서 양명학과 만나는 반면, 나정암은 하나와 무를 말하지 않으면서 양명학과는 반대 방향으로 나아간다. 하지만 노수신은 양명학을 하더라도 극단으로 가지는 않는다. 그에겐 강렬한 깨달음의 체험도 없고 광자기상도없다. 주자학과 양명학은 근본적으로 연속적이지만 주자학이 권력화되던 시절에 양명학적 소신을 피력하기란 쉽지 않기도 했다. Noh Susin(盧守愼, 1515-1590) had been accused of his inclination to Yangming``s Learnning by the fundamentalist scholars of Chuhsi``s Learning in Chosun Dynasty. However, in his proses discussing the themes of Chuhsi``s Learning, we cannot find out any evidence that he was a scholar of Yangming``s Learning as opposed to Chuhsi``s Learning. On the contrary he seems to be faithful to the authenticity of Chuhsi``s Learning more than any other scholar of Chuhsi``s Learning. Only in his poems we can find out some phrases showing his inclination to Yangming``s Learning. Is there any discontinuity between Chuhsi``s Learning in his proses and Yangming``s Learning in his poems? At first we must know that Yangming``s Learning has the same theory of ontology as Chuhsi``s Learning, and that Yangming``s Learning is different from Chuhsi``s Learning only in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According to the ontology of Chuhsi``s Learning, all different things in this changing world are flowing into one thing while interacting with each other. This oneness of all things is the ontological depth of Chuhsi``s Learning, but Chuhsi``s Learning cannot provide any efficient method of self-cultivation to arrive at the ontological depth and to become a sage. The sudden enlightenment theory of self-cultivation proposed by Wang Yangming is more appropriate than the moral and intellectual theory of self-cultivation in Chuhsi``s Learning. We can say that the ontological depth of Chuhsi``s learning calls for Yangming``s Learning. The inclination to Yangming``s Learning of Noh Susin seemed to be due to his experience of the ontological depth of Chuhsi``s Learning, which was the result of his arduous study of Chuhsi``s Learning. He became inclined to Yangming``s Learning because he was faithful to Chuhsi``s Learning. Also his new interpretation of Men``s mind and Tao``s mind was to revive the ontological depth of Chuhsi``s Learning omitted in the interpretation of Chuhsi himself which considers the two minds as the two desires of the psychological level.

