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광복기 부산 지역 한글운동과 『한얼』

        이순욱(Lee, Soon Wook) 우리문학회 2017 우리文學硏究 Vol.0 No.53

        광복기는 새롭게 상상된 민족국가건설을 향한 도정에서 국어교육의 중요성이 집중적으로 부각된 시기다. 이를 위해 조선어학회와 군정청 학무국이나 다양한 사회단체의 주도로 교육용 한글교재를 발간하였으며, 한글운동단체의 결성과 활동 또한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지역의 사정 또한 마찬가지였다. 국어교육을 담당할 교사를 양성하는 일 못지않게 교육용 교재 발간을 통해 민족어의 지위로 올라선 조선어에 대한 교육은 시대적 요청 과제였다. 이 글에서는 그동안 한글운동사에서 소홀하게 취급되어 왔거나 크게 주목하지 않았던 광복기 부산 지역의 한글운동사를 재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 시기 부산 지역의 한얼몯음, 영남국어학회, 국어교육연구회, 한글문화보급회 경남지부, 한글촉진회 경남지부를 비롯한 한글운동단체의 활동과 전개과정을 실증적으로 고찰한 뒤, 한얼모둠의 활동과 기관지 매체 『한얼』의 매체 특성을 고찰함으로써 부산지역 한글운동의 실체를 규명하고자 했다. 한얼몯음은 “한글을 닦고 갈아 넓히며 역사를 캐고 찾아 가다듬고 다른 나라의 좋은 문화를 배워 상고하여 우리 문화를 높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내세운 광복기 부산 지역 최초의 한글운동단체다. 뒷날 영남국어학회로 조직을 확대 개편하였다. 이 단체는 강연회와 강습회, 학보 · 조사보고서 · 월간잡지 발간 들을 주요 사업으로 전개하였다.『한얼』은 이 단체에서 발행한 한글운동기관지다. 이 매체의 발행인은 당시 수산전문학교 교수로 있으면서 한글교육기관인 배달학원 원장, 학생동무사 주간을 맡고 있었던 유열이었다. 기관지 『한얼』은 ‘한얼’의 뜻을 여전히 일반 대중이 모를 뿐만 아니라 안다고 해도 어떤 종교단체의 기관지와도 이름이 같고 너무도 국수적인 느낌이 난다는 판단 아래 3호(1947.6)부터 『국어』로 개제하였으나 이 호수를 끝으로 종간되고 말았다. 이 매체를 비롯한 『학생동무』, 한글강습용 국어교재 『중등국문독본』 또한 한글운동의 산물이라 볼 수 있었다. 유열, 추월영, 장삼식, 홍남식, 정용수, 한가나다, 정신득, 박종우, 박지홍 등 부산 지역 국어학자들이 주요 필진으로 참여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Haneol, a magazine for the Hangeul movement, elucidating the process of the movement lead by such societies as the Baedal Educational Foundation, the Joseon Language Society, the Korean Language Culture Dissemination Association, and the Korean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in the Busan area during the Independence Period of South Korea. During this period, the textbooks for Hangeul teaching & learning were issued by the office for educational affairs of the military government and the Joseon Language Society. Meeting the educational demand of the times, those societies took the lea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angeul teacher education, and Hangeul textbook issue in the regional areas. Haneolmodeum, the first society for the Hangeul movement in the Busan area, claimed “the crucial contribution to enhance the quality of our culture by establishing our own history, describing it with Hangeul, and learning goo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other countries.” The main affairs of this society, which changed its name to Yongnam Language and Literature Association, were to hold lectures or learning meetings and to issue monthly magazines or reports on the Hangeul movement. Haneol was one of the magazines issued for the Hangeul movement by the society, but it ceased publication after the third volume. The publisher was Yu Yeol, a professor of the College of Marine Products, the chief of Baedal School, and the chief editor at the Haksaengdongmu (Student Companion) Press. Besides this magazine, the society issued another magazine, Student Companion, and a reader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Jungdeung Gungmundokbon (Middle Korean Reader). The main contributors of these media were Korean language scholars living in the Busan area and taking part in the Hangeul movement, such as Chu Wol-yeong, Jang Sam-sik, Hong Nam-sik, Jeong Yong-su, Baek Sa, Jeong Shin-deuk, Park Jong-uk, and Park Ji-hong. Thus, we know that the society, Haneolmodeum, was one of the core societies for the Hanguel movement and that all its media were the results of Hanguel movement in the Busan area during the Independence Period.

