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대漢代의 올빼미 이미지 고찰- 문헌기록과 출토유물 사이의 괴리에 대해

        이연주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23 中國硏究 Vol.97 No.-

        In this article, we studied the owl image of the Han dynasty in terms of documents and archaeological relics. Owl statues and patterns are already shown in large numbers across a number of Neolithic cultures in China, and during the Shang dynasty, they appear in various ritual bronzes wares and jade artifacts. According to recent studies, owls were revered as a sacred bird, and the argument that the bird appearing in the myth of “A black bird(玄鳥) gives birth to the Shang Dynasty” is owl is gaining strength. However, this sacred image of owl falls sharply with the Shang-Zhou change politically, and this is well shown in the poems in the ‘Book of Poems’ which describes owl as wicked, ominous and ugly bird. In the meanwhile, this kind of negative image on owls are continuously repeated and expanded with the backing of the scripture knowledge of ‘Book of Poems’, and coming to the Han dynasty, owls are covered with another noose that it is a undutiful bird eating its mother after growing up, which continues unwavering to future generations. However, along with the prosperity of the heavy burial in the Han dynasty, the image of owl shown through the elements of decorative tombs, including huàxiàngshí(畫像石), huàxiàngzhuān(畫像塼), and tomb murals, and the burial accessories like clay figures is a very sacred bird protecting the tomb and the dead and guide the owner of the tomb to the fairyland. The reason for this disparity is that, in the one hand, negative owl image was gradually expanded and reproduced repeatedly by the elite intellectual class that considered the succession of scripture knowledge as their mission, thus forming social conventional wisdom, on the other hand, the feelings of reverence and fear on owls since ancient times remained hidden in people's in-depth consciousness and were expressed through elements of decorative tomb and the burial accessories related to the afterlife. This is a phenomenon that is occurring mainly in Henan Province, a former Shang dynasty region, and in some eastern regions like Shandong Province, Anhui Province, Jiangsu Province, along with a few other regions, including Hubei Province, Hunan Province, possessing a cultural heritage of the Chu dynasty especially. 본고에서는 한대漢代의 올빼미 이미지를 문헌기록과 출토유물로 나누어 고찰하고 이들 문헌기록과 출토유물 사이에 나타나는 괴리에 대해 고찰했다. 올빼미상은 신석기시대에 이미 중국 여러 신석기문화권에서 다수가 나타나며, 이는 상대에 이르러 각종 청동예기를 비롯해 옥기에 이르기까지 널리 출현한다. 이를 추적한 여러 연구에 따르면 상대에 올빼미는 신성한 새로서 존숭되었던 것으로 보이며, ‘현조상생’의 신화 속 현조가 바로 올빼미라는 주장 또한 근래에 힘을 얻고 있다. 그러나 이런 올빼미의 이미지는 상주商周의 교체라는 크나큰 정치적 변혁을 겪으면서 주대 이후 급격히 추락하는데, 이는 <<시경>> 속의 올빼미가 등장하는 시들에서 올빼미를 간악하고 불길하며 추한 새로 묘사하고 있는 것에서 잘 나타난다. 한편 이러한 올빼미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는 <<시경>>이라는 경전지식의 뒷받침하에 이어지는 시대에 각종 문헌속에서 반복해 재생산되고 확대되는데, 한대에 이르면 이에 올빼미는 어미를 잡아먹는 불효한 새라는 올가미가 덧씌워져 이는 후대로 변함없이 이어진다. 그러나 한대 들어 후장풍속의 성행과 함께 화상석, 화상전, 묘벽화 등 장식묘의 구성요소나 부장품으로서의 토용을 통해 나타나는 올빼미 이미지는 무덤과 죽은 이를 보호하고 무덤의 주인을 선계仙界로 인도하는 존재로 이들 도상을 볼 때 매우 신성하게 표현된다. 이러한 괴리는 현실세계에서의 올빼미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시경>> 시대 이후 경전지식의 계승을 임무로 생각하던 엘리트 지식층의 주도하에 점차 확대되고 반복해 재생산되어 사회 통념을 형성하기는 했지만 올빼미에 대한 고대 이래의 경외와 두려움의 감정이 암암리에 남아 사람들의 심층의식속에 엄존하다가 사후의 세계와 관련된 화상석畫像石, 화상전畫像塼, 묘벽화 등 장식묘를 구성하는 요소나 부장품인 토용 등을 통해 표현된데 따른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특히 옛 상 지역인 하남성과 산동성, 안휘성, 강소성 등 동쪽 지역을 중심으로 옛 초 문화를 간직하고 있는 호북성, 호남성과 일부 기타지역에 걸쳐 나타나고 있는 현상이다.

