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기독교 통일담론의 한국 통일담론에의 기여 방안

        안교성(Kyo Seong AHN)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2019 종교문화학보 Vol.16 No.2

        한국기독교는 통일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했고, 선도했으며, 기여도 했다. 그러나 기독교 중심의 기독교 통일담론과 모든 통일담론을 포함한 한국 통일담론은 서로 평행선을 긋는 양상으로, 상호 이해나 상호 교류가 빈약한 편이고, 따라서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기도 어렵다. 양자 간의 보다 긴밀한 관계 형성이 필요한 형편이다. 따라서 본고는 한국 통일담론에 절대적 영향을 미친 정부 통일정책을 통해 한국 통일담론을 간접적으로 살펴보면서, 이것과 기독교 통일담론을 비교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 통일담론은 정부 통일정책의 기본개념을 정리하는 것으로 대신하고자 한다. 본고는 기독교 통일담론이 한국 통일담론에 어떤 기여를 했고, 어떤 기여를 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집중적으로 답하고자 한다. 정부 통일정책의 기본개념은 크게 4가지로 요약할 수 있는데, 민족(자주, 민족적 대단결), 평화, 인도주의와 민간 참여(민주, 민중), 번영(이익과 번영) 등으로 나뉜다. 기독교 통일담론은 다양한 통일신학을 제시하고 통일운동을 벌린 바 있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민족과 관련하여 민족 동일성 회복을 추구하였는데, 이를 위하여 통일문제의 세계성을 부각했고, 주체사상 연구를 촉발했다. 둘째, 평화와 관련하여 평화와 화해의 발전을 추구하였는데, 이를 위하여 평화통일담론을 정착시켰고, 새로운 평화운동과 평화학을 도입했다. 셋째, 인도주의 및 민간 참여와 관련하여 민간 참여 담론을 구체화하였는데, 민간 참여가 시민 개념을 넘어서 민주, 민중 개념을 포함해야 함을 강조했고, 문화적 접근 담론 특히 사람 중심의 통일담론을 발전시켰으며, 사회주의 체제 연구를 추진했으며, 구동독교회 연구를 통해 민족 동질성의 일환인 교회 동질성을 탐구했으며, 통일 교육 및 훈련을 확산했으며, 기독교 현실주의를 통해 실현가능성이 높은 담론개발에 힘썼다. 넷째, 번영과 관련하여 미래적 비전을 제시했는데, 이를 위하여 희년신학과 정의평화창조질서의 보전신학을 발전시켰다. Throughout the modern history of Korea, the Korean Church continues to participate in, take the initiative in, and be conducive to the Korean re-unification movement. In spite of this, the Korean Christian re-unification discourse and the Korean re-unification discourse tend to draw parallel lines, and thus there seems to be few, if any, mutual understanding and bilateral interaction, let alone the synergic effect between two discourses. This article aims to compare the two discourses, by summarizing the Korean re-unification discourse through the basic ideas of the Korean government’s official documents on re-unification. It attempts to focus on answering the following question: what does the Korean Christian re-unification discourse contribute to the Korean re-unification discourse, and how? The basic ideas of the government can b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nation (autonomy and national unity), peace, humanism and civil participation (democracy and Minjung), and prosperity(profit and prosperity).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Christian re-unification discourse suggests various theology of re-unification and lead the re-unification movement. First, as for nation, it pursues the recovery of the homogeneity of the people, sheds light on its global dimension, and paves the way for the study of Juche, the ideology of North Korea. Second, regarding peace, it seeks for the evolution of the concept of peace and reconciliation, settles down the peace and re-unification discourse, and introduces peace studies and the peace movement. Third, as regards humanism and civil participation, it widens the concept of participation from citizenship to democracy and to Minjung, develops diverse areas such as culture-oriented re-unification study, including the re-unification of people, research on socialist system transition the homogeneity of the church as part of the homogeneity of people based on the case study of the ministry of the former Eastern German church, disseminates re-unification training and education, and plans for a feasible scenario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realism. Last, in relation to prosperity, it presents a great vision such as theology of jubilee and theology of peace, justice and integrity of creation.

