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행정연구의 학제적 연구에 대한 탐색적 접근

        황윤원,윤치중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18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2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실천적・처방적 학문인 행정학과 정책학의 학제적 연구의 특징을 탐색적으로 살펴봄으로서 국가정책연구에서 행정학・정책학의 구조적 특징과 그 성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행정학・정책학 분야의 학제적 연구에서 공동연구의 비중은 51%로 나타났다. 둘째, 학제적 연구의 밀도, 평균 결속계수 그리고 연결망 집중도 값을 통해 행정학・정책학 분야의 학제적 연구는 행정학과 정책학을 중심으로 다른 연구 분야와 1대1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구조적으로 확인했다. 셋째, 한국행정연구원에서 분류한 연구의 성격에 따라 주제별 사회연결망분석을 수행한 결과 개발협력 분야에서 다양한 연구 분야가 참여한 형태의 학제적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했다. 넷째, 재정・예산, 조직・인사 분야의 학제적 연구는 행정학을 중심으로 다른 연구 분야와 1대1 형태의 학제적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했다. 마지막으로, 행정학과 정책학은 재난・안전 분야의 학제적 연구에서 성격이 상이한 연구 분야를 연결하는 매개역할을 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행정학 분야의 학제적 연구를 구조적으로 확인한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interdisciplinarity of the public administration through Social network analysis. For data analysis, research reports from 2012 to 2016 of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was us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terdisciplinary studies accounted for 51% of all reports, and most of them were a combination of the public administration and one other discipline. In addition, interdisciplinary research has been actively conducted in the field of development and cooperation among the research fields classified b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Lastly, the public administration plays a role in mediation of disparate disciplines such as economics and architectural engineering in disaster and safety field.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structurally confirms interdisciplinarity in the field of public administration.

      • KCI등재

        행정학 학술지 공저자 네트워크 분석

        이민호(Lee, Minho) 서울행정학회 2017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국내 행정학 관련 학술 네트워크를 행정학 관련 67개 전문 학술지를 대상으로 2002년부터 2016년 10월까지 총 27,233건의 논문에 대한 공저자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며, 행정학의 학제적 연구측면에서 행정학 학술 네트워크를 이해한다. 이와 함께 학제적 연구가 행정학 학술 네트워크에서 어떠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중심부 가설과 주변부 가설의 관점에서 네트워크 중심성과 학제적 연구 경험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인접 분과 학문과의 학제적 교류가 축소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찰행정 및 형사정책 등 새로운 분야와의 학제적 교류가 확대되고 있으며, 각 분야별 정책연구를 통해 지속적인 학제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학제적 연구는 근접 중심성을 기준으로 행정학 네트워크의 중심부에 위치한 연구자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있음을 지적하고 있어 중심부 가설을 지지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다만 인접 분과 학문과의 학제적 교류에서는 중심부 가설이 지지되고 있지 못하고 있어 학제적 연구의 특성 차이가 확인된다.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the co-authorship networks in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field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using the database of 67 scholarly journals and 27,233 articles for 2002-2016. In addition to describing the traits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field,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what kind of authors on the scholarly network have done interdisciplinary researches. Under the hypothesis of core network, this study tested empir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network centrality index. As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though traditional interdisciplinary relations with other classical social sciences such as politics, management, and law have been reduced, it was found that new type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es have been increased with policy administration and individual policy researches. Moreover, this type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es turn out to be done by the authors positioning at the center of the co-authorship network, which supports the hypothesis of core network.

