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동체와 폭력: 코로나 시대 <변강쇠가> 읽기

        신호림 ( Shin Ho Rim ) 판소리학회 2022 판소리연구 Vol.53 No.-

        본고는 코로나19 시대에 나타난 공동체와 폭력의 양상을 이해하기 위해 <변강쇠가>에 주목했다. <변강쇠가>는 정처 없이 떠도는 유랑민, 성(性)으로 표상되는 유랑민의 일탈적인 모습, 정주민과 유랑민의 갈등 등이 기괴하게 결합되어 구성된 텍스트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 ‘질병의 서사’까지 틈입하게 되는데, 이런 서사적 양상은 단순히 역사적 사실의 반영에만 머물지 않고 공동체와 폭력의 관계에 대해 반성할 수 있는 지점들을 마련해놓는다. 코로나19 이후의 시대를 뉴 노멀의 시대라고 부를 수 있다면, 그 시기의 새로운 사회적 표준을 고민하는 데 있어서 <변강쇠가>는 일정 정도 지침을 제시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변강쇠가>에서 변강쇠와 옹녀는 공동체로부터 축출된다. 종국에는 변강쇠와 옹녀가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한다는 점에서 공동체는 폭력적인 모습을 띤다. 규범에서 벗어난 인물이면서 계도의 대상도 되지 않는 변강쇠와 옹녀는 말 그대로 벌거벗은 생명 또는 호모 사케르의 또 다른 모습이다. 변강쇠와 옹녀는 공동체에서 배제됨으로써 존재하는 독특한 존재 양상을 보여준다. 공동체는 변강쇠와 옹녀를 벌거벗은 생명으로 구성해냄으로써 체제를 유지하는 것으로 그려진다. 변강쇠와 옹녀는 기물타령을 기점으로 삶의 방향성을 달리한다. 변강쇠는 변함없이 공동체의 규범을 무시하는 태도를 보여주는데, 이 때문에 장승에 의해 ‘공적 징벌’을 받게 된다. 변강쇠가 병에 걸린 이유는 규범에서 이탈한 행위 때문이고, 이는 장승 동증에서 장승 죽음으로 수렴된다. <변강쇠가>의 병인론(病因論)은 규범에서 벗어난 ‘부도덕’에 대한 심판으로 그려진다. 변강쇠는 장승들에 의해서 ‘질병에 대한 은유’로 만들어진다. 공동체가 변강쇠에게 가한 폭력은 그런 은유를 통해 우회적으로 또는 도발적으로 폭로되며, 이는 사회의 구조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진다는 특징이 있다. <변강쇠가>는 변강쇠를 통해 어떻게 유랑하는 사람들이 질병으로서의 은유로 활용되는지, 그리고 결국 사회체제와 공동체의 합의된 폭력을 통해 옹녀와 같은 또 다른 유랑민을 양산하게 되었는지를 보여주는 텍스트이다. 이런 관점에서 <변강쇠가>를 읽어냈을 때, 질병처럼 떠도는 투기된 타자로서의 변강쇠와 옹녀는 오늘날에도 쉽게 발견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변강쇠와 옹녀는 공동체의 가장자리에서 공동체가 무엇인지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끔 유도한다. 타자의 낯섦, 타자의 폭력, 타자의 타자성을 체제 안으로 받아들이지 않으면, 시간이 흘러도 변강쇠와 옹녀와 같이 세계에서 사라지는 존재들이 늘어갈 것이다. 변강쇠와 옹녀와 같은 벌거벗은 존재들을 다시 공동체로 포용하는 것, 그것이 어떻게 보면 <변강쇠가>가 오늘날에 제시하는 뉴 노멀의 표준일지도 모른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the aspects of community and violence that emerged in the COVID-19 era through “Byeongangsoe-ga” “Byeongangsoe-ga” is a combination of several narratives. Among those narratives, a narrative of disease suddenly bursts forth into the text that does not simply provide representations of historical facts but inspires reflection on several points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ty and violence. If the post-COVID-19 era can be called the age of the new normal, “Byeongangsoe-ga” provides some guidelines in considering the new social standards of that period. In “Byeongangsoe-ga” Byeongangsoe and Ongnyeo are expelled from the community, which finally takes on the appearance of violence with Byeongangsoe and Ongnyeo’s tragic end. Byeongangsoe and Ongnyeo, who are out of the norm and not subject to guidance, are a representation of a naked being or homo sacer. Byeongangsoe and Ongnyeo show a unique aspect of existence by being excluded from the community Byeongangsoe and Ongnyeo into bare lives. For the survival of the community, Byeongangsoe and Ongnyeo must constantly wander outside it. Moreover, “Byeongangsoe-ga” inserts one more device, the image of the disease. Byeongangsoe and Ongnyeo have different orientations of life after marriage. Byeongangsoe continues to show an attitude of ignoring the norms of the community, and for this reason he is subject to “public punishment” by Jangseung. However, the scene where Byeongangsoe is punished is depicted as injecting all kinds of diseases into the body. Byeongangsoe became sick because of his deviation from the norm, which converges from Jangseung’s disease to Jangseung’s death. Interestingly, the pathogenesis of “Byeongangsoe-ga” is portrayed as a judgment on the “insolence” that deviates from the norm. Byeongangsoe is made into a “metaphor for disease” by Jangseung. Violence inflicted by the community on the perverse is exposed indirectly or provocatively through such metaphors, characterized as being done at the structural level of society. “Byeongangsoe-ga” is a text that wandering people are used as metaphors for diseases, eventually producing another wanderer such as Ongnyeo through agreed violence between the social system and the community. From this point of view, “Byeongangsoe-ga” can be seen as portraying Byeongangsoe and Ongnyeo as speculative others wandering like diseases, which are still easily found today. Byeongangsoe and Ongnyeo induce us to consider at the edge of the community what a community is. If we do not accept the unfamiliarity of the, the violence of the batter, and the batter’s otherness within the system, yet more beings will disappear from the world, such as Byeongangsoe and Ongnyeo, over time. Embracing naked beings such as Byun Gang-so and Ongnyeo back into the community may in a way be the standard of the new normal that “Byeongangsoe-ga” presents today.

