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 탐구 교수 효능감 연구를 위한 선행 연구 고찰

        인수정(In, Soojeong),김유림(Kim, Yurim),최애란(Choi, Aer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8

        본 연구에서는 과학 교수 효능감을 선행 연구에서 어떠한 방법으로 분석하고 있는지, 어떠한 하위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지 분석하여 과학 탐구 교수 효능감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우선 과학 교수 효능감을 질적 또는 양적으로 분석한 91편의 선행 연구 고찰은 탐구 중심 과학 수업 경험을 기반으로 한 과학 탐구 교수 효능 감을 질적으로 분석할 필요성으로 이어졌다. 둘째로, 여러 선행 연구에서 사용된 과학 교수 효능감 검사도구(STEBI)의 문항들은 일반적인 과학 교수에 대해 측정하는 반면 과학 탐구 수업 맥락에서의 과학 교수 효능감을 설명하기에는 부족함이 있었 고, 과학 탐구 교수 효능감(TSI) 검사 도구에서는 5가지 과학 탐구 과정을 학생들이 수행하도록 하는 교사의 능력에 대한 신념을 묻고 있어 5가지 과학 탐구 과정 수행 이외 영역에 대한 효능감에 대해서는 평가할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다는 것을 알 수있었다. 셋째로, 교수 효능감 관련 선행 연구에서 제시하는 교수 효능감의 정의를 통합 분석·범주화한 결과, 교사의 개인적 교수 효능감에는 교수 전략 효능감, 수업 관리 효능감, 학생 참여 효능감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 전략 효능감에는 학생 수준 이해 및 적용, 교과 지식, 교수 전략, 발문, 평가 관련 효능감이 포함되어 있었고, 수업 관리 효능감에는 방해 학생 관리와 학급 내 규칙 효능감이 포함되었 으며, 학생 참여 효능감에는 동기 부여, 참여 독려 효능감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러한 교수 효능감 하위 범주를 기본틀로 하여 실제 과학 탐구 수업을 실행한 교사들이 어떠한 효능감을 가지고 있는지 개방형 면담을 통해 알아보고 추가하거나 수정해야할 하위 범주나 요소가 있는지 알아보는 후속연구가 의미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ways in which science teaching efficacy is examined in previous research studies and to provide implications on studies on examination of science teaching efficacy. First this study examined 91 korea research studies in which science teaching efficacy or science teacher efficacy is analyzed or examined qualitatively and/or quantitatively. Results imply that research studies analyzing science teaching efficacy in a inquiry-based secondary science instruction are needed. Second, content analysis of instrument of science teaching efficacy was implemented to develop an analysis framework for qualitative analysis of science teaching efficacy.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STEBI) included questions in a general science teaching context instead of inquiry-based science teaching. Teaching of Science as Inquiry(TSI) included questions efficacy regarding teacher beliefs on guiding students to be engaged in 5 processes of science inquiry. Third, previous research studies regarding teaching efficacy included efficacy for instructional strategies, efficacy for classroom management, and efficacy for student engagement. Qualitative data analysis on science inquiry teaching efficacy could be implemented using the sub-component framework of teaching efficacy developed in this study. Various sub components of science inquiry teaching efficacy could be named considering the teaching efficacy framework.

      • KCI등재

        예비초등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과 과학 정의적 특성의 상관관계

        김효남,명전옥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9 교육과학연구 Vol.40 No.2

        This study is about the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scienc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is considered a characteristic of teachers which affects science teaching in elementary classrooms. 64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Form B developed by Enochs and Riggs(1990) was translated into Korean and used for data collection in April 2008. The Science Affective Characteristics Instrument was developed by Kim, Chung and Jeong (1998) of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used for data collection during the same period. Chronbach alpha coefficient of science teaching efficacy is .84 and science affective characteristics, .94. Science teaching efficacy score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s 3.77 on Likert's scale of five choices. Science affective characteristics score is 3.68 on Likert's scale of five choices. Science teaching efficacy show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igh school tracks such as science and non-science, a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and science-related and non-science-related tracks in universit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science affective characteristics is .64, which indicates a strong correl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초등교사들의 과학교수 효능감과 과학 정의적 특성은 어떠하며, 배경변인에 따라 과학교수 효능감과 과학의 정의적 특성이 차이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 과학교수효능감과 과학 정의적 특성은 어느 정도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하위 범주에 따라 상관관계에 차이가 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교사 양성기관에서 초등 과학교수법 강의를 수강하는 예비 초등 교사 64명이었다. 검사 도구는 과학교수효능감 검사지 STEBI-B형(Enochs & Riggs, 1990)과 과학 정의적 특성 검사지(김효남, 정완호, 정진우, 1998)이다. 두 검사 도구의 문항은 모두 5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되었다. 검사는 2008년 4월에 실시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초등교사들의 과학교수효능감은 평균이 3.77이었으며 하위 범주인 개인 효능은 3.92, 결과기대는 3.62이었다. 과학 정의적 특성 은 3.68이었으며, 하위 범주인 인식은 4.10, 흥미는 3.41, 태도는 3.54이었다. 둘째, 예비초등교사들의 과학교수효능감과 과학 정의적 특성은 성별과 대학 심화과정에 따라서 차이가 없었으나 고등학교 계열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예비초등교사들의 과학교수효능감은 과학 정의적 특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상관계수는 .64이었다. 개인 효능과 결과 기대는 서로 다른 특성을 보여주었는데, 개인 효능은 과학 정의적 특성의 하위 범주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지만, 결과 기대는 과학 정의적 특성의 하위 범주 중 인식과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학교수효능감 분석

