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독문제에 대한 대중의 전문적 도움요청행위에 관한 연구: 도박중독과 알코올중독을 중심으로

        박근우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8 사회과학연구 Vol.57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early intervention strategies for mental health services by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professional help seeking behavior of the general public for their addiction problems. The research model for this study was to analyze by addiction vignette effects of the attribution of addiction problems, social stigma, and stigma on psychiatric treatment on the professional help seeking behavior. In other words, we analyzed how much the attribution of addiction, social stigma, and stigma on psychiatric treatment, could predict the professional help seeking behavior. To this end, 371 adult subjects were randomly presented with simulated vignette of gambling addiction and alcoholism. They were asked about what they thought about the causes of their problems, social stigma, stigma on psychiatric treatment as well as whether they would like to ask for professional help when similar problems arose. As a result, in the vignette of gambling addiction, the factors affecting the professional help seeking behavior turned out to be gender, personal causes, socio-environmental causes, superstitious causes, and stigma on psychiatric treatment. In addition, in the vignette of alcoholism,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rofessional help seeking behavior turned out to be socio-environmental causes, superstitious causes and stigma on psychiatric treatment.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posed practical strategies for early intervention in addiction problems. 본 연구는 일반 대중의 중독문제에 대한 전문적 도움요청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조기개입 전략을 제안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모형은 각 중독 사례별로 중독문제에 대한 원인 인식, 사회적 낙인, 치료에 대한 낙인이 전문적 도움요청 행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즉, 중독의 원인과 사회적 낙인 그리고 치료에 대한 낙인이 전문적 도움요청행위를 어느 정도 예측하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 371명을 대상으로 도박중독과 알코올 중독의 모의사례를 무작위로 제시하고 사례 대상자가 가진 문제의 원인을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사회적 낙인과 치료에 대한 낙인은 어떠한지, 그리고 사례와 유사한 문제가 생겼을 때 전문적 도움요청을 할 것인지 질문하였다. 그 결과 도박중독 사례에서는 성별, 개인적 원인, 사회환경적 원인, 미신적 원인, 치료에 대한 낙인이 전문적 도움요청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그리고 알코올중독 사례에서는 사회환경적 원인, 미신적 원인, 치료에 대한 낙인이 전문적 도움요청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연구자는 중독문제에 대한 조기개입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전략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행위중독의 친숙함이 차별에 미치는 영향

        서미경(Seo, MI Kyoung),박근우(Park, Keun Woo),이민화(Lee, Min Hwa)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7 社會科學硏究 Vol.33 No.4

        본 연구는 접촉이론에 근거하여 행위중독에 대한 친숙함이 편견과 차별행동을 감소시킨다는 전제하에 행위중독에 대한 반낙인 전략을 제안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모형은 행위중독에 대한 친숙함이 편견을 매개로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치거나, 친숙함이 도움의향을 증가시켜 이것이 사회적 거리감을 감소시킨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상남도 성인 383명을 대상으로 도박중독과 인터넷게임중독의 모의 사례를 무작위로 제시하고 친숙함, 편견, 도움의향, 사회적 거리감을 질문하였다. 그 결과 도박중독의 경우 친숙함이 편견과 도움의향에 직접효과가 없어 사회적 거리감 간의 간접효과는 없었다. 인터넷게임중독 역시 친숙함이 편견에 직접효과가 없어 사회적 거리감 간의 간접효과는 없었으나, 친숙함이 도움의향을 매개로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행위중독에 대한 반낙인 전략이 달라져야 함을 주장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pose anti-stigma strategies for behavioral addiction based on contact theories assuming that the familiarity with behavioral addiction reduces biases and discriminatory behaviors. The research model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familiarity with behavioral addiction effects the social distance by mediate of prejudice, or that familiarity increases the helping response, thereby reducing the social distance. To these ends, 383 adult participants from the South Gyeongsang Province were randomly presented vignettes of gambling addiction and internet game addiction and asked about familiarity, prejudice, helping response, and social distance. As a result, the familiarity with gambling addiction had no indirect effect on the social distance because of its no direct effect on prejudice and helping response. Internet game addiction also had no indirect effect on the social distance because of its no direct effect on prejudice, however, familiarity turned out to effect the social distance by mediate of helping respons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insists that the anti-stigma strategies for behavior addiction should be changed.

