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작에 따른 하반신 체표면길이의 변화 분석

        이소영 ( Lee So-you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5 한국디자인포럼 Vol.48 No.-

        본 연구는 20-24세 여성 13명을 대상으로 보통걸음걷기, 계단오르기, 의자앉기 동작에 따른 체표면길이의 변화를 파악하여 일상적 바지 및 작업복 설계 시 적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보통걸음걷기 동작 시 무릎선 위 구간의 다리앞중심길이와 다리뒤중심길이는 신장과 수축이 모두 발생하였으나 다리안쪽길이는 수축되었고 다리가쪽길이는 신축되지 않았다. 계단오르기 동작 시 허리앞둘레, 엉덩이앞둘레, 넙다리앞둘레, 무릎앞둘레는 신장되었으며 장딴지뒤둘레는 수축되었다. 샅뒤길이, 다리뒤중심[허리둘레선~오금높이수준둘레선]길이,다리가쪽[넙다리둘레선~무릎둘레선]길이, 다리앞중심[무릎둘레선~발목최대둘레선]길이는 신장되었으며 샅앞길이와 다리앞중심[허리둘레선~무릎둘레선]길이,다리뒤중심[오금높이수준둘레선~발목최대둘레선]길이,다리가쪽[허리둘레선~넙다리둘레선]길이, 다리가쪽[무릎둘레선~발목최대둘레선]길이는 수축되었으며 다리안쪽길이의 전체구간에서는 신장과 수축이 모두 발생하였다. 의자앉기 동작 시에는 허리앞둘레, 엉덩이앞둘레, 엉덩이뒤둘레, 무릎앞둘레, 장딴지뒤둘레가 신장되었으며 넙다리뒤둘레와 넙다리중간뒤둘레는 수축되었다. 길이 항목에서는 무릎선 위의 다리가쪽길이 구간을 제외하고 모두 신축이 발생되었다. 보통걸음걷기, 계단오르기, 의자앉기 동작 시 공통적으로 신축되는 부위는 무릎선 위 구간의 다리앞중심길이 및 다리뒤중심길이, 다리안쪽의 넙다리둘레선~무릎둘레선길이었으며 공통적으로 신축이 발생되지 않는 부위는 허리뒤둘레, 배꼽수준허리앞둘레, 배꼽수준허리뒤둘레, 넙다리중간앞둘레, 장딴지앞둘레, 발목최대앞둘레였다. 동작 시 체표면길이의 신장과 수축이 모두 나타난 항목은 무릎선 위의 다리앞중심길이와 다리뒤중심길이, 다리 안쪽의 전체 길이였다. 체표면길이의 동작 간 차이가 나타난 항목은 무릎앞둘레, 무릎뒤둘레, 샅앞길이, 샅뒤길이, 다리앞중심길이, 다리뒤중심길이, 다리가쪽길이, 다리안쪽길이의 전체 구간이었다. This study employed 3-D scanner to measure 26 and 20 items of lower-body size and surface length respectively when 13 women with ages from 20 to 24 normally walked, went up stairs and sat down on chairs so that the changes to body-surface length at each movement might be estimated. While the front-side leg [waist to knee] length and back-side leg [waist to popliteal] length at normal walking showed both extension and contraction, only the inside leg [waist to knee] length had contraction and the outside leg length did not, which is compared with the measurements at standing position. At stair-climbing and sitting position, the front waist circumference, the front hip circumference, the front knee circumference and back crotch length extended, while the back calf circumference contracted at stair-climbing. On the other hand, the sitting posture showed the extension of the back calf circumference. At the sitting position, outside leg [thigh to knee] length did not show any change to the body-surface length. The parts commonly having the changes to body-surface length at those three movements were front-side leg [waist to knee], backside leg[waist to popliteal] and, inside leg[thigh to knee], while those without change to the length were back waist circumference, front waist circumference (omphalion), back waist circumference (omphalion), front mid-thigh circumference, front calf circumference and front ankle circumference. The items showing both extension and contraction of body-surface length at movements were front-side leg[waist to knee], backside leg[waist to popliteal] and inside leg. Those with any difference at those lengths at movements were found to be front knee circumference, back knee circumference, front crotch length, back crotch length, front-side leg length, backside leg length, outside leg length and inside leg length.