      • KCI등재

        <변강쇠가>에 나타난 ‘성’의 표면화 전략과 미디어서사로의 전이

        정제호 동양고전학회 2018 東洋古典硏究 Vol.0 No.72

        <변강쇠가>는 우리 문학 중에서도 성적인 요소의 활용이 대단히 많은 작품이다. 이런 특징 때문에 <변강쇠가>는 단순히 음란한 작품으로 치부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변강쇠가>를 면밀히 살펴보면 그 음란함의 이면에 당대 현실에 대한 다양한 문제의식이 숨어 있음을 포착할 수 있다. 특히 강쇠와 장승의 대립을 통해 제시되는 유랑민과 지역 공동체 간의 갈등은 현실의 질곡을 드러내는 장치로 쓰인다. 다만 현실의 질곡을 야기한 존재들에 대한 비판이 성적 요소들 뒤로 숨어 그들에 대한 진정한 문제 제기를 불가능하게 만든다는 점이다. <변강쇠가>의 표면이 성적 요소들로 채워지면서 그 속에 문제들은 감춰지는 것이다. 이러한 <변강쇠가>의 성 표면화 전략은 미디어서사로의 전이 과정에서도 유사하게 드러난다. <변강쇠가>는 1980년대에 영화화된 이후 최근까지 계속해서 새롭게 재창작되고 있다. 다만 이들 작품들은 <변강쇠가>의 성적 요소들만 수용하여 극대화한 B급 에로영화의 수준에 머물고 있다. <변강쇠가> 속에 담긴 현실의 문제나 다양한 의미들은 사라진 채 더욱 원초적 자극을 불러일으키는 형태로만 전이된 것이다. 더욱이 이 과정에서 <변강쇠가> 자체의 의미나 내용은 사라지고 오로지 성적 요소의 이미지화만 남았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변강쇠가>의 미디어서사로의 전이 과정에서 성적인 요소가 더욱 강조된 것은 당대 현실과도 관계가 있다. 군부에 의해 장악된 정치 환경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분산시키기 위해 많은 에로 영화가 창작되었던 시기이기 때문이다. 결국 <변강쇠가>에서 나타난 성의 표면화 전략이 미디어서사로 전이되는 과정에서 더욱 극대화되며, 당대 현실을 가리는 장치로 활용된 것이다. 하지만 이후 창극 <변강쇠 점 찍고 옹녀>처럼 새로운 작품들이 시도되고 있다. 이는 획일화된 <변강쇠가>의 기표를 넘어 작품에 대한 향유 방식이 새로운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였다. 향후 <변강쇠가>에 대한 여러 새로운 해석이 더욱더 기대되는 바이다. <Byungangsoe-ga> has many sexual elements among our literature. So <Byungangsoe-ga> is considered obscene. But if you take a closer look at <Byungangsoe-ga>, you can see that he is dealing with the real problem. Especially, the conflict between Gangsoe and Jangseung shows the contradiction of reality. However, it can not be questioned because it is hidden behind sexual elements. <Byungangsoe-ga>'s strategy of revealing is similar in Media Narrative. <Byungangsoe-ga> has been made into a film since the 1980s. However, these films stayed at the level of B-erotic movies. The real meaning of <Byungangsoe-ga> is gone, and the sexual image is more emphasized. Incidentally, this aspect is related to reality at the time. At that time, the military was in control of politics. So I wanted the people not to be interested in politics. For this reason, many erotic movies were created. Eventually, the strategy of revealing was even more maximized in Media Narrative. But recently there was a new attempt like <Madame Ong>. This was a new attempt to go beyond the standardized approach. Future interpretations of <Byungangsoe-ga> are expected more.

