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근현대불교학의 과제와 전망

        김원명 ( Kim Won-myoung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6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7

        이 논문은 한국 근대불교의 성격을 밝히고, 한국 근대불교의 연속선상에 있는 한국 현대불교의 과제와 전망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유럽의‘근대’를 활판인쇄술의 보급과 지식의 대중화 그리고 글말과 입말의 일치, 주체의 발견 등의 특징으로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우리가 가리키는 ‘근대불교’가 ‘유럽적 부디즘’의 번역어라는 점을 밝히고, ‘한국 근대불교’의 출발시기에 나타난 특징들을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19세기 유럽인들이 창안한 ‘유럽적 부디즘’을 살펴보고, ‘한국 근대불교’와 그 내용과 기준이 다를 수밖에 없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그 과정을 통해 드러나게 되는 한국불교의 과제와 전망으로, 오래되었지만 여전히 미래적인 다음 사항들에 진전이 있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첫째, 전통불교를 잘 이해해야 한다. 둘째, 세계불교를 잘 이해 해야 한다. 셋째, 첫째와 둘째 문제를 충족하기 위해 불교경전들을 철저한 현대 한국어로 번역을 해야 한다. 넷째, 셋째를 위해 불경 번역자와 불교 연구자 수가 증가해야 한다. 다섯째, 대학의 불교 강좌 수가 증가해야 한다. 여섯째, 생활불교와 학문불교 모두에 불교적 지혜의 문인 깨달음이라는 전제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Korean Buddhism, and to illuminate the challenges and prospects of contemporary Korean Buddhism in South Korea which is over an extension of Korean modern Buddhism. First, I explained the characteristics of European ‘modernity’, which are the typography supplies, the popularization of knowledge, and the unity of the written language and the spoken language, the discovery of the subject. Second, I said that the ‘modern Buddhism’ commonly used in Korea, is a translation of ‘(European) Buddhism’ and I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Korean Buddhism appeared on the starting time of the ‘Modern Korean Buddhism.’ Third, I looked at the ‘(European) Buddhism’ invented by Europeans in 19th century. I think that ‘Modern Buddhism’ and ‘(European) Buddhism’ are not same in their contents and standards inevitably. Finally, in view of the challenges of Korean prospected Buddhism revealed through the process of the above explanation, I suggested that there should be progresses in the followings, which are old but still : First, we should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the traditional Buddhism. Second, we should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the world Buddhism. Third, we must translate the classical Buddhist scriptures into modern Korean thoroughly in order to meet the first and second issues. Fourth, we have to increase the number of translators and researchers of the Buddhist sutras for the third. Fifth, the number of university courses to be related to Buddhism need to be increased. Sixth, the premise of Buddhist wisdom of enlightenment is in need for both academic Buddhism and Buddhist teachings in life.

      • KCI등재

        한국불교의 근대와 탈근대- ‘주체적 근대’ 확립의 과제를 중심으로 -

        박병기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9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40

        Korean Buddhism was met a new chance after permission on entrance and exit to the capital Seoul toward Buddhist Monks, but it was calming down departure of the modern time which is distorted basically from point only following a colonial strategy of Japanese imperialism on the back. With the 3.1 movement, the effort of overcoming that distortion was done, but the main stream already was seizing in pro-Japanese Buddhism influence. At the time of 100 annuals 3.1 movement, I try to focus on the process of the modern where our Buddhist modern puts the root in the Western Europe. I do divide that modern into the three phases; the colonial modern, the imitation modern and the subjective modern. The point of view of 21st centurial opening time, it is a imperative request that we do establish the task of subjective modern. Colonial modern time about 40 years, where it reached to the U.S. army occupied flag was getting over, and imitation modern time which identified from `60's after industrialization process insides is symbolized the fact that it suits in colony policy i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blindly to follow an advanced nation. At the time of colonial modern, Buddhism was marked with pro-Japanese Buddhism and in imitation modern time, Buddhism is marked competition with Christ at prerequisite passed by the process which is transferred with capitalistic order. Different one side of colonial modern, we met the resistance of Monk Manhae(萬海) and Yongsung(龍城), and at imitation modern established the modern setup of force putting on vertical in democratization. At 21st centurial opening, Korean civic society insides where the numerous problems are exposed generally Buddhism to one side sinking in crisis of institutional religion, but other side it will be able to present a new mental order that is receiving to our situation. Like this request, there is a possibility of making with subject of `subjective modern establishments,' the modern discussion which it passes over re-composes the Western root. It is a time to meet the inner ability answer back in the method which is appropriate in demand of the Korean civic society. From the process which confronts appropriately in the subject, it will be made a Buddhism actually in the analytical object and until practical alternative independence of the Korean Buddhism academic world. 우리 불교는 개화기 이후 승려의 도성출입 허용으로 상징되는 새로운 기회를 맞았으나, 그 배후에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지 전략이 도사리고 있었다는 점에서 근본적으로 왜곡된 근대의 출발일 수밖에 없었다. 3.1운동을 계기로 그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노력이 끊이지 않았고, 일정한 성공을 거두었지만 주류는 이미 친일불교 세력에 장악되어 있었다. 이 글에서는 3.1운동 100주년을 맞으면서 우리 불교가 서구에 뿌리를 둔 근대와 만나는 과정을 식민지 근대와 모방 근대, 주체적 근대의 세 단계로 나누고, 21세기 초반 현재의 시점은 마지막 단계인 ‘주체적 근대’가 확립되어야 한다는 당위와 마주하고 있다는 판단을 내리고 있다. 식민지 근대는 일제 강점기에서 미군 점령기에 이르는 40여 년 동안 식민지 정책에 부응하는 것을 근대와 동일시하는 시기이고, 모방 근대는 ‘60년대 이후 공업화 과정 속에서 일본과 미국으로 상징되는 이른바 ’선진국‘을 맹목적으로 따라잡고자 하는 시기이다. 식민지 근대의 시기에 불교는 친일불교로 자리매김되었고, ‘모방 근대’ 시기에 불교는 그리스도교와의 경쟁을 전제로 자본주의 질서로 급속히 편입되는 과정을 거쳤다. 다른 한편 우리는 식민지 근대 시기에 만해와 용성으로 상징되는 저항과 독립의 역사를 함께 이룩했고, 모방 근대 시기에 시민사회 전반의 민주화 움직임에 힘입어 종단의 근대체제를 확립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그 과정에서 생겨난 수많은 문제들이 총체적으로 노출되고 있는 21세기 초반 한국 시민사회 속에서 불교는 한편으로 제도종교의 위기에 함몰되고 있고, 다른 한편으로 우리 상황에 맞는 새로운 정신적 질서를 제시할 수 있기를 요청받고 있다. 이러한 요청을 ‘주체적 근대 확립의 과제’로 규정지을 수 있고, 서구적 뿌리를 지니는 근대와 탈근대 담론을 넘어서 한국불교의 전통을 이 상황에 맞게 재구성함으로써 서구적 뿌리를 지니는 근대와 탈근대 담론을 극복해야 한다는 시민사회의 요구에 적절한 방식으로 응답할 수 있는 내적 역량을 키우는 일에 집중해야할 시기를 맞고 있다. 그 과제에 적절히 대응하는 과정에서 불교현실을 분석대상으로 삼아 실천적 대안까지 모색하는 한국불교학계의 주체성 또한 필연적으로 요청된다.

