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중 소비자의 한국화장품 구매실태와 색채이미지 비교분석

        김경화 ( Kim Kyunghwa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7 한국디자인포럼 Vol.57 No.-

        연구배경 본 연구는 한·중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한국 화장품 디자인에 대한 색채 선호도와 색채이미지를 파악하기 위해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최종 186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설문조사를 통해 이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 첫째, 화장품 구매실태를 분석한 결과에서 화장품 디자인을 볼 때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은 한국대학생들에 비해 중국대학생들이 브랜드에 대한 관심이 높게 나타났지만 한·중 대학생들 모두 화장품 색채와 브랜드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화장품을 구입할 때 가장 고려하는 사항은 한중 대학생들이 공통적으로 기능과 품질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았다. 반면, 화장품 포장지나 용기의 선호도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에서 중국인이 화장품 포장지나 용기 선호도의 영향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화장품 디자인의 색채가 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중국인이 한국인에 비해 화장품 용기나 디자인의 색채가 상품 구매 결정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화장품 포장의 색채와 브랜드 적합성을 파악한 결과에서 한국화장품의 포장색채와 브랜드 적합성에 대해 한중 대학생들이 모두 포장색채와 브랜드 적합성이 일치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결론 그리고 한국화장품의 감성이미지를 분석한 결과에서 한·중 대학생 모두 감각적인 이미지에 대한 인식을 가장 높게 하였다. 따라서 국내시장뿐만 아니라 중국시장을 진출하려는 화장품 기업들은 기능과 품질뿐만 아니라 기업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색채마케팅을 통한 감성마케팅 전략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This research made an attempt to figure out the color preference and color image on Korean cosmetics design which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recognize. Methods For the progress of research, 186 persons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finally,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Result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ctual situation of cosmetics purchase, the first thing that stands out when looking at cosmetics design is that Chinese college students are more interested in brands than Korean college students, but both college and university students are interested in cosmetics color and brand. Secondly, in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the design color of cosmetics on the purchase, it appeared that the vessel of cosmetics or the color of design cast a bigger effect on the decision of the purchase of goods for Chinese than for Koreans. Thirdly, in the result which they grasped the color of wrapping and the suitability of the brand of Korean cosmetics, it was figured out that all Korean and Chinese collegians recognized that the wrapping color and the brand suitability are conformed with regarding the wrapping color and brand suitability of Korean cosmetics. Conclusion And in the result of analysis of emotional image of Korean cosmetics, all Korean and Chinese collegians recognized the sensitive image the highest. Therefore, the cosmetics companies which intend to launch both in domestic market and Chinese market will have to build up an emotional marketing strategy to reflect the function and qual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any.

      • KCI등재

        노화 및 주름개선화장품 선호브랜드의 성분현황과 만족도

        정명아(Myung A Jeong),모정희(Jeong Hee Mo),김한석(Han Seok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1

