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 문화(文化) : 한국전쟁기 여성시 연구

        구명숙 ( Myong Sook Koo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66 No.-

        한국전쟁기(1950. 6.25-1953. 7.27) 시문학에 대한 연구는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들은 주로 전쟁시의 개념과 범위, 분류 등을 통하여 체계적인 연구를 시도한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존 연구를 토대로 아직 시도하지 않은 한국전쟁기 여성시를 대상으로 특히 남성적 서사와 사고가 부각되었던 ‘전쟁’의 시간 속에서 여성시인들은 어떤 인식을 가졌고 전쟁의 현장을 어떻게 그리고 있는지 여성시인들의 작품을 면밀히 분석하여 고찰하고, 전쟁기 한국 여성시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한국전쟁기에 여성시인들은 전쟁의 현실을 고발하면서 사실적인 묘사를 통해 현장감을 나타내 주고 전쟁으로 인한 죽음, 이별, 피난, 고통 등의 비극적 상황을 적용하여 전쟁에서 겪는 인간의 내면적 고통과 인간성 말살의 비극을 형상화하였다. 그동안 한국 전쟁기 여성시에 대해서는 주로 모윤숙, 노천명, 김남조, 홍윤숙을 중심으로 논의되어왔지만 본고에서는 조애실, 노영란의 작품도 발굴하여 전쟁시의 범주에 포함시켰다. 또한 기존의 논의들은 전쟁기 한국 여성시의 특징에 대해서는 부각시키지 않았으며 모윤숙의 시 「국군은 죽어서 말한다」를 언급하는 정도에 그쳐있다. 그러나 당시의 여성시인들은 각기 다른 경향을 보였으며, 그러한 특성을 통해 여성문학의 다양한 모습을 형성하였다. 모윤숙은 피난의 현실을 형상화하거나 국군이나 유엔군을 칭송하면서 고마움을 표현하고 있고, 노천명의 시들은 부역사건과 연관된 내적 갈등을 형상화하고 있다. 또한 김남조의 시들은 여성성과 종교성을 결합해 사랑과 구원의 의미를 밝히면서 전후 극복과 치유의 문제에 집중하였으며, 홍윤숙의 시들은 전쟁의 상처로 불모의 땅이 되어버린 조국에 대한 안타까움을 목숨의 향연을 통해 극복해 보려 하였다. 또한 조애실은 전쟁의 비극을 회피하지 않고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태도를 보인다. 그러한 맞대응의 이면에는 내적 아픔이 배어있다. 노영란은 전쟁으로 인해 갈라진 민족의 현실을 안타까워하면서 통일의 희망을 꿈꾸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전쟁기 여성시인들의 시세계를 통해, 전쟁이라는 혼돈의 시기에 여성시라는 가장 주변화 되었던 문학의 현실이 단순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요약하면, 전쟁기 여성시의 특징으로는 조국의 평화와 국군과 유엔군에 대한 찬양, 전쟁의 상흔, 생명보호와 모성애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전쟁이라는 역사적 격동기의 한복판에서 여성작가들은 한국 현대사의 목격자로서 또는 체험자로서 글쓰기를 지속하였다. 이들은 전쟁의 현실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데 그치지 않고 전쟁의 상처에서 비롯된 두려움과 불안을 내면화하면서도 끊임없이 여성으로서 전쟁을 겪어내는 삶의 방식을 모색하고 개인적 혹은 시대적 가치관의 변화를 보여주었다. 그들의 말대로 전쟁이라는 살풍경 속에서 가족의 생명과 보호를 책임져야 했던 여성들은 자신의 시각으로 당대 현실을 기억하고 복원해 나갔으며 남성 중심의 거시적인 역사의 흐름 속에서 누락된 일상적 삶의 역사적 의미를 증명해줄 수 있었다. Studies on poetic literature created during Korean War (1950.6.25-1953.7.27) have been a popular subject matter among Korean scholars. Former studies hold significance in that they attempted to operate systemized and organized study through categorizing the war poetries by themes, time periods, imageries, and so on. Based on previously done studies, this paper will examine the specificities of women`s poetries during the Korean War period by analyzing and contemplating the poetries of the female poets who took active parts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literature, with the concentration on what perceptions were kept by the female poets during the time of the war, in which the masculinity in thoughts and views was magnified. During the wartime, female poets primarily incubated poems containing the vivid sense of realism and tension to provide the reality of war representing the signs of the time. Major tools utilized by the poets were realistic and bold depiction of the battlefield as well as tragic situations caused by the war such as death, parting, fleeing, and pain caused by war. Studies made so far mainly mention only the poems of Yoon-Sook Mo, Chun-Myung No, Nam-Jo Kim, and Yoon-Sook Hong. However, this article will re-illuminate works of Ae-Shil Cho and Young-Ran No and include them in the boundaries of war poems. The existing discussions have not given salience to the specifications of women`s poetries during the Korean War; they surcease upon mentioning Yoon-Sook Mo`s poem: “A soldier speaks upon death”. However, female poets during the war period display individualized unique tendency; through those propensity they formed a variety of features of women`s literature in Korean literary history. Yoon-Sook Mo projects the reality of refuges and expresses her gratitude to the Korean armed forces and the UN troops by giving praises to the army. Chun-Myung No`s poems mainly focus on projecting the internal conflicts related to the forced labor. On the other hand, Nam-Jo Kim combines feminity with Christian faith in pursuit of revelation of the true meaning of love and salvation she emphasizes on the restoration and healing after the war. Yoon-Sook Hong`s poems attempt to deal with the wounded and patriotic heart that rises upon witnessing the barren soil of the homeland. In contrast to the sympathetic poets mentioned above, Ae-Shil Cho remains relatively objective to the tragic reality of the war. Although she does not turn away from the truth, however, the subtle pain heartache of the poet is ex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recriminations. Young-Ran No moans for the tragic division of the country yet she dreams for the hope of reunification of Koreas. These poetic worlds of the female poets who were actively working during the wartime reveal the fact that even though the women`s literature had received the least attention throughout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t has been appealing its unique significance that has never been quite simple to explain. In short, the prominent features of poetries written by female poems during the wartime are: peace of the homeland, praise toward the Korean armed forces and UN troops, battle-scarred and, protection of lives, and maternal instinct that arose during the time. In the middle of the turbulent era of Korean history, ladies of letters continued writing as a witness as well as the party concerned of Modern Korean history. They not only depict the reality of the Korean War through vivid descriptions but also continuously seek different ways of life to overcome the given circumstances during the wartime by internalizing the fear and insecurities they felt as women. Through their literature work these female poems exhibit the change of the values of the time. The female poets who were demanded to protect the lives of their family during the war restored the memories of the reality of that time with their own perspectives and achieved to prove the historical meanings of ordinary lives that were omitted in macroscopic and an do centric accounts of history.

