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자살예방담론에 나타난 치유문화

        류한소(Ryu Hanso) 한국문화연구학회 2012 문화연구 Vol.1 No.1

        이 글은 한국사회의 위기를 진단하는 척도로 제시되는 급증하는 자살률과 이에 따른 자살예방담론이 생성되는 것에 주목하였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예방담론은 자살(관련 행동)을 의학적, 심리학적으로 치료의 대상으로 삼고 이에 ‘환자’가 된 이들을 스스로 책임지는 주체로 보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이런 자살예방담론의 양상을 신자유주의가 가진 주체화의 기술인 자기계발하는 주체를 만들어내는 담론의 연장선상에서 살펴보려고 하였다. 즉 자기계발담론 안에는 정신의학적ㆍ심리학적 지식, 기타 정신요법 등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는 ‘치유담론(therapy discourse)’이라는 담론적 장르가 있는데 이러한 치유담론이 지배적인 세를 구사하는 영역으로 ‘자살예방담론’을 들려고 한 것이다. 치유담론은 신자유주의가 초래한 사회적 변화들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주체들의 심리적인 고통에 대한 ‘목소리’를 부여한다는 점에서 실제로 ‘치유의 기능’을 가진다. 하지만 치유의 책임을 개인에게 전가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이러한 사태를 만들어 온 원인에 대해 비판 혹은 저항의 동력을 가지는 데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보수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고는 한국 사회의 치유담론의 번성을 사유하는 데 있어서 치유담론의 가능성을 인정함과 동시에 그것이 가질 수 있는 위험에 대한 분석을 함께 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In this article, I explore how the suicide prevention discourse is constituted, focusing mainly on how it treats suicide and suicide-related action as medical and psychiatric problems. What the discourse does is produce the suicidal patient as a self-responsible subject. This process of subjectification is a self-empowering process which is neoliberal in character, for it follows the neoliberal logic that one has to render oneself competent to cope with whatever hardships one may face. This article also explores how the suicide prevention discourse is affected by the ‘therapy discourse’ as a discursive genre that promotes the idea of self-empowerment. The therapy discourse is constituted through assemblages of psychiatric and psychological knowledge, quasi-religious psychotherapies, etc. It appears to have a “therapeutic” role, in that it appeases mental sufferings deriving from social changes brought about by neoliberalism, But the discourse ultimately turns out conservative: it reduces individuals' resistant and critical capabilities by emphasizing the subject's self-responsibility. So, this article argues that as the therapy discourse has a limitation as well as a potentiality.

      • KCI등재

        비교교육연구에 있어서 담론적 제도주의 접근의 활용 가능성 탐색

        소경희(Kyunghee So) 한국비교교육학회 2023 比較敎育硏究 Vol.33 No.1

        [연구목적] 이 연구는 포스트-국가적 관점의 비교교육연구를 위한 새로운 접근의 하나로 담론적 제도주의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이 연구에서는 담론적 제도주의 접근의 특징 및 비교교육연구에서의 이 접근의 활용 사례를 탐색하기 위해 국내외 문헌들을 분석적으로 고찰하였고, 이를 통해 비교교육연구에서 담론적 제도주의 접근의 활용 가능성과 그 의의를 논의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로 다음과 같은 것이 드러났다. 첫째, 담론적 제도주의의 핵심 주장은 정책 형성 과정에서 행위자들 간에 이루어지는 담론적 상호작용이 정책의 변화 혹은 유지를 이끌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담론적 제도주의 접근의 연구에서는 담론, 즉 정책 형성 과정에서 소통되는 조정적 담론과 의사소통적 담론을 분석하는 것에 초점을 둔다. 셋째, 담론적 제도주의 접근은 각 나라의 정책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글로벌 담론의 번역과 재맥락화 과정을 분석할 수 있게 함으로써 글로벌 교육정책의 전이와 변화를 이해하려는 비교교육연구에 유용한 이론적 틀이 될 수 있다. [결론]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비교교육 분야에서 담론적 제도주의 접근을 활용한 연구가 활성화될 필요성과, 우리나라 교육정책에서의 글로벌 교육담론의 재맥락화 과정을 담론적 제도주의 접근을 활용하여 분석할 필요성이 제안되었다. [Purpose]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using discursive institutionalism as one of the new approaches for post-national comparative education research. [Methods] In this study,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were analyze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cursive institutionalism approach and the use of this approach in comparative education research, and the possibility and significance of the discursive institutionalism approach in comparative education research were discussed. [Results] The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the core argument of discursive institutionalism is that the discursive interactions between actors in the process of policy formation can lead to policy change or maintenance. Second, in the study of the discursive institutionalisml approach, the focus is on analyzing the discourse, that is, the coordinative discourse and communicative discourse communicated in the policy formation process. Third, the discursive institutionalism approach can be a useful theoretical framework for comparative education research to understand the transition and change of global education policy by allowing analysis of the translation and recontextualization process of global discourse in each country's policy context. [Conclus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active use of the discursive institutionalism approach in the field of comparative education and the analysis of the re-contextualization of global education discourse in Korea based on the discursive institutionalism approach.

