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일전쟁기 이광수의 황민화론이 놓인 세 위치

        최주한(Choi Ju Han)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서강인문논총 Vol.0 No.47

        본고는 중일전쟁기 이광수 황민화론의 실상에 접근하기 위하여 『國民新報』, 『京城日報』, 『每日新報』에 발표된 관련 논설에서 발화 위치의 특이성에 주목하였다. 모두 총독부 관할하의 기관지나 마찬가지였지만, 언어와 독자를 달리하는 매체의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발화의 위치에서 황민화론을 전개해간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논의의 공분모로서 ‘국민적 감정’에 의한 양 민족 간의 동등한 결합의 문제, 곧 동등한 국민으로서의 권리 획득을 목표로 한 정치적 지향성을 엿볼 수 있다. 한편 1940년 중반을 전후하여 이광수의 황민화론은 ‘국민적 감정’에 기반한 양 민족 간의 동등한 결합의 문제에서 ‘忠義있는 일본인으로서의 갱생’을 주장하는 민족해소론으로의 논리적 비약을 보여준다. 더욱이 이러한 민족해소론의 내부에 여전히 조선의 독자성을 주장하는 논리적 균열이 존재하는 것을 엿볼 수 있다. 이러한 논리적 비약과 내적 균열은 신체제운동이 본격화되면서 위로부터의 황민화에 대한 요구의 강도가 그만큼 거세진 외적 조건의 변화와 호응하고 있다. 이후 태평양전쟁을 전후하여 이광수의 황민화론은 뼛속깊이 일본인이 되는 문제를 넘어서 ‘대동아의 지도자’되기라는 양상을 띠게 되는데, 이 시기의 황민화론에 대해서는 별도의 논의를 기약하고자 한다. This Thesis has attention to specificity of speaking position in the relevant articles of 〈國民新報〉, 〈京城日報〉, 〈每日新報〉, to approach the reality of Lee kwang-su"s Japanization theory during the period of the Sino-Japanese War. Though three media mentioned above were as good as the Goverment-General of Joseon organs, we can know that they carried Lee kwang-su"s Japanization theory differently in different speaking position, according to the attributes of media that altered language and readers. And we can see his political orientation for equal union between two nations by "public sentiment", acquisition of equal rights as equal people in his writings as a common denominator. Meanwhile, Lee kwang-su"s Japanization theory around the mid 1940s showed logical leap from equal union between two nations by "public sentiment" to denationalization for "resurrection as loyal Japanese". We can see the logical crack that claimed identity of Joseon nation yet in his de-nationalization argument. These logical leap and crack responded to change of outside condition demanding for Japanization more concretely from the upper as the New order campaign had set in earnest. Lee kwang-su"s Japanization theory around the Pacific War carried the aspects of becoming of "the leader of the Greater East Asia" beyond becoming Japanese to the bone throughly. I will be continue later discussion on Japanization theory in this period.