      • KCI등재

        한국전쟁기 대한민국 교원의 삶

        안경식 한국교육사학회 2010 한국교육사학 Vol.32 No.1

        이 논문은 한국전쟁기라는 시대적 상황 아래서 대한민국 교원의 삶을 고찰한 글이다. 연구 문제는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한국전쟁 직후 인민군 점령 상황에서 교원의 삶이고, 다른 하나는 피난상황에서 교원의 삶이다. 인민군 점령기, 점령 지역에서 교원의 삶은 이념에 따라 차이가 컸다. 교육계의 주도권은 대한민국 정부수립을 전후로 하여 이미 표면적으로 척결된 좌익교원들에게 있었고, 좌익 교원의 재등장과 함께 우익 및 중립적인 교원들은 생존을 위하여 교육 활동과 무관한 과거의 죄과``를 ``청산``하는 여러 활동을 해야만 했고, 심지어 의용군 입대까지 해야만 했다. 그러나 9?28 서울 수복이 되자 좌익 교원들은 월북길을 택했고, 남아 있던 사람들은 다시 ``잔류파``라는 낙인과 함께 ``비국민``의 혐의를 받아 사상 검증을 받아야만 하는 이중 고통을 당해야만 했다. 인민군 비점령 지역의 일부 교원 역시 한국전쟁 직후 보도연맹 사건 등 이념적 사건에 얽혀 국가에 의해 다수 희생당했다. 교원 본연의 교육 활동은 1951년 피난학교의 개설과 함께 본격적으로 재개되었으며, 그러한 가운데 경제적 어려움도 적지 않았다. 한국전쟁기는 교원이 국가 체제 수호와 이념 전달의 ``요원``으로 전락한 시대였다. 이때 박탈된 교원의 사상 자유는 교권의 핵심적인 요 소임에도 불구하고 21세기가 된 지금까지 ``유보``되고 있는 상황이라는 점에서 한국전쟁은 교원들 에게는 비극의 출발점이었다 할 수 있다. 這篇論文試圖從敎師的生活角度去考察韓國戰爭時期的敎育狀況。所要硏究的問題可以分成兩個部分,一是韓國戰爭伊始,在朝鮮人民軍占領下的敎師的生活狀況,?一個是避難的情形和在避難地的生活敎師生活狀況。在朝鮮人民軍占領區,大韓民國政府成立前后表面上已被淸除的左翼敎師重新走到前面主導了占領區的敎育。在這種情況下,右翼和中立的敎師爲了生存不得已從事관連育毫无關連的一些"淸算""過去罪惡"的各項活활動,一部分加入了義用軍。但是,9.28重新收復首?以后他們的身上留下了"殘留派"的烙印,還背上"非國民"的嫌疑而被接受思想監定,所以他們飽受了雙重折磨。非人民軍占領區的敎師部分在韓國戰爭之后也被連累報道聯盟等事件,?多敎師受到了國家的迫害而被犧牲。1951年開瓣避難學校,敎師們才眞正得到了從事敎育活動的机會,但是,這一過程當中經歷了相當的經濟困難。可以說韓國戰爭期是一個敎師們被淪落成守護國家?制和傳達思想的"要員"的時代。這個時期,敎師們被剝奪了思想的自由,盡管思想的自由是敎師權利的一個核心因素,但是限制思想自由的狀況一直"保留"到21世紀的今天,所以,可以說韓國戰爭對敎師們來說是悲劇的起始点。

      • KCI등재

        한국전쟁기 임시수도 부산지역의 피난학교 연구

        안경식(An, Gyeong-Sik)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9 敎育思想硏究 Vol.23 No.3

        이 논문은 한국전쟁기 임시수도 부산의 피난학교의 교육 상황에 대한 연구이다.한국전쟁기의 임시수도였던 부산지역의 교육에 대한 연구는 한국 현대교육사 이해의 필수적인 요소이며,지역교육사와 평화교육의 측면에서도 의의를 지닌다.본문에서는 한국 전쟁 발발 당시부터 이듬해 피난학교가 본격적으로 개설되기까지의 상황,한국전쟁기의 교육행정과 재정,그리고 피난학교의 교육과정과 학사 등의 내용을 고찰하였다.연구 자료로서는 정부 공문서,신문자료,학교사 자료,구술사 자료를 활용하였다.연구의 범위는 중등학교를 위주로 하였다.연구결과,한국전쟁기 부산지역의 피난학교에서는 비록 전쟁이라는 극단적 상황 하에서도 교육활동을 지속해왔을 뿐 아니라 현대교육사의 중요 정책들도 입안,시행함으로써 한국 현대교육의 토대를 마련하였다는 것과 반공을 본질로 하는 국가 정체성과 국민 정체성 교육을 정규 및 비정규 교과를 통해 지속적으로 실시하였다는 것을 동시에 확인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secondary education in the state of refuge in the area of Busan,temporary capital during the Korean war. This Paper is divided into five chapters.In chapter Ⅱ,‘Education during the early stage of the Korean war’,I will examine educational conditions from the outbreak of war to opening days of refuge school.InchapterⅢ,‘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finance of refuge school’,I will examine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finance of refuge school during the Korean War.In chapter Ⅳ,‘Curriculum and schooling schedule of refuge school’,I will examine curriculum and schooling schedule of secondary school in the state ofrefuge in the area of Busan.In chapter Ⅴ, ‘Conclusion’,I tried to elucidat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secondary education in the state of refuge in the area of Busan,temporary capital during the Korean war. Studies show that refuge schools in Busan has considerable significance as a base of modern Korean education.

