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32년 통도사 김구하(金九河)의 금강산 여행 - 『금강산관상록(金剛山觀賞錄)』을 중심으로 -

        이경순 대각사상연구원 2022 大覺思想 Vol.37 No.-

        김구하(1872~1965)는 일제 강점기 대본산 통도사의 주지이자 불교계의 지도자로 활동한 인물이다. 김구하는 근대 불교계의 중요 인물이지만 그에 대한 연구는 친일과 항일 행적 논란에 집중되었고, 전 생애와 행적에 대한 구체적이고 종합적 고찰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김구하에 대한 다각적 연구 의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이 글에서는 김구하의 1932년 금강산 여행 기록인 『금강산관상록(金剛山觀賞錄)』에 주목하였다. 김구하가 금강산을 여행한 1932년은 금강산 주변에 철도를 비롯한 관광 인프라가 구축되면서 근대적 대중관광이 본격화되던 시기였다. 금강산 여 행의 오랜 전통 속에서, 김구하의 여행기는 130여 일에 이르는 장기간의 기록이라는 점, 그리고 근대 불교인의 기록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김구하의 기록에는 1930년대 초 금강산의 변화 모습과 금강산 주요 사찰의 양태, 마하연의 중창, 백성욱의 수행결사, 전통불교와 세속화된 불교의 병 존, 금강산 비구니의 수행 등이 담겨있다. 이러한 기록은 일제의 관광정책 으로 대중관광의 일개 코스 전락하거나 박제화된 고대의 유물로 취급받던, 금강산 사찰의 이미지를 불식하고, 생동하는 금강산 불교를 보여준다. 김 구하는 근대 금강산 불교 역사를 엿볼 수 있게 한 중요한 기록자였다고 할 수 있다. Kim Gu-ha(1872-1965) was the chief monk of Tongdosa Temple and a leading figure in the Buddhist order in 1910-1920’s. Kim Gu-ha was a major figure in modern buddhist history who is needed research on diverse perspective. Among the various writings left by Kim Gu-ha, I researched Geumgangsan Gwansangrok( 『금강산관상록』), a travel record to Geumgang Mountain in 1932. Kim Gu-ha's record covered 130 days that was a long-term diary travel record of Geumgang Mountain, and it vividly captured the travel process and the appearance of the Geumgang Buddhist temples from the perspective of a mature Buddhist in old age. Kim Gu-ha wrote the appearance of infrastructure such as the electric train, newly establised mountain roads, and transformation of villages around Geumgang Mountain. And also he recorded the impressive appearance of major temples, the reconstruction of Mahayeon and the practice of Baek Sung-wook in Geumgang Mountain in the early 1930s. In addition, he revealed the situation of traditional Buddhism and secularized Buddhism, and the practice of bhikkhuni of Geumgang Mountain. These records showed that Buddhism of Geumgang Mountain existed as a living Buddhism, dispelling the fixed images of temples in Geumgang Mountain. Therefore, Kim Gu-ha's travel records can be said to be important historical sources for understanding the space transformation and Buddhism of Geumgang Mountain in modern period.

      • KCI등재

        금강산의 디지털 재현, 메타버스 가능성

        박효은(Park, Hyo-eun)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23 美術史學 Vol.- No.45

