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내단사상에서의 덕행 실천의 문제

        김낙필(Kim Nakpil) 한국도교문화학회 2011 道敎文化硏究 Vol.35 No.-

        신선사상은 그 뿌리가 깊지만 후한 말 무렵에나 이론적으로 체계화되었다. 그 시기의 대표적인 문헌인 갈홍(葛洪)의 『포박자(抱朴子)』와 위백양(魏伯陽)의 『주역참동계(周易參同契)』에서는 공통적으로 덕행의 실천을 강조하고 있다. 그후 덕행 실천의 문제는 내단사상을 중흥시킨 당말-오대의 종려파(鍾呂派)에서 새롭게 논의되며 북송 장백단(張伯端)에 이르러 그 의미가 더욱 부각되었다. 장백단은 덕행의 실천이 부족하면 수련의 실질적 진보에 큰 장애가 된다고 생각하였다. 장백단에 의하면 인간의 생명요소는 후천과 선천으로 구분되는데 수련의 요체는 선천의 성과 명을 회복하는 데에 있다. 후천적 성명을 돌이켜 선천을 회복하려면 먼저 후천적인 기질지성을 순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 그의 관점이었다. 이러한 순화작업은 청정한 마음의 회복과 이타적 덕행의 실천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보았다. 이에 덕행의 실천은 본성과 본래의 원기를 발현하는 필요한 과정으로 여겨졌다. 이러한 논의는 순양지기(純陽之氣)와 덕행의 관계로까지 확대되어 청대에는 인의 또는 충의의 마음이 순양지기의 나타남이라는 관점도 제기되었다. 그러나 덕행의 내면에 순양지기의 요소가 있긴 하지만 단(丹)을 이룰 수 있는 충분한 양기는 아니라고 후퇴하였다. 이는 유ㆍ도 통합적 시각이 견지되었지만 유가와는 다른 면이기도 하다. 유불의 수행관과 다른 내단사상의 특징적인 면은 선천기의 회복에서 찾을 수 있다. 내단사상가들은 순수한 선천기(命)와 밝은 본성(性) 간에는 상호 영향관계가 있다고 보고 성명쌍수를 주장한다. 선천기로 구성된 단의 제련 이전에 요청되는 덕행의 실천은 선천기를 드러내기 위한 공부의 성격을 지닌다. 이에 비해 단을 제련한 후는 선천기, 즉 순양의 원기가 더 높은 정신적 각성을 가져온다고 본다. 단을 제련한 후의 덕행의 실천은 자아의 고양과 성숙의 단계로 이해할 수 있다. 즉 단을 이룬 후의 덕의 실천은 원기의 회복이라는 의미를 넘어선 면이 있다. 개체의 인격을 사회와 세계, 우주로 확대하는 과정이라는 의미이다. At late Han dynasty the thought of shin-shun(Immortals) was systematized in two taoist texts, Baupuzi and Zhouyicantonggi. Two texts commonly stressed cultivation of morality as an essential element for attaining Golden elixir. Lu Dong bin, a taoist scholar at five dynasty period, suggested that for attaining tao one must cultivate morality before proceeding into deep and real stage of Internal alchemy(naetan). Zang Bo Duan, a taoist scholar of north Song dynasty, insisted there remains various obstacles in practice of internal alchemy without cultivating morality sufficiently. Accoring to Zang Bo Duan human vital elements are divided into two aspects : inherited original elements and postnatal elements. The essential way of Naetan is recovering original elements(primordial vitality and original nature) from restricted postnatal elements. For recovering original elements it is necessary for us to purify and discipline postnatal nature above all. He divided this practice of purifying into two ways, cultivation of morality and cleaning mind free from avarice. He regarded cultivation of morality as a necessary step to disclose primordial vitality and original nature. This discussion was developed to the relation of morality and pure primordial vitality (perfect yangchi). Hyua?ngyua?nji, a taoist philosopher of Ching dynasty, insisted that “Practice of humanity and justice can be regarded as outer expression of inner primordial vitality. Based on trying to integrate Taoism and Confucianism harmoniously he approved there are contained elements of primordial vitality in humanity and justice. But he thought these elements in moral virtue was insufficient for attaining golden elixir. Main characteristic of the theory of Naetan different from buddhism and confucianism consists in trying to recover primordial chi(vitality). Taoist naetan philosophers insisted there are reciprocal reaction between primordial chi and original nature. Based on this view they suggested primordial chi and original nature should be cultivated in mutual harmony. Cultivation of morality before attaining Golden elixir aims at disclosing primordial vitality in human body. After attaining Golden elixir pure primordial chi makes it easy to attain spiritual enlightenment. We can tell cultivation of morality after attaining Golden elixir as an enhancement and extension of personality. It means a procedure to enhance each individual person from selfish ego to social personality, furthermore universal being. It means a procedure to enhance each individual person from selfish ego to social personality, furthermore universal being.

      • KCI등재

        Taking Pleasure in Acting Virtuously

        Um, Sung-woo(엄성우)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0 철학사상 Vol.37 No.-