      • KCI등재

        한무숙 문학의 배양(培養) : - 인공 치하 서울의 경험과 부산 피난 시절을 중심으로 -

        남은혜(Nam, Eun-Hye) 한국문학회 2020 韓國文學論叢 Vol.86 No.-

        한무숙은 한국전쟁기 1951년~1953년 동안 10편 이상의 단편소설을 창작․발표하였다. 그러나 전시를 배경으로 하는 작품에서도 자신의 경험을 자전적으로 서사화하지 않았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또한 수필 등에서 태평양전쟁기 가부장제 하의 며느리로서 고통을 겪으며 문학에 대한 열정을 품었던 내면에 대해 반복하여 발화했던 데 비해, 한국전쟁기의 활동에 대해서는 비교적 노출하지 않았다. 이는 소설의 서사에서 보이는 특징과도 연계될 수 있다. 일제강점기부터 한국전쟁 휴전 이후까지를 폭넓게 다루는 작품들의 경우에, 공통적으로 일제강점기의 상처와 고통에 더 집중하고 한국전쟁기의 서사는 단편적으로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까지는 한무숙의 전쟁기의 이력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연구되지 못한 실정이었다. 본고에서는 작가의 장녀 김영기 교수와 장남 김호기 관장의 회고담을 통해 한무숙의 인공 치하 3개월의 생활과 부산 피난시절에 대해 구체적으로 확인하고 검토하였다. 그 결과, 작가는 한국전쟁기의 경험을 통해 문학을 매개로 하여 사회로 나아갈 수 있었다는 점을 고찰할 수 있었다. 전쟁 발발 당일 피난을 떠났으나 한강을 건너지 못하고 돌아와 젊은 남성들의 목숨을 지키고 시어른들로부터 어린 5남매에 이르는 대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했던 한무숙은 부역에 참여하지 않고 인공 치하 3개월을 버텨냈다. 이 시기는 남성과 시 어른들 중심으로 유지되어왔던 가부장제 하의 생활에서 한무숙의 영향력과 입지를 높일 수 있게 한 시기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한무숙은 1951년 1월 부산으로 피난을 떠났다. 피난 시절 한무숙은 당시 부역 문인들이 경험했던 고통과 압박에서 자유로울 수 있었다. 그리하여 한무숙은 다방에서 문인들과 만나거나 한무숙의 집에 문인들을 비롯한 예술가들이 내방하여 교유하였으며 이러한 인적 네트워크는 환도 후 한무숙의 자택인 ‘명륜장’으로 이어진다. 본고에서는, 한무숙이 한국전쟁기 부산 피난 시절에 문인들과 교류하고 작품을 창작하면서 사회와의 접점을 찾을 수 있었고 이는 휴전과 환도 이후 작가로서 본격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토양이 되었다는 점을 규명하였다. 또한 이 시기 작품들에 나타난 주제와 특징이 한무숙 문학 세계의 고유한 지점과 연관된다는 점에서 이 시기를 문학적 ‘배양기’로 새롭게 해석하고자 했다. Hahn Moo-Sook published more than 10 short stories during the Korean War. But even in works set in the war, she did not write autobiographical novels or essays in the form of confession. The essays published after the war also did not reveal the experience of the Korean War in detail. This can also be associat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a novel. Hahn Moo-Sook s novel focuses more on Japanese colonial era s wounds and reveals fragmentary experiences during the Korean War. The activities of Hahn Moo-Sook during the Korean War have not been studied in detail. The author s eldest daughter Young-Key Kim-Renaud and eldest son Hoagy Kim recalled their experiences during the Korean War. This study introduced and studied the story. Hahn Moo-Sook then confirmed that she spent three months in Seoul and spent her time in refuge in Busan. As a result, Hahn Moo-Sook discussed the fact that her experience during the Korean War allowed her to advance literature into society through channels. Han s family fled on the day of the war, but had to return without crossing the Han River. Hahn Moo-Sook had to protect the lives of young men from the People s Army, and to take care of the livelihood of a large family of generations. Hahn Moo-Sook was able to avoid participate in the ‘Collaboration’ due to the aftereffects of surgery. Through this period, Hahn Moo-Sook was able to make a difference in her previous position, which was influenced by the patriarchal system. Hahn Moo-Sook fled to Busan in January 1951. During the evacuation, Hahn Moo-Sook met with fellow writers at a coffee shop or visited Hahn Moo-Sook s house to interact with them. Such a network leads to a network of ‘myongryunjang’ after the war. In this study, Hahn Moo-Sook noted that her experience during the Korean War allowed her to participate in literary activities and move on to society. Thus, it was intended to be interpreted as the ‘cultivation period’ of Hahn Moo-Sook s literature, given that she was able to be active in earnest after the 1960s.