      • KCI등재

        북한의 도덕담론 교환구조와 사회적 관계의 변화 동학

        홍민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 2006 북한학연구 Vol.2 No.1

        Real socialist countries consider distribution justice as the most important of social aim. These countries must have moral responsibility for social distribution. These countries believed that it is possible get through planned economy. The state is symbolized as the main body of distribution control and moral achievement. The people have to work in counter-gift dimension. It is that moral intermediate between gift (material redistribution) and count-gift(work). Just exactly, this moral was social motive and fundamental truth composing the society. But in the process of practice, real logics was concealed. The state was the core of all power as icon of moral. The moral served as logic dominating social relations. The bureaucracy met face to face with political and economic uncertainty in performing planned economy. Among bureaucracy, relationship of unofficial bargaining, consultation, conspiracy be formed in the composition of reciprocal relations. The people was developed the politics of everyday in their life. That is, in the relationship of gift and count-gift, concealed real logics was. In the same manner, North Korea is composed that relations. North Korea's leaders have been moralized the state-people relationship and the 'Suryong' take an active hand in symbolic dimension. Including distribution system, Social welfare policies have been symbolized the Suryong's charity. The material basis of the Suryong's charity was the plan-redistribution system. The plan-redistribution system be necessary for bureaucracy to execute very huge material redistribution. The material redistribution is worked together political redistribution. The material redistribution, political redistribution, and moral discourse have composed social relations in North Korea. In 1990's North Korea's economic hardship have an influence the exiting social relations. The state met face to face with the real collapsed the exchange logic of social welfare and work duty between the state and the people. Also, the concealed real logics reveal as positive attitudes in dimension of 'subsistence', such like illegal materials exchange network of bureaucracy, marketplace exchange of people. 본 논문은 1990년대 변화 된 경제 환경이 어떻게 도덕담론의 내용에 변화를 가져왔는지를 살펴보았다. 우선 도덕담론은 이중적인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하나는 사회주의적 사회보장과 노동을 통합 보답이라는‘베풂’과 보답의 공식적인 도덕담론이다. 다른 하나는 국가, 관료, 인민 등이 자기보존과 생존을 위해 행하는 실천을 정당화하는 도덕담론이다. 이 둘은‘도덕을 매개로 결합되어 공적인 도덕적 정의로움과 사적인 도덕적 정의로움의 긴장을 완충하고 해소하면서 일정하게 사회적 관계를 재생산하는 담론 장치라고 할 수 있다. 사회주의적 사회관계에서 비공식적 도덕담론은 다양한 계층의 집단과 개인들이 자신이 직면하는 현실을 해석하고 변호하기 위한 담론을 의미한다. 우선 국가는 물질적 재분배의 독점적 권한을 기초로 인민에 대한‘돌봄’을 명분으로 정치적 지배를 정당화 해 왔다. 관료들은 계획의 불확실한 조건을 명분으로 관료적 담합·공모를 정당화 해 왔다. 이는 다양한 관료적 호혜관계의 번성을 의미했다. 인민들은 노동과정에서의 어려움에 직면해 이것에 대응하는 다양한 저항의 도덕적 담론과 행동을 보여 왔다. 1990년대 경제난은 공식적 도덕담론이 기초하고 있던 물질적 재분배 체계의 위기를 의미했다. 국가, 관료, 인민 각 층위의 도덕담론이‘생존’의 담론으로 변화되었다. 과거 호혜적 도덕담론으로 포장되어 순응으로 위장되어 있던 집단과 개개인의 현실논리가 전면에 부상하게 되었다. 이로써 국가, 관료, 인민 각 층위에서는‘생계윤리’를 명분으로 자기보존의 비도덕적 가족주의화를 통해 공생하는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사회적 담론공간 분석

