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화두참구의 두 가지 방법과 漢岩禪

        윤창화 대각사상연구원 2015 大覺思想 Vol.23 No.-

        간화선은 大慧宗杲(1089∼1163)에 의해 완성⋅체계화 되었다. 대혜는 “망 념이 일어날 때는 오로지 이 ‘無’라고 하는 한 글자를 참구하라(妄念起時, 但 舉箇無字).”, “조주가 ‘無’라고 했으니, 이 ‘無’라고 하는 한 글자는 곧 허다한 惡知見)과 惡覺을 꺾어 버리는 도구이다.”라고 하며 단순히 無字만을 참구하 라고 강조하였다. 이것을 ‘單提參句’방법, 또는 ‘單提無字參句’방법이라고 한 다. 그런데 약 1세기 반 후 元代에 이르러 皖山正凝과 蒙山德異(1231∼1308?) 에 의하여 수정된 새로운 참구법이라고 할 수 있는 全提參意방법이 제시되 었다. 완산과 몽산은 疑團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일체 함령은 모두 불성을 갖고 있는데 어째서 조주는 ‘無’라고 했는지 그 뜻을 참구해야 한다(一切含 靈, 皆有佛性, 趙州因甚道無. 意作麼生).”라고 하여, 대혜종고와는 다른 방식 을 제시했다. 몽산의 全提參意방법은 우리나라에는 고려 후기에 들어와 조선, 근현대를 통하여 대혜의 單提參句방식을 제치고 주요 간화방법으로 정착되었다. 백용 성⋅경허⋅만공⋅전강⋅성철 등 선승들은 몽산의 ‘趙州因甚道無’를 무자화두 참구방법으로 수용⋅권유했다. 그러나 간화선을 대성시킨 대혜선사는 그런 방식으로 말한 적이 없다. 보 조지눌도 마찬가지이다. 특히 지눌은 “화두를 참구하는 데에는 參意와 參句 라는 두 가지 방식이 있는데, 요즘(보조 당시) 參句하여 깨닫는 사람은 매우 드물고, 거의가 參意방법을 택하고 있다.”라고 하며 參意방법을 비판했다. 그 는 參意보다는 參句로 공부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參意는 死句이고 參句는 活句라고 규정했다. 근대의 선승 漢岩重遠(1876∼1951)은 몽산의 全提參意방식은 수용하지 않 았다. 대신 대혜종고의 單提參句방식을 수용했다. 한암은 대혜종고와 같이 ‘無字를 참구만 하라’는 식으로 말하고 있을 뿐, 몽산방식인 ‘어째서 조주가 無라고 했는지를 참구하라(趙州因甚道無)’는 논조로는 말한 적이 없다. 또 몽 산이 깨달음의 척도로 삼았던 ‘動靜一如’, ‘夢中一如’, ‘寤寐一如’에 대해서도 일체 언급한 적이 없다. 한암은 몽산의 간화방법을 택하지 않았다. 그 이유 는 대혜의 단제방법 속에는 이미 疑團이 형성되고 있어서 몽산의 參意방법을 택할 필요가 없었던 것이고 또 몽산의 參意방법은 死句에 가깝기 때문에 수용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Ganhwa Seon(看話禪) was completed and organized by Daehye Jong'go (大慧宗杲, 1089∼1163). Daehye simply emphasized on only a letter, ‘Mu (無)', saying "when a delusion arises, only focus on a letter, ‘Mu (無)’(Mangnyeomgisi Dangeogaemuja(妄念起時但舉箇無字)).”, “Because Joju(趙州) said ‘Mu(無)’, this letter ‘Mu(無)’ is the tool to cut down many bad short views and bad enlightenments.” This is called, the way of Danjaechamgu(單提參句) or the way of Danjaemujachamgu(單提無字參句). But, after a century and a half in Yuan Dynasty(元代), Wansan Jeongeung(皖山正凝) and Mongsan Doekiee(蒙山德異, 1231∼1308?) suggested a new meditation method, so called, Jeonjechameui(全提參意). Wansan(皖山) and Mongsan(蒙山) showed another way from Daehye Jong'go(大慧宗杲), saying “all the sentient beings had Buddhata(佛性), but we should try to understand the reason why Joju said ‘Mu (無)’(Iljeolhamryeong, Gaeyubulseong, Jojuinsimdomu. Euijakmasaeng(一切 含靈, 皆有佛性, 趙州因甚道無. 意作麼生)).” to form a doubt, Euidan(疑團). In Korea, Mongsan's Jeonjechameui(全提參意) method was settled as the major Ganhwa method beating out Daehye's Danjaechamgu(單提參句) method through the times of Joseon to the modern times since its inflow in the late of Goryeo. Seon Masters, Baek Yongseong, Gyeongheo, Mangong, Jeongang, and Seongcheol etc positively recommended to accept Mongsan's ‘‘Jojuinsimdomu(趙州因甚道無)’ as the meditation method with the Whadu of ‘Mu(無)’ letter. Especially in the ‘how to study Hwadu’, Seon Master, Seongcheol emphasized ‘Jojuinsimdomu(趙州因甚道無)’, Mongsan's Jeonje(全提) method, saying “Joju said Mu(無), why did he say Mu(無)? Doing like this is the basis to do Hwadu." and also “if you just say ‘Mu(無)∼’ or just ‘Masamgeun', it is a wrong way to do Hwadu.” But Seon Master, Daehye who brought Ganhwa Seon to a big success haven't said like the way. Bojo Jinul was also same. Especially Jinul criticized the chameui(參意) method saying “there are 2 kinds of methods, Chameui(參意) and Chamgu(參句) when it comes to do Hwadu, recently(at the time when Bojo lived) there are few people who do meditation with it, most of practitioners choose the Chameui(參意) method which is only focusing on clarifying meaning of Hwadu.” He insisted that we should practice with Chamgu(參句), not Chameui(參意), and defined that Chameui(參意) was Sagu(死句), and Chamgu(參句) was Hwalgu(活句). Seon Master, Hanam Jungwon(1876∼1951) in the modern times didn't accept Mongsan's Jeonjechameui(全提參意) method. But he accepted Daehye Jong'go's Danjaechamgu(單提參句) method. Hanam just said ‘Meditate with only a letter, Mu(無)' like Daehye Jong'go, he never had said in the tone of Mongsan's method, ‘Meditate why Joju said Mu(Jojuinsimdomu(趙州因甚道無))'. And also, he never mentioned anything about ‘Dongjeongilyeo(動靜一如)’, ‘Mongjungilyeo(夢中一如)’, ‘Omaeilyeo(寤寐一如)’ that Mongsan considered as the yardstick of enlightenment. Hanam didn't select Mongsan's Ganhwa method. The reason seems that Mongsan's chameui(參意) method was close to Sagu (死句), so he didn't accept it.