        본 논문의 목적은 덕행을 할 때 고통을 느낀다는 사실만으로는 덕인이 되는 데 결격 사유가 되기에는 불충분하며 아리스토텔레스도 이에 동의할 것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덕인의 도덕 심리에 대한 한 가지 해석을 제시한 후, 이에 근거해 필자 자신이 보는 아리스토텔레스적 덕인에 대한 심리 분석을 제시할 것이다. 비록 덕인에게 있어 덕행을 한다는 그 사실 자체는 즐거울 것이지만, 아리스토텔레스의 용감한 사람 사례에서 볼 수 있듯 어떤 특수한 상황에서 덕행을 위해 소중한 것들을 포기해야만 하는 사실은 고통스러울 수 있다. 고통을 야기하는 대립 욕구가 그 자체로만 고려되었을 때 허용할만한 것인 한, 그러한 그 고통은 그 사람의 덕이 모자람을 나타내지 않는다. 만약 대립 욕구가 그 자체로 볼 때는 좋은 것이라면 그 경우 덕행을 할 때 아무런 고통을 느끼지 않는 것이야말로 덕의 부족을 나타낼 것이다. 또한, 덕행을 함에 있어 고통을 느끼는 것은 내적 갈등을 경험하는 것과 다르다. 비록 때로는 덕인도 욕구들의 갈등에 의해 고통을 느낄 수 있지만, 덕행의 수행에 있어서는 항상 자발적이고 단호하다. 요컨대 완전한 덕인은 자신이 덕행을 한다는 사실로부터 즐거움을 느끼지만, 어떤 상황에서는 덕인도 덕행을 할 때 고통을 느낄 수 있다. The main aim of this paper is to argue, as Aristotle would agree, that the mere fact that a person feels pain while acting virtuously is not sufficient to claim that he is defective as a virtuous being. After providing a plausible interpretation of the moral psychology of Aristotle’s virtuous person, I am going to propose my own version of an Aristotelian virtuous person. For a virtuous person, although the fact that his action is virtuous would be pleasant, the fact that he has to give up precious things for the sake for the sake of it at the given particular situation might be painful, as in Aristotle’s example of a brave person. Insofar as the opposing desire causing the pain, taken by itself, is a permissible one, such pain does not indicate that the person’s character is less virtuous; rather, if the opposing desire in the dilemma situation is good in itself, feeling no pain while acting virtuously indicates that the person is less virtuous. Moreover, being pained by acting virtuously is different from experiencing inner conflict while so acting. Although a virtuous person sometimes might be pained by conflicting desires, he performs virtuous actions willingly and decisively. To sum up, while a fully virtuous person always virtuous person always takes pleasure in the fact that his actions are virtuous, there are situations where he feels pain while acting virtuously.

      • KCI등재

        덕성(德性)에서 덕행(德行)으로

        정소이(So-yi Chung)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12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9

        유학(儒學)에 대한 윤리학적 연구는 최근 덕 윤리학(virtue ethics)과 관련되어 많은 연구 성과가 축적되고 있다. 덕 윤리학은 ‘덕성(德性) 윤리학’ 혹은 ‘덕행(德行) 윤리학’으로 번역되는데, 이는 유학에서, 특히 신유학에서 마음에 내재된 덕성을 함양한다는 것은 곧 자연스러운 덕행의 실현을 약속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모든 유학자들이 덕성(德性)에 중점을 둔 것은 아니다. 다산 정약용은 자신을 맹자를 계승하는 유학자임을 분명히 하였지만, 사람의 마음속에는 인의예지(仁義禮智)를 내용으로 하는 타고난 덕성이 없으며 단지 덕을 좋아하는 경향성, 혹은 기호(嗜好)만이 있을 뿐이라고 주장하였고, 정(靜)적인 덕성 함양 자체는 오히려 덕행의 실천에 방해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고 비판하였다. 그는 도덕은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기질과는 무관하며, 도덕 행위를 할 수 있는 역량은 성인이든 노둔한 자든 충분하다고 주장하였다. 내면의 갈등을 없애고 성인의 자질을 갖추기 위해 기질변화의 노력을 하는 것보다 구체적인 인륜을 실천하는 것이 훨씬 값진 일이라는 것이다. 다시 말해, 다산의 유학은 ‘덕성 없는 덕행’을 주장하는 실천철학이었다. Recently, a body of literature concerning Confucian ethics emerges in relation to virtue ethics. Virtue ethics is translated in Chinese as "ethics of virtuous nature" and as "ethics of virtous action"; interestingly, two terms are used freely, without much distinction. I conjecture it is due to the peculiar character of Confucianism, especially that of Neo-Confucianism, that having a virtuous nature almost guarantees that there follows virtous actions. On the other hand, not all Confucian scholars emphasize one"s inborn, virtuous "nature." Tasan Chong Yag-yong makes it clear that inside human mind, there is no natural virtuous nature in human mind, but only a tendency or inclination that prefers goodness over evil. Even more, quiet cultivation of one"s inner mind gets in the way of actually performing the moral goodness. In other words, Tasan"s ethical position is that of practical one, giving priorities to "doing"(virtuous action) instead of "being"(virtous nature), which sounds just the opposite of what many ethicists claims virtue ethics to be. It has to be pointed out, nonetheless, that Tasan"s theories have never overlooked the virtue and stressed only the general rules for action. His notion of "doing" is the one that, when performed in a consistent manner, eventually shapes the agent"s "being." In this sense, Tasan"s ethical perspective can be said to fall somewhere between the traditional virtue ethics and the present ethics of duty.

      • KCI등재후보

        일두 정여창의 선비정신 연구

        이정화 ( Lee Jeong-hwa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8 韓國思想과 文化 Vol.93 No.-