      • KCI등재

        皇民化時期(1937-1945) 대만 지식인의 민족정체성과 전쟁인식― 『吳新榮日記』를 중심으로 ―

        이승찬,손준식 중국근현대사학회 2016 중국근현대사연구 Vol.71 No.-

        本文是通過臺灣知識份子吳新榮(1907-1967)對皇民化運動的認識與對應, 分析他在皇民化時期所經歷的認同混亂, 同時探討他在這種認同的基礎上對日本帝國的戰爭動員具有怎樣的立場, 以及他是怎樣解讀中日戰爭和太平洋戰爭的。 吳新榮出生於臺南的富裕家庭, 接受了新舊文化的薰陶, 曾在就讀臺南商業專科學校和留學日本時期傾向於中國民族意識與社會主義思想。但因1929年4.16事件被拘捕後, 與直接參與政治社會運動保持了距離。1932年東京醫學專科學校畢業, 返回台灣運營醫院後, 仍以弱勢群體與殖民地民眾的苦痛為焦點, 發表了各種具有社會主義思想及原有的民族意識的作品。但是到1935年臺灣總督府實行地方自治選舉, 吳新榮積極參與地方政治以後, 逐漸被編入了日本殖民地體制內。 尤其在邁入皇民化時期以後, 由於各種契機吳新榮的國族認同發生了很大的動搖, 最終形成了日本人認同。吳新榮基本參與了皇民化運動的主要活動, 如寺廟整理、神社參拜、正廳改善等, 他不僅對此沒有抗拒反而逐漸接受了日式生活方式和宗教活動。另外, 吳新榮對‘國語(日語)’常用運動的態度積極, 不僅日常生活中使用日語, 自1938年起日記也用日語來記述。他對改日式姓名也頗為積極, 一直思考要使用的姓氏要賦予怎樣的意義, 以及尋找改姓氏的妥當理由。 如此, 吳新榮的國族認同由之前的‘根在中國的臺灣人’, 經過皇民化時期轉換為‘生在臺灣的日本人’, 把日本帝國的戰爭動員解讀為臺灣人身份上升和獲得權利的機會, 不僅帶頭宣傳志願兵制度和徵兵制度, 也積極參與了為建立總力戰體制的皇民奉公會活動。與此同時, 對戰爭的解讀也開始漸漸附和大東亞共榮圈的邏輯, 遂認定了中日戰爭的必然性, 且表露了對西歐帝國主義的敵愾, 直到戰爭的最後關頭還在期待日本的勝利。 對於吳新榮如此認同變化及戰爭認識等, 以往研究的評價是生於日治時期, 接受日式教育的高等知識分子在戰爭時期的高壓下, 為了生存所做的妥協, 他的心靈與國族認同並未被徹底轉化。這種評價的依據是, 吳新榮所主張的臺灣中心說與在戰爭末期讀了孫文與胡適的著作以及戰後積極歡迎回歸祖國的事實。但是前者終究是以日本大東亞共榮圈爲前提, 後者從其平素非常敏感時局, 以及為了實現個人政治野心的行動與處世觀來看, 可以被視爲是求取自身榮華的機會主義行爲, 所以筆者認為對吳新榮的評價應該更加慎重。當然, 韓國與臺灣對於殖民地時期民族主義運動的評價標準是不同的, 但即使考慮到臺灣的特殊性, 對於積極參與日本帝國戰爭動員的戰爭共犯, 僅因其具有臺灣意識就可以賦予免罪符, 是否過于用被害情緒和現實觀點來裁斷歷史, 筆者在此方面存有疑問。