      • KCI등재

        통일의 필요성에 관한 담론

        안교성(Kyo Seong Ahn)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6 선교와 신학 Vol.40 No.-

        2014년 박근혜 대통령의 드레스덴 선언에서 “통일은 대박”이라는 발언이 나온 이후, 통일에 관한 관심이 다시금 고조되었다. 이런 관심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통일 담론은 ‘왜’보다는 ‘어떻게’ 라는 질문을 다루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본 논문은 통일의 필요성에 관한 담론의 유형들과 발전에 대해서 조사하고자 한다. 특히 두 개의 상이한 시각 즉 역사적 시각과 주체별 시각의 관점에서 이 문제를 접근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이 같은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통일담론이 기독교 통일담론에 대해 지니는 함의를 요약코자 한다. 본 논문은 첫째, 역사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과거에는 통일국가의 전통과 건국의 숙원, 현재에는 정전 이후 평화와 통일, 미래에는 강대국의 염원 등이 중요한 주제였다. 이런 다양한 입장은 역사성, 정통성, 현실성, 실용성과 연관되었다. 둘째, 주체별 접근을 시도하면서, 개인, 사회, 국가, 국제사회 등을 살펴보았다. 개인에 있어서는 이주의 자유, 현재진행형의 분단 상황, 해외한인사회 등을 살펴보았다. 사회에 있어서는 분단, 민주화, 통일, 세대차와 통일인식, 단일민족 대 다민족, 통일의 꿈과 번영의 꿈(코리안 드림) 등을 살펴보았다. 국가에 있어서는 전쟁과 정전, 안보와 경제발전, 문화통합비용, 정부와 민간의 공조 등을 살펴보았다. 국제사회에 있어서는 냉전의 종식, 한국 이해의 파행 등을 살펴보았다. 이와 더불어 기존의 통일담론이 기독교통일담론에 대하여 지니는 함의를 살펴보았다. 우선 기독교가 통일담론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를 역사적 이유, 선교적 이유, 교회적 이유의 분류를 통하여, 기독교의 중심지와 기독교의 단절, 기독교 재부흥, 교회일치와 사회일치 등을 살펴보았다. 기독교통일담론이 한국의 통일담론에 기여하는 방식으로 일치의 신학, 재건의 신학, 만민의 신학, 공공의 신학 등을 살펴보았다. 기독교통일담론은 고유한 목소리를 통하여, 또한 다른 목소리의 감시자 역할을 하는 예언적 목소리를 통하여 한국의 통일담론에 참여할 수 있다. Interest in re-unification has recently been rekindled in Korea, especially triggered by President Park’s remark that re-unification can hit the jackpot in her Dresden Declaration in 2014. In spite of such burning interest, most of the discourses on re-unification have dealt with the question of ‘how’ rather than ‘why’. In this context,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patterns and development of the discourses on the necessity of re-unification, by looking at the issue from two different perspectives: historical and of parties concerned. Based on the investigation, this paper also aims to summarize its implication for the Christian discourses on re-unification. From historical perspective this paper identifies primary reasons such as the legacy as a unified nation, the long-cherished hope for re-unification as the completion of nation-building, the desire for peace and re-unification in post-truce Korea, and the ambitions to become a big power. On the other hand, surveying various parties concerned ranging from individuals, to society, to nation, and to the international world, this paper recognizes a number of reasons including dispersed families, generation gaps regarding the re-unification issue, the transition from a homogeneous to multi-ethnic society, security and prosperity, social integration, the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and civil sectors, the end of the Cold War, and the overcoming of the imbalance in Korean studies, etc. By bearing in mind its identity regarding re-unification as a national, exile, universal and public church, the Korean Church, another important party concerned, is now demanded to produce its own salient discourse on re-unification, dealing with theological themes such as unity, reconstruction, universality, and publicity.

