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양주 흥국사 <감로도>를 통해 본 경기지역 坦鶴 門中

        유경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23 강좌미술사 Vol.61 No.-

        1868년에 조성된 수락산 흥국사 <감로도>는 19세기 근기지역에서 제작되어 18세기 감로도와 차별되는 뚜렷한 특징을 보인다. 흥국사 <감로도>는 1868년 대웅보전 불화를 새로 조성하는 불사로서 <지장시왕도>, <신중도>, <칠성도>와 동일 불사로 제작되었다. <감로도>에 직접적으로 왕실의 후원은 보이지 않지만 같은 불사의 화기를 통해 상궁의 시주와 왕실의 후원이 살필 수 있다. <신중도>에는 왕대비전하인 홍씨, 즉 孝定王后 洪氏(1831~1904)의 안녕과 성수를 위해 발원되어 있다. 이 해 불사에는 왕실의 후원 속에 흥국사에 주석하는 인허 유성, 제암 응하, 금곡 영환에 의해 승려들에 힘입어 불사가 완성되었다. 이 승려들이 坦鶴 문중의 승려들로 흥국사 19세기 불사의 중심에 있었다. 탄학문중의 승려들은 남양주 흥국사에서 주석하며 사찰의 불사를 이끌었다. 무엇보다도 탄학의 제자였던 인허유성은 흥국사뿐 아니라 근기지역의 왕실 원당에서 증명 역할을 하였음을 살필 수 있다. 또한 그의 제자였던 제암응하 역시 유성의 유지를 계승하여 흥국사의 불사를 주관하였고 유성을 대신하여 왕실 원당의 불사에 관여하였다. 흥국사 출신이었던 금곡 영환과 경선 응석은 19세기 중반과 후반에 걸쳐 수화승으로서 근기지역 불사를 이끄는데 활약하였다. 흥국사 <감로도>는 19세기 감로도 가운데 근기지역 원당에서 봉안된 감로도의 조형이다. 흥국사 <감로도>는 상단에는 의식에 강림한 것과 같은 시식단 위에 있는 정면을 응시하는 칠여래의 도상이 정착되었으며, 중단에는 확대된 의식장면과 시식단 앞에서 펼치는 범패와 작법이 독립적인 도상으로 점하였다. 상단에 구름을 타고 내려오는 인물, 아귀가 있는 공간을 구획하는 요소들은 궁중에서 민간으로 유통된 길상을 상징하는 그림들에서 차용되었다. 의식의 준비를 위해 분주한 승려의 모습, 대형 향로와 기물의 등장 등은 전대 감로도에 보이지 않았던 19세기 감로도의 요소다. 하단에도 풍속적 요소, 도시풍경 등은 서울에서 가까운 곳에서 향유되었던 문화의 측면이 감로도에 반영된 것이다. 1868년에 제작된 수락산 흥국사 <감로도>는 19세기 감로도의 모본으로 정형화되었다. 흥국사 <감로도>(1868년)는 19세기 불교의식과 후원자, 왕실원당이라는 봉안처의 특징을 뚜렷이 보이는 불화로 19~20세기 감로도를 대표하고 있다. The Nectar Ritual Painting(甘露圖) at Heungguksa Temple in Namyangju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e 18th century Nectar Temple. Heungguksa Temple the Nectar Ritual Painting was produced in 1868 as a Buddhist temple to create a main hall. Although the royal patronage is not seen directly, the patronage of the the Nectar Ritual Painting upper palace and the patronage of the royal family can be examined through the same immortal firearms. In this year, under the auspices of the royal family, the Buddhist temple was completed with the help of monks Inhe Yuseong(印虛惟性), Jeam Eungha(濟庵應荷), and Geumgok Yeonghwan(金谷永煥), who commented on the Heungguksa Temple. These monks were the monks of the Tanhak(坦鶴) clan and were at the center of the immortality of Heungguksa Temple in the 19th century. The monks of Tanhak Joong led the Buddhist temple at Heungguksa Temple in Namyangju. Above all, it can be seen that YinHe Yuseong, who was a disciple of Tanhak, played a proving role not only in Heungguksa Temple but also in the royal palace in the near region. In addition, his disciple Jeam Eungha also succeeded Yuseong and presided over the immortality of Heungguksa Temple, and was involved in the immortality of the royal temple on behalf of Yuseong. Geumgok Younghwan and Gyeongseon Eungseok, who were from Heungguksa Temple, played an active role in leading the Buddhist temple in the region as monks in the mid and late 19th century. Heungguksa Temple is a sculpture of the 19th century the Nectar Ritual Painting nectar road that was enshrined in the Wondang in the Geungi area in the middle of the Nectar Road. The figures descending from the clouds at the top and the elements that divide the space with the anglerfish were borrowed from the paintings that symbolized the auspicious image that was circulated from the palace to the private sector. The appearance of monks busy preparing for the ceremony and the appearance of large incense burners and objects are elements of the 19th century Nectar Diagram that were not seen in the previous Nectar Drawing. At the bottom, the elements of customs and the cityscape are reflections of the aspects of the culture that were enjoyed in the vicinity of Seoul. The Nectar Ritual Painting of Heungguksa Temple (1868) is a Buddhist painting that clearly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t rituals and patrons in the 19th century, as well as the royal palace, and represents the 19th~20th century Nectar Ritual Painting.