        이 글은 한국미술사의 주요 연구대상인 금강산을 21세기의 대표적인 디지털콘텐츠로 설정하여 새로운 메타버스 개발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 것이다. 우선 디지털콘텐츠 산업 발전의 역사적 맥락에서 메타버스의 의미를 살펴본 후, 금강산의 디지털콘텐츠화 양상을 디지털데이터 축적과 디지털화된 전시콘텐츠로 나누어 소개하고, 실현가능한 금강산 메타버스의 면모를 검토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메타버스를 활용한 전시기획과 교육에 대한 관심이 급증한 최근의 추세에 부응하고자 한다. 메타버스는 증강현실, 일상기록, 거울세계, 가상세계가 모두 통합된 ‘웹 기반 사용자 참여 3D 디지털세계’이다. “가상 같은 현실세계”와 “현실 같은 가상공간”의 융복합 범주를 뜻하는 메타버스는 VR·AR·MR·XR을 비롯해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NFT 등 최첨단 정보통신기술의 총합을 이루며, 1980-90년대 이래의 전산화, 2000년대 이래의 디지털화에 이어 디지털 대전환의 시기에 접어든 최근에 디지털콘텐츠 산업의 새 장을 이끌고 있다. 따라서 금강산 메타버스의 청사진을 그려보고자 한 이 글의 시도는 디지털 대전환 시기에 적합한 제안이라 할 수 있다. 조선시대 문화예술과 국가문화유산에 대한 정보가 단기간에 전산화, 디지털화된 데는 2000년대를 통한 국가지원 연구과제나 국가기관의 정책적 사업수행이 크게 기여하였다. 그중에서도 금강산 관동팔경을 브랜드로 내세운 국립춘천박물관은 연구조사, 전시기획, 온라인전시관으로 디지털 금강산의 내용을 채우면서 한국의 역사와 문화에서 금강산이 갖는 의미를 소개해왔다. 기초자료를 전산화하고, 그 데이터를 전시를 통해 시각화하며, 그 결과를 온라인전시관에 아카이빙해 누리집 자체를 플랫폼화한 일련의 사업수행은 거울세계 메타버스에 근접하는 효과를 낳았다. 더불어 전시에 대한 관람객의 이해와 참여를 높이고자 한 전시기법과 전시마케팅은 증강현실, 일상기록의 메타버스와도 통하는 것이었다. 관람객 참여와 개인화된 관람경험을 제공하고자 한 전시기획이 디지털콘텐츠 산업의 발전과 만남으로써 자연스럽게 메타버스에 가까워지고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그간의 동향에서 더 나아가, 이 글은 전시콘텐츠로서 디지털금강산의 대부분이 영상이고, 전시보조영상과 실감영상 모두가 CG에 기반해 21세기적 형상화를 낳았다는 점에 착안해 새로운 금강산 메타버스를 구상해보았다. 국립박물관의 다수 동시체험형 실감콘텐츠 상영관에서 볼 수 있는 실감영상에 구현된 몰입도 높은 3D 가상세계는 금강산 메타버스의 배경경관으로 삼기에 충분하다. 여기에 거울세계 금강산과 옛그림의 재현방식을 연결해 새로운 3D 경관 제작을 모색하고, 이를 VR·AR·MR·XR을 활용한 3D 디지털문화유산 기술과 결합하여 옛그림 속 개별명소와 유형문화유산을 복원하는 방안을 제안해보았다. 그중에는 아바타의 금강산 유람과 금강산도 감상 및 관련 정보 검색 등 사용자 참여와 소통을 꾀하는 부분이 포함되어 있다. 전반적으로 웹상에 3D 기반의 금강산 메타버스를 구현한다는 발상이 기술적으로 충분히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고찰에 기반해 17-18세기 동아시아 회화사에서 중국의 황산, 일본의 후지산과 유사하게 기능한 금강산의 위상을 되찾고 북한과 안전하게 협력할 돌파구이자 통일한국의 평화적인 교두보로 기능하게 될 금강산 메타버스 조성을 제안한다. 풍부하게 연구된 디지털금강산에 기반하는 21세기 디지털콘텐츠로서의 금강산 메타버스는 북한과 공동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의 문화유산에 금강산을 등재하는 데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plores the Metaverse developmental possibilities of Geumgangsan Mountain – a major research subject in Korean Art History – as representative 21st century digital content. After exploring the meaning of the Metaverse from the developmental history of the digital content industry, Geumgangsan Mountain’s digital content aspects will be addressed in terms of its digital data accumulation and digitized exhibit contents. Then, the aspects of Geumgangsan Mountain that can be materialized in the Metaverse will be examined to meet today’s rapidly increasing interest in Metaverse-inclusive exhibition planning and education. Metaverse is a convergent 3D cyber-world in which web users participate in four different categories: augmented reality, life logging, mirror worlds, and virtual worlds. It is an integrated category for virtually enhanced physical reality and physically persistent virtual spaces, which can also be said to be a collection of cutting-edge advanc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cluding VR, AR, MR, and XR, as well as Artificial Intelligence, Big Data, Internet of Things, and NFT, etc. After the beginning of computerization in the 1980s and 1990s and digitalization in the 2000s, recently, the Metaverse is leading the way for the modern digital content industry and the digital transition trend. It can thus be said that this paper’s intent to draft a blueprint for the Geumgangsan Metaverse is appropriate for the ongoing digital transformation era. The computerization and digitalization of Joseon Dynasty cultural art and national heritages in such a short time is in no small part due to the substantial contributions of government supported research and governmental institutional policies. For instance, the Chuncheon National Museum established the digitization of the brand of Geumgangsan Mountain and The Eight Scenic Sites of Gwandong with the purpose of embodying a wide collection of research, exhibition planning, and online exhibitions detailing the meaning of Geumgangsan Mountain in Korean culture and history in a digital format. This series of base data computerization, data visualization through exhibitions, and archiving these results through an online exhibition hall generated a platform-like cyberspace of the museum’s website itself, which had an effect of nearly actualizing a mirror world Metaverse. Additionally, the exhibition marketing and display techniques used to increase exhibition visitors’ understanding and participation were found to be in near concordance with the augmented reality and life-logging aspects of the Metaverse, as well. The personalized exhibition experience and visitor participation intentions of the exhibition planning were a hand-in-hand development of the digital content industry and enabled one more step to be taken toward a natural manifestation of the Metaverse. As an extension of those same efforts, this paper attempted to establish a new Geumgangsan Metaverse. The majority of Geumgangsan Mountain’s digital content was in video form, and CG-based exhibition auxiliary imaging and immersive digital video were also created to capture a more modern, 21st century atmosphere. These digital videos on display at national museums’ immersive content experience theaters are sufficient to become a background for the Geumgangsan Metaverse. Then, a combination of a Mirror World rendition of Geumgangsan Mountain and depictions of the mountain in old paintings was added to these videos, and this was combined with 3D digital cultural heritage technology, including VR, AR, MR, and XR, to suggest a possible way of restoring attractions and tangible cultural assets seen in old paintings. Also included are aspects designed to entice user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including sightseeing of Geumgangsan Mountain, viewings of paintings of the mountain, and access to related information search featur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vatar. Overall, it can be co

