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초기불교 무아설의 유형에 대한 검토와 분류 Ⅱ

        임승택(LIM, Seung-taek) 불교학연구회 2022 불교학연구 Vol.70 No.-

        필자는 초기불교 당시 유통된 무아설의 유형을 3가지 부류의 12가지로 파악한다. 선행 논문인 『초기불교 무아설의 유형에 대한 검토와 분류 I』에서는 이들 중 첫 두 부류에 속한 6가지 유형에 대해 살펴보았고, 본 논문에서는 세 번째 부류로 귀속되는 6가지 유형을 설명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필자의 판단에 따르면 첫 번째 부류의 3가지 무아 유형은 ‘나의 것’ 등을 부정하면서 비아(非我)에 가까운 무아의 의미를 표방한다. 이러한 서술방식에 따르면 무아란 자아에 대한 존재론적 부정이 아니며 다만 경험적 현상들과의 탈동일시(disidentification)를 가리킬 뿐이다. 두 번째 부류에 속한 3가지는 사변적 견해를 비판하면서 무아에 대한 견해나 주장마저도 극복의 대상으로 간주한다. 또한 무아라는 개념에 대한 집착을 경계하면서 어떠한 형태로든 ‘나’라는 생각에 빠지지 말라는 메시지를 전한다. 한편 본 논문에서 집중적으로 다루는 세 번째 부류의 6가지 유형은 형이상학적 무아 담론의 성격을 지닌다. 이들은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방식으로 무아에 대한 사변적 해설을 시도한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이들 세 번째 부류의 무아 유형은 니까야(Nikāya)에서는 주류적 방식이 아니지만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Abhidharmakośabhāṣya) 등 후대의 문헌들로 내려오면서 그 영향력을 확장시켜 나간 듯하다. 필자는 두 편의 논문으로 구성되는 본 연구를 통해 3가지 부류의 12가지 무아 유형의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한다. 이들은 초기불교 무아설의 일반적 양상을 확인시켜주는 동시에 그 변용이 어떻게 시작되었는가를 되짚어보게 해준다. I classify the teachings on selflessness presented in Early Buddhism into three categories. In the preceding paper, I examined the six types belonging to the first two categories, and in this paper, I focus on the six types that fall into the third category. The types of the first category advocate for a meaning of selflessness that is close to the meaning ‘it s not mine (非我).’ These types are not ontological negatives to the self, but only point to disidentification with empirical phenomena. The three types belonging to the second category criticize speculative views and even regard views or claims about selflessness as objects of overcoming. These types convey a message of not falling into the idea of ‘me’ in any form, while remaining wary of obsession with the concept of selflessness. In contrast, the six types of the third category, which are intensively dealt with in this paper, correspond to the starting point of the metaphysical selflessness discourse. These types attempt a speculative interpretation of selflessness in an objective and universal way. These six types of selflessness were heterogeneous at the time of Early Buddhism, but gradually expanded their influence as they were transmitted to later literary traditions after Early Buddhism. This paper provides sufficient examples to remind us of the general aspects and transformation process of the theory of selflessness in Early Buddhism.