      • KCI등재

        여수 興國寺 十六羅漢圖 연구

        辛廣姬(Shin Kwang-hee) 한국미술사학회 2007 美術史學硏究 Vol.255 No.255

        現傳하는 조선 후기 最古의 십육나한도인 여수 〈興國寺 十六羅漢圖〉는 義僧水軍의 본거지였던 여수 興國寺에서 應眞堂 봉안을 목적으로 1723년 儀謙의 주도 아래 그려진 작품이다. 〈興國놓 十六羅漢圖〉는 조선 후기 십육나한도 중 가장 水墨ㆍ淡彩的 경향이 강한 작품이다. 상호는 먹선으로만 윤곽을 그렸고 대체로 발묵을 선호했으며, 가사는 담채적 경향이 강하고 문양은 특히 동심원점문이 두드러지며, 산수는 대부분 수묵으로만 처리하였다. 제2폭과 제4폭을 중심으로 각 폭을 비교해본 결과, 수묵의 배경 산수와 존자들의 상호 표현 등은 의겸이 구체적으로 관여한 부분으로 판단되며, 특히 제4폭에서 화면 구성 등을 중심으로 의겸의 역량이 돋보였다. 한편, 의겸과 화연관계가 있는 화사들에 의해 흥국사본보다 2년 후에 그려진〈松廣寺 十六羅漢圖〉는 상호 표현이나 담채풍의 가사 등 일부에서 흥국사본과 유사한 부분을 찾을 수 있었지만, 표정이나 자세 및 세부적인 표현 기법은 대체로 서툴거나 어색하여 〈興國寺 十六羅漢圖〉에 보인 의겸의 역량을 확인할 수 있었다. 〈興國寺 十六羅漢圖〉의 도상은 명대 판본인 『三才圖會』「人物」 9卷에 수록된 佛祖圖像을 상당수 수용하였다. 그러나 권속들이나 경물을 과감히 생략하고 존자의 형상 중심으로 수용하였으며, 수용된 형상 역시도 배경이나 다른 존자들과의 유기적인 관계를 위해 자세나 경물의 위치를 바꾸는 등 도상을 적절히 변용시켰다. 또한 『三才圖會』에 수록된 도상 중 상당수는 그 연원이 五代, 宋ㆍ元代에 있음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명대 萬曆年間 무렵 팽배해 있던 歷代名畵에 대한 깊은 관심이 삼재도회에도 반영된 듯하며, 畵譜뿐만 아니라 당시 그려진 많은 羅漢圖들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조선에 유입된 『三才圖會』의 도상을 의겸파에서 구체적으로 많이 인식할 수 있었던 배경 중 하나의 가능성으로 당시 많은 화보류를 수장하고 있었으며, 1713-1731년 무렵까지 해남에 낙향해 있었던 尹斗緖-家를 주목해 보았다. 〈興國寺 十六羅漢圖〉는 尊像 配置에서 세 가지 특징을 찾을 수 있었다. 우선, 이전에 제작된 십육나한 관련 불화와 달리 여러 폭에 나누어 십육나한을 표현하였다는 점인데, 이는 임란 이후 사찰의 활발한 중수와 더불어 應眞殿의 건립 또한 성행하게 되면서 전각의 크기에 맞게 십육나한을 여러 폭에 나누어 그려 봉안하게 되었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둘째, 좌측에는 홀수 존자를, 우측에는 짝수 존자를 배치하였음을 畵記를 통해 명확히 알 수 있는 작품이라는 점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십육나한의 가장 안쪽에 迦葉과 阿難尊者, 가장 바깥 폭에는 帝釋ㆍ使者ㆍ神將 등의 護法 神衆들을 함께 배치하였는데 이는 17세기 응진전 내 십육나한상의 배치체계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興國寺 十六羅漢圖〉는 표현과 기법적인 면에서 儀謙의 탁월한 역량이 드러나며 명대 판본인 『三才圖會』의 도상을 적극 수용하여 화폭에 맞게 과감히 변용시켰고, 尊像 配置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어 현존하는 朝鮮後期 十六羅漢圖 硏究에 기준이 될 만한 수작으로 판단된다. Among extant depictions of the sixteen arhats, one in Heungguksa, Yoesu (hereinafter referred to as Heungguksa sixteen arhats) is the oldest example, made in the late Joseon Dynasty. Consisting of four hanging scrolls, this painting was created by Uigyeom and his twelve disciples in 1723 for installation at the Eungjinjeon (Arhat hall) in the temple. The outlines of arhats' face are drawn only with ink, while robes are almost light-colored. The distinguished patterns of the robe are concentric circles composed of dots, and landscape of the picture is also entirely in ink. Some of the painters who participated in the work on Heungguksa sixteen arhats also engaged in the work on another sixteen arhat painting in Songgwangsa in 1725, which exhibits cruder features particularly in the countenance of arts and the expression techniques expression. Uigyeom did not seem to have joined the work. Heungguksa sixteen arhats borrowed a number of figures from the Sancai tuhui published in the Ming dynasty. But it did not simply copy them, but transformed them considerably by leaving out the retinues and surrounding articles. Characters in the Sancai tuhui follow traditional types handed down from the Five Dynasties, the Sung and the Yuan Dynasties. The Sancai tuhui was introduced from Ming to Joseon in the early 17th century. Yun Du-seo, who lived in exile in Haenam in the Jeolla province from 1713 until 1731, owned many paintings manuals, and possibly he transmitted the book to painters of the Uigyeom school. There are three notables features in the placement of arhats in Heungguksa sixteen arhats, First, it distributed sixteen arhats in several scrolls to be hung in the Arthat Hall, of which the size was expanded after the Hideyoshi Invasion. Second, an odd number of arhats were painted in the left side of the Buddha, and an even number were painted in the right side. Third, they drew Mahakasyapa, Ananda, Indra, messengers, and guardians. Heungguk sixteen arhats is the most Important work in depictions of this theme in the late Joseon dynasty.