        생활수준의 향상, 소득수준 증가, 여성들의 사회진출 증가로 미적욕구의 표출의 하나인 화장품 역시 많은 발전을 거듭해왔다. 화장품에 대한 기대심리가 높아지고 보습과 보호의 단순개념에서 다기능을 포함한 효능과 효과를 중요시하는 기능성 화장품의 수요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피부 관리실에서 노화 및 주름 개선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화장품의 성분현황과 만족도를 조사하여 사용성분의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광주지역 3인 이상 근무하는 피부 관리실의 피부관리사를 대상으로 연구방법은 1차 설문지와를 통하여노화 및 주름개선을 목적으로 관리실에서 사용되고 있는 화장품 브랜드의 선호도 및 제품선택 시 중점요소와 효과를 조사한다. 둘째, 설문에서 밝혀진 브랜드 선호도를 조사한 후 상위 10개의 제품 중 에센스, 크림, 팩 제품의 전 성분 현황과 노화 및 주름개선 화장품에 사용되고 있는 유효성분과 추출물, 방부제, 계면활성제, 보습제 및 컨디셔닝제, 오일 또는 알콜류, 기타 등으로 구분하여 사용되고 있는 성분을 조사하고자 한다. 셋째, 노화 및 주름개선 화장품의 성분과 지식에 따른 관리 만족도와의 관련성을 밝히고자 한다. 수집된 자료는 윈도우용 SPSS 11.0 통계 패키지를 이용해서 기술 통계 분석, 교차분석(cross-tabulation analy sis), T-TEST, 다중회귀분석을 실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화 및 주름개선 화장품을 선택할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로 화장품의 사용감이 26명(42.6%), 유효성분은 24명(39.3%)으로 나타났고 효과가 나타나는 시기는 또 4개월에서 6개월 사이가 26명(44.1%)로 나타났다. 둘째, 노화 및 주름개선을 위한 관리용 화장품의 선호 브랜드를 조사해본 결과 우선순위 10개 브랜드의 성분을 조사한 결과 에센스 21.7 ± 7.9개, 크림은 24.3 ± 8.9, 팩은 23.7 ± 10.3개의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효성분과 추출물은 브랜드별로 다양하게 나타났고 방부제는 메틸파라벤(Methyl Paraben), 계면활성제는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보습제와 컨디셔닝제는 글리세린(Glycerine), 유연화제로는 싸이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이 화장품에 가장 많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타성분으로는 오일이나 알콜류로는 비즈왁스(Beeswax), 실리콘유에는 디메치콘(Dimethicone), 점증제로는 카보머(Carbomer), 금속이온 봉쇄제로는 디소디움이디티에이(Disodium EDTA), 산화방지제로는 메에이치티(BHT)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음을 보였다. 다섯째, 노화 및 주름개선 관리를 위한 화장품의 만족도는 피부 관리 화장품에 대한 이해도(β=.013, t=.079, p>.05)에는 유의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피부 관리 화장품 성분에 대한 지식(β=.318, t=2.002, p<.01)과 만족도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노화 주름관리에 사용되는 화장품들은 특성상 보습제가 포함되어있는 화장품을 선택, 사용되고 있었으며 성분의 지식이나 이해도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s living quality is improving, people earn more income and more women work outside, cosmetics has rapidly developed for expression of their aesthetic desires. Expectancy on cosmetics becomes higher, and the demand of cosmetics is increasing with a focus on its efficacy and effect instead of simple concepts such as refreshing and protec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se components of cosmetics which is used against ageing and wrinkles in skin care shops and satisfaction in it and present basic data on components used. Therefore this study analysed components of cosmetics used for anti-aging and anti-wrinkles in skin care shops and satisfaction, aiming to present basic data on components us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kin care experts who are working for skin care shops with more than three employees in Gwangju. For the purpose, the study analysed preference of cosmetic brands used for anti-aging and anti-wrinkles in skin care shops and considerations in selection of cosmetics and effects using a questionnaire. Second, the study examined preferences of cosmetic brands revealed in the questionnaire and analysed components of essence, cream, and pack of top ten brands, and effective components, extracts, preservatives, surfactant, humectant, conditioner, oil, alcohol and others used for anti-ageing and anti-wrinkles. Third, the study identified the relations between components of anti-aging and anti-wrinkles, and care satisfaction. The data collected had the following analyses using SPSS 11.0: a descriptive statistics, a cross-tabulation analysis, a t-test and a multi-regression analysis and the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26 respondents(42.6%) considered texture of cosmetics important in selecting cosmetics and 24 ones (39.3%) considered effective components important. 26 subjects (44.1%) answered that the period that effectiveness appears is between four and six months. Second, as a result of surveying components of 10 preferred cosmetic brands of anti-ageing and wrinkle-free cosmetics, it was discovered that essence included components of 21.7 ± 7.9, cream included those of 24.3 ± 8.9, and pack included those of 23.7 ± 10.3. Third, each brand had different effective components and extracts, and mainly used methyl paraben as a preservative, glycery istearate as a surface-active agent, glycerine as a humectan and conditioning agent, and cyclopentasiloxane as a softening agent Fourth, it mainly used other components as follows: bees wax for oil and alcohol, dimethicone for silicon oil, and carbom as a thickener. disodium EDTA for sequestering agent, and BHT for antioxidant. Fifth, it was discovered that satisfaction in anti-ageing and wrinkle-free effec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understanding of skin care cosmetics (β=.013, t=.079, p>.05), but i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knowledge on components of skin care cosmetics (β=.318, t=2.002, p<.01). In conclusion, it was discovered that cosmetics with humectant was preferred for anti-ageing and wrinkle-free effect and the more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n components they had, the higher satisfaction they had in cosmetics.

      • KCI등재후보

        한국 화장품의 중국시장 진출방안에 관한 연구

        김순자(Kim, Soon-ja),장어성(Zhang, Yuxing),맹해양(Meng, haiyang),이유빈(Lee, Yu-bi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3 문화산업연구 Vol.13 No.4