        김효남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10 교육과학연구 Vol.41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학교수효능감이 성별, 고등학교 계열, 대학 심화과정, 교직 경력과 근무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 지역에 위치한 총 9개 초등학교에서 근무하는 초등학교 교사 105명이다. 각 초등학교별로 10-2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과학교수효능감 검사도구는 STEBI-Form B(Enochs & Riggs, 1990)를 번역하고 일부 용어를 초등학교 교사에게 적합하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STEBI-Form B는 총 23문항으로 개인효능과 결과기대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설문은 2008년 4∼5월에 걸쳐 우편으로 수행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학교수효능감은 3.56이었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학교수효능감은 성별과 고등학교 계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대학 심화과정, 교직 경력과 근무 지역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남자 교사들의 과학교수효능감이 여자 교사들 보다 높게 나타났다. 고등학교 때 자연계열이었던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학교수효능감이 인문계열이었던 교사들보다 높고, 대학 심화과정이 과학이었던 교사들의 과학교수효능감이 이과 계통이 아닌 다른 교과를 심화로 하였던 교사들보다 높은 것은 적정 수준의 과학교과 이수를 초등학교 교사들에게 요구할 필요성을 제시한다. 보다 많은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하고 연구대상자를 보다 균형있게 선정한 과학교수효능감 조사연구가 요구된다. This study analyzed elementary science teaching efficacy according to gender, tracks of high schools, intensive courses of college teacher education programs, teaching experience and school location. STEBI-Form B developed by Enochs and Riggs (1990) was used to measure science teaching 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Cronbach Alpha of the instrument was 0.801. Participants were 105 elementary teachers from nine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two large cities, four medium-sized cities, and one small town. Ten to twenty teachers from each elementary school responded to STEBI-Form B, which was sent to each school and collected by mail from April to May 2008.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cience teaching efficacy of elementary teachers was 3.56 on a 5-point Likert scale. The score is moderate and higher than that of kindergarten teachers. Second, science teaching 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and high school tracks, but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intensive courses of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programs, teaching experience and school location. Science teaching efficacy of male elementary teachers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 elementary teachers. Elementary teachers who were in the science track in high school showed higher science teaching efficacy than those in non-science tracks, and those who took the intensive science course offered by their teacher education programs showed higher science teaching efficacy than those who took non-science related intensive courses. An appropriate number of science courses in high school and college should be required to provide adequate training for elementary teachers. Large scale and more balanced sampling is needed to assess more accurately science teaching efficacy in elementary schools according to background information.

      • KCI등재

        보육교사의 교사적성과 과학태도가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헤라 한국보육지원학회 2014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0 No.1

        이 연구는 보육교사의 교사적성, 과학태도가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어린이집 교사 297명이었으며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Instruments, Inventory of Science Attitudes, 보육교사적성 도구를 사용하여 연구자료를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earson의 적률 상관계수와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먼저 보육교사의 적성은 과학교수 개인효능감, 과학교수 결과기대감, 과학교수효능감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과학태도 중 과학에 대한 흥미와 과학의 사회적가치는 과학교수 개인효능감, 과학교수 결과기대감, 과학교수효능감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과학과 과학자에 대한 인식 자체는 과학교수 개인효능감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과학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보육교사적성과 과학태도를 살펴본 결과, 과학교수 개인효능감에 대해 과학에 대한 흥미와 긍정적 정서가 영향을 미치고, 과학교수 결과기대감에대해서는 과학의 사회적 가치, 과학과 과학자에 대한 인식, 대인관계능력이 영향을 미쳤으며, 과학교수효능감에 대해서는 과학에 대한 흥미, 과학의 사회적 가치, 긍정적 정서, 대인관계능력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가 보육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을 증가시켜 영유아교육 현장에서 바람직한 과학교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기초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해 본다.