      • KCI등재

        기획논문: 고전문학 명편 다시 읽기 : <변강쇠가>의 성 담론 양상과 의미

        이정원 ( Jeong Won Lee ) 한국고전연구학회 2011 한국고전연구 Vol.0 No.23

        <변강쇠가> 연구사에서 단절적인 서사 구조는 중요한 쟁점이었다. 이 논문은 <변강쇠가>를 성과 성욕에 대한 문학적 담론으로 간주하여 구조의 문제를 설명하고자 했다. <변강쇠가>에서 옹녀를 내쫓고, 변강쇠를 죽이는 데에는 성과 성욕에 대한 공동체의 공포가 도사리고 있다. 즉 음란한 여성 앞에서 남성은 자기 주도권을 상실하고 결국 공동체가 파멸한 것이라는 두려움 때문에 옹녀는 쫓겨나는 것이다. 옹녀를 교화할 수 없는 괴물로 다루었던 방식은 변강쇠의 징치 과정에서도 반복된다. 변강쇠의 성욕은 사회적 불건전함의 표지로 간주된다. 그리하여 옹녀나 변강쇠에 대한 징치는 현재의 죄가 아니라 미래의 위험에 대한 방제의 성격을 띤다. 육체적 성과 성욕에 대한 이성적 통제는 불가능하는 공동체의 공포가 서사에 반영된 것이다. 한편 <변강쇠가>의 후반부는 개인의 욕망과 공동체의 폭력 사이의 긴장을 서사화한다. 변강쇠는 죽으면서까지도 성적 집착을 포기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그의 죽음이 징벌의 완수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그의 죽음은 공동체의 폭력을 구체화함으로써 저항의 명분을 제시한다. 이 저항은 치상 과정에 나타나는 윤리적 딜레마에서 구체화된다. 즉 치상이라는 윤리적 행위를 위해 옹녀는 성을 개방해야 하고, 사내들은 성욕을 채우려 한다. 이런 딜레마는 공동체의 규범도 개인의 욕망처럼 상대적일 수 있음을 드러낸다. 또한 치상 과정은 그런 딜레마가 성욕을 지닌 모든 인간의 보편적 문제임을 보여준다. 그리하여 치상의 과정에서 사람들은 강쇠의 원한에 공감하고, 또한 자신의 음욕에서 파괴의 명분을 확인하게 된다. 이처럼 변강쇠의 저주가 위력을 발휘하는 데에는 성욕과 규범 사이의 긴장, 그리고 그것이 빚어내는 공포가 자리잡고 있다. 한편 <변강쇠가>의 치상 장면은 매우 유쾌하게 그려져 있다. 이것은 변강쇠의 저주가 공동체 권력에 대한 저항과 탈주의 성격을 지녔기 때문이다. 또한 저주의 평등함 속에서 사회적 위계는 무너지고 축제의 자리가 마련되기 때문이다. It has been a important matter that the narrative of <Byungangsoiga> was not organic. I intended to explain the structure of <Byungangsoiga> as a literal discourse about sexuality. There was fear for sex and sexual desire of community where Ongnuy was thrown out and Byungangsoi was killed. Because of the fear that a man could not defend himself from a sexual woman, and at last the community must be destroyed, Ongnyu must be expelled from her community. They have treated her a monster and as the same way Byungangsoi was punished. Byungangsoi`s powerful sexuality was treated as a sign of social unsoundness. So the communities punished them not for the guilty of present but for the danger of future. There was a tension between the desire of individual and the violence of community in the second half of <Byungangsoiga>. Byungangsoi did not give up his sexual tenacity with dying. So his death did not mean the success of punishment. Instead his death showed the violence of the community and obtained the cause of resistance. It was through the moral dilemma that the resistance was realized. For the funeral service, Ongnyu the wife of Byungangsoi had to have sexual relationship with a strange man. In this dilemma, the dogma of moral standard was deconstructed. By the way, the scene of the funeral was very fun and cheerful. Because the curse of Byungangsoi was against the power of community, the social hierarchy was destroyed and the festival was held in the equality of the curse.

      • KCI등재

        카타르시스와 변강쇠가

        강지영 동아시아고대학회 2022 동아시아고대학 Vol.- No.65

        <변강쇠가>는 강쇠의 죽음에 대한 처리의 모호성으로 인해 비극과 희극의 중간 지점에 놓인 작품으로 받아들여져 왔다. 앞선 연구에서는 비극적 측면과 희극적 측면으로 나누어 작품에 접근하여 각각의 시선으로 읽을 수 있는 작품 내 요소를 분석하였다. 본고는 <변강쇠가>가 강쇠의 죽음으로 끝난다는 점에서 <변강쇠가>를 비극에 한정하여 접근하였다. 비극이 카타르시스라는 감정의 정화를 가져온다는 점에 착안하여 난동 속의 카타르시스라는 해석으로 <변강쇠가>를 재독하였다. 강쇠의 죽음에 주목하여 비극을 중심에 두고 <변강쇠가>에 접근하고자 하는 시도가 드물었고, <변강쇠가>에서 두드러지는 무질서와 혼란이 가져오는 난동의 의미를 비극을 중심에 둔 감정의 정화로서의 카타르시스를 주제어로 새롭게 읽어내고자 한다는 점에서 앞선 연구와의 차이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주인공의 죽음으로 끝나는 변강쇠가는 아폴론 적인 질서와 디오니소스적인 무질서를 동시에 보여준다. 니체가 비극을 중심에 두고 카타르시스를 다시 살펴본바, 그에 기반하여 <변강쇠가>를 분석, 디오니소스적 무질서와 아폴론적 질서가 <변강쇠가>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변강쇠가> 고유의 카타르시스 독해를 시도해 보았다. 서사적 측면에서 <변강쇠가>는 급작스러운 죽음 등의 사건으로 인해 무질서의 부정적(negative) 디오니스적 혼란이 두드러지는 듯 보인다. 실제로는 디오니소스적 혼란과 아폴론적 질서가 교차 되어 나타나는 지점을 발견할 수 있다. 부정적 디오니소스에 기반한다는 점에서 美보다는 醜의 측면이 두드러질 수 있으나, 부정적 디오니소스가 아폴론적 질서가 어우러져 나타나기도 한다는 점에서는 역동성과 교차의 긍정적(positive) 디오니소스의 독해 가능성을 남긴다. 이러한 교차를 <변강쇠가>에서 읽어낼 수 있는 고유의 카타르시스로서의 美感으로 해독할 수 있다. 등장인물 성격 측면에서 강쇠는 전반적으로 무질서와 난동의 부정적 디오니소스적 면모를 보인다. 죽음을 대면하는 옹녀는 음녀에 한정되어 있던 디오니소스적 이미지와 달리 아폴론적 질서를 보여준다. 부정적(negative) 디오니소스적 무질서와 아폴론적 질서의 전복은 부정적 디오니소스를 긍정적 디오니소스로 읽히게 하는 데 일조한다. 이는 비극 <변강쇠가>에서 긍정적 디오니소스에 기반한 고유의 카타르시스를 해독할 수 있을 가능성을 높여준다. 성애 묘사나 몸을 팔아 치상을 하려는 등의 모습을 보이므로 옹녀는 아폴론적 질서를 따르는 인물로 볼 수 없다. 하지만 옹녀에게서는 사회적 통념을 따르려는 등의 아폴론적 질서가 나타나기도 한다. 옹녀를 어떤 인물로 해석하고 죽음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카타르시스가 부각되는 장면은 달라진다. 이러한 가능성은 <변강쇠가>의 미감을 형성하는 또 하나의 가능성으로 읽어낼 수 있다. <변강쇠가> 속 醜와 美의 교직 양상은 교차 자체로 긍정적 디오니소스로 읽힐 수 있다. <변강쇠가>는 디오니소스적 무질서와 아폴론적 질서를 교차시켜 둠으로써 디오니소스적 혼란과 충동을 긍정적 디오니스로 재독되게 할 가능성을 보인다. 이 연구에서는 아폴론적 질서와의 대별을 통해 충동과 자극적 측면이 강화되어 보이는 부정적 디오니소스에서 역동성과 생성성을 보여줄 수 있을 긍정적 디오니소스적 측면을 살려, <변강쇠가> 고유의 카타르시스를 읽어 ...