      • KCI등재

        조선시대 한글편지 서예미의 변천사적 고찰

        박정숙 한국서예학회 2015 서예학연구 Vol.26 No.-

        본 연구는 조선시대 16세기부터 19세기까지 왕, 왕비, 상궁, 사대부 남성과 여성, 등 각계 각층의 450년간에 쓴 편지 400여편 중에서 서체사적 비교의 체계성이 있는 편지 64종 70여편을 선정하고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분석방법은 조선시대 1500년대부터 1800년대 사이에 쓰여진 한글편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제1단계로 편지별 문장의 장법적 특징을 분석하고, 제2단계로 편지별 어휘 및 음절을 추출하여 조형성을 분석하고, 제3단계로 편지별 문장의 종합적 서예미를 분석하는 등 3단계로 나누어 수행하였다. 한글편지 서체의 신분별 특징을 살펴보면, 왕들의 편지글씨는 1600년대의 정적으로 나타낸 선조와 1700년대의 숙종 1800년대의 활달한 대원군의 편지글씨에 이르기까지 장법의 변화가 크게 드러나지 않아 시기의 변화과정보다는 개인의 개성적 특성에 따른 서체적 특징을 찾아볼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왕비의 편지글씨는 대부분 배행 배자방법이나 문자의 결구 방법이 자유분방한 필체로 나타내었으나 1600년대 인목왕후의 편지 등에서 글자의 중심축을 중앙에 두는 배자 방법을 구사하였는데, 장렬왕후 편지부터는 세로줄을 맞추기 위해 노력한 모습이 엿보여서 한글 서체의 장법의 변화를 찾아볼 수 있으며, 1700년대 인현왕후 편지부터 1800년대 후기로 오면서 정돈되고 정형적인 궁체 유형의 자형과 장법이 구사 되었다. 특히 1840년대의 순원왕후의 궁체에 가까운 서체, 1890년대의 순명효황후의 유연한 궁체유형의 글씨가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궁녀의 편지글씨는 1600,1700년대는 찾아보기 힘들고, 1800년대에 이르러 궁체 흘림의 완숙기를 이룬 것으로 나타난다. 남성의 편지글씨는 시기의 흐름에 관계없이 개성이 뚜렷한 필체로 썼고, 한자필체의 필의를 토대로 한글편지를 쓴 것으로 보여지며, 자모음의 획형을 생략화하여 연결성을 많이 살려 쓴 것으로 분석된다. 궁체의 필법을 살려 쓴 서체가 없으며 정자체로 쓴 편지를 찾아보기 힘들다. 여성의 편지글씨는 남성의 편지와 같이 각각의 개성이 잘 나타나지만 조형미가 남성편지보다 좀 더 높이 평가된다. 1500년대의 신천강씨나 이응태부인의 편지는 장법의 일관성이 나타나지 않지만, 1600년도의 배천조씨, 안동김씨의 편지에서 보면 점점 장법의 틀이 잡히면서 세로획 중심의 장법변화가 보이다가 1700년대 여흥민씨의 편지에서 완연한 궁체의 결구와 장법을 구사하여 궁체 흘림체의 서체와의 유사정도가 높이 나타난다. 한글편지의 신분별 우수서체는 군왕으로는 서선을 유연하고 힘차게 나타낸 효종 글씨(1652년)와 굵고 힘찬 서선표현과 대소조화를 이루어 연결성이 잘 나타난 대원군 글씨(1882년)가 있다. 왕비로는 정통적인 궁체의 특징을 잘 나타낸 순원왕후 글씨(1842년)와 굵고 부드러운 선으로 상하의 문자 사이를 자연스럽게 연결하여 아름답게 쓴 순명효황후(1897년)의 글씨가 있다. 궁녀의 편지로는 모두 궁체 흘림체로 각각의 개성미가 돋보이는 모법서체로 평가될 수 있다. 남성의 우수 편지서체로는 한자의 필의를 살려 활달하게 쓴 김정희 글씨(1818년)와 김정희의 부친 김노경의 편지 글씨(1791년)가 돋보인다. 여성의 우수 편지로는 굵은 선으로 자모획형을 간결하게 생략형으로 쓴 안동김씨 글씨(1697년)와 궁체 흘림체와 유사하게 쓴 여주이씨 글씨(1726년), 연결성을 자연스럽게 나타낸 여흥민씨 편지글씨(1735년)가 돋보인다. 이들은 한글서예 임모 자료로 활용할 가치가 큰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조선시대 한글편지 서체는 조선시대 최고 명필들이 조화롭게 역동적으로 써내려간 서체로서, 고전적이면서도 전통적 조형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출판 ․ 광고 ․ 패션분야 등 현대 디자인 분야에서 활용하기에도 적합하며, 캘리그래피(calligraphy)와 같은 현대서체를 창작하거나 전통적인 서체를 응용할 때에도 그 유용 가치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컴퓨터용 서체인 한글폰트 개발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컨텐츠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또한 조선시대 한글편지의 서체적 변천사를 교재로 활용할 수 있으며, 한글편지의 서체와 변천적 특징은 초․중․고등학교 미술교과서의 서예단원 내용 편찬에 활용할 수 있고, 일반인들의 한글서체 교육에 활용할 수 있다. Among more than 400 letters written by all social standings of kings, queens, court ladies, noblemen and noblewomen for 450 years from 16th to 19th century Joseon, this study selects approximately 70 letters from 64 kinds which have systemicity in comparison of chirographic history and analyzes them. With the letters in Korean written from 1500s to 1800s of Joseon period as the analytical subject, this study analyzes; first, their sentence structure; second, their formativeness by extracting vocabularies and syllables from each letter and; third, their comprehensive calligraphic beauty in sentences of each letter. Taking a look into characteristics of letters written in Korean by the writer's social standings, the sentence