      • KCI등재

        통일 후 북한의 소유제도 재편 방향

        윤철홍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法學論叢 Vol.44 No.-

        1. Unification, which is a foremost task of our nation, may actually said to be a matter of with in a term. If and when we examine the long history of the Republic of Korea, unification and division have continued without ending. Thus, it is the timing of unification that is problematic, and since the unification will take place someday, the more the preparations are made, the less the after-effects will be. Since the unification will eventually be one of the two Koreas, all procedures ought to be done in line with the principles of international law. Consequently, unification must be consummated legally. Thus, thorough legal preparations must be undertaken from the start of the unification to its end. The legal preparations for the unification by absorption or by negotiation will be divided into the process of unification itself, such as a unification treaty or a national treaty, and the legal arrangement following unification. In the latter case, a most important priority would be re-privatizing state-owned properties in North Korea. 2. A socialist state, in principle, owns all the land. Contrary to which, in a capitalist society, land is subject to private ownership in principle, and such private property system is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Thus, once the unification is achieved, the lands in North Korea are bound to be the subject of private ownership. In such a way, the most important issue in the lives of the people would be to decide what extent and how to reorganize the land ownership system following the transition of state owned properties. This issue of re-privatization may also be divided into re-privatization of unique meaning and privatization of negotiation as discussed in the above. The re-privatization of a unique meaning is a work of reorganization such as land reform carried out during the Soviet era and the return of and compensation for state properties to the original owners made by the subsequent measures. For instance, will restorations be made for the original owners, or should the land continue to be maintained as state owned, or distributed to other owners, and should the compensation be paid to the original owners? An option of such form must take into account not only legal considerations, but also various policy considerations such as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the land and economic developments such as environment and real estate speculative activities. Considering this view, it would be desirable to take on the compensation method rather than the restoration in Korea. That is because when the land itself is narrow, the people’s sentiment is so strongly attached to the land. If and when farmland, etc., is returned to the original owners, the original owners, who are non-farmers, and their heirs would be better off to secure as much state owned lands as possible and reorganize them via the compensation method rather than the restoration method considering the risks of real estate speculations caused by surges in the land prices following the disposition of the lands. 1. 우리 민족의 지상과제라 할 수 있는 통일은 사실 ‘기한’의 문제라 할 수 있다. 오랜 대한민국의 역사를 살펴볼 때 통일과 분단이 끊임없이 계속되어 왔기 때문이다. 따라서 통일의 시기가 문제이지 통일이 언젠가는 이루어질 것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준비는 많으면 많을수록 통일 후 후유증이 적을 것이다. 통일은 결국 남북한이 통합되는 것이기 때문에, 모든 절차는 국제법의 원칙에 따라 행해져야 한다. 결국 통일은 법률로 마무리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통일의 시작에서부터 마무리까지 철저한 법적 준비가 행해져야만 한다. 흡수통일이나 협의 통일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위한 법적인 준비는 통일조약이나 국가조약 등과 같은 통일 과정 자체와 통일 이후 법제 정비로 나누어질 것이다. 후자의 경우 가장 핵심적인 것은 북한지역에 있는 국가소유의 재산들을 재사유화하는 것이라 여겨진다. 2. 사회주의국가는 원칙적으로 모든 토지를 국가가 소유한다. 이에 반해 자본주의 사회에서 토지는 원칙적으로 사소유권의 대상이 되며, 이러한 사유재산제도를 헌법으로 보장하고 있다. 따라서 통일이 되면 가장 먼저 북한지역의 토지들도 사소유권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다. 이렇게 체제전환에 따라 국유재산들을 어느 정도까지, 어떤 방식으로 토지 소유제도를 재편할 것인가는 국민 생활에서 가장 핵심적인 문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재사유화의 문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유한 의미의 재사유화와 협의의 사유화로 나눌 수 있다. 고유한 의미의 재사유화는 소련 군정시대 행해진 토지개혁과 그 후속조치들에 의해 행해진 국유재산들을 원소유자에게 반환해주거나 보상하는 등의 재편 작업이다. 예컨대 원소유자에게 원상회복해줄 것인가 혹은 계속 국공유지로 유지시키거나 다른 소유자에게 분배하고, 원소유자에게는 보상금을 지불할 것인가 하는 점이다. 이러한 방식의 선택은 법리적인 고려뿐만 아니라 다양한 정책적 고려, 예컨대 국토의 개발과 관리 및 환경, 부동산투기 등 경제적 개발 등을 고려해야만 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한다면 우리나라에서는 원상회복보다는 보상방식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우리나라는 땅 자체가 협소하고, 국민들의 정서상 토지에 대한 집착이 강하며, 농지 등을 원소유자들에게 반환했을 경우 비 농민들인 원소유자나 그 상속인들은 그 토지를 처분하게 될 때 토지가격의 급등으로 인한 부동산투기의 위험 등이 초래될 수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남북한 통일에 대비한 통일재원 마련방안 연구