      • KCI등재

        스토리텔링의 관점에서 본 박동진本 <변강쇠가>

        신호림 동아시아고대학회 2018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51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ad Park Dongjin’s “Byeongangsoe- ga” with the perspective of storytelling. The story of Park Dongjin’s “Byeongangsoe-ga” is an organization of choices and substitutions. Park Dongjin interpreted the discourse of Shin Jaehyo’s version of “Byeongangsoe-ga” in order to extract a story and created the new discourse based on that story. This process can be called ‘storytelling’ and this is why I try to read Park Dongjin’s “Byeon gangsoe-ga” on the perspective of storytelling. Park Dongjin, not like a Shin Jaehyo’s “Byeongangsoe-ga”, abstained from describing the sexual expression and focused on the sorrowful life of nomadic people of lower class. He even changed the whole of final scene to comfort those people on the point of view of a male character Byeongangsoe. Park Dongjin’s “Byeongangsoe-ga” is a malecentered narrative which excludes the narrative of female character Ongnyeo. Ongnyeo is just subordinate to Byeongangsoe and she even dies. It is possible to say Park Dongjin’s “Byeongangsoe-ga” disregards the female’s life and failed to accept the public demands nowadays. However, when we consider of the concept of storytelling, Park Dongjin’s “Byeongangsoe- ga” can pacify the people when its transmission was inactive and only sexual code filled the narrative of “Byeongangsoe-ga” which is found in movie genre. Park Dongjin established the foundation of possibility of storytelling of “Byeongangsoe-ga” and this shows its considerable status. 본고는 스토리텔링의 관점에서 박동진本 <변강쇠가>에 접근함으로써, 박동진이 신재효本 <변강쇠가>의 스토리를 추출하여 새로운 담화를 생성해내는 과정을 탐색했다. 박동진本 <변강쇠가>의 서사가 신재효本 <변강쇠가>의 그것과 같이 ‘선택과 대체의 조직체’로서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고, 기존의 서사를 어떻게 재해석해서 자신만의 스토리로 구성했는지 파악한 것이다. 박동진은 변강쇠와 옹녀에게 덧씌워진 과잉된 성욕에 대한 묘사를 최대한 절제함으로써 아무리 노력해도 이루어질 수 없는 정착에 대한 하층유랑민들의 분투에 주목했다. 결말부를 신재효本 <변강쇠가>와 달리 완전히 다른 장면으로 대체함으로써 파국으로 치달은 유랑민들의 삶을 어떤 방식으로든 위로해주고자 한 것이다. 다만, 변강쇠와 옹녀가 지니는 상반된 삶의 지향을 하나로 수렴하기 힘들었기 때문에 두 인물 중 한 인물 즉, 남성인물 변강쇠의 관점에서 이야기를 풀어냈다. 옹녀의 서사를 배제하고 변강쇠를 전면에 내세움으로써 박동진本 <변강쇠가>는 남성중심적인 서사가 되었다. 여성인물에 대한 서사적 배려가 부족했다는 비판이 있을 수도 있겠지만, 스토리텔링이라는 관점에서 봤을 때 박동진本 <변강쇠가>는 <변강쇠가> 전승에 있어 새로운 가능성을 부여했다. 전승이 끊겨 겨우 사설만 전승되던 시점에서 박동진은 <변강쇠가>를 판소리로 복원했고, 1980년대 성적인 코드로 가득 차 있던 영화적 흐름에 아랑곳하지 않고, 1970년 첫 공연 때부터 지속적으로 자신만의 <변강쇠가>를 통해 유랑민들을, 더 나아가 대중들을 위무할 수 있었다. <변강쇠가>가 다양한 매체를 경유하며 전승되는 가운데, 그 본연의 문제의식을 담지하고 계속해서 동시대의 새로운 담론을 이끌어낼 수 있었던 근간에 박동진本 <변강쇠가>가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후에 새로운 모습의 <변강쇠가>를 견인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판소리 사설에 나타난 질병에 대한 기억과 반응 - 19세기 콜레라의 유행과 <변강쇠가>를 중심으로 -