      • KCI등재

        토종 종계 부계의 텔로미어 길이와 자식의 생산능력 간의 연관성 분석

        김보경,손시환 한국가금학회 2022 韓國家禽學會誌 Vol.49 No.3

        The effect of paternal telomere length on reproductive performance, relationship between paternal and offspring telomere length, and association between paternal telomere length and offspring production performance were investigated in Korean native chickens. Using 22 paternal chickens and 329 offspring, the paternal reproductive performance such as fertility, embryo mortality, and hatchability, as well as the offspring production performance such as survival rate, body weight, and weight gain were analyzed. Telomere length was analyzed through quantitative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using lymphocyte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fertility, embryo mortality, and hatchability between paternal chicken telomere lengths (P<0.0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aternal telomere length had a weak negative correlation with fertility and embryonic death rate but a weak positive correlation with hatchabilit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paternal telomere length and offspring survival rate was r=0.17 (P>0.05). The group of offspring with long paternal telomeres showed relatively poor growth performance. Moreover,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estimated between paternal telomere length and offspring growth performance (P<0.05).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paternal and offspring telomere lengths was r=0.075 (P>0.05). In conclusion, there was a weak association between paternal telomere length and reproductive performance, offspring survival rate, and offspring telomere length, respectively. However, paternal telomere length and offspring growth performance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Such results could be due to the re-extension of telomere length by telomere reprogramming in the early embryonic stage and the different degree of telomere shortening between individuals with increasing age after birth. 본 연구는 한국 토종닭을 대상으로 부계의 텔로미어 길이가 수정 능력 및 배아 발생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부계의 텔로미어 길이와 자식의 생산능력 및 자식의 텔로미어 길이와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시험에 공시된 닭은 토종 종계 수컷 22수와 이들로부터 생산된 자식 329수를 대상으로 하였다. 부계의 번식 능력으로는 수정율, 배자발육중지율 및 부화율을 조사하였고, 자손의 생산 능력으로는 생존율, 체중 및 증체량을 분석하였다. 텔로미어 길이는 34주령 부계와 12주령 자식의 백혈구 세포 내 telomeric DNA 함량을 양적 형광접합보인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부계의 텔로미어 길이에 따른 수정율, 배자발육중지율 및 부화율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계의 텔로미어 길이와 수정률 및 배자발육중지율 간에는 낮은 부(–)의 상관을, 부화율과는 낮은 정(+)의 상관을 보이나 이들의 상관계수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부계의 텔로미어 길이와 자식의 생존율 간의 상관 계수는 0.17로 유의하지 않은 낮은 정의 상관이 추정되었다(P>0.05). 부계의 텔로미어 길이에 따른 자식의 성장 능력 분석에서 부계 텔로미어 길이가 긴 집단의 자식들이 상대적으로 낮은 성장 능력을 보이고 이들 간의 상관은 거의 모든 주령에서 유의한 부의 상관 계수가 추정되었다(P<0.05). 부계의 텔로미어 길이와 자식의 텔로미어 길이 간의 상관 계수는 0.075로 추정되어 부계와 자식 간 텔로미어 길이의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부계의 텔로미어 길이와 번식 능력, 자식의 초기 생존율 및 자식의 텔로미어 길이 간에는 거의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보여지고, 부계의 텔로미어 길이와 자식의 성장 능력 간에는 부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배아 초기 단계에서 텔로미어의 reprogramming에 의해 발생 시 모든 개체의 텔로미어 길이가 재 신장되고 이후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감축의 정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단어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영어의 어두 지음 길이에 대한 발화 속도의 영향 -기능어 대 내용어-

        사재진 ( Jaejin Sa ),윤원희 ( Weohee Yun ),장태엽 ( Taeyeoub Jang )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소 2004 언어와 언어학 Vol.0 No.34