      • KCI등재

        한국 전쟁기 여성 종군작가 소설 연구

        엄미옥(Eom Mi-ok) 한국근대문학회 2010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1 No.1

        한국 전쟁기 여성종군작가의 작품은 반공에 기초한 근대국민국가의 기획 속에 여성을 국민으로 호명하면서 여성이 전쟁에 어떻게 동원되고 있는가를 설명한다. 장덕조와 최정희의 작품 속에서 어머니는 반공과 애국심으로 고취된 아들에 의해 계몽되어 개인적이고 이기적인 모성을 반성하면서 군국의 어머니로 거듭난다. 병사의 용맹성이 찬미되고 아들을 잃은 어머니의 체념이 미화된다. 또한 상이군인과의 결혼을 자원하는 처녀의 고결한 희생정신과 헌신이 찬양된다. 국가를 반공적으로 재조직하는 기획에 내포된 젠더정치를 그대로 반영하는 것이다. 최정희와 장덕조의 한국 전쟁기 작품은 식민지 총동원 체제 속에서 발표한 담론과 소설을 상기시킨다. 그들이 식민지 총동원 체제 속에서 경험한 국민으로서의 경험과 기억은 한국 전쟁기에 환기되고 투영되었다. 한편 그들이 한국 전쟁기에 반공국가주의의 동원 논리에 적극적으로 앞장섰던 것은 부역혐의에서 벗어나고자 했기 때문이다. 반면 여성 종군 작가 안에서도 손소희와 전숙희 그리고 윤금숙의 작품은 반공주의를 다른 양상으로 전유한다. 이들은 여성을 국가주의 모성을 실현하는 존재로 제시하면서 반공주의를 극단적으로 유표화하지 않는다. 여성을 주 초점자로 하여 피난민의 소외된 삶을 그림으로써 전쟁기 여성의 예속된 앎과 개인의 기억을 서사화한다. 전쟁체험의 개인적인 편차와 위치를 드러내어, 반공국가주의에 의해 균질화된 국민으로 수렴되지 않는 지점을 보여준다. 그러나 피난민 여성의 일상을 규율화하는 논리에는 여전히 반공주의가 미시적으로 작동한다. 그것은 작품 속에서 비윤리적이고 악한 사람은 모두 부역자로 표상되면서 그들이 텍스트에서 소거됨으로써 윤리적 처벌을 받는 형태로 드러난다. 이는 반공주의가 여전히 내면화되어 전쟁기 여성을 삶을 규율하고 있음을 방증한다. Works of female war writers during the Korean War, with a scheme for building a modern nation state based on anti-communism, called women nationals and described how they were mobilized for the war. Mothers in the works of Jang Duk Jo and Choi Jung Hee were transformed from mothers whose love was limited to their families to mothers of the country by the influenced of their sons who were inspired with anti-communism and patriotism. Braveness and heroism of soldiers were glorified and resignation of a mother who lost her son was glamorized, and sacrifice and devotion of a woman who married a disabled veteran was praised. It reflected gender politics aiming at reconstruction of the country with anti-communism. Works of Jang Duk Jo and Choi Jung Hee about the Korean War remind us of discourses and novels written in the situation of the colonial mobilization. Their experience and memory of war under the colonial mobilization system were recollected and reflected in their experience and memory of the Korean War. And the reason why they actively supported for logic of mobilization of anti-communist nationalism was that they wanted to avoid the suspicion of treason. On the other hand, among female war writers, Shon So Hee, Jun Sook Hee and Yoon Geum Sook depicted anti-communism from different aspects. They did not suggest anti-communism in an extreme manner by depicting women as those who achieved nationalist motherhood. They portrayed the subordinated life women during the war and their personal memories by narrating the alienated life of war refugees in the eyes of women. Their works show personal differences between them and disclose their views that were not uniformized by the anti-communist nationalism. However, there was still some remnant of anti-communism in their logic in their stereotyping the lives of women during the war by describing immoral and vicious people as communists and putting ethical punishment on them. That evidently shows anti-communism was instilled into women and controlled their lives during the war.

      • KCI등재

        한국전쟁기 소설에 나타난 여성 표상 연구

        이경재(Lee Kyung-Jae) 한국현대문학회 2012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7