      • KCI등재

        수행문화콘텐츠로서의 화두 참구에 관한 철학적 연구: 參究와 參句

        박재현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9 東洋學 Vol.0 No.77

        ‘Hwadu chamgu’ is a term used by ascetic in Korea to refer to a Seon 禪-discipline with a Hwadu 話頭. This term is used universally in Korea so that it does not need to use Chinese characters. And it is often used as a translator in the process of explaining Seon-discipline or studying it. However, ‘chamgu’ is not a word commonly used in modern Korean society. Moreover, its meaning is not clearly defined, so it is inappropriate to use it as a scientific term or a trans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se of focusing on penetration 參究 or investigating of the phrase 參句 and its meaning in historical and literary terms. These two Chinese characters are pronounced the same as the Korean ‘chamgu’. In addition, Chinese characters of tí 提, cān 參, cān xiáng 參詳, zuòhuójì 作活計 are also translated into Korean ‘chamgu’. In this paper, I pointed out that this Hanja original and Korean translations are mixed or inaccurate. In conclusion, it is argued that ‘chamgu’ is not suitable as a descriptive word or a translation. It is not the purpose of this paper to reveal the new meaning of ‘chamgu’ or suggest a translation. Appropriate meanings and translations will naturally be established in the process of trying to understand and convey concrete and prominent meanings of the meaning and translation of individual terms in the process of researching and translating documents.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on revealing the consciousness of these problems by taking the example of ‘chamgu’ as a representative among many Seon Buddhist terms. ‘화두참구’는 한국의 禪 수행자나 연구자들이 漢字 병기조차 없이 쓰일 정도로 보편화된 선 수행 용어다. 선수행을 설명할 때뿐만이 아니라 문헌연구 과정에서 번역어로도 자주 쓰인다. 그런데 ‘참구’라는 용어는 현대한국 사회에서 통용되는 단어는 아니다. 또 전문 학술 번역어로 쓰기에도 그 의미가 명확히 규정되어 있지 않아 부적절하다. 본 연구에서는 參究와 參句의 용례와 그 의미를 역사적 문헌적으로 고찰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그래서 한국어 ‘참구’로 발음되는 말에 대응되는 한자어로 參究와 參句 등 두 가지가 있을 뿐만 아니라 ‘참구’로 번역되는한자어로 單提, 參, 參詳, 作活計 등이 있음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이들 원어와 번역어 ‘참구’가 혼용되거나 부정확한 의미로 쓰이는 사례 확인을 통해, ‘참구’가 선에 대한 설명어나 번역어로 적합하지 않다는 점을 논증하였다. ‘참구’의 새로운 의미를 밝혀내거나 번역어를 제안하는 것은 이 논문의 목적이 아니다. 적절한 의미나 번역어는 선 문헌에 대한 연구와 번역 과정에서 개별 용어의 의미와 번역에 대해 문제의식을 가지고 구체적이고명증한 의미를 파악하고 전달하려고 애쓰는 과정을 통해 자연스럽게 정립될 것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많은 선 용어 가운데 대표적으로 ‘참구’를 사례로 들어 이러한 문제의식을 드러내는데 집중하였다.