      • 4대 중독 정책 진단 및 개선방안

        김우준 한국중독범죄학회 2013 한국중독범죄학회보 Vol.3 No.2

        우리 사회에 많은 폐해를 끼쳐왔으며, 최근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4대 중독 분야의 문제와 관련하여, 알코올, 마약류, 사행행위, 미디어 콘텐츠 등의 4개 분야에서 의 중독 문제의 심각성을 살펴보고, 「중독 예방·관리 및 치료를 위한 법률안」의 의안 심사 현황 및 주요 내용도 검토하였다. 또한 4대 중독 분야를 둘러싼 현행 정책 의 문제점들을 고찰함과 동시에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제언하였다. 알코올 중독과 관련하여서는 예방 및 치료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증대시키고, 관 련 시설 및 예산, 인력을 증대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범정부적 차원의 종합계획 수립 및 시행이 이 선행되어야 한다. 직업재활모델시설 및 프로그램에 대한 지원도 활성화 되어야 할 것이다. 마약류 중독과 관련하여서는 치료보호제도의 활성화 대책 마련, 형사사법체계와 보 건의료지원체계 간의 협력·교류 강화, 국가적 차원에서의 종합대책 제시 등이 개선 점으로 제시되었다. 사행행위의 중독과 관련하여서는 치료․재활 관련 시설 및 인력, 예산 증대가 필요 하며, 적극적인 치료서비스 제공이 강화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사행행위 중독을 예 방하고 치료·처우할 국가 차원의 종합 대책 마련과 사행산업 매출 총량제한제 관련, 실효성 있는 법제적 이행 수단을 확보도 개선점으로 제시하였다. 온라인 게임 등 미디어 콘텐츠 중독과 관련하여, 예방 교육 의무화, 전 계층 대상 맞 춤 상담 시스템 도입, 중증도 및 유형별 구체적 치료모델을 개발 등을 개선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중독 회복자에 대한 사후 관리제도가 운영될 필요와 인터넷 중독의 대응주체 간 협력 강화를 통한 전방위적 대응, 지역 거점 중독대응센터의 구축·활성 화 등도 과제로 언급하였다.

      • KCI등재

        주식중독의 원인 및 대응방안

        안영규 한국중독범죄학회 2021 한국중독범죄학회보 Vol.11 No.3

        이 연구는 주식중독의 특수성을 이해하고 이를 근거로 향후 주식중독 예방을 위한 대응방 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세평적 사례선택(reputational case selection)을 통해 선별된 주식중독자 4명을 심층면담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범주별로 분석되었다. 연구참여자의 논의 를 기반으로 한 이 연구의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를 통해 주식투자자에게도 중독의 일반적 특성인 의지상실, 내성, 금단증상 등이 나타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특히 건전한 노동에 대한 왜곡된 생각으로 인하여 사회 전체적으로 생산성이 하락하는 원인이 될 것이라는 점을 예측 할 수 있다. 따라서 건전한 노 동을 통한 부의 축적, 그리고 금전적인 부의 축적보다 더 나은 가치가 있다는 점에 대한 사회 적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중독에 대한 몰이해로 인하여 더욱 주식중독을 단절하지 못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 다. 여타 다른 중독과는 달리 주식에 있어서만큼은 중독에 대한 이해가 매우 낮다. 특히 상담 자나 의료진에 대한 교육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상담자나 의료진이 깊이 공감하지 못한다면 당연히 효과적인 치료를 예견할 수 없다. 상담자나 의료진이 주식에 대한 교육을 통하여 주 식중독자들에 대한 이해도를 높인다면 주식중독자들과 더욱 높은 심리적 공감대(Rapport)를 형성하여 치료효과도 더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셋째, 중독자들이 주식을 국가가 인정한 도박이라고 인식하는 것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있 어야 할 것이며 필요하다면 법률 개정도 요구된다. 그러나 유독 주식의 사행성에 대한 인식 은 매우 낮고 국가 또한 이에 대한 경고를 해태하고 있다. 따라서 사회적 논의를 거쳐 일정 수준 이상의 중독성 투자를 사행행위의 범위에 포함시키는 것도 향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eculiarities of stock addiction and to suggest countermeasures to prevent future stock addiction based on thi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4 stock-addicts selected through the reputational case selection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ategory.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based on the discussion of the study participan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ed that stock investors also exhibit common characteristics of addiction, such as loss of will, tolerance, and withdrawal symptoms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predicted that distorted thinking about sound labor will lead to a decrease in productivity of the whole society. Therefore, social education on the accumulation of wealth through sound labor and the fact that it is more valuable than the accumulation of monetary wealth seems to be necessary. Second, it was founded that addicts were unable to cut off their stock addiction due to their ignorance of addiction. The understanding of addiction is very low when it comes to stocks unlike other addiction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education of counselors and medical staff. in particular. Effective treatment cannot be predicted if counselors and medical staff do not have deep empathy. If counselors or medical staff increase their understanding of stock addicts through education on stocks, they will form a higher psychological rapport with stock addicts and the treatment effect will be higher. Third, there should be a social discussion about addicts' perception of stocks as state-sponsored gambling and legislative amendments are also required if it needed. However, awareness of the speculative nature of stocks is very low, and the state is also negligent in warning about i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n the future the inclusion of addictive investment above a certain level in the scope of speculative behavior through social discussion.