structure in kings' letters does not greatly vary from static style of King Seonjo and King Sukjong in 1600s and 1700s to lively one of regent Heungseon in 1800s, which therefore is analyzed that calligraphic characteristics did not change over time but depended upon each king's personal traits. Queens' letters are indicated as liberal writing style in their arrangement of lines and of letters and formative principles in characters but Queen Inmok in 1600s put the characters at the center in her letter as adopted in Chinese characters; changes in sentence structure of Korean chirography are observed from Queen Jangnyeol's letter and; well-organized and formal court-style shape of characters and sentence structure was adopted and settled in late 1800s, starting from queen Inhyeon in 1700s. Queen Sunwon's characters in 1840s which were almost court-style one and flexible court-style characters of Empress Sunmyeong in 1890s can be representative examples. Court ladies' characters in letters are hardly found in 1600s or 1700s and their letters written in Korean seem to attain complete maturity of a cursive hand in court-style writing in 1800s. Men's characters in letters are of unique individuality regardless of time period. They seem to write letters in Korean based on brush stroke for Chinese characters and their characters are analyzed as having marked connectivity by omitting strokes of consonants and vowels. There is no chirography on which court style is applied and letters written in square style are hardly found. Women's characters in letters are also of unique individuality but their formative beauty is more highly appreciated than that of men. Letters written by Mrs. Sincheon Kang or Lee Eung-Tae's wife in 1500s do not demonstrate consistency of sentence structure but in letters of Mrs. Baecheon Jo and Andong Kim in 1600s, sentence structure is gradually settled and its change is observed that vertical strokes come to play a central role and; formative principles and sentence structure of complete court style is adopted in Mrs. Yeoheung Min's letter, which demonstrates significant similarity with the cursive hand in court-style writing. Outstanding calligraphy on letters written in Korean for each social standing includes that of King Hyojong (1652) which is of flexibility and vigor and that of regent Heungseon which is with thick and energetic expression and marked connectivity in harmony of big and small. Among queens' calligraphy, that of Queen Sunwon (1842) which well demonstrates orthodox traits of court style and that of Empress Sunmyeong which is of thick and soft strokes beautifully arranged between upper and lower characters through natural curves are considered eminent. Distinguished letters of court ladies can be evaluated as example calligraphy that are of the cursive hand in court-style writing with distinct individuality. Among men's letters, that of Kim Jeong-hee (1818) which is vigorously written with brush stroke for Chinese characters and that of Kim No-gyeong (1791), Kim Jeong-hee's father are impressive ones. Superb calligraphy of women's letters includes Mrs. Andong Kim (1697) whose characters are thick and concisely written by omitting strokes of consonants

