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예술형 교육기부 컨설팅단 운영방안 연구

        조대현 ( Cho Dae Hyun ),임은정 ( Lim Eun-jung ) 한국예술교육학회 2021 예술교육연구 Vol.19 No.3

        이 연구는 문화예술형 교육기부의 지속성과 자립성 강화를 위한 문화예술형 교육기부 컨설팅단의 효율적 운영방안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문화예술 교육기부 현황과 관련 선행연구들을 문헌 조사를 통해 살펴보고 그에 따른 컨설팅단 운영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문화예술과 인문학적 기초를 연계하여 문화예술 가치를 중심으로 하는 컨설팅단 운영의 철학적 기반을 세우도록 한다. 둘째, 능동형 교육기부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문화예술교육 기부자와 문화예술교육 수요자의 자발적 참여와 나눔이 이루어질 수 있는 운영체제를 구축한다. 셋째, 체계적인 컨설팅 실행을 위한 매뉴얼과 도구를 개발하여 지역의 교육기부 주체 발굴과 교육수혜자 매칭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넷째, 교육기부 과정의 정기적인 모니터링과 만족도 조사하여 문화예술 교육기부 결과의 사회적 환류가 일어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문화예술 교육기부의 성공적 모델과 사례를 도출로 우리 사회의 문화예술 교육기부의 궁극적 지속성과 자립성 강화를 위한 방안들을 개발하도록 한다. 이러한 교육기부 컨설팅단의 운영방안은 지식과 기능 위주가 아닌 현장과 경험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문화예술교육의 궁극적 자생력 확립과 확산을 목표로 중장기적 운영계획과 연구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ive operation of the Culture and Arts-type Education Donation Consulting Group to strengthen the sustainability and independence donation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To this purpose, the current statu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al donations and prior studies on culture and arts educational donations in Korea were examin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proposed the operation plan of the consulting group as follows. First, it is required to establish a philosophical foundation for operating a consulting group focusing on the value of culture and arts by linking cultural arts and humanities foundations. Second, an active educational donation network is established to secure an operating system where voluntary participation and sharing of cultural arts education donors and cultural arts education consumers can occur. Third, manuals, tools, and materials for systematic consulting implementation are developed to discover and match local educational contributors by education recipients. Fourth, regular monitoring and satisfaction surveys of the educational donation process are conducted so that social reflux of the results of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al donations can occur. Lastly, by deriving successful models and examples of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al donations, we will continue to develop measures to strengthen the ultimate sustainability and self-reliance of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al donations in our society. This operation process of the education donation consulting group should ultimately ensure that long-term planning and research are carried out to self-sustaining and disseminating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centered on the field and experience.

      • KCI등재

        초·중·고 학부모의 교육기부 참여 실태 및 활성화 방안 연구

        김은영(Kim, EunYoung),이강이(Lee, KangYi),정정화(Jung, JungHw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2