      • KCI우수등재

        일제시기 철도여행안내서와 일본인 여행기 속 금강산 관광 공간 형성 과정

        김지영(Jiyoung Kim) 대한지리학회 2019 대한지리학회지 Vol.54 No.1

        본 연구는 일제시기 철도여행안내서와 일본인 여행기 사이의 상호작용을 살펴봄으로써 금강산이 근대 관광 공간으로 재편되는 과정과 그 함의를 분석한다. 전근대 시기부터 명성을 쌓아온 금강산은 일본 관광객의 대표적인 관광지로 부상한다. 1910년대는 일제가 기획한 금강산 관광 공간과 일본 관광객의 관광 공간 사이에 차이가 발생하는데, 이는 금강산이 근대 관광 공간으로 변화해 가는 이행기였기 때문이다. 1920년대는 일제의 관광기반시설 구축과 일본 관광객의 관광이 내금강과 외금강 북부 중심으로 이루어진 시기이다. 1930년대 접어들면 내금강과 외금강 북부 중심으로 완성된 관광인프라를 이용하여 일본인들은 ‘제국 일본’의 관광네트워크 상에서 금강산을 더욱 편리하게 방문할 수 있게 되었고, 금강산은 ‘제국의 관광 공간들’ 중 하나의 경유지로서의 성격을 더욱 강하게 갖게 된다. 이는 1930년대 일제의 금강산국립공원 지정 논의와도 맞물려 있는 문제였다. 일제의 금강산 관광 공간 재편은 금강산의 정치•경제적 의미 변화와 더불어 금강산을 ‘제국 일본’의 관광네트워크 내에 위치시키는 과정이기도 했다. This study analyzes the process and implications of the transformation of Mount Geumgang into a tourism space by examining the interaction between travelers’ railway guidebooks and Japanese travelogu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aving built up its reputation since the pre-modern era, Mt. Geumgang emerged as a representative tourist destination for Japanese travelers. The 1910s was a transitional period during which Mt. Geumgang was transformed into a modern tourism space. In this period the Japanese tourism policy concerning Mt. Geumgang was still in the making, leading to disparities between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s planning of tourism sites in Mt. Geumgang and the sites Japanese tourists actually visited. In the 1920s, the construction of tourism infrastructure as well as the Japanese tourists’ sightseeing became centered around the Inner and northern Outer Geumgang. In the 1930s, by utilizing the tourism infrastructure completed in the Inner and northern Outer Geumgang, the Japanese were able to visit Mt. Geumgang more conveniently. In this process, Mt. Geumgang took on meaning as a transit point within the network of “sites of imperial tourism” in the Japanese empire. The reshaping of the space of Mt. Geumgang was also related to the unfolding of the plan for designating Mt. Geumgang as a national park in the 1930s. The transformation of Mt. Geumgang into a modern tourism space under Japanese rule entailed not only changes in the political and economic meanings of Mt. Geumgang but also situating it in the tourism network of the Japanese empire.

      • KCI등재

        『금강산』의 역사적 위상에 관한 연구

        이석환(Lee, Suk Hwan) 한국불교연구원 2017 불교연구 Vol.47 No.-

        본 논문은 대전 도솔산 보광사의 주지인 원명스님이 소장하고 있는 금강산이라는 새로운 서적을 소개하고 그 역사적 위상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금강산은 계룡산 동학사에 주석했던 청운거사이면신이 갑오년(1894) 음력 3월부터 5월에 이르기까지 3개월에 걸쳐 충청도를 출발하여 서울과 근교 지방을 유람한 후 금강산을 거쳐돌아온 내용을 일기의 형식으로 작성한 기행문이다. 금강산은 봉래일기(蓬萊日記) 와 서울[京山]에서 시작하여 금강산에 이르는 일기[自京山爲始至金剛日記] , 금강산 모든 곳의 판상시를 베껴냄[金剛諸處板上詩謄出] 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진 금강산 기행문이다. 작품의 저자인 청운 이면신은 승려로서 계룡산 모처에서 출발하여 돌아오기까지의 여정을 날씨와 이동거리를 포함하여 이동한 사찰과 만났던 사람들, 사찰의 연기설화, 지명과 관련된 설화등 자신이 보고 들은 내용을 상세하게 기록하고 있다. 특히 사찰의 배치도를 상세하게 그려 넣어 당시의 사찰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중요한 사료로서의 가치도 있다. 금강산의 역사적 위상을 살펴보면, 문학사적으로는 저자의 한시를 통해 저자는 불교에 심취한 사람이었고 문학적으로 뛰어났음을알 수 있다. 또한 본문에서는 한글 지명과 음차로 사용되는 지명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는 한글이 어느 정도 정착했음을 보여준다. 불교사적 측면에서는 승려의 이름과 사찰명이 명확하게 기록되어 있다는점에서 조선후기 불교사의 중요한 자료가 된다. 또한 승려임에도 불구하고 관청, 외국인과의 교류, 외국 병선의 완람, 장기여행을 했다 는 점을 통해 당시 승려의 사회적 위상이 조선중기보다 높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금강산은 처음 발굴된 자료로서 조선후기 승려의 금강산 기행문이라는 점에서 역사・문화적 가치를 지닌 작품이다. 본 논문에서 는 본 작품의 역사적 위상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지만, 후속 연구를 통하여 사찰 복원 및 국어학, 종교학, 불교학적인 측면에서 다양한 접근이 가능할 것이다. This paper is to introduce a new book called Geumgangsan(金剛山) which is owned by the Ven. Won-myung(圓明), the chief master of the Dosolsan Bokwang Temple(兜率山普光寺) in Daejeon city, and to grasp its historical status. Geumgangsan is a travel essay written by a Buddhist hermit Chungun(淸雲, 1857~1935), who used to stay at Donghak Temple(東鶴寺) in Mt. Kyeryong. Chungun departed Chungcheong Province for three months from March, 1894 until May, and traveled to Seoul and its suburbs, and returned by way of the Mt. Geumgang. While his traveling he wrote the contents in the form of a diary. Geumgangsan, the travel essay to Mt. Geumgang, consists of three-part trip, A Diary of Bongrae(蓬萊日記) , A Diary of from Seoul to Mt. Geumgang(自京山爲始至金剛日記) , and Copy of the Poems in a Plank at Mt. Geumgang (金剛諸處板上詩謄出) . The author of the work, as a monk, Chungun, keeps a detailed record of journey from his departure somewhere in Mt. Gyeryong to his return. Herecorded all the things he saw and heard such as the weather, the moving distance, the name of a temple he visited, the name of a people who he met with, the origination narrative of a temple, and the story related to the places name. In particular, as he added the detailed arrangement plan of the temple it also has a high value as an important historical data that can give us an information about the layout of the temple at that time. Looking at the historical status of the Geumgangsan, in the aspect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the author s Chinese poetry shows that he was an ardent Buddhist and a man of literary ability. In the aspect of the history of Buddhism, it becomes the important sources of the Buddhist history in the late Joseon Dynasty as he recorded monk s names and temple s names precisely. In addition, through the records that he interacted with government officials, exchanged greetings with foreigners, boarded on a foreign warship, and did long-term travelling despite of the fact that he was a monk, it can be seen that the social status of the monks at that tim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mid Joseon Dynasty. Geumgangsan is the first excavated material with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in a sense that it is a monk s travel essay of Mt. Geumgang in late Joseon Dynasty. The subject of this paper is mainly focussed on the historical status of Geumgangsan. However, through subsequent research, various approaches will be possible in terms of the restoration of Buddhist temples,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the science of religion, the religious studies, and the Buddhist studies.