      • KCI등재

        佛敎學報(불교학보)를 통해 본 한국불교연구의 동향

        이기운(Ki Woon Lee),조기룡(Ki Ryong Cho),윤기엽(Ki Yeop Yoo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2 佛敎學報 Vol.0 No.63

        『불교학보』는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에서 발간하는 불교학 전문 학술지로서, 불교교학 불교사 불교문화 전반에 관한 논문을 게재하고 있다. 이 논문집은 1962년 창설된 불교문화연구소에서 이듬해 창간호를 시작으로 2012년 12월 현재 50년 동안 63집을 발간하고 있다. 불교계에 이렇다 할 학술논문집이 없었을 때, 불교계 최초로 창간되어 그동안 불교학자들의 학문적 업적을 발표하는 대변자로서 역할을 충실히 해왔으며, 한국 불교학의 흐름을 보여주고 새로운 학문적 방향을 제시하는 선구 논문집으로서 소임을 다해왔다. 이제 연구원 개원 50주년 63집을 발간하면서, 그동안의 연구성과를 회고하고 불교학보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새로운 50년 불교학보의 나아갈 길을 전망하고자 이 글은 기획되었다. 그동안 불교학보게재논문의 동향을 보면, 다음의 몇가지로 정리 할 수 있다. 첫째, 한국불교의 각성을 통하여 한국불교의 정체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이다. 게재 논문들은 한국불교의 각성을 통하여 교학사상과 불교사, 불교신앙과 문화에 있어서, 한국불교의 주체성을 밝히고자 노력하였다는 것이다. 둘째, 교학연구의 탈근대화를 이끌었다는 것이다. 동국대학교가 세워지면서 불교계에는 비로소 현대적 불교교육이 실시되어 불교학자들이 배출되었다. 이들을 중심으로 한 현대적 불교학의 성과들은 『불교학보』를 통하여 학계에 소개되면서 현대적 불교학으로서 학문경향이 학계에서 자리잡는데 선도적 역할을 하게 되었다. 셋째, 종파의 탐구와 禪學의 연구가 깊이 있게 이루어지면서 근본불교부터 대승불교에 이르는 교파의 교학사상을 바로 밝히려는 노력과 선학의 체계적 연구가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넷째, 고자료의 발굴을 통하여 한국 불교학 학문적 발전에 기여했다는 점이다. 다섯째, 전통적인 불교학 외에 현대과학과 의학 예술과 관련된 다양한 응용 불교학이 소개되었다. 다음은 앞으로 『불교학보』가 나아갈 길에 대해서는 한국불교학의 정체성을 바로 세우고 미래불교의 비젼을 다음 몇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는 1960년대 이후 2000년대에 이르는 동안 한국 불교학의 硏究推移를 통해서 한국 불교학의 정체성을 이어가고, 한국 불교학의 학문적 토대를 마련해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앞으로 전통 불교학을 기반으로 응용 불교학을 더욱 진흥시키는데 초석이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셋째는 불교학계의 권위지로서의 위상을 유지 발전시키고, 우수한 신진학자의 학문적 성과를 발표하는 등용문의 역할을 다해야 한다는 것이다. 끝으로 이와 같은 『불교학보』의 방향설정을 통하여, 우리논문집은 국내저명학술 지로서 만족하지 않고 불교학계의 국제저명학술지로 지향점을 두어 한국 불교학을 국제 불교학계에 널리 알리는 데에도 게을리 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The Bulgyohakbo(Journal for the Buddhist Studies; 佛敎學報) is a professional academic journal issued by the 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at Dongguk University, and it is publishing treatises in general on Buddhist doctrinal studies, the history of Buddhism, and Buddhist culture. Beginning with the first issue in 1963 after the foundation of the 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in 1962, it has published 63 treatise collections as of Dec. 2012 for 50 years. When there were no treatise collections to speak of, it started its publication for the first time in the Buddhist community. Since publishing its first issue, it has faithfully played a role of a spokesperson presenting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Buddhist scholars, and it has filled its role of a pioneering collection of treatises showing the flow of the Korean Buddhist Research and proposing new directions for the Buddhist research. While we publish the 63rd treatise collection in commemoration of 50th Anniversary of the institute, this writing was planned in order to look back on its academic achievements, ascertain its identity, and to put its course during its new 50 years into perspective. If we get a full review of the treatises which was published in the Bulgyohakbo, tha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reatises published in the magazine confirmed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m through disillusion toward Korean Buddhism. This means that they tried to clarify the independence of Korean Buddhism in respect of Buddhist philosophy, the history of Buddhism, Buddhist faith, and Buddhist culture through reopening their eyes to Korean Buddhism. Secondly, they led the modernization of Buddhist doctrinal studies. After Dongguk University was founded, modern Buddhist education was conducted in the Buddhist community, and Buddhist scholars began to be turned out. Their achievements in the field of modern Buddhist research were introduced to the academic world through the Bulgyohakbo, so that this magazine came to play a leading role in establishing an academic trend as modern Buddhist research in the academic circles. Thirdly, as research on Buddhist orders and Seon studies was done in depth, the efforts to correctly illuminate the doctrinal philosophies of all denominations from the fundamental Buddhism to Mahayana Buddhism were made, and a systematic research on Seon studies was done. Fourthly, the excavation of old materials contributed to the academic development of Korean Buddhist research. Fifthly, diverse applied Buddhist studies in relation to modern science, medicine, and art besides the traditional Buddhist research have been introduced. Next, regarding the course this Bulgyohakbo should take, as far as the task to set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t studies right and the vision of the future Buddhism First,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progress of Korean Buddhist research from 1960s to 2000s, it should keep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m, and it should prepare the academic foundation of Korean Buddhist studies. Secondly, it should become the cornerstone of the promotion of applied Buddhist research on the basis of the traditional Buddhist research. Thirdly, it should maintain and develop the status of an authoritative journal in the Buddhist academic circles, and it should fulfill the role of the gateway to the publication of the academic achievements by excellent rising scholars. Finally, through establishing these directions for the Bulgyohakbo, our collection of treatises should aspire toward a well-known international academic journal, never satisfied with the status of a famous Korean academic journal, so that it should show no neglect of promulgating Korean Buddhist studies to the international Buddhist community.

