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Bacillus sp. SK3l의 생물흡착제 흡착특성 및 생산

        서현호,김형갑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1999 지하수토양환경 Vol.4 No.2

        흡착제 생산균주를 선별하기 위하여 토양시료에서 분리한 홉착제 생산균주중 가장 뛰어난 흡착물질을 생산하는 균주, SK3l을 선별하였으며 분리균주 SK3l은 Bacilus속으로 동정되었다. Bacillus sp. SK3l에 의하여 생산된 흡착물질(생물흡착제 SK3l)은 ethanol 침전과 cetylpyridinium(CPC)침전을 통하여 정제하여 아연과 납 이온에 대한 흡착특성을 조사하였다. 생물흡착제 SK3l의 아연과 납 이온의 흡착량은 각각 52 mg/g과 112 mg/g이었다. Bacillus sp. SK3l 균주가 흡착제를 생산하기위한 flask수준에서의 배양조건들이 조사되었다. 흡착제 생산을 위한 최적 pH와 최적온도는 각각 7.5와 $30^{\circ}C$로 나타났다. 흡착제 생산시 주요한 탄소원과 질소원은 glucose와 ammonium nitrate이었다. 최적화된 배지에서의 흡착제 생산은 기초배지에서 보다 약 3배 증가하였다. Jar fermentor배양에서 배양 60시간에서 가장 많은 흡착제를 생산하였으며, 흡착제의 생산량은 9.2 g/$\ell$이었다. A strain (designated SK3l) which produces an excellent adsorption substance was isolated from soil samples and identified as Bacillus specied. The major adsorption substance (biosorbent SK3l) produced by Bacillus sp. SK31 was purified by ethanol precipitation and cetylpyridinium (CPC) precipitation. The adsorption charactics of zinc and lead ions on bioadsorbent SK3l were investigated. The equilibrium isotherms showed that bioadsorbent SK3l took up zinc and lead from aqueous solutions to the extent of about 52 mg/g and 112 mg/g. respectively. The culture conditions at the flask level of Bacillus sp. SK3l were investigated for the production of polysaccharide bioadsorbent, SK3l. The optimum pH and temperature for sorbent production were 7.5 and $30^{\circ}C$, respectively. The important carbon and nitrogen sources for sorbent formation were glucose and ammonium nitrate, respectively. In the optimized medium, sorbent production was improved three folds in comparison with the basal medium. In the jar fermenter, the highest sorbent production was obtained at 60 h cu1tivation time and the amount of biosorbent SK3l at that time was 9.2 g/$m\ell$.

      • 다공성 알루미나 흡착소재를 활용한 NH3 제어 연구

        김민길,이중명,손무정,이재열,방기연,전문환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6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6 No.-

        알루미늄계 부산물에는 알루미늄 성분이 약 30% 함유되어 있으므로 다공성 알루미나 흡착소재로 변환시킴에 의해 다공성 입자를 얻을 수 있고 알루미늄계 부산물로부터 얻어진 다공성 입자를 원료로 하는 우수한 입상형 흡착제를 제조함에 있어 분말형 흡착제의 탈취능력은 탁월하지만, 대기오염 저감시설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입상으로 성형할 필요가 있어 부산물의 무기질성분에 포함되어 있는 Al2O3는 촉매나 흡착제를 성형하기 위해 결합재(binder)로 널리 사용되는 물질이므로, 탈취 성능을 발휘하는 역할은 물론이고 분말을 입상으로 성형하는데 필수적인 결합재로서의 역할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알루미늄계 부산물중정수슬러지를 활용하여 펠렛형의 흡착제 제조시에 열처리 온도 변화 조건하에서 제조된 흡착제의 흡착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알칼리성 악취중 대표적인 혐오악취인 암모니아에 대한 고정층 연속흡착실험을 통해 흡착제의 흡착성능을 조사하였다. 알루미늄계 부산물을 활용해 수열합성 후 건조된 분말에 결합제를 혼합하여 소형 성형기를 이용하여 ∮10mm, 길이 5~10mm의 펠렛으로 제조한 후 500℃에서 무산소상태로 탄화시켜 DEN-1000을 제조하였다. 흡착제 2종류 각각 80g을 충진하였다. 흡착컬럼은 흡착제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하단에 각각 스텐망이 설치되었다. Bed 전체 높이는 50mm로써 체류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하였으며 이때 흡착질은 약 1,000ppm의 암모니아 표준가스(N<sub>2</sub> balance)를 1.0L/min으로 통과시켰다. 본 연구결과 암모니아의 파과시점을 초기 농도 기준으로 약 5% 검출되었을때로 보고 활성탄과 DEN-1000을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했을때 DEN-1000 흡착제가 파과시간이 긴것으로 나타남으로서 수입에 의존하는 활성탄을 대체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중금속이온제거를 위한 입자형 적니흡착제의 제조