        공맹(孔孟)의 학문에서 예의는 사양과 겸손의 마음이 중심이 되므로, 이는 일두의 선비정신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일두의 덕행이 조정에까지 알려진 이유는 홀어머니에 대한 효성의 지극함으로 그 당시 선비들의 본보기가 되어왔기 때문이다. 중정인의(中正仁義)로써 뜻을 세울 수 있도록 만대에 걸쳐 교훈을 드리워주는 존재가 성인(聖人)인데, 성인의 가르침을 제대로 알고 이를 잘 실천할 때에야 비로소 하늘이 내린 인간 본연의 성품을 회복할 수 있다는 것이 일두의 지론이다. 선현(先賢)들의 실천적 삶을 존숭한 일두의 시정신은 자신 또한 선현들처럼 성학(聖學)을 실천하며 살아가는 삶에 인생에 가치를 두고 있음을 술회하고 있다. 특히 일두의 시에서는 세속의 이익에 영합하지 않고 살아가는 것이 실천적 선비의 참마음에서 비롯된 것임을 일깨우고 있다. <삼가 율정 이관의 선생 시에 차운한> 시에서는 스승인 율정이야말로 그 학문의 깊이가 당대에 으뜸인 선비였음에도 스스로 누항(陋巷)에 살며 안빈낙도(安貧樂道)를 실천한 삶에 의미를 둔 학자임을 강조하였다. <강성군 문익점을 추숭한 ‘목면화기’에 제한> 시는 나라와 백성을 위해 힘쓴 삼우당 문익점의 공로를 태산에 빗대어 시상을 전개하고 있는데, 스스로 벼슬살이에 얽매이지 않고 귀거래(歸去來)를 선택한 그의 삶을 우러르며 초탈한 선비의 드넓은 기상을 추숭하고 있다. 또한 <족제 여해의‘바다가 바라보이는 유거(幽居)’에 제한> 시에 나타난 선비정신은 목숨보다 더 소중한 절의를 위해 세상을 피해 살던 백이와 숙제의 참마음을 계승한 것이다. 청청한 마음은 인욕(人欲)에 동요되지 않으며 항심(恒心)을 유지하고 살아가는 선비의 삶과 무관하지 않으며, 변함없는 도심(道心)을 구현하는 선비의 덕행과 맞물려 있다. <강머리에서 벗 권 아무개에게 선사한> 시에서 일두는 지음(知音)과의 교분이야말로 청청한 선비들이 추구해야 할 덕행의 일환임을 보여주고 있다. 일두의 시정신은 백아와 종자기와 같은 지음의 가치가 소중함을 보여줌으로써 일두 자신뿐만 아니라 그의 벗 또한 청청한 선비의 길을 지향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안령에서 바람을 기다리며 쓴> 시는 도심으로 충만한 성인의 삶과 학문을 본받아 수양하는 일두의 마음자세를 알 수 있으며, 청청한 선비의 덕행은 푸른 하늘과 같이 항구적인 것이어야 함을 일깨우고 있다. <두견> 시에서는 ‘의리’를 위시한 선비정신에 내재된 ‘일편단심’의 미의식을 형상화하고 있는데, 이러한 선비정신은 두견이 즉 망제의 넋에게만 있는 것이 아님을 천명함으로써 시대를 막론하고 충절의 덕행을 견지한 선비들의 청청(淸靑)한 시정신을 조명하고 있다. <악양>시는 변함없는 도심을 추구한 일두의 시정신을 계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천의 학문을 위해 힘쓴 일두의 도에 대해 지속적으로 천착해 나아간다면 유도(儒道)의 구현에 기여한 그의 참마음 또한 다채로운 각도에서 조명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In Confucius and Mencius’s ideas, courtesy is centered on the mind of retreat and humility, which has had a profound impact on his spirit of the true human. His virtue became known to the whole country because his mother was very deep in his filial piety and became an example of scholars at that time. His mind, which admired the practical life of old scholars, gave great significance to his life living in practice. His poetry emphasizes that living without following the interests of the world is the true heart of a practical scholar. His teacher is the best in the depth of his studies, and it has the meaning of life to live in a rustic country and to get enlightenment with a relaxed mind. His interest is highly appreciated by scholars who have made numerous contributions to the country and the people. A person with virtue is aware that friendship with a friend who has a heart and a heart is worthwhile because he maintains a constant mind. His poetry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he expresses this relationship between friendship and virtue.

      • KCI등재

        원시유가 심론의 형성과 특징

        김진선(Kim Jin sun) 대한철학회 2015 哲學硏究 Vol.136 No.-

        원시유가의 심론은 주대(周代)에 인간의 덕(德)으로 천(天)의 법칙을 해석하는 사상적 전통에서 공자가 사회 질서인 예(禮)의 근본을 덕과 심(心)에서 찾은 것에서 시작한다. 심에 대한 관심은 원시유가 사유의 중심을 외부세계에서 생명내부로 전환시켰고, 이는 덕의 내재화 경향으로 나타나며, 맹자에게서 사상적 체계를 갖추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공자의 예의 근본에 대한 사유와 자사의 저작으로 알려진 『오행(五行)』을 통해 공자로부터 맹자로 이어지는 원시유가 심론의 형성과정과 그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오행(五行)』은 인간의 마음 상태 또는 생각함(思)을 근거로 진정한 도덕적 행위(德行)와 단지 도덕규범에 부합하는 선한 행위(善行)를 구분한다. 또한 덕행은 천도(天道)라고 규정함으로써 인간의 마음에서 비롯한 행위가 보다 본질적이고 보편적인 것임을 보여준다. 맹자는 인간의 마음이 곧 도덕본체이고 그 마음의 생각함(思)을 통해 도덕적 본질을 자각하고 확충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원시유가의 심론은 유가의 도덕원칙인 인의예지의 범주 안에서 인간 내면의 마음의 구조와 기능 및 실천적 행위와의 관계에 대해 탐색한 이론이다. 공자는 마음을 인간 내면의 보편적 요소로 도덕원칙의 근거가 될 수 있다고 보았고, 『오행』에서는 마음이 어떻게 도덕적 행위의 실천으로 나타나는지 보여주며, 맹자는 그 마음이 곧 인간의 도덕적 본질이라고 천명했다. 한편 이들이 말하는 마음은 고정되고 불변하는 것이 아니라 움직이고 변하는 것이다. 특히 맹자는 심을 인간 본연의 선한 본성을 나타내는 성(性)과 정(情), 재(才) 등의 개념과 다르게 도덕적 자각과 실천의 주체로서 인간의 도덕적 측면뿐만 아니라 비도덕적 측면과 수양의 필요성을 설명하는 개념으로 사용한다. Confucian theory of mind has its origin in Confucius' finding of virtue and Xin(心) as a root of Li(禮), the social order. That is set in the tradition of thought that interprets the rule of heaven as the virtue of humanity in Zhou dynasties. Concern about mind changes the nucleus of the thought from the outside world to the inside of life. The tendency to internalize virtue thus becomes apparent, following an ideological system. This study looks at the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Confucian's original theory of mind from Confucius to Mencius through WuXing(五行) written by Zi Si(子思), and Confucius' thoughts about the root of Li(禮). WuXing(五行) separates out the real moral act from good works that merely meet moral standards based on the human state of mind or thought. It also shows that actions originated in the human mind are intrinsic and universal through regulation of virtues by the way of Heaven(天道). Mencius asserts that the human mind is a moral substance and that people can realize and expand moral essence through the thought of the mind. Original Confucian theory of mind explores the structure and the function of the human min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uman mind and practical actions in Ren(仁), Yi(義), Li(禮), Zhi(智), the categories of Confucian moral principles. How Confucius sees the mind can be the basis of moral principle as the universal element of the human mind. WuXing(五行) shows how the mind appears as the practice of the moral act. Mencius clarified the mind precisely as the moral essence of humans. Meanwhile, the mind they say is not fixed and unchangeable, but moving and changeable. Especially as Mencius uses Xin(心) as a concept to explain not only the moral side of humans as the subject of moral self-awareness and practice, but also the immoral side and necessity of discipline, contrary to the concept of Xing(性), Qing(情), Cai(才), and others that indicate the good nature of human beings.