      • 남양주 興國寺 〈釋迦八相圖〉

        신광희(Shin, Kwanghee) 동국대학교 박물관 2008 佛敎美術 Vol.19 No.-

        남양주 흥국사 〈釋迦八相圖〉는 경기지역의 대표적인 화승인 慶船堂 應釋의 주도하에 l869년에 제작된 것으로 총 4폭에 걸쳐 표현되었으며, 전각 중앙을 중심으로 안쪽에서부터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봉안되어 있었다. 표현기법상의 특징으로는 색의 적절한 운용을 통해 각 장면의 주제를 명확히 부각시킨 것과 금니와 금박의 적극 사용, 음영법의 수용 등을 꼽을 수 있었다. 또한, 제 4폭의 경우 화풍 분석을 해 본 결과 수하항마상은 수화사인 응석이, 쌍림열반상은 동참화사인 金谷堂 永煥이 주도하여 그런 것으로 판단된다. 흥국사 〈석가팔상도〉는 1775년에 제작된 通度寺 〈석가팔상도〉와 同一한 草本을 사용하였는데, 화면의 크기 차이로 인해 초본을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하였음 알 수 있었다. 그 방법으로는 ‘도상의 생략’과 ‘도상의 변용’이 있었다. 한편, 응석이 통도사 〈석가팔상도〉의 초본을 입수할 수 있었던 경로로는 경기지역의 화사 중 통도사와 화연관계가 있는 회사들을 통해서나, 경기지역 회승들과 교류가 활발했던 四佛山지역의 화승들을 매개로 통도사 석기팔상도의 존재를 인식, 초본을 입수했을 가능성이 커 보인다. 흥국사 〈석가팔상도〉의 발원자로는 興宣大院君 一家가 등장하는데 흥선대원군은 흥국사의 편액 대부분과 주련 등을 직접 쓰기도 하는 등 당시 흥국사와 밀접한 연관이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이렇듯 흥국사 〈석가팔상도〉는 당시 경기지역 불화의 화풍을 대표할만한 작품이며, 석기팔상도 도상의 계승과정에 관한 다양한 방법들을 알 수 있게 해 주었고, 당시 최고의 권력가 흥선대원군이 발원에 참여했다는 점에서도 큰 의의가 있는 19세기의 중요한 작품 중 하나로 판단된다. A painting of Eight Scenes from Life of the Buddha in Heungguksa, Namyangju was painted by Kyungsundang Engsuk(慶船堂 應釋), main monk painter of the last half of 19 century, in 1969. And among eight scenes, odd scenes were hung in left side and even ones were in right side in Manwolbojun Hall. There are 3 special features in this work. These are emphasis of main scenes, using the gold pigment and gold leaf much, and putting in the shadings a lot. Among eight scenes, 'the Descent from Tusita Heaven(兜率來儀相)', 'the birth in Lumbini(毘藍降生相)', 'Four Encounters throughthe Four Gates(四門遊觀相)', 'the Great Departure(踰城出家相)', 'the Life of Austerities(雪山修道相)', 'the Attack of Mara(樹下降魔相)', and 'the Great Preaching(鹿苑轉法相)' were painted by head painter, Engsuk, but last scene, 'the Great Nirvana in the Sala Grove(雙林涅槃相)' was painted by Kumkokdang youngwhan(金谷堂 永煥), I think. Drawing a painting of Eight Scenes from Life of the Buddha in Heungguksa, Engsuk used same underdrawings of a painting of eight scenes from life of the buddha in Tondosa drawn in 1775. But the one in Heungguksa is different from the one in Tongdosa, so Engsuk did many kinds of transfiguration of icon, for example, omission, reassignment of motifs, or additions. The work in Heungguksa was painted 96 years later than one in Tongdosa, nad according to research about Kyungsundang Engsuk, he had not been in Tondosa area. How did he come to hand the underdrawing which was very similar with the work in Tongdosa? I think there are two possibilities. First, Wolhadang Sewon influnenced Engsuk had painted in Tongdosa in 1857-1858, so he knew the paintings of eight scenes in Tondosa, maybe I think. The other is through the monk painter of the Sabul Mountain area which was many exchanges with Kyonggi area. Heungsun Daewongun Family was participated in prayers of the work. Heungsun Daewongun was King Kojong's father and had the most strong power at that time. He wrote most tablets of the temple, too. So I think, Heungsun Daewongun had close connection with the temple and helped a lot. A painting of Eight Scenes from Life of the Buddha in Heungguksa, Namyangju is one of main works in 19 century.