        중국의 화장품 시장은 2012년 매출액 약 36조원으로 미국에 이어 세계 2위의 화장품 소비대국으로 부상하였으며, 부동산과 통신, 자동차, 관광과 함께 중국 내수시장의 5대 소비산업이다. 그러나 한국화장품의 대중국 수출은 2.2억 달러로 시장점유율은 1%내외로 저조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년 평균 16%우의 성장률을 달성하고 있는 중국 화장품시장에서의 한국 화장품의 진출방안을 모색하는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화장품 산업과 관련된 국내 · 외 논문, 통계자료, 서적, 보고서 등을 중심으로 한 문헌연구와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 화장품은 중국의 지역별, 내륙간, 기후별, 교육수준별 등 다양한 격차, 획일화된 마케팅전략, 중국 파트너에 대한 협력부족, 히트제품의 불법 복제 판매, 중국 시장 전문가 부족 등으로 중국시장 진출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한국 화장품이 중국시장에서 시장점유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브랜드 이미지의 강화, 중국어 브랜드 네이밍의 개발, SNS 강화 및 체험마케팅 전략 추진, 화장품 축제 및 한국우수상품전시회개최, 중국 온라인 시장 활용, 중국 수입절차의 철저한 준비, 중국 전문인력의 육성 등이 필요하다. China is still a developing country with a big gaps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Total annual sales amount of beauty/cosmetics business has passed over about 36 trillion Won in China in the year 2012, and now is the second largest cosmetics consuming country next to U.S.A. The beauty/cosmetics industry of China is one of 5 biggest consuming industries of local Chinese market together with real estate, communication, automotive, and tourism industries. In such a Chinese cosmetics market, Korea has recorded about 220 billion Won as for the export amount to China. Korean cosmetics is holding as low market share as 1%by Amore Pacific and 0.4%by LG Life &Health compared to market shares of global business brands such as P&G(15.8%), Loreal (11%), Shiseido (5.4%), etc. In order to expand the advancing of Korean cosmetics into Chinese market, therefore, the research and analysis of such issues should be carried out immediately than ever before.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set up the advancing plan of Korean cosmetics into the China market. In order to achieve the this purpose, literature research and data analysis have been processed concentrating on the domestic/foreign literature such as papers, statistics data, books, reports, and internet sites related to the cosmetics industry. However, the advance of Korean cosmetics into Chinese cosmetics market has attained low performance as there are variety of differences from each district, inland area, weather, and education level. Also, Korean cosmetics companies could not advance directly into the Chinese market as of uniform marketing strategy and lack of cooperation with the Chinese partners, as well as lack of long-term management goals. The price and distribution net-work have been collapsed due to the short-term marketing, depending only on the local agents, and the illegal reproduction and sales of hot selling items that could not be blocked up. There also has been cutthroat competition, like biting up own flesh, because of no long-term strategy and the failure to set up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to exchange the business and market information among Korean companies, as there have been no experts cultivated for Chinese market. For Korean cosmetics to increase the market share in Chinese cosmetics marke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brand image, utilize the advertisement media, increase the use of SNS, develop the Chinese brand naming for differentiation, adopt an experience marketing strategy, open a cosmetics festival and exhibition of superior Korean products, sub-divide the market by each locality and attack the niche market, develop a new distribution channel, utilize the Chinese on-line market, prepare thoroughly in advance, and bring up professionals for Chinese market. 중국의 화장품 시장은 2012년 매출액 약 36조원으로 미국에 이어 세계 2위의 화장품 소비대국으로 부상하였으며, 부동산과 통신, 자동차, 관광과 함께 중국 내수시장의 5대 소비산업이다. 그러나 한국화장품의 대중국 수출은 2.2억 달러로 시장점유율은 1%내외로 저조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년 평균 16%우의 성장률을 달성하고 있는 중국 화장품시장에서의 한국 화장품의 진출방안을 모색하는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화장품 산업과 관련된 국내 · 외 논문, 통계자료, 서적, 보고서 등을 중심으로 한 문헌연구와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 화장품은 중국의 지역별, 내륙간, 기후별, 교육수준별 등 다양한 격차, 획일화된 마케팅전략, 중국 파트너에 대한 협력부족, 히트제품의 불법 복제 판매, 중국 시장 전문가 부족 등으로 중국시장 진출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한국 화장품이 중국시장에서 시장점유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브랜드 이미지의 강화, 중국어 브랜드 네이밍의 개발, SNS 강화 및 체험마케팅 전략 추진, 화장품 축제 및 한국우수상품전시회개최, 중국 온라인 시장 활용, 중국 수입절차의 철저한 준비, 중국 전문인력의 육성 등이 필요하다. China is still a developing country with a big gaps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Total annual sales amount of beauty/cosmetics business has passed over about 36 trillion Won in China in the year 2012, and now is the second largest cosmetics consuming country next to U.S.A. The beauty/cosmetics industry of China is one of 5 biggest consuming industries of local Chinese market together with real estate, communication, automotive, and tourism industries. In such a Chinese cosmetics market, Korea has recorded about 220 billion Won as for the export amount to China. Korean cosmetics is holding as low market share as 1%by Amore Pacific and 0.4%by LG Life &Health compared to market shares of global business brands such as P&G(15.8%), Loreal (11%), Shiseido (5.4%), etc. In order to expand the advancing of Korean cosmetics into Chinese market, therefore, the research and analysis of such issues should be carried out immediately than ever before.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set up the advancing plan of Korean cosmetics into the China market. In order to achieve the this purpose, literature research and data analysis have been processed concentrating on the domestic/foreign literature such as papers, statistics data, books, reports, and internet sites related to the cosmetics industry. However, the advance of Korean cosmetics into Chinese cosmetics market has attained low performance as there are variety of differences from each district, inland area, weather, and education level. Also, Korean cosmetics companies could not advance directly into the Chinese market as of uniform marketing strategy and lack of cooperation with the Chinese partners, as well as lack of long-term management goals. The price and distribution net-work have been collapsed due to the short-term marketing, depending only on the local agents, and the illegal reproduction and sales of hot selling items that could not be blocked up. There also has been cutthroat competition, like biting up own flesh, because of no long-term strategy and the failure to set up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to exchange the business and market information among Korean companies, as there have been no experts cultivated for Chinese market. For Korean cosmetics to increase the market share in Chinese cosmetics marke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brand image, utilize the advertisement media, increase the use of SNS, develop the Chinese brand naming for differentiation, adopt an experience marketing strategy, open a cosmetics festival and exhibition of superior Korean products, sub-divide the market by each locality and attack the niche market, develop a new distribution channel, utilize the Chinese on-line market, prepare thoroughly in advance, and bring up professionals for Chinese market.

