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영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비음동화 발음교육 연구

        정다솜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14 한국어문화교육 Vol.8 No.1

        벼리】이 연구의 목적은 영어권 학습자의 비음동화 발음 실태를 살 펴보고 오류 분석을 통한 비음동화 발음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 다. 비음동화 환경이 포함된 문장을 영어권 학습자에게 제시하고 발 화를 녹음하여 분석하였다. 녹음된 자료를 바탕으로 환경별 비음동화 발음 오류를 분석하였다. 오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통합형 한국어 비음동화 교육방안을 마련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appropriate teaching plan for nasal assimilation aiming at English-spoken Korean language learners through overtaking analysis on erroneous Korea nasal assimilation pronunciation attempted by those learners from contrastive linguistic perspectives. In the second chapter, I am going to examine both one difference between English and Korea syllable structure and the other difference between assimilations of those two languages in order to find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English nasal assimilation. Through this process, it was possible to predict English-spoken learner’s erroneous pronunciation. In the third chapter, I am going to conduct analysis on erroneous pronunciation through testing English-spoken learners’ Korean nasal assimilation pronunciation. Korean nasal assimilation environment can be largely categorized into three parts: bilabial consonant, alveolar consonant, and soft palatal consonant. Examination paper is constructed varied depending on learning level: beginner and intermediate level. Then analysis is conducted individually on erroneous pronunciation by learning level. The analysis of the result is jointly conducted by author of this study and the other two Korean language teachers with sufficient experience of field teaching. We successfully verified reasons for erroneous Korean nasal assimilation pronunciation varied depending on learning level and different phonological condition. Depending on learning level, erroneous pronunciation frequency is found to be relatively higher for beginner level learners than intermediate levellearners. Meanwhile, depending on phonological condition, erroneous pronunciation frequency for other phonological samples is found to be higher for soft palatal consonant, alveolar consonant, and bilabial consonant in order described. Based on this result of test, I am going to suggest an appropriate teaching plan for Korean nasal assimilation aiming at English-spoken Korean language learners in the fourth chapter. Then, I am also going to define phonological prerequisites for awareness of nasal assimilation pronunciation. Given a finding that frequency is varied depending on phonological condition, I claimed that nasal assimilation should be required to be introduced in order of bilabial consonant, alveolar consonant, soft palatal consonant to those English-spoken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I suggested an integrated teaching method model for Korean nasal assimilation with five phases categorized. This integrated Korean language class is composed of five applicable learning phases: diagnosing with models, listening to spoken words, understanding principle of nasal assimilation, practicing nasal assimilation, and internalization of law of nasal assimilation. Based on such a teaching method model, I created an integrated teaching plan for Korean nasal assimilation. The integrated teaching plan for Korean nasal assimilation suggested in this study would be expected to be applicable to entire phases of Korean language class in order to improve English-spoken Korean language learners’ pronunciation availability. I investigated whether English-spoken Korean language leaners with beginner and intermediate level proficiency are able to pronounce Korean nasal assimilation in correct manner. In conclusion, further active study is required to be conducted over entire phases of teaching plan for Korean nasal assimilation through expanding scope of investigation into high level English-spoken Korean language learners.