      • KCI등재

        남북한 금강산관광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채종훈 ( Jong Hun Chai ) 국제지역학회 2015 국제지역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1998년부터 2008년까지 10여 년 동안 이루어진 남북한 금강산관광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산업연관분석모형을 통하여 분석하고, 향후 그 동안 중단되었던 금강산관광사업이 재개될 경우 남북한 양측의 금강산관광사업을 통한 경제적 효과 극대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은 금강산관광사업의 시행에 따른 관광기반조성산업 투자지출 및 관광객 최종소비지출이 국내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분석절차를 따랐다. 첫째, 한국은행에서 2010년에 발간한 전국산업연관표를 관광기반조성산업과 관광산업으로 재분류하여 27×27 부문으로 재작성 하였으며, 금강산관광사업 관련 관광산업은 관광쇼핑(소매업) 등 10개 부문으로 세분화하여 재구성 하였다. 둘째, 통합된 산업연관표로부터 생산유발승수, 부가가치유발승수, 소득유발승수, 고용유발승수를 도출하였다. 셋째, 도출된 승수와 금강산관광사업 관련 산업에 대한 관광기반조성산업 투자지출 및 금강산관광객 최종소비지출을 바탕으로 남북한경제에 미치는 총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금강산관광사업 시행기간동안(1998.11~2008.7) 관광기반조성사업 투자지출 3,881억 원과 금강산관광객의 소비지출 7,378억 원이 최종 지출되어 남한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는 생산유발효과 23,777억 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14,019억 원, 소득유발효과 2,736억 원, 고용창출효과 8,969명이 발생하였다. 이는 금강산관광사업 시행기간동안(10년) 총 23,777억 원의 생산유발효과가 발생하여 국내경제의 활성화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 되었다. 또한 북한의 경우 같은 기간 동안 금강산관광사업 관련 소비지출 4,400억 원이 발생하여 북한경제에 유발된 파급효과는 생산유발효과 7,378억 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3,388억 원, 고용창출효과 4,323명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남북한경제 파급효과를 고려할 경우 금강산관광사업의 재개는 반드시 필요하며 재개를 위한 남북한 양측의 적극적인 협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study analyzed the ripple effect of Geumgangsan Tourism Project that was performed for 10 years from 1998 to 2008 through Input-Output Model from the posteriori aspect and proposed the political alternative to maximize the economic ripple effect on South and North Korea through Geumgangsan Tourism Project when the suspended Geumgangsan Tourism Project is resumed. For the analysis method, following study procedures were used to analyze the ripple effect of the investment and final consumer’s expenditure caused by Geumgangsan Tourism Project on the domestic economy. First, the study redivided the inter-industry relations table that was issued by the Bank of Korea in 2010 into 27×27 sectors including the tourism industry and subdivided the industry related to Geumgangsan Tourism Project to 10 sectors. Second, the study deducted the production, income, employment and value added multiplier from the unified inter-industry relations table. Third, the study measured total ripple effect on the construction investment expenditure and the final consumer’s expenditure for the industry related to Geumgangsan Tourism Project. The analysis result revealed that KRW 388,100 million was expended for the investment related to Geumgangsan Tourism Project and KRW 737,800 million was expended as the tourist’s consumption. Its effect on the South Korea production inducement was KRW 2,377,700 million, its effect on the value added inducement was KRW 1,401,900 million, its effect on the income inducement was KRW 273,600 million. and the analysis result revealed that KRW 440,000 million was expended as the tourist’s consumption. Its effect on the North Korea production inducement was KRW 737,800 million, its effect on the value added inducement was KRW 338,800 million. Therefore, KRW 2,377,700 million was generated as a domestic ripple effect, revealing that the implementation of Geumgangsan Tourism Project contributed to the economic activation.