      • KCI등재

        한국근대불교 연구의 과제와 전망

        조성택 한국불교학회 2012 韓國佛敎學 Vol.64 No.-

        본고에서는 근대불교의 개념을 정의하기 위한 첫 걸음으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작업적 가설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근대불교’는 개인, 자유, 인권, 민족 등 불교 외적인 근대적 요소로부터 도출되는 연역적 개념이 아니며, 따라서 특정한 형태(교단, 교리 등)의 불교를 지칭하는 개념이 아니다. 둘째, ‘근대불교’는 근대공간이라고 하는 새로운 종교 환경에 대한 다양한 반응과 적응의 방식을 통해 귀납적으로 정의되는 구성적 개념이다. 셋째, 근대불교는 한국사의 일부이자 불교사의 일부이다. 근대불교는 전통적 불교권인 동아시아 내에서만이 아니라, 새로운 불교권인 북미와 유럽을 포함하는 범불교 담론의 네트워크를 고려해야 한다. 이른바 ‘세계불교’(World Buddhism)라고 하는 불교를 바라보는 새로운 인식의 등장이 근대불교의 한 특징이 되고 있다. 한편 근대불교는 불교 내부의 추동력에 의한 것이 아니라 유럽의 불교 ‘발견’이라고 하는 외부적 ‘충격’에 의한 불교라는 점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근대불교에 대한 논의는 유럽이 재구성한 ‘부디즘’에 대한 아시아 지역불교의 대응과 반응을 살펴보는 일이 될 것이다. This paper aims at suggesting some working hypotheses which could be the first step to define the concept of modern Buddhism. Firstly 'modern Buddhism' is not a deductive concept defined by other factors besides Buddhism such as individual, freedom, human right and ethnic group. This means that the concept does not refer to a particular type (order, religious dogma) of Buddhism. Secondly, 'modern Buddhism' is a constructive concept, inductively defined by various reactions and adaptations happened in a new religious environment of modern society. In history of Buddhism, the term 'Mahayana Buddhism' is a good example of inductive definition. Thirdly, 'modern Buddhism' is a part of the history of both Korea and Buddhism. In other words, it has to involve a whole network of discussions not only from East Asia, traditional Buddhist countries, but also from North America and Europe, new Buddhist countrie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Modern Buddhism' was not an internal event caused by impetus within Buddhism such as Mahayana Buddhism or Zen Buddhism. Therefore, the themes of the discussion on modern Buddhism would be characteristic of Buddhism discovered (or created) by Europeans as well as Asian's responses and reactions to it.