      • KCI등재후보

        원광대학교박물관 김태곤 컬렉션 무화의 특색과 의의

        정병모(Chung Byung-mo) 한국민화학회 2022 한국민화 Vol.- No.17

        이 논문은 원광대학교박물관 소장 김태곤 컬렉션 무화의 특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특히, 서울지역 무화와 황해도 지역 무화의 양식적 차이가 무엇인지 밝히고, 무화를 불화, 민화, 궁중회화 등 어떤 관계가 있는 살펴보고자 한다. 김태곤은 무화의 수집과 연구에 있어서 선구자적 역할을 수행했다. 그가 수집한 무화는 그가 주장하는 원본 이론의 틀 속에서 파악해야 한다. 그는 무속에서 원본을 찾았고, 무속의 우주관과 내세관이 반영된 무화에서도 원본을 찾으려고 노력했다. 조선후기 무화를 통해서 원본 혹은 원형을 가려내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무화에는 원시미술과 같은 원시성이 반영되었다는 전제를 하고 있지만, 자칫 주관적인 추정으로 치우칠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논리의 위험을 무릅쓰고 무화에서 민화의 원형과 관련성을 찾아보면, 한 그림에 한 신을 배치하는 단순한 구성이 원초적인 형식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소박하고 자유로운 표현이 민화적인 양식이다. 하지만 서울지역 무화는 궁중회화나 불화의 영향을 받아 세련된 화풍으로 제작된 경우가 많다. 여기서는 민화적인 특색을 찾기가 쉽지 않다. 하지만 평면적인 구성이나 실제 스케일에 구애되지 않는 개념적인 표현에서 전통적인 표현방식을 찾아볼 수 있다. 서울지역의 무화는 후일 지역 양식별 무화를 연구하는 데 있어서 자료적 가치가 높다고 생각한다. 서울지역 무화는 불화풍 무화, 민화풍 무화, 궁중화풍 무화 등 다양한 양식을 보였다. 특히 민화풍의 무화는 서울지역에서도 이런 양식의 무화가 제작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해주는 자료이고, 제작 시기도 19세기 후반으로 비교적 올라가는 그림이 적지 않다. 황해도지역 무화는 20세기 전반으로 제작 시기가 올라가지 않지만, 서울지역 무화와 양식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서울지역 무화는 대부분 세련되고 사실적인 화풍으로 제작한 반면, 황해도지역 무화는 스케일에서 주종의 위계를 확연하게 구분한 개념적인 화풍을 보였다. 서울지역 무화는 근엄한 표정으로 권위적으로 표현한 반면, 황해도지역 무화는 밝은 정서의 인간적인 면모를 보인 점이 특색이다.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figs in the collection of Kim Tae-gon, which is owned by the Wonkwang University Museum. In particular, it is intended to clarify the stylistic differences between Shaman paintings in Seoul and those in Hwanghae-do,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haman paintings, such as Buddhist paintings, folk paintings, and court paintings. Taegon Kim played a pioneering role in the collection and study of Shaman paintings. The atheists he collected should be understood within the framework of his original theory “arche-pattern”. He searched for the arche-pattern in shamanism, and tried to find the arche-pattern in Shaman paintings, which reflects the shamanic view of the universe and the afterlife. It is not easy to identify the archetype or arche-pattern form through Shaman painting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lthough the premise is that the figure reflects the same primitive as primitive ar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it will be biased toward subjective estimation. If we look for the prototype and relevance of folk paintings in Shaman paintings, despite the risk of such logic, the simple composition of one god in one picture can be seen as a primitive form. In addition, simple and free expression is the folk painting style. However, Shaman paintings in Seoul is often produced in a sophisticated style under the influence of court paintings and Buddhist paintings. It is not easy to find folk painting characteristics here. However, traditional expression methods can be found in conceptual expressions that are not limited to a flat composition or actual scale. The Buddhist monks donated to Wonkwang University Museum by Kim Tae-gon in 1978 are comparatively older than those donated to the Kyunghee University Museum and National Folklore Museum, and consist of paintings that are significant in historical and folklore. Most of these Shaman paintings are included in the catalog of 『Korean Shaman paintings』, which was published mainly on the Shaman paintings he collected in 1989 and the Shaman paintings he took personally during his investigation. In particular, I think that Shaman paintings in Seoul has a high data value for future research on Shaman paintings by regional style. In the Seoul area, you can see various styles such as three-dimensional style Shaman paintings, realistic style Shaman painting, and folk painting style Shaman painting. In particular, the folk painting style Shaman painting is a source of evidence that this style of Shaman paintings was also produced in Seoul, and there are many paintings that date back to the late 19th century. Although the production period of the Hwanghae-do Shaman paintings did not go up to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it is a good material to compare with the Shaman paintings in Seoul. While most of the Shaman paintings in Seoul were produced in a sophisticated and realistic style, the Shaman paintings in Hwanghae-do showed a conceptual style that clearly separated the hierarchy of masters and servants in scale. While Shaman paintings in Seoul is expressed authoritatively with a solemn expression, the charm of Shaman paintings in Hwanghae-do is that he has a cheerful expression and bright emotions.

      • KCI등재

        다변수 LSTM 순환신경망 딥러닝 모형을 이용한 미술품 가격 예측에 관한 실증연구

        이지인(Jiin Lee),송정석(Jeongseok Song)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6

        새로운 미술품 유통방식의 발달로 미술품의 미적 효용을 넘어 투자재로서 바라보는 시각이 활성화되고 있다. 미술품의 가격은 주식이나 채권 등과 달리 객관적 요소와 주관적 요소들이 모두 반영되어 결정되는 이질적 특성이 있기 때문에 가격 예측에 있어서 그 불확실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LSTM(장단기 기억) 순환신경망 딥러닝 모형을 활용하여 낙찰총액 순위 1위부터 10위까지의 한국 작가의 회화 작품을 대상으로 작가의 특성, 작품의 물리적 특성, 판매적 특성 등을 입력으로 하여 경매 낙찰가의 예측을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모델에 의한 예측 가격과 실제 낙찰 가격의 차이를 설명하는 RMSE 값이 0.064 수준이었으며 작가별로는 이대원 작가의 예측력이 가장 높았고, 이중섭 작가의 예측력이 가장 낮았다. 투자재로서 미술품 시장이 더욱 활성화되고 경매 낙찰 가격의 예측 수요가 높아지면서 본 연구의 결과가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the art distribution system, interest in art investment is increasing rather than seeing art as an object of aesthetic utility. Unlike stocks and bonds, the price of artworks has a heterogeneous characteristic that is determined by reflecting both objective and subjective factors, so the uncertainty in price prediction is high. In this study, we used LSTM Recurrent Neural Network deep learning model to predict the auction winning price by inputting the artist, physical and sales charateristics of the Korean artist. According to the result, the RMSE value, which explains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dicted and actual price by model, was 0.064. Painter Lee Dae Won had the highest predictive power, and Lee Joong Seop had the lowest. The results suggest the art market becomes more active as investment goods and demand for auction winning price increases.