      • KCI등재

        책에 대한 학제적 연구의 필요성과 방안

        김성은(Kim Sung Eun) 한국출판학회 2017 한국출판학연구 Vol.43 No.1

        Research on books has mainly been done in institutional sciences such as ‘The history of the book’ and ‘Publishing science’. However, there are significant similarities between sociocultural history of publishing and reading, which is the goal of The history of the book, and sociological publishing study, which Publishing science aims at, therefore interdisciplinary research is effective for both goals. This study affirmed the necessity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on books and suggested three ways to help it by examining the precedent researches of The history of the book and Publishing science. First,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an empirical analysis by restricting the research object to specific parts and agents, instead of studying the overall circular flow of books at once. Second, we should keep a balance between reading and publishing studies, by paying more attention to each weak point, although respecting each research tradition. Historical approaches to publishing studies can also be helpful, and sociological generalizations are possible in reading studies. Third, the research background is the closer to the present, the more favorable for the interdisciplinary study. 책에 대한 연구는 주로 ‘책의 역사’와 ‘출판학’이라는 제도 학문에서 이루어져 왔다. 그런데 책의 역사가 지향하는 출판·독서의 사회문화사와 출판학이 지향하는 사회학적인 출판 연구에는 상당한 유사점이 있으며 양쪽의 목표를 위해서는 학제적 연구가 효과적이다. 본 연구는 책의 역사와 출판학의 기존 연구들을 검토하여 학제적 연구의 필요성을 주장함과 동시에 책에 대한 역사학과 사회학의 학제적 연구에 도움이 될만한 세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책의 전반적인 순환 과정을 한꺼번에 연구 대상으로 삼지 않고 구체적인 과정과 중심 행위자를 대상으로 제한하여 실증적인 분석을 해야 한다. 둘째, 독서 연구와 출판연구로 갈려 있는 각각의 연구 전통을 존중하되, 미흡한 분야에 좀더 신경을 기울임으로써 균형을 맞춰야 한다. 출판 연구에도 역사적 접근이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독서 연구에서도 사회학적 유형화나 일반화가 충분히 가능하다. 셋째, 연구의 배경이 현재에 가까운 시기일수록 학제적 연구에 유리하다.

      • KCI등재

        정근식·강성현 저, 『한국전쟁 사진의 역사사회학: 미군 사진부대의 활동을 중심으로』에 대하여 한국전쟁 연구의 국제비교학적·학제적 연구의 필요성과 관련하여

        정의진 ( Jung Euijin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6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4 No.2

        정근식·강성현의 저서 『한국전쟁 사진의 역사사회학: 미군 사진부대의 활동을 중심으로』는 `서울대학교통일학연구총서`의 30번 째 단행본으로 2016년 5월에 출간되었다. 저자들이 미군 사진부대 사진병들이 찍은 한국전쟁 사진들을 별도의 연구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한국전쟁에 대한 한국인들의 기억을 점하고 있는 다수의 사진들이 이들에 의해 촬영된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저자들은 사진의 수용과 분석이전에 사진촬영 주체의 성격을 규명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전쟁 상황에서 사진을 통한 심리전을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조직된 군 사진부대의 특수성을 염두에 둘 때, 미군 사진병들의 시각과 사각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 저자들의 입장이다. 동시에 사진이라는 외부 피사체 기술복제 기기의 과학적 사실성이 내포하는 매체적 특수성을 고려하면서 저자들은 미군 사진병들의 사진을 분석하고 있다. 이를 통해 미군 사진병들이 생산한 사진들의 사각지점들을 해명하면서, 저자들은 적 진영에서 생산한 사진들이나 민간 사진가들이 생산한 사진들과의 교차연구를 통해 한국전쟁에 대한 보다 종합적이고 객관적인 관점을 확보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새로운 냉전구도가 형성될 위험성이 부각되고 있는 현재의 동북아 정세 속에서, 이러한 냉전구도의 역사적 기원인 한국전쟁에 대한 평화지향적인 관점확립이 절실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에서 저자들은 한국전쟁에 대한 국제비교학적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연구방법론의 차원에서 볼 때 『한국전쟁 사진의 역사사회학: 미군 사진부대의 활동을 중심으로』는 역사학의 실증주의적 자료조사 분석방법, 미학과 미디어 연구와 매스커뮤니케이션학이 결합된 사진 매체론 및 포토저널리즘에 대한 연구, 사회적 기억에 대한 역사철학적·사회학적 연구 등을 아우르는 학제적 연구방법론을 통해 진행되었다. 한국전쟁의 복합적인 성격, 냉전적 사고의 여파가 낳은 은폐된 사실들 등을 고려할 때 이러한 학제적 연구는 필수적이다. 연구가 사진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사진이라는 기술복제 미디어에 관련된 포괄적인 사회문화론적 지식 또한 필수적이다. 나아가 치열한 미디어 전쟁, 복잡한 국제적 여론전을 동반한 한국전쟁의 성격을 고려할 때, 한국전쟁에 대한 연구는 국제비교학적 연구에 학제적 연구가 결합될 때 최적의 연구결과물을 도출할 수 있다. 『한국전쟁 사진의 역사사회학: 미군 사진부대의 활동을 중심으로』는 이를 위한 중요한 기초를 놓았다. This paper reviews the book, Historical Sociology of Korean War Photography: Focusing on the Activities of US Army Signal Corps Photo Unit, written by Jung Keun Sik and Kang Sung Hyun. This book suggests several points about our memories on Korean War, which are framed by the photograph of US Army signal corps photo unit. According to the authors, though Korean War is a sixty five year old past, it is still the source of memory reproducing the power to construct the present, and at the center are situated war photographs taken by American soldiers. This book intends not only to examine the photographs on Korean War, but also the activities of the photography units at the US Army during Korean War. Through grasping the scene the photographs are showing, this book tries to understand the scene they are not showing accordingly. To reach the object of the studies, this book make full use of the concepts and method of several fields : history, sociology, media, communica-tion, political philosophy, etc. This book can be a model case of international comparative and interdisciplinary studies on Korean War.

