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언어문화 교육의 질적 향상 방안

        윤여탁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5 한국언어문화학 Vol.12 No.1

        이 글은 한국 언어문화 교육의 내용과 실제는 주로 한국 사회・문화 교육의 차원에서 이루어지지만, 다른 한국어교육의 영역에서도 유용 하다는 점을 전제로 하였다. 즉 한국어교육에서 언어와 문화는 뗄 수 없는 관계라는 점을 전제로 하여, 한국어교육의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언어교육, 문화교육의 통합 교육적 현상을 한국 언어문화 교육이라는 개념으로 포괄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를 통해서 한국 언어문화 교육의 질적 향상 방안을 살펴보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세부적으 로는 한국 언어문화 교육 내용의 구체화, 한국 언어문화 교육 방법의 다양화, 한국 언어문화 교육 연구의 심화라는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그 해결 방안을 모색하였다. 특히 언어문화 교육 방법에서는 필자의 전공인 한국문학 작품을 활용하는 교육적 효용성에 중점을 두고 구체 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제안하였다.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12-1, 1-22. This study assumes that contents and practices of language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useful not only for social-cultural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ut also for other area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the relation between language and culture is inseparabl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intends to integrated language education and culture education that are conducted in the contex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the concept of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qualitative improvement plan for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order to the purpose, this study focuses on actualizing educational contents, diversifying educational methods and intensifying educational researches of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Particularly, focusing on educational usefulness, this study offers education methods that make use of Korean literatures that is my major study.(Seoul National University)

      • KCI등재

        Korean Music of Some Textbooks for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in the U.S.A.

        Heo, Seon-Hyeong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1 국악교육연구 Vol.5 No.1