      • KCI등재

        전시체제기 교육확충정책과 일본인 교원의 조선 이입

        윤현상 역사문제연구소 2023 역사문제연구 Vol.27 No.1

        During the wartime period, the educational expansion policy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was implemented in tandem with its Kominka polic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confirmed its Japanization education policy and affirmed that it would swiftly expand the education for the Joseon people, and it was pivotal to secure teachers to teach the growing number of students. However, the recurring problems regarding the Korean teachers’ ideology made the Government-General hesitant to increase the number of short-term Korean teachers on a large scale. Thus, to “foster Japanese characteristics” under the Kominka polic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focused entirely on securing Japanese teachers. As a result, 83.1% of the rising number of teachers was Japanese. Japanese teachers during wartime either were ① educated in normal schools in Joseon or ② immigrated to Joseon after becoming teachers in Japan. Some Japanese teachers educated in normal schools in Joseon were children of Japanese settlers in colonial Korea, but most of the teachers entered the school right after graduating from secondary schools in Japan and studied in Joseon for only a short period. In addition, over 600 teachers were sent to Joseon from Japan. In other words, the majority of the Japanese teachers whose number rose in the late 1930s were originally from Japan.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s initiative to introduce more Japanese teachers faced difficulties starting in 1939. First, as the treatment of teachers in Joseon worsened in the late 1930s, the treatment of teachers in Japan improved which made it less economically attractive to move from Japan to Joseon. Moreover, the amendment of the military service act led to lower demand for Japanese students enrolling in normal schools in Joseon, and the dispatch of Japanese teachers from mainland Japan was also restricted. As a result,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s plan to supply Japanese teachers reached a limit, and the shortage of teachers was filled with Korean teachers. This was why the number of Korean teachers, especially temporary teachers, increased dramatically from 1940 to 1942. Nevertheless, as long as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s belief was firmly rooted in the belief that the “Japanization” of Koreans could be achieved when the “Japanese spirit is taught by Japanese teachers,” the dispatch of Japanese teachers was something that could not be stopped.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identified the rise in Korean teachers as a problem and continued requesting more Japanese teachers to be sent to Joseon from mainland Japan. Although increasing the number of Japanese teachers was costl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did not have a choice but to recruit more Japanese teachers for the Kominka policy. Such was the contradiction and limitation of colonization. And because of the colonial education finance system, the entire burden was later imposed on the shoulders of Koreans. 전시체제기 조선총독부의 교육확충정책은 황민화정책과 쌍을 이루어 전개되었다. 조선총독부는 황민화교육 방침을 확정하면서 조선인 교육을 빠르게 확충할 것을 천명하였는데, 이로 인해 늘어나는 학생을 가르칠 교원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했다. 그러나 계속해서 발생하던 조선인 교원의 사상 문제는 조선총독부가 단기강습 조선인 교원을 대규모로 확충하는 것을 주저하게 했다. 따라서 황민화정책하에서 ‘일본인적 성격을 단마’하는 교육을 시행하기 위해 조선총독부는 일본인 교원을 확보하는 데 매진했다. 그 결과 1930년대 후반 증가한 교원의83.1%는 일본인이었다. 전시체제기 일본인 교원은 ① 조선 내 사범학교를 통해 양성되거나, ② 일본에서 교원이 된 후 조선으로 이입되는 두 가지 방법으로 충원되었다. 조선 내 사범학교를 통해서 양성되는 일본인 교원 중에는 재조일본인의 자제도 있었지만, 상당수는 일본에서 중등학교를 마치고 연습과/강습과만을 조선에서 이수한 사람들이었다. 여기에 일본에서 조선으로 이입되는 교원이 매년 600여 명을 상회했다. 즉 1930년대 후반 늘어난 일본인 교원의 대부분은 일본 출신 일본인 교원이었다. 1939년을 기점으로 조선총독부의 일본인 교원 초빙은 어려움에 부딪혔다. 우선 1930년대 후반 조선의 교원 대우가 나빠지는 사이, 상대적으로 일본의 교원대우가 좋아지면서 일본에서 조선으로 오는 경제적 이득이 감소했다. 여기에 「병역법」이 개정되어 일본인의 조선 내 사범학교 진학 수요가 감소하고, 또 일본 본국에서 교원의 해외파견을 제한했다. 그 결과 조선총독부의 일본인 교원 수급 계획은 한계에 부딪혔고, 부족한 교원은 조선인으로 충당하였다. 1940년부터1942년까지 조선인 교원, 그중에서도 촉탁교원이 급증하는 것은 이 때문이었다. 그러나 조선총독부가 조선인의 ‘황민화’가 ‘일본인이 일본 정신을 부식’해야이룰 수 있다고 생각하는 한, 일본인 교원의 초빙은 멈출 수 있는 성질의 것이아니었다. 조선총독부는 조선인 교원의 증가를 문제시하면서, 일본 본국에 더많은 일본인 교원을 조선으로 보내달라고 계속해서 요구했다. 일본인 교원의 증원은 매우 큰 비용을 수반하는 것이었음에도 조선총독부는 황민화정책을 위해계속해서 일본인 교원을 충원할 수밖에 없었다. 이는 식민지의 모순이자 한계였다. 그리고 그 부담은 식민지 교육재정의 구조상 고스란히 조선인의 부담으로돌아오게 될 것이었다.