        강석승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11 평화학연구 Vol.12 No.3

        Korean people and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are increasingly accepting the necessity for preparing Korean re-unification as well as making an effort to realize peaceful unification. Assuming that unification fundraising is a must for reaching at peaceful unification and for promoting post-unification national development, this research surveys and analyzes the incumbent government's unification policies and reviews the discussions on either cost of unification or opportunity cost of separation. Also, this research contemplates the management problems of existing Inter-Korean Cooperation Fund and various issues concerned with introduction of unification tax, and proposes the strategies and policies to secure unification finance considering effectiveness and feasibility. Unification finance can be procured through direct taxation like income tax, indirect taxation utilizing value-added tax, reserving unexecuted budget, allotting 1% of the total budget, issuing governmental bonds, donation, lottery, development loan, selling national properties, social insurance, and the like. Each of this ha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making adopting one difficult, and continuous study and discussion are necessary for introducing appropriate policies for Korean re-unification. 현재 이명박 정부 및 많은 국민들이 합의에 의한 평화적인 통일을 준비하는 동시에 급작스럽게 다가올 수 있는 통일에 대해서도 준비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런 상황에서 앞으로 반드시 있게 될, 아니 반드시 이루어야 할 평화통일의 그 날에 대비하여 이 연구에서는 우리가 지향하는 평화통일을 달성하고 그것을 통일한국의 비전과 연결하는데 있어서 통일기금의 지속적 축적이 필요하다는 전제에서 시작되었기 때문에 통일준비를 위한 현 정부의 방안 진단을 살펴보고 분단비용과 통일비용을 둘러싼 논의를 분석적으로 재검토하였다. 또한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제도적 방안으로서 통일세의 도입과 기존 남북협력기금의 운영과정에서 제기된 여러 가지 문제점 등에 대한 다각적인 고찰을 통해 통일재원 확보에 있어서 바람직한 정책방향과 과제를 도출해 보았다. 남북한의 평화통일을 대비하기 통일재원 마련과 관련하여 현실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제도적 방안으로는 여러 가지를 상정할 수 있다. 즉 소득세를 통한 직접세, 부가가치세를 활용한 간접세 및 미집행 예산 적립, 예산 1% 적립, 국가채권 발행, 기부금, 복권발행, 개발차관, 국유재산 매각, 사회보험 등의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장·단점 역시 계속적으로 여러 차원에서 논의하여 정부의 제도적 방안으로 수렴, 실시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독일의 재통일과 이탈리아의 외교정책에 관한 연구

        이선필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0 국제지역연구 Vol.14 No.3

        This study aims to analyse what was the standpoint of the Italians on German re-unification and how they acted in the process of it. The Perestroika of Gorbachev allowed Italy an opportunity on the one hand, caused the weakening of international status on the other hands. And German re-unification deteriorated it more. It was, therefore, natural that Italy was not in favour of the prospect of German re-unification. Italy had intense aspirations to participate in the negotiations between the Big Four and Germany. Italy asked that the negotiation should be in the structure of european integration or the NATO instead of 2+4(two Germans + the Big Four) and the unified Germany should not break down the balance of Europe. As for the diplomatic choice, Italy searched for strengthening the cooperation relations with the Central East European countries and regaining the international status as a leading country in the area of Mediterranean Sea. And Italy continued to support for the supranational Europe as an instrument to check the probable hegemonic power of Germany. It is true that the role of Italy was restrictive in the process of the German re-unification. The superpowers treated it as a secondary partner. None the less, Italy arose some troubles with Germany sometimes associating with other country. Germany had to do its best to appease their resistance. 이 연구는 독일 통일에 대한 이탈리아의 입장과 외교정책적 선택을 추적한다. 소련의 개혁 개방정책은 이탈리아에게 한편으로는 기회를 주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국제적 지위를 약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독일의 통일은 이러한 국제적 위상의 약화를 더욱 강화시키는 계기를 주었다. 이에 따라 이탈리아는 독일의 통일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취했으나, 독일의 통일이 명백해졌을 때 협상 과정에 참여하려는 열망을 드러냈다. 이탈리아는 2+4회담이 유럽통합과 대서양동맹 구도 속에서 이루어질 것을 요구하고, 독일의 재통일이 유럽의 균형을 무너뜨리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외교적 선택이라는 측면에서 이탈리아는 독일의 재통일에 직면해 중동부유럽 국가들과 협력관계를 정립하고 지중해의 대표국가로서의 위상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을 추구했다. 또한 독일을 견제할 수 있는 장치로서 초국가적 유럽의 형성을 지지했다. 사실 독일 통일 과정에서 이탈리아의 역할은 제한적이었다. 주요 강대국들은 이탈리아를 부차적인 대화상대자로 취급했다. 하지만 이탈리아는 다른 중견국가들과 연합하면서 때때로 독일에게 어려움을 주었다. 독일 역시 이러한 중견국들의 저항을 누그러뜨리기 위한 시간을 할애해야 했다는 점이 지적되어야 한다.