      • KCI등재

        화장품 펌프 용기 특허기술 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

        임희숙,신재욱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20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21 No.65

        화장품의 사용이 일상화되면서 편리성이 높은 펌프 용기에 대한 수요도 높아지고 있다. 펌프의 원리는 기초 화장품 뿐 만 아니라 색조 화장품 등 여러 제품 에 활용되고 있으며, 기능성이 요구되는 제품에도 펌 프 용기는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화장품 펌프 용기의 특허 기술 분석을 통해 화장품 펌프 용기 기 술의 동향과 기술의 흐름을 살펴보았다. 화장품 펌프 용기 특허기술 분석을 위해 KIPRIS를 사용해 데이터 베이스 수집하였다. 2020년 10월 15일 기준으로 국 내에 출원된 특허와 실용신안권을 대상으로 하였다. 검색 식을 통해 추출된 데이터는 노이즈를 제거하고 유효특허 490건을 분석하여 기술을 분류하고 화장품 펌프 용기의 기술 특허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 과 화장품 펌프 용기 기술 출원의 증가 추이와 주요 특허 출원인 분석을 통해 기술 개발의 흐름을 알 수 있었다. 화장품 펌프 용기 기술은 총 6가지의 기술로 분류할 수 있었고 모든 기술 분야에서 개발이 이루어 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능성 화장품 수요 증가와 화장품 용기 포장재 규제로 관련 기술 개발의 증가를 확인하였고 이에 특허 동향 분석을 통한 전략 개발이 요구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화장품 펌프 용기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해 본다. As the use of cosmetics becomes more common, the demand for pump containers with high convenience is also increasing. The principle of the pump is used not only in basic cosmetics but also in various products such as color cosmetics, and the pump container plays a large role in products requiring functionality. Accordingly, the trend of cosmetic pump container technology and the flow of technology were examined through patent technology analysis of cosmetic pump container. A database was collected using KIPRIS for the analysis of patent technology for cosmetic pump containers. As of October 15, 2020, patents and utility model rights applied in Korea were targeted. The data extracted through the search formula removed noise, analyzed 490 valid patents, classified the technology, and analyzed the technology patent trends of cosmetic pump container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trend of technology development could be seen through the trend of increase in cosmetic pump container technology applications and analysis of major patent applicants. The cosmetic pump container technology could be classified into a total of six technologies, and it was confirmed that development is being made in all technical fields. The increase in demand for functional cosmetics and the regulation of cosmetic container and packaging materials confirmed the increase in related technology development, and it was found that strategy development through patent trend analysis was required.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cosmetic pump container development.