        오성준(Oh, Seong-jun) 국문학회 2021 국문학연구 Vol.- No.43

        본 논문은 전염병 체험의 기억이 형상화된 작품으로 판소리 사설 <변강쇠가>에 주목하여, 19세기 조선에 유행했던 콜레라의 실상 위에서 <변강쇠가>에 나타난 질병에 대한 기억과 반응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본격적인 논의를 위해 먼저 19세기 조선의 콜레라 대유행과 관련된 기록들을 통해 전염병의 시작과 전파 속도 및 범위, 증상과 대상을 중심으로 전염병 체험이 집단의 기억 속에 각인된 양상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평안도에서 시작된 콜레라가 엄청난 속도를 자랑하며 19세기 조선 사회 전체에 큰 고통과 수많은 시체를 남겼던 사실, 그리고 상층보다는 경제적으로 어려운 현실에 놓여있었던 하층 민중들에게 더 큰 피해를 주었던 사실을 확인했다. 그리고 이러한 체험이 당시 조선 사람들에게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를 방불케하는 공포와 불안의 기억을 남겼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전염병 체험의 기억이 <변강쇠가>에 형상화된 흔적을 살펴보았다. <변강쇠가>의 전반부에서는 평안도라는 작중 공간 설정, 접촉으로 인한 대량의 죽음을 중심으로 전염병의 기억이 작품 속에 형상화된 모습을 확인했다. 작품의 중반부에서는 강쇠의 죽음을 둘러싸고 전염병이 남긴 고통의 증상 및 빠른 전파 속도와 관련된 기억, 그리고 ‘가난한 자의 역병’이라는 씁쓸한 현실에 대한 기억이 형상화의 주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작품의 후반부에서는 산 자와 죽은 자가 공존하는 공간 설정, 땅과 사람에 붙어버린 시체의 모습, 이를 갈아 없애는 결말에 콜레라로 인해 시체가 범람했던 19세기의 흔한 풍경이 투영되어있음을 확인했다. 이후 전대미문의 전염병 충격에 대한 반응이 <변강쇠가>에 어떻게 드러났는지를 파악하고자 했다. 특히 공동체 경계 안에 있는 존재들이 공론을 통해 옹녀와 강쇠를 타자화하고 처리하는 과정에 주목했다. ‘우리’와 ‘그들’ 사이에 놓인 담장이 더욱 높고 견고해지는 모습을 통해, 전염병에 대한 반응으로서‘차별과 배제의 논리’가 <변강쇠가>를 주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대처할 수 없는 위기의 상황마다 ‘차별과 배제의 논리가’ 등장하는 역사적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19세기 조선 사회에서 콜레라라는 전대미문의 질병이 빚어낸 인간성의 비극을 <변강쇠가>가 잘 보여주고 있다고 보았다. 19세기의 콜레라와 21세기의 코로나19, 전염병이라는 유사한 위기 상황에 서 질병에 대한 반응이 보여주는 ‘인간성의 수준’은 200년 전과 비교했을 때19세기의 콜레라와 21세기의 코로나19, 전염병이라는 유사한 위기 상황에서 질병에 대한 반응이 보여주는 ‘인간성의 수준’은 200년 전과 비교했을 때 얼마나 나아졌는가? 여전히 차별과 적대, 그리고 혐오와 배제의 논리가 작동하고 있지는 않은가? <변강쇠가>가 던지는 이상의 질문은 오늘날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처럼 <변강쇠가>는 19세기 조선 사회의 콜레라 대유행이 남긴 기억과 이에 대한 반응을 작품 전체에서 문학적으로 잘 형상화하고 있으며, 전염병의 기억 위에서 인간의 문제에 대해 본질적인 질문을 던지고 있다. 그런 점에서 한국 문학사에서 ‘질병 문학’을 논할 때, 19세기를 대표하는 ‘전염병 서사’로서 판소리 사설 <변강쇠가>의 문학사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얼마나 나아졌는가? 여전히 차별과 적대, 그리고 혐오와 배제의 논리가 작동하고 있지는 않은가? <변강쇠가>가 던지는 이상의 질문은 오늘날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처럼 <변강쇠가>는 19세기 조선 사회의 콜레라 대유행이 남긴 기억과 이에 대한 반응을 작품 전체에서 문학적으로 잘 형상화하고 있으며, 전염병의 기억 위에서 인간의 문제에 대해 본질적인 질문을 던지고 있다. 그런 점에서 한국 문학사에서 ‘질병 문학’을 논할 때, 19세기를 대표하는 ‘전염병 서사’로서 판소리 사설 <변강쇠가>의 문학사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mories and reaction to the disease in Pansori Byeongangsoi-ga based on the facts of cholera pandemic in Joseon society in the 19th century. First, through the records related to the cholera pandemic in Joseon society in the 19th century, we looked at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fectious disease experience imprinted in the memory of the group, focusing on the starting point, the speed and spread range, symptoms and objects. It was confirmed that cholera, which started in Pyeongando, boasted a tremendous speed and left great pain and numerous corpses in the entire 19th century Joseon society.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lower class people who were in a difficult economic condition were damaged more than the upper class. And it can be seen that this experience left the memories of fear and anxiety reminiscent of PTSD to the Joseon people at that time. Based on this, This study looked at the traces of the memories of the infectious disease experience in Byeongangsoi-ga. In the first half of Byeongangsoi-ga, the memory of the infectious disease was confirmed through the setting of death due to contact, mass death, and the starting space(Pyeongando). In the middle of the work, it can be seen that memories related to the symptoms of the pain left by the contagious disease, the rapid spreading speed, and bitter reality of “the plague of the poor” are the main elements of the formation. In the second half of the work,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mon scenery of the 19th century, when the body was flooded, is projected into the space wh e re the living and the dead coexist, the appearance of the corpse stuck to the ground and people, and the ending of grinding away teeth. After that, I tried to understand how the reaction to the shock of the infectious disease was revealed in Byeongangsoi-ga.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pay attention to the process by which people in the boundaries of the community otherize Ongnyeo and Gangsoi through public opinion. Through the appearance of the fence between ‘we’ and ‘them’ becoming taller and more solid, it was confirmed that “the logic of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was leading the way in response to the epidemic. In addition, by looking at the historical cases in which the logic of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appears in, Byeongangsoi-ga shows the tragedy of humanity caused by the unprecedented disease of cholera in Joseon society in the 19th century. In a similar crisis situation of cholera in the 19th century and COVID-19 in the 21st century, How much has the ‘level of humanity’ which can be confirmed by the response to the disease improved compared to 200 years ago? Are the logics of discrimination and hostility, hatred and exclusion still in operation? The above questions posed by Byeongangsoi-ga have great implications even today. As such, Byeongangsoi-ga literately well portrays the memories of the cholera pandemic in the 19th century Joseon society and their reactions to it, and raises fundamental questions about human problems based on the memory of the epidemic. In this regard, when discussing “disease literature” in Korean literature history, Pansori Byeongangsoi-ga can be “epidemic narrative” representing the 19th century.