        20세기 초부터 미국사회는 세계 각국으로부터 몰려온 이민자들의 다양한 문화에 대해 관심을 가 지기 시작했다. 이러한 시대적․사회적 배경은 학교 교육에도 영향을 미쳐, 미국음악교육계에서는 유럽의 클래식 음악 일색의 제재곡 및 교육내용에서 벗어나, 다른 문화권의 다양한 음악을 음악수 업을 통해 제공할 수 있는 다문화주의 음악교육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이 교재들의 동아시아 편에 소개된 한국음악제재곡과 교수법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학교종’과 ‘아침바람’을 수록한 『Roots and Branches』, ‘아리랑’과 ‘도라지 타령’을 수록한 『Silver Burdett Making Music Series K-12』, ‘거문고 산조’와 ‘아악(문묘제례악)’을 소개한 『Teaching Music Globally』 그리고 서양음악에 없는 개념인 한국의 장단과 구음 등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 『Thinking Musically』 등 4종류의 책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위 책들에 나타난 한국음악에 관한 내용과 지도법을 다음 3가지 기준을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첫째, 위 제재곡들이 한국음악을 대표하는 곡으로 의미가 있는지 알아보겠다. 둘째, 이 제재곡들이 어떻게 가르쳐 지고 있는지 살펴보겠다. 셋째, 위의 책들에 실린 한국음악의 설명, 악보, 그림, 참고 자료 등이 정확한지 확인하고, 혹 오류가 있다면 시급히 고쳐서 바른 정보를 줄 수 있어야 할 것이 다. 이와 같이 본 글은 미국의 음악수업시간에 소개되고 가르쳐지는 한국음악은 무엇인지, 그리고 어떤 교수법을 적용하여 어떻게 가르쳐지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미국 다문화주의 음악교육의 석학이자, 시애틀의 워싱턴 주립대학의 페트리샤 쉐한 캠벨 교수는 초기 월드 뮤직 소개서인 『Roots and Branches』라는 책에 ‘학교 종’과 ‘아침바람’과 같은 두 곡의 한국음악을 소개하고 있다. 오선보를 사용한 악보에 한국어 가사의 영어 표기와 미국학생들이 가사내 용을 이해하기 쉽게 풀이한 영어해석을 함께 소개하였다. ‘아침바람’에서는 노래와 ‘가위, 바위, 보’ 놀이, 그리고 신체표현을 한국음악의 특징으로 보고 지도하였고, ‘학교종’에서는 학생들이 선생님을 존경하는 한국문화의 특징과 4/4박자 리듬에 맞춰 신체표현과 리듬악기로 즉흥 연주를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교수법들을 적용하기 전에 가장 먼저 고려해야할 점은 바로 그 제재곡이 가르쳐질 만한 곡인가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고 본다. ‘아침바람’은 홍양자의 연구에 의해, 2박자 계통의 리 듬을 사용하는 일본 동요라는 것이 밝혀졌고, ‘학교 종’ 역시 서양음악의 특징인 으뜸화음과 딸림화 음을 사용한 화성음악으로 전통적 한국음악 양식과 거리가 멀다. 1990년대 초반까지도 한국의 음악 교과서에 이런 음악들이 제재곡으로 자주 나왔으나, 현재 전통적 한국음악어법에 따른 전래동요들 이나 새로운 창작동요들이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 따라서 미국에서 다른 문화권의 독특한 음악 과 문화를 배우기 위해 한국음악을 제재곡으로 선택한다면, 반드시 한국음악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가능한 제재곡의 선택이 무엇보다 신중히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Silver Burdett Making Music Series K-12』는 ‘아리랑’과 ‘도라지 타령’등과 같은 한국음악을 소개하였다. 그러나 아쉽게도 지도내용은 한국음악의 특징은 외면한 채, 오선보에 기보된 악보와 피 아노 반주, 그리고 벨칸토 창법의 소프라노처럼 서양음악교수법에 따라 적용되었다. 또한 ‘세마치장 단’에 맞춰 부르는 노래를 3/4박자에 기보하여 진정한 장단감을 느끼기 어려움으로 9/8로 기보된 악보를 사용해야 할 것이다. 이 노래를 배우는 학생들이 한국의 민요가창자의 음원을 들어보고 음 원의 가락과 오선보에 기보된 가락과의 차이 그리고 그들이 이제까지 익숙했던 소리가 아닌 다른 방식으로 음악이 연주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면, 세상의 모든 음악이 같은 방식으로 연주되지 않는다는 좀 더 넓고 다양한 음악적, 문화적 식견을 가질 수 있게 될 것이다. 세 번째 음악교재는 페트리샤 쉐한 캠벨의 『Teaching Music globally』로, 이 책에서 한국음악은 거문고 산조와 문묘제례악 두 가지가 소개되고 있다. 거문고 산조에서는 독주악기 거문고와 반주악 기 장구, 그리고 산조라는 음악장르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그리고 거문고의 농현과 대점을 치는 연주법에 대한 설명 뿐 아니라, 한국음악에서 거문고의 위상이나 문화적 의미까지 설명한다. 또한 이 곡의 감상법으로 수차례 음악을 듣고 나서는 한 번에 그 음악의 특징, 즉 3분박의 장단, 농현과 같은 시김새, 우아한 선율, 장구반주 등에 하나씩 집중하여 들어보고 다시 이를 종합적으로 감상하 도록 제시하고 있다. 그 다음은 1116년 중국에서 수입된 그대로의 모습을 가지고 전래되어 12세기 아악의 연구에 귀 중한 자료가 되고 있는 문묘제례악(“A-ak”)으로, 유교제례음악이라는 객관적, 역사적 설명들과 함께 독특한 음조직, 여음 등에 집중하며 소개되었다. 오늘날 한국의 음악교육은 문묘제례악보다는 종묘 제례악에 더 큰 의미와 비중을 두고 가르치고 있어 공자와 맹자를 비롯한 중국의 유교 성인뿐만 아니라 조선의 위대한 선대 학자들에 대한 예와 존경을 다한 우리의 전통이 거의 잊히고 있는 실정 이다. 따라서 이 교재에서 종묘제례악보다 문묘제례악을 소개하고 있는 것이 인상적이며, 그 음악의 문화적 배경과 의미에 대해 좀 더 구체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 음악은 동아시아 국가 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유교제례악으로, 서로 공유하고 있는 유교적 정서와 문화적 배경이 다른 나라에서 한국음악을 배울 때 또는 동아시아 음악의 전체적 특징을 찾을 때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Wade가 쓴 『Thinking Musically』는 음악수업을 위한 제재곡 중심이 아니라, 다른 문화권의 음 악을 이해하기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하는 기본적인 음악개념에 대해 나타낸다. Wade는 흔히 한국음 악의 장단이 중동아시아 음악의 리듬선법과 비슷하다고 보는 것은 옳지 않으며, 한국음악에서 장단 은 박의 단위라기보다 한배라는 그룹단위로 이해하는 것이 옳다고 설명하고 있다. 또한 장단은 단 위박의 속도, 음악 반복의 단위, 긴장과 이완의 표현, 그리고 산조의 악장 등의 다양한 의미를 내포 하고 있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이 책을 통해 음악교사들이 한국음악의 핵심개념인 장단에 대해 제 대로 이해한다면, 한국음악 제재곡에서 세마치장단이나 굿거리장단을 만났을 때 그 음악을 제대로 표현하고 학생들에게 좀 더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글은 미국에서 다문화 음악교육을 위한 음악교재들에 나타난 한국음악 제재곡들과 교수법들 이 한국의 음악적 특징과 문화적 배경을 얼마나 잘 나타내고 있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 연구에 서 다문화 음악교육의 제재곡으로 한국음악은 단 몇 곡 사용되었을 뿐이지만, 그 제재곡들로부터 학생들이 한국의 음악적․문화적 특징을 탐색하고 이해하는데 초점을 두고 다양한 교수법들을 적용 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어떤 노래의 악보는 어린 학생들을 위해 단조롭게 편곡하였고, 원곡의 느낌을 살리지 못하는 박자로 그 음악을 제대로 배우지 못하는 등 여러 면에서 부족한 점도 많았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한국음악을 비롯한 다문화 음악교육이 이 세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음 악을 그저 펼쳐 보이는데 그칠 것이 아니라, 단 한 곡을 통해서라도 진정으로 그 음악의 문화적 측 면, 의미, 그리고 전승과정들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게 지도되길 당부하고자 한다. Since the early 1900s, the interests of culture, education, and music of immigrants have been increased in the U.S.A. Under this background, music classes in the school have been requested to serve the musical and cultural needs of immigrated students. For this reason, several scholars in music education have published various literatures on the teaching materials and approaches for the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he leading scholars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world published the teaching materials and approaches to introduce an exotic music and various music curricula. The Campbell’s literatures have been seriously considered as the precedent study on the roles and methods for the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due to their unique accomplishment and reality for the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he following books which are related to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also describe the methods and approaches for teaching Korean music as the part of East Asian Music. In this study, based on the above literature, we examine the method for explanation of Korean music and the approaches for teaching Korean music which have been established in the U.S.A. For this research, the literature is examined by the following three standards. Firstly, we investigate the repertoires for Korean music in the books since the early 20th century, Japan and Western culture have influenced on Korean music and culture. For the second, the approaches which were already established for teaching Korean music are explored. Lastly, the information, notation, and illustration for Korea and Korean music in the literature are examined. We may need to consider that these materials are appropriate to represent and understand Korean music correctly. Consequently, this study investigate that the Korean musical characteristics and the knowledge of Korean culture are properly understood by the multicultural music textbooks which are used for teaching Korean music in the U.S.A.