      • 近代 서울ㆍ경기지역 佛畵의 畵師와 畵風

        崔燁(Choi, Yeob) 동국대학교 박물관 2008 佛敎美術 Vol.19 No.-

        As the concern and interest rose toward artists of Buddhist paintings, studies on Buddhist paintings in each region became active as well. Among them, the studies on Buddhist paintings in the Seoul and Gyeonggi region are showing productive results. This research on modern Seoul and Gyeonggi region Buddhist paintings and their artists was enforced related to parts that I usually questioned while being interested in artists of modern Buddhist paintings. Modern Buddhist paintings of the metropolitan area are generally classified into two trends; tradition and the new-trend. The new-trend indicates a style pursuing the use of shadows and realistic expression. Go-san Chuk-yeon can be named as the representative artist of this new-trend. Known as a priest of Yujeom Temple in Gangwon-do, Go-san Chuk-yeon (period of activity: 1875~1927) left about 50 work pieces nationwide. Characteristics of his paintings can be summarized to newly painted unique iconography and distinguished expressions of shadow. These are brought into relief more in works done in the 20th century. However, some work pieces created in the late 19th century in the Seoul region show similar iconography and style with other paintings produced at that time that one could not recognize them as Chuk-yeon's work, although the paintings were supervised by him. In this study, the aspects of similar iconography and style being progressed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its background were examined. According to study results, Gyeong-seon Eung-seok who produced Buddhist paintings centered on Heungguk Temple seems to hav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sharing and spread of same iconography in the late 19th century in the Seoul and Gyeonggi region. However, the possibility of Heungguk Temple of South Yangju (Nam-yangju) located at the end of Mount Surak in Gyeonggi-do which is known as the stronghold of monk painters in the Gyeonggi region being the background of this phenomenon is higher than that just starting from the abilities of one person. Called as 'the house of painters in the mountains near the capital (경산화소)' in the modern times, the 'Heungguk Temple has produced many monk artists and was also called as Deokjeol (Deok Temple). The saying, "monks of Deokjeol drew Shi-wang-cho (시왕초) with a stick even while building a fire" helps one form an idea of the temple's features. This is also seen in the hanging board of Heungguk Temple which was newly confirmed. Names of many artists as positions such as 'Do-gam (a position in charge of money or crops at the temple)' are found on this tablet. This supports the fact that artists like Gyeong-seon Eung-seok and Geum-gok Yeong-hwan were monks at Heungguk temple and that the temple was a community or place of production of monk artists, which were only presumptions until now. Along with identical iconography, the origin of repeating phenomenon of a delicate, refined painting style mainly using red colors due to traditional techniques in the late 19th century was examined through examples of Chuk-yeon's work and Monk Jeung-myeong. As a result, it was assumed that Monk Jeung-myeong and the artists, styles were related to some extent. The spread of this style seems to have been influenced by Gyeong-seon Eung-seok who is presumed to have acted with Nam-yangju Heungguk Temple as his stronghold. He already used this style in works done in the 1870s such as the Samseonggak Chilseongdo (삼성각 칠성도) and Shinjungdo (신중도) at Mita Temple(미타사), Shinjungdo (신중도) at Mansu Temple (만수사) and Gaewoon Temple (개운사). It is supposed that although the paintings are the same abstracts, those painted by an excellent artist like Eung-seok would have affected other contemporary artists. 최근 불화의 화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각 지역에 따른 불화의 연구도 활발해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서울 및 경기 지역의 불화에 대한 연구가 성과를 보이고 있는데, 이에 본 연구자도 근대기 불화의 화사 문제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던 중 평소 의문점을 가지고 있었던 부분과 연관해 근대기 서울ㆍ경기 지역 불화들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근대 수도권 불화는 대체적으로 크게 傳統性과 新順向이라는 두 흐름으로 분류되고 있다. 그 중 신경향은 음영법 및 사실적 표현을 추구한 화풍을 의미하며, 이신경향의 대표적인 화사로 고산 축연을 꼽을 수 있을 것이다. 강원도 楡岾寺 승으로 알려진 古山 竺演(l875~1927활동)은 전국적으로 50여점의 불화를 남기고 있다. 그의 불화들은 새롭게 그려낸 독특한 도상과 음영법의 두드러진 표현 등으로 그 특징을 압축할 수 있는데, 그러한 특징은 20세기의 작품들에서 더 크게 부각된다. 하지만 그가 주관한 불화들임에도 불구하고 19세기 말 서울 지역에서 조성된 일부 작품들은 전혀 축연의 직품임을 감지할 수 없을 정도로 당시 제작되던 다른 불화들과 비슷한 도상 및 화풍을 지닌 경우들이 있어 의문점을 가지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처럼 당시, 특히 수도권 지역의 동일한 도상 및 화풍이 전개된 양상들에 대해 살펴보고 그 배경에 대해 간단하게나마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19세기 말 서울ㆍ경기 지역 동일 도상의 공유 및 확산 현상에 있어 興國寺를 중심으로 불화들을 제작한 慶船 應釋의 역할이 가장 두드러지게 작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비단 경선 응석 한 화사의 개인적 역량에서 출발했다기보다는 경기 지역 화승들의 주근거지로 알려진 경기도 수락산 자락에 위치한 남양주 興國寺가 배경이 되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생각된다. 興國寺는 근대기에 京山畫所로 불리며 수많은 화승들을 배출했다고 하며, 덕절이라고도 불리웠는데, 전하는 말로는 “덕절 중은 불때면서도 불막대기로 十王草를 그렸다” 고 하여 사찰의 성격을 짐작하게 한다. 이는 새롭게 확인된 자료인 興國寺 현판에서도 확인된다. 현판에는 ‘都藍(절에서 돈이나 곡식 등을 맡아보는 직책)’ 등의 직책으로 많은 화사들의 이름이 보여 지금까지 興國寺의 승이었을 것이라고 추정만 해왔던 경선 응석, 金谷 永煥 등의 화사가 興國寺의 스님이었을 기능성과 이곳이 화승들의 집단 거주지 혹은 배출지였다는 사실을 뒷받침해주고 있다. 또한 동일 도상과 더불어 19세기 말 전통적 기법에 의한 붉은 색 위주의 섬세하고 정제된 화풍의 빈복 현상을 축연 작품의 예를 들어 證明스님에게서 그 원인을 찾아보았다. 그 결과 증명스님과 화사, 화풍이 어느 정도 관련이 있음을 추정해볼 수 있었다. 이러한 화풍의 확산은 역시 남양주 興國寺를 근거지로 활동한 것으로 추정되는 경선당 응석의 영향도 어느 정도 작용한 것으로 보여진다. 경선 응석은 1870년대의 작품들 彌陀寺 三聖閣 〈七星圖〉(1874), 〈神衆圖〉(1873), 萬壽寺와 開運寺의 〈神衆圖〉에서 이미 이러한 화풍을 구사하고 있는데, 아마도 같은 초본의 그림이라 하더라도 뛰어난 실력의 화사인 응석에 의해 그려진 그림이 동시대 다른 화사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리라 생각된다. 경선 응석의 이러한 화풍은 19세기 말 서울ㆍ경기 지역에서 선호되었으며, 1900년대 초까지 어느 정도 지속이 되는 듯하였으나 응석과 견줄만한 실력의 화사들에 의해 유지되거나 새롭게 변모되지 못하고 도상의 답습을 벗어나지 못한 듯 보인다. 20세기로 들어서면서는 19세기 말에 유행했던 불화들에 비해 새로운 도상과 기법이 선호되었고, 그 중심에 고산 축연과 石翁 喆侑, 普應 文性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뛰어난 실력을 가진 이들 세 화사가 조성한 새로운 경향의 불화들은 도상의 답습으로 퇴보에 이르게 되는 일부 불화들을 대체할 신선한 새로운 형식의 불화들이었으며, 이들을 이은 草庵 世復, 寶鏡 普現의 불화들이 현대 불화를 잇는 역할을 하였다고 할 수 있겠다. 차후 이들에 대한 보다 심도 깊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남양주 흥국사 만세루방(萬歲樓房) 연구

