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산달도 연륙교 해상교통안전진단에 대한 고찰

        박영수,김세원 한국항해항만학회 2013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3 No.춘계

        거제도 산달도 연륙교 해상교량 설치에 앞서 해양사고 조사, 해상교통량 조사, 해상교통류 시뮬레이션 및 선박조종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해상교통의 안전 확보가 가능한지를 검토하기 위하여 해상교통안전진단을 실시하였다. 이번 진단 결과를 기초로 하여 진단면제 사업의 대상 및 진단대상 해역 등의 가이드라인 확보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We carried out the maritime safety audit for Sandal Water Bridge constructed between Geje-Do and Sandal-Do in 2015. To study as to whether can be secured the marine traffic safety for this area, this research investigated and performed the marine accident, marine traffic volume, the marine traffic flow simulation and shiphandling simulation. It is considered to be required the quantitative guidelines for maritime safety audit including audit target area and formal audit object etc.

      • KCI등재후보

        목포항 출입항로의 환경스트레스 평가에 관한 연구

        김철승,정재용,박성현,KIM Chol-Seong,JONG Jae-Yong,Park Sung-Hyun 해양환경안전학회 2006 海洋環境安全學會誌 Vol.12 No.3

        목포항 인근해역은 해상교통량이 많고, 해양사고가 빈발하고 있다. 특히, 목포구에서 목포항까지의 수역에는 협수로 형성 안개 발생 빈번, 항로 폭 협소, 천수 구역 존재, 소형 어선과 여객선 등에 의한 특정 시간대 항내 교통량이 집중하고 있다. 따라서 목포항만 수역내 해상안전의 위해요소 및 해상교통환경을 파악하고, 그 문제점을 도출하기 위해 해상교통조사를 실시하여 해상교통흐름에 대한 해상교통특성을 도출하여 해상교통류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환경스트레스를 평가하고자 한다. Recently, many ships such as fishing boats, cargo ships, high speed ferry boats are visiting Mokpo harbor. In particular, many marine accidents have been occurred at this area due to the narrow channel, a thick fog, the existing of the shallow waters etc. However there is no suitable ships' routeing system which takes account of today's traffic situations in this area. This study aims at the settling of hazardous factors to mitigate the danger to vessels in Mokpo harbor and to secure the safety of maritime environment.

      • KCI등재

        여수해만 특정해역의 해상교통시스템 설정에 관한 연구

        정재용(Jae-Yong Jong),김철승(Chol-Seong Kim),정중식(Jung-Sik Jeong) 한국항해항만학회 2005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29 No.8

        여수해만의 교통안전특정해역은 1988년에 설정된 이후 선박 입항 척수 및 톤수가 크게 변하는 등 해상교통환경이 급격하게 변화된 것에도 불구하고, 통항분리가 되지 않은 채 흘수제약선의 깊은수심항로만 지정되어 있고 흘수제약선 이외의 통항선박들에 대한 항로체계는 미비한 실정이다, 또한 여수해만 입구의 A, B, C, W 묘박지에서 항로로 진입하는 선박과 조업어선 등의 무질서한 운항으로 통항선박의 안전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여수해만 특정해역에 대하여 장래의 교통여건까지 고려하여 도출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강구하는 등 해양사고 예방을 위한 종합적인 해상교통체제 설정에 목적이 있다. There has been only a deep water route for deep draft vessels without any other routeing system in Yosu Bay despite of the rapid change in ship’s size and increase in the traffic volume since the specified area for traffic safety was established in 1988. In this work, we suggest several solutions to secure ship’s safety and to eliminate dangerous factors which exists in present ship traffic system Consequently, this work is to propose improved marine traffic system in future.