      • KCI등재후보

        문화적 배경 차이에 따른 뉴스가치 비교 분석

        홍병기(Hong,Byeong-Gee) 한국문화산업학회 2013 문화산업연구 Vol.13 No.2

        신문의 1면은 그날의 가장 중요한 뉴스들로 구성되기 때문에 특정 신문사가 기사 선택과정에서 어떠한 가치관을 우선하는가가 뚜렷하게 드러나는 공간이다. 언론사의 복잡하고 다양한 의사결정 구조과정에서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가치 중에서 ‘문화적 배경’에 대한 분석은 국가나 문화, 언어 가 다른 이질적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언론인들간의 뉴스가치의 비교에 유용한 이론적 토대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적 토양이 다른 에디터들이 다양한 기사 소재를 놓고 톱뉴스로 다루는 과정에서 어떤 기준에 따라 기사 선택에 나서며, 그 차이는 지면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주목해서 분석한다. 이를 위해 외국 언론인들이 제작에 다수 참여하고 있는 국내 영자신문 중에서 미국인 에디터들이 주도적으로 기사 선정과정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Korea JoongAng Daily의 편집회의에 대한 참여관찰을 실시했다. 분석결과 미국인 에디터들은 한국언론인들과는 상이한 뉴스가치를 기준으로 기사를 선택하는 경향을 보였다. 미국인 에디터들이 기사 선택과정에서 한국 언론인에 비해 부서별 균형(balance)을 중시해 다양한 기사를 선택하려는 경향이 강했다. 대통령 선거과정을 다룬 보도에서도 한국언론인들은 하나의 사안에 대해 여러 개의 기사를 별도로 작성해 전체 현실을 설명하는 조합식 구성(mosaic style)을 선호하는데 비해 미국 언론인들은 다양한 관련 요소를 하나의 기사에 최대한 통합, 포괄해 제시하는 통합적 기사(integrated story)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정한 사회적인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에도 미국인 에디터들은 문제를 불러오게 만드는 사회적 상황이나 시스템에 대해 주목하는 한국특유의 종합적인 사고방식 대신 개인적인 차원에서 문제해결을 중시하는 분석적 사고방식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뉴스를 바라봤다. 미국인 에디터들이 한국 언론이 제시하고 있는 기사 가치 중에서 특히 기사 선택과정에서 한국 언론인들과 갈등을 빚거나 낮은 평가를 내리는 유형들로는 추가적인 사실(fact)가 제시되지 않아 내용의 발전(development)이 없거나 기사의 의미나 배경이 담겨 있지 않은 기사 , 의견이 담겨있는 주관적인 기사나 주장의 근거나 출처(attribution)가 없는 기사, 인간적인 흥미를 불러 일으키는 ‘재미’가 없는 기사들이 꼽혔다. 이 같은 분석결과는 앞으로 문화적 배경이 다른 문화권과의 교류에서 우리와 상이한 가치관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문화산업으로서의 한국 언론의 새로운 길을 모색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내는데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very first page of the newspaper is a space where the most important news of the day is published on, and thus, it shows what each newspaper company values the most. Among theoretical models on how media selects certain article, there is a ‘gate-keeping theory’ under which mass media selects certain items through its traditional way. This theory is evaluated in a way that it explains complex and various structures of mass media. Among individual values that influence gate-keeping courses, analysis on ‘cultural background’ is a useful and theoretical base that compares news values selected by journalists who have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with different nationality, culture and language. In this research, how editors who have different cultural values choose articles, especially on what standards, and how those articles turn out on papers. For this research, I, as an observer, participated in an editor meeting of Korea JoongAng Daily (KJD), a domestic English newspaper where American editors select Korean news articles and pick out headlines. In result, American editors choose their articles on their own standards which tend to be different from Korean journalists. American editors tend to put various types of stories on the front page, meaning not just articles from a politics department, but also from domestic and international news departments as well. So they are trying to balance out the number of articles so that each department gets to publish an article on the front page. During the presidential election, Korean journalists preferred a mosaic style where various types of articles on one particular item while American journalists preferred an integrated story where a number of different items are integrated in one big article. When big news breaks in, American journalists tend to put out an article that is more like an analysis, presenting solutions to the problem, instead of focusing on social circumstances or systems that caused the problem. Here are types of articles that are evaluated to have not much news values by American journalists: an article that has already been reported but has no additional facts, an article with no meaning and backgrounds, an article with subjective opinions, an article with no sources, and an article that raises no human interest. 신문의 1면은 그날의 가장 중요한 뉴스들로 구성되기 때문에 특정 신문사가 기사 선택과정에서 어떠한 가치관을 우선하는가가 뚜렷하게 드러나는 공간이다. 언론사의 복잡하고 다양한 의사결정 구조과정에서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가치 중에서 ‘문화적 배경’에 대한 분석은 국가나 문화, 언어 가 다른 이질적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언론인들간의 뉴스가치의 비교에 유용한 이론적 토대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적 토양이 다른 에디터들이 다양한 기사 소재를 놓고 톱뉴스로 다루는 과정에서 어떤 기준에 따라 기사 선택에 나서며, 그 차이는 지면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주목해서 분석한다. 이를 위해 외국 언론인들이 제작에 다수 참여하고 있는 국내 영자신문 중에서 미국인 에디터들이 주도적으로 기사 선정과정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Korea JoongAng Daily의 편집회의에 대한 참여관찰을 실시했다. 분석결과 미국인 에디터들은 한국언론인들과는 상이한 뉴스가치를 기준으로 기사를 선택하는 경향을 보였다. 미국인 에디터들이 기사 선택과정에서 한국 언론인에 비해 부서별 균형(balance)을 중시해 다양한 기사를 선택하려는 경향이 강했다. 대통령 선거과정을 다룬 보도에서도 한국언론인들은 하나의 사안에 대해 여러 개의 기사를 별도로 작성해 전체 현실을 설명하는 조합식 구성(mosaic style)을 선호하는데 비해 미국 언론인들은 다양한 관련 요소를 하나의 기사에 최대한 통합, 포괄해 제시하는 통합적 기사(integrated story)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정한 사회적인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에도 미국인 에디터들은 문제를 불러오게 만드는 사회적 상황이나 시스템에 대해 주목하는 한국특유의 종합적인 사고방식 대신 개인적인 차원에서 문제해결을 중시하는 분석적 사고방식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뉴스를 바라봤다. 미국인 에디터들이 한국 언론이 제시하고 있는 기사 가치 중에서 특히 기사 선택과정에서 한국 언론인들과 갈등을 빚거나 낮은 평가를 내리는 유형들로는 추가적인 사실(fact)가 제시되지 않아 내용의 발전(development)이 없거나 기사의 의미나 배경이 담겨 있지 않은 기사 , 의견이 담겨있는 주관적인 기사나 주장의 근거나 출처(attribution)가 없는 기사, 인간적인 흥미를 불러 일으키는 ‘재미’가 없는 기사들이 꼽혔다. 이 같은 분석결과는 앞으로 문화적 배경이 다른 문화권과의 교류에서 우리와 상이한 가치관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문화산업으로서의 한국 언론의 새로운 길을 모색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내는데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very first page of the newspaper is a space where the most important news of the day is published on, and thus, it shows what each newspaper company values the most. Among theoretical models on how media selects certain article, there is a ‘gate-keeping theory’ under which mass media selects certain items through its traditional way. This theory is evaluated in a way that it explains complex and various structures of mass media. Among individual values that influence gate-keeping courses, analysis on ‘cultural background’ is a useful and theoretical base that compares news values selected by journalists who have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with different nationality, culture and language. In this research, how editors who have different cultural values choose articles, especially on what standards, and how those articles turn out on papers. For this research, I, as an observer, participated in an editor meeting of Korea JoongAng Daily (KJD), a domestic English newspaper where American editors select Korean news articles and pick out headlines. In result, American editors choose their articles on their own standards which tend to be different from Korean journalists. American editors tend to put various types of stories on the front page, meaning not just articles from a politics department, but also from domestic and international news departments as well. So they are trying to balance out the number of articles so that each department gets to publish an article on the front page. During the presidential election, Korean journalists preferred a mosaic style where various types of articles on one particular item while American journalists preferred an integrated story where a number of different items are integrated in one big article. When big news breaks in, American journalists tend to put out an article that is more like an analysis, presenting solutions to the problem, instead of focusing on social circumstances or systems that caused the problem. Here are types of articles that are evaluated to have not much news values by American journalists: an article that has already been reported but has no additional facts, an article with no meaning and backgrounds, an article with subjective opinions, an article with no sources, and an article that raises no human interest.

