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공정공시제도 도입으로 인한 회계이익의 가치관련성 변화에 대한 연구

        이세용 ( Se Yong Lee ),노밝은 ( Bahl Geun Roh ) 한국회계학회 2011 회계학연구 Vol.36 No.1

        우리나라에서 2002년 11월에 도입된 공정공시제도는 경영자가 기업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재무분석가나 기관투자자 등 특정인에게 선별적으로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모든 시장참가자들이 동 정보를 알 수 있도록 증권시장을 통해 이를 사전적으로 공시하도록 하는 제도이다. 이러한 공정공시제도의 효과와 관련하여 선행연구들은 공정공시일의 주가변동성이나 재무분석가 이익예측치의 정확성 등을 검증함으로써 공정공시제도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러나 이들 선행연구들에서는 공정공시제도에 따라 회계이익의 유용성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정공시제도의 도입에 따라 회계이익의 가치관련성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함으로써 공정공시제도의 도입에 따라 회계이익의 유용성에 어떠한 변화가 나타났는지를 분석하였다. 이의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1999년부터 2006년까지의 기간을 대상으로 공정공시제도 도입을 전후하여 일정 기간 동안에 나타나는 회계이익의 가치관련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공정공시제도의 도입 이후, 전체 기업에 대한 회계이익의 가치관련성은 유의하게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공정공시 미시행기업의 경우, 회계이익의 가치관련성은 공정공시제도 도입 이후 기간에 증가하지 않는 반면, 공정공시 시행기업의 회계이익의 가치관련성은 공정공시제도 도입 이전 기간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공정공시제도의 도입에 따라 회계이익 정보의 선별적 제공이 제한됨으로써 자본시장의 정보비대칭이 완화되고 결과적으로 회계정보의 유용성이 증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Korea, Regulation Fair Disclosure(RFD, hereafter) was adopted in November, 2002. The purpose of RFD is to prevent the selective provision of information on firms to selected interested parties, and to urge firms to announce the same information to the public that they want to give to the selected parties such as analysts or institutional investors. By blocking selective disclosure through the RFD, regulators` intention was to eliminate any informational advantages that had benefited the selected parties only. Prior studies in Korea show that the enforcement of RFD reduced the leakage of advanced information (Lee & Choi, 2004), which implies that information asymmetry among market participants was mitigated after the adoption of RFD. For example, volatility of abnormal returns or variation of stock trading volume has been decreased on the disclosure day in the concerned industries (Kim et al, 2005). And Oh & Sohn (2006) show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ecrease in both analysts` forecasting performance and their optimistic bias after the enforcement of RFD. Foreign prior studies also show that RFD reduces volatility of abnormal return in the earings announcement day, the leakage of advanced information, and the trading expense. Many studies also show that the forecasting accuracy has not been declined even if relative uncertainty in the forecasting of earnings has become large (Shane et al., 2001; Heflin et al., 2003; Gadarowski and Sinha., 2007; Eleswarapu et al., 2004). Although many prior studies, domestic or foreign, showed that (the 생략) RFD has positive effects as mentioned above, however, it might have negative effects as well. RFD can restrict the communication between analysts (or institutional investors) and firm managers, which leads to the result that analysts might have difficulty in gathering private information needed to forecast future earnings from managers. In addition, there could be a loss in available information for investors, because it is likely that managers are reluctant to announce information due to both the complicated procedure of RFD and penalties against unfair disclosure. Additionally, whether to disclose or not is subject to managers` arbitrary decision because of the ambiguity of the related regulations concerned with the requirement which the firms should disclose to satisfy the RFD. In the stream of research that we have seen in the above, we could not find any studies as to whether the usefulness of accounting earnings has changed after the adoption of RFD. Therefore, the purpose of our paper is to examine whether the adoption of the RFD has increased the value relevance of earnings or not. By doing so, we hope that we could answer the question, whether RFD has made positive effects on the usefulness of accounting information. Value relevance as a summary indicator of informativeness of accounting numbers is related with the question, "how well the accounting information summaries every information that affects stock price ex post facto at least". However, the most prominent problem about the value relevance is that current stock price is a noisy proxy about true firm value. So we can measure the value relevance by estimating how much the accounting information include distinct information independent with current stock price about true firm value. (Kwon et al, 2010. p.569) In this respect, by blocking selective disclosure, the earnings information can be transferred faster. In this case, we can expect that the relation of earnings and returns would be improved. If this expectation is appropriate, we can believe that earnings information would be transferred to the market participants more quickly by RFD. And then RFD might increase value relevance in the capital market. In this context we can find the validity of the RFD in the accounting perspective. To achieve our purpose, we selected the sample for the period from 1999 to 2006, and analyzed the changes in value-relevance of accounting earnings before and after the adoption og RFD. The results showed 1) the value-relevance of accounting earning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for the entire firms after the adoption of RFD, 2) for the firms that did not practice fair disclosure, increase in value-relevance of accounting earnings has not been observed, and 3) however, for the firms that did practice fair disclosure, the value-relevance of accounting earnings has increased more after the adoption of RFD compared with before the adoption of RFD. These results imply that with the adoption of RFD, selective provision of accounting information is restricted, information asymmetry in capital markets is also mitigated, and, as their results, the usefulness in accounting information is increased. Compared to prior studies, this paper has two distinctive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ly, most of prior studies have analyzed the changes in information asymmetry driven from RFD. Concretely they examined the market response around the event day, which was mainly the date when regulators announced that they would enforce fair disclosure, or measured the increase or decrease in the accuracy of earnings forecasts by analysts after RFD, However, the prior studies have not worked on the concrete analysis about how RFD has affected the informativeness of earnings. In this kind of research stream,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RFD on the value relevance which is an important measure of accounting earnings` usefulness. So we expect that our paper would tell how RFD improves the usefulness of accounting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changes in value-relevance of accounting earnings before and after the adoption of RFD. Secondly, most Korean prior studies have made short-term analyses such as the effect of the RFD by event study or immediate effect after the adoption of the system. Our study, however, analyzed the long-term effect of RFD by seeing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earnings for eight years, each four years before and after the adoption, respectively. Nevertheless, our study has limitations as follows. Firstly, compared to the firms not practicing fair disclosures, firms practicing fair disclosures show value relevance significantly high after RED, but the significance level is about 10 percent, which means that our results is not robust. So we are hoping for studies that would back up our conclusion. The way of backing up could be adding more samples, rearranging samples used in this paper and so on. Secondly, it is risky to generalize the conclusion of our study to every firms because we could not observe the effect of RFD on small firms. We guess that the reason is not the ineffectiveness of RFD but the prejudiced market response toward the small firms. Even if a small firms disclose well, market may not trust the announcement for the simple reason that they are small ones. This kind of facts would be a subject studied afterward. In conclusion, we believe that the adoption of RFD improves informational environment in capital market and then strengthens value relevance. But in the cases of firms not practicing fair disclosure and small firms, there exist no effect of RFD. Therefore, we believe that we need to make some improvements to RFD to help it function properly.