      • KCI등재
      • KCI등재

        신체제기 이광수 황민화론의 세 계기

        최주한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서강인문논총 Vol.0 No.50

        In Lee Kwang-su's Japanization theory on the new structure period, not only the logical rupture and discontinuation resulting from compulsion of power under the exhibition general mobilization system and its response, but also the paraphilic belief of Lee Kwang-su who self-named the emperor as a national name, is cleary inscribed. In this respect, it is close to discourse of symptoms that the subject have accomplished as a means of maintaining ontological consistency in the paraphilic way, rather than a transparent fact-based discourse based on spontaneity and consent. This thesis has attention to the external condition of an strengthened Japanization policy on the new structure period and a personal condition as prisoner on trial of Dongwoohwe case, and a sprit of self-sacrifice as internal motive, as part of an attempt to look at its symptomatic character. And based on this, I looked at a delusion of advocacy and denunciation on Lee Kwang-su's Japanophilism, further evoked the need to carefully consider the symptoms of the issue. 신체제기 이광수의 황민화론에는 전시총동원체제하 권력의 강제와 그 대응과정에서 빚어진 논리의 비약과 단절은 물론, 나아가 그러한 논리적 비약과 단절을 감수하면서까지 민족의 이름으로 천황주의자를 자처했던 이광수의 도착적 신념이 또렷이 각인되어 있다. 이 점에서 그것은 자발성과 동의에 기반한 투명한 사실 담론이라기보다 민족주의의 곤경에 맞닥뜨린 주체가 도착적인 방식으로나마 나름이 존재론적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방편으로 구축해낸 증상 담론에 가깝다. 본 논문은 그 증상적 성격을 응시하기 위한 시도의 일환으로 신체제기 강화된 황민화정책 및 동우회사건 미결수로서의 개인적 여건이라는 외적 조건과 더불어 그 이면의 내적 동기로서 자기희생 의식을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이광수의 친일에 대한 옹호론과 탄핵론의 미망을 조망하여 문제의 증상에 대해 충분히 숙고해야 할 필요성을 환기하였다.

      • KCI등재

        ‘애국백인일수’와 번역되는 ‘일본정신’

        권희주(Kwon, Hee-ju)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4 아시아문화연구 Vol.35 No.-