        내용어의 분절음의 길이가 기능어의 분절음 길이보다 길다는 사실은 Umeda (1975) 이후 널리 알려져 있지만 그러한 길이 차이가 발화 속도가 달라졌을 경우에도 동일하게 유지되는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모음과 모음사이 의 환경에서 나타나는 어두 자음 (V#CV)의 길이가 발화 속도 변화에 따라 어떻게 달라 지는지를 단어의 종류별로 나누어 비교해보았다. 폐쇄음의 경우 폐쇄구간과 VOT로 나누어 각각의 길이를 측정하였으며 공명음을 포함한 모든 자음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이렇게 얻은 길이를 통해 자음 집단별로 얻은 평균값을 3가지 발화 속도간 비교하고, 단어의 종류에 따라서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역시 살펴보았다. 기존의 연구 결과인 분절음 길이가 내용어에서 보다 기능어에서 더 길게 나타난다는 사실은 발화 속도가 느려지거나 빨라졌을 때 역시 그대로 유지되었으나 매우 느리게 발화할 경우 기능어에서 나타나는 공명음의 길이가 내용어보다 더 길게 나타났다. 이는 화자가 발화 속도를 느리게 하려는 의도로 모든 단어들을 천천히 말하면서 기능어 또한 과도하게 길게 발음하게 되었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보이며, 이런 현상이 특정 화자에 국한되는 것인지 혹은 모든 화자들이 발화 속도를 느리게할 경우 자연스럽게 기능어의 공명음들의 길이가 이처럼 길어지는 것인지는 화자별 분석을 통해 밝혀야 할 것이며, 또한 발화 속도가 빠른 사람들의 집단과 발화 속도가 느린 사람들의 집단간 비교를 통해서 확인해 보고자 한다. 발화 속도가 느려질수록 길이가 변하는 정도는 기능어에서나 내용어에서 모두 공명음의 경우가 장애음보다 크게 나타났다. 발화 속도에 가장 영향을 적게 받는 자음 집단은 기존 연구 에서와 동일하게 유성 폐쇄음으로 나타났다. 현재 모음의 길이에 대한 고찰을 통해 자음 집단 들과 모음 집단들이 발화 속도의 변화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비교 연구 중에 있다 본 논문에서 사용된 데이터는 자동으로 세그멘테이션한 후 수정을 가하여 다량의 데이터를 통일된 기준에 따라 빠르게 분석할 수 있었고, 분절음의 길이 또한 다양한 환경에서 각 분절음의 길이를 얻을 수 있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길이를 측정하였다. 변인을 달리하여 여러 환경에서의 길이를 자동적으로 얻을 수 있으므로, 이렇게 얻어진 길이는 실질적인 음성 시스템 연구에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 KCI등재

        성별에 따른 atd각도 차이와 손바닥 계측치의 관계

        김수일(Soo-Il Kim),조근자(Keun-Ja Cho) 대한체질인류학회 2009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2 No.2

