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67년 북한 갑산파의 혁명전통 다원화 시도의 종결

        조우찬(Cho, Woo Chan) 서강대학교 현대정치연구소 2017 현대정치연구 Vol.10 No.1

        갑산파는 1965년 말에 공개적으로 그들의 결집력을 드러낼 기회가 있었다. 박금철의 처인 서채순의 부고기사가 『로동신문』에 보도되면서 1930년대 중반 박금철이 이끈 한인민족해방동맹의 항일운동이 부각되었고 서채순의 장례식과 관련하여 갑산파의 동정이 『로동신문』에 보도되었다. 그러나 갑산파의 혁명전통 다원화 시도는 1965년 말을 기점으로 하여 해체되어 가는 과정에 들어섰다. 이듬해 비서제 도입에 이어 문학예술 부문에서 혁명전통 논쟁이 불거졌다. 박금철의 혁명전통에 대한 인식은 1930년대 중반 한인민족해방동맹의 활동과 연결된다. 혁명전통의 유일성에 대해서 갑산파는 혁명전통 다원화로 대응하였다. 그러나 1967년 봄부터 항일무장투쟁을 강조한 혁명전통교양이 대두되기 시작하였고 언론과 정기간행물에서 이전과 다른 변화가 나타났다. 본 논문은 혁명전통 다원화를 시도한 갑산파의 몰락은 북한체제의 변화와 직결되었고 혁명전통은 여전히 북한체제를 지탱하는 이념적 틀로써와 작동하고 있다는 점에 대해서 주목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volutionary tradition and the activities of the Kapsanpa(kapsan-faction) in North Korea in 1967. After the Kapsanpa was purged, in North Korea, reinforcement of unprecedented revolutionary tradition was developed. At the end of 1965, the Kapsanpa had the opportunity to publicly show their power. An obituary of Seo chae-soon, the wife of Pak Geum-Cheol, was reported in the “Rodongsinmun(Workers’ newspaper)”, the anti-Japanese movement of the Korean national liberation alliance led by Pak Geum-Cheol in the mid 1930’s was highlighted, and the activity of the Kapsanpa in connection with Seo chae-soon’s funeral was reported in the “Rodongsinmun”.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secretary system the following year, the controversy over the revolutionary tradition of literature and art emerged. Since the spring of 1967, the revolutionary tradition emphasizing the anti-Japan armed struggle began to emerge, and a change in press and publication appeared.

      • KCI등재

        연구논문 : 현대(現代) 중국(中國)에 있어서 전통질서(傳統秩序)의 붕괴원인(崩壞原因)과 재편과정(再編過程)

        김기효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5 역사학연구 Vol.58 No.-

        주지하는 바와 같이, 유가사상이 유구한 역사적 과정을 경험하였으며, 그의 우월한 지위 또한 의심할 나위 없다. 특히 명청대 사람들이 공자를 “지성선사”, “만세사표”로 간주한 이후, 유가사상은 독보적 지위를 취득하였으며, 이로 인해 봉건사회 인민의 정신적 지주가 되었다. 그러나 근대 이래, “5.4”운동을 거치면서 유가사상의 지위는 크게 하락하였다. 그 후, 문혁 시기의 批孔運動은 공자와 유가에 대한 치명적인 공격이었다. 공자와 유가에 대한 비판과 공격의 근본 원인은 바로 공자와 유가에 대한 모택동의 비판적인 인식과 의견을 전면적으로 반영한 것이었다. 본고는 문혁 기간에 수많은 박해와 자살 사건을 통해 공자와 유가에 대한 비판이 전통질서와 사회질서를 붕괴했다는 사실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이 사건이 발생할 수 있었던 원인은 문화대혁명의 이론과 실천이 중국의 전통질서를 부정하는 것에서 출발한 것이고, 이러한 전통의 부정은 바로 공자와 유가에 대한 반대 혹은 배척을 의미하는 것이며, 전통질서의 붕괴를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였다. 결과적으로 문혁 기간 동안에 발생한 전통질서의 붕괴는 반인륜적 행위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 대한 과정과 결론을 통해 현대 중국의 변화를 증명할 수 있다. 衆所周知,儒家思想經歷了悠久的歷史過程, 他우越的地位也是不容置疑的. 特別是到明淸時期, 人們開始崇拜孔子幷推崇其爲 “至聖先師,” “万世師表,” 儒家思想的地位得到了進一步提高,逐步成爲封建社會大중的精神支柱. 但是,近代以來, 伴隨着五四運動等新民主運動的開展,儒家思想的地位開始大幅下降. 隨后, 文革時期的“批孔運動”是對孔儒思想的致命打擊. 對孔儒的批判和打擊的根本原因直接表現在毛澤東對孔儒的批判的認신以及見解. 在文革期間,通過大量的迫害和自殺事件,我們可以將其看作是對孔儒的批判造成崩潰傳統秩序和社會秩序的事實。저樣的事情可能會發生的原因是文化大革命的理論和實踐是從否定中國的傳統觀念的出發,저些對傳統的否定就是意味着對孔儒的反對或排斥,저也意味着傳統秩序的崩潰. 綜上所述, 在文革期間發生的傳統秩序的崩潰帶有反人倫的行爲. 在저項硏究中, 通過對저些過程和結果的討論, 見정了現代中國的變化.