      • 확장한글을 이용한 영어발음 정밀표기 방안 연구

        김구룡 한국어정보학회 2016 한국어정보학 Vol.18 No.1

        한류문화의 세계화 추세가 생각했던 것보다 빠르게 진행되면서, 한류의 원천이라 할 수 있 는 한글에 대한 수요도 덩달아 증가하였고, 이제는 그와 같은 한류의 세계화 급류에 발빠르 게 대처하지 않으면 안 되는 시기를 맞이하였다. 그러한 한류문화의 세계화라는 시대적 조류 에 발맞추어 현대한글 11,172자보다 표현범위를 확장시켜 한글의 쓰임새를 최대한 넓혀보자 는 움직임이 연구자들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일어났다. 이후, 현대한글 11,172자의 표현범위 를 확장한 확장한글이 다양하게 고안되었고, 또 그 확장한글을 자판에서 입력할 수 있는 한 글 배열과 입력방법 등도 공식적으로 논의되기에 이르렀다. 당분야의 그러한 흐름에 따라, 본 연구는 현대한글 11,172자 범위 안에서 외래어를 적도 록 한 외래어 표기규정의 제한을 벗어나, 훈민정음 낱자 합자원리에 따른 <확장한글>을 이 용해, 영어 음소의 변이음(變異音) 수준까지 정밀하게 표기하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1차적인 목적이 있고, 그 정밀표기법을 간략표기법으로 전환하는 규칙을 제공하여, 한자어(漢字語) 독 음을 한글로 입력해 한자로 변환하는 방법(예: 정도→定都)과 마찬가지로, 그 전환된 간략표 기법에 따라 영어 발음을 한글로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예: 패러다임(입력)→ paradigm(변환))을 제공하는데 2차적인 목적이 있다. 그리고, 확장한글식 정밀표기법과 간략표기법을 컴퓨터/디지털 기기에서 입력할 수 있도록, 확장한글 자소를 배정한 확장형 한글자판과 그 입력방법까지 고안해 제시하고자 한다. 확장 한글식 정밀표기 방안이 아무리 절묘하게 고안되었다 하더라도, 그 것을 자판에서 입력하는 데 불편하다면, 보편적으로 통용되기 어렵기 때문에, 최적의 확장한글 입력방법까지 제공하려는 것이다.

      • KCI등재

        ‘제1세대 성서’를 통해 이루어진 복음의 토착화

        이덕주(Deok Joo Rhie)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0 Canon&Culture Vol.5 No.2

        이 글은 1910년 번역을 끝내고 이듬해 출판된 신?구약 한글 성서의 번역과정을 정리하고 그 100주년의 역사 신학적 의미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1870-1880년대 중국 만주에서 시작된 한글 성서 번역과 출판은 한국 개신교회 복음 선교의 단초를 제공했고 1885년 일본에서 인쇄된 한글 성서를 갖고 내한했던 개척 선교사 아펜젤러와 언더우드는 곧바로 성서 공동 번역에 착수하여 1887년 마가복음을 인쇄하였다. 이를 계기로 선교사들이 성서 번역자회를 조직하여 처음엔 일본과 만주에서 번역된 성서를 교정하는 형태로 진행하다가 1893년 상임성서실행 위원회와 번역자회를 새로 조직하면서 개인 역→번역자회 역→위원회 역→시험 역→공인 역으로 이루어진 번역 원칙과 방법론을 제정하였다. 이런 원칙하에 전면적인 번역 작업에 착수하여 1900년에 시험 역본과 개인 역본이 혼합된 형태의 신약전서를 인쇄하였다. 이어서 1904년 영국과 미국, 스코틀랜드 성서공회와 한국 선교에 착수한 장로교와 감리교 선교회들이 참여한 한국성서위원회를 조직하고 체계적인 성서 번역과 인쇄, 반포 사업을 추진하였다. 이와 함께 한국인 번역자들도 참여하는 성서 번역자회를 새롭게 구성하여 신약 개정 작업에 착수하여 1906년 공인 역본 신약전서를 인쇄하였고 이어 구약 성서 번역에 착수, 1910년 4월 번역을 끝내고 1911년 3월에 구약 전서 및 신?구약 합본 성경전서를 인쇄하였다. 이로써 한국 교회는 비로소 한글로 번역된 성서 전체를 소유하게 되었다. 이렇게 해서 태어난 신?구약 성경전서는 한국개신교회 선교 개척을 담당했던 내한 1세대 선교사들과 이들을 통해 복음을 받아들이고 개종한 1세대 토착 교인들의 합작으로 만들어진 ‘제1세대’ 한글 성서란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제1세대’ 한글 성서로 1910년 번역을 끝낸 신?구약 성서는 다음 세 가지 역사신학적 의미를 지닌다. 첫째, 성서 번역을 통해 복음의 토착화가 이루어졌다. ‘말씀이 육신이 되는’ 성육화(成肉化) 과정처럼 성서 속에 담긴 기독교 신앙과 신학적 의미가 한글 번역을 통해 한국의 토착 언어와 종교 문화 속에 뿌리를 내리게 된 것이다. 둘째, 성서 번역과 인쇄를 통해 한글의 과학적 연구와 실용화가 이루어졌다. 초기 내한 선교사들은 성서를 비롯한 기독교 문서를 한글로 번역, 출판하였는데 그 결과 세종대왕 창제 이후 4백 년 넘게 긴 잠을 자고 있던 한글의 실용화와 연구가 이루어져 한글이 ‘한국민의 생활 언어’로 자리 잡게 되었다. 셋째, 성서 번역과 인쇄, 반포 사업을 통해 교회 일치와 연합 운동이 촉진되었다. 외국의 3개 성서공회, 한국 선교에 임하고 있던 6개 장로교와 감리교 선교회가 조직한 성서위원회는 물론 성서 번역자 회도 초교파적으로 조직, 운영되었는데 이를 통해 교파주의를 극복한 교회 일치와 연합 운동이 가능하였고 그 결과 ‘하나의 교회’를 지향하는 ‘하나의 성서’ 전통을 수립할 수 있었다.