        김예란(Yeran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02 한국언론정보학보 Vol.18 No.-

        본 연구는 사회적 담론의 형성, 발전 변화 과정을 공간적 모델의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상이한 담론들 간 상호적으로 작용하는 권력관계의 복합성과 유연성, 역동성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적 담론 공간은 내부/외부라는 차별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개별담론이 사회적으로 지각, 인지, 통용되기 위해 공간 내부에 진입해야 하며, 권력 획득 정도에 따라 사회적 담론공간 내에 중심부/주변부라는 불균등한 위치성을 갖는다. 따라서 사회적 담론공간에서는 다차원적인 권력관계가 다방향적으로 작용한다. 하지만 후기 자본주의의 실제 정치과정에서 신자유주의적 정치권력과 신보수주의적 문화권력이 대두하면서, 사회적 담론공간이 개인주의적 소비주의나 획일적인 집단주의로 동질화되고 양분되는 경향을 보여왔다. 더불어 선택적이고 차별적인 문화적 시민권이 사회적 담론공간을 규제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미시권력과 거대권력 혹은 보수주의와 자유주의가 충돌하는 권력의 중첩지점, 즉 지배권력 대한 타자적 위치가 저항적인 개별담론들이 성장할 수 있는 대안적 공간으로서 고려되어야 한다. 나아가 타자의 담론이 사회적으로 생산되고 전달될 수 있는 민주적인 담론공간을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analysing complexity, flexibility and dynamism of social discoursive space.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social discourse is analogous to that of a spatial structure of social discourse. Post-capitalist society has seen New-Liberalism and New-Conservatism have become dominant, resulting in the deterioration of the cultural politics of citizenship. It is argued that the position of otherness, in which those binary structures (inside/outside or centre/margin) collide and collapse, is where subversive discourse can emerge to dominant discursive power.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democratize social discursive space, through which the Other becomes able to. participate in the social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social discourse.

      • KCI등재

        시진핑 시대 중국의 보편화 전략으로서의 ‘중국담론’