      • 에드워드 콘즈의 ‘무아(無我)’의 특징 -『불교의 길』을 중심으로

        배광식(Kwang-Shik Bae) (사)인문학과 명상연구소 2023 명상상담과 인문교육 Vol.1 No.1

        본 논문의 목적은 『무아상경』및 여러 경론에 나타난 무아의 내용과 대비하여 에드워드 콘즈의 『불교의 길』에 나타난 무아의 특징을 살펴보는 데 있다. 불교의 가장 독특한 특징은 ‘무아(無我)’라 할 수 있다. 『무아상경』은 붓다가 당시 재래종교와 사상계의 실아(實我) 곧 ‘상(常)·일(一)·주재(主宰)의 아(我)’에 대한 주장의 허구성을 연기법으로 혁파(革罷)함과 동시에 무아의 실천법을 제시한 것이다. 오온(五蘊)은 무상하니, 항상하기를 바라는 우리 마음에 무상함은 괴로움일 수밖에 없다. 괴로움을 원치 않으나 괴로울 수밖에 없다는 것은 우리 마음대로 주재(主宰)할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오온은 상(常)·일(一)·주재(主宰)를 못 갖추었으니 무아(無我)인 것이다. 무상·고·무아를 철견(徹見)하고, 실제와 반하는 상락아견(常樂我見)에 대한 집착의 무명(無明)을 놓음으로써 고멸[苦滅, 해탈(解脫)]을 이루도록 해야 한다. 삼법인은 무상·고·무아를 한 단어로 표현한 것으로, 불교역사를 통해 많은 경론에 수없이 등장하는 실천수행의 대상이자 목표이고, 불교와 비불교를 가르는 척도이다. 여러 경론에 나타난 삼법인은 무아상경의 내용을 변함없이 전하고 있음을 알려준다. 에드워드 콘즈의 저서 『불교의 길(Buddhism: Its Essence and Development)』은 불교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고, 각종 종교들과 철학과 관련하여 어떤 특징과 위치를 차지하는지 확인할 수 있는 양서이다. 『불교의 길』에서, 수행과 무아에 대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불교의 참가치는 일상적 삶에 끼치는 변화에 있고, 불교는 언행일치가 되어야 한다. 불교 모든 종파의 수행의 공통점은 해탈, 곧 열반(nirvāṇa)이 목표이며, 개아(個我) 실존에 대한 믿음을 소멸시켜 무아(無我)를 깨닫는 것이다. 각 종파의 차이는 목표 접근 방법의 차이(다양성)이다. 예로 지혜, 믿음과 헌신, 신통력으로 접근하는 등이다. 옛지혜학파와 중관학파는 지혜를 통한 해탈, 신앙불교는 믿음과 헌신을 통한 해탈, 유식파는 선정을 통한 우주 생명의 해탈을 구하고, 밀교는 주문, 의식을 위한 동작과 춤, 특별한 명상을 통한 신들과의 합일의 수행을 통해 해탈 곧 무아에 이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atta in Edward Conze’s “Buddhism: Its Essence and Development” in contrast to the contents of the anatta in “the Anatta-lakkhaṇa-sutta” and in various Buddhist scriptures. The most unique characteristic of Buddhism is considered to be ‘anatta’. The ‘Anatta-lakkhaṇa-sutta’ refutes the unreal nature of the concept of ‘atman’ namely, permanent individuality and sovereignty in traditional religions and philosophies, and presents the practice of ‘anatta.’ The impermanance of the “five aggregates” creates suffering for our minds that seek permanence. Despite not wanting to suffer but having to suffer means that we cannot preside at our disposal. Because the five aggregates don't have permanent individuality and sovereignty, they are anatta. By penetrating the three marks of existence (impermanence, suffering, and no-self) and by eliminating ignorance about the attachment to the false view that opposes reality as peramanence, pleasure and self, we can attain “nirvana,” which is the ultimate goal of Buddhist practice. The three marks of existence (Pali tilakkhaṇa) include impermanence, suffering, and no-self. They can be found in many Buddhist scriptures in Buddhist history. They are the object and goal of Buddhist practice, and criteria for differentiating Buddhism from Non-Buddhism. Tilakkhaṇa appears in various Buddhist scriptures constantly conveying the contents of Anatta-lakkhaṇa-sutta as usual. Edward Conze’s book ‘Buddhism: Its Essence and Development’ is an amphibious book that offers a quick view of Buddhism and shows what characteristics and positions it occupies in relation to various religions and philosophies. In “Buddhism: Its Essence and Development”, the contents of practice and anatta are summarized as follows. Buddhism's real value lies in the change in daily life, and Buddhism must be consistent with its words and actions. What all Buddhist sects have in common is liberation, that is, nirvānā, the goal, and to realize anatta by extinguishing the belief in the existence of self. The differences between different sects are the diversities in the goal approach. Examples include approaching with wisdom, faith and devotion, and divine power. The Old Wisdom school and Mādhyamika school seek liberation and anatta through wisdom, Faith Buddhism through faith and devotion, and Yogâcāra school through concentrative meditation, and Tantrism through spells, movements and dances for rituals, and unity with the gods through special meditation.

