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장애유아의 초등학교 전이과정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경험연구

        김수진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8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8 No.1

        초등학교 입학은 유아에게 새로운 물리적 공간에서 경험하게 될 새로운 교육과정과 일과라는 변화로 인해 기대와 긴장감을 발생시킨다. 이것은 유아뿐만 아니라 유아들의 가족들에게도 기쁨과 설렘, 부담과 긴장이라는 심리적 양면성을 지니게 한다. 이런 점을 비추어 볼 때 장애유아의 초등학교 전이는 더욱 많은 긴장과 스트레스를 가져다 줄 수 있다. 초등학교 전이기에 가질 수 있는 다양한 과정들은 초등학교 이후의 통합교육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며, 인생에 있어서도 중요한 전이시기인 만큼 장애유아의 전이기를 함께하는 유아특수교사는 중요하고 비중 있는 역할에 대한 책무성도 함께 느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통합유치원과 장애전담어린이집의 유아특수교사의 초등학교 전이과정에 대한 경험 연구를 통해 전이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실행정도, 어려움, 초등학교 연계에 대한 개선점을 비교분석하여 통합교육을 위한 전이지원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장애유아의 초등학교 전이과정에 대해 유아특수교사의 경험을 알아보기 위한 질적 연구로 연구 참여자를 선정 시 유아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의도적 표집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4년에서 12년의 경력이 있는 통합유치원의 유아특수교사 2명과 장애전담어린이집의 유아특수교사 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현장 전문가들을 통하여 연구 참여자를 추천받았다. 본 연구에 사용된 면담 질문지는 연구 참여자의 기본적 정보 및 장애유아의 초등 전이에 관한 유아특수교사의 경험에 관한 질문으로 구성하였다. 면접문항은 강보미(2017), 박금내(2017), 이현정(2017)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전이경험, 전이를 위한 준비과정, 초등학교와의 협력 및 공유, 전이과정에서의 어려움, 개선점 등 5가지의 주제로 구성되었다. 질문지 구성과정에서 현장전문가의 조언과 예비면담 등을 통해 질문은 객관적이며 구체적인 용어로 수정 및 보완하여 개방적 반구조화 질문지를 완성하였다. 녹음기능이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된 모든 사례는 면담 즉시 전사하였으며 전사후 녹음 내용과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였다. 이후 Colazzi(1978)분석 방법에 의해 주제(theme), 주제묶음(cluster of theme), 범주(category)화하고, 지속적 분석을 하여 일관성을 유지하고자 노력하는 가운데 수집된 자료를 분류하여 사례번호별로 번호를 붙여 모든 과정을 처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면담 자료의 분석결과, 전이의 중요성, 교사의 이해도, 조기 통합의 중요성, 중간 연락자로서의 부모, 제도의 보완이라는 5개의 개념으로 범주화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특수교사가 통합유치원과 장애전담어린이집이라는 소속 기관의 특성에 따란 전이경험에서의 차이가 있으며 전이의 중요성에 대한 부모및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에 따라 전이과정이 의미있는 결과를 보일 수 있으며 이들의 인식은 곧 장애유아의 초등학교 통합교육을 위한 초기 단계로써 결정적 역할을 하는 단서가 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전이과정의 중요성에 대한 부모와 초등하교 교사의 인식개선을 위한 프로그램과 제도개선이 필요함을 제언하는 바이다.