      • 훈민정음 창제 정신에 따른 통일 시대의 한국어 정보화

        정달영 한국어정보학회 2013 한국어정보학 Vol.15 No.2

        한국어ž한글 정보화란 우리 한국어와 한글문화를 정보화 하고, 외래 정보 문화를 한국어ž 한글로 정보화하는 것을 말한다. 한국어와 한글문화를 전산 정보화 하여 새로운 문화 형 태로 재창조하고 발전시켜 나아가는 일이 한국어⋅한글 정보화의 한 측면이다. 한국어⋅한글 정보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주체성을 잃지 말아야 한다. 우리 자신이 능 동적으로 독창적인 한국 언어 문화를 ‘세계 문화 마당’에 확산시켜야 한다. 그리하여 세계 언어 문화의 동산에 한국어와 한글문화의 꽃을 조화롭게 피우는 것이 한국어⋅한글 정보 화의 핵심이라 하겠다.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창제하여, 우리 겨레의 생활을 획기적으로 변화시켰다. 21세기에는 컴퓨터를 활용한 한국어⋅한글의 자료 구축과 연구 사업을 통해서, 다시 한 번 한국어와 한글의 가치를 새롭게 높여 나아가야 한다. 우리는 이를 위하여 한국어⋅한글 정보화 및 산업화의 효과적인 방안을 찾아야 한다. 특별히 우리는 남북 간의 IT 산업 교류 활성화로 통일 시대를 준비한다는 사명감을 가지고, 한국어와 한글의 정보화 및 세계화의 기틀을 튼튼히 쌓아 나가길 바란다.

      • KCI등재

        한글의 상징적 조형성을 활용한 국내 패키지 디자인 연구

        이하림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0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8 No.3

        타이포그라피는 상품에 대하여 소비자에게 짧은 시간에 각인시키고 정보전달을 하는 주요한 디자인 요소이다. 시대상을 반영하기도 하며 프린팅이라는 수단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파급효과를 지속시킬 수 있다. 따라서 현대적인 감각과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기능적인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여야 한다. 타이포그라피의 표정에 따라서 패키지 상품의 포장수준과 내용물의 성격이 표출되고 소비자에게 각인될 수 있는 아이덴티티(Identity)를 결정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한글의 조형성이 갖는 디자인적요소를 파악하여 패키지디자인에 응용할 수 있는 그라픽적 요인들을 연구한다. 둘째, 한글의 조형성을 통해 개발된 상징성이 갖는 미학적, 조형적 특성이 시장에서 어떠한 영향력을 가졌는지 확인한다. 둘째, 한글의 조형적 특성뿐만 아니라 상징적 개념 요소의 추출로 인하여 패키지디자인의 새로운 부가가치 브랜드를 창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러한 전제를 통하여 패키지디자인의 특성에 한글의 조형적 요소를 통한 상징성을 접목하고 한글의 세계화, 브랜드화가 새로운 고부가가치 상품의 탄생으로까지 연계되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 한다. 연구의 범위는 국내 패키지디자인 중에서 한국 디자인연감 (2006∼2009)과 산업디자인대전(2006∼2009)에 출품 및 입상한 디자인과 해외의 주요 브랜드를 중심으로 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인터넷, 신문의 보도 자료와 문헌을 바탕으로 연구하였고 세부적 사항은 첫째, 국내 패키지디자인이 브랜드화되어 경쟁력이 높은 상품으로 발돋움하게 된 배경과 사례를 조사하였다. 둘째, 제시한 사례를 분석하여 향후 패키지디자인에서 한글의 상징성을 통한 디자인 방안과 그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결론에서는 한글의 조형성을 통한 패키지디자인의 상징적 브랜드화를 이룩하기 위한 방법들을 앞서 사례분석을 통한 내용에서 유추하였다. 이와 같은 사례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고유의 디자인 소재가 큰 상징적 의미를 지니고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한글의 조형적 요소와 상징성이 높은 디자인을 통한 브랜드화에 대하여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Recently, in line with changes in the social & cultural environment, consumers' consumption consciousness is also changing, consumers, without sticking to the past consumption patterns, tend to decide their consumption methods or 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ir values or way of thinking. Especially, in respect of today's consumption, a consumption class called brand a brand class or Luxury generation is newly influential and, a consumer group appear whose their values or desire system is affected by and whose satisfaction depend upon what kind of products they use. in respect of today's consumption, a consumption class called brand a brand class or Luxury generation is newly influential and, a consumer group appear whose their values or desire system is affected by and whose satisfaction called brand a brand class or Luxury generation is newly influential and, a consumer group appear whose their values or desire system is affected by and whose satisfaction depend upon what kind of products they use in respect of today's consumption, a consumption class called brand a brand class or Luxury generation is newly influential and, a consumer group appear whose their values or desire system is affected by and whose satisfaction depend upon what kind of products they use in respect of today's consumption, a consumption class called brand a brand class or Luxury generation is newly influential and, a consumer group appear whose their values or desire system is affected by and whose satisfaction depend upon what kind of products they use in respect of today's consumption, a consumption class called brand a brand class or Luxury generation is newly.