      • KCI등재

        IFRS 13 ‘공정가치 측정’ 공시품질에 관한 현황비교 : 한국 및 일본기업을 중심으로

        정남철(Jung, Nam Chul),정석우(Jeong, Seok Woo),Tokuei Sugimoto,Emi Tamagawa 한국회계정보학회 2021 회계정보연구 Vol.39 No.2

        [연구목적]본 연구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제1113호 공정가치 측정 기준서(IFRS 13) 시행 이후, 관련 기준서에 따른 주석공시 요구사항의 품질을 한국과 일본의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다. 이를 통하여, IFRS의 핵심인 공정가치 회계의 기반이 되는 기업의 공정가치 관련 공시 충실도 현황을 파악하고, 국제적 현황 비교를 통하여 이해관계자에게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방법]연구표본은 IFRS 13이 시행된 2013년부터 2016년까지 4개 사업연도를 대상으로, 공정가치 서열체계에 따라 공정가치로 표시 또는 공시되는 자산 및 부채가 존재하는 한국(5,332 연도-회사) 및 일본의 상장기업(194 연도-회사)을 대상으로 한다. 이를 대상으로, 금융감독원에서 2014년 제시한 주석공시 가이드라인을 활용한 공시품질을 측정, 분석한다. 또한 자료를 이용 가능한 국내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의 다양한 특성(외부감사인, 소속 상장시장 등)에 따른 공시품질의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추가로 조사한다. [연구결과]분석 결과, 전체 표본을 대상으로 한국은 평균 0.449, 일본은 평균 0.679의 공정가치 관련 공시품질 측정치를 나타내 평균적으로 한국의 공시품질의 절대점수가 일본과 비교하여 낮은 점수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는 IFRS를 의무 도입한 우리나라와 달리, 일본회사 표본은 상대적으로 재무보고 프로세스가 우수한 IFRS의 자발적 도입 회사이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한편, 양국 모두에서 공정가치 서열체계 상 공정가치 측정의 재량성이 높은 수준 2, 수준 3 항목이 포함될수록 더욱 낮은 점수를 보였다. 국내 상장회사에 대한 추가 분석결과, 상대적으로 소규모 감사법인을 선임한 회사, 코스닥 시장 소속회사 및 공정가치 측정 순자산의 비중이 낮은 회사가 낮은 공정가치 관련 공시품질을 나타냈다. [연구의 시사점]본 연구는 감독기관의 주석공시 가이드라인에 따른 공시품질 측정치를 추정하여, 국내 상장회사의 IFRS 13에 따른 공시품질의 현황을 제시하였다. 또한 기업환경과 회계제도의 적용이 국내와 상이한 일본과의 국제적 비교연구를 통하여, 국내 공정가치 공시품질의 상대적인 수준을 파악할 수 있게 하였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감독당국에서 소규모 회계법인이 감사하는 회사, 코스닥회사 등에 대한 공정가치 관련 주석공시 현황을 집중하여 감독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quality of disclosure in accordance with the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No. 13 ’Fair Value Measurement’ (IFRS 13)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standard, focusing on listed companies in Korea and Jap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the disclosure status about IFRS 13 requirements which are the basis of fair value accounting, the core of IFRS, and to provide implications to stakeholders through international status comparison. [Methodology] The sample covers four business years from 2013 to 2016 when IFRS 13 was implemented, and listed companies in Korea (5,332 firm-year) and Japan (194 firm-year), where assets or liabilities that are indicated or disclosed at fair value according to the fair value hierarchy are present. Disclosure quality is measured and analyzed using the guidelines proposed in 2014 by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disclosure quality according to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company. [Findings] Results show that the mean of disclosure quality was 0.449 in Korea and 0.679 in Japan for the entire sample, respectively. The mean of disclosure quality related to IFRS 13 was low in Korea, and the disclosure quality in of Korea was lower than that in Japan. In particular, the higher the level 2 and 3 items which have higher discretion in measuring fair value were included, the lower the score was. Additional results show that firms appointing non-BIG 4 auditors, firms in KOSDAQ market, firms with a low proportion of fair value assets or liabilites showed low fair value-related disclosure quality in Korea. [Implications] This study estimated the disclosure quality in accordance with the guidelines for the supervisory agency and presented the disclosure quality in accordance with IFRS 13. This study made it possible to grasp the status of the relative publicly disclosed quality in Korea through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with Japan where the application of the business environment and accounting system differs from that of Korea. In addition, this study implies that the supervisory authority needs to focus on the disclosures related to fair values for companies audited by small accounting firms and KOSDAQ companies.