      • KCI등재

        <변강쇠가>에 나타난 욕망과 규범 사이의 긴장과 그 처리 방식

        신호림 판소리학회 2018 판소리연구 Vol.45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narrative tension between 'individual desires and social norms' and how this is negotiated in “Byeongangsoe-ga” in order to reveal its hidden theme. In “Byeiongangsoe-ga”, the two main characters, Gangsoe and Ongnyeo, are filled with sexual desire. However, after they get married, Ongnyeo, the female character, is caught up in conforming to social norms of the Choson dynasty. However, Gangsoe, the male character, keeps his sexual desire, resisting the norms. At the end of the text, Gangsoe is disciplined by the concept of folklore represented by Jangseung. It appears that Gangsoe conforms to social expectations. However, his death reveals another theme in the text. Though the narrative of “Byeongangsoe-ga” closes with his death, the tension between desire and discipline, and the individual and group still goes on in an aesthetic form of the grotesque. 본고는 <변강쇠가>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텍스트에 내재되어 있는 욕망과 이를 억제하려는 규범 사이의 긴장을 살펴보고, 종국에 어떤 방식으로 그 긴장감을 처리하는지 구명하는 데 목적을 둔다. 성(性)으로 표상되는 욕망은 변강쇠라는 남성 인물과 옹녀라는 여성 인물로 분화되어 나타나며, 이 두 인물이 만나 부부가 된 이후의 노정은 대립적으로 형상화 된다. 옹녀는 가(家) 안의 공간에 머물며 아녀자로서의 규범을 받아들이려고 하지만, 변강쇠는 옹녀와의 만남 이전에 이어가던 욕망의 표출을 멈추지 않는다. 이런 갈등 지점에서 <변강쇠가>는 변강쇠를 규범의 테두리 속으로 포섭하기 위해 ‘장승’ 화소를 서사 내로 견인한다. 장승과 변강쇠의 갈등은 결국 장승의 승리로 이어지지만, 변강쇠는 규범을 받아들이는 대신 기괴한 모습으로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이는 표면적으로 규범의 승리처럼 보이는 서사에서 오히려 규범이 죽음 외에는 개인을 교화시킬 수 없다는 아이러니를 보여준다. 이것이 바로 <변강쇠가> 특유의 기괴미를 유발하는 기제가 되어, 결국 변강쇠의 죽음에 대한 또 다른 의미를 부여한다. <변강쇠가>는 표면적으로 성적욕망의 표출이 사회 규범에 의해 조정되어야 함을 이야기하지만, 그 안에서 개인의 욕망은 억제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오히려 그 규범에 대한 저항담론으로 남아있을 수 있다는 이면적 주제를 보여준다. 성적 욕망과 사회 규범, 개인과 집단 사이의 이러한 긴장감은 <변강쇠가>의 서사가 종료된 시점에서도 완전히 사라지지 않고, 기괴미라는 미적 범주의 형태로 남아 지속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변강쇠가>의 구조와 애정 양상

        신경남 ( Kyung Nam Shin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9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18

        <변강쇠가>는 서종문에 의해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현재 작품 성격과 그 미적 특질, 구조, 개작자의 의식 등 전반적인 이해의 바탕이 마련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논의가 강쇠의 죽음을 기준으로 작품의 구조를 나누고 그 서사를 갈등구조로 파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때문에 작품의 구조를 이원화하고, 결말에 대해 전망의 부재 또는 비극으로 보았다. 아울러 옹녀가 작품의 결말에서 증발된 것으로 보고 옹녀의 청상살도 강쇠의 죽음으로 작품 안에서 그 기능을 다한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시각은 작품의 본질을 파악하는데 걸림돌이 된다. 작품을 읽다보면 일정한 구조적 통일감이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그 통일감이 강쇠가 아닌 옹녀를 중심으로 작품의 구조를 파악했을 때 나타나는 것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즉 <변강쇠가>는 무수한 남성을 보낸 옹녀가 또다시 변강쇠라는 사나이를 만나 살림을 차리고 그가 장승죽음을 당하자 그를 치상함으로써 또 한번의 청상살을 겪는 과정을 보여주는 무수한 <옹녀전> 중 하나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그와 더불어 <변강쇠가>에서 보여주는 남녀의 만남과 결합은 재자가인의 환상적 결합이 아니라, 지극히 구체적인 당대의 하층 남녀의 것이다. 이는 같은 하층 부류인 춘향이나 흥부의 처와는 또 다른 하층의 삶, 그 가운데에서도 가장 고단한 삶을 살아가는 남녀의 사랑이다. 먹고 자고 일하는 것이 삶의 전부이고 그 일조차도 가장 비루하고 천한 것으로, 피곤한 몸을 굴리지 않으면 살 수 없는 삶이다. 이것이 <변강쇠가>가 다른 전승 판소리와는 또 다르게 확보하고 있는 역사성이라 하겠다. Full-scale study of <Byun-Gangsoi Ga(변강쇠歌)> got accomplished by Seo-jongmun. Now, the characteristic of work an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 the adapter`s awareness and etc. elucidate by and large. Nevertheless, most of discussions divide structure with bases at death of Gangsoi and grasps of narrative like structure of complications. So, they grasps text that is dualistic structure, absence of prospect or hardly catastrophic. It`s discussed. And with they regard as Ongnyu`s gone at an end, Ongnyu`s "Cheongsang-fate(靑孀살)" did a role in text, by Gangsoi`s death. But, there`s a definite unity of struc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source of the unity clear. It`s able to grasp the structure around Ongnyu. Namely, <Byun-Gangsoi Ga(변강쇠歌)> is the one case of <Ongnyu Jeon(옹녀傳)>s without number that shows, Ongnyu who was bereaved of innumerable males, go through "Cheongsang-fate(靑孀살)". Ongnyu mets Gangsoi and married, taken charge of funeral rites. It`s one more case of "Cheongsang-fate(靑孀살)". The meeting and the coupling in Text show as in the concrete as love of man and woman who are the lower class of the day. It is different with same class of the day as Chunhyang and Heungboo` wife. As they worked like dogs, their life is harder and harder. And Their love is the love of man and woman in lowest class. Working and eating, sleeping, it`s almost all of their life. If they don`t work, there`s just death. It`s distinguishing historicity of <Byun-Gangsoi Ga(변강쇠歌)>, what`s different from the other transmission-Pansori Literature.