      • KCI등재

        혁명, 시, 여성(성) —1960년대 참여시에 나타난 여성

        박지영 한국여성문학학회 2010 여성문학연구 Vol.23 No.-

        이 글은 1960년대 혁명과 시, 그리고 여성성의 상관관계를 논구하기 위해김수영과 신동엽의 시에 나타난 여성표상을 분석한 논문이다. 소위 1960년대대표적인 참여시인인 이 두 시인의 혁명 시에서 여성이 매우 중요한 표상으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김수영의 경우는 여편네라는 비하적 표현을 통해서 부인을 경계하는 듯 하지만, 실은 그에게 부인은 ‘사랑하는 적’으로 오히려 문학의 악을 실험하고,자신의 위선을 깨닫게 하는 ‘선’한 존재이다. 또한 아내와 식모 순자는 위선을모르고 이성으로 대상을 재단하지 않는 순수 직관의 표상이기도 하다. 이들의존재성을 통해 김수영은 ‘너무나 간단해서 어처구니 없는’ 대자연의 순리를깨닫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단순한 자연의 카오스적 운동이 곧 혁명의 진리임을 깨닫고 이를 시적인 경지로 승화시킨다. 이 과정에서 여성은 그에게 ‘무수한 반동’으로서 ‘거대한 뿌리’를 인정하게 하고, ‘만주’라는 역사를 기억하게하는 깨달음을 주는 존재가 된다. 그 안에서 그는 여성을 남성과 동등하게 ‘죽음 반 사랑 반’의 존재로 자각하게 된다. 선/악의 이분법적 도식을 뛰어넘어진정한 ‘선’의 경지에 도달했듯, 그는 여성이라는 적과의 대결을 통해서 그는남성/여성의 이분법적 도식을 뛰어넘는 존재론적 인식을 이룩한다. 그리하여그는 반시론의 경지에 가 닿게 된다. 그는 결국 여성들과의 대결, 그리고 이로인한 여성성의 성찰을 통해 시적인 경지를 획득한 것이다. 그에게 여성은 시와 혁명의 경지에 가장 가까운 존재였다. 신동엽의 경우는 모성적 유토피아를 실패한 혁명적 미래의 대안으로 제시한다. 이는 서구적 이성에 의해 시행된 제국주의, 국가주의, 전쟁, 폭력이라는남성적 근대에 대한 반발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모성성은 백제라는 수난과 부활의 공간 표상으로 등장하며, 폭력적인 남성성을 순화시켜 줄 성스러운존재로서 제시되기도 한다. 그에게 여성적인 것(모성성)은 곧 이 민족이 이룩해야 할 유토피아적 전통의 상징이 된다. 이처럼 이 대표적인 혁명 시인들에게 ‘여성’은 그들의 시에서 혁명의 경지에 다다르는데 많은 깨달음을 전해준 매개이자, 혁명적 미래를 계시하는 메시아적 존재이다. 그리고 혁명의 시적 실현체로 존재한다. 이러한 점은 남성 중심적인 근대의 기획, 국가의 기획에 대한 회의에서 출발한다. 이들에게는 국가중심으로 진행되는 근대화의 기획에 대한 환멸이 자리 잡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 만큼 국가주의라는 남성성에 대한 안티테제로여성적인 것이 요청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또한 이들의 혁명과 여성의 연관된 논의 속에서는 ‘전통’이라는 개념이 틈입한다. 이는 1960년대 지식인들이 국가주의적 기획에 대항하기 위해 세워야했던 새로운 공동체의 이념체로서 그들과 다른 혁명적 ‘전통’을 세워야 했던저간의 당위성에서 나온 것이다. 물론 이들에게 ‘전통’은 일반적 의미의 전통과는 그 궤를 달리하는 지점이 있다. 신동엽에게 전통은 단지 과거의 것이 아니라 혁명적인 것, 신비로운 경이로운 광채 하에 구성되는, 미래로 유예된 시간의 선물이 된다. 이러한 전통의 신성화 역시 이성적인 유토피아 기획이 불가능한, 당대의정치적 상황에서 나온 것이다. 국가주도의 자본주의 경제국, 혹은 교과서적인서구적 민주주의이외에는 더 이상 어떠한 논리적이고 이념적인 사회상을 상상하는 것이... This thesis analyzed the feminine symbols appeared in the poetry of Kim Soo-yeong and Shin Dong-yeop to examine the correlation among the revolution, tradition, and femininity in the 1960s. In the revolutionary poetry of these two typical participatory poets in the 1960s, women exist as very important symbols. Kim Soo-yeong appears to guard against women by using belittling expression for women, but in fact, for him, wife is ‘beloved enemy’ who is “good’ existence that experiments the evil of literature and make one realize one’s own hypocrisy. Also wife and housemaid Soon-ja who do not know hypocrisy and are symbols of pure intuition that does not cut out the object. Through the existence of these, Kim Soo-young realizes the order of Great nature that is “devastatingly simple.’ He sublimates this into poetic realm after realizing that such a simple chaotic movement of nature is the truth of revolution. In this process, women are ‘numerous reactions’ for him and make him recognize ‘great root’ and remember history. For him, Women are nearest to Nature that is the realm of revolution, poetic being itself. Shin Dong-yeop presents maternal utopia as an alternative of the failed revolutionary future. This is formed as a backlash to the masculine modern age in which imperialism, nationalism, war, and violence that are conducted by the Western rationality. Such maternity appears as Baekjae, a spatial symbol of ordeal and resurrection, and is also presented as a sacred being that will sublimate the violent masculinity. For him, being feminine (maternity) is a symbol of utopian tradition that this nation should achieve. For these typical revolutionary poets, ‘femininity’ is a medium that brings many enlightenments that make him reach the revolutionary realm in theirpoetry and is also messianic being that reveals the revolutionary future. It exists as a revolutionary poetic embodiment. This starts with the skepticism about the planning of the male-dominated modern age and the planning of the nations. Disillusion of the planning of the modernization that is conducted on a nation basis was placed in their minds. So femininity is bound to be required as an antithesis to the masculinity referred to as nationalism. Also in their discussion in which revolution and femininity are connected,the concept of ‘tradition’ enters. This is an ideological body of the new community that the intellectuals in the 1960s had to establish in order to fight against the nationalistic planning and is brought about from the appropriateness at that time when they had to establish a revolutionary ‘tradition’ that was different from them. Of course, for them, ‘tradition’ has a place that i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 in the general sense. For them, the tradition is something revolutionary, and a gift of time reserved for the future, that is composed under the mysterious and marvelous luster. Sanctifying such a tradition was, in a sense, brought about by impossibility of the planning of rational utopia. Utopia that appeared in the era when it was not possible to imagine any logical and ideological image of society except the concept of state-led democracy is bound to be nothing other than something aesthetic, mysterious, of the past, transcendental, and sacred. The fact that revolutionary intellectuals and poets monopolized ‘femininity’ is based on such circumstances. It is because women are what is mysterious, of the past, and transcendental that resists the masculinity of nationalism that advocates what is logical and authoritative. So the 1960s is the era when femininity emerged as what is poetic, the truth, or sacred.