      • KCI등재

        한국·미국의 유아교육과 학교교육간의 전이 및 연계 비교

        유선영(Yu Sun young),이성희(Lee Sung hee) 한국비교교육학회 2017 比較敎育硏究 Vol.2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미국의 유아교육과 학교교육 전이 및 연계 실제를 살펴봄으로써 전이 및 연계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관련 선행연구 및 문헌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크게 한국·미국의 유아교육과 학교교육 체제 및 유아·교사·학부모 연계교육 지원으로 내용을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유아의 경우 초등학교 입학으로 전이가 이루어지는 반면 미국 유아의 경우 학제에 포함된 K(유치원)으로 전이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또한 한국의 경우 유치원과 초등학교가 각기 다른 교육과정으로 운영되는 반면, 미국의 경우 K부터 12까지 연계된 교과핵심성취기준에 따라 운영된다. 한국과 미국 모두 각 교육과정 내에서 유초연계와 적응을 지원하는 내용이 다루어진다. 둘째, 한국과 미국의 경우 유초연계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직접적으로 유아의 초등학교 학습 및 생활 적응을 지원한다. 또한 한국의 경우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사가 학교 간 방문과 상호 수업 교류 및 협의를 통해 교수학습 및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돕는 반면, 미국의 경우 프리스쿨· Pre-K 교사와 K 교사가 유아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연계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경우 부모지원은 주로 유치원에서 부모교육특강이나 가정통신문을 활용하는 반면, 미국의 경우 코디네이터를 활용해 전이과정을 지원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육과 학교교육의 전이 및 연계를 내실화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ansition and continuity practice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nd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by examining a wide range of studies on the transition process. Literature review and comparative research are used as a research method. First, the transition process on the school system in both countries are reviewed. Then, administration and support for children, teachers, and parents for transition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re analyzed. Korean children experience school transition when they enter elementary school, whereas American children experience the transition when they enter kindergarten. Under the different systems each curriculum addresses the importance of continuity and provides subjects or theme for helping children’s early adjustment. Research from both countries indicates that transition program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children’s adjustment to school. Programs intended for direct children’s experiences, teachers’ beliefs and experiences regarding transition, and family experience and involvement are key factors for children’s successful adjustment to school. To create meaningful transition practices and ensure continuity or children, the linkage among children, parents, and schools at the community level needs to be formed.

      • KCI등재

        장애아통합어린이집의 초등학교 전이지원 과정 실행 현황과 중요성에 대한 통합교사의 인식

        배성현,손가화,이병인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3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situation of implementation and importance of transitional support process to elementary school for childcare teachers in inclusive settings.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by 195 inclusive childcare center teachers in Seoul and Kyeonggi area. Analysis on the situation of implementation and importance of transitional support process to elementary school which consist of family needs and support plan, educational support and follow-up after the transitional support process was conduct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the background variables which affected the degree of implementation of inclusive childcare center teachers resulted in significant differences. Specifically, family needs, support plan and the work experience as inclusive childcare center teachers, educational support according to the number of inclusive classes and follow-up after the transitional support process according to the teachers in charge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taken into account in this study. Second, in the situation of implementation and importance of transitional support process to elementary school and subdomains skill for inclusive childcare center teacher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ll domains of family needs and support plan, educational support and follow-up after the transitional support process. By analyzing the perception of inclusive childcare center teachers for the situation of implementation and importance of transitional support process to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provided the efficient and desirable direction of transitional support process for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이 연구는 장애아통합어린이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통합교사의 초등학교 전이지원 과정에 대한 실행 현황과 중요성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에 있는 195명의 통합교사를 대상으로 가족의 요구 및 지원계획, 교육전반에 대한 지원, 추후지도 및 평가지원의 단계로 이루어져 있는 초등학교 전이지원 과정에 대해 설문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첫째, 통합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초등학교 전이지원 과정에 대한 실행 현황은 통합교사 경력에 따른 가족의 요구 및 지원계획, 통합반 수에 따른 교육전반에 대한 지원, 현재 담임반에 따른 추후지도 및 평가지원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합교사의 초등학교 전이지원 과정과 하위영역별 기술에 대한 실행 현황과 중요성 인식의 차이는 모든 영역인 가족의 요구 및 지원계획, 교육전반에 대한 지원, 추후지도 및 평가지원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연구는 장애아통합어린이집에서의 초등학교 전이지원 과정의 실행 현황과 중요성에 대한 통합교사의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취학 전 장애유아의 효율적이고 바람직한 전이과정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연계교육의 성과와 방향

        정지선 ( Ji-sun Chung )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 2001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논문집 Vol.2 No.4

        In order to provide the practical and high quality vocational education, the articulation of curricula of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hose of colleges should be developed. Since the government funding projects began in 1999, its achievements need to be analyzed to provide helpful suggestions to the directions of the projects toward. Financed by the government, the projects have been generally achieving a positive performence as originally planned, especially highly notable is that the government funds have served as seed money to the strengthened determination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jects for which financial supports are provided by inducing a sort of competition among the colleges and also has provided an opportunity to recognize the general direction toward the evolution of the colleges by invoking to the professors of the colleges a spirit as for the vocational education. It was identified that the inputs, process, outputs of the college education are all on the rise, which is analyzed to have been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college education. General principles are observed as followed. The first is to secure stable financial resources, and the second is to comply with the principles governing the distribution of education funds: equilibrium among the colleges, autonomy in financial management, efficiency in budget implementation, responsibility in relation to the financial support from the national treasury, sufficiency of the financial assistance, predictability of the financial support. Some directions of funding are suggested as following. Professors involved in the projects shall be allowed to use operating expenses. A compensation system shall be established for the professors involved in the government-financed projects. Manpower to provide assistance to the research shall be expan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