      • KCI등재

        근대기 종 양상과 용문산 상원사 종 비교 고찰

        원보현(Won, Bohyun)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22 美術史學 Vol.- No.43

        명문(銘文)이 없는 용문산 〈상원사 종〉은 사찰문화재(2002년-2019년) 조사결과 근대 종으로 분류되어 있다. 하지만 제작 시기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의견이 분분하다. 용문산 〈상원사 종〉은 일제강점기에는 고려 종으로 추정되며 당시 종을 산 대곡파 본원사 경성별원을 홍보하는 신문기사에서도 朝鮮3銘鐘 중 하나로 자랑할 만큼 고대 한국 종 중에서 매우 진귀한 보물로 인식되었다. 일본 학자들이 고려 종으로 추정한 것은 당시 일제가 조사한 한국의 고대 종과 비교했을 때 종신의 문양표현이 통일신라와 조선시대 종과는 달랐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된다. 또 근대에 제작된 전통형 종은 조선시대 종 양식을 그대로 따르고 있었고, 일본 장인들에 의해 제작된 종은 남양주흥국사 〈개교원명 종(開敎院銘 鐘)〉(1918년)이외에는 한국 종을 모방한 사례를 찾아볼 수 없었기 때문에 1939년 보물로 지정할 때에도 큰 이견이 없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상원사 종〉이 1908년 남산 동본원사 경성별원에 도착했을 당시 한국 주종장인들의 활동은 매우 미약하였다. 19세기 한국불교는 이미 사찰에 대한 공납과 과세가 과도하게 요구되는 상황에서 군역과 부역군으로 동원되는 등 과도한 승역은 사찰몰락을 가져오게 되었고 많은 사찰이 폐사되면서 새로운 종을 주조하기보다 사찰 간에 종이 매매되거나 파손된 종을 수리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했다. 근대에 조선시대 종을 부분적으로 중수했던 기록이 보이는 것도 1916년부터이다. 1876년 일본과 조선이 맺은 수호조약에 따라 문호를 개방하면서 근대 일본불교는 조선에 진출하였다. 일본불교 종파 중에서도 정토종은 대한제국 황제와 황태자의 위패를 안치하면서 빠른시간 동안 비약적인 포교 활동을 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일본불교계가 별원에서 사용할 대형 종을 주조해서 한국으로 가져오기 시작한 시기는 1918년부터이다. 대곡파 본원사 경성별원(大谷派本願寺京城別院)이 문을 연 1906년은 일본불교의 포교 활동이 시작단계였던 것만큼 사찰의 의식 법구들을 모두 일본에서 공수해오기는 힘들었을 것이다. 그리고 한국포교를 시작한 지 8년 만에 대한제국 황실을 압박하여 경성별원은 지었지만 1906년은 한국 주종장인들의 활동이 거의 없었던 시기였고, 아직 일본 주종장인들의 공방이 한국에 자리 잡기 전이었기 때문에 당시 일본 현지에서 대량으로 제작한 중소형의 판매용 일본 종만 유입되던 시기였다.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한 것은 〈상원사 종〉이 근대에 제작된 종인지에 대한 것이었다. 이 종은 제작기법과 종신의 형태 등은 일본 종을 기본으로 하며, 종신에 새겨진 상대, 하대, 연곽과 연뢰, 주악비천상은 새롭게 문양을 제작했다기보다 통일신라 후기에 제작된 작품을 모방한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 종 역사에서 일본 종 양식을 받아들인 시기는 근대기가 유일하다. 현재 〈상원사 종〉에 대한 정확한 기록으로 전해지는 것은 『조선고적도보 7권 - 고려시대 편』(1920년)에 찍힌 사진과 도면뿐이다. 양평에서 경성으로 옮겨진 시기에 대한 기록도 사실을 확인하기에는 부족한 자료들 뿐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이 종이 옮겨졌다는 시기인 1907년을 배제하고, 1920년대 전후의 근대기 종 제작현황 등 실질적으로 확인이 가능한 부분들로만 정리하여 본 논고에서는 〈상원사 종〉의 제작 시기를 근대로 추정하고자 한다. 또한 <상원사 종>의 제작 배경에 대해서는 근대기에 제작된 〈개교원명 종〉과 같이 한국인들에 대한 일본불교의 포교 활동 속에서 이루어진 결과물일 것으로 추정하고자 한다. The ‘Bell of Sangwonsa temple’ in the Yongmun mountain, which does not have an inscription (銘文), is classified as a modern bell based on a temple cultural property (2002-2019) survey. However, opinions are divided as to when it was made. The ‘Bell of Sangwonsa’ of the Yongmun mountain was presumed to be created under the Goryeo Dynast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newspaper articles promoting the Daegok-pa Bonwonsa temple Gyeongseongbyeolwon, where the bell was bought at the time, glorified it as one of the three great bells of Joseon. It is believed that Japanese scholars presumed it to be the Goryeo Dynasty bell because the pattern expression of the bell was different from the bells of the Unified Silla and Joseon eras compared to the ancient bells of Korea investigated by the Japanese at the time. In addition, the traditional bells produced in modern times followed the bell style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re were no examples of imitations of Korean bells other than 〈開敎院銘鐘〉 (1918) at the Heungguksa Temple in Namyangju, which was made by Japanese craftsmen.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ere was no great disagreement when designating it as a treasure in 1939. When the ‘Bell of Sangwonsa’ arrived at the Dongbonwonsa temple Gyeongseongbyeolwon in Namsan in 1908, there was a decline in the activities of the master bell craftsmen in Korea. In the 19th century, Korean Buddhists were already mobilized for military service and auxiliary service in a situation in which tribute and taxation were excessively required for temples. Excessive work(僧役) led to the downfall of temples; as many temples were destroyed, it became more common to sell or repair damaged bells rather than create new bells. It is also from 1916 that records of partial repairs of the bells of the Joseon Dynasty in modern times can be seen. In 1876, Japan and Joseon opened their doors as per the Treaty of Protection, and modern Japanese Buddhism entered Joseon. Among the sects of Japanese Buddhism, the Jodo sect was able to carry out missionary activities in a short period of time by enshrining the tablets of the emperor and crown prince of the Korean Empire. However, it was in only in 1918 that the Japanese Buddhist community started constructing large bells to be used in the Byeolwon and brought them to Korea. In 1906, when the Daegok-pa Bonwonsa temple Gyeongseongbyeolwon (大谷派本願寺京城別院) opened, it must have been difficult to transport all of the temple"s ceremonial and rites from Japan as the propagation activity of Japanese Buddhism was at the beginning stage. And although the Gyeongseongbyeolwon was built under the pressure of the imperial family of the Korean Empire eight years after they started propagating Korea, 1906 was a time when Korean craftsmen had little activity, and Japanese craftsmen had not yet established themselves in Korea. It was a time when only small and medium-sized Japanese bells produced in large quantities in Japan were impor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Bell of Sangwonsa’ was a modern bell. The production technique and shape of this bell are based on the Japanese bell, and it is thought that the upper and lower patterns carved on the bell, Yeongwak and Yeonroe, and Juakbicheonsang were not newly created patterns, but rather imitated works made in the late Unified Silla period. The modern period is the only period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bells to adopt the Japanese style. Currently, the only accurate records of the ‘Bell of Sangwonsa’ are photos and drawings in 『Joseon Archaeological drawings Vol. 7 - Goryeo Period Edition』 (1920). The records of the period of transfer from Yangpyeong to Gyeongseong are also insufficient to confirm the facts. Therefore, this researcher intends to estimate the production period of the ‘Bell of Sangwonsa’ in modern times in this paper by excluding 1907, the time when this bell was moved, and arranging only the parts that can be confirmed p