      • 풍속영업과 범죄: 유흥중독에 대한 단계분석을 중심으로

        김상균,한상철 한국중독범죄학회 2011 한국중독범죄학회보 Vol.1 No.2

        오늘날 인간은 과거에 비해 훨씬 복잡하고 다양한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현대 사회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이러한 삶이 중독을 조장한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현대인들은 끊임었이 경험해야 하는 스트레스로 인한 현실의 고통을 회피하기 위해 중독의 대상을 찾게 된다. 도박, 알코올, 게임 등 중독의 유형은 현대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새롭게 다양한 형태와 질적 그리고 양적인 발전을 보이고 있다. 중독은 처음에는 쾌락을 주거나 고통 혹은 스트레스를 완화해 주는 긍정적인 경험에서 시작된다. 또한 중독행동에 과도하게 탐닉하게 됨에 따라 시간이나 경제적인 균형이 깨지게 되고 이로 인한 역기능이 초래된다. 특히 여러 행위중독 중에서도 유흥중독과 관련된 문제와 심각성에 대한 연구는 부재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행위중독의 일종인 유흥중독의 개념과 범죄와의 연관성을 설명하고 중독으로 들어서게 되는 배경을 분석하고자 한다. 유흥에 대해서는 풍속영업의 규제에 관한 법률을 배경으로 노래방, 노래연습장, 노래장 등과 같이 2종 영업장을 중심으로 하고자 한다.

      • KCI등재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마음챙김과의 관계

        장경화 ( Jang Kyung-hwa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7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0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과 마음챙김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스마트폰 중독과 마음챙김과의 관계 속에서 추후 대학생을 지도하는데 마음챙김을 기반으로 한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자료 수집은 2016년 6월 경상북도에 위치한 4년제 종합대학교 여름 계절학기수업을 수강한 남녀 재학생 1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마음챙김과 스마트폰 중독에 대해 조사하였다. 누락된 응답내용이 있는 것을 제외한 11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라 살펴본 결과에서는 스마트폰중독 수준이 여성이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하루에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긴 대상자가 스마트폰 중독 수준 정도가 높았다. 둘째, 마음챙김의 하위변인인 자각행위, 비판단, 관찰, 비자동성, 기술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에서는 자각행위, 비자동성이 높아질수록 스마트폰 중독 수준이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마음챙김이 스마트폰 중독의 하위변인별로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에서는 마음챙김의 자각행위와 비자동성이 스마트폰 중독의 일상생활장애와 내성에 영향을 미치고, 가상세계지향성과 금단은 비자동성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 마음챙김이 증가함에 따라 스마트폰 중독 성향이 감소한다는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고 대학생활 적응을 돕기 위해 마음챙김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폰 중독 예방 및 치유 프로그램을 개발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research for grasping the relation between smart phone addiction and mindfulness. As for data collection, this study conduct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survey on smart phone addiction and mindfulness for smart phone users of summer session students in D university in June 2016. This study analyzed 116 responses exclusive of responses with any omission out of all respondents. From the results of analysis, the degree of women`s smart phone addiction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men`s smart phone addiction, and the subjects who used smart phone for a longer time had a higher degree of smart phone addiction. And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 of sub-variables of mindfulness degree such as self-awareness behavior, non-decision, observation, non-automatism and technology upon smart phone addiction. For this, from the results of conducting regression analysis, it is found that the higher self-awareness behavior and non-automatism were, the lower the degree of smart phone addiction was. From the results of exploring the effect of mindfulness upon each sub-variable of smart phone addiction, it is found that self-awareness behavior and non-automatism were found to affect daily life disorders of smart phone addiction and tolerance, and that virtual world orientation and withdrawal were found to affect non-automatism. From the results above, this study found that as the mindfulness got increased, the propensity of smart phone addiction got decreased. According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may be utilized as basic materials to develop meditation programs based on mindfulness to prevent and heal smart phone addiction.