        김정식,한상원,황인국,배재흠,최우진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0 資源 리싸이클링 Vol.9 No.1

        보오크사이트를 원료로 하여 $Al(OH)_{3}/Al_2O_3$ 를 생산하는 공정에서 발생되는 부산물인 적니를 물리.화학적으로 처리하여 중금속 이온 제거용 흡착제로 재활용하고자 하였으며, 산업적으로 적용이 쉽도록 입자형 적니흡착제를 제조하였다. 이를 위하여 적니를 주성부능로 하고 몇 가지 첨가물의 함량과 소결온도를 변화시키며 실험하여 입자형 적니흡착제를 제조하였다. 실험결과, 적니 96.0wt%에 polypropylene 2.5wt%, sodium metasilicate 10wt%, fly ash 0.5 wt%를 첨가하여 $1200^{\circ}C$ 에서 30분간 소결시켜 제조하였을 때 납 이온에 대해 가장 높은 흡착제거율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입자형 적니흡착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분쇄형 적나흡착제와 비드형 적니흡착제로 구분하여 이들의 중금속 흡탈착성능을 실험하였다. 그 결과 분쇄형 적니흡착제는 비드형 적니흡착제보다 흡착제거율과 탈착율이 모두 우수하였으며 분발형 적니흡착제와 마찬가지로 $Pb^{2+}$ 이온의 흡착제거율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Red mud is generated as a by-product in the production of $Al(OH)_{3}/Al_2O_3$ from bauxite ore. In this study the pellet-type adsorbents have been made from the red mud, and their adsorption capacities of heavy metal ions have been tested. The pellet-type adsorbents were synthesized to utilize the excellent adsorption capacity of the powder-type adsorbent for industrial application. The pellet-type adsorbents were prepared by mixing several kinds of additives with the red mud. It is found that the pellet-type adsorbent, made by sintering a mixture of red mud (96.0 wt%), polypropylene (2.5%), fly ash (0.5 w%), and sodium metasilicate(1.0 wt%) at $1200^{\circ}C$ for 30 minutes, has the highest adsorption capacity. in this work, the two kinds of pellet-type adsorbents (bead-type, crushed-type) were prepared. The crushed-type adsorbent was found to show a better adsorption/desorption performance than the bead-type adsorbent. The crushed-type adsorbent showed a good adsorption capacity of $Pb^{2+}$ like the powder-type adsorbent.