      • KCI등재

        인심도심의 일원론화-노수신 심론의 경험적 읽기-

        서영이 범한철학회 2018 汎韓哲學 Vol.91 No.4

        The major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review the experiential implications of Noh Susin's Human Mind-Moral Mind Theory and reveal its current vitality. 1) Noh defined Moral Mind as Ti of Wei-fa and Human Mind as Yong of Yi-fa according to the logic of Luo Jin Shun and argued the Ti-Yong Theory of Human Mind-Moral Mind. 2) His Mind penetrates ‘Nature-Emotion' and is structured into ’Moral Mind[性・體]-Human Mind[情・用].' Moral Mind is understood as ’Chuk' to practice moral essence for risky Human Mind. This means that he was oriented toward ‘Monistic Theory' centered around Moral Mind. 3) These discussions have an absolute emphasis on Mind-Nature Bulli inherent in them, but Noh's argument that they should exist as metaphysical and physical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does not mean that he regarded Mind and Nature as one because his Mind and Nature existed ’like one even though they were two.' It is at this point that his theory was distinguished from the discourse of 'Simjeukli.' Noh's Human Mind-Moral Mind Theory still seems ‘ideological' in that it assumed the essence of ‘being human' applied only to human beings and granted the order of nature to Moral Mind along with Neo-Confucianism. His ‘categorization' does not match the nature of the mind that has been explained scientifically, but his Human Mind-Moral Mind Theory offered an important opportunity to convert ’ideological Neo-Confucianism' to ‘experiential Neo-Confucianism' in that it accepted the body at the opposite end from nature as one of ’our conditions.' He maintained that the ’values that we want consciously' have something to do with ‘our body,' proposing ‘realistic virtue.’ In the middle 16th century, Joseon was in the ‘era of Chu Hsi studies.' Overturning his categorization of mind was to claim oneself as ’social other' beyond an uncomfortable challenge within the intellectual tradition those days. Noh's radical challenge was, however, a philosophical leap closer to our reality.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노수신(盧守愼)의 인심도심론이 가지는 경험적 함의를 검토하고, 그것의 현재적 생명력을 드러내는 것이다. 1)노수신은 나흠순(羅欽順)의 논의에 따라 도심을 미발의 체(體)로, 인심을 이발의 용(用)으로 규정, 인심도심체용론(人心道心體用論)을 주장한다. 2)그의 심(心)은 ‘성(性)-정(情)’을 관통하여 ‘도심[性・體]-인심[情・用]’으로 구조화되며, 도심은 위태로운 인심에 대하여 도덕적 본질을 실현하는 ‘축’으로 이해된다. 이는 도심 중심의 ‘일원론화’를 지향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3)이러한 논의에는 심・성 불리(不離)의 절대적 강조가 내재되어 있다. 그러나 형이상・하가 혼융무간(混融無間)으로 존재한다는 노수신의 주장이 심・성을 하나로 보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의 심・성은 ‘둘이지만 하나처럼’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는 ‘심즉리(心卽理)’의 담론과 구분점을 갖는 지점이기도 하다. 노수신의 인심도심론은 성리학과 함께 인간에게만 적용되는 ‘인간다움’의 본질을 가정, 도심에 자연한 질서를 부여했다는 점에서 여전히 ‘관념적’으로 보인다. 노수신의 ‘범주화’는 과학적으로 해명된 마음의 본성과 일치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인심도심론은 본성과 대척점에 배치했던 몸을 ‘우리의 조건’으로 수용했다는 점에서 ‘관념적 성리학’을 ‘경험적 성리학’으로 전환시키는 데 중요한 계기를 제공했다. 그것은 ‘의식적으로 원하는 가치들’이 ‘우리의 몸’과 무관하지 않음을 주장, ‘지상적인 덕’을 제안한 것이다. 16세기 중엽, 조선은 ‘주자학의 시대’다. 주희의 마음에 대한 범주화를 뒤집는 일은 당시의 지적 전통 안에서 거북한 도전을 넘어 ‘사회적 타자’를 자처하는 일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수신의 급진적인 도전은 우리의 현실에 한층 다가서는 철학적 도약이었다.

      • KCI등재

        소재 노수신 유배 초기의 한시

        노요한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2 儒學硏究 Vol.59 No.-

        Sojae 穌齋No Su-shin 盧守愼was a politician, scholar, and poet, who is said to have had play active roles during the reign of King Myŏngjong and King Sŏnjo. He passed first in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in 1543, serving as Government Official in Confucian Academy 典籍and Sixth Counsellor in the Office of Special Advisers 修撰and then became a librarian at Crown Prince Tutorial Office in the following year. After King Myŏngjong ascended to the throne, he was dismissed for his involvement in Literati Purge of 1545 乙巳士禍caused by Yun Hyŏngwŏn and Yi Ki, which made him exiled to Sunch'ŏn in 1547. To make matters works, he was transferred to Chindo Island in September of the same year since his offence was aggravated by the case of Writing on the Wall at Yanghae Post-station 良才驛壁書事件, and lived in exile for 19 years there.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No Su-shin’s poems written during his early exile. How did he embody the unstable feelings and changes in emotions? What characters or objects and poetic styles did he often employ when writing his literary works? Who did he exchanged poems with and what are these series of poems in regards to? What emotions are expressed and substantiated in his well-known Self-Elegy 自挽詩? mentioned above, this paper elucidates his poems written during his early exile with careful attention to these issues. 소재(穌齋) 노수신(盧守愼)은 명종-선조 연간에 활약한 정치가이자 학자ㆍ시인이다. 잘 알려져 있듯이 노수신은 중종 38년(1543)의 문과에서 장원급제한 이후 성균관 전적(典籍)ㆍ수찬(修撰)을 거쳐, 이듬해 시강원사서가 되고, 같은 해 사가독서하는 등 승승장구하다가 명종 즉위 후 윤원형과 이기가 일으킨 을사사화에 연루되어 파직되었다가 이듬해 명종 2년(1547) 순천으로 유배되고 같은 해 9월 양재역벽서사건으로 죄가 가중되어 진도로 이배되었다. 이 진도에서 노수신은 19년간 유배 생활을 하였다. 노수신 유배 초기의 한시는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을까. 유배 초기의 불안한 심리와 복잡한 심리변화를 한시는 어떻게 담아내고 있을까. 유배 초기의 한시에 소재로 자주 등장하는 인물이나 사물이 있을까. 자주 사용된 시체는 무엇일까. 어떤 사람들과 어떤 시 수창을 하였으며 그 시들은 어떤 내용을 담고 있을까. 잘 알려진 「자만시」는 어떠한 마음으로 써내려 간 것이며 그 시는 어떠한 내면의 울림을 담고 있을까. 이하 본고는 이러한 점들을 염두에 두면서 노수신 유배 초기의 한시에 대해 간략히 서술하고자 한다.