      • KCI등재

        중국불교 전적에 나타난 염불선의 계승과 발전 - 정중무상을 중심으로

        정광균(법상) 한국정토학회 2020 정토학연구 Vol.34 No.-

        본 논문은 중국의 전적에 나타난 내용을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중국의 염불선은 네 가지 관점에서 계승하고 발전하였다. 첫째는 오직 염불만을 강조한다. 염불에 편향하여 오직 염불이야말로 바로 선이고 염불이라고 둘을 닦는 염불과 선의 교섭형태인 담란과 도작, 선도, 승원과 법조로 이어진 선염교섭(禪念交涉)의 형태다. 둘째는 융합하는 형태다. 아직 뚜렷하게 실제의 수행방법을 제시하지는 않고 뭉뚱그려서 선과 염불에 모순이 전혀 없다고 주장하여 선과 염불을 쌍수(雙修)하도록 독려하는 여산혜원과 자민삼장, 무상과 연수의 선염겸수(禪念兼修)의 선염융합(禪念融合)의 형태로 자력과 타력이 조합한 것이다. 특히 정중무상의 인성염불과 염불선에 대해서는 계정혜(戒定慧) 삼학이 인성염불로 수렴되어 무념(無念)의 정념(正念)으로 관철됨과 함께 수행할 내용으로 무상오경전과 오회염불을 관련지어 대중포교인 수계의식과 수행 과정을 함께 진행되는 초저녁에서 새벽까지 오경전의 선적인 사상을 가미해서 당시 일반 대중의 속요인 노랫가락을 인성염불에 결부시켜 체득하는 과정을 검토하였다. 셋째는 참구염불(參究念佛)의 형태다. 즉, ‘염불하는 자는 누구인가?’라고 참구함은 화두참구와 같은 방식으로써 염불을 선에 결합시켜 수행하는 방식이다. 이것은 사실 염불을 배제한 선에 치우친 염불화두의 형태로 염불의 신앙과는 전혀 관계가 없는 화두 참구와 같은 것이다. 넷째는 염불과 선이 일치하는 완전한 융합형태다. 이는 ‘염불이 바로 선이고 선이 바로 염불’이라는 관점에서 염불을 수행해도 무방하고 선을 참구해도 무방하다는 완전한 선염일치(禪念一致) 형태의 체구염불(體究念佛)이다. 이것이 바로 무상과 금타, 청화가 추구한 염불선이다. This dissertation is focused on the contents of the history of China. China's Yeombulson succeeded and developed from four perspectives. The first emphasizes only yeombul. Being biased against yeombul, only yeombul is the son, and yeombul is a form of sonyeom(禪念) union that is connected with damran(曇鸞) and dojak(道綽), sundo(善導), seungwon(承遠) and bubjo(法照), which are the forms of bargaining between yeombul and son. The second is the form of fusion. Yeosan-Hyewon and Jamin-Samjang, and sonyeom of Musang(無相) and Eynsoo(延壽), who have not yet clearly presented the actual method of practice, and insist that there is no contradiction between son and yeombul, and encourage son and yeombul to be double-numbered. In the form of sonyeom fusion(禪念融合), it is a combination of magnetic and other forces. In particular, for Jeong joong mu sang's Inseongyeombul and Yeombulson, the public missionaries by linking musangogeongjun and oheiyeombul as the content to be carried out along with the convergence of the three Gey-Jeong-Hye(戒定慧) Samhak to the Inseongyeombul and fulfilling them as the passion of ignorance(無念). From early evening to dawn in which the water consciousness and the process of practice are carried out together, the son-like thought of ogeongjun(五更傳) was added, and the process of acquiring the songs of the general public at that time by linking them to Inseongyeombul(引聲念佛) was reviewed. The third is the form of chamguyeombul(參究念佛). In other words, ‘Who is the yeombul?’ is a method of practicing by combining yeombul with the son in the same way as the buzzword. This is, in fact, like hwadoo chamgoo(話頭參究), which has nothing to do with yeombul's faith in the form of yeombul chamgoo, which is biased toward son excluding yeombul. Fourth is a complete fusion form in which yeombul and son coincide. This is a cheguyeombul(體究念佛) in the form of a complete sonYam match, saying that it is safe to practice yeombul and to take care of the son from the viewpoint of ‘yeombul is the son and son is yeombul’. This is the Yambulson pursued by Musang, Geumta, and Cheonghwoa Cheonghwa.