      • KCI등재

        자모의교육목표와그교육내용에대한반성적고찰

        오광근(Oh Kwang-keun) 어문연구학회 2017 어문연구 Vol.93 No.-

        이 연구는자모교육의 목표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그 교육 대상을 정하는 것이다. 그동안 자모 교육에 대한 논의들이 간헐적으로 있었지만 각각의 논의들에서 교육 대상이 동일하지 않았다. 그것은 자모 교육의 목표가 불분명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자모 교육의 대상을 설정하기 위해서라도 발음 교육의 목표를 논의하지 않을 수 없게된다. 그리하여 이 연구에서는 외국어로서의 발음 교육의 목표를 다룬 논의와 저서를 살펴보고 발음 교육의 목표를 설정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것을 토대로 하여 자모 교육의 목표를 설정하고자 하였다. 자모교육은 기본적으로 외국인 한국어학습자에게한글자모를 읽고 쓸수 있게 가르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어 교원은 학습자에게 그들스스로가 자모를읽을수있게교육하는것이무엇보다중요하다. 이러한점에서자 모에대한교육은음가의발음교육에해당한다. 즉자모교육은발음교육으로서음가교육인 것이다. 이는 곧 의사소통을 위한 발음 교육임을 의미하기도 한다. 한국어 학습자가 자모에 대한 음가를 발음함에 있어 화자가 누구든 그리고 청자가 누구든간에의미를전달하는데있어어떤장애가생기지않아야한다. 의미전달에장애가 생긴다는 것은 의사소통에 문제가 발생하였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음가 교육의목표는한국에서소리의차이로의미가변별되는수많은어형들에대해서학습자가이를 변별하여발음할수있도록 한국어 교원이 학습자에게교육하는 데그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 하겠다. The study focuses on reviewing what the goal of teaching the Korean alphabet is and then organizes the teaching subject based on the review. Up until now, there were a few studies dealing with teaching the Korean alphabet but the teaching subjects in these studies were not clarified because the goal of teaching the Korean alphabet was unclear. Thus, in order to clarify the subject of teaching the Korean alphabet, it cannot help discussing to teach pronunciation of the Korean alphabet. Firstly, this study will review the previous studies including books and articles dealing with the goal of teaching pronunciation of the Korean alphabet in the field of Korean as Second Language(KSL) and then build the goal of teaching pronunciation. In addition, this study will establish the goal of teaching the Korean alphabet. Teaching the Korean alphabet basically aims at teaching KSL learners how to read and write the Korean alphabet. In order to accomplish this goal, it is important for KSL teachers to teach KSL learners how to read Korean vowel and consonant alphabets by themselves. Therefore, teaching the Korean alphabet exactly means teaching how to pronounce them. Moreover, teaching how to pronounce the Korean alphabet means teaching how to communicate with Korean. As KSL learners pronounces the sound of Korean vowel and consonant alphabets, they do not suffer any problem to convey word meanings and sentence meanings caused by their pronunciation. If there is certain problem caused by pronunciation, it means that communication between KSL learners and others are malfunction. Therefore, the goal of teaching how to pronounce the Korean alphabet is that KSL teachers teach KSL learners to learn and pronounce the sounds of various word forms correctly.

      • KCI우수등재

        한국어 학습자의 발화 유창성에 대한 한국어 교원의 인식 양상 연구

        이미향(Lee, Mi-hyang),안미애(Ahn, Mi-ae) 국어국문학회 2018 국어국문학 Vol.0 No.184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학습자의 발화 유창성에 대한 한국어 교원의 인식 양상을 문장의 단위에서 살펴보는 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한국어 원어민 교원을 평가자로 하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발음한 문장 단위의 발음을 평가하게 하였다. 그리고 평가 결과를 이전에 조사한 단어 단위의 발음 평가결과와 비교하게 하였다. 또한 평가 전과 후로 나누어, 원어민 평가자의 평가 기준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비교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한국어 학습자 발음의 정확성과 유창성에 대한 교원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알게 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자로서 한국어 교원은 학습자의 발음을 평가하는 데 요구되는 일관적이고 객관적인 기준을 확고하게 가지지 못하고 있었다. 둘째, 발음 평가 시 단어차원에서 적용되는 음운 규칙이 문장 속에 포함된 해당 단어의 유창성을 평가할 때도 주요 기준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셋째, 문장 차원에서의 발음 유창성을 평가할 때 한국어 교원은 음운 규칙의 적절한 적용보다 휴지, 억양과 같은 초분절적 요소에 영향을 받고 있었다. 넷째, 평가자로서 한국어 교원은 발음 평가 전후를 경험한 후, 평가기준에 변화를 드러내었다. 이를 통해 학습자 발음의 유창성에 주목한 한국어 원어민 교원의 평가 체험이 중요함을 알게 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단어 단위 이상에서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오류를 교정할 때, 한국어 교사가 주의해야 할 점을 보여 주었다. 또한 이 연구의 결과는 한국어 발음 교육에서 발음 지도 원리를 모색하는 데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sult and an appraisal standard of Korean native evaluator evaluating pronunciation of Chinese Korean learner at sentence level.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set Korean teacher as a native evaluator, and had him/her evaluate pronunciation of sentence level, pronounced by Chinese Korean learner. Also, we compared the evaluation result with the evaluation result of pronunciation at word level that we had investigated previously. In addition, we divided it into before and after evaluation, therefore investigated an appraisal standard of native evaluator as well. The following are results of the study: Firstly, the evaluator of this study didn’t have consistent and objective standard firmly, when he/she evaluated the pronunciation of Korean learner. Secondly, when evaluating the pronunciation, phonological rules which had been applied at word level were also acted as main standard when evaluating fluency of corresponding word included in the sentence. Thirdly, when evaluating fluency of pronunciation at sentence level, the effect of suprasegmental factors such as pause and intonation were acted larger than proper application of phonological rules. Fourthly, the evaluator had a change in awareness about evaluation standard of pronunciation before and after pronunciation evalu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ings that Korean teacher should keep in mind, when correcting Korean pronunciation error of learner at above word level.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preparing a teaching method of Korean pronunciation teaching.