      • KCI등재후보

        근대 자료를 통해본 금강산 관광과 이미지

        유승훈(Yu Seung-Hun) 실천민속학회 2009 실천민속학연구 Vol.14 No.-

        이 글은 일제시기 관광 자료를 통하여 금강산의 근대적 관광과 이미지에 대하여 천착한 것이다. 즉 기념사진, 기념사진첩, 그림엽서, 관광 리플릿 등 문화적 유물이 되어버린 관광자료를 가지고 금강산 명소의 이미지와 근대적 관광 관행을 탐구해 본 것이다. 일제시기에 발행된 각종 관광 자료는 금강산의 이미지를 보여주거니와 근대적 관광 풍속에 접근할 수 있는 매체이다. 본고의 내용을 간략히 요약해보면 첫째, 이광수의 『금강산유기』와 김도학의 『금강산유람기』에 실린 근대적 관광 관행에 대하여 검토해보았다. 근대적 관광은 신속한 교통체계와 안전하고 편리한 편의시설에 의하여 보장받는 여가활동이었다. 둘째, 일제시기 금강산이 본격적으로 근대적 관광지로서 개발되는 과정과 철도국, 관광협회 등에서는 수많은 관광자료들을 제작한 경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러한 근대의 관광자료는 조선의 관광지를 홍보하고, 관광객들에게 관광의 욕망을 불러일으키기 위하여 생산되었다. 셋째, 금강산 사진엽서에 실린 이미지에 관하여 분석해보았다. 관광 사진의 이미지는 관광객들에게 금강산의 명소를 구체적으로 인식시키고, 근대적 관광에 대한 욕망을 불러일으키게 하였다. 넷째, 관광 리플릿이 근대적 금강산 관광에 미친 영향을 논의해보았다. 관광 리플릿은 최대한 많은 관광정보를 전달하면서 휴대하기 편리하게 제작된 미디어이다. 관광정보는 관광객을 위한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관광권력이 생산한 지식 내에 포섭된 관광규율인 것이다. This study is thing in order to investigate an image of Mt. Geumgang noted place and modern sightseeing manners and customs through the sightseeing data which cultural relics such as a picture postcard, a souvenir picture, a sightseeing leaflet have become. A discussion tried on the picture postcards which I watched the process that former Japanese Empire times Mr. Geumgang was developed at these sentences and sightseeing data made in early backgrounds, and produced an image of Mr. Geumgang. The following an examination tried about sightseeing leaflet suggesting an appearance of a discipline of Mt. Geumgang sightseeing and a tourist to be passive, and I explained modern sightseeing manners and customs, finally, to have appeared to Mt. Geumgang travels. Modern sightseeing data publicized sightseeing of Korea, and produced in order to cause greed of sightseeing to tourists. While sightseeing data were distribute to the public, social needs regarding sightseeing grew larger, and an image regarding a sightseeing resort spread in bulk. An image let them recognize concretely a noted place of Mt. Geumgang to tourists, and let them cause greed regarding sightseeing. Sightseeing leaflet is the media that was made usefully for carrying it while delivering maximum a lot of sightseeing information. Sightseeing information looks like things for a tourist, but it is to be the sightseeing discipline that a sightseeing authority produced it, and was drawn into its side in knowledges.