        宋寅在 ( Song In Jae ) 현대중국학회 2021 現代中國硏究 Vol.23 No.2

        이 논문에서는 시진핑 집권기 중국의 이론 및 선전 활동의 새로운 화제로 부상한 ‘중국담론’의 의미와 맥락, 지향을 고찰한다. ‘중국담론’은 경제성장을 토대로 강국으로 부상한 중국이 자신의 경험과 진로, 체제에 대한 자신감을 강화하는 상황에서 형성되었다. 또한 ‘중국의 이야기를 잘 말하고, 중국의 목소리를 제대로 전파하자’는 집권 초기 시진핑의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다. ‘중국담론’은 중국 경험의 이론적 승화이자 표현이라고 정의된다. ‘중국담론’은 소재는 중국 경험이고, 담론의 매개는 중국 경험을 해석하고 체계화한 중국 이론이다. ‘중국담론’은 중국 소프트파워 형성의 기반이자 글로벌 사회에서 중국의 담론권력을 강화하는 핵심역량으로 규정된다. 담론의 결실은 중국의 강화된 소프트파워를 표상하는 ‘담론중국’이고, 담론의 주체는 중국이다. 중국담론은 중국 자신의 형상을 바로 세우고 중국의 목소리를 강화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근대성의 비서양 버전이라는 위상도 지닌다. 이 과정에서 서양이 주도한 근대성 담론, 세계체제, 서양이 묘사한 중국형상 등이 비판받는다. 더 나아가 서양이 주도한 세계질서를 비판하고 중국의 아이디어가 대안으로 제시되며 새로운 보편으로 자리잡고자 하는 지향이 드러난다. 이처럼 중국을 진지하게 대면하자는 중국담론의 이론적 시도는 중국적 보편의 확산으로 이어진다. 이 과정에서 시진핑의 이름으로 발표된 중국정부의 공식입장이 중국담론의 논거를 형성한다. 또한 서양 근대성을 비판하는 과정에서는 과잉된 자의식과 중국과 서양을 선과 악으로 대조하는 과도한 도식적 가치판단이 등장한다. 이는 자국의 부상을 대하는 중국적 인식의 특징을 드러낸다. 동시에 담론 제시 당사자의 의도와는 달리 보편화 가능성을 가로막는 함정이 될 수도 있다. This article examined the meaning, context, and orientation of ‘Chinese discourse’, which has emerged as a new topic in China’s theory and propaganda activities during the Xi Jinping administration. The ‘Chinese discourse’ was formed in a situation where China, which has emerged as a new power based on economic growth, has increased confidence in its own experience, career path, and system. It is also a response to Xi Jinping’s message in the early days of his administration to “tell the Chinese story well and spread the Chinese voice properly.” ‘Chinese discourse’ is defined as the theoretical sublimation and expression of the Chinese experience. The subject of ‘Chinese discourse’ is Chinese experience, the medium of discourse is a Chinese theory that interprets and systematizes the Chinese experience, and the fruit of the discourse is ‘Discourse China’, which represents China’s strengthened soft power, and the subject of the discourse is China. ‘Chinese discourse’ is defined as the basis for forming China’s soft power and as a core competency for strengthening China’s discourse right in the global society. Chinese discourse plays a role in correcting China’s self-image and reinforcing China’s voice, and at the same time has a status as a model of non-Western modernity. In this process, the discourse of modernity led by the West, the world system, and the Chinese figure described by the West are criticized. Furthermore, it criticizes the world order led by the West, and China’s ideas are presented as alternatives, revealing its intention to establish itself as a new universal. The theoretical attempt of Chinese discourse to face China seriously like this leads to the spread of Chinese universals. In this process, the official position of the Chinese government, represented by Xi Jinping, forms the context of the emergence of Chinese discourse and the rationale for the argument. Also, in the process of criticizing Western modernity, excessive self-consciousness and excessive schematic value judgments about China and the West appear. This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China’s perception of its rise. At the same time, contrary to the intention of the person presenting the discourse, it can act as a trap that blocks the possibility of universalization.