        지금까지 한국전쟁기 여성 형상화 방식과 그 의미에 대한 연구는 주로 여성작가들의 소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본고는 전쟁 시기 남성작가들의 작품까지 포함하여 여성이 형상화되는 방식과 그 의미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여성들도 한국전쟁의 고통으로부터 예외일 수 없으며, 오히려 그 고통의 한복판에서 있었다. 그리하여 이 시기 많은 소설들에서 여성들은 전쟁의 비참함을 드러내는 알레고리로서 자주 등장한다. 한국전쟁기 소설에서 가장 빈번하게 등장한 여성 표상은 어머니이며, 그들은 전사를 낳거나 혹은 아들이나 남편을 전선으로 보내는 역할에 충실하였다. 용감한 전사가 남성의 이상적 모습이라면, 아들을 낳고, 이들을 양육하여 전쟁터로 보내는 어머니는 여성의 긍정적 이미지를 대표한다. 한국전쟁에서도 여성의 동원은 비전투 영역, 즉 후방지역에서 이루어지는 생산과 소비, 병사들에 대한 지원의 영역에서 본격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총력전이었던 한국전쟁은 여성에게 전통적인 전시기 역할, 즉 후방에서 남성을 보조하는 역할을 넘어 전장에 나서도록 하였다. 한국 전쟁기 작품 속에서 전장에 나선 여성들은 주로 간호병으로 등장한다. 박영준의 「용사」(『사병문고』 3, 육군본부 정훈감실, 1952.6)는 거의 유일하게 간호병이 아닌 전투병의 모습으로 전선에 나선 여성을 형상화하고 있다. 박영준의 「용사」에는 수동성과 공격성을 겸비하고, 적과 맞서 싸울 때는 공격적이며, 남녀 간에는 남성에게 복종할 수 있는 여성상이 뚜렷하게」(나 있다. 전쟁 시기 작품들 중에는 전선에 나간 남성에 대한 정절을 강조하는 경우가 많다. 이들 작품은 모두 전선에서 직접 전투를 수행하는 남성병사를 독자로 한 매체에 실린 작품이라는 특징이 있다. 그만큼 전선에 나선 남성병사들에게 후방에 남겨진 여인들의 정절 문제는 무엇보다 긴급한 과제였던 것이다. 이와 관련해 소설 속의 여인들은 하나같이 남성병사들이 가질 법한 판타지(fantasy)에 충실한 모습을 보여준다. 그녀들은 창녀 혹은 주검이 되어서라도 전선에 나선 남성들을 향한 일편단심을 유지하는 것이다. 전쟁기에 국가나 사회보다 개인의 욕망을 우선시하는 여성들은 '전후파 여성'이라는 말로 일반화되었고, 소설에서 이들은 정신적·육체적으로 강력하게 비난받는다. 여성 작가와 남성 작가가 공통되게 형상화한 전쟁기의 여성들은 아들을 나라에 바치는 군국의 어머니, 후방의 가족을 지키고 전쟁을 지원하는 어머니 그리고 전선의 병사에게 위로와 위안을 주는 연인의 모습이였다. 이와 더불어 남성 작가의 작품에는 '전쟁의 고통을 대표하는 알레고리로서의 여성', '정조와 목숨을 맞바꾸는 여성', '부정적으로 형상화된 전후파 여성'의 모습이 새롭게 형상화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중에서 '정조와 목숨을 맞바꾸는 여성'이나 '부정적으로 형상화된 전후파 여성'의 모습에는 당대 남성(작가)들이 느끼던 (무)의식적인 소망과 공포가 반영되어 있음에 분명하다. 결론적으로 전쟁기 소설에서는 여성이 끊임없이 도구화·열등화 되어 전쟁을 위해 동원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thesis examined the representation of women in the novels written during the Korean War. Women stood in the midst of this pain. Therefore women appeared as the allegory to reveal the misery of war. Mother appeared frequently as representation of women in the novels written during the Korean War. Mothers was giving birth to soldiers or sent a son and husband to the battlefield. This mothers represented a positive image. Mobilization of women was formed in the area of support for soldiers. Korean war that was total war demanded for women to go to war. Women of the battlefield in the novels written during the Korean War appeared as a nurse. Women as combatants appeared In Park Young-Jun's 「A brave Soldier」. She combined passivity and aggresion. In the novels written during the Korean War chastity of women was emphasized. This novels were published in the journal that readers are male soldiers. Chastity of women remaining in the rear was very important to male soldiers of the battlefield. This women were faithful to the fantasy of the male soldiers. Women who prioritized individual's desire were called as 'apres-girl' and criticized mentally and physically. The representation of Women in the Novels written during the Korean War was mother and the woman to comfort soldiers. The Representation of Women was 'the allegory to show the pain of war', 'the woman to exchange a lfe for a chastity', and 'apres-girl' in male novelist's work. This Representation of Women reflected (un)conscious wishes and fears of male (writers). Women were mobilized for war as inferior and instrumentationin in the novels written during the Korean War.