      • KCI등재

        금강산의 사찰전승에서 聖의 引入과 俗의 배척 양상 - 聖境지향을 중심으로

        김승호 어문연구학회 2019 어문연구 Vol.101 No.-

        The narratives we've discussed so far have been linked to 'holyness'. Not just the speaker's own belief, but, trying to get the public to understand how sacred the mountain is. In order to make Mt. Geumgang a sacred place, the monks chose to rely on Buddhist scriptures from early times. Claiming that Mt. Geumgang in Bulgyeong and Mt. Geumgang in Korea are the same, it has helped greatly to sanctify Mt. Geumgang. On the other hand, the sacredness of Mt. Geumgang was expressed through the narrative. To be specific, the Yoo Jum Temple, Bodeok Temple stories attract sacredness to Mt. Geumgang, while Geumdong Temple, Young Won Temple stories reject divinity. The arrival of 53 ministries at Yugyeom Temple refers to the arrival of saints in India. The story of the Bodeok Cave is summed up as a self-aware site of Mt. Geumgang, a place where the government fails to live due to lingering expectations, while Mt. Geumgang becomes a place where the government reborn itself as the owner of the Bodeok Cave. The story of Yoo Jum Temple, Young Won Temple, Geumdong Temple stories deals with the dirty of Mt. Kumgang and its healing. According to the story of Geumdong, Geumdong follows false religion, and after a confrontation, he is ousted from Mt. Kumgang. Geumdong reveals the structure of Mt. Geumgang, Naong and Jigong, along with the celestial sphere. The Yugyeom Temple story shows how a Buddhist monk who disregards sacred statues from India is punished, and the story of Young Won Temple shows the will of heaven to expel a Buddhist monk who does not observe the rules and even incinerate a temple that has been defiled by him. The two stories clearly illustrate how the sacredness of Mt. Geumgang has been preserved from the common secular pollution. The folktales so far contain a common outline that the two sides have established a confrontation between sacred and vulgarity and have kept the mountain's scenic beauty in spite of the insubordineness. 이 본고는 금강산 내 사찰의 전승담에 보이는 종교서사로서의 속성, 즉 성스러움의 추구 양상을 살피는데 목표를 둔다. 금강산 관련 설화가 다양하지만 성경 의식이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산내에 위치한 제 사찰들의 연기담이라 보고 이들을 통해 성현 현상을 주목하고자 하는 것이다. 금강산에 대한 성경화 작업은 대체로 聖의 引入과 俗의 排斥, 이 두 방식으로 진행된다. 우선 聖의 引入현상은 불경 내 금강산과 국내 금강산을 동일시하는 시각에서 찾아진다. 이는 국내 금강산의 내력과 불연성을 고취하는 단초 구실을 했다. 아울러 普德窟연기담은 금강산/방산으로 공간을 이원화한 후 方山을 통과제의의 공간으로, 금강산은 神聖性을 담보하는 공간으로 형상화하고 있음이 밝혀진다. 俗의 배척이 잘 드러나는 예로는 金同이야기, 楡岾寺·靈源庵 후일담을 꼽을 수 있다. 금동이야기는 금동/명승간의 正統/異端 가리기를 넘어서 금강산이 異端에 의한 俗化의 위기에서 벗어나 불보살과 고승이 머무는 곳임을 명백히 한다. 유점사 후일담에서는 이미 성현을 함축한 대상을 외면하고 속된 것을 추종할 때 어떤 결과가 따르는 지를 증거한다. 영원암 후일담에도 자신의 임무와 사명을 저버린 주지가 등장하는데 이를 금강산의 穢土로 여긴 神人에게서 가혹한 징벌을 받게 된다. 상기 금강산 설화들은 출현시기가 다르고 내용면에서도 차이가 있다. 그럼에도 한결같이 금강산의 성스러운 기원과 역사를 표방하는 쪽으로 서사가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금강산내 사찰에 얽힌 설화들은 금강산의 聖性을 앞세우고 있다는 점에서 종교담론의 특성을 농후하게 간직한 대표적 사례들이라 말할 수 있겠다.

      • KCI우수등재

        1930년대 중반 불교계의 『金剛山』 잡지 발간과 그 의의

        이경순 불교학연구회 2017 불교학연구 Vol.51 No.-

        금강산은 다양한 전승이 혼재하며 장구한 역사를 지닌 공간이다. 식민지기에 들어서 금강산은 근대 관광의 최전선으로, ‘동양의 신비’를 간직한 상업적 위락 공간으로 변모했다. 식민지의 민족주의자들은 식민지 조선의 역사, 민족혼에 대한 향수를 금강산에서 발견했다. 금강산은 문명과 자연이 혼거하며, 다양한 표상들의 경합장이 되어갔다. 이러한 가운데 불교는 삼국시대 이래 금강산의 문화 전승자로서 존립하고 있었다. 그런데 금강산의 불교는 새로운 관광주체와 근대 지식인들의 시선 속에서 고대의 유물, 고정된 경관으로 인식되었다. 금강산에 대한 국내외의 폭발적 관심과 예찬, 언설의 홍수 속에 불교측은 금강산에 대한 관점을 재정립하고 자신들의 존재를 천명할 필요가 있었다. 이러한 계기에 의해 1935년 『금강산(金剛山)』 잡지가 발간되었다고 보았다. 즉, 잡지 발간은 금강산이라는 주제에 대한 1930년대 중반 불교계의 적극적이고 주체적인 응답이었다. 금강산 표훈사가 발간한 『금강산』은 1930년대 불교계 중앙기관지가 중단된 가운데, 몇몇의 개인과 지방의 사찰 또는 불교 단체들이 잡지를 간행한 맥락 속에 위치한다. 불교계의 다양한 주체들이 성장하여 잡지라는 근대 매체에 목소리를 담아가기 시작한, 1930년대 중반 불교문화사의 풍경 속에 『금강산』이 출현한 것이다.『금강산』은 금강산 지명과 전설의 불교적 해석, 조선시대 전통의 발굴에 주력했다. 식민지 개발에 의해 첨단의 관광지로서 새롭게 태어나 식민지 권력에 의해 발견된 비경으로, 압도적 자연미의 산실로 여겨졌던 금강산에 대해, 불교계는 불교라는 전통에서 금강산을 표상화할 것을 잡지 『금강산』을 통해 전하려고 하였다.『금강산』은 금강산에 대한 다양한 논의 분출과 상업화의 흐름 속에서, 금강산에서의 불교 입지를 드러내고자 한 시도로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focuses on the background and significance of the publication of a monthly magazine Kumkangsan in mid 1930s. Kumkangsan was recognized at the time as the first magazine on Mt. Geumgangsan (or Kumkangsan) and the first Buddhist magazine publish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Not only Mt. Geumgangsan had been the most popular site among travellers through the history of Korea, but also a significant colonial tourist attraction in the modern era. In the early 1930s, a tourist railroad to Mt. Geumgangsan was completed and a commercial tourist town was developed around the mountain. While Mt. Geumgangsan gained popularity among Japanese people and Westerners as one of the oriental, or mystical sight of nature, it evoked nostalgia of Joseon-period for Koreans under the Japanese rule. Korean Buddhists residing in Mt. Geumgangsan, who had retained their long tradition and relics until the modern period, realized that numerous tourist guide books and travelers’ journals about the mountain omitted or ignored information or discourses about Buddhist traditions. Having found a need to reestablish their status in Mt. Geumgangsan and to disclose some of their ancient preservation to public, some Buddhist intellectuals and monks in the mountain got together to publish a magazine, Kumkangsan. In the magazine, they emphasized Buddhist origin and identity in naming the mountain, presented historical events and Joseon-period cultural products, and published Buddhist literary works. Despite Kumkangsan’s short-lived publication of only ten issues, the magazine represented an active response to commercialization and touristification of Mt. Geumgangsan and an attempt to revive Buddhist identity of the mountain.