        손바닥문은 생김새가 사람마다 다르고 평생 바뀌지 않는다. 손바닥의 atd각도는 손바닥문의 삼교차점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남자의 손바닥이 여자의 손바닥보다 큼에도 불구하고 남자의 atd각도가 작다. 이에 본 연구는 atd각도와 손바닥 계측치의 관계를 성별에 따라 비교해봄으로써 atd각도의 성별 차이를 형태학적으로 규명해보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대전·충남지역 대학생 37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남자 174명, 여자 205명이었다. 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손바닥 계측은 양손의 atd각도, a-d거리, 먼쪽손목주름에서 점t까지 길이, 손바닥너비와 손바닥길이를 측정하였고, 자료 분석은 SPSS win PC 14.0으로 빈도분석, independent sample t-test, paired t-t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를 실시하였다. 손바닥의 atd각도는 남자 39.2°, 여자 40.5°로 남자가 여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작았으며, 손바닥너비는 남자가 더 넓고, 손바닥길이와 a-d거리는 남자가 더 멀었으나 먼쪽손목주름에서 점t까지 길이는 남녀차이가 없었다. 또한 손바닥너비: 손바닥길이 비율은 남자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먼쪽손목주름에서 점t까지 길이: 손바닥길이 비율과 a-d거리: 손바닥너비 비율은 남자가 더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녀 모두 atd각도는 먼쪽손목주름에서 점t까지 길이: 손바닥길이 비율과 상관관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손바닥문의 삼교차점에 의해 형성된 atd각도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하게 각도가 작은 이유는, 남자가 여자보다 손바닥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손바닥너비가 넓음에도 불구하고, 손바닥너비에 비해 상대적으로 a-d거리가 가깝고, 손바닥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먼쪽손목주름에서 점t까지 길이가 짧기 때문이며, 그 중에서도 먼쪽 손목주름에서 점t까지 길이: 손바닥길이 비율이 더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palm prints are unique in each individual and permanent for a lifetime. The atd angle of palm is formed by triradii of palm print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asons why males have smaller atd angles, even with larger palms than females have. This study was done on 379 individuals (males : 174 individuals, females : 205 individuals). Data were collected by measuring atd angles using a protractor, distance from triradii a to d, length from triradii t to the distal palmar crease (DPC), palm breadth at metacarpals and palm length perpendicular using digital callipers.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frequency, independent sample t-test, paired t-t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win 14.0. This study showed that atd angles of 39.2° in males are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ose of females (40.5°). Males’ were wider than females’ in palm breadth, palm length and distance from triradii a to d, however, there was no sexual difference in the length from triradii t to the DPC. In addition, the ratio of palm breadth to palm length was higher in males than in females, however, the ratio of the length from triradii t to the DPC to palm length, and the ratio of the distance from triradii a to d to palm breadth of males were lower than those of females. Especially, atd angles in males and females were more correlative with the ratio of the length from triradii t to the DPC to palm length.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differences in the atd angles between males and females arise from the ratio of length from triradii t to the DPC to palm length and the ratio of distance from triradii a to d to palm breadth. In both of the cases, males exhibited lower ratios than females. Especially, the ratio of the length from triradii t to DPC to palm length affected more to the atd angle than any other ratios.

      • KCI등재

        토종닭 품종 간 텔로미어 길이 및 생존율 비교 분석

        조은정,김보경,손시환 한국가금학회 2022 韓國家禽學會誌 Vol.49 No.1

        본 연구는 국내 토착화된 닭 12개 품종(재래종 5계통, 한국형 로드종 2계통, 한국형 레그혼종 2계통, 한국형 코니시종 2계통 및 한국오계)의 생리적 활성 정도를 비교하고 자 품종 간 텔로미어 길이 및 생존 능력을 분석하였다. 분석에 총 466수를 공시하고 텔로미어 길이는 양적 형광접합보인법을 이용하여 각 개체의 백혈구 세포 내 telomeric DNA의 상대적 함량을 분석하였다. 각 품종의 생존 능력은 발생 후부터 50주령까지의 생존율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모든 품종에서 공히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텔로미어 길이의 선형적 감소를 나타내었고, 품종 간 텔로미어 길이는 20주령 이후부터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동일 기간에 텔로미어 길이의 단축율에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품종 간에 있어서는 한국형 로드-D종이 가장 긴 텔로미어 길이와 가장 낮은 텔로미어 단축율을 보였고, 반면 한국형 코니시 갈색종은 가장 짧은 텔로미어 길이와 가장 높은 단축율을 나타내었다. 텔로미어의 단축 정도는 50주령 텔로미어 길이는 8주령 길이의 절반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존율에서도 품종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한국형 로드종과 오계가 상대적으로 높은 생존율을 보이고, 한국형 코니시 종이 가장 저조한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생존율과 텔로미어 길이 간에는 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이고 성장 초기보다는 노년의 텔로미어 길이가 생존율과 더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특정 시기의 텔로미어 길이보다는 일정기간 동안 텔로미어 길이의 단축율이 생존율과 더욱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텔로미어 역동성과 생존 능력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토종닭 품종 중 한국형 로드종의 생리활성도가 가장 높고, 한국형 코니시종의 생리활성도가 가장 낮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일반아동의 비단어 따라말하기

        황민아(Min a Hwa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5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0 No.3