        손신영 ( Shin Young Shon ) 한국불교미술사학회(구 한국미술사연구소) 2010 강좌미술사 Vol.34 No.-

        경기도 남양주 흥국사의 만세루방은 그동안 특별한 명칭 없이 `대방`으로 불리면서 염불당 혹은 왕실여인의 기도처로 창건되었다고 여져겨 왔다. 그러나 1830년 누자리에 들어서면서 `만세루방`으로 창건되었다는 사실과, 당시 대리청정하던 효명세자의 허락과 지원으로 창건되었다는 사실, 최근 공연예술학계의 연구성과 등으로써 만세루방의 창건 당시 기능과 그 의미를 새롭게 추론할 수 있게 되었다. 흥국사는 조선후기 왕조의 중흥조 덕흥대원군 墓寺로 중창된 사찰인데 1830년, 덕흥대원군 탄생 3백주년을 맞이하여 기념행사를 치르고자 하였다. 때마침 능행과 연향으로 왕실의 권위를 회복하고자 하는 효명세자가 대리청정을 하면서 의례전용 공간인 연경당을 창건한 상태였다. 이에 흥국사에서는 대규모 야외법회(의식)을 계획하고 이를 위한 공간으로써 만세루방을 창건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정황은 〈흥국사감로왕도의 만세루전각과 참관하는 이들의 모습을 통해 추론할 수 있다. 만세루방은 이때 1828년의 연경당 처럼□자형 평면으로 지어진 것이다. 만세루방은 이후 소실되어 1878년 7칸이 증축되면서 현재처럼 H자형 건물이 되었다. 그 결과 □자형이 전후대칭을 이뤄, 앞뒤마당에서 각기 재를 올릴 수 있었던 것 같다. 건축요소를 살펴보면 방·내루·6칸의 통칸·퇴칸 등의 공간 구성과 이익공·화반·운공의 결구가 19세기 후반이후 조성된 궁궐침전과 매우 유사하다. 따라서 구체적인 기록은 없지만 만세루방은 왕실에서 금전뿐만 아니라 장인과 재목을 지원하고 건축형식도 허가해 주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만세루방이 염불당으로 쓰이게 된 것은 1940년 만일회 결성 때이다. 서울경기지역에서 만일회가 20세기 들어 성행하자 흥국사에서도 개최하고 싶었으나 재정적인 문제로 실행하지 못하다가 주지 박범화화상이 자신의 재산을 희사하면서 결성된 것이다. 이로써 대한제국 멸망이후 뚜렷한 용도로 쓰이지 못했던 만세루방이 염불당으로 활용되었음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흥국사만세루방은 19세기 조선왕실과 불교의 관계를 입증하는 사례로 재평가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Heungguksa(temple) located in Namyangju of Kyeongki province was rebuilt as Shrine of Deokheungdaewongun`s grave in the latter period of Joseon Dynasty(the restoration of the Royal House). This temple has been existing with the constant support of the Royal Family by the Korea empire period. The Royal House of the latter period of Joseon Dynasty built a temple near the grave of the Royal family`s people who couldn`t be enshrined in the Royal Ancestor`s shrine and The Royal House took care of and supported the temple. The Royal family had the priests of these temples concentrate all their energies on looking after the grave as they not only supported the temple but also exempted the monks from labor. Namyangju(province) Heungguksa(temple) is the representation of these kinds of temples, as it turned out, the records and remains of the Royal family`s supports to these temples have been confirmed from Seonjo period to Gojong period. For instance the Buddhist paintings in Heungguksa temple are representative. However, we can only guess the construction of the Buddhist sanctum through the records because we couldn`t concretely confirm the supports of the Royal family. However, It is worthy of notice that only the construction style of Heungguksa(temple) Manserubang is very similar to the house containing the king`s bedchamber of the Royal palace. Though there were no any records that The Royal House supported wood or dispatched artisans, we could infer that the Royal House supported money and helped the material, human aids. On the other hand the use of Manserubang was built as the house for prayer to Buddha and the prayer house for the Royal family`s women for the first time. However If we thinthd1at there is the record that Manilyeombulhoe was established in Heungguksa(temple) in 1940 and there was Gongwonso was similar to Gyujeongso which controled temples in Joseon Dynasty in Heungguksa(temple) in 1792, These opinions could be improper. Moreover the function of Manserubang was different from the common Daebang in the Capital Area if we look at that there were a lot of similar respects in the king`s bedchamber in the moulding of construction and in the buildings of the government offices which set up since the latter of 19 century. Besides most Manilyeombulhoe in the temples of the Capital area were organized in 20 century, Manilyeombulhoe in Heungguksa(temple) was carried out in 1940 for the first time because of space, financial and geographical problems. In conclusion, If we consider the history of Heungguksa(temple) and the construction form of Manserubang, It is clear that Manserubang was built as the symbol of the temple which the Royal Family support and as the form of the authoritative constructions such as royal palace, government offices. Therefore this construction(the Manserubang of Heungguksa(temple)) was not built for Manilyeombulhoe and should be revaluated as the valuable case which prove the connection between the Royal House of Joseon Dynasty and the temples in 19C.