        본고는 ‘애국백인일수’의 성립과 수용을 통해 일본과 식민지 조선에서 이루어진 황민화 정책의 단면을 고찰하였다. ‘일본문학보국회’와 매일신문사가 협력하여 선정한 ‘애국백인일수’는 7만수라는 시가를 모집할 정도로 내지에서 이슈가 되었다. 중일전쟁으로 인한 자재통제가 계속되었던 시점에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출간되었던 ‘애국백인일수’는 상당한 판매고를 올린다. 그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는데 다양한 유포방법과 ‘숭고한 일본정신’을 구현해냈다는 이데올로기의 강제가 크게 작용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애국백인일수’는 교육현장뿐만 아니라 라디오와 같은 매체를 비롯하여 낭독회, 전람회 등 다양한 방법으로 유포되었다. 또한 ‘애국백인일수’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일본정신’은 바로 ‘무사도’와의 관계 설정으로 ‘애국카드경기 7칙’이라는 방법론으로 구현하여 되었다. 이러한 ‘애국백인일수’가 ‘경기방식’을 확립하게 된 것은 세 가지 요인을 들 수 있다. 첫째는 ‘읽어주는 사람’의 등장으로 여러 명이 일제히 맞붙을 수 있는 경기방식이 가능해졌고 둘째로는 ‘러일전쟁’의 영향으로 여성중심의 놀이에서 ‘전쟁’을 내포한 남성중심의 유희로 변환된 것이다. 셋째로는 실내유희로 각지에 ‘카드회’가 설립된 것을 들 수 있다. ‘애국백인일수’의 대중화 전략은 식민지 조선에도 유입되어 ‘국어보급’과 ‘황민화’의 도구로 이용되었다. 김억의 조선어 번역을 통해 시가 속에 내재된 ‘일본정신’을 알린 것이다. 그러나 옛 조선에서 즐기던 시패놀이의 유사성으로 방법론까지는 수용되었으나 ‘애국백인일수’시가 자체는 식민지 조선인들이 받아들이기에 이질적인 것으로 그 수용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이렇듯 ‘애국백인일수’는 일반 유희를 통한 황민화 교육의 대표적 사례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has the purpose in considering the section of the Japanization performed through formation and acceptance of “Aikyoku-Hyakunin-Isshu” in Japan and colonial Chosun. “Aikyoku-Hyakunin-Isshu” will be announced in November 1942 in poetry which Mainichi Newspapers and Nihon Bungaku Hokokukai cooperated, and was selected. “Aikyoku-Hyakunin-Isshu” which 70,000 invited was circulat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a public reading and an exhibition, including media like radio, in order to tell a home or not only schools but general people. It turns out the “the Japanese spirits” which can be called core of “Aikyoku-Hyakunin-Isshu” was just concretely embodied as a setup of a relation to “Bushido”. The “Aikyoku card game 7 rule” became a specimen of the “game” system by positive invitation of the Information Board. In addition “Aikyoku-Hyakunin-Isshu” is translated into four languages and distributed to each country. The poetry which transplanted “the heart of Yamato” was the meaning which eventually contribute to the construction of the Greater East Asia ultimately. Furthermore, A public reading and the exhibition was held in colonial Chosun. And Korean translation Aikyoku-Hyakunin Isshu which Kim Eok translated in 1944 was published and it was used for raising “Japanese spirit”. This can know the fact that Imperial Japan cultivated “Japanese spirits” not only through school education but therought everyday play.