      • KCI등재

        慧諶의 話頭參究法 - 法語와 書答, 그리고 그 속의 禪詩를 중심으로 -

        정명옥 한국선학회 2005 한국선학 Vol.10 No.-

        이상 본고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慧諶은 특히 看話禪的 方法과 視覺을 가지고 풍부한 禪法들을 소화해 내어 조사로서의 기개를 드날렸다. 교학적 내용도 시종일관 선적 기틀로 재편하여 활용하였음을 보이고 있다. 한편, 혜심의 저서 중『眞覺國師語錄』이 그의 看話一門 思想을 직접 살펴 볼 수 있는 자료임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법어와 편지글인 書答에서, 그가 승속을 불문하고 入寺者들에게 話頭와 禪詩를 참구하도록 종용하고 있음을 확인 하였다.특히 Ⅱ장 話頭參究法과 Ⅲ장 禪詩에 나타난 話頭參究에서는, 話頭參究法과 禪詩가 표면상으로는 평범한 듯이 보이지만, 내용상으로는 무한한 함축성을 갖고 있었다는 점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話頭參究法과 禪詩를 통하여 法語와 禪詩가 어떠한 말, 어떠한 형용이 되었든지간에 그 근원은 한결같이 禪의 진리에 통하고 있으며, 言語를 초월하여 모든 分別을 없애고 形式을 없앤 다음 自覺의 계기를 마련해 주는 것이라고 요약할 수 있다.

      • KCI등재

        ‘화두’, 간화선 수행의 본질과 교육적 시사점

        안성규 ( An Sung-gyu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9 윤리교육연구 Vol.0 No.51