      • KCI등재

        한국적인 것의 전유를 둘러싼 경쟁 -민족중흥, 내재적 발전 그리고 대중문화의 흔적

        김원 ( Won Kim ) 한국사회사학회 2012 사회와 역사 Vol.0 No.93

        이 글은 한류, 한국전통, 한국문화 등이 문화상품 차원뿐만 아니라, 국격, 국민의 식 고양, 국민자긍심 고양 차원에서 제기되는 최근 ‘한국적인 것’에 대한 강조가 새로운 현상이 아니며, 그 반면교사는 이미 60년대 후반부터 70년대 초반에 등장했 던 ‘한국적인 것’의 창안에서 비롯되었음을 밝히는 것이다. 쿠데타 초기에 박정희 정권은 한국사를 매우 부정적인 것으로 파악했으며 서구적인 것에 대한 불신이 강했다. 하지만 60년대 후반 직후 민족주체성의 회복을 슬로건으로 ‘우리 것’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기 시작했다. 뿐만 아니라 지식사회에서도 1967년을 기점으로 정체성론, 반도론 등 식민사관을 극복하려고 내재적 발전론과 민족문학론을 구체화 시키기 시작했다. 이 시기에 한국적인 것의 전유를 둘러싼 경쟁이 시작되었다. ‘한국적인 것’을 둘러싼 경쟁이 일어난 배경은 중미수교, 동아시아 데탕트 그리 고 주한미군 철수 등 안보위기와 근대화에 따른 대중문화와 사회적 균열의 확대라 는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한국적인 것의 발명으로 한국적 인간형을 구축하기 위한 것이었다. 정부는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그리고 문예진흥원을 중심으로 진행 했던 문화-문예정책 그리고 급격히 확산된 대중문화에 대한 검열과 개입을 전개했 다. 문화정책은 민족문화와 전통문화의 우수성, 밝은 미래상 복원 등을 통해 창조적인 민족-국난극복의 의지를 복원하기 위한 것이었다. 또한 청년문화, 호스티스 영화, 텔레비전 드라마를 포함하는 대중문화에 대한 검열과 단속은 대중들의 욕망 과 감정을 한국적인/민족적인 것으로 대체할 것을 강요했다. 그러나 한국적인 것의 창안을 통해 국가/민족에 대한 감정적 애착과 새로운 인간형을 만들어 위기를 극복 하려는 의도는 절반의 성공이었다. 정부와 엘리트의 의도와 달리, 대중들은 대중문 화를 소비하며 자신의 욕망과 정체성을 구성하려고 했다. 확산된 대중문화의 지형 속에서 여공, 도시하층민, 식모, 청소년처럼 한국적인 인간형이나 민족문화의 의미 망에서 벗어난 주체들도 다양한 방식으로 존재했다. This paper is to argue that emphasis of recent ‘Things Korean’- for example Korean-Wave, Korean-Tradion, Korean-Culture- for the sake of enhancing national consciousness and national pride are not new phenomenon. The historical origin of ‘Things Korean’ rooted from invention of ‘Things Korean’ in era of Park, Jung-Hee government. After military coup, Park, Jung-Hee government regarded Korean History as negative past and had strong distrust about ‘the western’. But concern about ‘Things Korean’ increased in the name of recovering national identity after the late 1960s. From 1967 academic society stressed theory of indigenous development, theory of national-literature for the purpose of overcoming colonial view of history. From this point the competition began concerning appropriation of ‘Things Korean’. The historial background concerning appropriation of ‘Things Korean’ were crisis including asian detente, withdrawal of US forces in Korea and rapid social cleavages after modernization in 1960s. The purpose of inventing of ‘Things Korean’ were overcoming crisis by way of making new human type. The government evolved culture-art and literature policy performed by Ministry of Culture, Cultural Properties Administration, Arts Council Korea and populr culture policy including censorship of movie, television drama, media. The purpose of culture policy was restoring creative national identity, spirit of overcoming the national crises by stressing excellence of national culture and brighter image of future. The purpose of censorship and enforcement against popular culture including youth culture, hostess melo movie, television drama was regulating desire and emotion of masses for transforming nationalistic human type. But the intention of inventing ‘Things Korean’ for overcoming crisis by way of making new human type was half of the success. Unlike intention of government and elite, masses construct their own desire and social identity by consuming popular culture. Like factory, urban lower group, housemaid, there exited various different and heterogeneous subject escaping from national identity enforcing by government in expanding terrain of popular culture.