      • KCI등재

        조선총독부 ‘綜合博物館’ 구상의 식민성

        김현정 서울역사편찬원 2016 서울과 역사 Vol.- No.94

        일제는 조선 강점 초기부터 역사와 박물관을 식민지 통치에 활용하고자 했고, 이에 조선총독부박물관을 개관했다. 그래서 조선총독부박물관은 일제강점기의 대표적인 식민문화기관으로 인식되어 왔으나, 만주사변 이후 급변한 식민지 조선에서의 박물관이 지니는 식민성을 제대로 보여주지는 못한다. 1930~40년대 일제의 조선지배 정책변화에 따른 새로운 식민성이 내포된 박물관은 시정25주년기념사업으로 등장한 綜合博物館이다. 종합박물관사업은 宇垣一成 총독부터南次郞 총독 시기에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어 심전개발운동, 황민화정책, 병참기지화 등 당시 조선총독부의 핵심정책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 종합박물관은 고고미술관, 과학관, 조선자원관으로 시작하여 미술전시관(조선총독부미술관)이 추가된 대규모 박물관계획이었다. 종합박물관은 기존 박물관의 확장이 아니라 만주사변, 조선공업화정책, 중일전쟁 등 당시 시대정황 속에서 등장한 시대의 산물이다. 조선총독부는 종합박물관을 통해서 ‘역사조선’, ‘자원조선’ 그리고 ‘과학조선’을 이루겠다며 식민통치 활용 방향을 드러냈다. 이는 박물관의 식민성이 역사에서 자원과 과학 영역으로 확대되었음을 보여준다. 전시체제기에도 종합박물관사업은 예산과 규모면에서 계속 확대되어 갔으며, 예산마련에 조선총독부 전체가 동원되었다. 이 사업에 대한 조선총독부의 의지를 엿볼 수 있다. 중일전쟁 이후 물자난으로 종합박물관사업이 중단되었으나, 미술전시관은 1939년 완공되어 ‘조선총독부미술관’이 되었다. 조선총독부미술관은 조선총독부 권력이 직접 주도하여 ‘조선색’이라는 전근대적인 식민지 조선의 이미지를 창출하고 유통시키는 조선미술전람회의 공간이다. 조선총독부미술관이가장 먼저 완공된 것은 조선미술전람회를 통한 ‘조선색’ 유통으로 천황제 이데올로기 강화 즉 황민화정책을 지원하기 위해서였다. 종합박물관사업은 중일전쟁을 기점으로 그 성격이 변화한다. 중일전쟁 이전까지 종합박물관의 중심 전시관은 역사유물을 전시하는 고고미술관이었다. 하지만 1939년 이후에는 과학관이 중시되었다. 이는전쟁확대로 조선의 자원 수급과 활용이 시급해지면서 새로운 식민성인 ‘과학성’이 중요해졌기 때문이다. 종합박물관사업 초기에는 당시조선공업화정책 영향으로 전시 분야가 조선의 자원과 산업으로 확대되었으나 여전히 역사유물 중심이었다. 하지만 본격적인 전시체제기들어서 군수공업 중심으로 사회가 움직이자 박물관도 시대 흐름에맞추어 천연자원의 수급과 활용을 위한 식민지적 ‘과학성’을 중시하게 되었다. 이상과 같이 종합박물관사업은 중일전쟁 이전까지는 기존 총독부박물관의 식민사관을 계승하고 당시 핵심정책인 천황제 이데올로기강화에 집중했다. 하지만 중일전쟁 이후 식민지인의 사상통제와 충량한 식민지인 양성 그리고 식민지 조선의 자원 활용이 시급해지면서 종합박물관은 천황제 이데올로기에 기반을 둔 ‘과학’으로 포장된새로운 식민성이 부각되었다. After the Manchurian incident in 1931, Imperial Japan(or Empire of Japan) reformed their ruling regime of Korean peninsula by the on-going military conflict in Manchuria. Followed up to this rapid reform, Imperial Japan conceptualized The General Museum of the Governor-General in the memorial of 25 years colonization of Korea(‘General Museum’ as belows). The General Museum was intended to integrate Governor-General Museum and Colonial Scientific Museum(恩賜記念科學館), and additionally open a section for Korean mineral exhibition(朝鮮資源館). These three division symbolized the historical review, scientific achievement and mineral development of colonized Korea. This colossal government plan could not be realized because of the lack of capitals during the Pacific war but the Gallery of the Chosen(朝鮮總督府美術館). The foundation of General Museum was initiated by Ugaki Kazushige, who promoted the balanced development of agriculture and industry(農工竝進) and the integration of Korea and Japan(內鮮融和). Following Ugaki, governor Minami Jiro actively indulged in Kominka policy of making koreans to imperial citizens(皇民化政策). Subsequently, the General Museum was deeply connected with these Governor-General's plans such as making imperial citizens, logistics basement of Korea and etc.. The emphasis on the scientific achievements of Korea on General Museum were also deeply related to the changed policy of Imperial Japan during 1930~40 years, coincided with there military expansion on East Asia. Furthermore, The new built Gallery of Korean Governor-general was concentrated to exhibit the 'Local color’(朝鮮色) and justify Tenno' regimen on Korean peninsula. Like this, the General Museum reflected the change of Imperial Japan tactics to Korea and East Asia during their war campaign to East Asia. Since Imperial Japan regarded Korea as a colony and logistic basement for expansion to East Asia, the meaning of General Museum should be changed from traditional historical exhibition to scientific education.

      • KCI등재

        관동주와 만주국에 있어서 국가신도 표상의 차이 : 관동신궁과 만주건국신묘 사례연구

        문혜진(Mun, Heajin)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2021 亞細亞硏究 Vol.64 No.3