        간화선(看話禪)은 선어(禪語)인 화두(話頭)로써 번뇌망념을 제어하는 수행법이다. 그런데 간화선은 의심의 감정을 형성[疑情]하고 그 형성된 의심의 감정을 더욱 몰아부쳐 하나의 덩어리로 만든 뒤[疑團] 이것을 궁극적으로 깨부수어[打破]하여 깨달음을 얻는 것이라고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수행법을 참의(參意)법이라고 부를 수 있는데 이것은 화두의 의미를 추구하는 수행법이다. 이렇게 일반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간화선 수행법은 창안자인 대혜(大慧宗杲, 1089∼1163)가 애초에 구상한 방법과는 다르다. 그의 간화법은 의외로 간명직절한 수행법이었다. 그는 ‘단지 망념이 일어날 때 화두를 들어라 그러면 망념은 붉은 화로위의 한 송이 눈처럼 사라진다. [妄念起時, 但看話頭, 正恁麼時, 如紅鑪上一點雪相似.]’라고 하여 ‘단간화두(但看話頭:단지 화두를 간한다.)’라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수행법을 참구(參句)법이라고 부를 수 있다. 즉 일구인 화두를 단지 참구하는 방법이다. 화두는 공안(公案)중에서 핵심적인 일구(一句)를 가리킨다. 일구는 현성공안(現成公案)으로서 지금여기에 나를 존재하게 하는 활구로서 기능을 하는 것이었다. 화두는 그 속성 자체가 무의어(無義語) 이면서도 중도실상(中道實相)을 지시하는 진법의 단서라는 성격을 가진다. 참구법에 의하면 망념이 일어날 때 화두를 들면 그 순간이 시각(始覺)이고 이것은 곧 본각(本覺)으로 이어지는 구도였다. 깨달음이 달리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망념이 제거된 상태로가 곧 그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참의적 간화선 수행법은 만약 ‘의정’이 형성되지 않는다면 다음단계인 ‘의단’형성은 구상할 수 없는 것이며 타파는 기약할 수 없는 것이 된다. ‘의정’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면 수행의 추력으로 작용하겠지만 생기지도 않은데도 억지로 구상하여 집착하면 자칫상기증(上氣症)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현대의 간화종장이라고 불려지는 성철에 의해 선양된 간화법은 참의법으로 화두참구시에 반드시 ‘어째서. 어떤 것이’라는 의문사를 들것을 강력히 주문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은 의문의 감정을 형성하기 위한 방편으로 설정된 것임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자칫 의식집중훈련이나 정신수련으로 흐를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 간화선 수행법의 본질은 참구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일구를 통한 번뇌의 제어에 있다고 보고 일구의 수립과 의식상에 내면화하는 것을 교육현장에서의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중등교육현장에서 학생들에게 자신의 목표를 수립하는데 영감을 주는 일구가 화두로서 설정되기 위해서는 학부모와 교사의 관심과 구체적인 지도법이 강구되어야 한다. Ganhwaseon practice is method of observing the truth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Hwadu. By the way It is generally known that Ganhwaseon form doubt emotions and further drive away the formed feelings of doubt into one mass and eventually break them down to gain enlightenment. This method is referred to as the Chamyi method. This practice would be that the next step, the mass of doubt emotions, is inconceivable and that a breakaway is impossible if the doubt emotions is not formed. The method of performing these commonly recognized Ganhwaseon was not the one that the creator had devised. He said, 'Just remind me of the Hwadu when delusions occur, and the wrong idea disappears like a snow flower on a red brazier.' That's just the way to look at the Hwadu. In other words, if one raises the issue when delusions occurs, that moment is the moment of enlightenment and this is the structure that leads to the original realization. This method is referred to as the Chamgu method. This method of execution of the founder has been transformed into emphasize what is doubt emotions during the latter phase of the Song Dynasty and the early days of the Yuan Dynasty. It can be said that the changed method of Ganhwaseon was adopted during the Goryeo Dynasty and, as of now, it has been established as the practice of carrying out the current state-of-the-art Ganhwaseon. The Hwadu refers to the key phrase of Koan. The Hwadu is a condensed statement that reflects one's current issues. In such a case, the proposed section will act as a powerful tool and act as a power to solve the problems of one's own reality. and The Hwadu can serve as a message of hope in young people's hearts. For example, the question 'Who am I, what do I live for?' and 'how do I live' may be an example of Hwadu whose identity and goal are considered at the same time. It is important for teachers and parents to instruct teens in a kind and caring manner to keep a phrase of hope in their hearts.

      • KCI등재

        한국 간화선과 화두참구의 계승

        월암(月巖) 보조사상연구원 2007 보조사상 Vol.27 No.-

        본고에서는 그중 사용 빈도수가 가장 많은 조주무자와 이뭣고? 그리고 본래면목과 만법귀일 등 화두에 대해 그 역사적 연원과 전승과정을 살펴봄으로 해서 간화행자들로 하여금 공안의 역사와 참구법을 정립하여 수행과 깨달음에 대한 신심과 원력을 더욱 견고히 하고, 나아가 실참실구(實參實究)를 여물게 하여 명심견성(明心見性)하는데 지침이 되고자 한다. 화두의 연원과 전개과정이 중요한 이유는 옛조사의 깨달음의 기연이 모두 이러한 화두의 참구로부터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화두의 간택은 매우 중요하지만 그 보다 더욱 중요한 것은 간택한 그 화두가 실참수행자의 현성공안(現成公案)이 되어야 한다. 무자화두가 되었든, 이뭣고? 화두가 되었든, 본래면목 화두가 되었든, 그 외에 어떤 화두를 참구하든 간에 화두에 의심을 돈발하여, 간절히 의심하고 의심이 사무쳐 불같은 의단(疑團)을 이루어 화두일념(一念話頭)이 되어야 한다. 또한 화두가 일념만년(一念萬年)이 되어 어느 때 시절인연(時節因緣)이 꽃피는 날을 당하여 일념(一念), 무념(無念)마저 뛰어 넘어 생사를 영단(永斷)하고 일체 중생을 이롭게 하는 것이 정안납자(正眼衲子)의 본분사(本分事)일 것이다. 이것이 견성성불(見性成佛)의 눈이요, 요익중생(饒益衆生)의 길이다.