      • KCI등재

        조선후기 한문학에 나타난 여사(女史)의 형상화 고찰

        김경숙(Kim, Kyung Sook)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21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 No.42

        여사는 사대부 혹은 남성 지식인의 시문에서 호칭되고 형상화되었다. 먼저 여사의 의미 및 여사(女士)와의 관계를 살폈다. 여사는 16세기 전반 공적(公的) 시문에서 여사관(女史官)이란 의미로 사용되었다. 16세기 이후 18세기 말까지는 죽은 이를 기리는 시문에서 여사(女士)라는 뜻도 지니게 되었다. 덕행을 바탕으로 집안을 잘 다스리고 후손이 잘되게 한 사대부 가문의 여성이 여사라고 개념화되었다. 18세기 이후 여사의 다양화 및 의미 범주의 확장이 나타났다. 그림을 덕행과 더불어 여성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삼아, 덕행과 화가의 능력이 있는 사대부 여성을 여사로 보았다. 19세기 중반에는 여사가 예술가라는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사대부들은 여사들과 시문 혹은 그림을 통해 교유하였다. 여사들은 시·서·화에 능했으며 대체로 신분이 기녀이거나 소실이었다. 여사는 시희, 시아, 교서 등의 호칭을 아우르며 대표하는 호칭이었다. 곧, 신분이 낮은 여성들에게 적용 확장되었다. 19세기에서 20세기 초에는 중국과 일본의 여사들이 형상화되었다.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전반까지 활약했던 청나라 여성 화가들을 통해, 여사가 뛰어난 화가이면서 신분적 우위에 있는 여성이란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일본 여사들은 신분이 높았으며 명망 있는 문인이나 화가 집안 출신으로, 입지를 다진 화가였으며 여성 교육에도 힘썼다. 곧, 청·일의 시·서·화에 뛰어난 신분 높은 여성, 나아가 여성 교육에 힘쓴 이들을 여사라고 하였다.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우리나라 여사 의미의 변화가 나타났다. 『본조여사』는 여사 선정 기준을 다양화했고 신분에 관계없이 남다른 행적이 있으면 서술하였다. 여사의 범주를 확장하였고 나라의 위기를 당하여 여사를 본받고자 하였다. 『동양역대여사시선』은 조선 여사 63명과 그들의 시 140제를 수록하였는데, 신분에 얽매이지 않고 시에 뛰어난 여성 작가들을 여사라고 하였다. 이로 볼 때 20세기 초에 이르면 여사의 형상화가 신분을 벗어나 덕행, 예술, 학문, 교육 등 여러 분야에서 남다른 행적이 있는 여성으로 확장되었다. This study considered the figuration of Yeosa(女史) in Sino-Korean Literature in the late Chosun Dynasty. For now, Yeosa(女史) is characterized by being called and shaped in the literature of the Sadaebu(士大夫) or male intellectuals. First, I looked at the meaning of the word Yeosa(女史)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word Yeosa(女士). In the first half of the 16th century, Yeosa(女史) had been meant Female Historian(女史官) in the public record. From the 16th century until the end of the 18th century, Yeosa(女史) also had come to mean Yeosa(女士) in the poem honoring the dead. It was conceptualized that women of Sadaebu(士大夫) family, who had ruled the family well and made her descendants successful based on her virtue, was a Yeosa(女史). Next, I looked at the diversification of Yeosa(女史) and the expansion of meaning categories of Yeosa(女史) since the 18th century. They had considered a woman of Sadaebu(士大夫) who was good at virtue and painting to be Yeosa(女史). In the mid-19th century, the concept of Yeosa(女史) as artists had been expanded. Sadaebu(士大夫) had communicated with Yeosa(女史) through poetry or painting. Yeosa(女史) was applied to women of low social standing, such as Ginyeo(Courtesan), Sosil(Concubine), who were good at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Yeosa(女史) had become the appellation which had encompassed and represented Sihee(詩姬) · Sia(詩娥) · Gyoseo(校書). In th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Yeosa(女史) of Qing Dynasty and Japan had been depicted. It was the female painter of Qing Dynasty who had been active vigorously from the late 18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and the female painter of Japan who had worked actively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 Women of high social standing who excel in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and those who focused on women s education based on this ability, were called Yeosa(女史).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d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e meaning of Yeosa(女史) had been changed in Korea. 『Bonjoyeosa(本朝女史)』 diversified the criteria for selecting Yeosa(女史), and described any special acts regardless of their status. It had expanded the category of Yeosa(女史), and tried to emulate Yeosa(女史) in the face of a national crisis. The 『Poetry Selection of Women of the Orient(東洋歷代女史詩選)』 contained 63 Chosun Yeosa(女史) and 140 of their poems, and women writers who excel in poetry regardless of their social status had been called Yeosa(女史). In this regard, we can see that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figuration of Yeosa(女史) had been expanded beyond their status to women with extraordinary achievements in various fields such as virtue, art, learning, and education.