      • KCI등재

        실전 판소리의 재탄생 연구 -창극 <변강쇠 점 찍고 옹녀>를 중심으로-

        이소정 ( Lee Sojeong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6 공연문화연구 Vol.0 No.33

        본 논문은 국내 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마담 옹(Madame Ong)>이라는 제목으로 그 작품성을 인정받은 국립창극단의 창극 <변강쇠 점 찍고 옹녀>를 통해 실전판소리가 어떻게 새롭게 재탄생되었는지, 그 과정에 주목하여 이 작품의 텍스트와 음악적 특징을 분석해보았다. 창극 <변강쇠 점 찍고 옹녀>는 현재에는 실전된 판소리 <변강쇠가>를 각색하여 창극으로 만든 작품이다. 이 과정에서 변강쇠의 치상부분인 후반부의 내용을 삭제하고, 옹녀가 변강쇠를 되찾아오기 위해 장승들과 전쟁을 벌이는 내용을 새롭게 삽입하여 텍스트의 변화를 주었다. 또한 <변강쇠 점 찍고 옹녀>라는 제목에서도 드러나듯, 원작과는 다른 관점으로 변강쇠가 아닌 옹녀를 주인공으로 삼아 그동안 음녀로만 여겨졌던 옹녀를 자신의 운명에 맞서 싸우는 주체적이고 독립적인 여인으로 변모시켰다. 창극 <변강쇠 점 찍고 옹녀>는 모든 소리가 작창으로 만들어졌는데, 극과 가장 부합되는 소리, 즉 이면에 맞는 소리를 표현하기 위해 창자간의 화음을 넣는 등, 여러 가지 시도가 이루어졌다. 또한 소리를 하는 인물 혹은 등장인물의 심경 변화에 따라 그 소리의 조와 성음이 달리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창극 <변강쇠 점 찍고 옹녀>는 특히 반주음악에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졌는데, 소리북을 여러 개 사용하거나 대중가요에서 왈츠, 클래식, 각도민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사용하는 등 도전적인 시도를 했다. 이러한 시도들은 극을 더욱 풍성하게 만들었고 사실감 있는 극적표현을 도와주었다. 이렇듯, 창극 <변강쇠 점 찍고 옹녀>는 내용적인 측면에서는 고전서사를 차용했지만, 음악적인 측면에서는 기존의 창극에서 벗어난 다양한 변화와 시도들을 통해, 온고지신의 면모를 갖춘 새로운 창극의 모습을 보여주었고, 현대 사회에서 창극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가능성을 제시해 준 작품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ext and musical characteristic of < Byeongangsoe Jeom Jjikgo Ongnyeo >, a changgeuk (a Korean traditional opera), by the National Theater of Korea, which was performed overseas with the title of < Madame ONG > and recognized its artistic values home and abroad alike, focusing on the process of its rebirth from a lost pansori. A changgeuk < Byeongangsoe Jeom Jjikgo Ongnyeo > was dramatized from a lost pansori < Byeongangsoega > into a Korean traditional opera. In the process of rebirth of < Byeongangsoega >, the content of latter half, which is the performance of a funeral service for the deceased Byeongangsoe, was deleted, and the contents of Ongnyeo’s fight against jangseungs in order to take back Byeongangsoe was newly inserted, thus creating textual changes. In addition, as the title < Byeongangsoe Jeom Jjikgo Ongnyeo > presents, Ongnyeo is no longer a conventional lewd woman, but a subjective and independent female who is fighting against fate, different from its original perspective in which the leading character is Byeongangsoe. All the sounds of a changgeuk < Byeongangsoe Jeom Jjikgo Ongnyeo > were made by the creative technique of traditional Korean songs through various attempts, such as inserting chords between performers in order to present most appropriate songs for the opera, namely proper sounds for the hidden side of the opera.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hange of mind of performers or characters, the tone and vocal sound of the song were different. In particular, a changgeuk < Byeongangsoe Jeom Jjikgo Ongnyeo > attempted a variety of techniques in the accompaniment of music, and used many sound buks or diverse genres such as popular music, waltz, classic and folk songs of every province, thus presenting challenging attempts. These attempts made the opera more abundant and helped it to be expressed realistically and dramatically. As above, the contents of a changgeuk < Byeongangsoe Jeom Jjikgo Ongnyeo > were borrowed from classical narrations, but its musical aspects got off the technique of traditional changgeuk, thus attempting various changes and techniques. In this vein, it presented a novel modality of changgeuk equiping with the characteristic of ‘reviewing the old and learning the new,’ thus proposing the directivity and possibility of changgeuk in the present society.