      • KCI등재

        주석으로 공시한 투자부동산의 공정가치 정보의 주가관련성

        신현걸 한국상업교육학회 2021 상업교육연구 Vol.35 No.3

        본 논문은 주석에 공시된 투자부동산의 공정가치 정보 간에도 주가 관련성에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는 관점에 기초하여 투자부동산에 원가모형을 적용한 기업이 투자부동산의 공정가치 금액뿐만 아니라 기업회계기준서에서 요구하는 공정가치 관련 공시 사항을 주석에 충분하게 서술하였는지 그 실태를 파악하고, 주석에 공시된 정보의 충분성 정도에 따라 투자부동산의 공정가치 정보의 주가 관련성이 영향을 받는지를 분석하였다. 공시된 주석을 살펴본 결과, 원가모형을 적용하는 표본기업의 절반 정도가 투자부동산의 공정가 치를 주석에 제대로 공시하지 않았으며, 공정가치를 공시한 표본기업 중 1/3이 넘는 표본이 기업회 계기준서에서 요구하는 공정가치 측정과 관련되는 정보를 제대로 기술하지 않았다. 따라서 투자부 동산에 대해서 원가모형을 적용하는 우리나라 상장기업의 대다수가 투자부동산의 공정가치와 관련 된 정보를 주석에 충분하게 공시하지 않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원가모형을 적용한 기업이 주석에 공정가치를 공시했는지의 여부와 주 가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는 존재하지 않았으며, 투자부동산의 공정가치(주석 공시 금액)와 원가(재 무제표 금액)의 차이와 주가 간에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주석에 공정가치 이외에 외부평가인 등 공정가치 관련 정보까지 공시한 경우에는 투자부동산의 공정가치와 원가의 차이가 주가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원가모형을 적용하면서 공정가 치만 주석에 공시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기업회계기준서에서 요구하는 사항을 충분하게 공시 한다면 투자부동산의 공정가치 정보의 유용성은 제고될 수 있을 것이다. Based on the view that there may be a difference in the stock price relationship between the fair value information of investment property disclosed in the notes,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footnotes required by the K-IFRS are sufficiently disclosed, and analyses the stock price relevance of the fair value of the investment property would be affected by the degree of the disclosure sufficienc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sclosed notes, about half of the sample companies applying the cost model did not properly disclose the fair value of investment properties in the notes, and more than one-third of the sample companies did not properly describe the fair value-related information required by K-IFRS.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majority of Korean listed companies applying the cost model for investment property did not sufficiently disclose information related to the fair value of investment property in the notes. When the company that applied the regression analysis and applied the cost model studied the value in the annotation in the annot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process of the result and the stock price,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sudden occurrence, amount) and the stock price indication were also significant. Was not found. However, when fair value-related information such as fair value external appraiser was also disclosed in the annotation, we foun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fair value and cost of the investment proper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tock price. Therefore, if the cost model is applied and the fair value is not only disclosed in the notes, but the requirements of the corporate accounting standard are sufficiently disclosed, the usefulness of the fair value information of investment properties will be enhanced.