      • KCI등재

        한화상석(漢畫像石)의 용호좌(龍虎座)에 드러난 서사 다시 읽기 ― 사천(四川) 출토 서왕모(西王母) 도상을 중심으로

        유강하 중국어문학연구회 2019 중국어문학논집 Vol.0 No.118

        This article explores how the collision, conflict, and unity had expressed when different myth, religion, and narrative meet on the pictorial stone during Han dynasty. In this study, I tried to interpret the meaning of the 'Xi-Wang-Mu on the seat of dragon-tiger'(西王母龍虎座), which is the characteristic of the pictorial stone of Si-Chuan area, from the perspective of iconology analysis. During Han dynasty, Han people and indigenous people lived together in Ba·Shu(巴蜀) area, but they did not coexist peacefully. The Han people were in a position to govern, and the indigenous people were in a position to be ruled. This interconnection is appeared on the pictorial stone. The icon of ‘the seat of dragon-tiger with Xi-Wang-Mu’ is a combination of ‘Xi-Wang-Mu’ and the ‘seat of dragon-tiger’. ‘Xi-Wang-Mu on the seat of dragon-tiger’ is the result of the integration of Xi-Wang-Mu, who was worshipped by Han people, and the dragon· tiger totem, which was worshipped by indigenous people of Ba·Shu area. But this integration is a unbalanced combination. The dragon and the tiger, which have been the totem of the native people, appear to be in the position of the supreme divinity, but in the end it is nothing more than a role of a "seat" for the Xi-Wang-Mu. The icon of ‘'Xi-Wang-Mu on the seat of dragon-tiger’ is a politically designed combination, and is the result of the Han people's desire to dominate the indigenous people.