      • KCI우수등재

        포스트모던 미국사회학의 문화연구

        최종렬(Jongryul Choi) 한국사회학회 2003 韓國社會學 Vol.37 No.1

        이 글은 영국에서 시작되어 전 지구적으로 확산일로에 있는 문화연구의 핵심 성격과 발전과정을 서술하고, 포스트모던 미국사회학이 문화연구를 어떻게 수용했는지, 그리고 그 향후 전망은 어떠한지를 밝힌다. 초기 영국 문화연구는 1) 전후 영국 사회와 문화의 대규모 구조적 변동과 2) 그에 대응하는 노동계급을 위시한 주변인들의 삶의 전략에 관심을 가졌다. 이를 위해 역사학적, 민속지적, 문학적 접근을 포괄하는 학제적 연구를 활용하였고, 주변적 존재들의 시각에서 인간과 사회를 보다 평등하게 재구성하려는 윤리적?정치적 관심을 지니고 있었다. 사회학을 ‘과학’으로 만드는 데에만 몰두해 온 미국 주류사회학은 사회가 텍스트화 되었다는 포스트모더니즘의 도전을 거의 무시한 반면, 비판적 사회학과 상호작용론적 사회학과 같은 비주류 사회학은 이 도전에 대한 대응으로 초기 영국 문화연구의 기획을 받아들여 포스트모던 시대의 문화연구로 발전시켜왔다. 향후 포스트모던 미국사회학의 문화연구는 포스트모던 시대의 구조화된 불평등을 거시적?미시적 차원 모두에서 제거하기 위해 정치경제학과 담론이론의 학제적 연구를 활용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describes the core nature and development of British Cultural Studies which spread through the globe, examines how postmodern American sociology embraced it, and illuminates further implications of Cultural Studies in postmodern American sociology. Early British Cultural Studies introduced two interrelated subjects: 1) large-scal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culture and society in post-war Britain; and 2) its impact on the everyday lives of the marginal including the working class. It utilized the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culture and society, which included history, ethnography, and literature. The main impetus that propelled this project was of the ethical-political interest in reshaping humanity and society into a more egalitarian for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arginal. Mainstream American sociology, which has been preoccupied with how to make sociology a “science,” has almost ignored the postmodern challenge that the social has become textualized. Marginal American sociology such as critical sociology and symbolic interactionist sociology, in contrast, has embraced Cultural Studies as a response to the postmodern challenge and has developed it into Cultural Studies in the postmodern era. Further, Cultural Studies in postmodern American sociology should utilize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which would combine political economy and discourse theory, in order to eradicate the structured inequality at both macro and micro levels in the postmodern era.