      • KCI등재

        원불교의 종교성과 공공성

        원영상(Won, Yong-Sang)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7 佛敎學報 Vol.0 No.79

        본 논문은 근대 한국종교의 하나인 원불교의 종교성과 공공성을 논한 것이다. 최근 공공철학이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가운데 종교에 대한 공공성 연구로도 확산되고 있다. 공공성 연구는 종교, 국가, 기업, 학계 등을 망라한 시각에서, 한국사회는 물론 지구 전체의 문제 해결에 대한 인식 전환을 촉구하는 지적 활동이다. 특히 동아시아에서 한국과 일본은 연구의 연대 속에서 이를 주도하고 있다. 제국주의의 고통을 극복하고자 했던 한국의 종교들은 이러한 점에서 공공성 연구의 적절한 영역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이를 위해 먼저 근대 한국종교의 공공성 연구의 범주를 설정하여 보았다. 근대 한국종교의 활동 영역은 정치, 경제, 문화, 예술, 시민운동 등 다양한 영역에 걸쳐 있으며, 민족주의, 반자본주의, 계몽운동, 공동체, 이념의 공존, 시민적 자유의식, 사회참여, 사회적 다양성의 조화를 핵심 과제로 삼고 있다. 특히 이 가운데 자본주의에 대한 대응, 공공적 시민의식 운동, 독립운동 및 국권회복, 신문화운동의 네 가지 측면에서 공공성 연구의 가능성을 살펴보고 있다. 이어 이러한 연구 범주에 기반, 한 세기 동안 원불교가 어떠한 공공성의 역사를 구현해왔는가를 살펴보고 있다. 종합적으로 공공종교로서의 구체적인 자기규정을 해가는 개혁불교의 이념 차원과, 실천적 차원의 민중구제의 역사를 정리하고 있다. 전자는 백지혈인(白指血印)의 법인(法認), 박중빈의 『조선불교혁신론』과『불교정전』편찬을, 후자는 저축조합운동과 영산방언역사, 전재동포구호사업, 항일운동, 송규의 「건국론」 발표를 통해 그 의미와 가치를 정리하고 있다. 이를 통해 원불교의 종교적 공공성의 성격을 대승정신의 계승과 참여불교의 정신 측면에서 다루고자 하고 있다. 전자는 제생의세론 및 회통사상으로 보고 각각, 개벽사상 및 보편윤리와 연동되고 있음을 조명하고 있다. 원불교는 아시아의 근현대 개혁불교와 맥락을 같이하고 있으며, 대승불교의 보살정신을 계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근대 한국종교의 정신적 축인 개벽사상을 받아들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참여불교의 입장에서 회통정신의 구현을 통해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보편적 가치를 교의로써 확립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해방 후, 원불교 공공성 발현의 한 측면인 종교연대운동을 부기했다. 결국, 원불교는 스스로 천명한 세계평화운동, 평등한 질서 건립, 세계적 정신운동 실천, 국제적 종교연합기구의 구현에 매진함으로써 공공종교로서의 객관성을 확보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This paper discusses the characteristic as a religion and the publicness of Won-Buddhism, one of the modern Korean religions. Recently while the public philosophy is being actively discussed, the discussion is expanding to the research of public concern. The research of publicness is an intellectual to urge transformation of consciousness about the solution to the whole global issues as well as Korean society activity from the perspectives covering religion, state, enterprise, and academies. Especially in East Asia Korea and Japan is leading a research among solidarity of these researches. The Korean religions which had tried to overcome sufferings from imperialism are appropriate aspects for the research of public concern from these points. To do it, first, I tried to set a categories of publicness research into modern Korean religions. The activity scope of modern Korean religions covers variety of scopes such as politics, economy, culture, art, and civil movement, and it took as core tasks nationalism, anticapitalism, enlightenment movement, community, coexistence of ideology, civil awareness for freedom, social engagement, and harmony of social diversity. From these perspectives, I examined the possibility of publicness research through four aspects such as response to the capitalism, public movement of civil awareness, independence struggle and recovery of the national sovereignty, and new culture movement. Continuously, I studied how Won-Buddhism realized the history of public concern during it’s first century. Comprehensively, I arranged the ideological aspect of reformed Buddhism in which it define itself concretely as a public religion, and arranged it’s history of delivering people from the aspect of practice. I arranged the former’s meaning and value through the dharma authentication of ‘the seal of blood from bare fingers,’ Park Jung-bin’s compilation of The Reformation Theory of Buddhism in Joseon Dynasty (Chosŏn pulgyo hyŏksin non) and The Principal Book of Buddhism (Pulgyo chŏngjŏn), and arranged the latter’s through movement of the savings union, levee project at Yeongsan, anti-Japan movement, Song Gyu’s declaration of On Founding a State (Kŏn’guk non). Based on the history, I treated the public characteristics of Won-Buddhism as a religion from the aspects of inheritance of Mahayana spirit and the spirit of engaged Buddhism. I saw the former as the theory of delivering sentient beings and curing the world, and the thought of communicative interfusion, and examined they are connected with the thought of Great Opening and universal ethics respectively. Won-Buddhism shares the context with modern reformed Buddhism in Asia, and it succeeded to the bodhisattvas spirit in Mahayana Buddhism. And it also accepted the thought of the Great Opening which was a spiritual axis in modern Korean religions. Won-Buddhism, as an engaged Buddhism, established as its doctrine the universal values that modern society requires through the realization of communicative interfusion thought. Lastly, after liberation from Japan, I added a solidarity movement of religions as one aspect of realizing the public concern by Won-Buddhism. After all, I saw Won-Buddhism can secure objectivity as a public religion by reflecting how it could realize in daily life the religious spirit through the world peace movement, establishment of equal order, practice of globalized spiritual movement and global organization of the United Religions that it declared itself.