      • KCI등재

        장애인차별금지법 제정 과정의 담론의 동학 : 담론제도주의적 관점에서의 담론과 정책변화

        이소영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2 재활복지 Vol.16 No.3

        본 연구는 차별금지법 입법과정의 정책담론을 분석하여 정책변화이론과 연결시키려는 시도이다. 담론제도주의의 시각에서 미국과 우리나라의 사례를 비교하여 장애인차별금지법 제정 과정의 담론의 동학이 분석되었다. 미장애인법 제정 과정에서는 장애옹호가들의 기회평등담론과 정부의 활성화담론이 미국장애정치의 민권적 유산 아래 맞물려져 나타났다. 그러나 정책행위자들의 상호작용을 이끌어 타협점을 찾는 기능을 수행한 것은 활성화담론이었다. 반면 장애인차별금지법에서는 활성화담론의 위축과 기회평등담론의 변이가 발생하였다. 기회평등담론은 보다 광범위하고 보편적인 적용력을 가지고 있으며 한국장애인들의 현실에 정합적인 인권담론으로 수정된 후 장애계 내부의 응집력을 높이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주어진 사회정치적 배경 속에서 담론들은 정책변화를 주도하기도 하고, 기존의 정책지형으로부터 구속을 받아 변형되기도 하였다. 담론의 동학은 장애정책변화의 메카니즘을 설명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This study seeks to show that analysis of policy discourses can be linked to theory of policy change. Two cases of legislative process of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were compared, focusing their dynamism of policy discourse, on theoretical basis of discursive institutionalism. In 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 equal opportunity discourse of disability advocates and activation discourse of government was combined under the legacy of civil rights of disability politics. But the latter discourse facilitated interactions and negotiations between actors. Meanwhile, in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people with Disabilities Act, disabled representatives took the leading role in the whole process, shrinking of activation discourse and alteration of equal opportunity discourse occurred. Equal opportunity discourse was replaced by human rights discourse which had broader and universal implications and fitted to real world of disabled persons. It contributed to fasten internal cohesiveness of disabled groups. Policy discourses, demonstrating their varieties and dynamics, can initiate policy change, simultaneously, be framed and constrained by policy configuration.

      • KCI등재후보

        한국신문에 나타난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담론

        최낙진(Nak-Jin Choi)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5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9 No.3

        본 연구는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논의가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한국 신문들의 사설에 관한 담론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은 ‘일본의 보통국가론’, ‘미국의 동아사아 회귀론’, ‘중국경계론’, ‘북한위협론’ 등 4가지 담론구조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의 보통국가론’은 평화헌법 개정이나 해석 개헌을 통해 일본이 국제공헌을 하겠다는 것이다. ‘미국의 동아시아 회귀론’ 은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논의가 미국의 군사외교전략과 연계되어 있음을 가리킨다. ‘중국경계론’은 G2로 부상한 중국을 경계하기 위해서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확보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북한핵무기위협론’은 북한의 핵무기 개발로 일본의 안보 위협에 대한 이야기이다. 이처럼 한국신문에서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과 관련한 다양한 층위의 담론들이 존재함에도 이 담론들은 크게 ‘진정성’ 담론과 ‘안보’ 담론의 틀에 묶여 있다. ‘진정성’ 담론은 일본 보수우익 정치세력들을 향하고 있으며, 그들의 태도와 행동에서 진정성이 느껴지지 않는다는 ‘비진정성’ 담론이다. 그러니만큼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논의는 어떠한 것이든 믿을 수 없으며 경계할 수밖에 없는 것이 된다. 한편 ‘안보’ 담론은 한국이 처한 특히 군사적 현실에 관한 것으로,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논의를 한국의 안보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다. 한국의 안보가 ‘한 · 미 방위조약’을 기본 틀로 하고 있는 이상, ‘미 · 일’ 동맹 나아가 ‘한 · 미 · 일’ 3각 안보동맹 차원에서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논의를 바라보아야 한다는 ‘현실성’ 담론이다. 한마디로 ‘진정성’ 담론과 ‘안보’ 담론은 한국에서 집단자위권을 둘러싼 다양한 담론들의 근거로 작동하고 있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how discussions on the right of collective self-defense of Japan are developed in Korean newspapers. Towards this end, an analysis of the discourse on editorials of conservative, moderate and liberal newspapers was performed with a total of 166 editorials as research target.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differentiation between conservative, moderate and liberal newspapers was not found clearly in relation to the right of collective self-defense. This trend was maintained even in the period divided in accordance with the political power of Japan. It can be inferred that a discourse about the right of collective self-defense itself cannot be accommodated by a variety of perspectives in Korea, or it is tied to the frame of a particular discourse. In more detail, the discourse bout the right of collective self-defense appeared divided into five conceptual layers such as ‘Japan’s normal state theory’, ‘the United States’ ‘pivot to East Asia strategy’, ‘theory of caution against China’, ‘North Korea threat theory’ and ‘theory of conflicts in Northeast Asia’. Nevertheless, these discourses of various layers are specified by the two representative discourses. The one is discourse of ‘sincerity’, and the other is discourse of ‘security’. The discourse of ‘authenticity’ is towards Japanese right-wing conservative political forces, and it suggests that there is no authenticity in their attitudes and behaviors. In this regard, the discussions on the Japan’s right to collective self-defense cannot be reliable, and there is no choice but to exercise precaution. The discourse of ‘security’ is especially about military reality with which Korea is faced, and it approaches the discussion on the Japan’s right to collective self-defense from a perspective of Korean security. This suggests that since the basic framework for the security of Korea is based on the ROK-U.S. Mutual Defense Treaty’, the discussion on the Japan’s right to collective self-defense should be dealt with in terms of ‘the US-Japan Alliance’, and further, ‘the US-ROK-Japan Triangular Security Alliance. In short, the discourse of ‘authenticity’ and ‘security’ turned out to serve as the dominant discourse of various discourses in Korea with respect to the right of collective self-defense.