        일제는 동아시아에 식민지와 점령지를 건설할 때마다 국가신도의 최고 제의기관인 관폐대사를 창건하였다. 일본제국 시기의 신도를 ‘국가신도’라고 칭하는데, 이는 일본 민중종교인 신사신도와 달리 천황가의 황실제사로 재편되어 천황 중심의 우주적 질서를 상징한다. 식민지 신사 중에서도 황실 조상신을 모신 신사를 관폐사라고 하며, 일제 식민지에서 천황의 지배를 정당화하는 국가 의례를 상징하였다. 일제의 제식민지 중 그 지배 형식에 있어 총독부가 아닌 토착 왕조의 통치자를 표면적으로 내세운 만주국에 있어서는 일본 천황의 종사인 국가신도가 다른 형태로 표상되었다. 만주국 건국 당시 만주국 내의 다섯 민족의 화합, 즉 국민통합의 기제로 인구의 과반수를 차지한 한족의 지배이데올로기이자 청나라의 지배이데올로기였던 ‘유교’가 채택되었다. 이로써 만주국 내에 방치되어 있던 문묘가 정비되고 석전제가 만주국 건국기념일제의 국가 의례가 되었다. 유교 중심의 민족협화가 만주국 초기에는 지배이데올로기로서 별 문제가 없었으나, 1930년대 이래 일제가 수반하는 전쟁이 심화되면서 전쟁의 원활한 물적·인적 자원의 동원을 위하여 천황에 대한 충성심이 전제되어야 했다. 이에 1935년 3월 제국일본 국회에서 국체명징결의안이 가결되면서 일제의 제식민지에 황민화 정책이 실시되기 시작하였다. 즉, 만주국에 있어서 유교의 왕도정치 중심의 민족협화와 국가신도의 황도 정치 중심의 황민화 간에 간극이 발생하였고, 이는 1937년 이래 황도 정치로 기울어지면서 1940년 일제 황조신 아마테라스를 만주국 조상신으로 모시는 건국신묘의 창건으로 귀결되었다. 건국신묘는 만주국 제사부에서 관장하는 만주국 국가제의였지만, 사실상 1940년 황기 2600년을 기념하여 일제의 동아시아 제식민지에 황조신 아마테라스를 봉제한 관폐대사의 완비, 즉 대동아공영권을 지향한 동아시아에 있어서 천황의 일대가족국가의 구축의 차원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일제의 점령지[조차지]였던 관동주와 일제의 괴뢰국가였던 만주국에 있어서 신사의 비교를 통해 일제의 관폐대사로서 특수한 만주국 건국신묘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Whenever Japan occupied colonies and territories in East Asia, she constructed Kanpeitaisha(官幣大社), the shrine receiving offerings from the Bureau of Divinities. Shinto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s called ‘State Shinto’; unlike Shinto that was a popular religion in Japan, it symbolized the emperor-centered cosmic order because it included ancestral rites of Japanese emperor family. Among Shinto shrines in Japanese colonies, the shrine that enshrined the ancestors of the imperial family was called Kanpeisha(官幣社), which symbolized the national ritual that justified the emperor’s rule in Japanese colonies. In Manchukuo, where the ruler of the indigenous dynasty was enthroned as a puppet ruler rather than using the governor-general, a shine of state shinto was different from others in Japanese colonies. Specifically, when Manchukuo was founded, ‘Confucianism’, the ruling ideology of the Qing Dynasty and the Han, which accounted for a majority of the population, was adopted as a ideology for the unity of the five ethnic groups in Manchukuo. As a result, the Confucian shrines that had been neglected in Manchukuo were repaired, and the memorial service for Confucius became the national rite of the Manchukuo National Foundation Day. In the early days of Manchukuo, the unity of the five ethnic groups under Confucian was not a problem as a ruling ideology. However, loyalty to the Japanese emperor had been indispensable for the smooth mobilization of material and human resources since the outbreak of war in 1930s. In March 1935, the resolution of clarifying national polity(國體明徵案) was passed in the Imperial Japanese National Assembly, and the policy of becoming Japanese began to be implemented in the Japanese colonies. As a result, in Manchukuo, a gap between the unity of the five ethnic groups under Confucian and assimilation under state shinto occurred. After 1937, the policy of assimilation became dominant in Japanese colonies including Manchukuo, which led to construction of the shrine for foundation god. However, it enshrined Amateras, the foundation god of Japanese empire as the foundation god of Manchukuo. The shrine for foundation god is regarded as the national ritual of Manchukuo because of being belonged to the Manchukuo’s Bureau of Divinities, but its construction should be considered in the aspect that Kanpeitaisha in all Japanese colonies of East Asia were constructed in honor of 2600th Japanese foundation and it signified Japanese emperor’s single family country in East Asia. Therefore, this paper will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hrine for foundation god, comparing shinto shrines in Kwantung Leased Territory with those in Manchuku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