      • KCI등재후보

        여수(麗水) 흥국사(興國寺) 소장 <千字文> 책판(冊版) 연구

        황용주 ( Yong Ju Hwang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3 인문학연구 Vol.0 No.23

        이 논문은 여수 흥국사에 소장된 <천자문(千字文)> 책판에 대한 소개와 함께 국어학적 사실에 대해 논의한 글이다. 조선 시대 사찰에서 간행된 책들이 많이 있는데 특히 큰 규모의 사찰에서는 교육용 도서인 <천자문(千字文)>, <유합(類合)> 같은 책을 발간하였다. <천자문(千字文)>은 한학을 입문하기 위한 기본 도서로 한문으로 된 불경을 공부하기 전에 배워야 할 과정이었다. 흥국사 소장의 <천자문(千字文)>은 아직 그 책이 발견되지 않아 소개된 적이 없다. 필자는 두 차례 현지를 방문하여 책판을 조사하고 책을 직접 인출하여 언어 사실을 검토하였다. 언어 사실 검토는 흥국사 인근에 있는 송광사에서 간행한 천자문과 비교를 통해 진행하였다. 그 결과 보수적인 표기가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국 사찰에 소장된 자료 중 미연구된 국어 관련 자료를 체계적으로 연구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troduces a book called Cheonjamun (the Thousand-Character Classic) which is housed in the Buddhist temple Heungguksa in Yeosu and discusses its linguistic characteristics. It was common that Buddhist temples printed books in the Joseon Dynasty and the temples that were relatively larger in size published educational books such as Cheonjamun or Yuhap. Cheonjamun was considered as an introductory book in the study of Chinese classics such as Buddhist sutra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Cheonjamun in Heungguksa has not been introduced in academy yet. This study examines its bibliographical and also linguistic features for the first time after visiting the temple twice for the research. As for the linguistic analysis, we compared the language of this book with another Cheonjamun housed in the nearby temple Songgwangsa and it was revealed that Cheonjamun in Heungguksa illustrated more conservative orthography than the one in Songgwangsa. By revealing Cheonjamun``s linguistic value, this study suggests that linguistic texts stored in the temples nationwide should be comprehensively explored.