      • KCI등재

        남성 화장품 용기 구성 요소 중 소비자가 선호하는 요인에 관한 분석-로드샵을 중심으로-

        이태영,정형원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8 조형미디어학 Vol.21 No.1

        Not until a few years ago, applying makeup for men was hardly conceivable. The men’s cosmetics market keeps on growing as they want to express themselves with several makeup and skincare products. Among those who think that good appearance is one of the factors leading to success, a number of young men have emerged as a new consumer segment in the beauty cosmetics sector. The range of cosmetic for men is expanding into various categories including skincare and color makeups. The Korean men's cosmetics market is worth 1.2 trillion won, and its growth rate is rising to around 10% per year. The shopper of male cosmetics is men who carefully examines functions and ingredients and then purchases them whereas women previously choose the cosmetic for men. The younger generation respond that they purchase the cosmetics by themselves(make the purchase of cosmetics). It is evident that the purchasers of men’s cosmetics move from woman to man. Focused on the domestic cosmetics brand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functions of the most popular cosmetic containers by classifying men's cosmetics on the market by brands and functions. As the purchase subject of male cosmetics shifts from woman to man, it is important to find the differences between men's preferred cosmetics and women's one to develop new functional containers and direction of marketing strategy based on men’s preferences.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남자가 색조화장을 하는 것은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었다. 그러나 자신의 피부를 관리하고 자신을 표현하기 위해 화장을 하는 그루밍족이 등장하고 자신을 표현하고자 하는 남자들의 욕구가 다양해지면서 남성화장품 시장도 나날이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외모를 잘 갖춰야 성공할 수 있다는 인식이 자리를 잡으면서 남성이 미용 뷰티 분야의 새로운 소비 계층으로 부상한 것이다. 스킨케어 제품 뿐 만 아니라 색조 화장까지 다양한 제품군으로 소비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한국 남성화장품 시장은 1조 2,000억 원 규모로 성장률도 매년 10% 안팎으로 상승하고 있다. 과거 남성화장품 구매의 주체가 여성이었다면 이제는 남성화장품의 구매 주체가 남성 본인이 구매의 주체가 되어 기능과 성분을 꼼꼼히 따져보고 구매하고 있다. 젊은 세대일수록 화장품 구매를 본인이 구매한다고 답하며 남성화장품의 구매자가 여성에서 남성으로 옮겨가는 뚜렷한 현상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로드샵의 국내 화장품 브랜드를 중심으로 현재 출시 중인 남성화장품을 브랜드별로 정리하고 화장품 기능별로 분류하여 가장 많이 출시되고 있는 화장품 용기 기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남성화장품 구매의 주체가 남성으로 옮겨가면서 여성이 선호하는 제품과는 다른 남성이 선호하는 제품을 파악하여 개발하고, 어떤 기능의 화장품용기를 선호하는지 조사하여 신기능 화장품 용기 개발과 마케팅 전략 수립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A Study on the Consumption Propensity of Men's Color Cosmetics

        Jin Jung Ahn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20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18 No.4

        목적: 색조화장품의 평생 사용이 예상됨에 따라서 남성 색조화장품의 연령별 구매 특성과 사용 실태를 조사하였다. 방법: 본 연구 의 설문조사는 카이제곱검정(χ2)을 실시, 유의수준 5%에서 검증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결 과: 색조화장품의 사용 이유는 30-40대는 '자기관리'적 측면에 의미를 두는 반면에 20대는 '자기만족과 자신감'에 의미를 두었다. 가 장 관심 있는 색조화장품은 피부 톤에 관한 제품들이었으며, 화장품의 정보를 얻는 곳은 인터넷과 모바일이지만 실제 구매를 할 때 는 각 연령대 모두 화장품 매장을 이용하는 남성들이 더 많았다. 결론: 전략적으로 남성화장품의 개발을 위해 연령별에 맞춘 상품구 성, 맞춤형 색조화장품의 상품 개발, 남성전용 피부 톤을 보완해주는 베이스 화장품 개발, 판매직원들의 정확한 사용안내 등의 마케 팅 전략이 이어져야 한다. Purpose: Recently,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est among men in using color cosmetics to manage their appearance and/or improve their self-confidence. Thu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urchasing characteristics and use of men's color cosmetics according to age.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by using a chi-square test, with a significance level of 5%, while the SPSSWIN 21.0 program was used for statistical processing. Results: The reason for the use of color cosmetics is that men in their 30s and 40s tend to place greater meaning on “selfmanagement,” while those in their 20s generally emphasize “self-satisfaction and confidence.” In this study, the subjects of focus included products related to skin tone and how to obtain information on such products (e.g., through the Internet or mobile phones). However, when they actually made purchases, all of the age groups used cosmetics stores. As for specific products, 37.6% purchased sunscreen, 24.7% purchased BB/CC cream and lip balm, 3.9% purchased eyebrow pencils, and 3.7% purchased cushion-type products.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sunscreen and skin-correcting products, i.e., functional cosmetics, had the largest sales volume across all age groups. Moreover, product composition should be tailored to each age group, while product development of customized color cosmetics, the development of base cosmetics that complement men's skin tone, and accurate sales and marketing strategies, such as usage guidance, should be followed.