      • KCI등재

        한국어 교육 활용을 위한 『한국어 표준 문법』 음운론 분야 개선 방안

        장향실(Chang, Hyangsil) 중앙어문학회 2020 語文論集 Vol.84 No.-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육 분야의 참조 문법으로서 『한국어 표준 문법』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개선해야 할 점을 제안하였다. 특히 ‘음운론’ 영역을 중심으로 설명의 구체화가 필요한 부분, 누락되어 설명을 추가해야 할 부분, 기술이 불필요하여 삭제해도 무방한 부분으로 구분하여 개선점을 제안하였다. 『한국어 표준 문법』은 한국어 교육에의 활용을 염두에 두고 개발되었기에, 한국어 교육적 목적과 관점을 고려한 내용을 ‘적용 문법’ 기술부에 제시하였다. 그런데 한국어 표준 문법 적용 문법 기술부의 내용이 원론적 수준의 필요성만을 언급하거나 혹은 중요한 내용을 누락한 경우, 불필요함에도 기술된 경우가 있어 이를 수정, 보완할 필요가 있다. 먼저 개선이 필요한 부분은 변이음 교육, 삼지적 상관속을 이루는 자음의 교육, 변별적 자질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것인데, 이 내용들은 설명이 좀 더 구체화될 필요가 있다. 또한 추가가 되어야 할 내용도 있는데, 운소 부분에서 음운구 억양의 특징이나 억양구 마지막 음절의 특징, 음절 부분에서 음절구조제약, 음소결합제약에 대한 설명 부분이다. 음운 현상 부분에서는 교수-학습이 불필요한 음운 규칙에 대한 기술이 추가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표준 문법』에서는 ‘ㅂ’ 불규칙과 같은 현상에 대해 다중 기저형을 통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한국어 교육에서 효용성이 떨어지므로 굳이 제시할 필요가 없다고 본다. 『한국어 표준 문법』은 향후 개선을 전제하고 있는데,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어 표준 문법』에 개선 방향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한국어 교사용 음운론 교재 집필에도 참고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This thesis aims to propose various points to improve Standard Korean Grammar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se include making detailed explanations, adding missed explanations, and omitting unnecessary explanations in phonology. Standard Korean Grammar was schemed for many possible diverse application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tandard Korean Grammar reflected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al purpose and view, which is described in the “application grammar part.” However, its content is still at the level of “principal,” and even more missed some essential explanations. The following complementary measures are needed. First, there is a need for detailed explanations. The teaching of allophones, the teaching of distinguishing among the three-way plosives in Korean, and the use of distinctive features are necessary for detailed explanations. Second, there is a need for adding missed explanatio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onological phrase tonal patter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st syllable in the intonation phrase are needed for additional explanation. Syllable structure constraints, phoneme combination constraints, and unnecessary items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phonological rules are also needed for additional explanation. Third, omitting unnecessary explanation is needed. A teaching method using multiple underlying forms of irregular conjugation such as “ㅂ” was proposed in Standard Korean Grammar. However, there is no need for explanations because the teaching method is not effective. This thesis is meaningful as it suggests improvement methods about Standard Korean Grammar. In addition, it can be used as the reference of the phonological textbook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 한국어 겹받침 발음 교육 방안 연구 -중국 내 4년제 대학교 한국어학과 저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양해승 ( Liang Hai-sheng ),포연 ( Bao Juan ) 한국어교육연구소 2017 한국어교육연구 Vol.12 No.1