      • KCI등재

        한글서예의 연구현황과 개선방안

        장지훈(Jang, Ji-Hoon) 한국서예학회 2021 서예학연구 Vol.38 No.-

        한글서예는 한글이 창제된 후 각종 서체가 생성되고 작품화가 이루어져 600여년 가까이 예술적으로 변천되어 온 것은 아니다. 실제 쓰임이 위주가 된 글씨체로서 한글의 사용빈도와 확산과 발전에 따라 서체의 생성과 발전, 예술성이 서서히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때문에 한글에 대한 연구는 국어학계에서 학술적으로 많은 성과가 있었지만, 서예사적으로 한글의 예술성에 대한 연구는 크게 다뤄지지 못했다. 그러다 근래에 와서 한글서예에 대한 연구자가 늘어나고, 학문적 관심도 증대되면서 한글서예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 성과가 축적되어가고 있다. 이에 본고는 최근 30년간 한글서예의 연구현황을 살펴보고, 연구의 경향을 분석한 뒤, 향후 한글서예 연구의 개선과제를 제안해보고자 한다. 특히 한글서예의 학술적 연구내용을 도출하는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한글서예 연구아카이브 구축을 시도한 것으로, 한글서예의 연구 성과를 한 자리에 집약하고 분류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한글서예 관련 연구 저서 10편과 논문 155편을 분석한 결과, 한글서예에 관한 연구는 짧은 기간임에도 불구하고 상당한 규모와 수준의 연구 성과를 내었다. 이는 한문서예 분야에 비해 학술적인 연구의 필요성과 그에 대한 인식이 낮았던 예전에 비해 한글서예가들이 점차 한글서예의 학문적 연구 가치와 필요성, 중요성에 대해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을 방증해준다. 비록 한글서예가 한문서예의 역사에 비해 2500여년 뒤늦게 출발했지만, 한문서예가 예술적·학문적으로 자리잡아가는 과정에서의 오랜 역사적 시간을 감안한다면 한글서예는 단기간에 상당히 연구가 진전되고 축적되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다만 한글서예가 지난 30년간의 연구 성과를 토대로 향후 학문의 발전과 도약을 기약하기 위해서는 연구의 개선도 필요하겠다는 생각에서 네 가지 과제를 제안하였다. Hangeul Calligraphy has not been artistically transformed for nearly 600 years since the creation of Hangeul, as various types of Calligraphy were created and produced as examples of Korean documents. It is a writing style that focuses on actual use, and the value of Calligraphy, development, and artistry were simultaneously created and develop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and spread and development of Hangeul. Therefore, the study of Hangeul has achieved a lot of academic achievements in the field of Korean linguistics, but the study of the artistry of Hangeul in Calligraphy has not been dealt with much. Nevertheless, as the number of researchers on Hangeul Calligraphy has increased and academic interest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the basic research results on Hangeul Calligraphy have been accumulating considerably. In response, the main school want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on Hangeul Calligraphy over the past 30 years, analyze the trends of research, and propose tasks to improve Hangeul Calligraphy research in the future. In particular,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derive academic research content of Hangeul Calligraphy, it is meaningful that it attempted to build a Hangeul Calligraphy research archive, which summarizes and categorizes the research achievements of Hangeul Calligraphy in one place.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10 research books on Hangeul Calligraphy and 155 papers, the research on Hangeul Calligraphy produced significant scale and level of research results despite the short period of time. This proves that Hangeul calligraphers are gradually increasingly aware of the valu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academic research in Hangeul Calligraphy compared to the past, when the need for academic research and awareness of it was lower than in the field of Chinese Calligraphy. Although Hangeul Calligraphy started 2,500 years later than the history of Chinese Calligraphy,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Hangeul Calligraphy has progressed and accumulated considerably in a short period of time in the process of artistic and academic establishment. However,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the past 30 years, four tasks were proposed in the idea that improvement of research would be necessary in order to take a leap forward in the future.