      • KCI등재

        한대인들은 왜 돌에 그림을 새겼는가? ― 영원한 삶의 염원을 위한 유교와 신화의 교착 ―

        김종석 한국철학사연구회 2023 한국 철학논집 Vol.- No.78

        This thesis examines the Confucian thought and mythological reason shown in the stone statues through three aspects: the production intention, the story expressed in the stone statues, and the meaning of the stone statues, which are memorial stones for ancestral ceremonies in the Han Dynasty. Through this, it is a paper that re-examines and seeks the contact point between mythological thought and Confucianism in a unique culture and its value. In Chapter 2, the external intention to reveal the filial piety ideology was reviewed, focusing on the filial piety story of Muliang temple. Among them, in the image of ZengZi, in addition to the symbolism widely known as the producer of Xiaojing ,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n intention to reveal the trust of the monarch and subjects through faithfully following the state system by citing the story of zhanguoce . The story of zhengran reveals the value of filial piety beyond the law of reality, and the story of Anguo confirms the intention to reveal the achievements of the living, not the dead. Furthermore,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social climate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virtuous women beyond the filial piety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n Chapter 3, the idea of immortality related to Xiwangmu as a mythological subject of stone statues and the eternity of the dead realized through it were reviewed.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possibility of ascending to the world of immortals was expressed by reenacting the scene where the owner of the shrine, who rode in a carriage, received a ancestral rite for his descendants through the picture of a memorial service in a pavilion. This is to realize the wishes of the descendants, who pray for the realization of the eternity of their ancestors, through the repeated rites held in tombs and shrines, in the form of ancestor worship and the image of the sages, including Xiwangmu. This is the true meaning of serving the dead of the Zhongyong as if they were alive, and the intention is to realize the eternity of their ancestors in this world. 본 논문은 한대(漢代)의 제례 기념물인 화상석(畫像石)의 제작 의도, 화상석에서 표현되는 이야기와 그 의미의 세 가지 측면을 통해 화상석에 나타나는 유교 사상과 신화적 사유를 검토하고, 이를 통해 한대의 독특한 문화에서 나타나는 신화적 사유와 유교와의 접점과 그 가치를 재조명하고 모색한다. Ⅱ장에서는 무량사(武梁祠)의 효행고사를 중심으로 효 이데올로기를 드러내고자 하는 외적 의도를 검토하였다. 그중 증자(曾子)의 화상에는 효경 제작자로 널리 알려진 그의 상징성을 통해 효를 선양하려는 의도를 비롯하여 전국책 고사를 인용하여 군주와 신하의 신의를 드러내고자 하는 의도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정란(丁蘭)의 화상에서는 실정법을 넘어서는 효의 가치를 드러내고 있으며, 안국(安國)의 화상에서는 죽은 이가 아닌 산 자의 공적을 드러내려는 의도를 확인하였다. 더욱이 일반적인 부모와 자식 사이의 효를 넘어서 열녀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사회적 풍토를 확인할 수 있었다. Ⅲ장에서는 화상석의 신화적 제재로서 서왕모(西王母)와 관련한 불사의 관념과 이를 통해 구현되는 죽은 이의 영원성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특히 누각배례도를 통해 마차를 타고 출행한 묘주가 후손의 제사를 받는 장면을 재연함으로써 선계로 상승할 가능성을 표현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무덤과 사당에서 반복하여 거행하는 제사를 통해 조상의 영원함이 실현되기를 기원하는 후손의 염원이 조상 배례의 형상과 서왕모를 비롯한 선계의 형상으로 구현하고자 한 것이다. 곧 중용 의 ‘사사여사생((事死如事生)’의 진정한 의미로서 조상의 영원함을 현세에 실현하고자 하는 의도인 것이다.

      • KCI등재

        도시사화(都市社火) 가두행렬(街頭行列)의 형성과 그 선행 모델

        安祥馥 ( An Sang Bok ) 중국어문학회 2020 中國語文學誌 Vol.0 No.73

        At this paper, I wanted to explore what were some of the extracurricular factors that influenced the formation of the street parade of “City Shehuo(社火)” through the visual data including the paintings and “stones with pictures(畫像石)”. As a result, I could find out that the time when the street parade of Shehuo(社火) was formed in China’s city and began to develop was the Song(宋) period, and before that there were two representative models of the street parade of Shehuo(社火). In terms of the content, Baixi(百戲) performances on a large square of the East Han(東漢) era became a model. In terms of street marches, Buddha’s march of the North and South dynasties(南北朝) period became a model. A closer look showed that the Baixi(百戲) performances on a large square could actually be a spectacular performance, with various techniques introduced from the Xiyu(西域) added to the tradition of Jiangwu(講武). And Buddha’s march was also a form handed down from Buddhism in India. From a macroscopic perspective, I believe that the street parade of the “City Shehuo(社火)” during the Ming(明)and Qing(淸) era is the result of the long process of convergence with China’s homegrown tradition and the Xiyu(西域)’s culture.