      • KCI등재

        굴 패각 폐기물을 이용한 흡착제 제조 및 광산폐수의 흡착특성

        이준희 ( Jun-hee Lee ),정진희 ( Jin-hee Jung ) 한국환경기술학회 2016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는 굴 패각 폐기물의 소성공정 조건 변화를 통해 굴 패각 흡착제 제조시 XRF 분석을 통한 공업용 석회 기준에서 제시하는 CaO 및 기타 불순물을 함량을 분석하고, 그에 따라 결정된 최적소성 조건으로 제조한 흡착제를 이용하여 광산폐수의 pH와 중금속 및 유·무기물 흡착률을 분석하여 굴 패각 폐기물의 친환경 흡착제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소성공정은 1,200℃까지 유지 가능한 전기로를 사용하여 소성온도 600 ~ 1,200℃, 소성시간 1 ~ 6시간으로 변화를 주면서 연구를 진행하였고, 흡착제로서의 성능평가는 Jar-test를 통해 굴 패각 흡착제 주입량 및 교반시간에 변화를 주면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굴 패각 폐기물의 흡착제 제조를 위한 최적 소성조건은 900℃에 서 2시간으로 결정하였으며 이 때 CaO 함량은 95.14%, 기타 불순물은 모두 1.23% 이하의 함량으로 높은 순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광산폐수 흡착실험에서는 모든 조건에서 pH 13 이상을 나타내었고, 중금속 제거를 위한 최적 흡착조건으로 흡착제 7 g 주입시 교반시간 10분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Zn 및 Fe는 각각 92.47% 및 99.87%, 나머지 항목은 100%의 높은 흡착률을 나타내었다. 유·무기물 제거에서도 BOD 및 T-P의 높은 흡착률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굴 패각 폐기물의 친환경 흡착제로서의 효과적인 재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 of CaO and other impurities in oyster shell absorbent production based on the changes of waste burning condition with XRF measurement, analyze the pH of mine wastewater and the absorption rate of heavy metals and organic/inorganic matters using the absorbent that is produced on optimum burning conditions according to previous analytical result, and assess the feasibility of oyster shell waste as absorbent. Burning process used the furnace that is capable of maintaining up to 1,200℃, and varied the burning temperature from 600 ~ 1,200℃ and the burning time from 1 ~ 6 hours; the performance evaluation as an absorbent was performed through jar-test by varying the injection amount of oyster shell waste absorbent and stirring time. The optimum burning condition to produce oyster shell waste absorbent was set at 900℃ for 2 hours, which the CaO content at such condition was 95.14% and other impurities were all below 1.23%, displaying high purity. In mine wastewater absorption test, pH value was up to 13 under all conditions, and the stirring time for 8 g of absorbent to remove heavy metals was over 10 minutes. As a result, Zn and Fe displayed 92.47% and 99.87% of absorption rate respectively, while other items displayed a high absorption rate of 100%. In terms of organic/inorganic matter removal, there was a high absorption rate in BOD and T-P. These results imply the effective recycling possibility of oyster shell waste as an eco-friendly absorbent.

      • KCI등재

        흡착식 담수화 공정의 성능에 실리카겔 흡착제의 물리적 특성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김성일(Sungeyl Kim),우성용(Seong-Yong Woo),이호생(Ho-Saeng Lee),지호(Ho Ji),김영득(Young-Deuk Kim) 대한기계학회 2019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43 No.10

        본 연구에서는 실리카겔 기반 상용 흡착제(A++, RD2560, NS10)의 물리적 특성이 AD 시스템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질소와 수증기에 대한 흡착제의 흡착등온선 측정을 통해 흡착제의 물리적 특성과 증기에 대한 흡착제의 흡착 성능을 각각 분석 및 비교하였다. 그리고 흡착질인 수증기에 대한 흡착제의 흡착등온선을 기반으로 수정된 흡착등온선 모델과 AD 시스템의 성능에 흡착제의 물리적 특성이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수학 및 수치적 해석 모델을 개발하였다. 수치해석 모델의 타당성은 실험 결과와 비교를 통해 검증하였다. AD 시스템의 성능은 주요 작동변수인 온수, 냉수, 그리고 사이클 시간에 대하여 평가하였으며, 이때 사용한 성능지수는 흡착제의 단위 톤당 1일 담수생산량 (SDWP), 흡착제의 단위 톤당 냉방용량(SCC) 그리고 성능비(PR)이다. 본 연구에서 고려한 작동 조건하에서 A++를 적용한 AD 시스템의 최대 SDWP는 약 7.68이었으며, 이는 RD2560(약 7.29)과 NS10(약 6.42)에 비해 각각 5%, 20% 높았다.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adsorbents (A++, RD2560, NS10) on the performance of an adsorption desalination (AD) system was investigate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sorbents and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the adsorbents on water vapor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adsorption isotherms of nitrogen and water vapor on the adsorbents, respectively. A modified empirical isotherm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adsorption isotherms of water vapor on the adsorbent. Mathematical and numerical models were then develop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AD system for different adsorbents, and were validated by comparison with experimental results. The AD performance was evaluated for different types of adsorbents over a wide range of operating conditions such as cycle time, hot- and chilled-water temperatures. The performance was assessed in terms of specific daily water production (SDWP), specific cooling capacity, and performance ratio. Under the given operating conditions, the maximum SDWP of the AD system using A++ was approximately 7.68, which is 5 % and 20 % higher, respectively, than that of RD2560 (approximately 7.29) and NS10 (approximately 6.42).