        이 연구는 초·중·고 학부모의 교육기부 실태 파악 및 활성화 방안 모색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36개 학부모 학교참여 시범학교 중 7개교(초등3개, 중등3개, 고등1개)의 학부모 7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 응답자 중 39.0%(285명)의 학부모가 지난 1년간 교육기부에 참여하였다. 학부모 교육기부는 주로 ‘안전지도활동’ 이나 ‘학교교육 모니터링’ 위주로 이루어졌으며, 초등학교, 읍면지역, 비취업모의 참여율이 높았다. 둘째, 교육 기부 참여 학부모의 대부분은 교육기부 활동에 대해 만족하였으며, 자신의 교육기부가 학교교육에 기여한다고 인식하였다. 초등학교 학부모의 교육기부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교육기부의 학교교육 기여도에 대한 인식은 초등학교, 비취업모의 경우에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셋째, 학부모가 생각하는 교육기부 활성화 방안의 우 선순위는 활동 시간의 다양화, 학교 및 담임교사의 적극적인 정보제공, 자신이 원하는 교육기부 활동 기회 제공, 교육기부 참여를 위한 사전교육 실시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초·중·고 학부모 교육기부 연구의 기초자료로서 학부모 교육기부의 실태를 점검하고, 활성화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actual condition of educational contribution by parent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and to explore the measures to activate it.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we carried out a survey on 730 school parents from 7 schools (3 elementary schools, 3 middle schools, and 1 high school) among 36 schools which participated in the model school project for parent involvement sponsored by Ministry of Educat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total of 285 school parents, which accounts for 39.0% of 730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participated in educational contribution during the past year. Safety guidance, school education monitoring are the major activities of educational contribution by the school parents. Also, participation rates of the activities were higher in elementary, rural area and non-working mother. Second, most of the school parents who had experience of participation were satisfied with the educational donation activity, and thought their participation contributed to the school education. Elementary school parent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educational contribution than middle and high school parents. An awareness of contributiveness of educational contribution is higher in elementary, non-working mother. Third, the order of priority which the school parents thought for activating educational contribution was diversification of educational contribution activity hours, active offering of information by both school and class teacher, offering the opportunity for the educational contribution activity they want, conducting prior education for participating educational contribu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s the actual condition of educational contribution as base data for the study, and suggests proposals for further activation.

      • KCI등재

        청소년소비자의 기부에 대한 소비자교육 요구 연구

        류미현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5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1 No.4

        윤리적 소비 실천의 중요성과 함께 기부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가고 있지만 청소년소비자들의 기부참여는 현재 까지는 높지 않은 실정이므로 기부에 대한 소비자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청소년소비자들의 기부에 대한 소비자교육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소비자교육 요구의 내용 및 교육주체의 파악은 중요하리라 본다. 또한 기부에 대한 소비자교육 요구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파악함으로써 소비자교육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주요한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기부에 대한 소비자교육(내용)의 요구 수준은 보통 을 약간 상회하였으며, 하위 요인에서는 기부효과에 대한 소비자교육 요구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기부의미 및 방법, 기부활동에 대한 소비자교육 요구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주체에서는 학교에서 기부에 대한 소비자교육을 받기를 가장 많이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소비자들이 기부에 대한 소비자교육을 받기에 학교가 시간적, 공간적 접근성이 가장 높은 곳이기 때문일 것이다. 둘째, 기부에 대한 소비자교육 요구에 가장 큰 영향 을 미친 변수로는 기부의도로 나타났고 그 외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기부인식, 공동체의식, 기부관여도, 재능 기부 참여경험(유) 등이었다. It is important to practice ethical consumption, and people are paying more and more attention to donation; however, adolescent consumers’ participation in donation is not yet very much. Therefore, it is needed to provide donation consumer education for them.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donation consumer education for adolescent consumer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ir needs for donation consumer education and the subject education. Moreover, by figuring out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ir needs for donation consumer education, this study was aimed to provide foundational material for consumer education. For the study, this study selected adolescent consumers attending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their contents needs for donation consumer education was slightly higher than the average. Regarding the subfactors, their consumer education needs for the effects of donation was the highest, and the next were the meaning and methods of donation and consumer education needs for donation activity in order. Concerning their needs for donation consumer education by subject education, the highest need was found in getting donation consumer education at school. This may be because their school is the place most accessible in terms of time and space in the aspect that adolescent consumers can receive donation consumer education. Second, the variable that influenced their needs for donation consumer education the most was intention for donation, and the next were donation perception, community spirit, donation involvement, and monetary and material donations(yes) in order.