      • KCI등재후보

        목포항의 해상교통시스템 설정에 관한 연구

        정재용,김철승,박성현,Jong Jae-Yong,Kim Chol-Seong,Park Sung-Hyeon 해양환경안전학회 2005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1 No.2

        In the present maritime traffic conditions of Mokpo harbor, there exist many hazardous factors which may lead to huge accidents including marine oil pollution We analyze marine traffic environments including traffic congestion, natural conditions, maritime traffic accidents in the last 10 years, the fishery status, operation of traffic routes and management of navigational aids and regulations relating ships' routeing both in and out of the country. Consequently, this work is to propose improved marine traffic system in future. 현행 목포항의 항로는 달리도 등대 수역과 고하도 만곡부 지점을 대각도로 변침해야 함으로 국$\cdot$내외의 항로선계지침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항로 주변에 천소가 존재하고 제2항로의 신설로 인한 통항선박의 항법문제, 항로표지의 재배치 및 신실 등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목포항 접근수역에 대한 자연환경, 해양사고, 해상교통량 및 해상교통흐름실태조사, 어업현황 등을 조사$\cdot$분석하고, 전문가 및 이용자에 대한 설문조사 및 국내외 항로설계지침과의 적절성 등을 검토하여 개선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또한 개선안에 대한 해상교통류시뮬레이션 및 선박조종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타당성을 검증한다.

      • KCI등재

        명량수도의 통항분리방식 개선에 관한 연구

        오랜도 디마이리그,정재용,김철승 해양환경안전학회 2010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6 No.4

        명량수도 인근에 위치한 율도와 송도 해역의 항로는 통항분리대와 항로표지에 의해 잘 정비되어 있다. 그러나 율도 해역은 해상교통이 교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항해에 잠재적 위험성이 있다. 안개 등의 기상 현상, 서측 통항대를 이용해야 하는 선박의 대부분이 동쪽 통항대를 이용하여 혼잡을 야기하기 하고 있으며, 율도의 위치와 높이로 인해 시야를 가리고 있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통항분리대를 개선하여 수역에서의 항행을 효과적으로 가이드 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는 지난 5년간의 환경 여건과 72시간 동안의 해상교통조사를 실시하고, 항해 위험과 해양사고를 도출하며, 그 결과를 분석하여 통항분리대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한다. 통항분리대 개선안에 대해 ES 모델 지표를 사용한 해상교통류시뮬레이션과 전기능 선박조종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평가한다. The fairway within the area of Yul-do and Songdo located near the Myeongnyang-sudo approaches south of Mokpo harbor is well guided by traffic separation scheme and other navigational aids. However, that part of the waterways where Yul-do is located sits at the cross-roads of marine traffic and is subjected to some potential risks in the voyage navigation: the effect of climatic phenomenon, the disregard of most ships in using the western sector of the fairway creating a congestion in the eastern sector, and lastly, the disadvantageous erect of the location and height of Yul-do island that hinders good lookou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that prevailed in the area in the span of 5-year period and the marine traffic situation taken from the data within the 72-hour period The navigational hazards and marine casualties are also be presented. The results are analyzed and are made the basis of a proposal for an improved separation of traffic. Thereafter, an evaluation is carried out by using the components of marine traffic flow simulation and ES modeling index. It is evaluated through simulation by the use of full-mission ship handling simulator.

      • KCI등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Myeongnyang Waterways' Traffic Separation Scheme

        오랜도 디마이리그,정재용,김철승,Dimailig, Orlando S.,Jeong, Jae-Yong,Kim, Chul-Seung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 2010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6 No.4