      • KCI등재

        공포와 혐오, 환대의 가능성으로 읽어보는 유랑민 서사-<변강쇠가>를 중심으로-

        서유석 우리문학회 2018 우리文學硏究 Vol.0 No.60

        본 연구는 <변강쇠가> 연구의 커다란 두 축으로 파악되는 작품의 ‘기괴성’과 ‘유랑민 서사’라는 관점을 한 자리에 두고, 유랑민 서사가 가지는 기괴성의 의미를 다시 한 번 조망해보고자 하는 연구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변강쇠와 옹녀의 성과 육체가 비정상적인 모습으로 묘사되는 것은, 사실 그들이 정착할 수 없는 유랑민이었기 때문이다. 또한 장승으로 대표되는 당대인들의 유랑민에 대한 적대적 정서는 작품 속에서 당대 <변강쇠가>의 향유층이 유랑민을 바라보는 공포, 혐오라는 시선에 함축되어 있다고 예상하기 때문이다. 작품의 두 주인공은 쫓겨난다. 하지만 이들의 잘못으로 쫓겨난 것이 아니다. 쫓겨난 것은 더럽다고 여겨진다. 정확히는 제자리에 있지 않는 것을 더러운 것, 혹은 문제적인 존재로 본다. 조선후기 다양한 사회 문제로 원래 살던 곳에서 더 이상 살 수 없어 유랑민이 된 존재는 더럽다. 옹녀가 그러하고, 변강쇠도 마찬가지이다. 특히 옹녀의 경우 여성이기에 그 더러움은 더 강조된다. 가부장제 이데올로기는 모든 것이 제자리에 있어야 한다는 강박을 여성에게 부과하기 때문이다. 박복한 팔자로 쫓겨난 옹녀는 유랑민이기에 더럽다. 더럽다는 것은 혐오의 대상이다. 유랑민은 더러운 존재이기에 혐오의 대상이 된다. 문제는 이 혐오가 공포로 이어질 때다. 혐오가 공포로 이어지는 이유는 혐오의 대상에 대한 무지에서 비롯한다. 유랑민은 낯선 존재이기에 정착민들에게 무지의 대상일 수밖에 없다. 무지의 대상이었던 옹녀와 변강쇠는 당연히 기괴한 존재가 된다. 정확히 그들은 정착민에게 괴물과 같은 존재가 되는 셈이다. 괴물과 같은 기괴한 존재는 공포로 다가온다. 공포를 기저에 둔 혐오는 혐오 대상의 실체를 밝힐 수 없게 만든다. 따라서 <변강쇠가>에 등장하는 유랑민은 그들의 지난한 삶을 이해받을 수 있기보다는 언제나 정착민들을 위협하는 공포 혹은 혐오의 존재로 남을 수밖에 없다. 작품에 등장하는 장승은 분명 유랑민을 공포와 혐오의 대상으로 파악하는 정착민들을 상징한다. 하지만 장승의 징치가 사적인 복수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공적인 논의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사실은 주목을 요한다. 공적 징벌의 대상이 된 변강쇠와 옹녀는 어떤 의미에서 다시 정착할 수 있는 성원권을 가질 수 있을지도 모르는 대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유랑민이 장소를 더럽히는 존재로서만 사회 안에서 재현될 수 있던 것처럼, 유랑민도 공적 징치의 대상이 될 때, 유랑민의 존재는 향촌사회 정주민들에게 하나의 존재로 드러날 수 있기 때문이다. 작품의 마지막에 등장하는 기괴한 변강쇠의 치상과정은 ‘사람다움’을 회복하기 위한 의례 수행의 하나로 볼 수 있다. 인간이 의례 수행을 통해 비로소 신성해질 수 있다면, 옹녀의 지난한 강쇠의 치상은 다시 성원권을 얻기 위한 치열한 노력으로 이해해 볼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은 실패한다. 옹녀는 간 곳을 알 수 없고, 작품은 열린 결말을 맞이하기 때문이다. This study examines “Byeongangsoega” from the viewpoints of the work’s mystery and its refugee narrative. Byeongangsoe and Ongnyeo are described as sexually and physically abnormal because they are refugees. Furthermore, the people’s hostile feelings toward refugees, represented by totem poles, is implied in the fear of and disgust toward refugees felt by the class of people enjoying “Byeongangsoega” at the time. The two protagonists in the work are expelled. They are not expelled, however, because of their wrongdoing. What is expelled is regarded as dirty. What is not put in its right place is regarded as dirty or as problematic. In the second half of the Joseon period, people regarded those who became refugees because they could not live in their places any longer due to diverse social problems as dirty. Ongnyeo is considered dirty, and Byeongangsoe is, too. Ongnyeo, as a woman, especially, sees her dirtiness further emphasized. For this reason, under the ideology of the patriarchal system, a compulsion that all things should be put in their right place was imposed on women. Ongnyeo, expelled because of her unlucky destiny, is dirty because she is a refugee. Dirtiness is the target of disgust. Since being a refugee is a dirty existence, he or she becomes the target of disgust. A problem develops when this disgust leads to fear. The reason disgust leads to fear is because it results from ignorance about the target of the disgust. Since being a refugee is an unfamiliar existence, refugees become the target of settlers’ ignorance. Ongnyeo and Byeongangsoe, as targets of ignorance, naturally become mysterious. To be specific, they become like monsters to the settlers. This mysterious, monstrous existence looms as fear. Aversion, accompanied by underlying fear, makes it impossible to determine the real identity of the target of disgust. Thus, refugees in “Byeongangsoega” must continue to be the expression of fear or disgust that constantly threatens the settlers, instead of being understood for their extremely difficult life. The totem poles in the work symbolize the settlers, who obviously see refugees as targets of fear and disgust. However, totem pole penalization is not limited to private revenge; our attention is brought to the fact that such penalization can be conducted through public discussion. Byeongangsoe and Ongnyeo, who become the targets of public punishment, may, in a sense, return to having the membership right to settle back into their original place. As refugees can only exist in a place that defiles society, when they are targets of public penalization, they can expose themselves as settlers in the rural community. The mysterious funeral of Byeongangsoe, in the last stage of the work, is seen as a rite that restores humaneness. As a man can be made sacred through the practice of rituals, Ongnyeo’s sincere funeral rite for Byeongangsoe is seen as a fierce effort to get her membership right back. The effort fails, however. Ongnyeo disappears and cannot be found anywhere, and the work ends with an open conclu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