      • 정수슬러지를 활용하여 제조한 흡착제의 흡착 및 재생특성연구

        박영성,오병욱,이기빈,유라경,김동윤,이재열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8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8 No.-

        고도의 산업발달과 그에 따른 경제규모의 팽창은 방대한 양에 달하는 각종 유해물질의 발생을 가져왔으며 결국 이에 대한 처리능력의 한계와 함께 심각한 환경오염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특히, 악취 및 VOC 등은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좀 더 엄격한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이중에서 폐기물 매립장, 석유화학공업, 바이오가스정제 시설, 암모니아공업, 하수처리장 등 광범위하고 다양한 곳에서 발생하고 있는 황화수소(H<sub>2</sub>S)는 달걀 썩는 냄새가 나는 무색의 유독한 악취가스로 인체의 위장이나 폐에 흡수되어 질식, 폐 질환, 중추신경마비 등을 일으키는 위해성이 큰 기체로 분류되고 있어 이의 효율적인 처리방안 모색이 당면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한편, 우리 나라의 정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정수슬러지는 정수장의 증설 및 상수도 보급율의 증가, 고도정수처리시설의 도입 등으로 계속 증가되고 있다. 이들의 처리는 대부분 매립과 해양투기에 의존해 왔으나 기존 매립장의 포화에 따른 새로운 부지확보의 어려움, 침출수배출에 따른 민원발생등의 문제를 안고 있으며, 런던협약에 따라 2007년부터 해양투기가 금지됨에 따라 새로운 정수슬러지처리의 필요성이 고조되면서 친환경적이고 경제성있는 정수슬러지 활용기술개발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수슬러지를 소재로 수열반응 및 약품을 첨가하여 슬러지흡착제를 제조하고, 이에 대한 흡착과 재생특성을 평가하였다. 화학적인 성분분석과 BET, SEM 분석 등 물성분석을 실시하고, batch식의 평형흡착실험과 연속식 고정층 파과실험을 실시하였다. 흡착제의 재생은 폐흡착제의 스팀활성화를 통해 이뤄졌으며, 활성화온도, 스팀공급량이 파라메타로 적용되었다. 실험결과, 슬러지 흡착제는 첨착활성탄이나 산화철에 비해 평형흡착능은 떨어지지만 기체-고체상에서 이뤄지는 물질전달 특성에 의해 연속식의 고정층 파과성능은 매우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폐흡착제를 활성처리하여 재생시킬 경우 악취(황화수소)에 대한 흡착능이 80∼100% 범위에서 복원되는 것으로 나타나 폐흡착제의 효율적인 재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KCI등재

        K<SUB>2</SUB>CO<SUB>3</SUB> 첨가에 따른 H<SUB>2</SUB>S 제거용 무기계 흡착제의 흡착성능 영향에 관한 연구

        장길남(Kil Nam Jang),송영상(Young Sang Song),홍지숙(Ji Sook Hong),유영우(Young-Woo You),황택성(Taek Sung Hwang) 한국청정기술학회 2017 청정기술 Vol.23 No.3