      • KCI등재

        중국인이 느낀 아리랑의 이미지

        강보유 남도민속학회 2013 남도민속연구 Vol.26 No.-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키워드로서의 아리랑이 세계 유네스코 무형문화재로 등재되면서 한국문화의 이미지도 긍정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한민족의 민요 아리랑은 한국음악 대표로서의 아리랑, 한국문화 전령으로서의 아리랑, 세계문화 유산으로서의 아리랑으로 중국인에게 이미지화되고 있다. 오늘날 중국에서 아리랑은 슬픔의 벽을 넘었다. 슬퍼도 아리랑, 기뻐도 아리랑이다. 모국에 대한 향수를 부르던 조선족만의 노래로부터 민족의 동질성 향상과 진흥을 부르고 흥과 멋이 우러나는 대중가요로 거듭났다. 중국인들이 ‘아리랑’의 친화력에 매료됨으로써 아리랑은 범아시아적인 노래로 승화될 개연성이 높아가고 있다. 아리랑은 또 음악으로서의 민요를 넘어 문화상품으로 거듭나면서 한민족의 DNA의 성격을 띠고 있다. 중국에서 아리랑은 조선족을 상징하고 한국과 한민족을 상징하면서 아리랑은 이미 조선족 그리고 한국과 한민족을 인지하는 문화 키워드로 되었다. 중국인들은 아리랑을 통해 조선족문화와 한국문화를 이해한다. IT로 한국의 경제를 보고 있듯이 아리랑으로 한국의 문화를 읽고 있는 모습이다. 그래서 한국 하면 ‘아리랑’을 연상하고 한국인 하면 ‘아리랑 민족’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아리랑으로 한국을 부르고 아리랑으로 한국인을 그린다. 아리랑은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에 등재되면서 세계 속의 아리랑이 됐다. 문화는 나만의 것이 아니다. 공유할수록 커지고 다듬어지고 더욱 빛난다. 세계화된 다문화사회에서 아리랑은 한국과 한국인 그리고 해외동포 사회를 넘어 아시아인, 세계인의 체질에 맞는 아리랑으로 거듭나야 한다. 결국 중국인들은 아리랑을 한을 극복한 한국인의 아름다운 멋의 멜로디로, 한국문화 상징의 하나로, 세계인의 공동문화유산으로 인지하고 있다. 한국 음악 가락에 묻어나는 아리랑의 선율로 한국문화의 전통과 현대와 미래를 아우르는 세계화의 길이 더 활짝 열리기를 기대해 본다. A key word to our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Arirang, as recently added to UNESCO’s 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lays a positive role in promoting the cultural image of Korea. In the eyes of Chinese people, Arirang, which originates from Korea folk-song, is now visualized as that in Korean songs, Korean culture and the world’s culture heritage in whole. In China nowadays, Arirang is unchained from the single emotion of pathos, and can now represent both joy and sadness. Originally a nostalgia folk-song by which the Korean people chant their pining for home land, Arirang is re-interpreted as a popular song of passion and gentleness, bearing the chance of solidarity and revitalization of a people. The Chinese people are also infatuated with the natural affinity brought by Arirang, thus paving the way for it’s ascending popularity in Asia as a whole. Transcending its one-fold significance of music and transforming into cultural product, Arirang is deeply branded with the characteristics, or rather, DNA of the Korean people. In China, Arirang standsasa symbol of not only the Korean people,but also the Republic of Korea and Hanguk-in. It has now become a cultural keyword in the understanding of the Korean people, the Republic of Korea and Hanguk-in. As a result, Arirang serves as a bridge between the Chinese people and the cultures of both the Korean people and the Republic of Korea. We can have a keen observation of Korean culture through Arirang, as IT industry plays the same role in our observation of Korean economy. Therefore, we tend to for man instant connection with Arirang and the Republic of Korea, and even label Hanguk-in as the Arirang people. Arirang thus becomes a common address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Hanguk-in. Standing in UNESCO’s 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rirang is now a cultural symbol of the entire world. As culture is not to be confined within a single ethnic group, it tends to become even more solid if shared, and even more splendid after being carefully carved. In the era of globalization that celebrates the chemistry of different cultures, Arirang has walked beyond the cultural circle of the Republic of Korean, Hanguk-in and their expatriates, and is remolded into one that caters for the aesthetic appreciation of different peoples. In final words, the Chinese people is now taking Arirang as the castaway of hatred, the melody that praises the beauty of Korea, and the cultural heritage shared by not only the Korean people, but also the world as a whole. With the beat and rhythm of Arirang, we expect to see a path of globalization being paved, mingling the traditions of Korean culture, ancient, modern and that of future.