      • KCI등재

        공정공시와 자기자본비용의 관련성

        나영 ( Young Na ),임욱빈 ( Wook Bin Leem ) 한국회계학회 2014 會計學硏究 Vol.39 No.1

        공시의 정보효과를 보는 많은 선행연구에서는 공시의 수준이 향상될수록 기업과 정보이 용자들 간의 정보불균형이 줄어들고 기업에 대한 정보위험이 낮아져 자본비용이 낮아진다는 실증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02년 11월 이후 시행되고 있는 공정공시제도가 자본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공정공시를 통해 기업의 정보를 제공한 유가증권 상장기업들을 대상으로 공정공시수준과 자기자본비용의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Francis et al. (2008)와 같이 이익의 질을 통제할 경우에도 공정공시수준과 자기자본비용의 관련성이 존재하는 지와 이익의 질적 수준에 따라 공정공시수준이 자기자본비용에 미치는 영향이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검증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분석결과 공정공시수준과 자기자본비용의 관련성은 유의한 음(-)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익의 질을 통제한 이후에도 공정공시수준과 자기자본비용의 관련성은 유의한 음(-)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업의 공정공시수준이 확대 될수록 기업과 정보이용자들간에 존재하는 정보불균형 및 정보위험의 감소로 인하여 자기자본비용이 감소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나아가 공정공시를 정보의 성격에 따라 실적예측공시와 비실적예측공시로 구분하여 자기자본비용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실적예측공시는 유의한 음(-)의 관련성을 보였으나 비실적예측공시는 유의하지 않은 결과로 나타났다. 즉 기업이 비실적예측공시 보다는 실적예측 공시를 많이 할수록 기업과 정보이용자간의 정보불균형이 감소함으로써 자기자본비용이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외국인 투자자 지분율에 따른 공정공시수준과 자기자본비용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외국인 투자자 지분율이 높고 낮음에 따라 공정공시수준이 자기자본비용에 미치는 영향은 서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정보불균형 관점에서 볼 때 외국인 투자자 지분율이 높을수록 공정공시를 통해 기업의 정보를 공시하는 경우가 많아짐에 따라 정보불균형이 줄어들고 이에 따라 자기자본비용이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ndings in prior studies, firms with more expansive voluntary disclosures are associated with lower costs of capital. Moreover, it is argued that greater voluntary disclosure enhances stock market liquidity by reducing cost of capital through reduction of transaction costs and information risks. Following the prior studies,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Regulation Fair Disclosure of Korea plays a positive role that reduces the cost of equity capital, which is a major purpose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Regulation Fair Disclosure (which was initially introduced in Korea during 2001). Also this study analyzes whether there are any different capital market effects depending on the nature of fair disclosures and foreign investors` ownership. Although there have been various studies that use Korean data on the effect of Regulation Fair Disclosure, it is not clear up to now what the comprehensive effect of the disclosure on the cost of capital.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s the association between the frequency (level) of fair disclosures by listed companies and the cost of equity. Additionally this study tests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fair disclosures and the cost of equity after controlling for the earnings quality. In summary, the methodologies employed in this study is similar to those used by Francis et al. (2008). For empirical analyses, this study employ the data collected from 2005 to 2010 from Korean stock market. The final samples are 2,218 firm-year observations collected from 155 distinct firms. Among them, 1,750 observations are earnings forecasts disclosures, while the remaining 468 observations are non-earnings forecasts disclosures. To measure the cost of capital, we use ex ante measure of the cost of capital, developed by Gode and Mohanram (2003) and Easton (2004). The empiric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measured by the frequency of disclosures) of the fair disclosure and the cost of equity capital is significantly negative. Even after controlling for the earnings quality (which is measured by the variability of earnings), the relationship between fair disclosure level and the cost of equity is negative consistent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when a firm disclosures more information through fair disclosures system, the cost of equity is decreased as the wider the range of disclosure by the firm reduces information risks and asymmetry. As a result, it implies that firms get the benefit through the expanded disclosures. Secondly, after dividing the fair disclosures into earnings forecasts disclosures and non-earnings forecasts disclosures in terms of the nature of information, the effect of both disclosures on the cost of equity is analysed. The results show that earnings forecasts disclosures have a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cost of capital, but non-earnings forecasts does not. These results imply that frequent earnings forecasts disclosures can reduce firms` information asymmetry because those kinds of information is considered as more useful and reliable. As a result, decreased information asymmetry due to the disclosure of earnings forecasts may result in reduction of the cost of equity. In contrast, the disclosure of less important non-earnings forecasts rarely influence market participants, which lead to in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non-earnings forecast disclosures and cost of capital. Finally, the result of the effect of foreign investors` owne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closure level and cost of equity shows that the foreign investors` ownership is a significant factor which aff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losure level and cost of capital. The interaction term between the frequency of disclosures and foreign investors` ownership is significant. That is, the more the foreign investors` ownership and the higher level of voluntary disclosures, the smaller cost of capital. The results imply that firms with more foreign ownership experience even a greater benefit of reduced cost of capital when they disclose more information.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useful implications upon improving the Regulation Fair Disclosure and the efficient distribution of capital. Based on the findings in this study, future research on the fair disclosure may focus on how to efficiently regulate the disclosure system and also focus on direct comparison of fair disclosure firms and non-fair disclosure firms for enhancement and usefulness of the fair disclosure information. In addition, by repor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losure level and cost of capital, this study complements the mixed findings in prior studies and help for academics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n the effect of the disclosures.