      • KCI등재

        소재(穌齋) 노수신(盧守愼)의 학문관

        정성식 ( Jeong Seong-sik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21 동양문화연구 Vol.35 No.-

        본 논문의 목적은 16세기에 활동한 소재 노수신의 생애와 학문관을 탐구하는 데 있다. 노수신이 활동한 16세기는 성리학자들이 크게 명성을 떨치며 활동한 시대였다. 이들과 달리 노수신은 귀양살이를 20년 동안이나 하며 사회에서 격리된 생활을 했다는 측면과 유배에서 돌아온 후 정계 복귀와 관직 승진이 특이했다는 점에서도 이채로운 모습을 보였다. 젊은 시절 노수신은 이연경의 문하생이 되어 유교의 기본 경전인 『소학』을 전수받았다. 『소학』은 유교 윤리의 실천 이념으로서 이를 암송했다는 것은 자기관리에 철저했음을 뜻한다. 노수신은 『소학』 학습에도 철저했지만, 유교의 기본텍스트 가운데 하나인 『논어』에 대해서도 남다른 모습을 보였다. 노수신의 학문은 유배 생활을 가기 전에는 매우 정밀하고 해박하여 유림의 촉망을 받았지만, 20년간 유배 생활을 지내는 동안 다양한 학문적 견해를 보이자 이황이 우려할 정도였다. 당시 주자학풍이 주류를 이루며 선도하는 양상에서 노수신은 주자의 학설에 이견을 제시할 정도로 학문의 다양성을 추구하는 모습을 드러냈다. 노수신 학문관의 특징은 공자와 주자로 이어지는 유학의 근본정신을 기반으로 하면서 주자학 일변이 아닌 육왕학이나 선학에 대해서도 개방된 자세를 보였다는 점에서 눈길을 끌만하다. 16세기 절대시 된 주자학의 시대 조류 속에서 노수신은 학문의 일정한 다양성을 모색하였고, 이러한 다양성의 추구는 학문 간 소통을 도모하였다는 측면에서 적지 않은 의미를 지니는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life and academic view of Noh Su-shin, who was active in the 16th century. The 16th century, when Noh su-shin was active, was an era in which Neo-Confucianists were very famous. Unlike them, Noh Su-shin also showed interest in the aspect of living in exile for 20 years and living in isolation from society, and the return to politics and promotion to government office after returning from exile. As a young man, Noh Su-shin became a student of Lee Yeon-kyung and was taught the basic scriptures of Confucianism, Sohak. Sohak is a practical ideology of Confucian ethics, and reciting it means that it was thorough in self-management. Roh Soo-shin was thorough in learning Sohak, but he also showed a unique appearance in Analects, one of the basic texts of Confucianism. Noh Su-shin's studies were very precise and intelligent before going to exile, but during his 20-year exile, he raised his own theory on Juja's opinion and said that this situation was wrong. At that time, Noh Su-shin showed his pursuit of academic diversity to the extent that he expressed disagreement with the runner's theory in the aspect of leading the Juja school. The characteristic of the Noh Su-shin’s Academy is noteworthy in that it was based on the fundamental spirit of studying abroad leading to Confucius and runners, and showed an open attitude toward Yukwanghak and Seonhak, not one side of Jujahak. In the 16th century, in the trend of the era of absolute poetry, Noh Su-shin sought certain diversity in academics, and this pursuit of diversity could give certain significance in terms of promoting interdisciplinary communication.