      • KCI등재

        기초화장품 구매행태가 맞춤형화장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연희,이승아,박찬주,곽승준 한국유통물류정책학회 2022 유통물류연구 Vol.9 No.4

        개인의 특성과 취향을 존중하고 반영하는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 산업에 맞추어 맞춤형화장품이 합법화 되었다. 개인의 피부와 취향에 맞는 소비자 중심의 화장품 조제가 가능한 것이다. 기초화장품의 선택기준은 개인의 피부타입(Type), 효능⋅효과의 정도, 연령, 가격, 브랜드(Brand), 품질, 주변권유 및 사용 후기 등이며 기초화장품 이용 시에는 주변의 권유를 받거나, 사용 중 불편사항에 대한 화장품제조 및 책임판매회사에 문의하거나 식품의약품안전처 홈페이지(Homepage)를 통한 정보를 이용하며 견본품(Sample)을 사용해보고, 제조사의 임상자료를 확인하기도 한다. 자기효능감의 정도는 화장품 사용에 있어서 관련 성분이나 기능을 설명하고 용어를 이해하며 관련 정보수집의 능숙함의 정도이다. 선행조사들에서 맞춤형화장품에 가장 적합한 제품이 기초화장품으로 조사된 것을 바탕으로 맞춤형화장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기초화장품 영향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기초화장품 구매행태를 구매형태(선택기준)와 이용실태(이용기준)의 하위요인으로 나누고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Data)는 2021년 9월 13일부터 10월 19일까지 모바일을 통해 부산, 경남, 경북 소재 6개 대학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여 총200부를 배포하여 유효 응답 193부를 분석 연구하였고 분석 방법은 실증분석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타당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기초화장품 구매행태 중 하위요인인 선택기준 즉, 구매형태가 자기효능감, 맞춤형화장품 구매의도에 모두 작용하고 자기효능감도 기초화장품 구매형태와 맞춤형화장품 구매의도와의 관계에서만 매개효과로 작용하였다. 본 연구가 맞춤형화장품 품목의 선정, 판매확대를 위한 전략 개발, 사용자 범위의 확대 등 맞춤형화장품 산업 활성화의 실질적인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A Study of Korea-ASEAN Cosmetics Market

        배홍균(Hongkyun Bae),강신원(Shinwon Kang)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2022 아태연구 Vol.29 No.1

        한‧ASEAN 화장품시장은 수출확대가 높은 잠재력 높은 성장사업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중화권 수출비중이 높은 현 상황하에서 시장다변화 측면에서 매우 유망한 지역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에, ASEAN시장의 성장과 함께 한국 화장품시장과 아세안 각국의 화장품시장의 현황을 살펴보고, 한‧ASEAN 화장품의 품목별, 국가별 분석을 하고자 한다. 즉, 한‧ASEAN 화장품시장에 있어 상호 경쟁력을 살펴보고, 주요 화장품 상품별 무역결합도를 분석해 향후 한‧ASEAN 화장품산업의 현실을 직시한 경쟁력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한국은 ASEAN 화장품산업에 있어 ASEAN의 장점을 인식하고 한국이 ASEAN 화장품시장방안 대책을 통한 미래지향적인 한‧ASEAN 화장품산업으로 발전하고자 한다. 또한, 이 논문은 한-아세안 화장품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우리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과제와 상대적 수출집중도와 지속적인 화장품 시장 성장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Korea-ASEAN cosmetics market is shown the growing business with high potential of export expansion and a very promising area in terms of market diversification under the situation of high proportion of exports to China. Hence, this research will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cosmetics market in Korea, ASEAN countries along with the its market growth and analyze Korea-ASEAN cosmetics by item and by nation. In other words, it will suggest competitive alternative reflecting the future reality of the cosmetics industry by analyzing main cosmetic products’ trade intensity and the competitiveness of Korea-ASEAN cosmetics market. Korea recognizes ASEAN’s merits in the cosmetics industry and is trying to improve into future-oriented Korea·ASEAN cosmetics industry through ASEAN cosmetics market measures. This paper understands the importance of Korea-ASEAN cosmetics and presents policy implications about relative trade intensity and continuous growth in the cosmetics market along with the tasks we need to do.

      • KCI등재

        맞춤형화장품의 인식에 따른 화장품 선호도 연구

        이미선(Lee, Mi Sun),송태임(Song, Tae 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1