      • KCI등재후보

        금강산 관광사업의 장기적 발전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유현정(YooH yun jeong) 북한학회 2019 북한학보 Vol.44 No.1

        2차례 북미정상회담이 진행되면서 금강산 관광사업의 재개가능성이 논의되고 있다. 향후 관광사업 재개의 문제는, 금강산관광사업의 재개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지속가능한 관광특구로 개발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진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지난 금강산 사업의 추진과정에서 나타난 문제들을 끊임없이 보완·수정하여 금강산 특구가 국제적인 관광특구로 발전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리라 생각한다. 우선 UN안보리 결의 등 국제사회의 대북 경제제재 해소를 위하여 북한의 비핵화 문제에 대해 국제사회와 협력을 강화하고 5.24조치, 신변안전보장 문제, 남한측 부동산의 몰수 및 동결 문제 등 남북 사이에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들에 대해 정치적인 대타협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난제들을 극복하고 금강산 사업이 재개되더라도 과거의 전철을 답습하지 않도록 치밀한 대책이 필요하다. 지난 금강산 사업은, 개발 로드맵이나 법적 인프라 토대가 제대로 정착되지 못한 상태에서 관광사업부터 현실화되었다. 1998년 첫 금강산관광이 시작되고 4년이 지난 2002년에 이르러서야 특구의 법제 인프라가 정비되기 시작했다. 그 당시「금강산관광지구법」은, 특구사업의 미래비전이나 장기적 발전을 위해 특구내 경제질서를 형성하는 기능을 담당하기보다는 특구 내에서 현실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경제현실을 법제화하는 수준에 지나지 않았다. 금강산 관광사업이 재개될 경우에는, 금강산 특구가 지향해야 할 ‘국제적인 관광특구’라는 개발 청사진을 명확히 하고 그 목표를 달성할 수있는 경제질서를 법제도에 담아내는 노력을 경주하여야 할 것이다. 사업초기 여건상, 남북간 경협이 불가피한 점을 고려하여 남북간 합의문·계약 등의 효력을 복원하고 남측 인사들의 신변안전을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여기에 그칠 것이 아니라 관광객, 투자유치국의 다변화 등 특구사업의 장기적 측면을 대비하여 특구자체의 법제 인프라를 정비하는 노력을 게을리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금강산 특구가 외국투자가들에게 매력적인 투자대상이 될 수 있도록 그 동안 북한경제특구정책과 관련하여 지적되어 왔던 ‘법적 안정성’ 문제는 반드시 보완 되어야 할 것이다. 舊「금강산관광지구법」을 폐지하고 북한이 스스로 제정한「금강산국제관광특구법」과 그 하위 규정들을 분석한 결과, 자유와 자율보다는 북한당국의 통제와 간섭, 행정편의 주의를 추구하는 규정들이 많은 부분에서 확인되었다. 기업의 자율성, 세금우대혜택과 조세행정의 투명성, 부동산 권리의 안정성과 처분의 자유, 관광객의 신변안전보장, 분쟁해결제도 등 여러부문에서 구법에 비하여 보장수준이 퇴보하였다 판단된다. 이들 부분에서 기업친화적 투자환경과 관광의 자유를 보장할 수 있는 법제인프라를 세밀하게 정비하여 특구사업이 법의 지배를 받으며 추진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여야 하겠다. 이와 함께 북한당국이 정비된 법제를 철저하게 준수할 수 있도록 끊임없이 설득하는 작업 역시 특구사업의 명운을 가르는 관건이 되리라 생각된다. If the Mt. Kumgang tourism project is to be resumed, efforts should be made to dearly draw out an international tourism zone development blueprint, which the Mt. Kumgang Special Administrative Region should work towards, as well as to introduce economic order into the legal system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Considering that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is unavoidable at the initial stages of the project, there is a need to restore efficacy of inter-Korean agreements and contracts, and establish institutional strategies to ensure the personal safety of South Korean personnel. However, this is not all. In order to make long-term provisions for the special admini5trative region project such as diversification as a tourist and investment destination, efforts in building a legislative infrastructure for the special administrative region should not be neglected. In this process, the issue of legal stability , which has been raised in re-lation to North Korea s SEZ policy, must be addressed before Mt. Kum-gang can be viewed as an attractive investment destination for foreign investors. Analysis of the statutes and regulations under the Law of Inter-national Keumgangsan Tourism District enacted by North Korea after they repealed the Mt. Geumgang Tourism Zone Act identified regulations in many aspects that push for control, interference and administrative convenience, rather than freedom and autonomy. As compared to the previous act, the level of security in the new enactment has been consid-ered compromised in various areas, including corporate autonomy, tax benefits, transparency in tax administration, rights to property and free-dom of its disposal, tourist safety, and dispute resolution, etc. With respect to these areas, it is crucial to establish a thorough legal infrastructure that guarantees a business-friendly investment environment and the freedom of tourism, as well as lay a foundation that promotes development under the laws of the special administrative region. Meanwhile, constant per-suasion to ensure North Korean authorities comply strictly with the revised legislation will also hold the key to the fate of the special administrative region project.