      • KCI등재

        학습자 참여를 강화한 과학교육론 수업에서 예비 과학교사의 일반 교수 효능감과 과학 교수 효능감 분석

        강경희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4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1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 참여를 강화한 통합과학교육론 수업이 예비 과학교사들의 일반 교수 효능감과 과학 교수 효능감에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예비 과학교사 29명을 대상으로 학습자 참여를 강화한 통합과학교육론 수업을 실시하였다. 예비 과학교사들은 모둠별 논의를 거쳐 과학교육론과 관련된 토의 주제를 설정하였다. 또한 ChatGPT 활용, 카드게임, 카드뉴스 제작 등 다양한 전략들을 직접 활용하여 토의 활동을 전개하였다. 일반 교수 효능감과 과학 교수 효능감에 대한 사전 사후 검사 간 t-test 결과 일반 교수 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과학 교수 효능감은 사후 검사 결과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교수 효능감 중 개인 교수 효능감은 사후 검사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교수 결과 기대감은 사후 검사에서 더 낮게 나타났다. 이에 비해 과학 교수 효능감은 과학 교수 개인 효능감과 과학 교수 결과 기대감 모두 사후 검사가 더 높게 나타났다. 다만 과학 교수 결과 기대감은 유의하게 높지는 않았다. 이 결과는 예비 과학교사들이 직접 다양한 교수 전략을 활용하는 활동이 교수 효능감을 높이는 데 효과적임을 시사하고 있다. 그러나 교수 결과에 대해 확인하는 과정이 구현되지 않았기 때문에 교수 결과 기대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학습자 참여를 강화한 과학교육론 수업이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an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class with enhanced learner participation affected 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general teaching efficacy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To this end, 29 prospective science teachers were given an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theory class that strengthened learner participati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set discussion topics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theory through group discussions. Also, a variety of strategies were directly applied to create discussion activities, including the usage of ChatGPT, card games, and the creation of card news. As a result of the t-test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for general teaching efficacy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eral teaching efficacy. However, science teaching efficacy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post-test results. Among the general teaching efficacy, the individual teaching efficac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ost-test, but the expectation of teaching results was lower in the post-test. On the other hand, science professor efficacy was higher in the post-test for both science professor personal efficacy and science professor result expectancy. Science professors, however, were not significantly hig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activities in which pre-service science teachers directly utilize various teaching strategies are effective in increasing teaching efficacy. However, because the process of confirming teaching results was not implemented, it was judg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xpectations of teaching results.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the science education theory class that strengthened learner particip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efficacy of science teaching pre-service science teachers.

      • KCI등재

        중학교 과학 교사들의 과학 탐구 교수 효능감에 대한 인식

        인수정,최애란 한국과학교육학회 2018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8 No.3

        This study aims to explore science inquiry teaching efficacy that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implementing science practice-based teaching for one year recognized as necessary for teaching science through science practice. Examining interview data in this study, science inquiry teaching efficacy was identified in both planning and implementing in the areas of managing efficacy, instructional strategy efficacy, and content knowledge efficacy. In planning science inquiry instruction, there is science curriculum management efficacy under managing efficacy. There are the efficacy of outlining science inquiry lesson, efficacy of organizing science practice, efficacy of questioning for science practice, and efficacy of understanding student science practice under instructional strategy efficacy. Under the content knowledge efficacy are contents and science practice understanding efficacy and core ideas efficacy . In implementing science inquiry instruction, managing efficacy includes science practice time management efficacy and science practice classroom culture efficacy. Instructional strategy efficacy includes efficacy of motivating student science practice, efficacy of responding to student science practice, efficacy of stimulating student active thinking, efficacy of student active engagement in argumentation, efficacy of evaluating student participation. No content knowledge efficacy have been identified in implementing science inquiry instruction. 본 연구에서는 과학 탐구 수업을 1년간 수행한 중학교 과학 교사들이 과학 탐구 수업을 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하는 효능감이 무엇인지 개별 면담 자료 분석을 통해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 참여 교사들이 과학 탐구 수업을 하기 위해서 필요하다고 하는 과학 탐구 교수 효능 감은 과학 탐구 수업 계획 단계와 수행 단계에서 다르게 나타났고, 각 단계에서의 효능감은 수업 관리 효능감, 교수 전략 효능감, 교과 지식 효능감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과학 탐구 수업 계획 단계에서의 수업 관리 효능감에는 ‘과학 탐구 수업을 위한 교육 과정 운영 효능감’ 이 포함되었고, 교수 전략 효능감에는 ‘과학 탐구 수업 개요 설정 효능감’, ‘과학 실천 간 논리적 조직 효능감’, ‘과학 실천 별 적절한 발문 계획 효능감’, ‘과학 실천을 하는 학생에 대한 이해 효능감’이 포함되었으며, 교과 지식 효능감에는 ‘교과 지식 및 과학 실천 이해 효능감’, ‘핵심 개념 설정 효능감’이 포함되었다. 과학 탐구 수업 수행 단계에서의 수업 관리 효능감에는 ‘과학 실천 별 시간 배분 효능감’, ‘과학 실천 교실 문화 정착 효능감’이 포함되었고, 교수 전략 효능감 에는 ‘과학 실천 동기 부여 효능감’, ‘과학 실천 적응적 교수 효능감’, ‘능동적 사고 기회 제공 효능감’, ‘과학 실천 별 논의 참여 독려 효능 감’, ‘과학 실천 별 참여도 평가 효능감’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의 참여 교사들은 과학 탐구 수업 수행을 위하여 필요한 효능감으로 교과 지식 효능감은 언급하지 않았다.