      • KCI등재

        고암의 간화선 사상에 대한 일고찰

        이덕진 대각사상연구원 2013 大覺思想 Vol.20 No.-

        고암에 의하면, 일체는 자심의 나타남이다. 그런데 자심의 작용에 의하여 나타나는 경계 또한 모 두 허망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이러한 자심의 어리석음은 무시이래로 지속되어온 습기 때문이 다. 따라서 그 원인을 멸하면 외경이 오로지 자심의 소현임을 알게 되고, 그러한 습기를 전(轉)하 게 되면 곧 깨달음에 이르게 된다. 그것을 고암은, “문 앞에 깃대를 부러뜨려 없애면, 마음이 깨 끗하고 세계도 깨끗하리라”고 설파하고 있다. 이 깃대를 어떻게 부러뜨려 없앨 것인가 하는 것이 고암 간화선법의 요체가 된다. 고암은 화두(話頭)의 참구(參究)와 타파(打破)를 함에 있어서, 발심(發心)하여 참문(參問)하고 참구하는, 간화선사로서의 길을 충실하게 밟고 있다. 더하여 조사선의 핵심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는 것을 깨침의 기연(機緣)과 관련하여, 용성선사와의 선문답을 통하여서도 그대로 보여주 고 있다. 고암은, 참선이란 다른 것이 아니라, 의정에서 의단으로 그리고는 마침내는 타성일편의 상태인 의단독로의 경지까지 나아가 마침내 그 의심 뭉치를 타파하여 확철대오하는 것이라고 설파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고암은, “선사는 오직 한마음 깨닫는 것 이외에는 생각하면 안 된다”라고 말한다. 화두를 들고 참구하다가 그것을 타파하게 되면 감변을 통해 인가를 받는 것이 간화선[조사선]의 정통적인 수행방법이자 점검(點檢)과 인가(印可)의 상례이다. 고암은 그 예를 따라서 용성과 4회 에 걸쳐서 감변(勘辯)을 진행한다. 그 감변에서 용성은 제자를 교묘하게 인도하여 책발하고, 경 책하여 분발하게 함을 통하여, 관문을 부수고 안목을 열어준다. 용성과 고암사이의 간화선[조사 선] 점검과 인가의 전통은, 옛 조사들의 정통에 곧바르고 명백하게 계합하고 있다. 따라서 그 뒤 를 잇는 우리에게 하나의 중요한 지남(指南)이 될 것이다. According to Goam, Ilche is the appearance of Jasim. However, boundary appeared by the operation of Jasim cannot but empty. Such foolishness of Jasim is because of continual Seupgi since Musi. Accordingly, if the cause is treated, a person realizes Oigyeong is Sohyeon of Jasim, and if Seupgi is transferred, one can achieve enlightenment. In this sense, Goam remarked that “if you break a flag pole in front of a door, your mind and the world would be clean”. How to break the flag pole? That is the core of Goam Ganhwaseonbeop. In Chamgu and Tapa of Hwadu, Goam was faithful to take a path of Ganhwaseonsa who seek Balsim and Chamgu. In addition, he demonstrated that he cherished the core of Josaseon in relation with the Giyeon of awakening through his Zen question and answer session with Yongseongseonsa. To Goam, Chamseon is nothing but to progress from Uijeong to Uidan and finally to reach the level of Uidandokro, a status of Taseongilpyeon so that all kinds of doubt is broken to achieve Hwakcheoldaeo. Therefore, Goam stressed that “a Zen monk must focus on the enlightenment only.”Taking Chamgu with Hwadu and realizing that is the authentic exercise method of Ganhwaseon [Josaseon] which is acknowledged by Gambyeon, and the routine example of check and authentication. According to the example, Goam took Gambyeon for 4 times with Yongseong. In that Gambyeon, Youngseong advised, led, encouraged and admonished his disciple in a skillful way in order to break a barrier and to open his perspective. The check and authentication of Ganhwaseon [Josaseon] between Youngseong and Goam is the authentic way of old great monks clearly. Therefore, it will be a great guidance to us who succeeded their tradition.