      • KCI등재후보

        한국 근대불교 연구와 국사교과서의 근대불교 서술

        한상길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1 禪文化硏究 Vol.10 No.-

        『The Korean History』 and 『The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are the subjects of the history among the high school curriculum. Along with the name, 『The Korean History』 cover all historical era, and 『The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for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According to examine thoroughly modern and contemporary Buddhism in these two textbooks, each related contents were found 43 items. We thought that narrated large quantity if only seen all items, that isn't exact correct. According to the article in the 『The Korean History』 just three fields. That is summarized ‘Han Yong - Woon’s reform movement’, ‘The 1919Independence Movement of Korea and Buddhism’ and ‘Japanese Buddhist policy and resistance’. However Han Yong - Woon was appearance in common three fields. Because buddhist movements during in the 1919 Independence Movement of Korea were he's activities. He was a great man during the reformation of the modern buddhism and independence movement, thereby concentrated on only him neglected variations of the modern buddhism. Buddhist narrations in the 『The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classified five divisions. ‘Ideas of Enlightenment and Buddhism’,‘Penetration of Japanese Buddhism’, ‘Han Yong - Woon’s reform movement’,‘The 1919 Independence Movement of Korea and Buddhism’ and ‘Japanese Buddhist policy and repression’. Examining these minutely I found several mistakes. That is, as it were misconstruction on 『The Revitalizing Reformation of Chosun Buddhism』 and lacking in understanding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tic laws. These are not different opinions view of history, but only lacking in the acid verification about the historical fact. Therefore in my own way try to find a solution to textbooks problems in the right direction. 고등학교 역사 과목 중에 『국사』와 『한국근 ․ 현대사』가 있다. 교과서 이름과 같이 『국사』는 우리나라 역사의 전시대를 포괄하고, 『한국근 ․ 현대사』는근현대의 역사를 대상으로 한다. 이 두 교과서를 대상으로 근현대불교에 관한 서술을 검토한 결과, 각각 16건, 27건의 관련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항목수만 보면, 적지 않은 분량이 서술되었을 것이라 생각되지만, 실정은 그렇지않다. 16건의 『국사』 서술을 내용에 따라 분류하면 불과 3개의 항목뿐이다. 즉 ‘한용운의 개혁 운동’, ‘3 ․ 1운동과 불교’, ‘일제의 불교정책과 저항’의 세 가지로 요약된다. 그런데 이 세 항목에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인물이 한용운이다. 3 ․ 1운동에 참여한 불교계의 활동은 곧 한용운의 활동이었고, 또한 일제의 불교정책과 그에 대한 저항을 한용운의 유신운동과 卍黨 활동을 서술하였다. 그러므로 전체 16건의 내용은 결국 한용운 한 사람에 대한 서술로 귀결된다고 할 수 있다. 한용운은 근대불교의 개혁과 민족운동의 상징적인 존재임이틀림없지만, 서술이 그에게 집중됨으로써 근대불교의 다양성을 소외시키는결과를 초래하였다. 『한국근 ․ 현대사』 27건의 불교 서술은 내용에 따라 5개의 항목으로 구분된다. ‘개화사상과 불교’, ‘일본 불교의 침투’, ‘한용운의 개혁 운동’, ‘3 ․ 1운동과불교’, ‘일제의 불교정책과 탄압’ 등이다. 이를 각 항목별로 자세하게 검토한결과, 몇 가지의 서술 오류를 확인하였다. 『조선불교유신론』에 대한 잘못된이해와 일제하의 법령에 대한 오류 등이다. 교과서 집필자들의 역사관에 의한 견해 차이가 아니라, 역사적 사실에 대한 엄밀한 검증이 부족한 탓이다. 이에 대한 나름대로의 구체적 대안을 제시하여 올바른 교과서의 서술 방향을모색하였다.