      • KCI등재

        멘토링 참여 경험이 과학교사의 일반교수효능감과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강경희 한국과학교육학회 2017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7 No.6

        이 연구는 저경력 과학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한 멘토링이 과학교사의 일반교수효능감과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저경력 과학교사 멘토링은 J도에서 현직 임용 경력 3년 이하의 과학교사 24명을 대상으로 2016년 4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9개월에 걸쳐 진행되었다. 일반교수효능감과 과학교수효능감 검사는 선행 연구들에서 개발한 검사지를 수정 보완하여 활용하였다. 과학교 수효능감 사전 검사 결과 평균은 3.02점으로 나타났다. 특히 과학교수 자기 효능감은 평균 2.86점이었고, 과학교수 결과 기대감은 평균 3.17 점으로 나타나 결과 기대감이 더 높았다. 과학교수 결과 기대감 영역 에서 여교사 평균이 남교사 평균 보다 높게 나타났고, 중학교 교사 평균이 고등학교 교사 평균보다 모든 영역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 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사후 검사 결과 멘티 교사들의 과학교수 효능감은 평균 3.08점으로 사전 검사보다 증가하였다. 특히 사후 검사 에서 과학교수 개인 효능감은 평균 3.11점, 결과 기대감은 평균 3.04 점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멘토링 연수가 멘티 교사들의 과학교수효능감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mentoring in enhancing the professionalism of low-experience science teachers on their general teaching and science teaching efficacies. The mentoring for low-experience science teachers was conducted on 24 science teachers with less than three years of experience over a nine-month period between April and December, 2016. The questionnaires developed by advanced researches were modified and used to test the teachers’ general teaching and science teaching efficacies. As the result of a pre-test, the mean science teaching efficacy score was 3.02 points. In particular, the mean science teaching self-efficacy score was 2.86 points and the mean science teaching outcome expectancy score was higher at 3.17 points. In the domain of science teaching outcome expectancy, the mean for female teachers was higher than that of male teachers, and the mean for middle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that of high school teachers in every domain. However, this resul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of a post-test showed that the mean science teaching efficacy score of mentee teachers increased to 3.08 points over the pre-test. In particular, the mean science teaching self-efficacy score was 3.11 points and the mean science teaching outcome expectancy score was 3.04 points in the post-test. This presents that the mentoring training conducted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cience teaching efficacy of mentee teachers.