      • KCI등재

        공정공시 수준이 투자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김도연,박서윤,신흥권 한국회계정보학회 2017 회계정보연구 Vol.35 No.1

        본 연구는 공정공시 수준과 투자효율성 간의 관련성에 대해 검증하였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공정공시 수준이 높을수록 기업과 정보이용자들 간의 정보비대칭이 완화되고 기업정보의 질이 투명해짐으로써 기업의 자본조달비용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는 공정공시제도도 경영자가 예측공시를 할 경우에는 목표이익을 달성하기 위해 이익조정을 수행함으로써 회계정보의 질은 낮아진다는 결과 또한 나타나고 있어 혼재된 결과를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 더하여 공정공시 수준이 투자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정공시 수준이 높은 기업은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과소투자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과소투자 확률이 높을 때 공정공시 수준이 높으면 투자가 증진됨을 의미한다. 그리고 과잉투자 가능성이 증가함에 따라 투자가 증가하는 정도는 공정공시 수준이 높은기업은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대투자 가능성이 높을 때는 공정공시 수준이 높은 기업은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투자를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결과를 통해 공정공시 수준은 투자효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투자효율성과 관련된 연구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공정공시 수준이 기업의 투자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즉, 공정공시제도로 인해 정보비대칭이 완화됨으로써 자본조달이 용이하며 자본비용이 낮아 기업의 과소투자를 감소시키는데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We examine the effect of fair disclosure level on investment efficiency. According to the findings in prior studies, firms with more expansive disclosures are associated with lower costs of capital. Moreover, it is argued that greater disclosure enhances stock market liquidity by reducing cost of capital through reduction of transaction costs and information risks. However, the fair disclosure system, which is evaluated positively, also shows mixed results because the qua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is lowered by performing profit adjustment in order to achieve the target profit when the manager makes predictive disclosure. Therefore, We examine the effect of fair disclosure level on investment efficiency in addition to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show that fair disclosure levels have an positive effect on investment efficiency. We find a conditional negative(positive) association between fair disclosure level and investment firms operating in settings more prone to over-investment(under-inves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ing the systematic association between the fair disclosures and firms’ investment efficiency.