      • KCI등재

        중국 근대 금릉각경처의 각인 사업과 백련암소장 금릉각경처각본 유식문헌의 성격 고찰

        김영진(Kim, Young-Ji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0 佛敎學報 Vol.0 No.90

        선사(禪師) 성철은 많은 불교 고서를 소장했고, 그의 입적 후 그 문헌은 여전히 백련암에 소장되어 있다. 그 문헌 중에는 근대시기 중국의 여러 각경처에서 각인된 서적이 많다. 그들 간행처 가운데 가장 중요한 곳은 난징 소재 금릉각경처이다. 그곳은 근대시기 중국 불교 부흥의 결과였고, 특히 그 가운데 유식문헌은 중국불교가 일본불교와 교류한 결과였다. 그것은 또한 ‘전통과 근대’의 결합이기도 했다. 금릉각경처본 유식문헌에 제한해서 보더라도, 그것의 한국 전래와 유통은 한국불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조선시대이후 전통적인 불교 교육과 연구에서 유식학(唯識學)이나 인명학(因明學)은 관심 밖의 것이었다. 하지만 근대들어 인명학과 유식학은 불교 지식의 중요한 부분으로 전환했다. 이 전환의 배경은 무엇일까? 근대시기 한국불교에서 새로운 불교지식은 ‘일본불교’라는 과정을 거쳐 획득하는 게 일반적이었지만 금릉각경처각본 유식문헌을 통해서 우리는 ‘중국 근대불교’라는 불교지식의 연원이 하나 더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백련암소장 금릉각경처본 유식문헌은 사실 한국 근현대시기 불교지식이 다양한 방식으로 확장했고, 동아시아 차원에서 교류했음을 보여준다. 비록 현재까지 고승 성철이 그 문헌을 어떤 식으로 활용했는지는 분명하게 알려져 있지 않지만 그것이 그에게 의미 있는 역할을 했으리라 추측할 수 있다. Zen Master Seong Ch’ol (性鐵) had many ancient Buddhist books, which are now stored in the White Lotus Temple (白蓮庵). Among them are many books that were published by many Buddhist Publishing Houses (刻經處) in Modern China. The most important place among the publishers is the Jinling Buddhist Publishing House (JBPH, 金陵刻經處). It was the result of Chinese Buddhisms revival in modern times, and it was also a combination of ‘tradition and modernity.’ In particular, the books on vijnapti-matra published by JBPH were also the result of the exchange between Chinese Buddhism and Japanese Buddhism. During the Joseon Dynasty, Korean Buddhists had little interest in the theory of consciousness-only or Buddhist logic (Hetuvidyā). Both were not reflected in Buddhist education and research at that time. In modern times, these two Buddhist theories have become an important part of Buddhist knowledge in Korea. In modern Korean Buddhism, new Buddhist knowledge is generally acquired through a process called ‘Japanese Buddhism.’ However, Buddhist books kept in the White Lotus Temple (白蓮庵) tell us that Korean Modern Buddhism had an additional source of Buddhist knowledge called ‘Chinese Modern Buddhism.’ The books on vijnapti-matra published by JBPH kept in the White Lotus Temple (白蓮庵) actually show us that Korean Buddhism knowledge has expanded in various ways, and has been exchanged at the East Asian level in Modern time. Although it is not clear how Seong Ch’ol has used the books to date, we can assume that they played a meaningful role in his case.

      • KCI등재

        1910년대 식민지조선의 불교 근대화와 잡지 미디어

        조명제 ( Cho Myung Je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2016 종교문화비평 Vol.30 No.30

        잡지 미디어는 근대성의 지표로서 근대지식의 수용과 전달에 중요한 기능을 하였다. 1910년대 불교 잡지는 당시 종교 잡지가 유행하고, 일본의 불교 잡지가 성행하던 것에서 영향을 받아 지속적으로 간행되었다. 불교 잡지의 편집 구성은 구한말의 일반 잡지와 비슷하며, 일본 불교잡지의 영향도 받았다. 불교 잡지의 언설은 한국불교사, 근대불 교학, 사회진화론, 문명론에 입각한 현실인식과 기독교에 대한 대응, 불교계 개혁과 근 대불교 담론 등이다. 이 가운데 한국불교사에 대한 자료 소개와 언설이 가장 많으며, 타자인 일본불교를 의식하면서 한국불교의 아이덴티티를 형성하는 현실적인 과제와 관련된다. 또한 세계 종교의 다양한 양상을 이해하게 되면서 불교가 다른 종교에 비해 우월하다는 언설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언설은 일본 근대불교의 영향에서 비롯되었다. 그것은 식민지조선의 불교 계가 일본불교를 불교 근대화의 롤 모델로 삼았으며, 근대불교를 포함한 근대지 일반을 수용하는 주요 루트가 일본이었기 때문이다. 특히 무라카미 센쇼의 《불교통일론》, 메이 지시기의 통불교 담론 등이 번역, 소개되면서 한국불교의 통불교 담론의 형성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As an indicator of modernization, magazine media of periodical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accommodating with recent informations and transferring modern knowledge among the people. Buddhist periodicals of the 1910s were continously published but with the occasional interruptions, and they are largely affected by Japanese Buddhist periodicals and digested the subjects and topics of the religion in general. The layout of formats and contents of this periodicals are similar to those of the non-religious periodicals which appeared during the late Choseon period and they are reflecting the influences of Japanese Buddhist periodicals. The articles and writings printed in them are under the various subjects; the Korean Buddhist history, the new trends of modern Buddhist studies, the awakening of social consciousness based on the social evolutionism, the “theory of enlightened civilization(文明開化論)”, the religious discourses on how to cope with Christianity, the reformation of Buddhism and on the modern Buddhism, etc. Among them the most popular subjects are topics of the historical documents on Korean Buddhism and brief comments on the Buddhist events. Those topics are practically referred to Japanese Buddhism as “the Other“, by which Korean Buddhism is expected to be awakened and conscious of self-identity. One of the notable aspects is that Buddhism`s status is claimed to be superior to other religions, particularly to Christianity, as the knowledge on the world religions is growing. Such arguments are derived from the influences of Japanese modern Buddhism. It is because Japanese Buddhism is viewed as a role model for “Buddhist modernization” during this period of colonization of Korea. Such an articles are well accepted and affected to Korean Buddhist periodicals` writings through the translations of such as the “Unification of Buddhism (佛敎統一論) by Murakami Shensho or the ”Syncretic Buddhisms”(通佛敎) of the Meiji Japan are also well introduced to Korea Buddhist circles through the translations in the periodical.