      • KCI등재

        한국전쟁기 소설에 나타난 여성 표상 연구

        이경재 한국현대문학회 2012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6

        This thesis examined the representation of women in the novels written during the Korean War. Women stood in the midst of this pain. Therefore women appeared as the allegory to reveal the misery of war. Mother appeared frequently as representation of women in the novels written during the Korean War. Mothers was giving birth to soldiers or sent a son and husband to the battlefield. This mothers represented a positive image. Mobilization of women was formed in the area of support for soldiers. Korean war that was total war demanded for women to go to war. Women of the battlefield in the novels written during the Korean War appeared as a nurse. Women as combatants appeared In Park Young-Jun's 「A brave Soldier」. She combined passivity and aggresion. In the novels written during the Korean War chastity of women was emphasized. This novels were published in the journal that readers are male soldiers. Chastity of women remaining in the rear was very important to male soldiers of the battlefield. This women were faithful to the fantasy of the male soldiers. Women who prioritized individual's desire were called as ‘apres-girl’ and criticized mentally and physically. The representation of Women in the Novels written during the Korean War was mother and the woman to comfort soldiers. The Representation of Women was ‘the allegory to show the pain of war’, ‘the woman to exchange a lfe for a chastity’,and ‘apres-girl’ in male novelist's work. This Representation of Women reflected (un)conscious wishes and fears of male (writers). Women were mobilized for war as inferior and instrumentationin in the novels written during the Korean War. Key 지금까지 한국전쟁기 여성 형상화 방식과 그 의미에 대한 연구는 주로 여성작가들의 소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본고는 전쟁 시기 남성작가들의 작품까지 포함하여 여성이 형상화되는 방식과 그 의미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여성들도 한국전쟁의 고통으로부터 예외일 수 없으며, 오히려 그 고통의 한복판에서 있었다. 그리하여 이 시기 많은 소설들에서 여성들은 전쟁의 비참함을 드러내는 알레고리로서 자주 등장한다. 한국전쟁기 소설에서 가장 빈번하게 등장한여성 표상은 어머니이며, 그들은 전사를 낳거나 혹은 아들이나 남편을 전선으로보내는 역할에 충실하였다. 용감한 전사가 남성의 이상적 모습이라면, 아들을낳고, 이들을 양육하여 전쟁터로 보내는 어머니는 여성의 긍정적 이미지를 대표한다. 한국전쟁에서도 여성의 동원은 비전투 영역, 즉 후방지역에서 이루어지는생산과 소비, 병사들에 대한 지원의 영역에서 본격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총력전이었던 한국전쟁은 여성에게 전통적인 전시기 역할, 즉 후방에서 남성을보조하는 역할을 넘어 전장에 나서도록 하였다. 한국 전쟁기 작품 속에서 전장에 나선 여성들은 주로 간호병으로 등장한다. 박영준의 「용사」(『사병문고』 3,육군본부 정훈감실, 1952.6)는 거의 유일하게 간호병이 아닌 전투병의 모습으로전선에 나선 여성을 형상화하고 있다. 박영준의 「용사」에는 수동성과 공격성을겸비하고, 적과 맞서 싸울 때는 공격적이며, 남녀 간에는 남성에게 복종할 수있는 여성상이 뚜렷하게」(나 있다. 전쟁 시기 작품들 중에는 전선에 나간 남성에 대한 정절을 강조하는 경우가 많다. 이들 작품은 모두 전선에서 직접 전투를수행하는 남성병사를 독자로 한 매체에 실린 작품이라는 특징이 있다. 그만큼전선에 나선 남성병사들에게 후방에 남겨진 여인들의 정절 문제는 무엇보다긴급한 과제였던 것이다. 이와 관련해 소설 속의 여인들은 하나같이 남성병사들이 가질 법한 판타지(fantasy)에 충실한 모습을 보여준다. 그녀들은 창녀 혹은주검이 되어서라도 전선에 나선 남성들을 향한 일편단심을 유지하는 것이다. 전쟁기에 국가나 사회보다 개인의 욕망을 우선시하는 여성들은 ‘전후파 여성’이라는 말로 일반화되었고, 소설에서 이들은 정신적․육체적으로 강력하게 비난받는다. 여성 작가와 남성 작가가 공통되게 형상화한 전쟁기의 여성들은 아들을 나라에 바치는 군국의 어머니, 후방의 가족을 지키고 전쟁을 지원하는 어머니 그리고 전선의 병사에게 위로와 위안을 주는 연인의 모습이였다. 이와 더불어 남성 작가의 작품에는 ‘전쟁의 고통을 대표하는 알레고리로서의 여성’, ‘정조와 목숨을 맞바꾸는 여성’, ‘부정적으로 형상화된 전후파 여성’의 모습이 새롭게형상화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중에서 ‘정조와 목숨을 맞바꾸는 여성’이나 ‘부정적으로 형상화된 전후파 여성’의 모습에는 당대 남성(작가)들이 느끼던 (무)의식적인 소망과 공포가 반영되어 있음에 분명하다. 결론적으로 전쟁기소설에서는 여성이 끊임없이 도구화․열등화 되어 전쟁을 위해 동원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전쟁기 남북한 문학담론 기원 연구

        신정은 한국비평문학회 2019 批評文學 Vol.- No.73

        본고는 한국 전쟁기 문학 담론의 큰 틀을 살펴보고 남한과 북한의 잡지들의 형성과정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쟁기는 정치, 사회적으로 혼란스러웠고 경제적으로 부족했던 시기였기 때문에 지식인들의 자각과 그들의 실천 방법을 대중에게 전달하는 하는 일이 매우 중요한 시기였다. 잡지 매체는 대중과 정치, 사회, 경제, 문화가 하나의 영역 안에 포괄된다. 문화세계의 문예평론은 작가와 작품론을 기본으로 하고 있어 1949년 이후 남한의 문학 담론으로 자리 잡은 순수문학을 잡지 전면에 내세우고 이를 통해 순수한 문학적 가치에 대한 정체성을 드러내고 있다. 1949년 이후 사회이념이 반공을기반으로 하였는데 문화세계는 전쟁기라는 혼란스러운 상황 안에서 순수문학이앞으로 남한 문학의 주류가 될 것을 인지하고 있다. 다음으로 전선문학은 한국전쟁기 기관지 역할을, 전시문학독본은 반공교육을 위한 매체였지만 다양하게민중들과 소통해야 함을 인지하면서 좌담회, 작가와 군인, 신앙, 전쟁문학의 방향을 통해 반공뿐만 아니라 다각도로 문학의 흐름을 살펴보고 있다. 문예는 1949년 잡지를 처음 발간했을 때부터 국내에 해외 문학의 흐름을 전달하는 역할을 했다. 전쟁기 발간된 문예도 전쟁 이전과 마찬가지로 꾸준히 해외 문학을 흡수하고 있다. 해외 문학 담론에 대한 이해를 통해 현대 문학의 흐름을연구하고 ‘세계문학’을 받아들여 나가면서 국내 문학의 방향성과 본질을 찾아야한다고 본다. 전쟁기 남한의 평론을 통해 살펴볼 수 있는 것은 당면한 전쟁기 현실에 관한 이야기를 중점으로 하고 있지만, 단순히 반공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문학을 기반으로 사회, 정치, 철학 등에 대해 다방면으로 이해하고 있으며 그 안에서 순수문학의 창의적인 양상이 대두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북한의 전쟁기 잡지는 전쟁기 북한 문학의 흐름과 사회주의 문학 건설기의 대표적인 작품을 담고 있고 게재된 평론은 당시 북한 문학의 지향을 드러내고 있다. 당정책의 선전과 소련과의 관계, 김일성을 통한 새로운 사회주의 문학의 건설이 시작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남․북한의 잡지 내 평론의 심층적인 연구를 통해 한국 전쟁기에서 주목하고 있는 문학적 담론이 1950년대 문학적 기원임을 인식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big frame ofKorean literary discourse and to analyze the formation process ofSouth Korean and North Korean magazines. The war period waspolitically and socially confusing and economically inadequate, so itwas a very important time for the intellectuals to realize theirawareness and how to conduct them to the public. The magazinemedium encompasses the public, politics, society, economy, andculture in one area. The literary criticism of the "cultural world" is based on thewriter and the work theory. Since 1949, the literary criticism ofSouth Korea has been put on the front page of the magazine,revealing the identity of pure literary value. Since 1949, socialideology has been based on anti-communism. The "cultural world"recognizes that pure literature will become the mainstream of SouthKorean literature in the confused situation of war. Next, "War AreaLiterature" served as an institutional magazine for the Korean War,but recognizing that it should communicate with the people invarious ways, it examines the flow of literature in various ways aswell as anti-communism through discussion, writers and soldiers,faith and war literature. watching. "Literature" was the first publication of the magazine in 1949,and it was the role of transmitting the flow of overseas literature tothe country. Like the pre-war period, the "Literature" published in the war are steadily absorbing overseas literature. We must studythe flow of modern literature through understanding foreignliterature discourse and find the direction and essence of domesticliterature while accepting 'world literature'. North Korean literature magazine "Literary Art" contains therepresentative works of the North Korean literary period and thesocialist literary construction period, and the commentary on thefront shows the direction of North Korean literature at that time. We can see that the promotion of Party policy and the constructionof new socialist literature through Kim Il Sung are beginning. What can be reviewed through South Korean war periods is thestory of war reality, but it is not limited to anticommunism. Basedon the literature, she understands various aspects of society, politics,philosophy, etc. and expects creative aspects to emerge in it. North Korea's war period magazine shows the flow of NorthKorean literature during the war period and representative worksfrom the period of constructing socialist literature. It shows that thepropaganda of party policy, the relationship with the Soviet Union,and the construction of new socialist literature through Kim Il-sungare beginning. This study intends to recognize that the literary discourse thatattracted attention in the Korean War period was a literary origin inthe 1950s through an in-depth study of the criticism in themagazines of South and North Korea.