      • KCI등재

        穌齋 盧守愼과 晦齋 李彦迪, ‘心學’으로 맺은 학문 세계

        정호훈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9 嶺南學 Vol.0 No.71

        穌齋 盧守愼의 학문에 영향을 미친 인물은 적지 않지만, 스승의 반열에서 그를 가르치고 그의 사유를 이끌며 살찌운 인물로는 晦齋 李彦迪을 꼽을 수 있다. 노수신과 이언적과의 만남은 크게 두 양상으로 살필 수 있다. 첫째, 노수신이 그의 나이 27세 되던 해에 이언적을 만나 ‘심학’에 관한 가르침을 받았던 일이다. 이미 얕지 않은 학문적 깊이를 쌓고 있던 노수신은 이때의 만남에서 ‘道問學’보다는 ‘尊德性’의 방법을 중시하는 학문의 의미를 깊이 있게 접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둘째, 이언적 사후, 이언적의 문집과 그의 대표작에 대한 서문을 쓰고, 이언적의 연보를 작성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노수신은 이언적의 학문을 ‘心學’으로 규정하였으며, 그의 주자학에 규정되지 않는 독자적 학문 활동을 높게 긍정했다. 이언적으로부터 심학에 대한 지침을 받고 또 이언적의 학문적 위상을 긍정하고 옹호했던 노수신의 활동은 주자학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그 사상의 자장을 벗어나 ‘존덕성’의 방법에 기초하여 새로운 학문적 방향을 모색하던 16세기 중‧후반 조선 학계 일각의 움직임을 한층 풍부하게 하고 또 견고하게 다지는 일이었다. One of the most influential figures in the study of Roh Su-sin was Lee Eon -jeok. Not much time was spent in Roh when he met with Lee and was taught. It was the first time that Roh received an answer to his questions about the study of the mind from Lee when he was 27 years old. Roh Su-sin, who had already accumulated a deep academic depth, was impressed with the study of preserving and nurturing the mind. The second meeting occurred after the death of Lee Eon -jeok. Roh Su-sin studied his thoughts through the writings and books left behind by his death. At this time, Roh Su-sin highly affirmed the ideological scholarship, which was not defined in the theory of Neo-Confucianism , and tried to spread his ideas in Joseon society.

      • KCI등재

        소재 노수신(盧守愼)의 정치활동과 정치관

        조성을 ( Cho Sung Eul ) 한국사상사학회 2015 韓國思想史學 Vol.0 No.51

        노수신의 생애는 네시기로 구분된다. 첫째 시기인 중종 말~명종 초기에는 매우 득의하여 신진기예로서 사림파의 입장에서 이기 등을 탄핵하였다. 둘째, 을사사화로 파직 당하고 순천으로 유배되었다가 양재역 벽서사건으로 다시 진도에 유배되어 20년간 유배 생활을 하게 되는 시기이며 이 때 학문이 대성하였다. 셋째, 선조 즉위 후 선조 5년까지의 시기로서 다시 관직에 나와 당시 선조 대 전배사림과 개혁, 특히 척신 정치의 청산 문제에 대하여 대경장의 입장에서 뜻을 같이 하는 시기이다. 이 때 전배사림과 구신사이에 갈등이 있었는데 이 갈등의 조정을 위해 노력하였다. 넷째, 선조6년 우의정에 임명된 이후 정여립 옥사 직후 타계하기까지의 시기이다. 노수신은 강력한 개혁 의지를 갖고 국왕 선조에게 건의에도 하였으나 국왕은 전혀 개혁할 마음이 없었다. 이 때 사림이 전배사림과 후배사림으로 분열하여 서인과 동인이 되어 당쟁을 격화되는 가운데 노수신은 가장 중립적인 입장에서 당쟁을 조정, 화합시키기 위해 진력하였다. 다음으로 노수신의 정치관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내적인 면에서는 군주가 사적 입장을 떠나서 국가 공권력의 입장에서 대경장을 해야 하려는 의지를 확고하게 하고 이를 인재를 등용해야 한다고 하였다. 둘째 왕실의 재정 낭비를 줄이고 한정을 수괄하여 군비를 굳건하게 하고 민의 삶을 개선하기 위해 공납을 개정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셋째 대외적인 면에서는 왜적에 대한 군비를 강화를 주장하고 왜국으로의 통신사 파견을 강력하게 반대하였다. The political life of Noh Susin(1515~1590) can be divided into four stages. First, he passed the civil servant exam as the first winner at the end of King Jungjong and took a part in the attack against the wrong-doings of high officials. Secondly, as soon as child King Myongjong ascended to the throne, rotten high officials made up Eulsa-Lierati Purge. Noh Susin had to be in Banishment for twenty years during the reign of King Myongjong. But he accomplished his learning during this stage. Thirdly, as soon as King Seonjo ascended to the throne, Noh Susin was released from Banishment and resumed his prestige as an official. He made an effort to ease the feud between Old high officials, New Rising Literati. Fourthly, finally he became one of prime ministers. Around this time New Rising Literati, began to be divided into Eastern Literati and Western Literati. In Korean History this is called Factional Feud and Noh Susin made all efforts to reconciliate the feud. The political Political-Views of Noh Susin are as follows. First, after he resumed the prestige as an official, he thought the country need a Great Reform for the well-fare of common people. Secondly, he also thought, on the basis of this Great Reform, the strengthening of Military Prepare against Japanese Enemy’s invasion.