      • KCI등재

        탈식민과 한국유교

        김경호 한국유교학회 2015 유교사상문화연구 Vol.62 No.-

        This article is intended to study the significance and role of Korean Confucianism from the perspective of decolonization and analyze the entangled modernity and hidden colonialism philosophically. As Walter Mignolo claimed, there is no modernity without colonialism, and accordingly Confucian colonialism is an essential part of Korean modernity. The "Korean" in the term "Korean Confucianism" in this paper covers the one from the Japanese colonial rule to the present. The period had a great influence on academical trends and political tendencies of Koreans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the division of Korea into north and south. In particular, different Confucian theories and discourses established during the colony and the liberation from Japan are connected with each other, and are complicated in their nature. This paper is also covering an issue, that is, colonial modernity. The topic is related not only to a political sense, but also to psychic and emotional senses, and social emotions created from relationship with others. We need to consider the dynamics of social relationships in that the colonial modernity developed from conflicts between the colonizing and the colonized. This article presupposes "Our negative perceptions of Korean Confucianism originated from the modern period, and is related to the colonial modernity." The origin of contemporary Korean Confucianism is founded on two dissimilar bases. Confucian ideas before and after the 19th century are connected with each other, but are disconnected from each other at the same time. Their relationship causes two different aspects of Confucianism, that is, colonial modernity and anti-modernity, which are conflicting with each other in the contemporary Korean Confucianism. The colonial modernity took different forms, acceptance and resistance, betrayal and silence, cooperation and struggle in the colonial modern Korean period when the modernity and the tradition conflicted with each other. Therefore, it is hard to clarify various aspects of Korean Confucianism, which contains dissimilar elements in its modern nature. Tension caused by its dissimilar aspects is a mask of modern Korean history hidden Korean Confucianism. It is not the fact that the Joseon Confucianism was not reinterpreted by the Japanese colonizer in the frame of the li-centered or qi-centered theory. Rather, the colonizer did deconstruct the Joseon Confucianism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the foundation for their ruling. Their purpose of the reconstruction is to replace the Joseon Confucianism with Japanese Buddhism, and the imperial Confucianism was implanted as part of the project. The colonialism of the Korean Confucianism is the outcome of the colonial de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The remnants of the deconstruction of the Joseon Confucianism and the implanted imperial Confucianism focusing on the li-centered and qi-centered theories are holing the covert but strong hegemony in Korean Confucianism. In the end, this paper tries to study the entangled modernity of Korean Confucianism, and as a result find the identity of Korean people in a way. 이 글은 한국유교의 위상과 역할을 탈식민주의의 관점에서 조망하고, 한국유교가 갖는 착종된 근대성과 은폐된 식민성을 철학적으로 탐구할 목적으로 기획되었다. 월터 미뇰로가 주장하듯이 식민성 없는 근대성이란 존재하지 않으며, 유교적 식민성은 한국적 근대성을 구성하는 요소이다. 이 글에서 다루는 한국유교의 범위는 식민지 유교로부터 현재에 이르는 시기까지이다. 이 시기는 식민체제와 분단체제를 경험한 세대의 학술사상뿐만 아니라 정치적 태도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특히 식민체제와 해방 공간에서 생산된 다양한 유교 이론과 담론들은 매우 미묘하게 연결되어 있어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다. 한국유교와 더불어 이 글에서 다루는 또 하나의 핵심 개념은 식민지 근대성이다. 식민지 근대성의 문제는 정치적 의식만이 아니라 심리적이고 정서적인 요인과도 결부되어 있고, 관계의 역학에서 비롯한 사회적 감성과도 연결된다. 우리시대 한국유교는 갑오경장 이전과 이후의 반식민시기를 거쳐 식민시대에 이른 동일하면서도 다른 조선유교에 연원을 두고 있다. 근대라는 기호 속에 ‘이질적 동일성’을 띠는 한국유교의 중층성은 그래서 명쾌하게 분절하기가 쉽지 않다. 19세기 말 이전과 이후의 한국유교는 연속성을 갖고 있으면서도 단절의 양상이 나타나는데, 연속과 단절의 접점에서 식민지 근대성과 이에 저항하는 반근대성의 두 조류가 한국유학의 내부에서 경쟁하고 있다. 동체의 이질성이 갖는 긴장감은 한국유교를 기반으로 전개된 한국근대사의 가면이기도 하다. 이 글의 핵심 논지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유교는 일제 식민지배자들에 의해 주리/주기의 도식으로 재해석되었다기 보다는 지배체제 구축을 위한 ‘해체’의 과정이었다. 둘째, 조선유교의 해체를 통한 재구성의 도달점은 일본불교로의 대체였고, 그 연장선에 이식된 황도유학이 위치한다. 셋째, 한국유교의 식민성은 조선유학의 해체와 식민적 재구축 담론 과정에서 만들어진 유령을 탈각하지 못하고 현재에 이르고 있다. 여전히 일제 식민 지배기에 만들어진 주리/주기에 의한 조선유교의 해체담론과 이식된 황도유학의 잔재는 은밀하지만 강력하게 현대 한국유교의 헤게모니로 작동하고 있다. 한국유교의 착종된 근대성을 다루고 있는 이 글은 한국인의 감성과 정체성 재발견을 위한 일련의 탐구 과정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