      • KCI등재

        체육분야의 교육기부 정책 발전 방안

        이용국,김미숙 한국스포츠학회 2021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9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체육분야의 교육기부 정책 발전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연구목적을 달성해 연구절차 는 3단계로 이루어졌다. 1단계로 체육관련 교육기부 프로그램 운영실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단계 연구로는 체육관련 교육기부 프로그램 만족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 3단계에서는 체육관련 교육기부 정책 발전 방안의 핵심 구성요인 의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체육예술교육기부 프로그램 참가자 588명과 체육관련 교육기부 전문가 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23.0과 Expert Choice 2000을 이용하여, 빈도 분석, 일원변량분석, 우선순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체육관련 교육기부 정책 발전 방안의 핵심 구성요인은 지원, 홍보,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정책으로 구성되었다. 체육분야 교육기부 발전 방안의 핵심 구성요인의 우선순위 분석결과 지원이 31.5%의 가중치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책 25.0%, 시스템 11.8%, 홍보 11.2%, 프로그램 6.9%의 가중치 순서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체육분야의 교육기부 정책 발전을 위해서 는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우선적으로 지원될 필요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development plan of the physical education donation policy. The research procedure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was made in three steps. Comparison of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first stage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 of physical education donation program, Step 2: satisfaction analysis of physical education donation program, The last three stages of the priority of key components of the policy development plan for physical education donation was analyzed. As a result, the core constituents of the development plan for the physical education donation policy consisted of support, promotion, program, database, system, and policy. As a result of priority analysis of the core constituents of the development plan for the physical education donation policy, it was found that support was most importantly perceived with a weight of 31.5%, policy 25.0%, system 11.8%, promotion 11.2%, and program 6.9% appeared in order.

      • 진로탐색 교육기부 프로그램 운영 효과성 분석

        어윤경(Au, Yun Kyung),황여정(Hwang, Yeojung)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연구 Vol.33 No.2

        교육기부 프로그램 운영 목적은 교육기부 표준 모델을 구축하고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함으로써 교육기부 기관간 혹은 학교-교육기부 기관의 유기적인 네트워크망을 형성하여 안정적인 진로탐색 교육기부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학교급로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 절차에 따라 체험형 프로그램을 6차시로 제작하여 운영하였고, 진로탐색 교육기부 컨설팅을 상시적으로 진행하였으며, 사전ㆍ사후 검사를 통하여 프로그램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진로 탐색 교육기부 프로그램 실시결과, 「진로탐색 교육기부 프로그램」 참가에 대한 만족도는 대체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기부 기관과 학생의 만족도의 차이는 없었다. 셋째, 프로그램에 참가하기 전과 후의 진로성숙도는 진로계획성과 진로행동 부분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마지막으로 전체적으로 직업기초능력이 향상되는 결과를 보였다. 본 프로그램을 통하여 첫째, 진로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진로탐색 프로그램 서비스 안정화에 기여하였고, 둘째, 자유학기제 도입에 따른 진로탐색 교육인프라 구축에 기여하였으며, 초ㆍ중ㆍ고등학생들에게 행복한 학교생활을 위한 창의ㆍ인성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아울러 표준화된 진로탐색 교육기부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각 산업별 교육기부 기관 및 공공기관의 교육기부 참여 의지를 고취시켰고, 초ㆍ중ㆍ고 학교급별 학생의 자기주도적 진로설계 능력 함양과 계층 간, 지역 간(도ㆍ농간) 교육격차를 해소에 기여하였다. The purpose of the educational donation program is to establish a standard model of educational donation and to develop and apply a career exploration program to establish an networking between educational donation agencies or school-education donation agencies. Based on the systematic program development procedure at the school level, this career exploration education programs were served and then, the program effectiveness was reported through pre and post test. As a result of conducting career exploration education donation program, it was found that satisfaction with participating in career exploration education donation program was generally satisfactory.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education donation agencies and students satisfaction. Third, the level of career maturity was improved partially and the level of overall job ability was improved. This study implies that First, it contributed to the stabilization of the career exploration program system for strengthening career education capacity. Second, it constructed the career exploration education system through the introduction of Free sementer system . By providing a standardized career exploration education donation program, it encouraged the agencies to participate in the education donation by the educational donation organizations and the public organizations in each industry. Also, these programs contributed to improving the students self-directed career designing ability.