      • KCI등재

        소재 노수신(盧守愼)의 『대학집록(大學集錄)』의 지식 세계와 그 영향

        정호훈 ( Jeong Ho Hun ) 한국사상사학회 2015 韓國思想史學 Vol.0 No.51

        노수신의 『대학집록(大學集錄)』은 노수신 개인의 사상을 담고 있는책이자 16세기 후반 조선 사상계의 성과와 과제를 담고 있는 자료이다. 이 책에는 중국과 조선에서 나온, 『대학장구』와는 시각을 달리하여 『대학』을 이해하는 주요한 글들이 실렸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대학』을 새롭게 해석할 수 있는 여러 정보를 모아 둔 지식의 보고였다. 『대학집록』은 간행된 이후 조선에서 널리 유통되지 못했다. 육왕학(陸王學)에 대한 비판과 금제가 심해지면서 자유로운 유포가 쉽지 않은 형편이었다. 이 상황에서 『대학집록』은 『개정대학(改正大學)』, 『대학집람(大學輯覽)』의 두 형태로 변신하며 조선 사회에 영향력을 발휘했다. 『개정대학』은 『대학집록』에 실려 있던 왕수인의 글, 권근의 글,『대학보유』에 대한 노수신의 발문을 제외한 나머지 자료로 만든 축소본으로, 이언적과 학적 인연이 깊은 옥산서원에서 간행했다. 『대학집람』은 이단상(李端相)이 편찬했으며, 『대학집록』을 비롯 이언적의 『대학보유(大學補遺)』, 중국과 조선의 대학에 관한 학설을 두루 집성했다. 『대학집록』의 확대판이라 할 수 있다. 두 책 모두 『대학장구』와는 다른 견지에서 『대학』을 이해할 수 있는 자료집으로서, 관심 있는 학자들에게는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17세기 중 후반, 고본 『대학』을 활용한 윤휴의 새로운 『대학』 이해와 학문 활동은 아마도 이러한 여러 학술 정보의 축적과 직ㆍ간접의 관계가 있을 것이다. Daehak jimnok (大學集錄) by Noh Susin comprises several essays that reflect an understanding of Daehak in China and Joseon different from the views of Daehak janggu. In this light, the book is a collection of several pieces of information that allow a new interpretation of Daehak. Daehak jimnok could not reach wide readership in the 17thcentury Joseon. As criticism and prohibition of the study of Lu-Wang(陸王學) grew stronger, the book could not be freely circulated. Under these circumstances, Daehak jimnok was transformed and came to be known among Joseon scholars in two versions: Gaejeong daehak (改正大學) and Daehak jimnam (大學輯覽). Gaejeong daehak is an abridged version of Daehak jimnok whereas Daehak jimnam is an expanded version. Both versions had a profound influence on interested scholars as sourcebooks allowing to understand Daehak from a perspective different from that of Daehak janggu. It is likely that the new understanding of Daehak by Yun Hyu (윤휴) who used the old version of Daehak and the scholar’s academic activities in the latter half of the 17thcentury are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this accumulated scholar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