      • KCI등재

        국어교육 연구의 현황과 발전 방향 : 읽기·독서 영역을 중심으로

        서혁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06 교과교육학연구 Vol.10 No.1

        이 글에서는 국어교육의 역사와 연구 현황을 간략히 살펴본 후, 최근의 국어교육 연구 현황과 발전 방향을 독서와 읽기 교육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그리고 국어교육이 타교과교육과 어떻게 상호 연관성을 갖는지를 개략적으로 살펴본 후, 국어교육과 타교과교육과의 학제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그 동안 국어교육학 연구는 국어학과 국문학 중심의 학제적 연구에서 더 나아가서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의 국어사용 측면에 대한 연구가 심화 되었고,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평가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연구 결과들이 축적되고 체계화되어 왔다. 앞으로 국어교육학 내부의 세부 연구도 더욱 축적되어야 하겠지만, 학문적 폐쇄성이나 배타성을 버리고 관련 학문들과의 학제적(interdisciplinary) 연구도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다. 여기에는 통합 교과교육적 접근의 시각이 요구된다. 이는 국어과 교과서에 실릴 텍스트의 선정을 위해서는 물론이고, 타교과의 효율적 교재 구성, 학습자의 종합적인 인지발달 단계 파악,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초중등 교육의 기틀 마련을 위해서도 필수적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the current status and suggest desirable directions for research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ereafter KLE) focused on interdisciplinary research such as reading in KLE and other subject-matter education or pedagogics. The researches of KLE has increased greatly in recent 20 years. There are almost 150 doctoral dissertations and so many books regarding introduction to the KLE or subordinate areas such as speaking and listening, reading, writing, pedagogic grammar and literature educations including Korean versions of translation. This study, on the whole, consist of three parts. I tried to explain briefly (1) the history of KLE, (2)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es of KLE focused on reading education, (3) interrelationship between KLE and other subject-matter education. KLE has so close relations with many subject-matter areas, which means there are so many tasks and researches we have to do interdisciplinary. In this context, we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KLE and other education area. In particular, we need to develop Special education programs for the gifted, which has not been developed efficiently compared to mathematics or science field. Most researchers agree that we should work more on the language development for learners in KLE including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of text and discourse. Soon, we will see a good deal of emphasis on the essential education related to 4 basis skills of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in every subject-matter areas also. Especially, the drive to combine reading and literature will be stressed in many levels of education.

      • KCI우수등재

        e스포츠의 학제적(學際的) 구성과 전망

        이상호(LeeSang-Ho),황옥철(HwangOk-chul) 한국체육학회 2019 한국체육학회지 Vol.58 No.3

        e스포츠가 스포츠인가? 아닌가? 의 논란과 관계없이 e스포츠와 관련된 철학, 경영, 사회적 관심, 동기분석 등 학적인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e스포츠 현상이 현실에서 드러난 이상, e스포츠를 전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하나의 학문적 체계가 필요한 시점이지만 이것은 쉬운 것이 아니다. e스포츠 학(學)은 타학문과 개념적 구분이 있어야 하고, 학문적 공동체가 성립되어 공통적으로 공유하는 이론적 틀이 존재해야 한다. 따라서 현실적인 상황을 고려한다면, e스포츠가 갖는 개별학문의 완성된 틀을 제시할 수는 없다. 하지만 e스포츠는 디지털기기와 스포츠의 학제적 연구라는 것을 부인할 수 없다. 물론 학제적 연구도 학자의 관점에 따라 다르게 설명될 수 있고, 그 내용에 대해서도 논리성이 부족한 개인적 주장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누군가 학제적 구성 내용의 길을 제시해야 그 길을 넓히거나 다른 길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e스포츠의 학제적 연구의 핵심 요소를 경험에 맞추었다. 경험은 e스포츠를 관통하는 핵심개념이기 때문이다. e스포츠 경험의 본질을 파악하기 위한 학제적 구성 내용은 현상학, 인지과학, e스포츠문화, 생태심리학, e스포츠윤리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연구자들이 주장하는 학제적 연구가 담론적 접근에 따른 내용이라고 할 수 있지만, 이것을 계기로 스포츠의 학제적 논쟁을 촉발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Regardless of whether eSports is sports or not, there specifically are showing the philosophy of eSport, business, social interest and motivational analysis in various journal related eSports. As the phenomena of eSports appear in real world, it is time to set a discipline of eSports to view the eSports in totality. But it is not easy. The discipline of eSports has conceptual differentiation from others disciplines, common theoretical tools by recognizing many scholars in scholar community. So, we may not suggest the finished contents of eSports as a discipline. But we do not deny eSports is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which digital machine and sports meets each other. Also, interdisciplinary research of eSports will be differently explained according to scholar’s perspective. And its contents is considered as individual opinion of not having logical foundation. However, a scholar should pave the new way for the interdisciplinary contents of eSports. In which, we will seek for new another way and widen the way. This research focuses on experience as core element of interdisciplinary study of eSports. Experience is a critical concept penetrating eSports. We suggest the interdisciplinary contents of eSports as follows: phenomenology, cognitive science, culture of eSports, ecological psychology, and ethics of eSports. Although our suggestions are as the discursive approach, taking this opportunity, we hope to trigger the interdisciplinary discussion of eSports.