      • KCI등재

        변법파 캉유웨이(康有爲)와 혁명파 쑨원(孫文)의 사상 비교연구

        이영란,고재휘 한국동북아학회 2012 한국동북아논총 Vol.17 No.2

        제1·2차 아편전쟁과 태평천국으로 중국의 양무파는 자강운동 일환으로 양무운동을 추진하였으나 청일전쟁으로 실패하였고 이후 변법파는 변법운동을 단행하였다. 그러나 변법운동 역시 서태후를 중심으로 한 보수파의 반대로 실패하였다. 이렇듯 중국의 자강운동은 실패를 거듭하며 결국 쑨원의 혁명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청말 지식인들의 목소리는 청조의 위기 속에서 개혁에서 혁명이라는 단계로 갈 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그러한 상황을 인식하는 차원에서 변법운동의 대표자라 할 수 있는 캉유웨이(康有爲)와 혁명의 대표자라 할 수 있는 쑨원(孫文)의 사상을 비교해 보고자 한다. 혁명파를 대표하는 쑨원의 사상과 변법파를 대표하는 캉유웨이의 사상은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를 이 글을 통해서 살펴보고, 변법의 시기에서 혁명의 단계로 갈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들여다봄으로써 그 시대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캉유웨이는 대동 세계에 도달하기 위해 우선 중국의 정치 개혁 즉 중국을 부국강병한 입헌군주제 국가를 건립하여, 다른 서양 자본주의 국가의 대열에 합류하고자 하였다. 『대동서(大同書)』에서 지적한 대동의 방식은 혁명을 찬성한 것은 아니고 변법을 주장한 것이었다. 그는 서양의 정치를 학습하여 군주전제를 군주입헌으로 개혁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 역시 민권설을 주장하였으나, 그의 민권설은 황제의 권력에 의지하는 불완전한 것이었다. 도덕적 정치적 혼란을 일찍이 걱정하였던 캉유웨이는 혁명이 도래하는 시기에도 여전히 민주주의 사상에 대한 전반적 이해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쑨원 역시 아주 어린 시절에는 전통교육을 받았지만, 성장기에는 서양교육의 영향이 훨씬 더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다. 이러한 쑨원의 교육환경은 서양 학설에 대한 객관적 분석과 함께 혁명의 시각을 갖게 하였다. 그의 혁명 사상은 멸만흥한(滅滿興漢)의 민족주의에서 출발하였다. 변법 실패 후 청조의 부패와 무능이 심각해질 때 그는 혁명 의지를 다졌다. 그리고 그는 삼민주의를 주창하였다. 그 중 하나인 민생주의에서는 대동 사회를 말하고 있다. 쑨원이 생각하는 대동 사회는 공산주의란 말과 상통하고 또 그 말은 사회주의라는 말과 서로 바꿔 쓸 수 있는 말이라고 하였다. 그의 이상은 중국의 전통적인 대동사상과 다른 것이 아니었다. 중국의 전통사상을 근본으로 하고 민생주의가 달성된 세상 즉 대동의 세계에 이르는 필수 과정으로서 민족의 해방, 국가의 독립을 우선 획득하고 이를 민주주의의 형태로 전개하려는 쑨원의 계획과 사상은 캉유웨이가 생각하는 대동의 이상과 별반 다를 바가 없다. 그들은 중국 전통의 유가 사상에서 볼 수 있는 대동(大同)을 하나의 이상으로 삼았다는 점에서는 공통점을 가진다. 물론 캉유웨이와 쑨원이 대동이라는 세계에 이르는 방법적 차이를 보이고 있다. 캉유웨이는 개혁을, 쑨원은 혁명을 택한 방법론의 차이가 있었다. 신해혁명(辛亥革命) 이전 쑨원을 중심으로 한 혁명파와 캉유웨이를 중심으로 한 보황파(保皇派)는 서로 정치적 행보와 목표에서 차이를 보였다. After the 1st and 2nd Opium Wars and Taiping Rebellion, the Yang-wu group in China developed the Yang-wu movement,a self-strengthening movement which failed due to the Sino-Japanese War. Then, the changing laws party conducted a movement for changing laws, which also failed because of objections from conservatives including Cixi. In this manner, the self-strengthening movement in China was constantly frustrated until a revolution led by Sun Won began. At the end of the Qing Dynasty when it was in a crisis, the voices of intelligentsia pushed China from reformation to revolution. In order to know the situations at that time, a comparison needs to be made between the thoughts of Kang Yuwei who may be called the representative of the changing laws movement and those of Sun Won who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revolution. This thesis is aimed to generally consider the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figures’ thoughts and why China could not proceed from the step of changing laws to that of revolution, with a view to understanding the conditions of the times. Kang Yuwei insisted that for China to reach universal equality, first of all, a political reformation must be made where China could enhance its wealth and military strength to be a constitutional monarchy and to join the club of Western capitalist countries. In the book entitled Toward Universal Equality, he asserted that a way for universal equality is not a revolution but to change the laws. He stressed that China should learn Western politics so that the absolute monarchy might be reformed into a constitutional monarchy. He also insisted on the theory of people's rights, but his theory is incomplete since it is dependent on the power of the emperor. Kang Yuwei, being previously concerned with moral and political confusions, did not yet have general understanding of democratic thoughts as the revolution was approaching. Sun Won also received traditional education in his very early days but was much more influenced by Western education in his growing period. Such an educational environment of Sun Won enabled him to objectively analyze Western academic doctrines and have a way of looking at revolution. His thoughts of revolution started with his nationalism that the Manchurian race should be destroyed while the Chinese race flourishes. As the Qing Dynasty’s corruption and inability deteriorated afterrrrrrrrrrrrrrrrrrr movement failed, he made up his mind for revolution and advocated three principles of the people. One of the three is taking care of the livelihood of the people and pursuing a universally equal society. The universally equal society, according to the wording of Sun Won, is correspondent to communism and is interchangeable with socialism. His ideal was not different from China’s traditional thought of universal equality. It may be said that the plan and thoughts of Sun Won were greatly influenced by Kang Yuwei. Sun Won believed that democracy should come from the emancipation of his race and the independence of his country, which were essential for reaching the world of universal equality, where the livelihood of the people would have been realized based on China’s traditional thoughts. Kang Yuwei and Sun W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at the former concentrated on reformation while the latter on revolution for achieving their purposes. Yet, they are the same in that the ideal of both of them is the universal equality, which is derived from traditional Confucianist thoughts in China. Of course, in reality, Kang Yuwei and Sun Won had a different concept of universal equality. The reformation party led by Sun Won was persecuted by the Qing Dynasty and so was the party for protecting the emperor led by Kang Yuwei during the period of revolution. Both of the parties were actively based in Japan, but their political lines and goals were different.