      • KCI등재
      • KCI등재

        숏폼 콘텐츠의 위해성과 목회상담적 치유방안 연구

        윤이상 한국실천신학회 2023 신학과 실천 Vol.- No.86

        틱톡, 쇼츠, 릴스로 대표되는 숏폼 콘텐츠의 등장으로 스마트폰 중독의 문제는 특 이점을 맞게 되었다. 이 숏폼 콘텐츠의 강렬한 중독성은 미국의 청소년 사망원인 1위 로 대두된 합성마약 펜타닐의 위해성에 빗대어 설명될 정도이다. 이토록 강력한 중독 성을 갖는 숏폼 콘텐츠가 아무런 제재 없이 남녀노소의 삶 속에 파고들기 시작하자 이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기 시작하였다. 주목해야 할 점은 이러한 숏폼 콘텐츠가 미디어 산업의 자연스러운 변화 속에서 우연히 등장한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거대자본이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수많은 임상 테스트를 통한 최적화 작업을 거쳐 가장 강력한 중독성이 나타나도록 의도적으로 만 들어 낸 것이다. 이는 인류를 향한 악이라 할 수 있으며, 자유주의 경제 세계화 속에 드러난 거대자본의 악함을 아크라 신앙고백을 통해 저항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신앙으 로써 대적해야 할 영적인 도전이라 하겠다. 인터넷 행위중독의 치료 방법론은 다양하게 개발되어 왔다. 초창기의 방법론은 주 로 인터넷 매체와 격리된 환경에 입소하여서 행동치료나 인지행동치료 방법론을 사용 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후에는 중독자 스스로 동기가 유발되고 성공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되어야 치료를 위해 꾸준히 노력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개념의 동기 강화 상담이 대안으로 부상하였다. 그러나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인해 언제든 접속이 가능 해진 새로운 인터넷 환경에서 무한정 공급되는 숏폼 콘텐츠의 압도적인 중독성을 제 대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목회상담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것은 압도적인 죄의 문제를 다루는 방법과 다르지 않다. 따라서 바울이 자신의 칭의론에서 사용한 ‘외재화 대화’ 기법과 ‘회원재구성 대화’ 기법을 숏폼 콘텐츠의 행위중독에 대처할 수 있는 목 회상담적 치유방안으로 제안한다. The emergence of short-form content represented by platforms like TikTok, Shorts, and Reels has brought the issue of smartphone addiction to a critical point. The intense addictiveness of this short-form content can be likened to the harmful effects of synthetic drug fentanyl, which has become the leading cause of death among American teenagers. As this highly addictive short-form content starts infiltrating the lives of people of all ages without any restraint, it has quickly risen as a significant social problem. It's noteworthy that these short-form content formats didn't accidentally emerge within the natural evolution of the media industry. Instead, they were intentionally designed by massive capital through numerous clinical tests and optimization processes to generate the most potent addictiveness for their own benefit. This can be considered as an evil towards humanity. Just as there was resistance against the malevolence of massive capital within the context of Neo-liberal economic globalization through the Accra Confession, similarly, this also presents a spiritual challenge that needs to be addressed through faith. Various methodologies for treating internet behavioral addiction have been developed over time. In the early stages, methodologies often involved behavioral therapy or cognitive-behavioral therapy in an isolated environment away from internet media. Subsequently, the concept of motivational enhancement counseling emerged, emphasizing that addicts themselves must be motivated and develop self-confidence in their ability to succeed in order to consistently strive for recovery. However, due to the widespread availability of smartphones and the constant access to an infinite supply of short-form content in the new online environment, a new pastoral counseling approach is necessary to effectively address the overwhelming addictiveness. This is no different from addressing the issue of overwhelming sin. Therefore, the externalizing conversation and re-membering conversation used by Paul in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are proposed as pastoral counseling methods for addressing behavioral addiction to short-form content.