      • KCI등재

        종교학과 여성학의 학제적 만남과 성찰적 연구(자)

        양혜원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22 현상과 인식 Vol.46 No.3

        이 연구는 성찰적 연구가 제대로 시행된다면 분과의 학제적 만남에 성공적으로 기여할 수 있음을 논한다. 그 대표적 사례로서 여성학과 종교학의 학제적 만남에서 어떻게 성찰적 연구가 중요한 역할을 했는지 살펴본다. 글의 순서는 먼저 여성주의 연구 방법으로서 성찰적 방법이 무엇인지를 논한 후에, 종교학의 여성주의 연구 그리고 여성학의 종교 여성 연구의 역사를 서구와 한국의 맥락에서 차례로 살펴보면서, 종교학과 여성학의 학제적 만남에서 어떻게 성찰적 연구가 한편으로는 중요한 역할을 하면서도 또 한편으로는 여성주의 규범의 제약을 받으면서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논한다. 이는 여성주의가 여성주의로서 의미가 있으려면 불가피한 것이기도 한데, 여성학이 전문 분과로 인정을 받으면서 더 강화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성찰적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면 학문 분과 사이의 대화 또한 활발해진다는 것을 논하면서 어느 분과의 연구자든 성찰적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질 때 분과 사이의 협력은 물론 분과를 넘어서는 대화와 협력의 가능성 또한 높아질 것이라 내다본다.

      • KCI등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10년의 회고와 전망 : 학회지 게재 논문에 대한 내용분석

        홍성걸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08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Cybercommunication Academic Society (CAS) in Korea. Established in 1997, the CAS is now ten years old. Members of the CAS celebrated its ten year-old birthday in the Fall of 2007, in which numerous articles on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the CAS and other related academic communities have been presented. By using content analysis method, this paper reviews 153 articles which was appeared in the Journal of the CAS during the past ten years. Due to the CAS's membership, the Journal has published a variety of articles from various social science fields such as law, public administration, sociology, economics, business administration, and journalism. Despite its interdisciplinary nature, however, the Journal lacks truly interdisciplinary articles. Simple description of facts are certainly important contributions in understanding what happens in reality, but a more serious academic effort in analyzing those facts in order to build up the sophisticated theories which can be widely applied to the real setting is also needed. About half of the articles came from the journalism majors, which suggests that scholars in other majors should be more active in publishing their researches would be necessary in the future. Overall, the CAS has contributed a lot in understanding the roles and nature of the newly created cyberspace and human interactions within it, but need to expand its efforts more toward interdisciplinary and theory-oriented directions. 이 논문의 주요 목적은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의 창립 10주년을 기념하여 그 동안 공식학회지인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에 게재되었던 논문들을 대상으로 연구성과와 내용을 분석하고 향후 과제를 검토하는 것이다. 우리 학회지는 1997년 가을, 창간호를 시작으로 초기에는 연 2회 발행되다가 2005년 12월, 학술진흥재단의 등재후보지로 선정되면서 2006년부터 연 4회로 발간횟수를 늘리게 되었고, 2년여가 흐른 오늘날에는 사이버공간과 소통에 대한 학제적 연구를 대상으로 하는 전문학술지로 성장하고 있다.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는 지난 10년간 많은 연구논문을 우리 학계에 내 놓았다. 분석결과, 학회의 구성을 반영하여 언론분야의 연구가 절반을 차지하였고, 다양한 전공분야와 연구주제, 연구방법, 및 분석기법들이 활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학회보를 중심으로 살펴 본 우리 학회의 학술활동은 몇 가지 점에서 한계를 보이고 있다. 우선 정보혁명의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의 총체적이고 학제적인 연구와 접근을 목표로 출발했지만 진정한 학제적 연구가 그리 많지 않았다. 전공에 따른 차이는 있지만 학술적 연구(이론정립이나 검증)보다는 현실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대안의 제시에 치중되었다는 것은 보다 근본적인 사이버 공간에서의 소통문제를 학술적 차원에서 규명하려는 노력이 더욱 필요함을 시사한다. 인과관계나 상관관계 등을 규명하는 분석적 연구보다는 기술적 연구의 비중이 많았다는 점, 정치학과 경제경영분야 전공자의 논문 게재가 상대적으로 매우 적었다는 점, 그리고 국내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압도적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 등도 그 자체로서 의미가 있고 중요한 것은 사실이지만 여전히 균형 있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 받아들여진다. 결론적으로 지나간 10년을 뒤로 하고 또 하나의 10년을 향해 새롭게 출발하는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는 학회 본래의 취지였던 학제적 연구를 더욱 활성화시켜야 하고, 사이버공간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이론적 접근과 분석에 노력해야 한다는 과제를 안고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한국 고고학의 과학적 방법론