      • KCI등재

        북한의 갑산파 숙청과 ‘혁명전통’의 굴절

        문미라 역사문제연구소 2022 역사비평 Vol.- No.139

        The purge of the Gapsan faction in 1967 was an important turning point in the history of North Korea. After this incident, the monolithic ideological system and leadership of North Korea were established and the personality cult crystallized. In this process, the ‘Revolutionary Tradition’ based on the history of Kim Il Sung’s anti-Japanese guerrillas became rich in content and became an indispensable regulatory power. This article re-examines the reasons for the purge of the Gapsan faction by analyzing the historical materials of the time and analyzes how the political aftermath of the incident changed the narrative of the ‘Revolutionary Tradition’. Here are the analyzes. First, it is difficult to note that the Gapsan faction emphasized its own experience with the anti-Japanese guerrillas as different from that of Kim Il Sung and denied the exclusivity of the ‘Revolutionary Tradition’. Contrary to previous studies, there is no evidence that the faction espoused a socialist patriotism that was supposedly different from the ‘Revolutionary Tradition’. The two concepts -socialist patriotism and ‘Revolutionary Tradition’- were not in opposition to each other. In summary, the Gapsan faction’s attempt to pluralize the ‘Revolutionary Tradition’, as claimed in many studies, did not exist. Second, the main reason for the purge was the Gapsan faction’s opposition to the succession system. Around 1966, Park Geom-chol, a representative figure of the faction, vehemently opposed Kim Yong ju and Kim Jong Il, who emerged as candidates for succession. After the faction was purged during the succession conflict, the content of the ‘Revolutionary Tradition’ was distorted in a way that emphasized Kim Il Sung’s lineage. The revolutionization of Kim’s family was an attempt to legitimize the succession from Kim Il Sung to Kim Jong Il. In other words, the ‘Revolutionary Tradition’ in North Korea was completed by honoring Kim Jong Il, a legitimate son, as the successor. 1967년 갑산파 숙청은 북한 역사의 중대한 전환점이었다. 갑산파 숙청 이후 북한에서는 유일사상체계와 유일지도체계가 확립되었고 개인숭배 구조가 정착되었다. 이 과정에서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을 핵심으로 하는 ‘혁명전통’은 점차 그 내용을 풍부히 하면서 북한사회의 절대적인 규정력으로 자리매김하였다. 본 연구는 갑산파 숙청 원인을 당대 자료에 기초하여 다시 살펴보고, 갑산파 숙청이라는 정치 변동의 여파가 ‘혁명전통’의 내용을 어떻게 바꾸었는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당대의 자료에서는 갑산파가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과 별개로 자신들의 항일투쟁을 강조하려는 모습이나 ‘혁명전통’의 유일성을 부정하는 양상을 확인하기 어렵다. 또한 선행연구의 주장과 달리, ‘혁명전통’과 결이 다른 사회주의적 애국주의를 갑산파가 주도했다는 증거도 찾을 수 없다. 사회주의적 애국주의는 ‘혁명전통’과 대립하는 개념이 아니었다. 요컨대 기존 연구에서 주장하는 갑산파의 ‘혁명전통’ 다원화 시도는 존재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갑산파 숙청의 근본적인 원인은 후계체제에 대한 갑산파의 반발이었다. 1966년경 박금철 등 갑산파는 김일성의 후계자로 떠오른 김영주와 김정일을 강력하게 반대하였다. 후계구도를 둘러싼 갈등의 결과로 갑산파가 숙청되자 ‘혁명전통’의 내용은 김일성 가계(家系)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굴절되었다. 김일성 가계의 ‘혁명화’는 김정일로의 대를 이은 계승에 대한 정당화 시도였다. 즉, 북한에서 ‘혁명전통’은 그 전통의 ‘적자(嫡子)’인 김정일을 후계자로 추대함으로써 비로소 완성되었던 것이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신구(新舊) 관념의 교차와 전통 지식 체계의 변용

        이행훈 ( Haeng Hoon Lee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1 한국 철학논집 Vol.0 No.32