      • KCI등재

        수치심 경험과 행위중독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김유현,김유미 한국아동교육학회 2018 아동교육 Vol.2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experience avoidance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hame experience and behavior addictio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instruments which measure shame experience, behavior addiction, experience avoidance, and social support were administered to 595 6th grade students from 11 elementary schools in Seoul. In order to calculate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s of the main variable and verify the measurement and research model, the results of tests were analyzed by SPSS 23.0 and AMOS 22.0.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shame experience, behavior addiction, experience avoidance and social support except behavior addiction and experience avoidance. Second, experience avoidance and social support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hame experience and behavior addiction. Specifically, experience avoidance and social support had a sequential partial mediating effect and at the same time social support had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hame experience and behavior addiction. These results imply that it is required to consider psychological mechanisms of shame experience, experience avoidance, and social support in developing the program for preventing and treating children's behavior addi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수치심 경험과 행위중독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특별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595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와 상관관계를 구하고, 측정모형 및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행위중독과 경험회피 간의 상관을 제외한 주요 변인 간의 상관관계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수치심 경험과 행위중독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와 사회적 지지의 부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매개변인 중 개인 내적 변인인 경험회피는 사회적 지지를 거쳐 행위중독에 순차적 부분매개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시에, 개인 외적 매개변인인 사회적 지지는 행위중독에 부분매개효과를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 대상의 행위중독 예방 및 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할 때 수치심 경험, 경험회피 및 사회적 지지의 심리적 기제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10대 청소년의 수용자 특성이 디지털 동영상 콘텐츠 중독행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와 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윤칠상 ( Yoon Chil Sang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3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3 No.-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의 대중화와 개인화는 디지털 동영상 콘텐츠 시청에 긍정적인 점도 있지만 과다 시청이라는 역기능도 외면할 수 없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수용자 특성인 감각추구성향과 혁신성이 디지털 동영상 콘텐츠 중독행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와 몰입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조사대상은 디지털 동영상 콘텐츠를 다른 연령층에 비해 과다 시청하고 있는 10대 청소 년에게서 총 206부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수용자 특성이 디지털 동영상 콘텐츠 중독행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감각추구성향의 ‘탈억제’만 중독행위에 영향이 있었고, 혁신성은 유의미한 영향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수용자 특성이 몰입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는 감각추구성향의 ‘탈억제’와 혁신성이 유의미한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몰입이 콘텐츠 중독행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유의미한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수용자 특성이 몰입을 매개하여 콘텐츠 중독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에서는 감각추구성향의 ‘탈억제’와 혁신성에서 몰입이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자기통제력은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가 디지털 동영상 콘텐츠 중독행위를 총체적으로 예방하고 관리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The popularization and personalization of various smart devices has a positive effect on digital video content viewing, but also the adverse function of over-viewing cannot be ignor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ory-seeking orientation and innovativeness,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of audiences, on the addiction behavior of digital video content,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o empirically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ntrol and the mediating effect of immersion in this process. proceeded. For this purpose, the survey subject collected a total of 206 pieces of data from teenagers who watch digital video content too much compared to other age group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only 'disinhibition' of sensation seeking orientation had an effect on addiction behavior in relation to the effect of audience characteristics on addiction behavior of digital video content, and innovativeness had no significant effect. In relation to the effect of audience characteristics on immersion, it was confirmed that 'disinhibition' and innovativeness of sensation seeking orient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s of immersion on content addiction behavior, and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 of audience characteristics on content addiction behavior by mediating immersion showed that 'disinhibition' of sensation seeking orientation and immersion in innovativeness It has been found to play a role in this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self-control had no moderating effect.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a useful basic data for preventing and managing digital video content addi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