      • KCI등재

        공정공시와 관련된 내부자거래의 동기에 관한 연구

        이정엽(Jung Youp Lee),김문철(Moon Chul Kim),전영순(Young Soon Cheon) 한국증권학회 2013 한국증권학회지 Vol.42 No.2

        기업 내부자는 외부자와의 정보비대칭을 해소하기 위해 공시와 내부자 보유지분율이라는 두 개의 신호를 활용할 유인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정공시 후에 이루어지는 내부자거래가 사적이익을 얻기 위한 동기(사적이익동기가설) 외에 공정공시된 정보에 대한 추가적인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동기(내부정보신호가설)인지를 분석한다. 실증분석 결과, 좋은 소식(good news)의 공정공시 후에 매도거래가 증가하며, good news 공정공시로 인한 주가상승폭이 클수록 매도거래의 크기는 증가 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내부자는 나쁜 소식(bad news)의 공정공시로 인한 주가하락폭이 클수록 매수거래를 수행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결과는 공정공시 후의 내부자거래가 사적이익동기에 따라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사적이익 동기는 최고경영자 그룹에서 심화된다. 또한, 내부자거래가 공정공시된 정보에 대해 추가적인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동기에서 수행된다면 공정 공시되는 정보가 미래지향적이고 서술적일수록 내부자거래가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공정 공시 후의 내부자거래는 공정공시되는 정보의 속성 및 유형과 유의한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 나는데, 이는 공정공시 후에 이루어지는 내부자거래가 공정공시되는 정보에 대한 추가적인 신호 기능을 위해 수행되는 것은 아님을 의미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wo competing hypotheses as an explanation for the motives for insider trading following Fair Disclosures (FD)-personal profit hypothesis and signaling hypothesis. The results reveal that insiders tend to sell their company stocks after good news FD and buy their company stocks after bad news FD. Post-FD insider selling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market reactions to FD, and post-FD insider buying is negatively related to the market reactions to FD. Also, the magnitude of post-FD insider selling increases alongside the magnitude of the positive market reactions to F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ost-FD insider selling (buying) and positive (negative) market reactions to FD is more salient for insiders who are the top management of the firm. We also find that post-FD insider trading is not affected by the type of FD. Neither qualitative FD nor forward-looking FD alters patterns of post-FD insider trading.