        본고는 중국 내 4년제 대학교 한국어학과 저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더 효율적이고 체계적이며 과학적으로 한국어 겹받침 발음을 교수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세워봤다. 먼저, 『훈민정음』을 통해 겹받침의 역사적 기원을 밝힘으로써 스토리텔링식(story-telling)으로 겹받침 수업을 재미있게 도입하고, 그 다음으로 겹받침 앞 자음에 따라 ‘ㄱ’계, ‘ㄴ’계, ‘ㄹ’계, ‘ㅂ’계로 분류함으로써 겹받침의 형태와 순서를 쉽게 교수하도록 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한국어 겹받침의 발음 방법에 의해 앞 자음이 발음 되는 경우, 뒤 자음이 발음되는 경우, 그리고 앞 혹은 뒤 자음이 발음되는 경우 세 가지로 나눠 각각 뒤 음절이 모음인지 자음인지에 따라 해당 음운변동규칙을 적용시킴으로써 각 겹받침이 나타낸 음운적 양상을 짧은 시간 안으로 체계적으로 쉽게 교수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쓰기, 읽기, 듣기, 말하기 차원에서 재미있는 활용연습을 개발해 봤다. 본고가 중국 내 4년제 대학교 한국어학과 저학년 학생을 위한 한국어 겹받침 발음 교육 방안 연구의 빈자리를 채워 줄 수 있는 연구가 되었으면 한다. At present, Korean final double consonants’ research results for Chinese students are mainly based on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n language institute, and lack of corresponding results focusing on Korean major students at lower grades in four-year undergraduate college in China. So we attempt to build an efficient, systematic, and scientific new teaching model on Korean final double consonants to fill the gap in this field by this paper. To this end, this paper is mainly divided into four parts. First, it’s necessary to use ‘Hunmin Jeongeum’ to explain the origin of Korean final double consonants to students in the way of story-telling. And then according to the first consonant of final double consonants, they can be divided into ‘g(ㄱ)’ type, ‘n(ㄴ) type’, ‘l(ㄹ) type’, ‘b(ㅂ)type’. With this type of classification approach students can grasp the form and order of Korean final double consonants in a quick and effective way. On this basis, according to the pronunciation of Korean final double consonants, we divide them into three types, namely final double consonants only pronounced by the first consonant(ex.ㄳ; ㄵ, ㄶ; ㄽ, ㄾ, ㅀ; ㅄ), final double consonants only pronounced by the second consonant (ex. ㄿ, ㄻ), final double consonants pronounced by the first consonant or second consonant (ex. ㄺ, ㄼ). And then depending on whether the final double consonants are followed by a vowel or consonant, we can combine with the corresponding pronunciation rules to study the comprehensive pronunciation situations of final double consonants with some living examples. Finally, we studied effective methods of final double consonants mainly from four levels: writing, reading, listening and speaking. This paper is intended to fill the gap in the research of Korean final double consonants’ teaching model for Korean major of four-year undergraduate college in China.

      • KCI등재

        한국어 습득 과정에서 나타난 이중모음 발음 오류 양상 및 특성: 우즈베키스탄 한국어 중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안성민 이중언어학회 2022 이중언어학 Vol.88 No.-

        본 논문의 목적은 우즈베키스탄 한국어 학습자의 이중모음 발음 오류의 패턴과 특징을 규명하여 우즈베키스탄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이중모음 발음 교육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우즈베키스탄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에서 수정 또는 보완이 필요한 항목은 /ㅢ, ㅛ, wi, wE/였다. 선행자음이 없는 경우 /ㅢ/의 발음 오류율은 96.3%로 다른 조건의 /ㅢ/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이는 모국어의 영향과 음운 조건에 따라 /ㅢ/의 발음 형태가 달라지는 결과였다. 이중모음 학습에서 단모음 /ㅡ/ 학습을 반복하여 오류를 수정하도록 제안하였다. /ㅛ/의 발음 오차는 40.7%로 성별 변수가 발음 오류의 주원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모음 /ㅗ/의 영향으로 확인되었으며, 남성 우즈베키스탄 학습자의 경우 /ㅗ/의 모음 공백이 /ㅓ/와 많이 겹침으로써 /ㅛ/ 발음에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ㅛ/의 발음 교육도 단모음 /ㅗ/에 대한 교육을 통해 수정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wE/와 /wi/의 오류율은 각각 53.1%와 19.8%였다. 이는 모어의 발음과 한국어 문자의 인식과 연관이 있었음을 밝혔다. 오류 수정을 위해 모국어의 영향을 줄이는 쓰기 강화 교육과 조음 교육 방법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basic data on diphthong pronunciation education for Uzbek Korean learners by revealing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diphthong pronunciation errors of Uzbek Korean learners. Items that need to be corrected or supplemented in diphthong education for Uzbek learners were selected as /ㅢ, ㅛ, wi, wE/. The pronunciation error rate of the /ㅢ/ was 96.3% when there was no preceding consonant at the beginning,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error rate of /ㅢ/ in other conditions. This was a result of the fact that the pronunciation form of /ㅢ/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influence of the mother tongue and phonological conditions. It was suggested to correct the error by repeating the learning of the short vowel /ㅡ/ in the diphthong learning. The pronunciation error of /ㅛ/ was 40.7%, and it was found that the pronunciation error rate of men was higher than that of women. This was confirmed by the influence of the vowel /ㅗ/, and in the case of male Uzbek learners, the vowel space of /ㅗ/ overlapped with /ㅓ/ a lot, thus affecting /ㅛ/ pronunciation.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the pronunciation education of /ㅛ/ should also be modified through education on the short vowel /ㅗ/. Finally, the error rates of /wE/ and /wi/ were 53.1% and 19.8%, respectively. Writing reinforcement education and articulation education method that reduce the influence of mother tongue were suggested.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 능력과 독해 능력의 관계