      • KCI등재

        儒家의 全人的 指導者像 考察

        김경미 동양고전학회 2016 東洋古典硏究 Vol.0 No.62

        본고는 개인의 德性과 사회적 德行의 보편적 가치와 규범이 제시되어 있는 儒家 經典을 토대로 君子다운 지도자상은 어떠한 것인가를 파악하는 작업이다. 따라서 인간다움을 참다운 것으로 삼고, 인간관계의 사회성을 제대로 실천하는 有德者의 가치관에 대하여 논의하고 있다. 군자상의 진면목은 조화의 균형 감각이 있고 자기 수양에 엄격하며 인간관계의 상생적 가치를 창출하는 등 진선미가 삼위일체로 융합되는 ‘成己成物’의 참된 人物像이라는 점을 찾아보고자 한다. 儒家에서 말하는 聖人, 賢人, 大人, 君子 등은 인간세상을 이끌어가는 사회지도자를 의미한다. 그들은 무엇보다도 인간다운 도리를 지키며 사회풍토를 아름답게 교화하고 정신과 物質의 調和⋅人格과 能力⋅經濟와 道德을 겸비한 인물로 指目하고 있다. 현대 사회인들은 순수한 知性문화의 가치보다는 물질적 가치의 選好度에 따라 개인적인 成長을 꾀하고, 시각적으로 보여 지는 외형적인 無限競爭에 편중되어 있다. 오늘날 디지털 시대에 자신의 개성을 연출하는 것은 부정할 수는 없지만, 外貌에 執着하여 지나친 다이어트로 건강미를 상실하고, 그로 因한 정신적 스트레스는 외모 집착과 외모중시의 병적인 폐단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克復하기 위해 절실하게 요청되는 대안으로 내적 소양과 외적 전문성을 고루 겸비한 온전한 인격체, 즉 이른바 “文質이 彬彬”한 眞善美의 융합적 지도자상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유교사상은 修己治人의 道를 현실에서 실천하는 것이다. 수기는 개인적으로는 덕성적 능력을 계발하여 도덕적 인격을 함양하는 것이며, 치인은 사회적으로는 함께 일하는 올바른 인간관계를 갖도록 疏通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leader 또는 지도자는 자신뿐만 아니라 타인까지도 감화시킬 수 있어야 한다. 수기치인은 ‘스스로의 덕성을 가다듬어 다른 사람들을 이끈다.’는 의미이다. 참다운 지도자는 修己를 통해 자기성찰과 자기정립을 한 다음에 治人 또는 남들과 함께 살아가는 安人의 경지에 서게 되는 것이다. 모든 물건에는 값어치가 있고 나름대로의 德이 있듯이. 인간 역시 인격과 德性을 갖추고자, 배우고 익혀 자신만의 전문성⋅신뢰성 그리고 인격과 능력을 겸비하여, 자신만의 브랜드(Brand)가치를 창출해 내고자 한다. 개인의 人格은 높은 지위나 재력⋅권력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다. 인격이란 개인의 덕성으로서 자기수양을 통하여 마음에 조금도 티가 없는 상쾌함으로, 굳이 한자로 표현하자면 맑고 깨끗한 ‘소쇄(瀟灑)’에 부합된다고 할 수 있다. 즉 인간이 天性으로 품부 받은 덕성인 知⋅仁⋅勇을 겸비한 지극히 인간다움의 人格을 지닌 지도자상으로 君子像을 제시한다. 자아개발은 self leader, 즉 修己를 통하여 덕성수양과 자아경영의 힘을 기르게 된다. 관계영역의 leader(治人)는 自身의 德性을 德行으로 미루어 가는 즉 남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易地思之의 마음으로 擴大 시킬 수 있다. 이처럼 자신의 마음을 미루어 남을 생각하는 리더십을 大學에서는 “絜矩之道”라고 한다. 논자의 견해는, 人格美는 知⋅仁⋅勇’으로 德性의 씨앗을 일구고 相生美는 ‘恕’로써 他人에게 행동으로 보여주는 덕행의 마땅한 올바름을 구현하며 調和美는 ‘絜矩之道’로써 남을 나처럼 아끼고 사랑하여 나와 같은 마음 즉 보편적 원리인 德和를 구현할 수 있다고 여긴다. 이처럼, 지도자상의 자질은 자신의 소양과 남을 배려하는 마음이 총체적으로 잘 조화를 이룰 때 지도자가 지니고 있는 능력을 무한히 발휘하며, 많은 사람들과 共生⋅共存하며 서로 乘勝的관계로 거듭 성장해 나갈 수 있는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define the leadership of Gunja (君子, translated into prince, gentleman, or ideal man) based on Confucian Classics which offer the general values and norms of individuals' virtue and social virtuous acts. Thus, humanitarianism is regarded as true value, and the values of a virtuous person who properly practices social human relationships are discussed. The real worth of Gunja image is discussed as a true human image of "self-completion and completion of all things" (成己成物) which involves the convergence of truth, good and beauty where there is a sense of harmony and balance, where there is stern self discipline and self cultivation and where win-win values of human relationships are created. Confucian saint (聖人), wise man (賢人), great man (大人), and gentleman (君子) mean social leaders. They practice human morals, enlighten and beautify society with teachings, and are indicated as equipped with mental and material harmony, good character and competence, and economic power and morality. People today pursue their own personal growth according to their material preferences rather than pure intellectual cultural values, and are engrossed in visually beautiful external unlimited competition. In this digital age, we are supposed to demonstrate our individuality, but many people are obsessed with appearance, go on severe diet, and lose their health beauty, and consequently suffer mental stress. This trend fuels obsession with appearance and the sick practice of valuing appearance. As an alternative method to overcome this phenomenon, we need a leader image with the convergence of truth, good and beauty, which is characterized by internal self cultivation, external professionalism, and handsome and solid character. Confucian thoughts consist in practicing the Way of disciplining oneself for governing others (修己治人). Self discipline involves developing personal virtuous ability for cultivating a virtuous character, and governing others involves interacting to work together in society and to have right human relationships. Thus, leaders should impress not only themselves but also others. Self discipline for governing others means cultivating virtue for oneself and leading others. A true leader has self introspection and establishes himself through self discipline so that he can govern others or reach the realm of settling others where people live together. As all things have a value and a virtue, humans endeavor to cultivate character and virtue by learning and studying for securing their professionalism, reliability, character and ability, so as to create their own brand value. Personal character does not come from a high position, wealth and power. Character is a personal virtue, and is cultivated as immaculate and fresh through self discipline. As such, it well matches with a clean and clear spirit. This offers the ideal leader as the Guja image who has an extremely humane character, as well as being equipped with inherent virtues of intellect, benevolence and courage. Self development can foster virtue and self management through self leadership and self discipline. The leader in the relationship area can practice his virtue through virtuous acts, in other words, even think from another person's perspective. Such leader is mentioned as the principle of measuring square in the Great Learning. In our viewpoint, the beauty of character can breed the seed of virtue through intellect, benevolence and courage, the beauty of win-win can realize the right virtue by showing exemplary acts to others through considerateness, and the beauty of harmony can love and care for others like me through the principle of measuring square, thereby realizing the universal principle of virtue and harmony, which is like my mind. As such, the ideal leader, when his virtue and mind of being considerate of others all blending well, can exercise his ability to the full, can live together and coexist with many people, and can grow again into a triumphant relationship.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사학(史學)) : 대사성까지 역임한 성균관의 우수 교관 사례