      • KCI등재

        J. S. Bruner의 전·후기 교육 이론에 기초한 고등학교 혈액기부교육 실시 방안 연구

        이병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9 敎員敎育 Vol.3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meaning and necessity of blood donation education, which should be considered as one of today's efforts to protect citizen's life and health in the age of low fertility and an aging society, and to discern how to include blood donation education in a high school curriculum. Blood donation education is an activity that allows healthy citizens to develop their own tendency to donate their blood voluntarily and continuously to help patients who need blood transfusions or provide blood plasma components used in the manufacture of medicines. In Korea, blood use continues to increase due to the growing aging population, But the population that can donate blood is expected to gradually decrease from 2020 due to the deepening of low fertility problems. This can be a risk factor for citizens to maintain their lives and health. Therefore, the state should provide blood donation education so that citizens can participate in blood donation activities voluntarily and continuously. The contents of the blood donation education in schools were selected in terms of knowledge, function, value/attitude, based on factors that affect the blood donation activities of ordinary people. And based on J. S. Bruner's earlier and later theory, which takes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and places importance on the transfer of students' understanding and learning, and emphasizes active learning processes and internalization. Through these blood donation education classes, students will be able to inquiry and internalize the concepts and principles that are emphasized in the content elements of blood donation education to recognize the need for blood donation activities, reduce the fear of participation, and encourage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blood don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국민들의 생명과 건강을 지키기 위한 노력 중 하나로 고려되어야 하는 혈액기부교육의 의미와 필요성을 밝히고, 혈액기부교육의 내용요소를 고등학교 교과 교육과정에 반영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혈액기부교육이란 ‘수혈이 필요한 환자를 돕거나 의약품 제조에활용되는 혈장 성분을 제공하기 위해, 건강한 시민들이 대가없이 자신의 혈액을 자발적이고 지속적으로 기부하려는 성향을 기르게 하는 활동’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령화 인구의 증가로 인해 혈액의 사용량은 계속 증가하지만, 저출산 문제의 심화로 인해 혈액기부가 가능한 인구는 2020년을기점으로 점차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시민들이 자신의 건강을 유지하는 데에 위험요인이될 수 있다. 따라서 국가는 혈액기부교육을 실시하여 시민들이 혈액기부 활동에 자발적이고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학교 민주주의의 주체이자 미래의 예비 시민인 학생들은학교 혈액기부교육을 통해 졸업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혈액기부를 하려는 성향을 기를 수 있다. 학교 혈액기부교육의 내용요소는 일반인들의 혈액기부 활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근거로 하여지식, 기능, 가치/태도 측면으로 나누어 선정하였다. 그리고 교과의 특성을 고려하고 학생들의 이해와 학습의 전이를 중요하게 여기며 능동적인 학습과정과 내면화를 강조한 Bruner의 전․후기이론을 기초로 하여 『사회과』 ,『과학과』 , 『교양과』, 『도덕과』에서의 혈액기부교육 내용요소 반영방안을 제시하였다. 학교 교과 내에서의 혈액기부교육에서는 별도의 교과나 단원을 설정하기에는한계가 있기 때문에 과목의 성취기준과 연계하여 실시할 때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교과별 혈액기부교육을 통해 학생들은 혈액기부교육의 내용요소에서 강조하는 개념 및 원리를 탐구하고 내면화하여 혈액기부 활동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참여의 두려움을 줄이며 혈액기부에 참여하고자 하는 의지를 고취시킬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교육기부에 대한 학부모와 학생의 인식 조사