      • KCI등재

        중국 漢代 고분미술의 狩獵圖 연구

        서윤경 한국동양예술학회 2023 동양예술 Vol.59 No.-

        漢代의 고분미술에서 狩獵圖는 역동적이며 활달한 생명력을 불어넣는 회화제재로, 葬儀미술로 제작되어 당시 喪葬禮와 來世觀, 고분의 환경 및 전체적인 회화제재와의 밀접한 연관성을 가진다. 한대의 수렵도는 戰國시대 이래 성립된 수렵도의 주제를 계승하여, 일상적인 회화제재와 祭祀의 성격을 수용하고 있다. 일상 풍속을 재현하여 생전의 삶을 내세에도 그대로 영위하게 하려는 후손들의 希求를 담았으며, 조상을 모시는 제사의 犧牲을 획득하려는 의도로 표현되었다. 또한 한대 내세관에서 파생된 神을 경외하고, 鬼를 달래는 의미였으며, 죽은 이를 수호하는 辟邪의 의미로 표현된다. 전한 중기 이후에는 한의 세계관이 확장되고 神仙사상이 일반화되면서 昇仙의 개념이 성행한다. 수렵도는 상서로운 仙山을 배경으로 신비한 세계에 진입하여 상서로운 동물들을 쫓으며 인간계를 초월한 仙界로 昇仙하게 된다. 이에 후한의 고분에 표현되는 수렵도는 묘실 내 日像과 月像이 존재하는 天上界에 위치하거나, 문미와 묘실 상단의 횡액, 天界에 오르는 기둥 등에 집중적으로 표현된다. 주로 車馬出行과 조합되어 서왕모가 주재하는 신산으로의 승선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수렵도는 신과 소통하기 위한 제사의 희생을 바치고, 각종 신수와 힘을 겨루면서 상서로운 이상세계에 입장할 수 있는 장치였다. 이러한 한대의 수렵도는 후대 고분미술에 나타나는 수렵도의 여러 양상의 기본형식을 제공했을 뿐만 아니라, 사후 선계로 승선하고자 염원한 표상으로 수렵도의 양식을 확립하게 된 것이다.

      • KCI등재

        고대 중국의 재난관 형성과 변화 연구 ― 재이(災異)를 넘어 재난으로 ―

        김종석 ( Kim¸ Jongseok ) 동양철학연구회 2021 東洋哲學硏究 Vol.107 No.-

        본 논문은 고대 중국의 재난 인식의 형성과 변화를 검토하여 재난의 인문학적 접근과 대응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곧 인간에게 영향을 주는 자연현상뿐만 아니라 유가적 천인감응(天人感應)의 재이설(災異說)에 한정하지 않고, 신화와 제례 등 다양한 문화에서 서사화되는 재난 관련 자료를 검토하여 고대인들의 재난 인식과 대응 및 극복을 사상적, 문화적으로 확인하는 데에 있다. 일반적으로 대표적인 재해 인식은 한대의 천과 인간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한다는 재이설을 들 수 있으며, 한대 시기는 그에 따라 사상과 정책이 운용되었다. 이것은 자연현상이 인간에게 피해를 주는지의 여부에 따라 재해와 자연현상을 구분하는 관점에서 출발한다. 그런데 일식이나 월식과 같은 천체 현상은 그 자체로 인간에게 피해를 주지는 않기 때문에 재해로 볼 여지는 없다. 따라서 재와 이는 그 피해 여부에 따라 재이와 이상 현상으로 명확히 구분되었다. 그런데 한대에는 이것이 인간에게 전해지는 연속된 조짐으로 이해하여 천과의 상관성을 제기한다. 천인감응의 한대 재이관은 그 기원이 멀리는 은대의 상제(上帝)와 무축왕(巫祝王)의 관계에서 기원하여 의지적인 천이 인간에게 상벌을 내린다는 묵자의 천론으로 계승되어 온 것이다. 곧 자연재해를 비롯한 재난이 신에게 기원을 드림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는 사상과 도덕과 윤리를 바탕으로 통치 행위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는 유가적 재난 구제법이 서로 혼합되어 새롭게 발전한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정치적, 사상적 재난 이해가 주로 통치자와 주류 문화를 중심으로 발전한 것과는 달리 우화를 비롯한 신화와 장례 제도에서의 볼 수 있는 재난 문화는 비주류 사상과 민간의 재난 인식을 명확히 보여준다. 특히 가족의 해체와 같은 큰 피해를 겪는 전쟁을 현세의 재난으로 인식하여 사후 세계에서의 영원한 삶을 추구하는 하나의 장치로 차용하는 것은 인간의 재난을 새롭게 해석하고 극복하고자 하는 한 방편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humanistic approach and response of disasters by reviewing the formation and changes of disaster awareness in ancient China. It is to examine disaster-related materials that are narrated in various cultures such as myths and rituals, not limited to natural phenomena affecting humans, but also to confirm the awareness, response, and overcoming of disasters of ancient people ideologically and culturally. In general, there is a re-conception that the typical disaster perception is caused by the interaction sensation between heaven and man of the Han Dynasty, and the Han Dynasty period was operated accordingly. But it is based on two things. The first starts from the perspective of judging natural phenomena as disasters and understanding them as simple natural phenomena depending on whether they harm humans. However, astronomical phenomena such as eclipses and lunar eclipses do not harm humans by themselves, so there is no room for disaster. Accordingly, Zai(災) and Yi(異) were clearly distinguished as Zaiyi(災異) and abnormalities depending on whether they were damaged or not. The Han Dynasty's view of disaster has been inherited by Mozi(墨子)'s theory that the willful heaven punishes humans, originating from the distant relationship between Shangdi(上帝) of Yin Dynasty and shaman-King.(巫祝王). It is a mixture of ideas that disasters, including natural disasters, can be solved by giving the origin to God and valuable disaster relief laws that can be solved through acts of rule based on morality and ethics. However, unlike this political and ideological disaster understanding mainly developed around rulers and mainstream culture, the disaster culture seen in fables, myths and funeral systems clearly demonstrates non-mainstream thought and civil disaster awareness. In particular, it is a way of interpreting and overcoming human disasters by recognizing wars that suffer great damage, such as the dismantling of families, as a disaster in the afterlife.