        명량수도 인근에 위치한 율도와 송도 해역의 항로는 통항분리대와 항로표지에 의해 잘 정비되어 있다. 그러나 율도 해역은 해상교통이 교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항해에 잠재적 위험성이 있다. 안개 등의 기상 현상, 서측 통항대를 이용해야 하는 선박의 대부분이 동쪽 통항대를 이용하여 혼잡을 야기하기 하고 있으며, 율도의 위치와 높이로 인해 시야를 가리고 있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통항분리대를 개선하여 수역에서의 항행을 효과적으로 가이드 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는 지난 5년간의 환경 여건과 72시간 동안의 해상교통조사를 실시하고, 항해 위험과 해양사고를 도출하며, 그 결과를 분석하여 통항분리대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한다. 통항분리대 개선안에 대해 ES 모델 지표를 사용한 해상교통류시뮬레이션과 전기능 선박조종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평가한다. The fairway within the area of Yul-do and Songdo located near the Myeongnyang-sudo approaches south of Mokpo harbor is well guided by traffic separation scheme and other navigational aids. However, that part of the waterways where Yul-do is located sits at the cross-roads of marine traffic and is subjected to some potential risks in the voyage navigation: the effect of climatic phenomenon, the disregard of most ships in using the western sector of the fairway creating a congestion in the eastern sector, and lastly, the disadvantageous erect of the location and height of Yul-do island that hinders good lookou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that prevailed in the area in the span of 5-year period and the marine traffic situation taken from the data within the 72-hour period The navigational hazards and marine casualties are also be presented. The results are analyzed and are made the basis of a proposal for an improved separation of traffic. Thereafter, an evaluation is carried out by using the components of marine traffic flow simulation and ES modeling index. It is evaluated through simulation by the use of full-mission ship handling simulator.

      • KCI등재

        환경스트레스 모델을 통한 해양탐사·조사선의 격자형 운항방식과 운항요인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박현구,박영수,김대원 해양환경안전학회 2020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6 No.6

        Because of the continuous increase in the demand for and importance of marine space, marine exploration and survey activities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in Korea actively. Because the marine survey vessels used for these activities have special operational patterns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probe vessels, research on maritime traffic risk is required. In this study, an attempt was made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of each factor with the effect of marine exploration and survey vessel operation on maritime traffic. The status of ocean exploration and survey vessels in operation in Korea was identified, as well as the special operational conditions of some of the ocean physical probes. Generally, the number of exploration and survey vessels involved per hour, total vessel length(including exploration equipment), operation, interval distance of exploration as per plan, and marine traffic conditions(traffic volume and speed) can be classified as operating factors. To compare the results of the environmental stress, a maritime traffic flow simulation based on the “ES” Model was performed with each of the identified operating factors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environmental stress significantly changed in the order of traffic volume, ship length and spee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nvironmental stress is reduced when the operation course is set at an angle with the nearby maritime traffic flow. Accordingly, it can help reduce the operator's burden if the survey vessel operator understands nearby maritime traffic conditions and reflects them in the operation method when setting the operation plan. 해양공간 이용 수요와 중요도의 지속적인 증가에 따라 국내에서의 해양탐사 및 해양조사활동이 활발히 수행중이다. 이러한 활동을 위해 운항되는 해양탐사조사선은 목적 및 탐사선박에 따라 특수한 운항패턴을 가지므로 해상교통위험도를 고려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탐사·조사선의 운항이 해상교통에 미치는 영향을 각 요인별 상관관계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에서 활동중인 해양탐사·조사선 현황을 파악하였고 일부 해양물리탐사선의 특수한 운항실태를 식별하였다. 운항자부담감의 결과를 비교하기 위해서 운항요인 중 각 2가지를 독립변수로하여 ES Model 기반의 해상교통류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교통량, 선박 길이, 속력 순으로 운항자 부담감이 두드러지게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인근 해상교통흐름과 선수방위(침로)가 거의 유사한 운항 침로를 설정할 경우 운항자 부담감이 다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해양탐사·조사선이 운항계획을 설정할 단계에서 인근 해상교통현황을 파악하여 운항방식에 반영한다면 운항자 부담감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다.