        윤준채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6 초등교육연구논총 Vol.3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기부에 대한 학부모와 학생의 인식 조사를 토대로 교육기부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교육기부 프로그램에 참가했던 경험이 있는 초중고등 학생 83명과 학부모 4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교육기부에 대 한 인식 조사: 학부모용>과 <교육기부에 대한 인식 조사: 학생용>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결과 분석을 토대로 도출된 교육기부의 미래적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 중심의 교육기부에서 벗어나 공교육 전반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학생 의 학습 역량뿐만 아니라 교사의 교육 역량을 제고할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사교육 절감을 위한 교육기부의 역할이 강화되어야 하며,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대학생 멘토를 활용한 방과후 프로그램의 확대가 필요하다. 셋째, 교육기부 프로그램은 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수립되어야 한다. 교육기부 프로그램이 학생의 실제적인 학 습과 연결되지 못하고 일회적인 경험으로 그치는 것을 막기 위하여 학생이 학교에서 배우는 실제적인 교육 내용과 밀접하게 연계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학교 교육기부 네트워크의 특성 분석

        이은진(Lee, Eun jin),박수정(Park, Soo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6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변화하는 학교 교육 속에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학교 교육기부 네트워크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강원도의 초·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2015년에 연계한 교육기부 기관을 조사하여, 학교와 교육기부 기관 간의 관계에 대하여 빈도분석 및 사회 연결망 분석(SNA)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계한 교육기부 기관이 가장 많은 학교급은 중학교이다. 둘째, 읍면지역 소재의 학교는 시와 도서벽지 소재 학교에 비해 교육기부 기관과 비교적 적게 연계하고 있다. 셋째, 초·중학교는 물적자원 기부에 비해 인 적자원 및 프로그램 기부 네트워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넷째, 고등학교는 물적자원 기부에 집중되고 인적자원 및 프로그램 기부 네트워크는 상대적으로 활발하지 않았다. 다섯째, 대학은 타 기관에 비하여 모든 영역에 있어서 교육기부에 적게 참여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기부 기관은 인적자원 및 프로그램에 대한 양적, 질적인 수준을 제고하고, 대입제도의 변화 및 고등학생도 다양한 교육활동이 필요하다는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며, 대학이 교육기부에 대한 사회봉사 역 량을 높이고 특화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network’s characteristic of donation for education at school. To achieve the goal, Donation for education organizations were examined form schools located in Kangwon-Do. also, I performed Frequency analysis and social network analysis by using SPSS 22.0 statistics and Netminer 4.0 on their relationship. The major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Middle schools linked the lagest amount of organization because of the new educational policy of free learning semester. Secondly, Schools located at rural areas linked the smallest amount of organization Compared to schools located in other area. Thirdly,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network is good in human resources and program donations rather than material resource donations. Fourthly, Material resources donation are concentrated and human resources and program donation is used less on high school. Fifthly, Universities less participate in donation for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form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existing university entrance system and perceptions of high school student’s educational activities. Also, Organizations must improve quantity and quality of human resources and program donations. And Universities must try to develop their abilities with specified program.