      • KCI등재

        유니코드 환경에서의 올바른 한글 정규화를 위한 수정 방안

        안대혁(Dae Hyuk Ahn),박영배(Young Bae Park) 한국정보과학회 2007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4 No.2

        현재 유니코드에서 한글텍스트의 정규화 기법은 완성형 현대한글 음절과 옛한글을 표현하는 조합형 한글 그리고 호환 자모등과 같이 사용할 경우 원래의 글자와는 전혀 다른 글자의 조합을 만들어내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호환 한글 자모 및 기호들의 잘못된 정규화 변환과 유니코드의 한글자모 조합 규칙에서 자모와 완성형 현대한글 음절을 다시 조합하여 한글음절로 사용 할 수 있게 허용한 때문이다. 이는 정규화 형식을 처음 작성할 당시 옛한글의 사용을 고려하지 않았거나, 한글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부족한 상태에서 작성 된데 따른 결과라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니코드 환경에서의 한글코드와 특히 최근 들어 Web을 비롯하여 XML과 IDN에서 필연적으로 사용하는 정규화에 따른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들을 올바르게 처리하기 위한 정규화의 수정 방안과 조합형 한글의 조합 규칙에 대한 수정 방안을 제안한다. Hangul text normalization in current Unicode makes wrong Hangul syllable problems when using with precomposed modern Hangul syllables and composing old Hangul by using conjoining-Hangul Jamo and compatibility Hangul Jamo. This problem comes from allowing incorrect normalization form of compatibility Hangul Jamo and Hangul Symbol and also permitting to use conjoining-Hangul Jamo mixture with precomposed Hangul syllable in Unicode Hangul composing rule. It is caused by lack of consideration of old Hangul and/or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Hangul code processing when writing specification for normalization forms in Unicode. Therefore on this paper, we study Hangul code in Unicode environment, specifically problems of normalization used for Web and XML, IDN in nowadays. Also we propose modification of Hangul normalization methods and Hangul composing rules for correct processing of Hangul normalization in Unicode.

      • KCI등재

        소련지역 고려인 한글학교 설립과 운영

        지충남(Ji, Choong-Nam),양명호(Yang, Myeong-Ho)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6 한국민족문화 Vol.58 No.-

        소련의 붕괴는 각 공화국의 민족주의를 부상시켰으며 그 결과, 소수민족들의 민족 정체성 또한 강화되었다. 한국과 소련의 외교관계가 단절된 상황에서 한국정부의 고려인 동포에 대한 관심은 미흡하였다. 1990년 한·소가 수교했지만 정부의 고려인에 대한 재외동포정책은 부재하였다. 소련에는 12개의 한글학교가 운영되고 있었다. 한민족의 정체성을 상징하는 한글을 배우려는 고려인들의 강한 열망이 광주전남 지역에 알려졌으며, 1991년 소련에 광주한글학교를 세우기 위한 기금운동이 전개되었다. 그 결과, 소련의 6개 지역에 광주한글학교가 수립되었고, 1992년부터는 고려인 출신 교사와 한국인 교사를 중심으로 수업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1990년대 중반을 기점으로 5개 광주한글학교는 모두 폐쇄되었으며, 타슈켄트 광주한글학교는 교명을 변경하였다. 한국정부 혹은 1997년 설립된 재외동포재단이 해야 할 역할을 1990년대 초반부터 광주전남의 지역민들이 한글학교를 세워서 고려인들의 한글교육의 확산에 기여했지만 현재는 광주한글학교에 관한 아무런 기록조차 남아있지 않았다. 광주한글학교의 폐쇄는 학교운용 비용의 지원 단절과 관리의 부실이 직접적 원인이었다. 시사점으로는 첫째, 학교운영에 필요한 최소한의 지원; 둘째, 관리적 측면에서 지원체계의 수립; 셋째, 한글학교의 독자 운영을 위한 자생력 확보; 넷째, 고려인 단체 및 한국 교육기관과의 협력 네트워크 구축이다.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had strengthened nationalism in each republic, and the ethnic identity of minority races was reinforced as well. As the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the Soviet Union were broken off, the Korean government didn"t pay attention to Goryeoin, which are ethnic Koreans in this region. Although Korea established diplomatic ties with the Soviet Union later, there was no Korean policies geared toward these Overseas Koreans. In the Soviet Union, 12 Hangul schools were established. The strong zeal of the ethnic Koreans for learning Hangul that was the symbol of the identity of the Korean people was known to the region of Gwangju, South Jeolla Province, and a fund-raising campaign was conducted in 1991 in this area to found Gwangju Hangul schools in the Soviet Union. Gwangju Hangul schools were established in six areas of the Soviet Union, and education was provided by Korean teachers and teachers who were Goryeoin. But five schools were shut down in the mid-1990s, and Tashkent Gwangju Hangul School changed its name. The locals in Gwangju, South Jeolla Province, contributed to the spread of Hangul education by founding Hangul schools from the early 1990s, which should have been done by the Korean government or the Overseas Korean Foundation that was established in 1997, but there are no records about Gwangju Hangul schools at present. The shutdown of Gwangju Hangul schools was rooted in discontinued financial aid and poor management. Now, there are some suggestions on the management of Hangul schools. First, even the smallest amount of financial support should be provided to run the schools. Second, a supporting system should be set up to ensure successful management. Third, the schools should be self-reliant enough. Fourth, there should be a cooperative network between Goryeoin organizations and Korean educational institutions.