      • 선박 충돌상황에서의 Agent 기반 항해행동 모델링 연구

        김홍태(Hongtae Kim),양영훈(Younghoon Yang) 한국항해항만학회 2020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0 No.춘계

        디지털 환경에서 해상교통을 모의하기 위해서는 주요 요소인 인적요인에 대한 모델링 필요하며, 현실감 있는 해상교통 상황의 재현 및 예측을 위해 항해자의 인지과정, 행동양식, 항해전문성, 항해오류 등을 모델링하여 반영하는 것이 타당하다. 본 발표에서는 해상교통류 분석을 위한 지능형 선박 에이전트 개발을 위해 선박운항과 관련된 항해자의 인지 및 행동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분석된 정보를 이용하여 선박 충돌상황에서 항해자의 행동과 유사한 에이전트 기반의 항해행동 모델 개발현황을 소개하고자 한다. For maritime traffic simulation in a digital environment, modeling of human factors, a major element, is necessary, and for the reproduction and prediction of realistic maritime traffic situations, it is reasonable to model and reflect the navigator’s cognitive processes, behavior patterns, navigational expertise, navigational errors, etc. To develop an intelligent ship agent for maritime traffic analysis, we will analyze the navigator’s ship navigation-related cognition and behavior, and introduce the status of the development of an agent-based navigational behavior model as similar to the navigator’s behavior.

      • KCI등재

        대산항 항로 개선안에 관한 연구

        김철승,임긍수,김성철,Kim, Chol-Seong,Rim, Gung-Su,Kim, Sung-Cheol 해양환경안전학회 2011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7 No.2

        대산항은 석유제품운반선, 케미칼운반선, LPG LNG 운반선과 같은 위험화물운반선의 비중이 매우 높으며 석유화학 및 지방산업단지개발계획과 연계 서해안 중부권의 거점 항만으로 개발 추진 중에 있어 향후 2020년에는 9,195척으로 2008년보다 입항 척수가 167% 정도 해상교통량이 증가 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대산항을 이용하는 선박의 입출항 항로 등에 대한 해상교통환경을 면밀히 분석 평가하고, 통항로 및 항행보조시설 등의 적정성 검토를 통하여 미래 지향적이고 안전한 해상교통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항로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한다. Daesan Harbor is developing under the Industrial Complex or Petrochemistry Development Plan making the port the main hub-port in the West coast. Because of this development. the traffic volume is expected to increase to 9,1.95 incoming vessels by 2020, an increase of 167% compared to 2008 figure. This study thoroughly analyzes and evaluates a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use of the fairway in the Daesan Harbor. It establishes a future oriented and safe marine transportation environment upon appropriate examination of the total fairways and sailing assistance facilities.

      • KCI등재

        해상교통흐름을 고려한 방파제 배치에 관한 연구

        정재용(Jae-Yong Jung),박영수(Young-Soo Park),고재용(Jae-Yong Ko) 한국항해항만학회 2005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29 No.3

        선박 조종자는 방파제를 통항할 경우 조선 부담감 느낀다. 방파제를 배치할 때 아직까지 선박 조종자의 조선 부담감을 고려한 적은 없다. 이 연구는 해상교통류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조선 부담감이 발생하는 상황을 재현하여 선박 조종자의 조선 부담감을 정량적으로 표현한 모델인 환경스트레스모델을 그 재현된 상황에 적용하였다.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방파제 배치 변화에 의한 조선 부담감의 차이는 그다지 크지 않다. (2) 방파제 사이의 항로 폭이 동일하면 선박의 속력에 따라 조선 부담감의 크기가 다르다. (3) 방파제 사이의 항로 폭이 넓어지면 조선 부담감은 감소한다. A mariner feels the shiphandling difficulty when the vessel onboard passes through breakwater. Until now, the shiphandling difficulty of the mariner has not been taken into account in the layout of a pair of breakwater. This paper reproduced such a situation that shiphandling is difficult enough by using marine traffic flow simulation, it is assessed by using ES Model which is a quantitative model for evaluating the difficulty of shiphandling arising from maneuvering a ship in the restricted or congested wat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change in the layout of a pair of breakwaters has little influence on the shiphandling difficulty. (2) If the width between breakwaters is the same, the speed of a ship affects the shiphandling difficulty. (3) The increase of the width decreases the shiphandling difficul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