        장재천 ( Jae Cheon Cha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77 No.-

        조선시대 성균관의 교관이 되거나 총책임자인 대사성이 된다고 하는 것은 사표가 될 만한 자질과 덕행 및 학문적 실력을 갖춘 자라고 할 수 있다. 교관이나 총책임자는 오늘날로 말하자면 대학교수와 총장인 것이다. 성균관 대사성까지 역임한 우수한 교관들은 『실록』을 통해 모두 13명으로 파악되었다. 성균관 대사성을 4차례 역임한 조용과 유백순, 대사성보다는 교관으로 오래 재직했었던 윤상, 관중3김으로 유명한 김반과 김말, 그리고 나름대로 평판이 좋았던 김신민, 과거에 다섯 번 급제한 경력을 갖추었던 이육, 성품이 청렴하고 겸손하기로 유명했었던 노자형, 훌륭한 인품 때문에 유생들이 많이 성균관에 거관했었던 유숭조, 성균관 경영책임자로 이름을 날린 김세필, 대사성을 다섯 번이나 제수 받았던 윤탁, 학문과 덕행을 두루 갖추었다는 평판을 받은 김식, 기록적으로 대사성을 8회나 제수 받았던 조명정 등이 그 특별한 이름을 남겼다. 이들은 각각 성균관 생원 200 여명이 국왕에게 상서하여 스승으로 청함을 받아 대사성이 된 경우, 죽었을 때 관곽과 종이 70권 및 부의(賻儀)를 보내 후히 장례를 치르게 한 경우, 많은 학자들이 스승으로 받들었던 경우, 성균관에 오래 재직하면서 인품이나 스승으로서의 자질과 함께 경학에도 능통하고 잘 가르쳤다는 스승들, 봉조청으로 차출되었지만 유생들에 의해 다시 성균관으로 복귀 청원이 나타났었던 경우, 성품이 강직하고 분명해 오히려 해이해진 유생들은 싫어하고 제대로 양심을 갖춘 다른 이들은 모두 좋아했다는 경우, 교육에 이어 학문적 성과도 많이 냈던 경우, 전반적으로 면학분위기가 좋아 유생들이 성균관에 많이 거관하였던 경우, 유생들이 흠모하는 학문과 덕행의 두 가지를 다 잘 갖추었다는 경우, 유생들을 잘 가르치고 면학시켰다고 하여 국왕으로부터 특별히 호피를 하사 받기도 한 경우 등에 해당되는 데, 모두 하나 같이 성균관 교육에 대한 남다른 열정과 노력이 매우 지대하였던 사례들이다. Joseon Dynasty, Sungkyunkwan of the teacher or the general manager, president said to be the guru that the qualities and virtues, and academic skills with a growing can be. Speaking of today``s instructor and general manager and president of University. Superior General of the former trainers Sungkyunkwan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has been identified as 13 people all over. Sungkyunkwan-General who served four times Joyong(조용) and Yubaeksun(유백순), Yunsang(윤상)who had served longer as president than the annular instructor, crowd of three famous Kimban(김반) and Kimmal(김말), and Kimsinmin(김신민) own good reputation, career bureaucrats who pass the test five times, was equipped with Leeyuk(이육), character to the humility, integrity, and Rojahyung(노자형) had known type, a great personality, Sungkyunkwan because a lot of larvae that had oil in the boarding Yusungjo(유숭조), Sungkyunkwan Kimsepil(김세필) executive officer, who, as a name, a five-time former president Yuntak(윤탁), science and morality had a reputation throughout the dry Kimsik(김식) received, a record eight times, was appointed to the President as Jomyeongjeong(조명정) left that special name. Each of these students 200 teachers invited to tell the king that, if / Paper tube and 70 when he died, and then send buuigeum(賻儀金) If you bury it, / Received as a teacher heard many scholars, / Sungkyunkwan long served as teacher qualifications and personality and fluent in Kyeonghak(經學) and well-taught with the teachers, / Transferred to other agencies, but by the larvae again when returning to Sungkyunkwan, / Upright character, and clear the larvae rather lax conscience properly with hate like all others that, if / Following the training, if we placed a lot of academic performance, / Larvae liked the overall atmosphere of learning, Sungkyunkwan who had a lot of boarding, / Virtue of their academic and larvae adore well-had it both ways, if / Especially by encouraging them well larval tiger leather as a gift from the king, if awarded, over all, as one particular passion for education and effort, Sungkyunkwan very area who are examples.