      • KCI등재

        고려시대 간화선의 수용과 그 특징에 관한 고찰

        이점숙(영석) 한국선학회 2014 한국선학 Vol.37 No.-

        한국선종에서 고려시대의 조사선 수용과 간화선의 수용과정은 한국적 선수행의 정체성을 밝히는 중요한 논의가 될 것이다. 이에 많은 선행연구물이 있지만 한국의 산문에 유입되는 선사상적 차이점을 명시하지 못하고 있고 조사선 사 상을 표방하는 간화선, 혹은 간화선 수행법을 예시하지만 조사선으로 명명하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한국 선사상에 있어 중요한 오류를 범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선사상적 차별성을 밝히기 위해 시대적 선사상의 조류를 먼 저 언급하고자 한다. 한국의 선종의 전통은 나말여초 입당 구법승들에 의해 산문선을 형성하게 된 것에 기초를 둔다. 제 산문은 간화선이 체계화되기 이전, 마조계 조사선의 수행법을 수용한 것이다. 고려시대에는 대각국사 의천에 의하여 선종이 다소 위축되었으나, 12세기 이후 가지산문의 圓應國師 學一(1052∼ 1144)과 사굴산문의 慧照國師 曇眞을 계승한 默庵坦然(1070~1159), 그리고 이자현에 의해서 고려 선종계를 조직적이 고 체계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들은 북송대의 선사들과 교류하면서 선적과 함께 송대의 선풍을 도입 하여 고려에 새로운 선풍을 확립하였던 것이다. 고려 중·후기의 보조지눌은 三門을 제시하는 것과 아울러 정혜결사를 전개하는 수행전통으로부터 비로소 간화선 전 통이 펼쳤으며 그의 제자 진각혜심에게 계승되었다. 특히, 13세기말 수선사를 중심으로 유입된 선적을 통하여 간화선 의 수용은 14세기 말경에는 선문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대혜계 몽산덕이 등을 탐방하고 유학한 많은 고려의 선 승들은, 본분종사의 가풍으로 화두를 참구하여 의심이 끓어지지 않도록 하고, 화두를 타파한 뒤에는 본분종사를 찾아 가 묻고 바른 깨달음인지 아닌지를 결택받는 간화선의 수행체계를 확립하게 되었다. 간화선의 수행체계는 사실 조사의 고칙을 이끌어 참구의 방편으로 삼는 것이므로 조사선의 경향과 동시에 화두 참구 라는 간화선의 중층적 구조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구조 위에서 간화선 수행체계가 전개되었던 것이다. Seon in Korea’s Koryeo Dynasty, Josaseon(祖師禪) and Ganhwaseon(看話禪)perform the acceptance process of Korean culture in line to say that identitywill be an important discussion. Although there are many intruder, enteringthe ideological differences between Korea do not have to specify. Josaseonsimilar to Ganhwaseon, or Ganhwaseon calls Josaseon and similar cases. Thismay be committing critical error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line on theprehistoric era to uncover the ideological distinction first bird mentioned. The fact that the investigation of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GanhwaseonGochik(古則) radiation led to a way of meditation at the same time as the trend ofthe layered structure ganhwaseon a buzzword meditation(話頭參究) imitation. Thesestructures have been developed on the ganhwaseon system will ever perform.