      • KCI등재

        한국전쟁기 여성시 연구

        구명숙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66 No.-

        한국전쟁기(1950. 6.25-1953. 7.27) 시문학에 대한 연구는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들은 주로 전쟁시의 개념과 범위, 분류 등을 통하여 체계적인 연구를 시도한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존 연구를 토대로 아직 시도하지 않은 한국전쟁기 여성시를 대상으로 특히 남성적 서사와 사고가 부각되었던 ‘전쟁’의 시간 속에서 여성시인들은 어떤 인식을 가졌고 전쟁의 현장을 어떻게 그리고 있는지 여성시인들의 작품을 면밀히 분석하여 고찰하고, 전쟁기 한국 여성시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한국전쟁기에 여성시인들은 전쟁의 현실을 고발하면서 사실적인 묘사를 통해 현장감을 나타내 주고 전쟁으로 인한 죽음, 이별, 피난, 고통 등의 비극적 상황을 적용하여 전쟁에서 겪는 인간의 내면적 고통과 인간성 말살의 비극을 형상화하였다. 그동안 한국 전쟁기 여성시에 대해서는 주로 모윤숙, 노천명, 김남조, 홍윤숙을 중심으로 논의되어왔지만 본고에서는 조애실, 노영란의 작품도 발굴하여 전쟁시의 범주에 포함시켰다. 또한 기존의 논의들은 전쟁기 한국 여성시의 특징에 대해서는 부각시키지 않았으며 모윤숙의 시 「국군은 죽어서 말한다」를 언급하는 정도에 그쳐있다. 그러나 당시의 여성시인들은 각기 다른 경향을 보였으며, 그러한 특성을 통해 여성문학의 다양한 모습을 형성하였다. 모윤숙은 피난의 현실을 형상화하거나 국군이나 유엔군을 칭송하면서 고마움을 표현하고 있고, 노천명의 시들은 부역사건과 연관된 내적 갈등을 형상화하고 있다. 또한 김남조의 시들은 여성성과 종교성을 결합해 사랑과 구원의 의미를 밝히면서 전후 극복과 치유의 문제에 집중하였으며, 홍윤숙의 시들은 전쟁의 상처로 불모의 땅이 되어버린 조국에 대한 안타까움을 목숨의 향연을 통해 극복해 보려하였다. 또한 조애실은 전쟁의 비극을 회피하지 않고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태도를 보인다. 그러한 맞대응의 이면에는 내적 아픔이 배어있다. 노영란은 전쟁으로 인해 갈라진 민족의 현실을 안타까워하면서 통일의 희망을 꿈꾸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전쟁기 여성시인들의 시세계를 통해, 전쟁이라는 혼돈의 시기에 여성시라는 가장 주변화 되었던 문학의 현실이 단순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요약하면, 전쟁기 여성시의 특징으로는 조국의 평화와 국군과 유엔군에 대한 찬양, 전쟁의 상흔, 생명보호와 모성애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전쟁이라는 역사적 격동기의 한복판에서 여성작가들은 한국 현대사의 목격자로서 또는 체험자로서 글쓰기를 지속하였다. 이들은 전쟁의 현실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데 그치지 않고 전쟁의 상처에서 비롯된 두려움과 불안을 내면화하면서도 끊임없이 여성으로서 전쟁을 겪어내는 삶의 방식을 모색하고 개인적 혹은 시대적 가치관의 변화를 보여주었다. 그들의 말대로 전쟁이라는 살풍경 속에서 가족의 생명과 보호를 책임져야 했던 여성들은 자신의 시각으로 당대 현실을 기억하고 복원해 나갔으며 남성 중심의 거시적인 역사의 흐름 속에서 누락된 일상적 삶의 역사적 의미를 증명해줄 수 있었다. Studies on poetic literature created during Korean War (1950.6.25-1953.7.27) have been a popular subject matter among Korean scholars. Former studies hold significance in that they attempted to operate systemized and organized study through categorizing the war poetries by themes, time periods, imageries, and so on. Based on previously done studies, this paper will examine the specificities of women’s poetries during the Korean War period by analyzing and contemplating the poetries of the female poets who took active parts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literature, with the concentration on what perceptions were kept by the female poets during the time of the war, in which the masculinity in thoughts and views was magnified. During the wartime, female poets primarily incubated poems containing the vivid sense of realism and tension to provide the reality of war representing the signs of the time. Major tools utilized by the poets were realistic and bold depiction of the battlefield as well as tragic situations caused by the war such as death, parting, fleeing, and pain caused by war. Studies made so far mainly mention only the poems of Yoon-Sook Mo, Chun-Myung No, Nam-Jo Kim, and Yoon-Sook Hong. However, this article will re-illuminate works of Ae-Shil Cho and Young-Ran No and include them in the boundaries of war poems. The existing discussions have not given salience to the specifications of women’s poetries during the Korean War; they surcease upon mentioning Yoon-Sook Mo’s poem: "A soldier speaks upon death." However, female poets during the war period display individualized unique tendency; through those propensity they formed a variety of features of women’s literature in Korean literary history. Yoon-Sook Mo projects the reality of refuges and expresses her gratitude to the Korean armed forces and the UN troops by giving praises to the army. Chun-Myung No's poems mainly focus on projecting the internal conflicts related to the forced labor. On the other hand, Nam-Jo Kim combines feminity with Christian faith in pursuit of revelation of the true meaning of love and salvation she emphasizes on the restoration and healing after the war. Yoon-Sook Hong's poems attempt to deal with the wounded and patriotic heart that rises upon witnessing the barren soil of the homeland. In contrast to the sympathetic poets mentioned above, Ae-Shil Cho remains relatively objective to the tragic reality of the war. Although she does not turn away from the truth, however, the subtle pain heartache of the poet is ex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recriminations. Young-Ran No moans for the tragic division of the country yet she dreams for the hope of reunification of Koreas. These poetic worlds of the female poets who were actively working during the wartime reveal the fact that even though the women’s literature had received the least attention throughout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t has been appealing its unique significance that has never been quite simple to explain. In short, the prominent features of poetries written by female poems during the wartime are: peace of the homeland, praise toward the Korean armed forces and UN troops, battle-scarred and, protection of lives, and maternal instinct that arose during the time. In the middle of the turbulent era of Korean history, ladies of letters continued writing as a witness as well as the party concerned of Modern Korean history. They not only depict the reality of the Korean War through vivid descriptions but also continuously seek different ways of life to overcome the given circumstances during the wartime by internalizing the fear and insecurities they felt as women. Through their literature work these female poems exhibit the change of the values of the time. The female poets who were demanded to protect the lives of their family during the war restored the memories of the reality of that time with their own perspectives and achieved to prove the historical meanings o...