      • KCI등재

        무아에 대한 형이상학적 해석의 양상들__니까야(Nikāya)에 나타나는 ‘실천적 무아’와 비교를 위한 시론__

        임승택 인도철학회 2017 印度哲學 Vol.0 No.51

        I presume that the interpretations of selflessness (anattan) could be divided into the metaphysical interpretations of selflessness and the practical interpretations of selflessness. This paper focuses on the metaphysical interpretations of selflessness which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The first one is selflessness denying rebirth which rejects the doctrine of rebirth (saṁsāra) in a manner similar to nihilism (uccheda-vādā), the second interpretation is selflessness replaceable with not-self which denies existential elements (pañcakkhandhas) and considers them as not-self in order to reveal the transcendental self, and the third one is selflessness coexisting with rebirth that goes into defining selflessness through rebirth. All of these interpretations are common with each other in that they are intended to build the universal theories of selflessness. These interpretations have significance in that they attempt to explain the teachings of the Buddha in response to their own times. However, according to my review, all of them have problems that cannot be overlooked. First, selflessness denying rebirth negates the self after death. But about the world after death, neither affirmation nor negation is possible. Especially, this interpretation is contradictory to the teaching of rebirth which is presented through the transcendental wisdom (pubbenivāsānussatiñāṇa) with samādhi. On the other hand, selflessness replaceable with not-self is not based on the Early Buddhist literatures. It could also be pointed out that, as Abhidharmakośa’s criticism reveals, it presupposes the mysterious self which could not be transcendental or meaningful. Finally, selflessness coexisting with rebirth asserts that rebirth is possible in the state of selflessness. But this interpretation eventually becomes an explanation of the rebirth only, and it is not suitable as a clarification of selflessness itself. Because according to the Buddha’s teachings, after attaining the state of selflessness, rebirth disappears. I believe that the metaphysical interpretations of selflessness could be contrasted with the practical interpretations of selflessness that are directly based on the Early Buddhist Nikāyas. But in terms of volume, I put off the work of contrasting each other to the next opportunity, particularly after writing an article on the practical interpretations of selflessness. I hope that the prototypical selflessness by Buddha will be examined closely through a series of these works, and the meaning of the teaching of selflessness becomes more evident. 필자는 무아 해석의 시대적 단층이 ‘형이상학적 무아’와 ‘실천적 무아’로 대별될 수 있다고 전제한다. 본고는 전자의 ‘형이상학적 무아’를 규명하는 데 주력한 것으로, 거기에는 다시 3가지 유형의 세부적 해석 양상이 존재한다. 단멸론의 방식으로 윤회의 교리를 배척하는 ‘윤회 부정의 무아’, 초월적 자아를 드러내기 위해 경험적 요인들을 부정하는 방식의 ‘비아와 교체 가능한 무아’, 무아의 논리로써 윤회를 규명해 들어가는 ‘윤회와 공존하는 무아’ 등이다. 이들은 보편적인 무아 이론의 구축을 의도했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이와 같은 ‘형이상학적 무아’ 해석은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여 붓다의 가르침에 대한 해명을 시도한 것이라는 점에서 나름의 의의를 지닌다. 그러나 필자의 검토에 따르면 이들 모두는 간과할 수 없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먼저 ‘윤회 부정의 무아’는 죽음 이후의 자아를 부정한다. 그러나 죽음 이후의 세계에 대해서는 부정도 긍정도 원칙적으로 가능하지 않다. 특히 ‘윤회 부정의 무아’는 삼매에 의한 초월적 지혜를 통해 제시되는 윤회설과 정면으로 부딪힌다. 한편 ‘비아와 교체 가능한 무아’는 직접적인 문헌적 근거를 제시하지 못한다. 또한 구사론의 비판을 통해 드러나듯이, 초월적인 것일 수도 유의미한 것일 수도 없는 자기 모순적 자아를 내밀하게 전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윤회와 공존하는 무아’는 무아인 상태로 윤회한다는 입장을 펼친다. 그러나 이것은 결국 윤회를 설명하는 논리일 뿐, 무아 자체에 대한 해명으로는 적합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을 노출한다. 필자는 이상과 같은 ‘형이상학적 무아’가 니까야에 일관된 방식으로 등장하는 ‘실천적 무아’와 대조를 이룬다고 판단한다. 그러나 분량 관계상 서로를 대조하는 작업은 다음 기회로 미룬다. 필자는 이러한 일련의 작업이 붓다가 가르친 원형적 무아를 생각해 보게 하고, 무아설의 의의에 대해 더욱 고양된 의식을 갖게 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무아의 부정 대상- 귀류논증 중관학파를 중심으로 -