        배경 및 목적: 비단어 따라말하기 검사는 언어장애 아동들을 선별하는 데 유용한 검사로 여러 언어권에서 사용되고 있으나, 검사의 여러 가지 특성들이 따라말하기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를 사용하는 5-9세 일반 아동들의 비단어 따라말하기 수행 양상에 대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는 것으로, 비단어의 길이와 조음복잡성이 아동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비단어 따라말하기 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5-9세의 한국어를 사용하는 일반아동 152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2-5음절 길이의 비단어 32개가 제작되었는데 그중 반은 조음복잡성이 높고 나머지 반은 조음복잡성이 낮았다. 아동들은 녹음된 비단어를 듣고 따라말하였으며 아동들의 수행은 항목단위와 음절단위 두 가지 양식으로 채점되었다. 결과: 연령(5)×조음복잡성(2)×비단어길이(4)의 혼합 3원 분산분석 결과 연령, 조음복잡성, 비단어길이의 주효과가 유의미하였고, 연령과 비단어길이, 조음복잡성과 비단어길이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하였다. 즉, 아동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비단어의 길이가 짧을수록 비단어 따라말하기 수행은 향상되었는데, 비단어길이의 효과는 연령이 어린 아동들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5-9세 한국어를 사용하는 일반아동들의 비단어 따라말하기 수행은 선행 연구들에서 보고된 것과 마찬가지로 연령, 비단어길이, 조음복잡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단어 따라말하기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비단어의 특성, 검사실시 방법, 채점 양식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onword length and phonological complexity on the performances of nonword repetition in Ko-rean-speaking children. Methods: Typically developing Korean-speaking children of age 5 to 9 (N= 152)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asked to repeat 32 nonwords of differ-ent lengths (2 to 5 syllables) and of two levels of phonological complexity. Two scoring methods were applied: total number of correctly repeated nonwords and percentage of correctly repeated syllables. Results: A three-way ANOVA of age× nonword length× phono-logical complexity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main effects of age, nonword length, and phonological complexity and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nonword length and age. In other words, the older children repeated nonwords more accurately than the youn-ger children, and the children experienced more difficulty in correctly repeating the longer or phonologically complex nonwords relative to the shorter or phonologically simple non-words. The effect of nonword length on children's repetition performances decreased with age.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Korean-speaking children of age 5 to 9 repeat nonwords more accurately as they grow up. The effects of nonword length and phonologi-cal complexity on nonword repetition were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e.g., Gallon, Harris, & Van der Lely, 2007; Munson, Kurtz, & Windsor, 2005). How the differ-ences in the features of nonwords, test procedures, and scoring systems may affect chil-dren's performances on nonword repetition tests was discussed.

      • 점유율을 이용한 대기행렬길이 추정 알고리즘 개발

        강지훈,오영태 대한교통학회 2005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48 No.-

        본 연구는 대기행렬길이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현재 서울시 실시간 신호제어시스템(COSMOS)에서 적용되는 대기행렬산출 알고리즘은 평균차량길이와 점유시간을 이용하여 속도를 산출하고 이를 다시 밀도 개념의 정체도로 환산하여 대기행렬 길이를 구하고 있다. 평균차량길이에 의한 속도산출로 인하여 오차가 발생되고, 운영자가 지정해 주어야하는 값이 산재되어 그 값을 최적화하기가 어려워 정확한 대기행렬길이를 구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지선으로부터의 거리와 대기검지기에서부터 수집되는 점유율 간의 관계를 밝혀, 이를 대기행렬길이 산출 알고리즘에 적용하였다. 대기행렬길이 추정 알고리즘을 사용할 경우 루프 검지기에서 많은 가공단계가 필요하지 않은 기본 데이터인 점유율을 이용하여 대기행렬길이를 예측할 수 있다고 할 수가 있다. 그리고 운영자 지정값이 없어 현장 적용에 있어서 그 값에 대한 최적화 작업이 필요가 없어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개발된 대기행렬길이 추정알고리즘을 COSMOS시스템이 운영중인 사이트(Site)에 적용할 결과 현재 사용 중인 대기행렬길이 추정 알고리즘 보다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대기행렬길이 추정 알고리즘을 일반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현장 및 경우에 대하여 적용하여 검증을 하여야 할 것이다. 이에 관련한 연구가 향후 진행될 경우 현재 대기행렬길이 추정 알고리즘 보다 적용이 쉽고 정확한 값을 얻는 알고리즘으로 완성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how to measure the traffic queue length accurately. The current traffic queue length algorithm in COSMOS is using congestion diagram which comes from the speed of an average separated vehicle - using average vehicle length and the occupancy time from loop detectors. So some errors are occurred by the speed estimation method using average vehicle length. And Operators have been difficult to optimize some variables for measuring the traffic queue length estimation algorithm in COSMOS. The traffic queue length measuring algorithm on the basis of the relation between distances and occupancy rates from loop detectors has developed in this thesis. This thesis had the advantage of using occupancy rates which came out from loop detectors easily and no need to optimize some variables for the established algorithm in COSMOS. Testing this algorithm in some sites which had installed COSMOS system showed better results than COSMOS system's results. But it is noted that further studies which carry it out in various sites and under various cases are necessary for applying to actual intersections.