      • KCI등재

        지암(志巖) 정인채(鄭仁采)의 금강산(金剛山) 유기(遊記) 일고

        박종훈 ( Park Chonghoon ) 온지학회 2023 溫知論叢 Vol.- No.76

        본고는 아직 학계에 보고되지 않은 정인채의 금강산 유기인 <해산지(海山誌)>의 특징적 일면을 검토하면서 금강산 유기의 편폭을 넓히고자 했다. 정인채는 1898년 2월 고향인 화순에서 출발하여 충북 옥천, 그리고 경기도 포천을 경유해 금강산을 유람하고 돌아온 4개월여 간의 기록을 <해산지>에 담아냈다. 총 19,175자로 기존의 금강산 유기와 비교해보아도 결코 적은 분량은 아니다. 산수유기는 일반적으로 흥치가 주를 이룬다. <해산지> 역시 그러한 흥치가 십분 담겨 있다. 정인채는 총 110개의 풍경점을 설정하고 각 풍경점에 따라 서술을 이어갔다. 여정 중에 본 풍경을 나열하거나 그곳에서 느낀 흥치를 비유를 통해 묘사했는데, 이는 정인채만의 특징은 아니다. 오히려 유사한 풍경 혹은 동일한 지명을 갖은 지점을 지속적으로 비교하면서 각 지점에 대한 인식을 돈독히 한 것과 기존의 금강산 유기에서 언급하지 않았던 새로운 지점이나 유래를 소개한 것은 특징적 일면이었다. 정인채는 산수 유람을 유자적 사유를 체험하는 장으로 활용했다. 불교에 대한 비판과 유자의 흔적에 집중한 것은 유자의 본분에서 비롯된 것이다. 게다가 주희나 송시열, 이항로, 최익현과 관련된 언급은 당대 상황과 맞물려 있어 깊이 있는 접근을 요한다. 정인채는 금강산을 조선 오백 년 도읍지인 한양의 근간으로 설정했다. 이러한 인식은 강화도조약과 갑신정변, 을사조약 등 혼란만이 가중되던 시기의 타개책을 금강산에서 찾아야 한다는 논리로 자연스럽게 연결되었다. 금강산의 봉우리나 사찰, 암벽 등의 모습을 정치에 반영하면 혼란을 타개할 수 있으며 국맥도 이어나갈 수 있다고 역설한 것이다. 이러한 측면은 이전 혹은 이후 시기 금강산 유기에 보이는 금강산의 표상과는 전혀 다른 시선으로, <해산지>의 가장 특징적 일면이다. The study sought to expand the scope of records related to tours to Mt. Geumgang by reviewing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 Haesanji(海山誌) >, which Jeong In-chae(鄭仁采) has not yet been introduced records related to tours to Mt. Geumgang. Jeong In-chae recorded in < Haesanji > the four-month-long record of departing from his hometown of Hwasun(和順) in February 1898 and returning to Mt. Geumgang via Okcheon(沃川), Chungcheongbuk-do(忠淸北道), and Pocheon(抱川), Gyeonggi-do(京畿道). It has a total of 19,175 characters, which is by no means small compared to the existing records related to tours to Mt. Geumgang. The Mt. Geumgang travel period is mainly about the excitement of travel. Such excitement is also the main content of < Haesanji >. Jeong In-chae set a total of 110 landscape points and continued to describe them according to each landscape point. It listed the scenery seen during the journey or revealed the excitement felt there through metaphors, but it is not unique to Jeong In-chae. Jeong In-chae strengthened the perception of each branch by continuously comparing similar landscapes or points with the same place name. It also expanded the scope of the Mt. Geumgang abandonment by introducing new points or origins that were not mentioned in the existing Mt. Geumgang travel journal. Jeong In-chae used the trip to Mt. Geumgang as a place to experience Confucian thoughts. Concentrating on the traces of Confucianism and the critical voice of Buddhism originated from Confucianism's duty. This part is also not unique to Jeong In-chae. However, these things are related to the situation at the time, and require an in-depth approach. Jeong In-chae recognized Mt. Geumgang as the starting point of Hanyang(漢陽), the capital of Joseon(朝鮮). This perception was naturally connected to the logic that a solution to the chaotic period at the time should be found in Mt. Geumgang. He emphasized that if the peaks of Mt. Geumgang, temples, and rock walls are reflected in politics, confusion can be overcome and the country's destiny can be continued. This aspect is the most characteristic aspect of < Haesanji >, which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representation of Mt. Geumga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