      • KCI등재

        조선시대 한글 금석문 연구

        한소윤(So-youn Han) 한국서예학회 2022 서예학연구 Vol.41 No.-

        국내 소재 조선시대 한글 금석문으로는 1536년 제작되어 서울에 위치한 <이윤탁 한글 영비>, 1686년 제작된 경기도 포천시에 있는 인흥군 묘역의 <인흥군 묘산비>, 정조 연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하는 경북 문경의 <조령 ‘산불됴심’ 표석>, 제작 시기가 1796년과 1916년 두 가지 설이 있는 경남 진주 <의곡사 한글 비>, 1879년에 제작된 경남 거창의 김계진 부사 불망비의 뒷면인 <거창 한글 철비>가 있다. 이 비문 5개는 16~19세기의 것으로 한글사료가 희귀한 상황에서 조선시대의 역사·사회·문화·예술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조선시대 한글 금석문의 서체는 한글 비문이 출현했던 각 16세기~19세기에 상용했던 유행서체와 유사한 서풍이 나타난다. 즉, 훈민정음해례본체, 훈민정음언해본체, 민체의 다양한 서체를 한글 금석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선시대 한글 금석문은 한글서예사에서 빠질 수 없는 중요한 사료가 되며 동시에 서예학적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조선시대 한글 금석문들은 그 소재와 수량만으로도 희소성과 특수성을 지닌 사료로서 문화재적 가치가 충분하다. 금석문의 내용을 통해 당시 조선시대 생활상을 잘 알 수 있었으며, 특히 한글 문장에 나타난 어휘를 통해 국어학적으로 중요한 사료적 가치를 지닌다. 또한 이 비문들이 건립된 배경과 목적을 통해 당시 조선시대 사회상과 연결짓는 중요한 매개가 됨을 알 수 있다. Among the golden stone gates of the Joseon Dynasty made in Korea, Lee Yun-tak Hangeul Monument in Seoul was produced in 1536, the Hangeul Tombstone in Inheung-gun Cemetery in Pocheon-si, Gyeonggi-do was produced in 1686, and Joryung 'Wildfire Dawn Sim in Mungyeong, Gyeongsangbuk-do, which is presumed to have been made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 There is a stone monument, the Hangeul Monument of Uigoksa Temple in Jinju, Gyeongnam, which has two theories of production date in 1796 and 1916, and the Geochang Hangeul Iron Monument, which was produced in 1879 and is the backside of the Bulmangbi by Kim Gye-jin of Geochang, Gyeongsangnam-do. These five inscriptions are from the 16th to 19th centuries, and are important cultural heritages that allow you to examine the history, society, culture, and art of the Joseon Dynasty in a situation where historical documents in Hangeul are rare. In the Joseon Dynasty, the font style of Hangeul Geumseokmun is similar to the popular font used in the 16th, 17th, 18th, and 19th centuries, respectively, when Hangeul inscriptions appeared. In other words, various fonts of Haerye, Eonhae, and Minche can be found in the Hangeul Geumseokmun. Through this, the golden stone inscriptions of Hangeul in the Joseon Dynasty become an important historical material that cannot be missed in the history of Hangeul calligraphy, and at the same time have an important calligraphic value. In the Joseon Dynasty, Hangeul gold stone inscriptions have sufficient cultural value as historical materials with rarity and specificity only in their material and quantity. Through the contents of Geumseokmun, it was possible to know the language life of the Joseon Dynasty well, and in particular, it has an important historical value in terms of the Korean language through the vocabulary shown in the Hangeul sentences. Also, through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ir construction, it can be seen that these inscriptions become an important medium to connect with the social image of the Joseon Dyn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