      • KCI등재

        한국인에서 성결정인자로서의 집게손가락과 반지손가락의 길이비

        김수일(Soo-Il Kim),조근자(Keun-Ja Cho) 대한체질인류학회 2012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25 No.4

        태아의 출생 전 반지손가락의 발육은 태내의 테스토스테론 수치에 민감하게 반응해서 이루어지며, 집게손가락은 에스트로겐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렇게 성호르몬의 영향을 받은 집게손가락과 반지손가락의 길이비(2D : 4D)는 성별, 인종, 민족에 따라서도 다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20대 성인 남녀의 손가락 길이비의 특성과 성구별 예측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대학생 664명(남자 332명, 여자 332명)이었으며, 캘리퍼를 이용하여 양손의 집게손가락과 반지손가락 길이를 각각 직접 측정한 후 길이비를 산출하였다. 자료는 SPSS 19.0 win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X² test, independent t-test, paired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성별에 따른 집게손가락과 반지손가락의 길이비는 남자가 0.96, 여자가 0.97로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또한 집게손가락과 반지손가락의 길이 유형 중 제1유형은 남자에게 많았고, 제2유형과 제3유형은 여자에서 많았다. 뿐만 아니라 남녀 모두 좌우 집게손가락과 반지손가락의 길이비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좌우 집게손가락과 반지손가락의 길이비의 상관관계는 남자 r=.530, 여자 r=.556(p<,001)이었다. 집게손가락과 반지손가락의 길이비는 왼손에서 남자의 89.1%, 여자의 89.2%, 오른손에서 남자의 91.8%, 여자의 91.9%의 성을 정확하게 구별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한국인의 집게손가락과 반지손가락의 길이비는 유의한 성차이가 있었으며, 집게손가락과 반지손가락의 길이비는 성을 구별할 수 있는 결정인자 중의 하나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2nd to 4th digit ratio (2D : 4D) as a predictor of the degree of expression of sexually dimorphic and other sex-hormone-mediated traits differs between the sexes, ethnics and rac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and role of 2nd to 4th digit ration as a sex determinant in Korean. This study was done on 664 individuals (332 males, 332 females). Data were collected by measuring index and ring finger length on both hands with digital callipers.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X² test, independent t-test, paired t-t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win 19.0. This study showed that the 2nd to 4th digit ratio (2D : 4D) in Korean men (0.96)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women (0.97).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ypes of 2nd and 4th finger length according to sex.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ight 2D : 4D and left 2D : 4D both of Korean men and women. Correlation between right and left hand digit ration was .530 in men and .556 in women. The 2nd to 4th digit ration accurately determinated sex in 89.1% males and 89.2% females for the left hand, and in 91.8% males and 91.9% females for the right h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2nd to 4th digit ratio in Korean differs between males and females, moreover, it will be able to perform a role as a sex determinant.