        본 연구는 악취가스 물질(바이오가스의 불순물)의 하나인 H2S를 제거하기 위한 흡착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행하였다. 기본 담체로서 4가지 물질(Fe2O3, Ca(OH)2, 분말 활성탄, Al(OH)3)을 혼합 사용하여 pellet 형태의 흡착제를 제조하였다. 또한, 4가지 물질의 H2S 흡착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결과, Fe2O3와 분말활성탄은 H2S 흡착성능이 각각 1.5, 2배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a(OH)2와 Al(OH)2는 H2S 흡착성능에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4가지 물질을 기본혼합 담체로 한 후, 활성물질로 KI, KOH, K2CO3를 선정하여 각각 5 wt% 첨가한 후에 H2S 흡착성능을 시험한 결과 K2CO3를 첨가한 흡착제가 가장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K2CO3를 5 ~ 30 wt%까지 변화시키면서 흡착성능을 확인한 결과, K2CO3 함량이 20 wt%까지는 함량과 비례하여 H2S 흡착성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30 wt%에서는 H2S 흡착성능 급격히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K2CO3 첨가 함량에 따른 H2S 흡착성능을 바탕으로 Thomas model을 이용하여 모델링을 실시한 결과에서도 K2CO3 함량이 20 wt%까지는 실험값과 모사값이 잘 일치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확인된 활성물질의 종류와 활성물질의 함량을 흡착제 제조에 이용한다면 H2S 흡착제의 흡착성능 개선뿐만 아니라 흡착제의 사용수명 증대를 기대할 수 있었다. The goal of this paper wa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adsorbent to remove H2S. Pellet type adsorbents were prepared by using four kinds of materials (Fe2O3, Ca(OH)2, Activated carbon, Al(OH)2) for use as a basic carrier. As the results of H2S adsorption tests, Fe2O3 and Activated Carbon improved the adsorption performance of H2S by 1.5 ~ 2 times, and Ca(OH)2 and Al(OH)2 showed no effect on H2S adsorption performance. Four basic materials were as carriers, and 5 wt% of KI, KOH and K2CO3 were added on the carriers, respectively. As the results of H2S adsorption tests, adsorbent containing K2CO3 showed the best performance. As a result of H2S adsorption test with varying K2CO3 content from 5 to 30 wt%, it was confirmed that adsorption performance was increased up to 20 wt% of K2CO3 and adsorption performance decreased to 30 wt%. The H2S adsorption performance was modeled by using Thomas model with varying K2CO3 contents and the results were used for the adsorption tower design. It was shown that the experimental values and the simulated values we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contents range of K2CO3 up to 20 wt%.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not only the adsorption performance of H2S adsorbent is improved but also life time of the adsorbent is increased.

      • KCI등재

        피혁산업 부산물에 의한 용존 중금속 제거 특성

        김근한(Keun Han Kim),이남희(Nam Hee Lee),백인규(In Kyu Paik),박재형(Jae Hyung Park),양재규(Jae Kyu Yang) 大韓環境工學會 2010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2 No.5

        본 연구에서는 가죽 생산 공정 중 원피 무게의 50% 이상 고형 폐기물로 발생하는 콜라겐 단백질의 섬유 기재에 미모사(Catechol Tannin) 및 채스트넛(Pyrogallol Tannin)과 같은 식물성 탄닌물질을 다양한 조건에서 고정화시킨 10 가지 다른 종류의 바이오 흡착제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각 바이오 흡착제들의 중금속 제거용 흡착제로서의 성능 평가를 위하여 Cu(Ⅱ), Cd(Ⅱ), Zn(Ⅱ), Pb(Ⅱ), Cr(Ⅲ) 이온을 함유한 인공 오염수를 사용하여 다양한 반응 조건에서의 회분식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중금속들의 제거 특성을 규명하였다. 미모사를 탄닌물질로 사용하여 콜라겐에 고정화 반응을 시켰을 때 섬유 번들 내부로의 미모사의 침투력은 나프탈렌계 침투제의 주입량에 비례 하였다; 3%≥1.5%>0%. 모든 바이오 흡착제들에서 pH₃.0 이하에서는 중금속 이온들의 제거는 거의 일어나지 않았으나 pH 3.0 이상에서 중금속의 제거율이 급격히 발생하였으며 Zn(Ⅱ)을 제외한 나머지 중금속이온들은 pH 6.0 이상에서는 거의 완전히 제거되었다. Cr(Ⅲ)의 경우에는 바이오 흡착제 종류별 제거량이 매우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Cu(Ⅱ), Zn(Ⅱ), Pb(Ⅱ)의 제거에서는 축합형 탄닌(미모사)에 비해 이온결합이 가능한 다량의 카르복실기를 함유한 가수분해형 탄닌(채스트넛)을 사용하여 고정화시킨 바이오 흡착제에서 높은 제거 능을 보였다. S10 바이오 흡착제에 대한 Pb(Ⅱ) 및 Cu(Ⅱ) 중금속 이온들의 흡착은 이온농도가 1,000배 변화거나 경쟁이온화학종을 일하전 및 이하전 화학종을 사용하였을 때 영향을 받지 않았다. In this study, ten different bio-adsorbents were prepared by immobilization of vegetable tannins such as mimosa(Catechol Tannin) and chestnut(Pyrogallol Tannin) on the collagen matrix which was derived from during leather manufacturing processing. Removal efficiency of Cu(Ⅱ), Cd(Ⅱ), Zn(Ⅱ), Pb(Ⅱ), Cr(Ⅲ) by each bio-adsorbent in synthetic wastewater was evaluated by a laboratory-scale batch reactor at different reaction conditions. When mimosa was used as a vegetable tannin, the penetration efficiency of mimosa into the inner bundle of fiber depended on the dose of the naphthalene condensated penetrant; 3%≥1.5%>0%. For all bio-adsorbents, removal of heavy metal ions was not observed below pH 3.0 but was rapidly increased between pH 3.0 and 6.0, showing near complete removal of all heavy metal ions except Zn(Ⅱ) above pH6.0. Removal of Cr(Ⅲ) was quite similar for all bio-adsorbents while removal of Cu(Ⅱ), Zn(Ⅱ) and Pb(Ⅱ) was higher by bio-adsorbents immobilized with chestnut than that by mimosa. Adsorption of Pb(Ⅱ) and Cu(Ⅱ) by S10 bio-adsorbent was little affected by the presence of monovalent and divalent electrolytes as well as variation of 1000 times ionic concentration with NaNO₃.