        정명숙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9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44 No.-

        This study aims to prove that Korean learners' pronunciation abilities also affect learners' reading abilities. It is generally believed that pronunciation skills are very closely related to speaking and listening skills, but they are not related to reading and writing skills. However, unlike other foreign language learners, Korean learners are often found to show spelling errors related to learner pronunciation errors when they write. Eventually, the Korean learner's pronunciation affects his or her writing skills, which could also affect his or her reading skills. In this study, I want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Korean learners' pronunciation and reading skills. I analyzed a Korean learner's writing to sort out a writing error related to pronunciation errors, and based on this, I analyzed the learners' understanding of text by organizing text that could cause confusion in pronunciation to understand meaning. As a result, while not all pronunciation-related errors presented by learners in writing lead to confusion in reading, many pronunciation errors lead to errors in reading. It has proven that Korean learners' pronunciation skills also affect reading skills, suggesting that they need to reset the objectives of the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including not only listening, speaking skills, but also reading and writing skills.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들의 발음 능력이 학습자의 독해 능력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발음 능력’은 구어 의사소통 능력, 즉 말하기와 듣기 능력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지만 문어를 매개로 이루어지는 읽기, 쓰기 능력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생각한다. 그런데 한국어 학습자들은 다른 외국어 학습자들과 달리 쓰기를 할 때 학습자 발음 오류와 관련되는 철자 오류를 자주 범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결국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 능력이 쓰기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인데, 그렇다면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 능력이 읽기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 능력과 독해 능력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자료를 분석해 발음 오류와 관련된 쓰기 오류를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발음의 혼동이 의미 해독에 혼동을 가져올 수 있는 문장을 구성해 학습자들의 문장을 어떻게 이해하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학습자들이 쓰기를 할 때 나타낸 발음 관련 오류가 모두 독해의 혼동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나, 발음 오류가 독해의 오류로 이어지는 경우가 상당수에 이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써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 능력이 읽기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한국어 발음 교육의 목표를 듣기, 말하기 의사소통 능력 향상뿐만 아니라 읽기, 쓰기 의사소통 능력 향상까지 포함해 재설정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발음 영역 문항 분석

        권성미(Kwon, Sung-mi) 우리말글학회 2015 우리말 글 Vol.65 No.-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의 발음 · 발음 교수 능력 평가 항목의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연구를 위해 제1회~제9회에 출제된 문항들 가운데 발음 및 발음 교수 관련 문항을 추출하고 영역별 출제 비중과 평가 내용을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발음 · 발음 교수 영역은 영역별 출제 비중에 있어서, 1, 2, 3영역이나 영역(과목)별 출제 비중에 있어서 회차별 일관성에 있어서는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발음 항목 범주 측면에서도 대체로 다양한 범주들을 균형감 있게 다루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한국어발음교육론의 세부 내용에 있어서 평가내용으로 설정되어 있으나, 실제로 출제가 거의 되지 않고 있는 부분들에 대해서는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study aims at examining the content validity of the Test of the Ability of Teaching Korean, in terms of the knowledge of the pronunciation and teaching pronunciation. For the study, the questions related to pronunciation and teaching pronunciation are picked out of the questions from the first to the ninth exam, and they are analyzed in terms of the portion of the each section and the content of the evalu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seems no specific problem on the portion across the section 1, 2, and 3 or the sections of the subjects. Second, various categories of the pronunciation are turned out to be covered. Second, various categories of the pronunciation are turned out to be covered. In the case of the subordinate sections of the section, Teaching Pronunciation, some contents have almost not been made for the questions even though they are set for the content of the evaluation and complementary efforts need made.