        본 연구는 2020년 2월 22일 처음 도입되는 국가공인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자격증이 신설되면서 맞춤형 화장품의 인식에 따른 화장품 선호도를 연구하고자 시도되었다. 조사대상자는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20~50대 이상의 일반인 여성 26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조사하였으며, 그중 채택된 234명이 응답한 자료를 통해 맞춤형화장품의 인식과 화장품의 선호도 및 화장품유형, 서비스 정도, 개선점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통한 맞춤형화장품의 인식에 따른 화장품 선호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맞춤형화장품 인지여부는 ‘들어본 적 있다’ 189명(80.8%), 맞춤형화장품과 일반화장품의 차이점 인식은 ‘인식하고 있다’로 응답한 사람이 178명(76.1%)으로 조사되었으며, 맞춤형화장품의 위험요소는 ‘가격이 비쌀 것 같다’가 103명(44.0%)으로 조사되었으며, 일반화장품 대비 맞춤형화장품의 피부개선효과 인식은 ‘그렇다’가 155명(66.2%), 맞춤형화장품의 적절한 유통기한은 ‘3개월-6개월 미만’이 적절하다고 응답한 인원이 102명(43.6%)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직까지 맞춤형화장품이 대중성이 떨어지기 때문으로 생각되며 판매처, 가격, 신뢰도 부분에서의 이유로 인지도가 떨어졌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둘째, 맞춤형화장품의 인식에 따른 제품 선호도는 ‘기초라인’ 117명(50.0%), ‘기능성라인’ 79명(33.8%) 으로 나타났으며, 맞춤형화장품과 일반화장품의 차이점에 대한 인식, 차이점을 알지 못하는 이유, 위험요소에 따른 세 가지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화장품의 구매 시 피부상태 개선의 목적과 피부의 적합성이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할 요인 때문으로 생각된다. 셋째, 맞춤형화장품의 인식에 따라 선호하는 피부화장품의 유형은 ‘에센스와 크림’이 142명(60.7%)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인지경로, 이미지, 피부개선효과 인식의 세 가지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맞춤형화장품의 구매 시 기능성화장품의 선호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으며, 기능성화장품의 이미지가 의약품의 이미지가 강하기 때문일 것이라 판단된다. 때문에 품질적인 면의 차별화와 피부타입 및 피부상태를 고려하여 제품개발에 힘써야 할 것이라 사료된다. 넷째, 맞춤형화장품 인지여부와, 맞춤형 화장품과 일반화장품의 차이점 인식에서는 ‘환불 관련 서비스’가 각각 71명(30.3%), 60명(33.7%)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인식에 따른 맞춤형화장품의 서비스에 대해서는 맞춤형화장품 인지여부와 맞춤형/일반화장품 차이점 인식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맞춤형화장품의 체계화와 인지도가 높지 않기 때문일 것이라 예상하며, 사용 시 피부에 미치는 부작용을 우려하여 환불관련 서비스에 대한 사항과 사후관리 서비스의 궁금증이 있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된다. 다섯째, 맞춤형화장품의 인식에 따른 개선점은 ‘구입의 편리성’이 66명(28.2%)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맞춤형화장품의 인식에 따라서는 맞춤형화장품 인지 여부, 맞춤형화장품과 일반화장품의 차이점 인식, 맞춤형 화장품의 위험요소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맞춤형화장품의 인지도가 아직까지는 낮은 편이지만 맞춤화장품의 이미지로 인해 화장품 가격이 비쌀 것 같다는 소비자들의 막연한 생각과 화장품 구입 장소의 미흡한 점이 이유일 것이라 생각된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preferences of cosmetic products according to the awareness of customized cosmetics with the new national certification for producer of customized cosmetics established on Feb 22, 2020. This study surveyed 260 women in their 20~50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to investigate awareness, preference, type, degree of service, and improvements of customized cosmetics through the selected data responded by 234 people and to investigate preferences of cosmetic products according to the awareness of customized cosmetic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r awareness of customized cosmetics, 189 people(80.8%) responded ‘I have heard’ of customized cosmetics, 178 people(76.1%) responded ‘I am aware of it’ for the difference between customized cosmetics and general cosmetics, 103 people(44.0%) responded ‘I think it would be expensive’ for risk factor of customized cosmetics, 155 people(66.2%) responded ‘yes’ for awareness of skin improvement effects of customized cosmetics compare to general cosmetics, and 102 people(43.6%) responded that ‘3-6 months’ would be appropriate for expiration date of customized cosmetic products. It is considered that it is because customized cosmetics lack popular appeal and because they have low recognition in distributor, price, and reliability. Secondly, for product preference according to the awareness of customized cosmetics, 117 (50.0%)people responded ‘basic skin care products’ and 79 people (33.8%) responded ‘functional skin care products,’ and awareness of difference between customized cosmetics and general cosmetics, the reason for not recognizing the difference, and risk factor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t is considered that the intention to improve skin condition and appropriateness for skin are the factors that should be the first priorities when purchasing cosmetics. Thirdly, for the type of cosmetics that respondents preferred according the awareness of customized cosmetics, ‘essence and cream’ was the highest with 142 people(60.7%), and recognition path, image, and awareness of skin improvement effec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is signifies that preference of functional cosmetics is high when purchasing customized cosmetics, and it is considered to be because functional cosmetics have a strong image of medical supplie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y need to put effort in developing products by considering quality differentiation, skin type, and skin condition. Fourthly, for awareness of customized cosmetic products and awareness of difference between customized cosmetics and general cosmetics, ‘refundrelated service’ was the highest of 71 people(30.3%) and 60 people(33.7%), and for service of customized cosmetics according to awareness, awareness of customized cosmetics and awareness of difference between customized and general cosmetic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t is expected to be because systematization and awareness of customized cosmetics are not high, and because there are questions about refund-related service and follow-up service for fear of side effects on the skin after use. Fifthly, ‘convenience of purchase’ of 66 people (28.2%) was the highest for improvements according to the awareness of customized cosmetics, and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wareness of customized cosmetics, awareness of difference between customized cosmetics and general cosmetics, and risk factors of customized cosmetics. It is considered to be because of a vague notion of consumers that customized cosmetics are expensive because of the image even though the awareness of customized cosmetics is still low and because of unsatisfactory purchasing place of cosmetics.