      • 소석회와 희토류 흡착제를 이용한 불소 제거 연구

        나재식 광운대학교 신기술연구소 1999 신기술연구소논문집 Vol.28 No.-

        불산산업폐수에 함유된 이온을 제거하기 위하여 다양한 처리방법들이 제시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희토류 흡착제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공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세가지 종류의 흡착제, 소석회[Ca(OH)_2], UR 3700S와 READ-F(희토류 흡착제)를 이용하여 HF 폐수에 함유된 이온들의 흡착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희토류 흡착제의 단위질량당 이온 흡착능은 UR 3700S가 READ-F보다 크고, 각각의 흡착제에 대한 각 이온의 흡착능을 살펴보면 두 종류의 흡착제가 모두 F^-> PO^3-_4>Cl^-의 순으로 흡착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READ-F와 UR 3700S에 의한 불소 흡착은 Freundlich 모델보다는 Langmuir 모델에 비교적 잘 일치하였다. Several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o remove ion from industrial wastewater. Recently the aim of investigations has increasingly been oriented towards the practical process of microorganism in the treatment of wastewater polluted by ions. In this study, the removal of ion by three kinds of adsorbent, linle[Ca(OH)_2], UR 3700S, READ-F(rare earth adsorbents), was investigated. UR 3700S was superior to READ-F in the adsorption ability of unit mass of adsorbent and the adsorption ability of each was showed the order of F^-, PO_4^3-, Cl^-. The removal of fluoride ion by READ-F and UR 3700S agreed with Langmuir model rather than Freundlich model.

      • 메조기공성 실리카계 흡착제의 산성가스 흡착효율 향상을 위한 아민기 그래프팅 방법 연구

        이동훈,이치현,임동하 한국공업화학회 2019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9 No.0

        오일 및 가스 채굴과정에서 동반되는 산성가스(CO<sub>2</sub>, H<sub>2</sub>S)를 제거하기 위해 여러가지 방법에 의해 전처리를 하고 있다. 특히 흡착·분리공정에 의한 압력순환흡착(Pressure Swing Adsorption, PSA) 공정의 경우, 여러 형태의 메조기공성 실리카 계열의 흡착제를 이용하여 산성가스를 분리하는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아민흡수법에 사용하고 있는 아민계열 흡수제를 활용하여 합성된 메조기공성 흡착제 표면에 다양한 방법으로 그래프팅함으로써 소량의 흡착제 사용을 통해 산성가스 흡착능력을 높이고자 하였다. 또한 소량의 흡착제 사용으로 기존 흡착반응기 대비 소형화가 가능할 것이라 본다. 본 연구에서는 직접 합성법, 함침법, 양이온 교환법을 이용하여 아민기를 실리카 계열 흡착제에 그래프팅하였으며, 합성한 흡착제에 대한 물리화학적 특성화 분석과 산성가스 흡착성능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