      • KCI등재

        조선시대 전라좌수영의 승군 및 의승수군과 주둔지 흥국사 고찰

        송은일(Eun-Il Song)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21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 No.59

        임란 이전 전라좌수영에는 승군이 존재했었다. 이 승군들은 國役과 守直 등의 임무를 수행하였으며 유사시 전투에도 참여하였다. 당시 승군들은 제도화된 것은 아니었다. 승군의 지휘체계는 전라좌수사→승장→승군으로 이어졌고, 인원은 최대 3백여 명 정도였다. 임란이 발발하던 해 전라좌수영에는 의승수군이 편성되었는데, 그 규모는 6백여 명 이상이었다. 이 의승수군은 기존 승군과 결합된 형태로 그것을 계승한 측면이 강하다고 생각되었다. 의승수군의 지휘체계는 전라좌수사→별도장→지대승장→의승수군으로 이어졌다. 이 의승수군은 이순신의 지휘 하에서 요해처의 파수 임무와 해전에 참가하였다. 대표적 의승수군은 삼혜, 의능, 자운, 옥형, 혜희 등이었다. 자운과 옥형은 임란 이후 수륙재와 이순신의 尊祭를 지내기도 하였다. 이 옥형과 의능을 동일인으로 보는 견해가 있었는데 그들의 행적을 보면 재론의 여지가 있다. 당시 의승수군의 활약은 관군보다 월등하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의승수군의 주둔지는 여수 흥국사였다. 흥국사가 이러한 위치에 있었던 것은 요해지였던 것 등이 고려되었기 때문이라고 판단되었다. 흥국사는 임란 이후에도 의승수군의 주진사 역할을 하다가 1894년 경에 그것이 중단되었는데, 이러한 측면을 보면 그 역사적 가치를 높게 평가할 수 있다. There were Buddhist monk troops at the Jeolla Jwa naval base before Imjinwaeran. They performed their duties in national engineering projects and building constructions and fought in battles in emergency. Those days, Buddhist monk troops were not institutionalized. The command system of Buddhist monk troops was Jeolla Jwasusa→Buddhist monk admirals→Buddhist monk sailors. Their size was approximately 300 in maximum. The Uiseung naval forces were organized at the Jeolla Jwa naval base in the year when Imjinwaeran broke out. Their size was over 600 soldiers. Being combined with the old Buddhist monk troops, the Uiseung naval forces had a strong nature of inheriting them. The command system of Uiseung naval forces was Jeolla Jwasusa→Byeoldojang→Jidaeseungjang→Uiseung naval sailors. The Uiseung naval forces guarded a strategic point and fought in naval battles under the command of Admiral Yi Sun-shin. Representative members of the Uiseung naval forces were Samhye, Uineung, Jawoon, Okhyeong, and Hyehee. Jawoon and Okhyeong would hold Suryukje and Jonje for Admiral Yi Sun-shin after the war ended. Some argue that Okhyeong and Uineung were the same person, but a look at their whereabouts raises a need to review again. Those days, the Uiseung naval forces performed much superior to the government forces. The Uiseung naval forces had a post at the Heungguk Buddhist Temple in Yeosu. The temple served as their post because it was a strategic point. It continued to serve as Jujinsa for the Uiseung naval forces after the war ended until 1894 when its service as Jujinsa was over. In these aspects, the temple holds significant historical values.

      • KCI등재

        금곡 영환(金谷永煥) 작 봉원사(奉元寺) 약사여래회도의 연구

        김경미(kim kyungmi)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0 한국학연구 Vol.75 No.-

        봉원사 약사여래회도(1894년)는 19세기 서울·경기지역의 대표적 화승인 금곡 영환이 말년에 조성한 불화로 새롭게 확인되었다. 이 불화의 수화승인 금곡영환은 남양주 흥국사 괘불도(1858년) 를 개금 편수로 참여하여 제작한 이후 19세기 후반에 서울·경기지역을 대표하는 화승으로 활동하였다. 그는 약사여래회도 이외에도 괘불도·석가여래회도·아미타여래회도·칠성도·지장보살도·신중도 등 다양한 주제의 불화를 조성하였다. 영환의 화풍은 안정적인 구도와 전통적인 화풍을 조합하여 근대기 불화에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금 채색을 비롯한 채색에 뛰어난 기량을 보여 준다. 영환의 화풍 연원에 대한 연구는 그의 활발한 작품활동에 비해 분명하게 파악되지 않았다. 그런데 그의 초기작인 미타사 금보암 관음보살상의 개금 불사(1862년) 기록에서 중봉 혜호를 수화승으로 모시고 개금에 참여하였다. 이를 통해 혜호가 영환의 스승임을 파악하고 화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봉 혜호는 수화승 화담 신선이 조성한 흥천사 괘불도(1832년)부터 불화가 확인되며, 금곡 영환이 주석했던 남양주 흥국사의 주요 불사에서 활동하고 있다. 영환은 중봉 혜호가 참여한 흥천사 괘불도(1832년)와 남양주 흥국사 괘불도(1858년)의 도상을 이어받은 백련사 비로자나삼신괘불도(1868년)를 제작하고, 혜호가 제작한 「불설아미타경요해」권수 판화(1853년)의 도상을 계승하여 경국사 아미타여래 괘불도(1878년)를 수화승으로 조성하고 있다. 영환의 스승인 중봉 혜호는 조선 후기 승려 화악 지탁(花嶽知濯)의 제자 화담 경화(花潭敬和)의 선을 이어받은 제자로 『삼봉집』 「화담대사부도비명」(1869년)에서 인허 성유, 월하 세원, 수봉 법총과 함께 기록된 선승이다. 이들은 남양주 흥국사를 중심으로 한 불사와 봉은사 판전 불사(1856년)를 비롯한 주요 불사를 함께하면서 화맥을 이어가고 있다. 따라서 남양주 흥국사에 주석했던 영환도 이곳을 중심으로 활동했던 화담 경화의 문도인 인허 성유와 연계되어 불화를 조성하면서 화담 신선, 수봉 법총, 월하 세원, 중봉 혜호 등의 화풍과 연결된 화맥을 이어받고 있다. This article was examined the Painting of Bhaiṣajya-guru buddha at Bongwonsa temple in Seodaemun-gu, Seoul, created by Geumgokdang Yeonghwan in 1894. The main feature of the cult of Bhaiṣajya-guru was its emphasis on the healing power of Bhaiṣajya-guru, as part of the worldly benefits that worship of him guaranteed. Bongwonsa temple was served as Wondang(願堂), which prayed for the good fortune of the royal family. This painting was made the year after the Bongwonsa Yaksajeon Hall was a building built in 1893. Yeonghwan began to appear first on the Buddhist banner painting at the Heungguksa Temple in Namyangju created in 1858. He acted as a monk painter representing the Seoul and Gyeonggi area in the 19th century. Besides the Painting of Bhaiṣajya-guru buddha, Yeonghwan participated in the creation of Buddhist paintings of various themes including Buddhist banner paintings and Sakyamuni and Amitabha Buddha paintings, Tejaprabha buddha paintings, Ksitigarbha paintings, Buddhist deity paintings. He is exhibited outstanding skills in stable screen composition, the form of sacred images such as Buddhas and Bodhisattvas, stylistic expressions of color and pattern, etc. He is Jungbong-Heaho(中峯慧皓)s student, and he is following Hwadam-Kyunghwa(華潭敬和) schools. The eight paintings of Bhaiṣajya-guru buddha in Seoul and Gyeonggi area in the 19th century were identified at the Huncheonsa(1847), Backrunsa(1890), Heungguksa in Namyangju(1892), Bongwonsa(1894), etc. These painting of Bhaiṣajya-guru Buddha shows the influences of the painting style of Geumgok-Yeonghwan(金谷永煥).