        본고는 서양 근대 문명 수용 초기(1890~1910)에 발생한 신구 관념의 대립과 충돌을 중심으로 전통 지식 체계의 변용을 역사의미론적으로 탐색함으로써 한국의 근대를 성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에서 신구 관념을 놓고 벌어진 주체 간의 투쟁은 전통개신론자들과 문명개화론자들의 주장에서 첨예하게 드러났다. 서양의 충격에서 비롯된 신구 관념의 대립과 충돌은 우주 자연으로부터 사회·정치체제, 학술·문화 등 모든 부문에서 인식의 전환을 요구하였지만, 전통 지식 체계를 이해하는 시각에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신구 관념에 따른 전통 지식 체계의 구축과 변용과정에서 문명개화론자들에게 ``舊``는 단순히 과거의 ``지나간``, ``오래된`` 것이 아니라 파괴하고 제거하지 않으면 새로운 문명 건설을 방해하는 장애물이었다. 그러나 전통개신론자들에게 ``舊``는 ``溫故知新``의 이념 속에서 다시 ``新``으로 거듭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함하고 있는 ``改新``의 대상이었다. 박은식의 「儒敎求新論」이나 한용운의 『朝鮮佛敎維新論』은 전통 지식 체계를 ``新學``으로 재편하려한 대표적인 시도였다. 보편성과 객관성, 합리성을 추구하는 과학적 방법을 수용함으로써 전통 지식 체계는 근대적인 학문으로 변화할 수 있었다. 그러나 新學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聖學으로서의 위상은 탈각되었고, 신앙과 종교적 전통 또한 약화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전통 지식 체계의 변용과 ``구학의 신학화`` 과정에서 신구 관념의 교차가 발생하였다. 여기서 특히 신구 관념의 교차를 가능하게 한 ``實(學)`` 개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20세기 전후 발간된 다종의 근대 매체는 신구 관념의 다층적 전개 양상을 여실히 보여주는데, 전통 지식 체계가 新學으로 변용될 수 있었던 계기로서 ``실학``이라는 개념적 준거틀이 작동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이 시기 실학이 지칭하는 대상은 대체로 서양의 학문인 ``新學``을 표상하고 심지어 등치되기도 했지만, 전통개신론자들은 문명개화론자들이 점유하였던 ``실학`` 개념과 그 의미를 재해석함으로써 전통 지식 체계를 신학으로 바꿀 수 있었다. 이들은 과학 기술에 압도되어 점차로 거세되어가던 전통적 가치를 ``신학`` 수용의 토대로 인식하고, ``實學``을 개념을 준거로 하여 ``新學``을 再專有(re-appropriation)하였다. 일제의 강점이 구체화 되어 전통 지식 체계의 주체적 변용 시도는 일정한 한계에 직면할 수밖에 없었지만 ``구학의 신학화``는 ``東道西器`` 논리가 지닌 모순과 문명개화론의 탈주체성을 넘어서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도덕 원리와 경쟁 원리가 충돌하고 ``진화``와 ``진보``가 대세인 현실에 대응하려했던 ``東道西器`` 논리는 이미 분리될 수 없는 道와 器를 분리 가능한 것으로 상정해야만 성립되는 모순을 안고 있었고, 문명개화론은 서양을 내면화하여 자기 비하와 멸시로 주체의 균열을 야기하고 전통 지식 체계로부터 단절됐다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이다. This essay reflects on the modernity of Korea by examining the transformation of the traditional knowledge system from a historico-semantic perspective with its focus on the opposition and collision of the old and the new conception occurred in the early period(1890~1910) of the acceptance of the Western modern civilization. With scientific success, trick of reason, Christianity and evolutionary view of history, the Western modernity regarded itself as a peak of civilization and forced the non-Western societies into the world system in which they came to be considered as ``barbarism(野蠻)`` or ``half-enlightened(半開).`` The East Asian civilization, which had its own history for several centuries, became degraded as kind of delusion and old-fashioned customs from which it ought to free itself. The Western civilization presented itself as exemplary future which East Asian people should achieve, while East Asian past traditions came to be conceived as just unnecessary vestiges which it was better to wipe out. It can be said that East Asian modernization was established through the propagation and acceptance of the modern products of the Western civilization rather than through the preservation of its past experience and pursuit of the new at the same time. Accordingly, it is difficult to apply directly to East Asian societies Koselleck`s hypothesis; while mapping out his Basic Concept of History, he assumed that, in the so-called ``age of saddle,`` semantic struggle over concepts becomes active between the past experience and the horizon of expectation on the future, and concepts undergoes ``temporalization``, ``democratization``, ``ideologization``, ``politicization.`` The struggle over the old and new conceptions in Korea was most noticeable in the opposition of the Neo-Confucian scholars of Hwangseongsinmun and the theorists of civilization of Doknipsinmun. The opposition and struggle demanded the change of understanding in every field, but there was difference of opinion over the conception of the past traditional knowledge system. For the theorists of civilization, ``the old(舊)`` was not just ``past`` and ``old-fashioned`` things, but rather an obstacle to the building of new civilization. On the other hand, it contained the possibility of regeneration(新) for the Neo-Confucian scholars; that is, they suggested finding a guide into tomorrow by taking lessons from the past. The traditional knowledge system lost their holy status of learning(聖學) in the process of its change into a ``new learning(新學),`` and religion and religious tradition also weakened. The traditional knowledge system could change itself into modern learning by accepting scientific methodology which pursues objectivity and rationality. This transformation of the traditional knowledge system and ``the formation of the new learning from the old learning`` was accompanied by the intersection between the old and new conceptions.