      • KCI등재

        형상 문법(shape grammar) 규칙에 기반한 한화상석(漢畵像石) 테두리 장식 문양 활용 연구

        주운명,신인식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2 한국디자인리서치 Vol.7 No.2

        The border decorative patterns of Hanwha Sangseok is usually engraved on the edge of the painting in the form of a band, and it can be said to be the same as the frame of the picture screen. The existence of the border decorative patterns meets the decorative demand of Hanwha Sangseok and at the same time harmonizes with the main designs of Hanwha Sangseok to give artistry to the picture screen. The decorative patterns of Hanwha Sangseok forms an art element with very distinct ethnic characteristics through its own unique expression method and implements excellent innovation and value in use. With the application of Hanwha Sangseok border decoration patterns as the research topic, this paper organizes border decoration patterns by pattern type and explores the aesthetic significance of Hanwha Sangseok border decoration patterns from an aesthetic and humanistic perspective. In addition, by extracting the elements of the border decoration pattern, a new pattern is created and applied to the design of daily necessities through combination with the shape grammar system. The decorative pattern created using the rules of shape grammar is not too bound by the typical frame of the original decorative pattern while making use of the art elements of the Hanwha Sangseok border decorative pattern. This study more effectively implements the ethnicity and redesign potential of decorative patterns by seeking a contact point between decorative patterns with ethnic characteristics and modern design through the combination of shape grammar systems and Hanwha Sangseok border decorative patterns. 한화상석(漢畫像石)의 테두리 장식 문양은 보통 띠 모양의 형식으로 도상(圖像) 가장자리에 새겨져 있으며 그림 화면의 액자 틀과 같은 존재라고 할 수 있다. 테두리 장식 문양의 존재는 한화상석의 장식적 수요를 충족시킴과 동시에 한화상석의 주요 도안과 조화를 이루어 그림 화면에 예술성을 부여한다. 한화상석의 테두리 장식 문양은 자체적으로 지닌 독특한 표현방식을 통해 민족적 특징이 매우 뚜렷한 예술 요소를 형성하고 뛰어난 혁신과 사용가치를 구현한다. 본 연구는 한화상석 테두리 장식 문양의 응용을 연구 주제로 하여 테두리 장식 문양을 문양 유형별로 정리하고, 미학적 및 인문학적 관점에서 한화상석 테두리 장식 문양의 미학적 의의를 탐구한다. 이와 함께 테두리 장식 문양 요소를 추출하여 형상 문법(shape grammar) 체계와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문양을 창작하고 일용품 디자인에 응용한다. 형상 문법의 규칙을 활용하여 생성한 장식 문양은 한화상석 테두리 장식 문양의 예술 요소를 살리면서도 원래 장식 문양의 전형적인 틀에 지나치게 얽매이지 않는다. 본 연구는 형상 문법 체계와 한화상석 테두리 장식 문양의 결합을 통해 민족적 특색을 지닌 장식 문양과 현대디자인의 접점을 모색함으로써 장식 문양의 민족성과 재디자인 가능성을 더 효과적으로 구현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