      • KCI등재

        통일 후 북한교원 통합을 통한 남북한 마음통합 -북한교원 재임용을 중심으로-

        김신희 ( Shin Hee Kim ) 한국윤리학회 2015 倫理硏究 Vol.105 No.1

        In this paper, the discussion is deployed under the assumption to achieve a unified nation of South Korea and the North Korean regime and the agreement for the unification of the system have been made, and in the context of running a full-fledged South Korea and North Korea of education integration. This paper want to expand the discussion of teacher policy centered on the re-appointment and the re-education of North Korea teachers for educational reform and integration in North Korea region after unification. After unification, re-appointment of North Korean teachers should be as much as possible by re-education for mind and educational integrationas inner integration of two Koreas and social integration. And to North Korea teachers who get a chance for re-appointment continually provides opportunities for academic training in service, which help to be a expertise of subject and democracy education.

      • KCI등재

        공간적 프로젝트로서 통일: 개성공단을 통해 본 통일시대 영토성에 대한 관계적 이해

        정현주 ( Hyunjoo Jung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8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1 No.1

        본 논문은 통일담론에서 공간과 영토에 대한 논의가 결핍되어 있음을 지적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관계적 공간론을 통일담론에 접목시키고자 했다. 공간은 사회·기술·자연적 과정들과 분리되어 이를 반영하기만 하는 수동적 무대가 아니라 이러한 과정들과 상호관계적으로 구성된다는 것이 관계적 공간인식의 핵심이다. Doreen Massey에 의하면 이러한 인식은 공간의 내적 다양성 및 다양한 궤적의 공존을 이해하며 공간을 끊임없이 만들어지는 가변적인 것으로 인식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계적 공간 인식론을 개성공단에 적용하여 관계적인 방식으로 개성공단을 재해석하는 연구들과 아이디어들을 소개했다. 가령 비판지정학적 접근은 개성공단을 포스트영토주의적인 ‘예외공간’으로 봄으로써 이러한 공간이 생성된 거시적인 원인을 규명하는 데에 유용한 논리구조를 제시한다. 한편,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은 개성공단을 구성하는 다양한 인간-비인간 행위자들의 작동과 이들의 동맹을 다양한 측면에서 조망하게 해 준다는 분석적 유용성을 제시했다. The paper attempts to incorporate relational thinking of space into the discourses of (re)unification in South Korea arguing they lack the notion of territoriality in the proposition and imagination of the unified state. The approach sees space as constructed in relation with social, technical and material processes rather than being separate from or passively representing them. Doreen Massey argues this understanding allows us to understand multiplicity or co-existence of multiple trajectories embedded in space. The paper introduces the case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KIC) and the ideas and studies that re-interpretate it relationally. Critical geopolitical approach, viewing it as ‘space of excep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ost-territoriality, provides a critical logic that reveals broad processes behind the production of such space. Actor-network theory, on the other hand, provides analytical advantages allowing us to understand from various perspectives the associations between human and non-human actors that compose all together the KIC.