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role played by the concept of Sil(hak)(實學) or Practical Learning in the intersection of the old and new conceptions. Various modern media published before and after the 20th century show clearly the multi-layered development of the old and new conceptions, and it is noticeable that ``Sil(hak)`` as conceptual frame of reference contributed to the transformation of the traditional knowledge system into the new learning. Although Silhak often designated, or was even considered equivalent to, the Western learning, Neo-Confucian scholars reinterpreted the concept of ``Silhak`` which the theorists of civilization had monopolized until then, and opened the way to change the traditional knowledge system into the new learning. They re-appropriated the concept of Silhak, and enabled it to be invested with values, which were losing their own status due to the overwhelming scientific technology. With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by force, the attempt to transform the traditional knowledge system independently was obliged to reach its own limit, but its theory of ``making new learning from old one`` can be considered to get over both the contradiction of Dondoseogi(東道西器: principle of preserving Eastern philosophy while accepting Western technology) and the de-subjectivity of the theory of civilization. While developing its own logic, the theory of Dongdoseogi was compelled to bring in the contradiction of considering the indivisible(道and 器) as divisible, though it tried to cope with the reality where the principle of morality and that of competition were opposed each other and the ideologies of ``evolution`` and ``progress`` prevailed. On the other hand, the theory of civilization was not free from the criticism that it brought about a crack in subjectivity due to its internalization of the West, cutting itself off from the traditional knowledge system.

      • KCI등재

        전통이 된 혁명, 혁명이 된 전통

        오문석 상허학회 2010 상허학보 Vol.30 No.-

        Modern Korean literature flourished with a conflict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ty. In spite of the fact that tradition was used to stand up to modernity and even picture what might come after modernity, all discourses of tradition can be called “modern tradition” in that the discourses were defined in terms of modernity. Especially, from the late colonial period to the Korean war, the conservative writers in the name of “post-modernity” utilized the notion of tradition as dominant logic to restore a “mythical past.” One of the exemplary writers was poet Seo Jeongju who endeavored to eternalize the kingdom of Silla with the poetic devices of Buddist transmigration and repetitive incantations. However, the concept of tradition radically changed after the 4․19 revolution. The progressive poets such as Shin Dongyup and Kim Sooyoung sought to make a connection between tradition and revolution. Shin emphasized that the revolutionary spirit and collective imagination of the 4․19 revolution were repeatedly found in tradition. Likewise, while stressing the function of tradition and custom in the present, Kim strived to find the possibility of freedom in pursuit of trans-tradition. 한국의 근대문학사는 전통과 근대 사이의 대립을 배경으로 하여 성장해왔다. 전통을 가지고 근대에 맞서거나 그것을 통해 근대 이후를 상상한다 해도 모든 전통 담론은 근대에 의해서 호명되었다는 의미에서 ‘근대적 전통’이라 말할 수 있다. 특히 식민지 말기에서 한국 전쟁 직후까지 전통 개념은 ‘탈근대’의 가면을 쓰고 ‘신화적 과거’를 복원하려는 보수적 문인들의 지배적 논리로 사용되었다. 불교적 윤회와 주술적 반복을 통해 신라의 영원성을 복원하려던 서정주의 경우가 대표적이다. 하지만 4․19 이후 전통 개념에 혁신적 변화가 찾아오게 된다. 신동엽과 김수영으로 대표되는 진보적 시인들이 전통 개념과 혁명 개념을 서로 연결하는 방법을 모색하게 된 것이다. 신동엽은 4․19에서 발견한 혁명적 에너지가 전통에서 반복적으로 발견된다는 사실을 강조하였다. 반면, 김수영은 전통 및 관습의 현재적 작용력을 강조하면서 자유의 가능성을 탈관습의 추구에서 발견하고자 했다.