      • KCI등재후보

        교육기부를 통한 방과후학교 실태 분석과 개선 방안 탐색

        강신천(Kang, Shin Chun),양애경(Yang, Ae Kyeong) 한국방과후학교학회 2016 방과후학교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교육기부 차원으로 추진되는 방과후학교 참여에 대해 실태를 조사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민간이 방과후학에 참여하는 내용과 방법은 다양하다. 대학주도 사회적기업 방과후학교, 사회적기업의 방과후학교, 기타 영리 및 비영리기관의 방과후학교 참여 중 이 논문에서는 기업의 교육기부를 통한 방과후학교 참여 실태를 분석하고 교육기부 활성화 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첫째, 교과활동 연계활동에 교육기부 할 수 있다. 교과의 특정부분 또는 경제, 정보화, 문화, 예술, 다문화 등 범교과 주제교육을 기부할 수 있다. 둘째, 창의적 체험활동을 교육기부 할 수 있다. 학생, 교사 대상으로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 또는 자율, 봉사, 동아리, 진로 체험 등의 활동으로 교육기부 할 수 있다. 셋째, 방과후학교 지원을 위해 교육기부 할 수 있다. 지역 내 학교 대상 방과후학교 운영과 주5일제수업 토요프로그램 등 다양한 토요 체험활동을 제공 할 수 있다. 넷째, 교원대상 연수지원을 위해 교육기부 할 수 있다. 첨단 교사연수, 학교장 리더십 연수, 전문분야 심화연수 등 교원 대상의 전문 심화 연수로 교원의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교육기부 할 수 있다. 다섯째, 진로교육 지원을 위해 교육기부 할 수 있다. 전문대와 기업 현장 등을 활용한 현장 중심의 진로교육과 직업세계의 이해를 위한 다양한 진로체험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교육기부가 가능하다. 한계점으로는 운영지속성이 우려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산의 분배 투입이나 지속성을 위해 시도 교육청이나 지자체와 연계하는 방안이 적극적으로 검토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after-school program utilizing education donation, and to explore an improvement plan. Though private institutes variously participate in after-school program, this study focused on educational donation of business and corporation. In result, firstly, educational donation can be utilized in activities related to curricular subjects. It is also useful in cross curricular lessons such as economy, informatization, culture, art, and multiculture education. Second,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can be donated for self-regulated activities, volunteer works, club activities, and career developmental experiences. Third, educational donation can be utilized for after school programs. The donation will enrich a programs of after school education. Forth, educational donation can be utilized to support a training program for school teachers. It will help to strengthen competitiveness of teachers by providing up-to-date knowledge and information. Fifth, career education is an area for educational donation to make a contribution effectively. Junior colleges and business organizations can provide a various career experiential activities for students to understand an actual world of job. There is, however, a concern about its persiste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operate with local government and local education authority for sharing an expenses.

      • KCI우수등재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대학생 교육기부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탐색적 연구

        김세헌,박선웅 한국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8 No.3

        Educational donation programs provided by college students have been proposed as a novel compensatory education that can help adolescents to prepare for the contemporary society. However, there are not many empirical studies that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donation program on adolescents’ development.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participating in educational donation programs has beneficial impacts on adolescents’ ability development and emotional stability. Participants were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educational donation programs that took place weekdays or weekends. Participants completed questionnaires twice, before and after the programs, which included measures assessing intrinsic motivation for study, problem solving ability, interpersonal skills, self-control, career identity, and affect. A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was also included in the study. Repeated t-tests among the participation students revealed that post-scores were higher than pre-scores in both abilities and affect. In addition, the results of ANCOVA showed significant effects of the program on the abilities and affect after controlling for the pre-scores.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providing educational donation programs a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대학생 교육기부 프로그램은 중, 고교 학생들이 현대 사회에 필요한 역량을 개발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고 기존 공교육을 보완할 수 있는 중요한 교육 방식 중 하나로 최근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대학생 교육기부 프로그램이 실제로 어떤 영역에서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경험적 연구는 아직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대학생 교육기부 활동이 중학생들의 역량 발전 및 정서 변화에 도움을 주는지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주말과 주중에 실시되는 교육기부 활동인 <함성소리>와 <알락달락>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참여하기 전과 후, 두 차례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교육기부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도 동일한 방식으로 설문 조사에 응답하였다. 설문지는 학습내재적동기, 문제해결능력, 대인관계기술, 자기통제력, 진로정체성과 정서를 측정하는 문항들로 구성되었다. 대응표본 t-검정 결과, 교육기부 참여 학생들은 모든 영역의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공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전 점수를 통제한 후에도 교육기부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학생들은 그렇지 않았던 학생들에비해 모든 영역에서 더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프로그램의 종류에 따라 교육기부의 효과가 달라지는지 확인하기 위해 공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주중 2회로 실시하는 알락달락이 주말 1회 실시하는 함성소리에 비해 대부분의 영역에서 더 효과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교육기부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였고, 대학생 교육기부 프로그램의 발전과 활성화를 위한 후속 연구들의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