      • KCI등재

        퇴계(退溪)의 문학(文學)에서 유인(幽人)의 생활(生活) 담론(談論) 연구(硏究)

        金秉權 ( Kim¸ Byeong-kweon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20 퇴계학논총 Vol.36 No.-

        退溪의 聖學은 마음과 대화하며 사물의 이치를 知覺[깨달음]하는 마음공부이다. 마음의 구조는 虛靈하며, 그 기능은 대상의 이치를 知覺하는 것이다. 마음이 이치를 탐구하여 통달하고 그것을 익혀서 실천하는 사람은 무엇을 하든 어디로 가든 걸림이 없는 자유인이 된다. 따라서 마음공부의 목적은 자아의 맑고 깨끗한 本性을 발견하고 修養함으로써 自由自在한 聖人의 경지에 이르는 것이다. 退溪의 詩는 자연과 대화하며 山水가 마음에 저절로 준 즐거움을 말하지 않을 수 없어서 쓴 문학이다. 이때의 즐거움은 억지로 구하여 얻은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억지로 구한 즐거움은 마음의 집착이 되므로 無欲의 청정한 마음에서 일어난 즐거움이 될 수 없기 때문이다. 청정한 마음의 自由自在한 즐거움이 참된 즐거움[眞樂]이며, 이는 말로써 형언할 수 없으나 말하지 않으면 즐거움을 전할 수가 없으므로 비유의 형식인 詩로 지은 것이다. 退溪의 生活은 사람과 대화하며 道理를 지키는 德行의 실천이다. 그는 자기를 버리고 남을 따르지 못하는 것이 큰 病이라고 제자들에게 가르쳤고, 제자들은 退溪에게서 이것이니 저것이니 구분하는 境界가 없었다고 전한다. 구분은 공동체가 분열하는 원인이 된다. 남을 따르지 못하는 病은 구성원이 대립하는 원인이다. 따라서 퇴계의 생활은 분열하고 대립하는 현실에서 사회적 統合과 구성원의 和樂을 가르치고 실천한 의미가 있다. 이치에 통달하는 마음공부, 이치가 마음에 준 즐거움을 표현한 문학, 도리를 지키고 덕행을 실천한 생활은, 공동체의 화합과 즐거움을 지향한 인간의 本性的 價値를 合理化한 談論이다. 이러한 退溪의 談論은 인욕에 집착함으로써 인간성을 상실한 시대에 自我를 完成하고 他人과 調和를 이루며 살아가는 道理와 德行을 과거에도 안내해 왔으며 현재와 미래에도 안내할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退溪의 心學에 근거하여 그의 詩 가운데 幽人이 등장하는 「天淵翫月」에 표현한 즐거움의 본질을 분석함으로써 공동체의 和合을 지향한 談論을 도출하는 데 있다. This article draws a discourse of value rationality to pursue a cohesive community by reviewing Teogye’s poem, titled 天淵翫月(Cheonyeonwanwol) and analyzing it based on his theory of mind. In his poem, a metaphor is used to compare the clear moon symbolizing Toegye’s theory of mind and the moon blocked by the cloud describing any personal avarice such as obsession and greed. The theory of mind is based on two concepts: a structure of innocent mind and perception regarding how people perceive this structure as a matter of principle. These two essential concepts contribute to establishing the behavioral ethics of studying a structure of mind and perceiving a principle. The behavioral ethics suggested by Toegye should be continuously exercised to prevent any personal avarice from differentiating between the two ideological hegemony. Then the innocent mind can be upheld by these efforts. Like the clear moon shining on the land, people following these behavioral ethics can enjoy an essential pleasure without worrying about personal avarice and ideological conflicts. Toegye’s life and pursuit of purpose can be inferred in his poem. Toegye, in his life, actually pursued his behavioral ethics, studying a structure of mind and perceiving a matter of principle by communicating with members of his community. He also had efforts to keep a lookout for personal avarice and to avoid differentiating between ideological conflicts. The poem, titled 天淵翫月 (Cheonyeonwanwol), reflecting an essential pleasure caused by his exercising behavioral ethics, implies how the transitional stage to transforming mechanized and digitalized society overcomes ideological conflicts and establishes a cohesive community.