      • KCI등재

        공정공시 수준이 경영자의 이익조정 행동에 미치는 영향-장래계획 및 영업실적 공정공시 중심으로-

        신흥권,서대석 한국세무학회 2015 세무와 회계저널 Vol.16 No.3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accounting transparence and reducing information asymmetry, Fair Disclosure Regulation was adopted and enforced on November 2002. Following this, managers’ performance will be known and from the demands of stakeholder about managers’ disclosure, the level of fair disclosure will be increased. Therefore, in firms where the higher pressure of disclosure about manager the monitoring mechanism about manager will be stronger. Accordingly, because the attention about earnings is higher than firm value, so manager will choose the safety earnings management method even though it somewhat reduces firm value. Manager can choose earnings management method as Accruals based earnings management or Real activity earnings management. Accruals based earnings management is the method that occurs from manipulation of earnings through differential accounting recognition and real activity earnings management is the method that occurs from manipulation of earnings through firm’s real activity like as sales, production, discretionary expense. Thus, because the first earnings management method is a traditional earnings management method, so to contain this, several systems are continuously improved and although this is easily exposed by auditors, regulators and analysts it does not give bad influence on firm value in long-term. On the other hand, in the second earnings management method, because firm’s real operation activity is considered as manager’s share so exposed probability is small but this can give bad influence on firm value in long-term. Accordingly, manager may choose the one of these both of earnings management methods when they decide to manipulate earnings. In this thesis, I focus on investigating whether manager uses differential earnings management method following to the level of Fair Disclosure. Base on data samples from 2004 to 2012 that are public on TS2000, I take an empirical exam according to Fair Disclosur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for full sample, earnings management variable that measured by accruals shows un-significantly negative coefficient. But, for the fair disclosure firms sample, earnings management variable that measured by accruals shows significantly negative coefficient. This means that earnings management through accruals in fair disclosure firms is smaller than others. Second, in both of full sample and fair disclosure sample, the earnings management variable that measured by real activity shows significantly positive coefficient. This means that, in firms that have high level of fair disclosure, manager uses real activity as a method for earnings management action. Overall,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manager chooses differential earnings management methods which depend on level of fair disclosure and this is consistent with hypothesis.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thesis supply usefully information for regulators and accounting information users about considering accounting numbers that reported by firms’ manager. Thus, the purpose for adoption of Regulation Fair Disclosure is to improve accounting transparence and mitigate information asymmetry. But following this, manager has tend to avoid accruals based earnings management as a earnings management method that was often showed in prior researches, he chooses real activity earnings management as a differential method to manipulate earnings target. 공정공시제도는 경영자와 투자자간의 정보비대칭을 감소시키고 회계정보의 투명성을 제고시키기위한 제도로 우리나라는 2002년 11월부터 공정공시제도를 시행함에 따라 경영자는 자신의 성과를알리거나, 이해관계자로부터 경영자에 대한 공시 압력증대로 공정공시 수준이 증가하였다. 공정공시제도의 시행에 따른 이해관계자들의 경영자에 대한 공시압력의 증가는 상대적으로 대리인문제가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경영자지분율이 낮은 기업, 그리고 기관투자자 또는 외국인투자자지분율이높아서 경영자에 대한 감시와 견제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은 기업, 감사위원회 및 이사회의 독립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기업, 그리고 재무분석가의 수가 많은 기업 등에서 이루어진다. 여기서 경영자에 대한 공시 압력이 높다고 보이는 이들 기업은 경영자에 대한 감시와 견제의 기능이 발휘될수 있는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이들 기업의 경영자는 기업가치 보다는 회계이익에 관심이 높기 때문에, 이익조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기업가치에 다소 희생이 따르더라도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판단되는 이익조정 수단을 선택하게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 공정공시 수준에 따라 경영자가 선택하는 이익조정 수단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공정공시 수준과 발생액을 통한 이익조정간에는 음(-)의 관계, 그리고 실제활동이익조정과는 양(+)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공정공시 수준에 따라 경영자가 선택하는 이익조정 방법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계투명성을 제고하고 그리고 정보불균형을 해소하기위해 도입된 공정공시제도로 인해 경영자의 이익조정행위의 견제가 뒤따를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규칙제정자들의 의도와 달리 경영자가 이익조정이 필요할 경우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판단되는 이익조정방법을 선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공정공시에 대한 시장반응: 코스닥시장의 주가붕괴위험을 중심으로

        이상혁,유승원 한국회계정보학회 2021 회계정보연구 Vol.39 No.1

        [Purpose]This paper examines whether the fair disclosure, which was implemented in 2002, is fulfilling its role in the KOSDAQ market, based on the stock crash risk, a measure of information asymmetry. This paper expects that stock crash risk, the result of information asymmetry, will be affected by the role of the fair disclosure. [Methodology]Using samples listed on the KOSDAQ market since 2011 when K-IFRS is introduced, this paper analyzes how the stock crash risk changes with an issuance of fair disclosures or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fair disclosures. [Findings]In the case of the KOSDAQ market, the stock crash risk increases in the fiscal year with the occurrence of fair disclosures or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fair disclosures. [Implications]First, we show the effect of fair disclosures in the KOSDAQ market. Second, we show that the effectiveness of fair disclosures in the KOSDAQ market persists for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These results suggest that if the role of fair disclosure in the KOSDAQ market is limited, regulators need to seek additional systems to increase the information usefulness of fair disclosure in the KOSDAQ market or to lower the information asymmetry from a long-term perspective. [연구목적]본 논문은 지난 2002년 시행된 공정공시제도가 코스닥시장에서 본연의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시장의 정보불균형 측정치인 주가붕괴위험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공정공시의 역할에 따라 정보불균형의 결과인 주가붕괴위험도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한다. [연구방법]본 논문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이 도입된 2011년 이후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기업을 표본으로 하여 공정공시 실시 여부 및 공정공시 횟수의 증가에 따라 주가붕괴위험이 어떻게 변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코스닥시장의 경우 공정공시 실시 여부 및 공정공시 횟수의 증가에 따라 공정공시가 발생한 회계연도에 주가붕괴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의 시사점]첫째, 선행연구를 확장하여 코스닥시장에서의 공정공시 효과를 제시하였다. 둘째, 코스닥시장에서 공정공시의 효과는 상당기간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코스닥시장에서 공정공시의 역할이 제한적이라고 한다면, 규제당국은 코스닥시장에서 공정공시의 정보유용성을 높이거나,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기업의 정보불균형을 장기적 관점에서 낮추기 위한 추가적인 제도의 모색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 KCI등재