      • KCI등재

        메타인지 기반 과학자기효능감 증진 교수학습 전략 개발

        조규영,김현섭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18 현장과학교육 Vol.12 No.2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과학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메타인지 기반 과학자기효능감 증진 교수․학습 전략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일반적인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바탕으로 과학자기효능감을 정의하고 그 구성요소로 과학자기자신감, 과학수행자신감, 과학성취기대감을 추출하였다. 이어서 메타인지의 자기조절 전략을 활용하여 수업 단계를 준비, 참여, 조화, 평가 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마다 자기-질문을 통하여 자신을 점검하게 하였다. 그리고 수업 단계마다 다양한 성취경험과 대리경험을 제공하고 교사의 긍정적인 언어적 설득과 정서적 대처 훈련을 가미함으로써 학습자의 과학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전략과 수업 과정을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교수․학습 전략을 중학교 과학교과‘자극과 반응’ 단원 수업에 적용한 후 과학자기효능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설문지 검사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그 결과, 메타인지 기반 과학자기효능감 증진 교수․학습 전략 수업을 활용한 수업이 학습자들의 전체적인 과학자기효능감 증진과 과학자기자신감, 과학수행자신감 요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eaching-learning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science self-efficacy in secondary school. For its sake, we have defined the science self-efficacy and extracted components of science self-efficacy from the base on the general academic self-efficacy. There are three components of science self-efficacy: self-confidence in science, performance-confidence of science, and achievement-expectation of science. And then we have developed the instruction process us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to improve science self-efficacy based on the metacognition in secondary school science. In science class, the steps consist of preparing, engaging, orchestrating and evaluating based on the theory of self-regulatory strategy in metacognition, and the students would be checked their accomplishment by themselves through self-questions at each step. Also, there were provided various accomplishment experience, vicarious experience, verbal persuasion, and emotional arousal at each instruction step as strategy to improve the science self-efficacy. These strategies were applied to the 'stimulation and response' unit of middle school science subjects. We analyzed comparatively the result of pretest and post test for intervention group to test the effect in science class on science self-efficacy and science self-efficacy for science performance ability. As a result, There were positive effects on students’improvement of science self-efficacy and self-confidence in science, performance-confidence in science.

      • KCI등재

        유아교사의 과학적 지식수준과 과학교수효능감 및 과학교수적극성간의 관계와 교사의 과학적 배경특성에 따른 차이

        박선영,김희진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2 교과교육학연구 Vol.26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overall and individual’s level of scientific knowledge,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science teaching intention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Also, it i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level of scientific knowledge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science teaching intention.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331 preschool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In order to measure preschool teachers’ level of scientific knowledge, a questionnaire was made following Pennsylvania Teaching Standard with input from research papers concerning early childhood science teachings. To investigate science teaching efficacy, a modified version of tools used by Riggs & Enochs(1990) in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was adapted and used. Also to investigate science teaching intens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ilcox-Herzog & Ward(2004)'s Teaching Intension Scale(TIS) was translated and adap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level of scientific knowledge was marked 36.3 out of 50, standing higher than average.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iency was higher than average, and science teaching intention was high overall.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s' level of scientific knowledge and science teaching efficiency, level of scientific knowledge and science teaching intention had a low level of positively correlation. This paper provide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teacher education related to science and inspection of the environment for teaching science.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과학적 지식수준, 과학교수효능감과 과학교수적극성의 전반적 경향과 교사의 과학적 배경 특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과학적 지식수준과 과학교수효능감 및 과학교수적극성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어린이집 유아반 교사와 유치원 교사 33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유아교사의 과학적 지식수준 판단을 위해, 미국 펜실베니아주의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유아과학교육 관련 문헌 연구의 내용을 반영하여 연구자가 제작한 설문 도구를 사용하였다. 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Riggs & Enochs(1990)의 유치원 및 초등학교 교사용 과학교수에 대한 교수효능감의 신념척도를 번안하여 사용하였으며, 과학교수적극성을 측정하기 위해 Wilcox-Herzog와 Ward(2004)가개발한 Teaching Intension Scale(TIS)을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과학적 지식수준은 총점인 50점 기준으로 36.3점으로 중간보다 약간 높은 편이었다. 과학교수효능감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었으며, 과학교수적극성은 전반적으로 높은 편이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과학적 지식수준은 과학교수효능감은과 과학교수적극성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과학과 관련된 직전 및 현직 유아교사교육의 개선, 기관의 과학교수지원 환경에 대한 점검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지식과 과학적 태도 및 과학교수 효능감 간의 관계

        이은진 한국보육지원학회 2013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9 No.4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지식과 과학적 태도 및 과학교수 효능감의 정도를 알아보고 이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3년제와 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29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 ․ 회수한 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의 과학교수지식이 보통정도이며 과학적 태도도 보통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들의 과학교수지식과 과학적 태도는 3년제 대학의 3학년과 4년제 대학의 3·4학년 집단이 2학년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학년 집단은 1학년 집단보다 과학교수지식과 과학적 태도가 낮게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들의 과학교수 효능감은 4년제 대학의 경우, 과학교수지식과 과학적 태도와 유사하게 2학년 집단이 가장 낮은 반응을 나타냈고 3년제 대학의 경우 학년이 높아질수록 과학교수 개인효능감이 높아졌다. 예비유아교사들의 과학교수지식과 과학적 태도 및 과학교수 효능감 간에는 정적인 상관을 나타냈으며 이는 과학교수지식이 높을수록 과학적 태도와 과학교수 효능감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중에서 과학적 태도가 과학교수 효능감보다 과학교수지식과 더 높은 상관을 나타냈다. 앞으로 예비유아교사 교육에서 과학교수지식과 과학적 태도 및 과학교수 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교수방법에 대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