      • KCI등재후보

        업사이클링 화장품에 대한 대학생 소비자의 태도 및 구매행동

        강명주,송연재 한국화장품미용학회 2019 한국화장품미용학회지 Vol.9 No.3

        In modern society, industrialization is accelerating, commodities are mass-produced, and they are benefiting from abundant supplies, while environmental pollution is aggravated by various industrial wastes and wastes. This has resulted in efforts for eco-friendly design, green design, and eco-design, and has led to concerns about sustainable values, resulting in a new category called upcycl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environmental awareness of female college students on purchasing behavior of up-cycling cosmetics. In conclusio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should be systematically implemented in order to raise the actual environmentally friendly behavior level according to consumers' environmental problems. This has been mentioned continuously in previous studies, and various programs should be supported so that consumers' environmental awareness can lead to environmentally friendly behavior. There is also a need for more active promotion of environmentally friendly activities of cosmetic companies. While eco-friendly behavior of companies contributes to ensuring the sustainability of society, the low level of consumer awareness is that environmentally-friendly activities can negatively impact society's sustainability and expansion. In addition, while the value of consumers who value the environ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the formed purchase intention does not affect the actual purchase. In this way, in order to induce effective purchase through eco-friendly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meet basic product attributes such as quality, safety, and price more than other competing products rather than just ‘eco-friendliness' and ‘up-cycle'. 본 연구는 여대생 소비자의 환경문제의 의식정도에 따라 업사이클링 화장품 구매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고 소비자의 환경문제의 의식 정도가 실제 화장품의 구매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첫째,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본 결과, 1학년~4학년까지 여대생 소비자를 대상으로 2학년이 39.9%로 가장 많았다. 소비지출액은 60만원 이상 사용한다는 응답이 45.1%로 가장 많았으며, 20만원 미만은 5.7%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소장한 화장품 중 평소 20~40%를 사용한다는 응답이 28%로 가장 높았으며, 80~100%를 사용한다는 응답이 9.8%로 나타났다. 또한 한 달간 화장품 구입비가 10만원이라는 응답이 29.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들은 환경문제의 심각성에 대해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소비자의 환경문제의식은 높은 수준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를 통해 소비자들은 환경문제의 심각성에 대해 높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소비자들의 실제 친환경 소비실천 행동 또한 높은 수준으로 판단되었다. 반면에, 소비자들의 업사이클링 화장품 구매행태는 비교적 낮았다. 화장품의 재활용 문제와 생산과 소비에 따른 사회적 낭비의 심각성에 대한 의식은 높은 반면 화장품 구입 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거나 업사이클링 화장품의 특성에 대한 지식은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셋째, 학년, 소유 화장품 사용률, 소비 지출액과 화장품 구입비, 환경의식과 친환경 소비실천행동, 업사이클링 구매 행동에 차이가 있는지 분산분석 하였다. 학년에 따라 비교한 결과 소비실천 행동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이 높을수록 업사이클링 화장품 구매행동이 높은 수준을 보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현재 판매되는 업사이클링 화장품의 가격이 높은 것을 고려하였을 때, 월 소비지출 수준과 비례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환경보호의식 수준이 높은 소비자는 소량의 화장품을 소유하여 오래 사용할 것이라고 예측하였지만 소유 화장품 사용률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보면, 소비자의 환경문제의식에 따라 실제 환경 친화적 행동수준을 높이기 위해 체계적으로 실천적인 환경 교육이 실행되어야 한다. 이는 기존의 선행 연구 결과에서도 지속적으로 지적되고 있는 부분이므로 소비자의 환경의식이 실제 환경 친화적인 행동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환경 친화적 활동의 환경적 중요성 인식과 관련 제품의 구매의도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존재하므로, 환경 친화적 활동의 적극적인 홍보는 관련 제품의 구매의도 형성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