        공시유형에 따른 연간이익공시의 차별적 정보효과

        정광화 ( Kwang Hwa Jeong ),정석우 ( Seok Woo Jeong ) 한국회계학회 2014 회계학연구 Vol.39 No.5

        본 연구는 투자자들에게 최초로 제공되는 연간이익공시에 대한 시장반응이 공시유형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를 실증분석한다. 기업의 영업실적은 정기공시(분·반기보고서)를 통하여 자본시장에 제공된다. 그러나 외부감사 의무로 인해 연간이익정보(4분기 포함)는 상대적으로 지연되어 공시된다. 실적 정보의 적시성을 제고하여 정기공시의 단점을 보완하는 역할을 하는 가결산이익공시는 다시 강제공시인 수시공시와 자발적공시인 공정공시로 구분된다. 수시공시와 공정공시는 기업의 실적정보라는 동일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정보의 정확성은 가결산이익 공정공시가 더 높다(이동헌 등 2011). 정보의 신뢰성이 높을수록 정보효과는 커지게 된다. 따라서 적시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신뢰성도 높은 정보를 제공하는 가결산이익 공정공시는 차별화된 시장반응을 야기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2002년부터 2010년까지 가결산이익을 공시한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들을 대상으로 투자자와 재무분석가 측면에서 시장반응을 살펴본다. 주된 분석으로는 가결산이익공시일 전후의 누적초과수익률(CAR)을 이용하여 공시유형별로 정보효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토한다. 또한 시장의 평균적인 기대 변화를 나타내는 주가반응에 추가하여 개별 투자자들의 기대 변화를 살펴보고자 거래량반응도 분석하는 한편, 시장 기대치의 대용치로서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치를 이용하여 재무분석가 이익예측분산도를 분석한다.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정공시 가결산이익에 대한 주가반응이 수시공시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결산이익 발표시점을 전후로 한 비정상거래량도 공정공시의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공정공시 가결산이익 공시기업의 재무분석가 이익예측표준편차가 수시공시의 경우보다 더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결과들을 종합해볼 때, 수시공시에 비해 공정공시 가결산이익의 정보효과가 상대적으로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정보비대칭 정도가 높은 소규모기업에서 공정공시 가결산이익에 대한 주가반응이 더 두드러졌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 between the type of the preliminary earnings announcements and market responses. Specifically, we investigate whether the first annual earnings announcements have differential information contents across the type of disclosure or not. Managers are required to disclose information on operating performance on a regular basis because earnings disclosur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nformation to investors. However, the disclosure of annual and 4th quarter`s earnings can be delayed relatively due to external audit. Preliminary earnings announcements can enhance the timeliness of annual earnings disclosure and improve the weakness of regular disclosure. Preliminary earnings are announced via mandatory timely disclosure or voluntary fair disclosure. Even though these two disclosures convey the same information on operating performance, they have different disclosure channels. Lee et al. (2011) provide the empirical evidence that preliminary earnings through voluntary fair disclosure are more accurate than those through mandatory timely disclosure. many prior studies suggest that more credible information has bigger market reaction. Therefore, preliminary earnings through fair disclosure channel, which are deemed credible due to their accuracy, are supposed to cause more sensitive market response.

      • 공정공시에 대한 시장반응: 코스닥시장의 주가붕괴위험을 중심으로

        이상혁,유승원 한국경영학회 2020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20 No.8

        [연구목적] 본 논문은 지난 2002년 시행된 공정공시제도가 코스닥시장에서 본연의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시장정보불균형의 측정치인 주가붕괴위험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논문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이 도입된 2011년 이후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기업을 표본으로 하여 공정공시 실시 및 공정공시 횟수의 증가에 따라 주가붕괴위험이 어떻게 변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코스닥시장의 경우 공정공시 실시 및 공정공시 횟수의 증가에 따라 공정공시가 발생한 회계연도에 주가붕괴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의 시사점] 첫째, 선행연구를 확장하여 코스닥시장에서의 공정공시 효과를 제시하였다. 둘째, 코스닥시장에서 공정공시의 효과는 상당기간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규제당국이나 시장참가자들에게 시장의 특성을 고려하여 공정공시의 정보유용성을 높이고, 제도에 보완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