      • KCI등재

        담론적 실천으로서 파레시아

        조난주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20 시대와 철학 Vol.31 No.3

        Foucault is misunderstood to have made the subject apassive object in power by destroying the concept of anautonomous and independent subject and referring to thesubject composed by the discourse effect that occurs in theplay of power relationships. This is due to amisunderstanding of the discourse concept after activelyaccepting Nietzsche’s power-relationship theory. Thediscourse arises when one-off and decentralized énoncéscontaining the effect of power form a group. This discourseproduces a specific truth, and produces a specific subjectthat internalizes a particular truth. In other words, discoursehas a discourse exclusion mechanism to make a person aparticular subject. However, since the basic unit of discoursewhich are énoncés appears as an event, the mechanism ofdiscourse exclusion risks creating another dangerous andunpredictable discourse within it. The discourse is open tothe game of truth that creates certain truths, but at thesame time activates other truths. The practice of freedom to form different discourse by saying different truths within thistruth game is parrhesia which appears in Foucault's laterworks. The parrhesia is the practice to speak out the truth withtaking risks. It performs critical and subversive functions thatcause cracks within the order of discourse. Parrhesiast whois telling the truth challenges the existing truth, and in thepresent situation surrounding him/herself, He/Shedecentralizes the discourse and works the other truths. Furthermore, parrhesia has ethical functions too. Parrhesiastnot only tells the truth by producing another truths, he/sheproduces other discourse by their authentic life and byperforming ‘differently to exist’. Parrhesiast makes truthdiscourseaggressively and provocatively and in its effect,he/she becomes the subject of the truth who has the abilityto transform his/her life by telling the truth, in reverse theability to transform the discourse for alternative life by livingauthentic life. 푸코는 자율적이고 독립적인 주체 개념을 파괴하고 권력 관계들의 놀이 속에서 발생하는 담론 효과에 의해 구성된 주체를 말함으로써 주체를권력에 수동적인 객체로 만들었다는 오해를 받는다. 이는 니체의 힘-관계이론을 적극적으로 수용한 이후의 담론 개념을 잘못 이해한 것으로부터 기인한다. 담론은 권력 효과를 담지한 일회적이고 분산적인 언표들이 계열을형성하면서 발생한다. 이 담론은 담론 배제 메커니즘을 통해 특정한 진리를만들어내고, 특정한 진리를 내면화한 특정한 주체를 생산한다. 그런데 담론의 기본 단위인 언표들이 사건으로 등장하는 까닭에, 담론 배제 메커니즘은그 내부에 위험하고 예측 불가능한 다른 담론들이 생성될 가능성에 열려있다. 이 진리 담론의 게임 내에서 다른 진실들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실천적 개념이 푸코의 후기 사유에 등장하는 파레시아다. 파레시아는 위험을 무릅쓰고 진실을 말하는 실천으로 담론 질서 내부에 균열을 내는 비판적, 전복적 기능을 수행한다. 파레시아스트는 기존의 진리에 이의를 제기하고, 자신을 둘러싼 현재적 상황 속에서 담론을 탈중심화하면서 다른 진실들을 작동시킨다. 더 나아가 파레시아는 윤리적 기능 역시 수행한다. 그는 진실 말하기를 통해 진실 담론을 생산하는 것을 넘어서진실한 삶으로 다른 담론을 펼쳐나가는, ‘다르게 존재하기’를 실천하는 주체가 된다. 그는 진실-담론을 적극적이고 도발적으로 생성하며, 그 효과로서 자신의 삶도 변형시킬 수 있는 힘을, 역으로 진실한 삶으로 다른 삶을위한 담론을 생성하는 힘을 지닌 진실의 주체다