      • KCI등재후보

        원위 요골 골절의 수장측 잠김 금속판 고정술에서원위부 잠김 나사못의 길이와 간부 나사못 길이의연관성

        허성우,이주엽,김남혁,박일중,정양국,송석환 대한수부외과학회 2013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18 No.3

        Purpose: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ngth of distal locking screws and diaphyseal screws in volar plate fixation of distal radius fractures.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was performed of 169 patients who underwent volar locking plate fixation for treatment of distal radius fractures. All patients received 2.4 mm LCP volar extra-articular distal radius plate (DePuySynthes). The length of the diaphyseal screw which was placed in the elongated hole was correlated with the length of a distal locking screw from radial most (D1) to ulnar most (D4). We also evaluated distal screw penetration of the dorsal cortex and plate removal rate. Results: The length of the diaphyseal screw which was placed in the elongated hole strongly correlated with the length of a distal locking screw. Average D1 screw length was 2 mm longer than the diaphyseal screw, and average D2 screw length was 4 mm longer than the diaphyseal screw. D3 and D4 screw were 6 mm longer than the diaphyseal screw. Plate removal was necessary in 13 patients (8%) due to screw irritation. These patients had significantly longer screws than average. Flexor or extensor tendon ruptures did not occur in this cohort. Conclusion: The length of the distal locking screws can be estimated with the length of the diaphyseal screw. This information may help surgeons to select the adequate length of distal locking screws during volar plating of distal radius fractures. 목적: 요골 간부에 사용된 나사못의 길이를 이용하여 원위 잠김 나사못의 길이를 예측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원위 요골 골절에 대하여 수장부 잠김 금속판 고정술을 시행한 16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요골 간부에 처음 삽입한 나사못의 길이를 확인하고, 이를 원위 잠김 나사못의 가장 요측(D1) 나사에서 가장 척측(D4) 나사까지 각각의 나사 길이와 Pearson 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최종 추시 방사선사진상 금속 나사의 관통이나 금속판의위치, 건 파열 등의 합병증과 금속 제거 비율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연장된 나사 구멍에 처음 삽입된 요골 간부 나사못의 길이는 원위 잠김 나사못의 길이와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상관 관계가 있었다. 가장 요측 원위 잠김 나사못인 D1의 길이는 요골 간부 나사못보다 평균 2 mm가 길었고 D2의 길이는 평균 4 mm, D3와 D4의 길이는 6 mm가 길었다. 원위부 잠김 나사못이 길었던 13예(8%)에서는 금속판 제거술이 필요하였으나 굴곡건이나 신전건의 파열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원위 요골 골절의 수장측 잠김 금속판 고정술 시 요골 간부에 삽입하는 나사못의 길이를 이용하여 원위 잠김 나사못의 길이를 예측할 수 있으며, 잠김 나사못의 돌출로 발생할 수 있는 신전건 파열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한국인 소아에서 연령에 따른 둘째-넷째손가락 길이비의 변화 특성

        조근자(Keun-Ja Cho),김수일(Sooil Kim) 대한체질인류학회 2015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28 No.4

        둘째-넷째손가락 길이비 (2D : 4D)는 태아기 성호르몬의 노출 정도를 반영하는 것으로, 둘째-넷째손가락 길이비에 성별 차이가 나타나는 시점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있다. 둘째-넷째손가락 길이비가 인종과 민족에 따라 차이가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소아를 대상으로 연령에 따른 둘째-넷째손가락 길이비의 변화를 파악하고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 결정적 시점을 밝히고자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은 만 1세부터 만 6세까지의 소아1182명 (남자 588명, 여자 594명)이었으며, 둘째손가락과 넷째손가락 길이 측정은 복사본을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PC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양손의 둘째손가락 길이와 넷째손가락 길이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남녀 모두 점차적으로 길이가 길어졌다. 또한 양손의 둘째-넷째손가락 길이비도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남녀 모두 대체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만 3세까지는 성별에 따라 둘째-넷째손가락 길이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만 4세부터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인 소아에서 둘째-넷째손가락 길이비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 결정적 시점은 만 4세부터라고 할 수 있다. The 2nd to 4th digit ratio (2D : 4D) reflects exposure level of sex hormones in fetal perio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 change of digit ratio according to age and a critical age showing gender difference in Korean children. This study was done on 1,182 children (588 males, 594 females). Data were collected by measuring index and ring finger length on both hands by photocop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1.0. This study showed that the 2nd and 4th finger length and digit ratio of both hands increased with age both male and female. There was no differences in 2nd to 4th digit ratio between males and females until they were 3 years old.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2nd to 4th digit ratio between males and females from the age of four. The results suggest that digit ratio in Korean children increases with age and a critical age showing gender difference is from the age of fou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