        한은정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57

        The Buddha mainly preached about the cause of human suffering and how to get rid of it. Through the Four Noble Truths, the Buddha explicates about suffering, the cause of suffering, the way to get out of suffering, and the result of the practice. The root cause of the pain is grasping in the self and the attachment to the self. In order to reach eternal and ultimate happiness, one must accurately grasp self as ignorance. The theory of selflessness, the right perception as to the self, has pivotal implication as it is the boundary indicator that separates Buddhist philosophy from non-Buddhists. Selflessness is a concept that presupposes the concept of self. Thus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grasp what is the self―the object of the negation―in the beginning.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ook at the object of denial of self centering on Mādhyamika―and particularly the Consequence School(Mādhyamika-Prāsaṅgika, dbu ma-thal gyur pa)―among the four schools of Buddhism. By identifying the self with self-nature, the Consequence School allows no substantiality for affirmation while the rest of the Buddhist schools accept existence of substantial objects. We will look at the object of negation as we step through the steps from rough selflessness to fine selflessness. First of all, entire Buddhists do not acknowledge the independent ‘the permanent and omni-present self’ outside the five aggregates that non-Buddhists insists on. If you enter the four major schools of Buddhism, of the two types of selflessness, selflessness of person but not selflessness of things, the Sarvāstivādin and Sautrāntika recognize the selflessness of person but not the selflessness of things. They are denying only my self and my knowledge through selflessness of person. Except for the Consequence School, the Cittamātra school and the Autonomy School(Mādhyamika-Svātantrika, dbu ma-rang rgyud pa), the object that is denied in the selflessness of person is ‘pudgala’, and the object that is affirmed in the selflessness of things, such as the five aggregates and consciousness, are left behind. The Consequence School regards the self and the self-nature as the same and understands the selflessness as the no self-nature. By denying the self-nature of 'self' in the selflessness of person and the self-nature of 'five aggregates' in the selflessness of things, no object is affirmed. However, it does not deny the external things as object of perception as asserted by the Cittamātra school, but rather admits that they are causally established things as a name although they no self-nature. Since the meaning of selflessness is clearly revealed by thoroughly grasping the object of 'self' that is being denied, this paper identifies the object of negation of selflessness, especially centered on the Consequence School, which leaves no positive object behind. By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cept of selflessness = no self-nature they take and pratītyasamutpāda, the concept of selflessness is more clearly revealed. 붓다는 주로 인간의 고통의 원인과 그것을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한다. 4성제를 통해 고통과 고통의 원인, 고통에서 벗어나는 방법과 그 결과에 대해서 말한다. 그 고통의 근본 원인이 我와 我所執이라는 것이다. 고통이 제거된 궁극적 행복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我相, 我執이라는 무지를 정확히 파악하지 않으면 안 된다. 我에 대한 바른 인식인 무아론은 불교도와 비불교도를 구분 짓는 경계 지표가 되며 그만큼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 無我는 我를 전제한 개념이다. 그렇다면 먼저 ‘무아’라고 할 때 부정하고 있는 대상인 我가 무엇인지부터 정확히 파악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고는 불교 4대학파 중에서도 귀류논증 중관학파를 중심으로 무아의 부정 대상(否定對象, pratiṣedhya, dgag bya)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머지 학파들은 부정하는 것 외에 긍정 대상을 남겨두고 있지만 귀류논증 중관학파는 我와 自性을 동일시 함으로써 그 어떠한 긍정의 대상도 남기지 않는다. 거친 무아에서 미세한 무아로의 단계를 밟아 나가면서 그 부정 대상을 살펴볼 것이다. 일단, 불교도는 공히 외도가 주장하는 오온 밖의 독립적인 ‘常一主宰的자아’는 인정하지 않는다. 불교 4대 학파로 들어오면, 人無我(我空)와 法無我(法空)의 두 가지 무아 중 유부와 경량부는 인무아만 인정하고 법무아는 인정하지 않는다. 인무아를 통한 我와 我所만을 부정하고 있다. 귀류논증 중관학파를 제외한 나머지 학파인 유식학파와 자립논증 중관학파에서는 인무아에서 부정하는 대상은 ‘보특가라(pudgala)’이고 법무아에서는 오온과 식 등 각각 긍정하는 대상을 남겨둔다. 귀류논증 중관학파는 我와 自性을 동일한 것으로 보고 無我를 無自性으로 파악한다. 인무아에서는 ‘我’의 자성, 법무아에서는 ‘오온’의 자성을 부정함으로써 어떠한 대상도 긍정하지 않는다. 그러나 유식학파에서 주장하는 것처럼 외경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며 자성은 없지만 연기적으로 名言成立함을 인정하고 있다. 무아는 부정하고 있는 ‘아’의 대상을 철저히 파악함으로써 그 의미가 명확히 드러나므로 본고는 특히 어떠한 긍정 대상도 남기지 않는 귀류논증 중관학파를 중심으로 무아의 부정 대상을 파악하고, 그들이 취하는 무아=무자성의 개념과 연기의 상관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무아의 개념을 보다 명확히 드러내고자 한다.