      • KCI등재후보

        문화외교 정책과 해외박물관 한국실의 역할 고찰

        김수미 한국박물관학회 2016 博物館學報 Vol.- No.31

        본 논고의 목적은 한국 문화외교 정책의 흐름을 문화정책사적 맥락에서 살펴보고, 대영박물관 (the British Museum) 상설 한국실 사례를 통해 문화외교에서의 해외박물관 한국실의 역할과 전시 방향을 고찰해 보는데 있다. 한국의 문화정책에서 문화외교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국제교류 분야의 흐름을 정부조직의 변화를 통해 살펴보기 위해 기존의 문화정책 연구 성과들을 국제교류를 중심으 로 재정리 하였다. 그리고 세계 문화 컬렉션을 소장, 연구, 전시, 교육하며 1990년대 이후 한국의 문화외교와 깊은 관련이 있는 대영박물관 한국실의 사례를 현지답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1990년대는 세계화와 함께 문화 다양성과 상대주의 개념이 구체화된 시기이다. 영국 문화학 (cultural studies)과 신박물관학(new museology)에서는 후기구조주의와 신자유주의의 영향으로 텍스 트 재해석 등 실용적이고 비판적인 이론과 문화 재현 방법론이 전개되었다. 한국 박물관의 국제교 류 분야에서는 외교부 산하 한국국제교류재단과 문화체육관광부 소속 국립박물관의 지원으로 해외 유수 박물관에 본격적으로 한국실을 설치하고 전시하기 시작하였다. 영국의 상설 한국 전시실 중 대영박물관은 2000년 개관 이후 현대예술작품을 보완하여 2014년 11월 재개관 하였다. 이 사례가 시대적 특수성을 반영하는 역할을 하는 문화기관인 박물관이 향후 문화외교에서 담당할 역할과 지속적인 해외한국실의 발전방안을 생각해보는데 보탬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 KCI등재

        일상에서 읽는 한국인의 정체성

        황병기(黃昞起) 한국국학진흥원 2014 국학연구 Vol.0 No.24

        한국인의 문화유전자 연구는 문화체육관광부에서 후원하고 한국국학진흥원이 주관하며 2012년도부터 시작되어 연차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2012년도에는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2012년에 주목할 한국인의 문화유전자’ 10가지를 선정하였다. 그 연구성과는 『한국인의 문화유전자』라는 책자로 발간되었다. 2013년도에는 20대부터 60대까지 10년 단위로 각 세대의 일상생활문화와 그 문화를 향유하는 한국인의 대표정서, 그리고 1970년 대부터 2000년대까지 10년 단위로 각 시대의 일상생활문화와 그 문화를 향유하는 한국인의 대표정서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에 근거해 분야별 전문가들이 세대별 특징과 각 세대의 청년기인 20대 시절의 특징을 연구하였다. 2013년도의 설문조사에서 각 세대별 설문결과와 시대별 설문결과가 약간의 차이가 있긴 하지만 전 연령층의 대표적인 일상문화에서 느껴지는 한국인 특유의 정서로 조화와 어울림이 15.4%로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2위로 응답된 것이 공동체 문화로 8.9%니까 이것까지 합친다면 25% 가량으로 어울림/조화/공동체문화가 대표적인 문화유전자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인 개인의 일상문화는 각각 다양한 모습을 띤다. 그리고 동일한 일상문화라도 그것을 누리는 사람마다 다른 목적과 의미를 지니고 있다. 스마트폰이나 컴퓨터게임을 자신의 일상문화로 꼽은 젊은 20대의 한국인들 가운데는 의외로 그러한 문명의 이기를 통해 어울려 사는 공동체를 꿈꾸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이 설문에서 드러났다. 일반적으로 컴퓨터와 인터넷에 몰두하는 젊은 학생들을 바라보는 성인들이 젊은 세대의 폐쇄적 인성을 탓하고 개인주의와 상업주의에 빠져 있다고 그들을 비평하는 사이에 그들은 오히려 현 사회의 팽배한 개인주의적 경향에서 벗어나는 수단으로 그러한 문명의 이기를 활용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지난 반세기 동안 한국인의 일상문화는 그 방식과 수단의 많은 변화가 있었다. 청바지와 통키타에서 스마트폰으로 수단의 변화가 있었고, 저항과 시위에서 조화와 여유의 방식으로 변화하였다. 그러나 자연스러운 정의정서와 어울림과 상생의 정서는 면면히 한국인의 정서로 유지되고 있다. 최근 한류가 전세계인의 공감대를 얻고 있는 것은 한국인에게 만민공통의 정서가 존재하기 때문일 것이다. 나라 밖의 시청자가 대장금을 보면서 눈물을 흘리는 것은 정으로 가득한 가족애와 한 인물의 부단한 도전정신과 열정 등이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인류공통의 정서이기 때문일 것이다. 우리가 간과할 수 없는 것은 특히 한국인에게 어울림, 상생, 정, 열정과 같은 정서가 마치 생물학적 유전자처럼 세대에서 세대로 유전되고 있는 것 같다는 점이다. This is an essay on Korean identity analyzed from mediocre life and culture, according to the 2013’s survey hosted by Advanced Center for Korean Studies. According to that, Korean youth life and culture have been changed, but National emotion(Culture DNA) does not. The unique emotion of Korean which is gained from typical mediocre culture of all ages is harmonized. That response rate is respectively 15.4%. The response rate of community is 8.9%. Because two emotions are similar to each other, we can judge harmony/community is Korean overwhelming cultural DNA. Korean mediocre culture over the last half century has changed in the way of life and the means. Changes have been made from jeans and guitar to smart phone, from resistance and protest to harmony and freedom in various ways. However the emotion of Jeong(情: sympathetic heart) and harmony ceaselessly is maintained. According to the survey, we can not be overlooked that, in Korean, the emotions of harmony, mutuality, positivity and passion were like a biological DNA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 한국 불교문화의 이해