      • KCI등재

        공자의 중용적 주역관과 우리 역대국가의 시서(蓍筮)관행에 관한 고찰

        황태연(Hwang Tai-Youn) 한국정치사상학회 2005 정치사상연구 Vol.11 No.1

        공자는 지인(知人)개념과 지천명(知天命)을 종합하는 이른바 ‘통합지식’을 추구하였다. 그는 지천명을 가능케 하는 주역(周易)과 관련해서는 점서(占筮)에만 기울지 않고 ‘이덕과점’(以德寡占)을 위해 노력하였고 동시에 주역을 도덕경전으로만 대하는 ‘이덕대점’(以德代占)에도 기울지 않았다. 그는 스스로 주역으로 직접 서지(筮之)했고 그 결과를 대체로 믿었음과 동시에 주역을 통해 철학적 역리(易理)를 탐구하였다. 말하자면 공자의 주역관은 의리역설(義理易說)과 점서역설(占筮易說)을 통합하는 중용적 관점을 견지하였던 것이다. 이것은 ‘요’(要)편에 의하여 다시 입증된 움직일 수 없는 사실이다. 우리나라 거유(巨儒)들은 오랜 세월 주역을 최고의 경전으로 삼았다. 이들의 주역관도 대체로 공자와 주자의 중용적 주역관과 일치하였다. 이에 따라 우리의 역대국가들은 국가운영을 많은 부분 서지(筮之)에 의거하였다. 그리고 그 초월적 지식을 공식적 국가지식으로 통합하고 역사서에 기록으로 남겨두었다. 우리나라 역대왕조의 지인ㆍ지천명의 ‘통합지식’에 의한 국가운영은 막스 베버의 말대로 ‘전근대 국가’의 주술적 특징일지 모르겠다. 그러나 전근대 국가는 주술에 걸렸을지라도, 아니 이 주술적 성격 덕택에 정치윤리적으로 더 겸손하고 책임있는 국가인 셈이다. 기자(箕子), 공자, 이이 등이 수천년의 간격을 두고도 일관되게 천명하고 있듯이 왕조국가의 시서는 개인을 넘어 경시(卿士)집단의 전문적 판단과 지혜 및 서민의 대중적 호오를 다 참조한 끝에 지성지도(至誠之道)의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이런 차원의 시서로써만 지천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성지도의 시서는 인간적 덕행(德行)의 지극한 표현인 것이다. 따라서 자극의 경지에서는 시서가 곧 덕행이고 덕행이 곧 시서이다. 이에 반해 과학적 근대국가는 국가정책의 최종 결과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모르면서 과학의 합리적 인식을 확신하고 과학적으로 수립된 정책들을 ‘실패하면 말고’ 식으로 밀어붙인다. 이런 한에서 근대 국가는 주술에서는 깨어났을지라도 무한히 교만하고 무책임한 국가이다. 소위 ‘과학’은 감각적 자료 없이는 작업할 수 없고 또 사후의 분석과 정리만을 수행하는 ‘미네르바의 올빼미’에 불과하기 때문에 감각적 인지와 경험의 범위에 들어있지 않은 미래와 현재, 그리고 계획과 정책의 성패에 대한 예측요구 앞에서는 무력하기 짝이 없는 것이다. 우리의 삶과 국가운영에서 과학적 지식만을 절대시하는 것은 그 자체가 일종의 ‘미신’이요 이데올로기적 허위의식인 과학주의(scientism)에 불과한 것이다. 따라서 ‘탈(脫)주술화된’, 그러나 좀더 무책임해진 ‘과학적’ 근대한국이 좀더 겸허하고 책임있는, 그러나 다소 비효율적인 역대국가보다 국리민복(國利民福)에 더 기여한다고 속단할 수는 없는 것이다. 역대국가는 신라 1000년, 고려 500년, 조선 500년 등 도합 2000년의 세월을 견디어 온 반면, 근대국가는 미국을 기준으로 삼을 때 길어야 200년, 대한민국은 이제 겨우 60년을 지속했음에랴! 이런 까닭에 과학주의적 속단을 일단 유예하고 차라리 두 유형의 국가를 당분간 동등하게 바라보면서 21세기에도 과학과 종교가 공존하듯이 과학과 지천명이 공존하고 과학적 효율성과 겸손힌 책임이 통합되는 새로운 국가운영을 꿈꾸어 보는 것이 국리민복과 문화콘텐츠를 풍요롭게 히는 한 방편이 될 수 있지 않을까? Confucius sought for an 'integrative knowledge' which synthesizes the intellectualist knowledge of the man and the transcendental knowledge of the Heaven Will. He got the knowledge of the Heaven Will through the I Ching oracle. However, he was not partial to the divinatory oracle but pursued 'the lessening the oracle through the virtuous actions', simultaneously did not incline to the 'these on a substituting the oracle through the virtuous actions' which treats the I Ching only as a philosophical ethical book. He himself divined with the I Ching and believed the results of his own divining, but at the same time studied and clarified the philosophical change logics and ethics of the I Ching. Say, Confucius' idea of the I Ching sticks to the mean road on which the ethical idea and the oracle usage of the I Ching meet. The great Confucians in the premodern Korea have treated in long, long times the I Ching as a greatest book, Their idea of the I Ching was same as or similar to Confucius'. According to this, the Korean dynastic states, from Silla to Chosun, used the I Ching oracle for the policy-making. And they integrated the transcendental knowledge of the I Ching oracles into the official legitimate knowledge system and leaved for the next generations the records of oracle-divining processes and results. The dynastic states' governmental policy-making by the 'integrative knowledge' may be, as pointed by Max Weber, enchanted as all the premodern states in the history. But these premodern dynastic states, though enchanted or thanks to this enchanted character, are from the political ethical aspect relatively modest and responsible. The governmental I Ching oracle is practiced as 'the way of the highest sincerity' which is exercised after conferring all the human wisdoms and know ledges of myself, other specialists and the people. This I Ching oracle as 'the way of the highest sincerity' is a dramatical expression of the 'virtuous action'. On this highest dimension, oracle is virtuous action, and vice versa. On the contrary, The scientific modern states may be, though disenchanted and efficient, arrogant und extremely irresponsible. They shall be convinced of the rightness and truthfulness of their own policies which are designed on the basis of the scientific knowledge, and execute them despite total ignorance of their success or failure. The so-called 'science' can not work without the sensible and empirical data and operates as the 'Owl of Minerva' only for the post factum analyse. Owing to this, the 'science' is extremely impotent and helpless in front of the future and the present which does not lie within the area of sensible perception and experience, and in front of the demand for an estimation about success or failure of governmental plans and policies. The political idea which regards the scientific knowledge as absolute thing in the processes of our life and governing is as itself a superstition or an ideology of 'scientism' as false consciousness. Because excepting the scientific knowledge the other various knowledges, for example the empirical knowledge(know-how), the (religious, divinatory, super-ability etc.) transcendental knowledges and information, contribute also to our life and governing. Therefore we must not draw a hasty conclusion, that the 'disenchanted', but more irresponsible 'scientific' modern Republic of Korea contributed more to the development and welfare of the people than the more modest and more responsible, but unscientific and inefficient 'enchanted' premodern states. And do not forget, the dynastic states endured two thousands years, while the modern state beginning from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endures only two hundreds years, and the Republc of Korea endures only sixty years! So, it might be better, that we put off the drawing of a hasty scientist conclusion and treat for a while equally two types of state. Then we could be allowed to dream toward a new state where 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