      • KCI우수등재

        초기불교 무아설의 유형에 대한 검토와 분류

        임승택(Lim, Seungtaek) 불교학연구회 2021 불교학연구 Vol.69 No.-

        무아의 의미에 관한 논의는 이미 많은 학자들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특히 한국불교계에서는 ‘무아윤회’라는 독특한 이론이 크게 유행하였고, 최근에 이르러서는 ‘무아윤회’의 논리에 내재된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지적되고 있다. 필자는 ‘무아윤회’에 대한 비판적 입장에서 초기불교 본래의 무아로 되돌아가야 할 필요성을 절감하였고, 그러한 이유에서 니까야(Nikāya)에서 설해지는 무아의 구체적 양상을 확인하는 작업에 나서게 되었다. 본 연구는 무아(anattan)라는 용어의 격변화 형태에 주목했던 선행 연구를 뒤잇는 것으로, 무아라는 말이 등장하는 구절이나 문장을 검토하면서 무아에 대한 유형별 구분을 시도한다. 여기에는 무아라는 낱말 자체가 등장하지는 않지만 무아설로 귀속시킬 수 있는 구절이나 문장 등도 포함된다. 필자는 초기불교 당시 유통되었던 무아설을 3가지 부류의 11가지 유형으로 세분화할 수 있다고 본다. 본 논문은 지면 관계상 이들 중 첫 두 부류의 6가지 무아 유형에만 논의의 초점을 모은다. 첫 번째 부류의 3가지 무아 유형은 무아의 실제 의미가 ‘동일시의 부정’ 즉 비아(非我)에 가깝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이들 중에는 ‘나의 것’에 대한 부정을 묘사하는 와중에 오히려 ‘나’의 존재를 부각시키는 사례도 나타나며, 바로 그것을 무아의 의미로 형식화하여 해설하는 경우도 확인된다. 한편 두 번째 부류의 3가지 유형은 사변적 견해를 비판하면서 무아에 대한 견해나 주장마저도 극복의 대상일 수 있다는 사실을 일깨운다. 또한 언어의 한계를 지적하면서 어떠한 형태로든 ‘나’라는 생각에 빠지지 말라는 메시지를 전한다. 필자는 이들 6가지 유형들이야말로 초기불교에서 가르친 무아설의 주류(mainstream)에 해당한다고 생각한다. Discussions on the meaning of selflessness or anattan have already been conducted in various ways by many scholars. In particular, the interesting theory of ‘selfless rebirth (無我輪廻)’ has gained popularity in the Korean Buddhist academia, and until recently, problems inherent in the logic of ‘selfless rebirth’ have been continuously pointed out. From the critical point of view on the theory of ‘selfless rebirth’, I realized the need to return to the original Buddhist selflessness teaching, and for that reason, I began to work to confirm the specific aspects of selflessness in Nikāyas. This study follows the previous studies that focused on the grammatical cases of the term anattan, and attempts to distinguish the doctrines of selflessness by types while reviewing the phrases or sentences in which the word anattan appears. And this work also includes phrases or sentences in which the word anattan itself does not appear, but can be attributed to selflessness teachings. I believe that the selflessness that existed at the time of Early Buddhism could be subdivided into eleven types under three categories. This paper focuses on the six types of the first two categories. The first three types of selflessness belonging to the first category indicate the fact that the actual meaning of selflessness is close to the meaning ‘it s not mine (非我)’. Among these, there are circumstances where the existence of self is rather accentuated while describing the denial of my own, but cases where the denial of my own is formalized and articulated in the formal meaning of selflessness. The three types belonging to the second category, on the other hand, condemn speculative discourses and even regard these views or claims about selflessness as objects of overcoming. These type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avoiding the concept of self in whatever form, citing conceptual or linguistic limits. I think these six types are the mainstream of selflessness theory in Early Buddhism.