      • KCI등재후보

        예비교사를 위한 통일통합교육 수업의 사례: 국민대학교 교육학과의 ‘통일한국과 교육정책’ 강의

        류성창(Josh Sung-Chang Ryoo) 한국통일교육학회 2016 통일교육연구 Vol.13 No.1

        예비교사를 위한 통일통합교육의 실시는 이제 아이디어차원에서 넘어서서 실질적으로 대학 강의의 형식으로 정규교육 프로그램화되어 실시되고 있다. 서울에 소재한 국민대학교 교육학과와 한국통일교육학회가 협동으로 운영하며, 한국통일교육학회가 발급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는 예비교사 통일통합교육 전문가 과정은 이제 첫 학기를 운영하여 전문가 훈련의 경험을 축적하는 첫 디딤발을 내딛었다. 이에 본고는 첫 수업으로 실시된 ‘통일한국과 교육정 책’ 강의의 경험을 논문형식으로 작성하여 공유한다. 특히 본고는 예비교사들이 통일통합교 육에 관련하여 어떠한 내용들을 중점적으로 탐구하였는지에 대한 연구문제에 대하여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논의를 전개한다. 본 연구의 결과로 예비교사들은 대체적으로 현실을 보다 직접적으로 반영한 방식으로 학습을 전개하였는데, 남북교류가 중단된 현 상황에서 남북교류를 강조하는 것이 현실적인 의미가 있는지에 대한 검토, 비이데올로기 교과가 없는 현실에서 비이데올로기 중심의 접근을 하는 것이 가능한지에 대한 탐구, 그리고 통일 이후 대입의 문제가 가장 큰 교육의 문제가 될 텐데 이에 대한 준비가 더욱 필요하다는 지적 등이 그 예이다. Preparing Korean pre-service teachers for integrative education after Korea becomes re-unified is not just an idea any more and begins to take shape in practice as part of the regular curriculum of teacher education in South Korea. Kookmin University, as the first case that develops and implement such a program as part of the regular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has taught the first such class in Spring 2016, in close cooperation with the Korean Reunification Education Association. This article examines the vivid learning experiences that the students, that is, pre-service teachers enrolled at the university have encountered taking the first class titled, ‘Re-unified Korea and Educational Policy.’ The qualitative analysis of class notes collected at the end of the semester has revealed that South Korean pre-service teachers are concerned about numerous issues regarding Korean re-unification and educational policy, and three particular topics among them, namely, interaction between the two Koreas, the roles of non-ideological subjects in curriculum integration and college admission policy in the re-unified Korea are discussed in-depth in this article.

      • 통일 후 북한지역의 산지제도 개편에 관한 연구

        이용범 한국부동산분석학회 2002 不動産學硏究 Vol.8 No.1

        In early 1990s, huge changes have happened in the socialist societies. There was tremendous pressure on the North Korea to adopt a policy of the openness toward the outside world despite the possible in ability to maintain its political system and succession of power. When the North and South Korea will be re-united, whenever that could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and critical issues would be the land reform in the North Korean. Especially, forest land will be the largest land resource in the Unified Korea. This paper aims to provide the forest land reformation for implementing the restructuring of North Korean land system after reunification. The reformation process of forest land will be consisted of three stages. First, ownership of forest land will be made temporary re-nationalization to prevent a social disorder and carry out public roles of forestry. Second, among re-nationalized land through the first stage, long-term lease system will be adopted to overcome the discrepancy of land markets. Third, the objective forest lands on long-term lease will be privatized in consideration of the tenant's achievements evaluated by nationalized forest land manager. And, one of critical issues after re-unification will be restored the former land ownership. The restitution of ownership will create various problems such sluggish investment, hinderance to SOC expansion, higher integration costs and protection of current land users. Second, compensation of ownership will be need the huge budget. Therefore, re-privatization or temporary nationalization without restitution and compensation will be a suitable approach in the Korean situations. Because of forest land should be managed for preserving the value of natural environments and the public land use, forest lands for public use will have to maintain the re-nationalized ownership.