      • KCI우수등재

        조사들의 공안 활용법

        조영미 불교학연구회 2017 불교학연구 Vol.51 No.-

        공안 참구에서 주된 소재로 등장하는 병통과 이를 적극 활용하는 조사들의 수단을 살피는 데에 이 논문의 주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공안 참구가 갖는 현실적 의미를 한층 깊이 있게 조명할 수 있으리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Ⅱ장에서는 공안 참구의 주요 소재가 되는 병통에는 어떠한 것이 있으며, 조사들이 이를 어떻게 인식하고 활용하는가의 문제를 검토한다. 무엇을 병통으로 보며 이에 어떻게 대처하는가를 검토함으로써 조사들의 인식 세계의 일단을 엿볼 수 있으리라 본다. 병통에 대한 조사들의 관점은 두 가지로 요약된다. 하나는 일반적 진리나 가치 체계에 대한 맹목적 집착이고, 다른 하나는 자기 성찰이 수반되지 않은 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는 행태이다. 필자는 전자를 고필(固必)의 병통, 후자를 진사(眞似)의 병통으로 구분하여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각각의 병통은 손 써볼 여지조차 없애버리는 ‘무력화’와 주체적 수용의 극점으로서의 ‘자기화’라는 조사들의 처방으로 약으로 거듭난다. Ⅲ장에서는 공안 참구 과정에서 맞닥뜨리게 되는 혼침과 산란이라는 병통을 살펴보고 이것이 조사들의 문답 과정에서 어떻게 의단(疑團)을 형성하는 연료로 작용하는지, 그 의단의 기능은 무엇인지 궁구하고자 한다. 조사들은 병통을 무조건 없애려 하기보다 이를 어떻게 약으로 활용할 수 있는가를 보여준다. 그들은 문제의 병통을 비판적 안목에서 주체적으로 자기화하여 활용하는데, 이때 구심점이 되는 수단이 바로 철두철미하게 제기되는 ‘의문’이다. 하나의 의문으로 모아져 단단히 형성된 의단은 문답을 통해 생명력을 이어가는 동시에 답이 아닌 새로운 의단으로 끊임없이 재생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troubles which the practitioners meet while investigating the koan and how to deal with them. I think that this method of research can make clear the actual meaning of investigating a koan more deeply. Chapter II examines troubles, which are the main material of koan study and how patriarchs utilize them. Patriarchs' viewpoints of troubles can be divided into two major divisions. One is to discern them habitually and automatically to obsess with it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s and perceptions hardened by the established system. The other is to accept uncritically the output of such obsession. I think that we can naturally see how the patriarchs transform the trouble into a medicine if we have find out the reality of the trouble they have considered. In chapter III, I examine the ultimate function of the great doubt and examine how troubles act as a fuel to form this doubt in the process of asking and answering between patriarchs. Patriarchs utilize troubles on their own initiative in the critical perspective. During this process, the doubt functions as a center point. The doubt, which is firmly formed, continues its vitality through question and answer, and at the same time, is reproduced as a new doubt, not as an answer.

      • 명말불교계의 새로운 불학 모색 - 감산덕청의 회통관을 중심으로 -

        현지혜 ( Hyun Ji-hye ) 한국밀교학회 2023 불교학밀교학연구 Vol.4 No.-

        명대(明代) 불교에 대한 평가는 다양하다. 불교 내부에서는 제종(諸宗) 융합의 움직임이 진행되고, 외부에서는 삼교(三敎)의 회통(會通) 경향이 농후해져 불교만을 추출해 논의하는 것이 곤란해짐은 물론이고, 유(儒)·불(佛)·도(道) 모두 이미 기성 교학을 그대로 전승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이러한 흐름에 직면한 명대 불교는 부흥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특정된 학파를 내세우지 않고 여러 학파의 학설을 골고루 받아들였는데, 여기서 조화(調和)·상통(相通)의 특징이 뚜렷하게 드러났다. 특히 명말 4대 고승들은 선교(禪敎)·선정(禪淨)·삼교(三敎)에 이르기까지 서로 다른 종파와 학풍을 자신들의 소양에 따라 융합·회통시켰다. 본고는 이러한 명말 불교계의 사상적 전개를 회통의 관점으로 당시 불교계를 이끌었던 4대 고승, 특히 감산덕청의 선교일심론(禪敎一心論)과 선정쌍수론(禪淨雙修論)을 살펴보았다. 논자는 특히 덕청 자신이 체증(體證)하며 완성된 선정(禪淨)의 회통관에 기반해 완성한 ‘참구염불(參究念佛)’ 수행법에 주목했다. 덕청의 선정쌍수론이 그 이전의 이론과 구분되는 특징, 그리고 덕청과 동시대에 선정쌍수론을 주장했던 이들과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살펴보고, 명말 불교사상사의 맥락에서 덕청의 선정쌍수론과 참구염불 수행법이 갖는 의의를 찾아보고자 했다. The situation in which Buddhism was in at the end of Ming Dynasty is seen as a phenomenon of recession for the religion or as a trend of ideological renaissance. There was a trend of orientation toward the harmony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n the world of thoughts those days, and a movement emerged under its influence for various denominations of Buddhism to fuse together. Based on the opinions that thought positive of this ideological development in Buddhism, this investigator focused on the establishment of a practice theory called Simultaneous practice of Zen meditation and Buddhist prayers(禪淨雙修) and Buddha-recollection meditation around the four major high priests that led Buddhism those days, especially Hanshan Deqing(憨山德清). Investigation of Buddhist Prayers(參究念佛) is a kind of variation of wordcontemplation meditation using Buddha's name as a Hwadu or Koan, notmeditation with simple recitation or incantation of the name of Buddh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