      • KCI등재

        무아(無我, anattan)에 근거한 소통 담론의 모색

        임승택 대동철학회 2022 大同哲學 Vol.101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ek communication discourse to cope with conflict problems using the theory of Selflessness(anattan) of Early Buddhism. Various types of theories of Selflessness appear in Early Buddhist literature Nikāya. I believe that the types that contain 'disidentification' can serve as guidelines for communication activities for a cooperative life. Selflessness presented in ‘disidentification’ is based on a reflective attitude toward one's own arguments and opinions. This could be done with the wisdom that the material phenomena (色, rūpa) or feelings (受, vedanā) that make up one's own experience are not ‘my own (mama)’ and are not ‘my self (me attā)’. Such denial is a rejection of the factors that make up one's own identity, and can prevent being buried in one's own beliefs or thoughts. In the absence of such a reflective attitude, I believe that excessive confidence in one's own feelings or thoughts, as well as a lack of communication with others, can occur. Selflessness of disidentification cannot be regarded as an ontological denial of me or self, but can be said to be 'distancing' with the factors that make up one's own self. This 'distancing' can enable securing the space for others as much as keeping a distance from oneself. In this respect, Selflessness is not a total rejection of me or self, nor a blind acceptance of others. The practice of Selflessness requires flexibility and balance that are not bound to both oneself and the other. This paper uses Wonhyo(元曉)'s thought of Hwajeong (和諍) and the discourse of Experientialism to clarify the practical nature of Selflessness. Wonhyo's argument is consistent with the Selflessness theory in that it states that even one's own beliefs and empirical convictions should be open to review and criticism by others. Experientialism, on the other hand, proposes deriving clues to empathy and communication from the empirical perception of distress along with pointing out the problems caused by absolutist way of thinking. This argument of Experientialism can also be said to be in line with the practical teachings of early Buddhism, including Selflessness. 이 글은 초기불교의 무아설(無我說)에 근거하여 갈등 문제의 대처를 위한 소통 담론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초기불교의 니까야(Nikāya) 문헌에는 다양한 유형의 무아설이 나타난다. 필자는 그들 중 ‘동일시의 부정(disidentification)’을 내용으로 하는 무아 유형 들이야말로 협력적 삶을 위한 소통의 지침이 될 수 있다고 본다. ‘동일시의 부정’ 방식으로 제시되는 무아란 스스로의 주장과 견해에 대한 반성적 태도를 본질로 한다. 이것은 자신의 경험을 구성하는 물질현상(色, rūpa)이나 느낌(受, vedanā) 따위에 대해 ‘나의 것 (mama)’이 아니며 ‘나의 자아(me attā)’가 아니라고 부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부정은 스스로의 정체성을 이루는 요인들에 대한 거부로서, 자신의 신념이나 사고에 매몰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필자는 이와 같은 반성적 태도가 결여된 상태에서는 스스 로의 느낌이나 생각에 대한 과도한 확신과 함께 타인과의 소통 부재 상황이 초래될 수 있 다고 본다. 동일시 부정의 무아는 ‘나’ 혹은 자아에 대한 존재론적 부정으로 볼 수 없으며, 다만 자신을 구성하는 요인들과의 ‘거리두기’로 바꾸어 말할 수 있다. 이러한 ‘거리두기’는 자신에 대해 거리를 두는 정도만큼 타자를 위한 여유 공간의 확보를 가능하게 해줄 수 있 다. 이 점에서 무아란 ‘나’ 혹은 자아에 대한 전면적인 거부가 아니며 타자에 대한 맹목적 인 수용도 아니어야 한다. 무아의 실천에는 자신과 타자 모두에게 얽매이지 않는 유연성과 균형감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이 글은 무아의 실천적 측면을 규명하기 위해 원효의 화 쟁(和諍) 사상과 현대의 체험주의(Experientialism) 담론을 활용한다. 자신의 신념이나 확 신조차도 다른 사람에 의한 검토와 비판에 개방되어야 한다는 화쟁 해석은 무아의 실천적 측면을 이해하는 데 참고가 될 수 있다. 한편 체험주의 담론은 절대주의적 사고방식의 폐해를 지적하는 동시에 몸으로 경험되는 ‘나쁜 것’에 대한 체험적 인식으로부터 공감과 소통 의 실마리를 찾아나갈 것을 제안한다. 체험주의의 시선은 무아설 및 사성제(四聖諦)가 사변 의 산물이 아니며 생생한 삶의 현실에 대처하기 위한 것임을 드러내는 데 유용하다.

      • KCI등재

        불교철학과 기초심리학의 관점에서 본 무아의 심리학

        윤희조(Youn, Hee-Jo) 새한철학회 2019 哲學論叢 Vol.95 No.1

        본고는 무아의 심리학의 가능성과 무아의 심리치료적 함의를 불교철학적 관점과 서구의 기초심리학적 관점에서 기술하고자 한다. 불교철학적 관점에서 무아는 오온무아, 제법무아, 연기무아로 볼 수 있다. 오온의 비실체성은 제법의 비실체성으로 나아가고, 이는 상호의존적 관계성과 운동성으로 나아간다. 기초심리학적 관점에서 무아는 인지적 무아, 정서적 무아, 행동적 무아, 성격적 무아로 볼 수 있다. 실체적 사고, 이분법적 사고, 분별적 사고, 희론적 사고, 당위적 사고, 나 중심사고는 인지적 무아에 반대된다. 정서적 무아는 비실체적 정서, 비집착적 정서를 말한다. 행동적 무아는 즉비의 논리에 기반한 행동이고, 자비희의 행동으로 귀결된다. 성격적 무아는 성인의 성격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무아의 심리학을 기반으로 무아의 심리치료 또는 무아상담적 함의를 도출할 수 있다. 각각의 오온에 대해서 무아의 일의적 적용, 무아를 포함한 삼법인의 인정, 관계성과 상호의존성의 인식, 명과 관의 중요성 인식, 처계라는 감각과 공간의 비실체성과 역동성은 무아상담적 함의라고 할 수 있다. 서구심리학의 자아는 만들어진 것이고, 변화하는 것이고, 자아와 무아는 동일한 지평에 존재하는 않는다는 것도 무아상담적 함의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무아의 심리학은 무아의 관점에서 심리학을 새롭게 볼 수 있는 근원적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scribe the possibility of psychology of anatta and the implications of psychotherapy with anatta in Buddhist philosophical and fundamental psychological perspectives. From the Buddhist philosophical point of view, anatta can be seen as humanistic anatta, phenomenal anatta, and relational anatta. The non-substantiality of human goes into the non-substantiality of the phenomena, which goes into interdependence and mobility. From the basic psychological point of view, anatta can be seen as cognitive anatta, emotional anatta, behavioral anatta, and personality anatta. Substantive thinking, dichotomous thinking, discriminant thinking, proliferative thought, normative thinking, and I-centered thinking are opposed to the cognitive anatta. Emotional anatta refers to non-substantial and non-attached emotions. Behavioral anatta is behavior based on the logic of identity and difference and results in the behavior of non-self-interest. Personality anatta can be regarded as personality of saint. Based on the psychology of anatta, it is possible to derive implication of the psychotherapy with anatta or counseling with anatta. The self of the Western psychology is made and changed, and the fact that the self and non-self do not exist on the same horizon can be considered as implication in the counseling with anatta. This psychology of anatta is a fundamental work that can see new psychology from the viewpoint of anatta.