      • KCI등재

        논문 : 흥국사(興國寺) 1723년 의겸(義謙),순민(順敏)작 목(木)수월관음보살상(水月觀音菩薩像) 불감(佛龕)과 복장 연구

        문명대 ( Myeong Dae Mun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1 강좌미술사 Vol.37 No.-

        여수 흥국사 관음전에 봉안되어 있었다고 추정되는 수월관음보살상 불감에 대하여 논의하여 다음과 같은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불감 복장에서 나온 조성기를 분석하여 이 수월관음보살상 불감은 1723년 경종(景宗; 1721-1725년) 3년에 여수 흥국사에서 조성, 관음전에 봉안되었던 사실과 이 관음보살상 불감은 응진당 석가후불도와 16나한도 및 관음전 수월관음보살도와 함께 조성되어 수월관음신앙 및 그 미술 연구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사실 등을 밝힐 수 있었다. 둘째, 불감을 삼등분하여 중(中) 수월관음보살상, 좌우 정병과 청조, 선재동자상을 각각 부조상으로 배치한 독특한 불감의 관음보살상인데 1637년과 1644년의 아미타삼존불감에 이어 1689년 목(木) 지장삼존불감을 조성한 후 이를 계승하여 1723년에 완성된 특징적인 원통형 불감식 수월관음상으로 현재로서는 유일하고, 그리고 희귀하다는 점을 밝히게 되었다. 셋째, 이 수월관음보살상은 18세기 전반기 최고의 화성(畵聖)으로 존경받던 의겸과 여수, 순천일대에서 활약했던 조각승 순민이 합작하여 조성한 수작(秀作)으로 크게 주목된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끝으로 작은 불감 안이지만 제대로 된 복장물이 출토되어 당시 불감 내지 수월관음상 불감의 의미를 되새겨 볼 계기가 마련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A study was made of the wooden Water-moon Avalokitesvara in a niche which is presumed to have been enshrined at the Guanyinjeon Pavilion in Heungguksa Temple in Yeosu. The following points were made clear through the study. First, the documents retrieved from inside the statue revealed that it was produced in 1723, the 3rd year of King Gyeongjong`s reign(r.1721-1725) in Heungguksa Temple in Yeosu and was enshrined at Guanyinjeon Pavilion. The documents also disclosed that the Avalokitesvara in a Niche was produced along with the Main Platform Painting of Sakyamuni Buddha of Eungjindang Pavilion, the painting of Sixteen Arahats, and that of Water-moon Avalokitesvara of Guanyinjeon Pavilion. The statue and the documents will contribute greatly to the study of Buddhist faith and arts. Second, the sculptural work of Wooden Water-moon Avalokitesvara in a Niche consists of three parts with the Avalokitesvara statue in the center and the water jug and Seonjae statue carved in relief on either sides. It represents a unique design, a Bodhisattva sculpture contained in a niche which can be folded into a cylinder shape block. It follows the style of the Amitabha statue in a niche produced in 1637 and 1644, and the wooden Ksitigarbha statue in a niche in 1689. It is the only kind of Water-moon Avalokitesvara statue in a niche to remain today. Third, the Water-moon Avalokitesvara statue carries a significant meaning in that it was produced by Euigyeom, who was respected as one of the greatest artists in the earlier half of the 18th century and sculptor Sunmin who was active in Yeosu and Suncheon area. Lastly, although small in size, this work of sculpture with the relevant documents kept inside it, provided a chance to examine the Buddhist faith, and the artistic style of the Avalokitesvara statue in a nich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