      • KCI등재

        담론복합체, 정치적 자본, 그리고 위기의 민주주의

        이병욱(Byung-Wook Lee),김성해(Sung-Hae Kim)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3 미디어, 젠더 & 문화 Vol.28 No.-

        2012년 대선에서 보수 언론의 종북 보도는 유별났다. 일부 보수적 신문사와 방송국은 특정 집단을 대상으로 종북세력이라는 낙인을 붙였다. 또한 언론의 종북 보도는 사회 전반에 걸쳐 보수적인 분위기를 형성했고 결과적으로 새누리당의 정권 재창출을 이끌어 냈다. 현존하는 권력관계에 의해 생산된 담론이 지배질서를 어떻게 재창출하는지 잘 보여주는 사례였다. 그러나 정치적 목적과 효과를 가장 잘 대변하는 종북담론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은 없었다. 노무현과 이명박 정권을 거치면서 누가 종북담론을 주로 생산하고 있으며, 종북담론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고, 또 어떤 메카니즘을 거쳐 정권 재창출에 기여하고 있는가에 대한 분석도 부족했다. 이 연구는 먼저 이론적 논의를 통해 담론복합체가 무엇이고 어떤 특성을 갖고 있는지 보았다. 더불어 한국 사회에서 어떻게 발전해 왔는가를 살폈다. 그 다음, 비판적 담론 분석을 둘러싼 다양한 논점과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종북담론 분석의 이론적 근거와 방법적 타당성을 제시했다. 본 연구를 위해 동아일보, 문화일보, 서울신문, 한국일보, 경향신문, 한겨레 등 6대 일간지에서 나온 종북을 다룬 사설과 칼럼을 분석했다. 검색어로 ‘종북’ 및 ‘친북(親北)’을 사용했고 정권별 변화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수집기간은 노무현 정부가 시작된 2003년 2월 25일에서 이명박 정권이 끝나는 2013년 2월 24일까지로 정했다. 담론의 구성요소로 종북에 대한 정의, 종북을 둘러싼 표상체계, 종북의 근거 및 해결책 등을 선정했다. 분석을 통해, 종북에 대한 언론의 보도는 사실에 기반을 둔 객관성과는 거리가 먼 정치적 재구성이라는 점이 확인되었다. 종북담론은 언론사의 이념적 입장에 따라 전혀 다르게 재구성되고 있었으며 정권의 재창출이라는 특정한 정치적 목적과 깊은 관련이 있었다. 종북의 표상체계와 논리구조 역시 언론사에 따라 다양한 가치와 주장이 자의적으로 접목된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자들은 이를 토대로 언론의 종북 보도는 명백한 정치성과 역사성을 가진 담론으로 기능했으며 종북 담론의 생산과 유통 및 소비를 통해 권력 재창출이 가능했다는 점을 확인했다. 이 연구는 담론복합체를 통한 여론 왜곡과 민주주의 위기를 고민하는 한편 담론정치의 구조를 보다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발판이 되었으면 한다. The news coverage over pro-North Korean groups and individuals were salient during the last presidential election in 2012. Naming in way of de-legitimizing certain sector as public enemy resulted in landsliding victory for the ruling political party. This paper attempts to decipher the whole processes of discourse strategies mediated by major newspapers in line with political struggle. For this purpose, first of all, the concept of ‘Discourse Complex’ was suggested so as to explain how Korean conservative news media had been able to lead a group of power elite. This paper, then, paid particular attention to dissecting ‘pro-North Korea’ discourse known as ‘Jongbook’ by dividing it into definition, attached value, causes and remedies. Total 443 of columns and editorials were collected from such newspapers as <DongAilbo> <Moonhwailbo> <Hankookilbo> <Seoulshinmun> <Hangyereshinmun> and <Kyonghwangshinmun>.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various non-profit organizations and social activists were identified as pro-North Korean one only because of their supporting for such values including peace, equality, justice and self-reliance. Not only the logic and grounds had bearing little truth but those conservative papers had taken a double standard in way of de-moralizing political opponents. Unconditional support for the status quo helped by political advocacy groups were also evident. The authors hope this study can be a guiding post for deciphering the way of making Korean power order in time of digital revolution.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talk about recovering public sphere in way of securing fair and sound competition of discourses is another point of wish.