      • 상생과 연대의 기억 : 항일전쟁기 중국무대에서 공연된 한국희극 연구

        왕려원,우림걸 한중인문학회 2023 한중인문학회 국제학술대회 Vol.2023 No.05

        1910년 한반도가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되자 한국의 독립지사들은 대거 해외로 나가 망명생활을 하면 서 독립운동을 진행하였다. 한반도와 지정학적으로 가깝고 문화적으로 관계가 밀접한 중국은 한국지사들 의 주요 망명지와 독립운동 기지가 되었다. 특히 중일 전쟁이 전면적으로 전개되면서 한반도의 독립지 사들은 중국에서 중국 국민과 함께 일본 제국주의의 침략에 대항하면서 직접 무기를 들고 전선에서 싸우 기도 하고, 펜을 총으로 삼아 문학창작을 통해 일본 군국주의자들이 일으킨 침략전쟁에 반항하기도 하였 다.망국의 위기상황 속에서 희극은 민중을 일깨우고 진작시키는데 가장 효과적인 예술형식 중의 하나이 다. 항일전쟁기 재중 한국독립지사들은 많은 희극작품을 창작하여 공연하였다. 이들 희극에는 일본의 참 략에 반항하는 한민족의 모습을 담은 작품도 있고, <국경의 밤><한국의 한 용사> 등 한중 상생과 연대 를 담은 작품도 있으며, 심지어 침략과 억압을 반항하는 세계 여러 국가 민중의 모습을 담은 어린이 가 무극도 있다. 이 희극 작품들은 희생을 두려워하지 않고 용감하게 투쟁하는 ‘한국혼’을 부르짖고 한중 연 합항전의 ‘시대정신’을 선양하였을 뿐만 아니라 외세의 침략을 반대하는 세계 각국 인민들의 공동가치와 이념을 구현하고 있다. 당시 중국에서 공연된 한국희극들은 당대 중국사회에서 강렬한 반항을 일으켰으 며, 동아시아 항일민중들의 사기를 진작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 작품들은 한국현대문학사의 중요한 부분인 동시에 동아시아 항일문학의 귀중한 자산이가도 하다. 중국 무대에서 공연된 한국의 항일 희극들은 전란으로 인하여 관련 자료가 대부분 유실되었기 때문에 아직까지 학계의 주목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있다. 최근 들어 중국에서 괸련 문학 사료가 발굴되고 정리되면서 한국 항일희극의 전반적인 모 습도 뚜렷해지고 있다. 이 논문은 항일전쟁기 중국에서 공연된 한국희극 자료를 정리하고 작품의 주요내 용을 분석하며 이를 바탕으로 한중 문학의 우호, 상생과 연대를 탐구하여 나아가 동아시아 항일 문학 담 론체계의 재구성을 시도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