        한보광 동국대학교 2005 전자불전 Vol.7 No.-

        요 약 본 연구에서는 한국불교문화의 이해를 돕기 위해 먼저 한국불교문화란 무엇인가 하는 점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한국 고대사의 시원과 불교의 전래 및 문화이론에 대한 것을 살펴보았다. 한국불교문화란 바로 한국불교의 삶의 흔적이며, 생활·신앙형태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이 예술적으로 승화된 것이 종교문화이며, 신앙문화이다. 그러나 단순한 종교문화가 아니라 한국의 역사와 함께하여 왔으므로 한국불교문화가 바로 한국문화를 대변한다고 하여도 지나친 말이 아닐 것이다. 특히 오늘날까지도 한국전통문화를 보존하고 일상생활 방식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하지 않을 수 없다. 한국불교의 특성은 종합적인 통불교, 원융회통불교인 동시에 전통적인 대승불교교단의 공동체가 그대로 남아 있는 세계유일의 불교이다. 마지막으로 한국불교문화의 분류에 대해서는 처음으로 시도하는 문제라서 아직도 학문적인 체계가 확립되지 못하였다. 먼저 유형별로 유형문화와 무형문화로 나눌 수 있으며, 유형문화는 대부분 성보문화재로 지정 내지 비지정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신앙적인 분류로는 선문화, 정토문화, 밀교문화, 사경문화 등으로 나누어 보았다. 또한 예술적 분류와 일상생활적 분류법을 사용하여 보았다. 이러한 방법은 아직 많은 연구가 필요하므로 앞으로의 연구과제로 삼고자 한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question of what the Korean Buddhist Culture is. In order to answer this question, we may need to examine the theories which explain how Buddhism was introduced to the Korean peninsula. The Korean Buddhist Culture can be defined as a way of life as well as believes seen in the Korean Buddhism. It can also be termed as a religious culture if these styles are artistically sublimated. Since this religious culture has been developed along with the Korean history, it can be said to represent what we called the Korean Culture. It has to be pointed out that this Korean Buddhist Culture has not only been preserved in various ways, but it also is utilized practically within the ordinary life of Korean people nowadays. The Korean Buddhist tradition seems to be the only tradition which has preserved the traditional Mah?y?na ways of life and can be characterized as the synthetic harmony of various Buddhist traditions. Despite of such importance, the Korean Buddhist Culture has not been classified appropriately as well as academically. Briefly speaking, it can b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the material and the immaterial. The example of the former seems to be the Sungbu Cultural treasures. The latter can be further categorized in terms of the believes, the arts, and the livelihood.

      • KCI등재후보

        A study on the content of Korean spiritual culture education using Arirang : Focusing on the emotion of Han(恨)