      • KCI등재

        『대학생 통일논문집』을 통해 본 한국 대학생의 통일담론

        손명아(Myung-ah Son) 한국사회학회 2015 韓國社會學 Vol.49 No.4

        본 연구는 1980년대 이후 한국 대학생의 북한인식과 통일의식을 『대학생 통일논문집』을 통해 분석했다. 정부의 대북·통일정책과의 연관 속에서 살펴본 대학생 통일담론은 ?체계통합?과 ?사회통합?이라는 담론분야와 시기변화 측면에서 정리할 수 있다. 먼저 체계통합 분야에 해당하는 정치·군사·경제 등 시스템 차원의 담론은 정책 결정권을 가진 정부의 통일담론과 높은 유사성을 나타냈다. 반면 사회통합 분야는 대학생이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통일의식 및 교육, 대학문화를 다뤘기 때문에 비교적 자율적인 논의가 이루어졌다. 특히 시민사회, 학계 등 다양한 담론 구성체로부터의 영향으로 인해 논의가 심화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탈냉전과 민주화 시기를 기점으로 대학생 통일담론의 질적 전환이 이루어졌다. 북한당국과 주민을 분리하여 사고하면서 북한에 대한 적대적 인식이 약화되었고, 정부의 통일논의 독점에 대한 비판적 개입을 시도했다. 대학생의 통일담론은 과거의 이데올로기적 대립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자유로울 뿐만 아니라, 주체적 실천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기성세대와 구분된다. 정부의 지배이데올로기를 내면화함과 동시에 그 규율기제를 다양한 방식으로 변주·전용함으로써 학문적 담론의 지평을 확장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대학생 통일담론은 국가기관의 선별을 거친 산물임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통일담론에 완전히 포섭되지는 않았으며, 향후 통일환경의 성숙도에 따라 유연하게 변화할 수 있는 잠재적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unification discourses of Korean college students in accordance with historical changes after the 1980’s.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Korean college students’ discourses on unification, according to student theses, changed and improved throughout history, especially in the social integration field. In addition, unification discourses of Korean college students have changed in the process of democratization. For this reason, hospitality toward North Korea has weakened and he or she has conducted a critical analysis on unification discourses offered by the Korean government. Korean college students’ consciousness and cognition toward North Korea did not necessarily reflect government policy and could be changed easily depending on the degree of maturity of the environment for unification. Thus, Korean college students revealed relative autonomy in their attitudes toward the ideological conflict, and practicality by dissociating from the older generation. Moreover, to play a major role in the social integration process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 multi-layered structure of the unification discourses suggested by Korean college students should be formed and studied in various fields. This study investigates into Korean college students’ discourses which are not easily assimilated with the dominant ide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