      • KCI등재

        무아관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윤석인,김완석 한국건강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7 No.2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d validated the Non-Self Perspective Scale (NSPS). Non-self-perspective refers to the idea that ‘Self’ is a phenomenological experience that changes consistently depending on the prevailing conditions and it means a self-view based on Buddhist wisdom. In Study 1, NSPS was developed, and in Study 2,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NSPS were verified. NSPS was developed through item selection, expert’s item evaluation, first preliminary test, cognitive interview, second preliminary test and main test. Finally, a 15-item single factor NSPS was developed. In main test, test-retest reliability was .72, which was an appropriate level. NSP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elf-view-related variables such as independent/interdependent self-construal, metapersonal self and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NSP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ractical aspects of non-self, such as mindfulness, zhongyong, compassionate love, nature relatedness and lack of tolerance for uncertainty. NSP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ental health such as depression, anxiety, subjective well-be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the other hand, NSPS showed incremental validity for the mental health indicators even after controlling for adaptive and independent self-views such as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self-esteem. Based on these results, discussions were conducted. Finally, implications and directions of use of NSPS were introduced and further studies were suggested. 본 연구에서는 무아관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무아관이란 ‘나’라고 하는 것이 매 순간 조건 따라 변화하는 현상학적 경험이라고 여기는 것으로, 불교적 지혜에 기반한 자기관을 의미한다. 연구 1에서 무아관 척도를 개발하였으며, 연구 2에서 무아관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예비문항 선정. 전문가 문항평정, 1차 사전검사, 인지면담, 2차 사전검사 및 본검사를 거쳐 무아관 척도를 개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단일요인 15문항의 무아관 척도가 개발되었다. 본검사에서 무아관 척도의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72로 적절한 수준이었다. 무아관은 독립적·상호의존적 자기해석, 초월적 자기 및 자기애성 성격장애와 같은 자기관 관련 변인들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무아관은 마음챙김, 중용, 연민적사랑, 자연연관성 및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같은 무아의 실천적인 모습들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며, 우울, 불안, 주관적 안녕감 및 심리적 안녕감과 같은 정신건강 지표들과도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한편 무아관은 내적통제소재 및 자존감과 같이 적응적이고 독립적인 자기관을 통제한 이후에도 앞선 정신건강 지표들에 대해 증분타당도를 보였으며, 기존의 무아 척도를 통제한 이후에도 정신건강 지표들에 대해 증분타당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무아관 척도의 의의 및 사용 방향을 소개하고 추후 연구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무아(無我)와 일심(⼀⼼)의 회통