      • KCI등재

        ‘혁명적 문학’의 발명

        남원진 한국언어문화학회 2019 한국언어문화 Vol.0 No.68

        Is ‘revolutionary literature’ real art or invention of revolutionary tradition in the Juche Ideology Age? This text begins with the question. The history which has become part of national ideology has not actually been piled up by people’s memories but selected, reconstructed and also institutionalized by the state powers in charge of the role. In the Juche Ideology Age, they have created new ‘revolutionary literature’ with various old materials for a new purpose. The North Josun Planning which reconstructed Josun literature in the colonial age chose to construct the cognitive map of North Josun style Josun literature with proletarian literature, especially, socialist realist literature as the nucleus. However, the penetration of the anti-Japanese armed struggle history guided by Kim Ilsung in the latter half of the 1950s had the selection of Josun literature rearranged centering on ‘his revolutionary poems and songs’. Since Unique ideology system was constructed, the planning has provided a peculiar form of Juche literature made, in particular, anti-Japanese revolutionary literary art including ‘his immortal classical masterpieces’ advocating Kim Ilsungism. And how should the Juche literature made centering on Kim Ilsung’s revolutionary poems and songs be seen? Past incidents do not objectively exist but only in recorded data and human memories. The past results from the data and memories put together. His revolutionary poems and songs including ‘his immortal classical masterpieces’, which are said to be his creations, are presumably the examples typical of such past reconstruction. That is, his poems and songs including ‘his immortal classical masterpieces’ ordinarily seem to have been made in the colonial age, but if they are actually traced to their origin, they are not only recent but also invented. Also, it disproves the fact that the power of North Josun organizes and controls the past according to its political intention. Therefore, the revolutionary literature of North Josun is not actual art but invention of revolutionary tradition. In the current point of time, it is urgently necessary to restore the past made by the power. 주체 시대, ‘혁명적 문학’은 실재의 기술인가, 혁명적 전통의 발명인가? 이 글은 이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된다. 국가의 이데올로기의 일부가 된 역사는 실제로인민의 기억에 의해 쌓인 것이 아니라 그 역할을 맡았던 국가권력들에 의해 선별되고 재구성되며, 또한 제도화된 것이다. 이는 주체 시대, 새로운 목적을 위하여낡은 여러 재료를 갖고 새로운 ‘혁명적 문학’을 창출한 것이라는 말이다. 식민지 시대 조선문학을 재구성했던 북조선 문화정치적 기획은 프롤레타리아문학, 특히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문학을 중핵으로 북조선식 조선문학의 인식적 지도를 구성하고자 했다. 하지만 1950년대 후반 김일성이 지도한 항일무장투쟁사의침투로, 조선문학의 선별은 ‘혁명적 시가’들을 중심으로 재배치됐다. 유일사상체계가 구축된 후, 이런 북조선 기획은 만들어진 주체문학, 특히 김일성주의를 표방한 ‘불후의 고전적 명작’ 등의 항일혁명문학예술의 특이한 형태를 제공했다. 그런데 김일성의 혁명적 시가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주체문학을 어떻게 보아야할 것인가? 과거의 사건들은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오직 기록된 자료와 인간의 기억 속에서만 존재하며, 과거는 그 자료와 기억이 한데 뭉친 것이다. 김일성이 ‘친필’한 것으로 말해진 ‘불후의 고전적 명작’ 등의 혁명적 시가들은 이런 과거 개조의 대표적인 예일 것이다. 즉, 김일성의 ‘불후의 고전적 명작’ 등의시가들은 통상 식민지 시대에 만들어진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기원을 따져본다면 최근의 것일 뿐만 아니라 발명된 것이다. 또한 이는 북조선 권력이 정치적 의도에 따라 과거를 조작하고 통제한다는 사실을 반증한다. 따라서 북조선의 혁명적문학이란 실제의 기술이 아니라 혁명적 전통을 발명한 것에 해당된다. 현 시점에서, 북조선 권력에 의해 만들어진 과거를 복원할 필요가 절실하다.