        Kim, Ji An 한국효학회 2024 효학연구 Vol.39 No.-

        배경: 본고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의 한(恨)에 대한 정신문화 교육에 관한 연구이다. ‘정신문화’ 는 인간의 정신적 활동으로 형성된 문화, 도덕, 종교, 학술, 사상, 예술 등을 아우르는 말이다. ‘한국의 정신문화’는 한국인들끼리만 공유되고 있는 특별한 정신 활동이라 할 수 있다. 정신 활동에는 사람의 마음에 일어나는 여러 가지 감정 또는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기분이나 분위기인 정서가 포함된다. 한국인 들이 ‘그렇게 언행 하는 것’을 알기 위해서는 그 언행을 하게 하는 정신 활동의 ‘기인이 어디에 있는 가’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만 한다. 목적: 한국어교육에 있어 우리 삶의 표층을 이루고 있는 행동문화와 성취문화 못지않게 심층을 구성하고 있는 관념문화인 정신문화를 다른 영역에 앞서 교육할 필요가 있다. 가시적인 현상과 행동이 있게 하는, 어떤 일에 대한 견해나 생각 즉 ‘관념’은 사물을 느끼고 생각하며 판단하는 마음의 자세나 태도 즉 ‘정신’에 있다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리랑이라는 교육자료를 활용하여 한국어 학습자가 접 근하기 어려운 한(恨)에 대한 정신문화 내용을 파악하여 한국어 학습자의 능통한 의사소통 능력과 문화 능력의 함양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방법론/접근: 첫째 한(恨)의 정서에 대한 개념 정립하고, 둘째 아리랑의 형성과 유형을 살펴보고, 셋째 아 리랑의 내용 통해서 한국의 정신문화 교육으로 한(恨)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결과/결론: 한국적 한(恨)의 정서를 이해하기 위해 아리랑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결과 정선아리랑은 망국 의 나라를 지켜볼 수밖에 없는 충신의 한(恨)이, 밀양아리랑은 절개를 지킨 아랑의 한(恨)이, 진도아리랑 은 오랜 역사 속에 지켜낸 삶에 대한 애환의 한(恨)이 고스란히 담겨 있었다. 한국어 학습자는 아리랑의 사설을 통해서 한(恨)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받게 될 것이며, 나아가 한국어 능력 향상에 도움을 받게 될 것이다. 이에 아리랑은 한국적 한(恨)의 정신문화 교육 확장 및 연계성을 갖기에 충분하다. 시사점: 아리랑의 사설을 통해 한국의 한(恨)의 정신문화 교육의 확장 및 연계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한 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보다 심도 있는 정신문화 교육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Background: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spiritual culture education about Korean han (恨)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Mental culture’ encompasses culture, scholarship, ideology, religion, art, and morality achieved through human mental activities. ‘Korea’s spiritual culture’ can be said to be a special mental activity shared only among Koreans. Mental activity includes emotions, which are moods or moods that evoke various feelings or emotions that occur in a person's mind. In order to know why Koreans ‘say things like that’, there must be an understanding of ‘where the origins’ of the mental activities that lead to those words and actions lie. Purpos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prioritize mental culture, which is the ideological culture that forms the deep layer, as much as the culture of behavior and achievement that forms the surface layer of our lives. This is because the opinion or idea, or ‘idea,’ about something that causes visible phenomena and actions can be said to be in the ‘spirit,’ or the attitude or attitude of the mind that feels, thinks, and judges things. Therefore, by using the educational material called Arirang, the goal is to help Korean language learners learn the mental and cultural contents of Han (恨), which are difficult to access, and to develop fluent communication skills and cultural skill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Methodology/Approach: First, the concept of the emotion of resentment is established, second, the formation and type of Arirang are examined, and third,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of resentment are revealed through the contents of Arirang through the education of Korean spiritual culture. Findings/Conclusions: Jeongseon Arirang is the sorrow of a loyal subject who has no choice but to watch the country fall into ruin, Milyang Arirang is the sorrow of an Arang who maintained fidelity, and Jindo Arirang is the sorrow of the joys and sorrows of a life that has been preserved throughout its long history. It is fully contained. Arirang's editorials are sufficient to expand and connect the spiritual culture education of Korean resentment. Implications: Through Arirang's lyrics, we can confirm the expansion and connection of Korea's spiritual culture education of Han (恨), and suggest the possibility of more in-depth cultural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 KCI등재후보

        국제문화교류 진흥을 위한 한국문화원의 법적 위상 재정립 방안

        김휘정(Kim, HwiJung) 한국문화산업학회 2013 문화산업연구 Vol.13 No.1

        이 연구는 한국문화원의 법적 지위와 운영 현황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변화하는 외부환경에 대응하는 기능에 있어서의 한계점을 살펴보고, 문화원의 법적 위상을 재정립함으로써 향후 한국문화원의 역할에 있어서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문화원의 설치 및 운영에 있어 문화체육관광부와 외교부 간에 갈등을 초래하는 근본적인 문화관의 차이로, 국제문화교류와 문화외교, 공공외교의 개념적 구분을 시도하였다. 다음으로, 한국문화원의 법적 지위 전환의 세 가지 대안에 수반되는 각각의 장·단점을 정책적인 타당성에 근거하여 검토한 결과, 문화원을 공법인으로 전환하는 경우에 공공성을 훼손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재정·인력·운영의 전문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한국문화원의 국제문화교류사업 추진과 관련하여 프로그램 공급과 전문인력 양성, 국내외 민관네트워크 구축을 전담하는 국내 지원조직의 설치를 제안한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reestablishment of the legal status of the Korean Cultural Center for promoting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s. First, it analyzed each strength and weakness of such options as: 1) maintaining as a government agency, 2) switching to a public corporation, and 3) switching to a private foundation or an incorporated association. Secondly, it reviewed the expected effect in the light of professionalism, efficiency, and publicness, assuming the each option put into reality. Based on the validity check in policy, the study concluded that switching the legal status of the Korean Cultural Center to a public corporation seems the most proper option in achieving a greater level of autonomy on finance, personnel, and management. 이 연구는 한국문화원의 법적 지위와 운영 현황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변화하는 외부환경에 대응하는 기능에 있어서의 한계점을 살펴보고, 문화원의 법적 위상을 재정립함으로써 향후 한국문화원의 역할에 있어서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문화원의 설치 및 운영에 있어 문화체육관광부와 외교부 간에 갈등을 초래하는 근본적인 문화관의 차이로, 국제문화교류와 문화외교, 공공외교의 개념적 구분을 시도하였다. 다음으로, 한국문화원의 법적 지위 전환의 세 가지 대안에 수반되는 각각의 장·단점을 정책적인 타당성에 근거하여 검토한 결과, 문화원을 공법인으로 전환하는 경우에 공공성을 훼손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재정·인력·운영의 전문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한국문화원의 국제문화교류사업 추진과 관련하여 프로그램 공급과 전문인력 양성, 국내외 민관네트워크 구축을 전담하는 국내 지원조직의 설치를 제안한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reestablishment of the legal status of the Korean Cultural Center for promoting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s. First, it analyzed each strength and weakness of such options as: 1) maintaining as a government agency, 2) switching to a public corporation, and 3) switching to a private foundation or an incorporated association. Secondly, it reviewed the expected effect in the light of professionalism, efficiency, and publicness, assuming the each option put into reality. Based on the validity check in policy, the study concluded that switching the legal status of the Korean Cultural Center to a public corporation seems the most proper option in achieving a greater level of autonomy on finance, personnel, and man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