        이성주(Lee, Sung Joo) 영남고고학회 2021 嶺南考古學 Vol.- No.91

        인문·사회과학의 다른 분과와는 달리 고고학은 자연과학의 여러 분야와 학제적 형태로 연구가 수행되는 고고과학, 혹은 고고계측학의 분야를 포함하고 있다. 과학적 방법론에 토대를 둔 이 연구 분야에서 내놓은 연대측정, 고환경, 유물의 생산기술과 산지, 동물과 식물유체의 분석을 통한 생업과 식단, 혹은 고대DNA에 관한 연구 결과는 고고학 지식의 성장에 더 없이 중요한 기여를 했다. 이와 같은 과학적 방법론이 한국 고고학에 도입되어 성장해 온 과정을 살피고앞으로의 전망에 대해 논의해 볼 필요성 때문에 이 논문이 작성되었다. 1970년대 후반 고환경의 연구와 제작기술의 복원과 산지 추정을 위한 토기분석에서 시작된 한국에서의 고고과학 연구는 고고금속학, 동물유체의 연구로 확산되어 갔고, 화학, 지질학, 지리학, 생물학 분야의 연구자들의 참여도 있었다. 하지만 2000년대 이후부터 연대측정, 고환경과 유적입지, 고고금속학, 고고화학, 동물유체, 식물유체, 인골, 지질고고학과 잔존유기물 분석 등의 자료를 분석할 수 있는전문연구자들이 생겨났으며 연구 성과도 체계적으로 축적되기 시작했고 지금은 고고과학의 여러 분야에서 커다란 발전이 있었다. 그러나 고고과학의 연구 성과는 여전히 한국고고학의 논의에 폭넓게 확산되어 있지 않으며, 고고학자와자연과학자 사이의 학제적 토론도 그리 활발하지 못한 편이다. 특히 고고과학 연구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한국 고고학의 발전에 기여하려면 전문 연구자의 연구프로젝트 수행이 보장될 수 있는 제도적, 그리고 재정적 지원체계가 필요하다. Unlike other branches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rchaeology includes various fields of the archaeological science, where natural scientists and archaeologists work together to conduct a research in the interdisciplinary way. The results of archaeometric research, related to chronometric dating, palaeoenvironment, ancient technology, subsistence and diet, has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growth of archaeological knowledge. This paper was written because of the need to examine the process in which scientific methodologies have been introduced and grown in Korean archaeology and discuss future prospects. In the late 1970s, the archaeological science in Korea, which began with the study of paleoenvironment and ceramic analyses to understand the technology and provenance, expanded to the archaeometallurgy, geoarchaeology and the analysis of faunal remains. It was not until the 2000s that the specialized researchers from each field emerged, various projects of archaeological science were carried out, and systematic research became possible. However, the results of scientific analyses are still not widely accepted in the discussion of Korean archaeology, and the interdisciplinary communication between archaeologists and natural scientists is not so active. In order for the scientific approach to continue to grow and its achievement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archaeology, an institutional and financial support system is needed to ensure the various research projects of archaeological sc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