      • KCI등재

        4월 민주혁명과 혁명정신의 역사적 재현 문제

        홍원표(Hong Won-Pyo) 한국정치정보학회 2010 정치정보연구 Vol.13 No.1

        4 · 19혁명은 한국 현대사에서 중대한 계기였다. 이 연구는 한나 아렌트의 혁명이론에 기초해 4 · 19혁명의 목표 및 전개과정과 더불어 정신의 재현 문제를 이야기하기 방식으로 조명하고 있다. 그 동안 4 · 19혁명은 성공하지 못한 혁명으로 평가되기도 하였지만, 잠정적 좌절이나 실패는 실패로 끝나지 않았다. 정치적 자유를 확립하려는 고귀한 혁명정신은 민주화운동의 중요한 원동력이 되어 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는 과거가 전통으로서 권위를 지니기 위해 정치적 삶과 삶의 정치에서 4 · 19혁명의 귀중한 경험들, 즉 정치적 자유에 대한 열정, 공공영역과 시민 권력의 활성화, 건국정신의 발현, 그리고 공적인 문제에 대한 관심을 삶의 정치에서 실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아울러, 혁명정신의 지속적으로 재현하는 방안으로서 4월 19일을 국경일로 지정하여 역사적 사건을 회상하고, 그 의미를 재현하려는 제도적 노력이 필요하다. 한마디로, 혁명정신을 보존하고 확장시키는 노력은 지속되어야 한다. The April Revolution in 1960 was the important moment in Korean contemporary history. This study is designed to illuminate the telos, process and representation of the Revolution in the way of story-telling, which is based on the Arendtian theory of revolution. During the several decades, the Revolution has been evaluated as the unsuccessful or unfinished or frustrated one. In the contemporary point of view, the Revolution is evaluated as the successful one because its spirit has worked as the motive to realize the democratization. Now we should have effort to maintain the passion toward the political freedom, revitalization of the public realm and the power of acting-in-concert so that the past as the authority may have its authority. To be capable of maintaining the durable re-presentation of the revolutionary spirit in the future, the political decision to define 19th April as the national holiday is required to be made first of all. In sum, the common effort to institutionally conserve and enlarge the revolutionary spirit should be realized.

      • KCI등재

        북한의 김일성시대 문화상징으로서 공간 : ‘혁명전통’관련 공간을 중심으로

        조은희 한민족문화학회 2008 한민족문화연구 Vol.27 No.-

        This study analysis practical using of conventional history and symbol space a period of Kim Il Sung. This is used to an political instrument of propaganda that Kim il sung's political power and a regime. History of Kim Il Sung's military strife against the empire of Japan is restored in the North Korea next to 1953. A battle of Bo-chun-bo become known to among History of Kim Il Sung's military strife against the empire of Japan is restored to symbol space. After august 1953, History of Kim Il Sung's military strife against the empire of Japan become the 'Revolutionary Tradition'. At that time, mu-san-ji-gu -hyeok-myeong-jeon-jeok-ji centering around bak-du mountain become symbil space. Legitimacy of Kim-il-sung is broad the battle hero of bo-chun-bo to hero of military strife against the empire of Japan. After 1967, All dissident groups of Kim-Il-Sung was eliminated. And symbol space of Kim-Il-Sung is overemphasized. Also the greatness of Kim-Il-Sung and historic of military strife against the empire of Japan is overemphasized. 김일성 시대 상징 공간은 김일성 정권의 정당성에 대한 강화의 한 도구로 충실한 역할을 하였다. 1953년 전쟁 후, 김일성은 전쟁에 대한 책임과 관련 김일성과 경쟁하고 있던 몇몇 다른 파벌들의 제거와 전쟁으로 피폐해진 인민들의 생활은 김일성으로 하여금 정치체제에 대한 인민들의 확산된 지지를 이끌어내기 위해 방법을 모색해야 했다. 이후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 역사가 발굴되기 시작하였고, 그 주요 무대였던 보천보와 백두산 지역이 복원되어 만들어지기 시작하였다. 그 당시 보천보 전투는 김일성을 ‘항일의 영웅’으로 알려지게 한 중요한 역사적 사건이었다. 이 공간은 1956년 8월 종파사건을 계기로 더욱 집중적으로 발굴되었고, 그 곳에는 김일성의 동상이 세워졌고, 기념탑과 박물관이 만들어졌다. 1964년부터 1966년 사이에는 당내 사상문화 분야를 담당하던 갑산파들이 혁명전통의 다원화를 주장하면서 당내 갈등이 진행되었는데, 이러한 정치적 상황들이 반영되어 이 시기에는 ‘혁명전통’의 언급과 공간발굴이 자재되었다. 하지만 1967년 제4기 15차 전원회의를 계기로 갑산파가 숙청되면서 북한에서는 김일성의 정치권력에 반대하는 정치세력들이 완전히 제거되면서 이후 김일성의 ‘혁명전통’관련 모든 역사가 발굴되었고, 관련 공간이 성역화 되었다. 이후 북한에서는 보천보혁명전적지는 물론 백두산 일대의 김일성의 ‘혁명전통’과 관련된 역사적 배경이 된 모든 공간이 발굴되었고, 더 나아가 이시기 김일성의 가족들(김정숙과 부모와 조부모 등의 혁명사적지 발굴)에 대한 상징공간이 함께 복원되어 만들어졌다. 이것은 김일성의 ‘위대한 혁명전통’이 몇 십년 이전부터 몇 대에 걸쳐 내려온 것임을 강조하여 김일성 권력의 정통성을 강화하려 한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