      • KCI등재

        한국어 발음 교재 개선 방향 연구 - 영어·프랑스어 발음 교재와의 비교를 통해 -

        김현아 한국국어교육학회 2015 새국어교육 Vol.0 No.104

        Although the importance of pronunciation in language acquisition has been well established, pronunciation teaching has drawn the least attention in the field of language education. Teaching Korean pronunciation is no exception, resulting in only a few types of materials available to Korean learners and instructors. Recently, there were a couple of published Korean materials which have made some progress in quality, but teaching resources for other languages should provide a higher benchmark for improving Korean teaching materials. This study closely looks into three selected pronunciation materials - Korean, English and French - and conducts a comparative analysis of contents configuration, composition by chapter, types of drills, and ancillary resources. The analysis illustrates that there is still room for improvement in existing Korean pronunciation materials in areas such as encompassing supra-segmental aspects of pronunciation, adopting learner-oriented approach, and presenting examples in richer and more extended context. 언어 습득에 있어서 발음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이미 널리 퍼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언어 교육 분야에서 발음 영역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활발하지 않다. 이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도 예외가 아니며, 그 결과 한국어 학습자 및 교사에게 활용 가능한 한국어 발음 교재 역시 매우 제한적으로만 존재한다. 최근 질적인 면에서 큰 발전을 이룬 일부 한국어 발음 교재들이 출간되기는 하였으나, 비교적 긴 언어 교육 역사를 지닌 타ㅍ 언어 학습 교재들과의 비교를 통해 한국어 발음 교재의 추가적인 개선 방향을 모색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영어, 프랑스어의 발음 교재 중 대표적인 일부 교재들을 선정하여 하위 영역 구성, 각 단원 구성, 연습문제 유형, 학습 보조 자료 등 네 가지 관점에서 교재들을 비교․분석하고 이를 통해 한국어 발음 교재의 개선 방향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초분절적 요소에 대한 교육 내용 보완, 학습자 중심의 학습 지향, 확장된 맥락 제시 측면에서 추가적인 개선의 여지를 확인하고 그 구체적인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발음교재의 분석과 개선방향 연구

        박정은(Park Jung-Eun),이주희(Lee Juhee) 국어국문학회 2008 국어국문학 Vol.- No.150

        This paper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eaching materials on Korean pronunciation for foreign learners and suggest measures for its improvement. The teaching materials on the Korean language hitherto are focused on integrated materials, and while active research on the grammar and vocabulary has been going on, research on resources on the pronunciation has been relatively lacking. In the field where Korean is taught, although Korean language teachers constantly grapple with how they will teach the grammar and vocabulary, still little is done for the improvement of the Korean pronunciation of learners. This could be either because of the lack of teaching materials on the Korean pronunciation that can be used in the field or the Korean language teacher himself does not feel the pronunciation is as important as the grammar or vocabulary. Also it could be because the teacher is not able to teach pronunciation properly due to his or her lack of the knowledge on the phonemic system and rules of the Korean language. The pronunciation is the area which is most heavily influenced by mother tongues and, it is not something that can be acquired by rote learning. As it is one of the important elements which determine the fluency of a language, it does require teaching by all means. Since the Korean language is often not pronounced as it is spelled, Korean teachers should help the learner internalize the phonemic rules by teaching the actual pronunciation of the words and why it is pronounced the way it is, when the words to which the phonetic and phonemic rules apply are brought up in class. In order to revitalize the Korean pronunciation teaching, it is of critical importance that the Korean teachers realize the importance of the pronunciation teaching and figure out strategies to implement it. Also adequate teaching materials on pronunciation teaching and learning are also needed. Above all, it is essential that teaching materials on the pronunciation should provide 'how' the Korean language is pronounced, and taking into account the purpose of the teaching materials and the level of the Korean language of learners, it should help the learner learn and practice the Korean pronunciation correctly. The present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isting teaching materials on the Korean pronunciation, and seeks to suggest measures for the improvement of teaching materials on the Korean pronunci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