      • KCI등재

        영국 보호관찰 민영화 실패 후 국영화 복귀 사례 연구

        김수철 한국보호관찰학회 2021 보호관찰 Vol.21 No.2

        국가 조직 민영화의 대표적인 선진 모델로 알려진 영국 보호관찰의 이원화 (국영-민영) 운영 체제는, 결국 도입 7년 만인 2021. 6. 28. 시행된 보호관찰 혁신안에 따 라 민영 조직(Community Rehabilitation Company: CRC)이 국영 보호관찰(National Probation Service: NPS)로 전부 통합되면서, 다시 국가 운영 체제로 일원화되었다. 영국 학계는 이 일련의 과정을 ‘보호관찰제도 민영화 실험의 실패’로 규정하면서 그간 민영화 실시로 제도적, 조직 운영 및 관리 측면에서 발생한 다양한 문제점과 함 께 국영화 복귀 후 극복해야 할 과제를 본격적으로 논의하고 있다. 특히, 국영 보호 관찰제도 운영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도입된 민영 시스템이 결국 ‘철저한 성과- 보상주의에 따른 보호관찰 지도감독의 형식화, 보호관찰 전문성 저하, 예산 및 재범 률 감소 실패, 이원화 조직의 구조적 한계’등 심각한 문제점으로 인해 실패한 만큼, 재통합된 국영 보호관찰(NPS)이 이러한 시행착오를 극복하고 ‘민간 전문가 등 지역 사회 자원 활용 방식 개선, 전문성 향상, 인력 보강’등 산적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을 지에 대한 우려 또한 큰 것이 현실이다. 아직 국영화 재통합 후의 성과를 논의하기엔 이른 시기지만, 적어도 이 거대한 제 도적, 사회적, 조직적 실험은 다른 국가의 형사사법체계의 민영화 논의에 유용한 실 증적 사례연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협업을 통한 민 간 전문가 활용 강화, 보호관찰 전문성 강화를 통한 지도감독 질적 수준 향상, 인력 증원 및 업무량 현실화를 통한 두터운 보호관찰 실현’등 시사점은 한국 보호관찰 제도에도 유익한 정책 제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Since Transforming Rehabilitation (TR) was announced in 2014, English and Welsh Probation model has been introduced as a unique privatization in the community justice system. However, under the new Probation Reform Programme, Ministry of Justice of the UK (2021) published a “Unified Model” in February 2021, terminating the contracts with Community Rehabilitation Company (CRC) and bringing supervision and treatment of all offenders back to National Probation Service (NPS) from 28th June 2021. Furthermore, many studies identifi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limitations in privatization in probation such as low levels of delivery, specifically in the private provider (CRC). In addition, the recent report by the Justice Committee (2021) argues that TR lacked sufficient planning or research into its impacts and capacity of private sector, pointing out that CRC has shown significant problems such as lower activity level and collapse of providers.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reasons of privatization in probation being ‘a failed social experiment’ (Cooper, 2021, p.46) and the limitations to overcome for the recent Re-unification model.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problems in privatization in England and Wales: thin-supervision (Dominey, 2019) due to the ‘payment by result’ (HM Inspectorate of Probation, 2021, p.32), ‘damaged professionalism’ (Cooper, 2021, p.46), ineffectiveness for reducing recidivism and cost, and the systemic limitation in allocation of offenders between NPS and CRC. The findings in this study regarding limitations to be overcome by the Re-unified model are four major respects: (1) proactive cooperation with local professionals by ‘co-production’ (Tidmarsh and Marder, 2021, p.22) (2) ‘recapturing the re-professionalism’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supervision (Tidmarsh and Marder, 2021, p.22), (3) decreasing heavy workload by increasing number of staff (4) imperfect re-unification in Electronic Monitoring. These results can lead to four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n probation such as enhancement of cooperative work with private providers, improving professionalism of probation officers, enhancement of workforce in staffing for ‘thick supervision’ (Dominey, 2019), developing the Korean probation model specifically in its advanced ICT technology and successful co-production with private professionals and providers. Taken together, although the failure in privation of English and Welsh model, it can be an asset as an empirical social experiment which provides evidence that privatization cannot be only solution for enhancement professionalism and cooperative work with private sectors in the criminal justice system. This study limited in lack of empirical evaluation of the result from the re-unification model and further studies into effectiveness of Dynamic Framework in cooperative work with private and voluntary sectors can ultimately lead to the greater improvement of Korean probation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