        한자경 한국불교학회 2022 韓國佛敎學 Vol.103 No.-

        This paper intends to clarify that the theory of no-self (無我, anātman) in early Buddhism and the theory of one-mind (⼀⼼) in Mahayana Buddhism are not confrontations or contradictions, but rather theories of mutual complementarity in which one is established through the other. In other words, Mahayana Buddhism’s one-mind, Buddha-nature, and tathagata are all based on the Buddha’s theory of no-self and the conclusions thereof. Similarly, vipassana meditation of Theravada, which focuses on the extinction of defilements, and Ganhwa/Zen practices of Mahayana, which seeks awareness of the Tathagata or Buddha-nature inherent in the mind, do not contradict, but complement each other. To reveal the meaning of no-self in early Buddhism, in section two the five aggregates (五蘊說, pañcakkhandha) will be discussed including clarification regarding how they relate to no-self (無我), and not not-self (⾮我) or being-self (有我). In section three, two steps of Buddhist practice leading to one-mind of Mahayana Buddhism will be explained. The first step is from the samsara gate (流轉⾨) to the apavarga gate (還滅⾨). The second step is from the arising and ceasing gate (⽣⾨滅) to the tathata gate (眞如⾨). The inseparable relationship between no-self of early Buddhism and the one-mind of Mahayana Buddhism will b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so-called “liar paradox” in section four. Thus it will be clarified how the no-self in early Buddhism is completed in the one-mind of Mahayana Buddhism, and how vipassana meditation of the Theravadin school is related to Ganhwa and Zen practice of Mahayana. 본 논문은 초기불교의 무아설과 대승불교의 일심설이 대립이나 모순이 아 니고, 하나를 통해 다른 하나가 성립하는 상호보완의 설 또는 서로 회통하는 설임을 밝히고자 한다. 즉 대승불교가 말하는 진여심이나 일심, 불성이나 여 래장은 모두 붓다가 설한 무아에 기반하고 무아이기에 성립하는, 무아의 결 론이라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탐진치의 번뇌 소멸에 주목하는 상좌부의 위빠 사나수행 내지 사띠수행과 중생의 마음을 어지럽히는 객진번뇌와 무관하게 본래 그 내면에 내재해 있는 불성 내지 본래면목을 자각하고자 하는 대승의 간화선수행은 서로 대립하거나 서로 상반된 수행이 아니라 서로를 보완하고 절충하는 수행임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초기불교의 무아의 의미를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불 교의 5온설이 어떤 의미에서 무아설이고 비아설(⾮我說)이나 유아설(有我說) 이 아닌지를 밝히고, Ⅲ장에서는 대승불교의 일심으로 나아가는 불교 수행의 두 단계를 살펴본다. 즉 연기의 유전문에서 환멸문으로 나아가는 수행(사념처 수행)과 다시 그 둘을 포함한 생멸문에서 진여문으로 나아가는 수행(선수행) 을 밝혀본다. 그리고 Ⅳ장에서 초기불교의 무아와 대승불교의 일심의 불가분 리의 관계를 소위 거짓말쟁이 역설을 통해 논한 후, 마지막으로 Ⅴ장에서 본 논문의 의의를 정리하면서 글을 마치도록 한다. 이로써 초기불교의 무아가 어떻게 대승불교의 일심사상으로 완성되며, 상좌부의 위빠사나수행이 어떻게 대승의 간화선과 연결될 수 있는지를 밝힌다.

      • KCI등재

        초기불교 無我說의 현상학적 연구 - 無我觀의 본질적 체험구조 분석을 중심으로 -

        윤동현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22 禪文化硏究 Vol.33 No.-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no - self theory of Buddha on a phenomenological base. The study examines the transcendental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Anattalakkhaṇa - sutta(無我相經), focusing on both teachings of Buddha and the experiences of his monks who practiced no - self. It divides the sutta into four parts, ① teachings of no-self, ② practicing of no - self, ③ deepening of the practicing, ④ results of the practicing, and then analyses each of the parts transcendental phenomenologically. As a result, it reveals the practice of no - self, which is an act of having an insight by contemplation, is equal to “seeing essences(Wesenserschauung )” in a phenemenological sense. On a physical aspect, the practice of no - self is an act of seeing the essences of five aggregates in the conditioned realm, including impermanence(aniccā), suffering(dukkha), and no - self(anattā). On a metaphysical aspect, it is also an act of seeing that the essences of ātman in the unconditioned realm are permanence(nicca), pleasure(sukha), and true-self(attā). Therefore, the practice of no-self is an act of seeing a two - tiered truth of no-self(二諦無我論).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불교 붓다의 무아설(無我說)을 현상학적으로 연구하여그 함의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무아상경(無我相經) 에 기술된 교설과 이를 수습하는 수행승들의 체험의 영역을 초월론적 현상학적으로 분석한다. 즉, ‘무아설을 수습[無我觀]하는 체험’을 현상학적으로 살펴보며, 이에 대한 1인칭적체험의 영역을 재현(再現)하며, 그에 대한 본질적 의미구조를 파악하는 것이다. 무아상경의 구조를 ① 무아의 교설, ② 무아의 수습, ③ 수습의 심화, ④ 수습의결과 등으로 나누어, 교설에 대한 이론적 분석과 초월론적 현상학적 분석을 진행한다. 무아관이라는 명상적 통찰 행위는 일종의 현상학적 본질직관에 해당함을밝히고, 현상학적 본질직관의 맥락에서 보는 무아관의 체험은 ‘아트만이 아닌 것’ 에 대한 본질직관이며, 이것은 수습의 궁극의 영역에서 ‘아트만’에 대한 본질직관과 그 실질이 다르지 않음을 논증한다. 현상학적 관점을 통해 분석한 무아관은 형이하학적으로는 일체 유위계의 오온에 대한 무상성(無常性)·고성(苦性)·무아성(無我性)의 본질을 직관하는 동시에, 형이상학적으로는 무위계의 아트만에 대한 상성(常性)·락성(樂性)·아성(我性) 의 본질을 직관하는 행위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일종의 2가지 차원의 진리[二諦]를직관하는 행위라 할 수 있다. 즉, 무아론에는 2가지 차원의 진리가 함의되어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자는 이를 ‘이제무아론(二諦無我論)’으로 지칭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