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관절 전치환술에서 하지 길이의 변화 : 수술전 예상 측정치와 수술후 실제 측정치 사이의 차이에 대하여 Differences between preoperative prediction and postoperative measurement

        강희중,원중희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1994 忠北醫大學術誌 Vol.4 No.2

        하지 길이의 적절한 회복은 고관절 전치환술의 목적중 하나다. 수술후 하지 길이의 변화를 수술전 예측 평가한 것이 수술후 실제로 측정한 것과 항상 일치하지는 않는다. 이에 저자들은 골시멘트를 사용하지 않고 수술한 고관절 전치환술 40예에서, 수술전 예측한 하지 길이 변화와 수술후 측정한 하지 길이의 차이에 대해, 이들 차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위 예들중에서 치료하지 않은 선천성 고관절 탈구증과 같이 수술전 하지 길이의 차이가 많은 경우는 제외하였다. 대퇴부에 사용한 인공삽입물은 Omnifit(Ostenonics) 혹은 CLS(Protek) 스템이었고 비구컵은 모두 Harris-Galante Ⅱ(Zimmer)였다. 수술전 비구 가늡자(template)를 방사선 사진 위에 놓고 비구컵 중심을 연필로 그린 후, 대퇴 스템 가늡자(template)를 대퇴부에 놓고 대퇴 골두 중심을 그린다음, 위 중심의 거리 차이를 수술전 하지길이 변화의 예측치로 하고, 수술후에는 골반의 눈물방울선(inter-teardrop line)에서 대전자부 끝을 이은 선의 거리를 수술전과 비교하여 하지 길이 변화로 하였다. 수술전 측정한 하지 길이 변화 예측치는 평균 9㎜였고, 수술후 측정한 하지 길이 변화 측정치는 평균 14㎜였다. 이와같은 수술전 예측치와 수술후 하지 길이 측정치의 차이는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겠다. 우선 방사선 사진의 측정방법이 중요한 요인이다. 확대정도나 방사선조사선의 중심, 그리고 고관절의 정확한 위치 등이 수술전 방사선 촬영에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가늡자(template)를 사용하는 기술은 또 다른 중요한 요인이다. 수술전 측정과 비교하여 보면 수술후 비구 중심이 이동하는 경우가 있었다. 수술전 측정과 실제 삽입한 대퇴 스템의 크기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가 있는데 이로 인해 하지 길이의 변화가 유발될 수 있다. 수술전 예측한 하지 길이의 변화가 항상 수술후 하지 길이의 변화와 일치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수술전 측정한 것과 수술후의 하지 길이 변화의 차이를 최소화 하려면, 위의 요인들을 수술전 측정에서 충분히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One of the aims of THA is to restore the appropriate leg length. Preoperative estimation of postoperative leg length change does not always result in predicted value when measured postoperatively. We reviewed 40 cases of cementless THA to see the leg length changes after THA and analysed the factors that could affect the discrepancies of preoperative estimation and postoperative measurement. The cases with severe preoperative leg length discrepancy such as untreated CDH were not included in our series. Inserted femoral were Omnifit(Osteonics) or CLS(Protek) stems. All the acetabular cups were HG Ⅱ(Zimmer) cups. Preoperatively the acetabular template was mounted on the film and the center of the acetabular cup was marked with pencil. Femoral template was also mounted on the femoral side and the center of the femoral head was marked.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centers was a basis for preoperative estimation. Postoperatively the leg length change was measured by the change of the distance from inter-teardrop line to the greater trochanter tip. Leg length change estimated by preoperative templating was 9㎜ lengthening in average. Postoperative leg length change was 14㎜ lengthening in average. The discrepancies of pre and postoperativen measurement were attributed to following factors. Standardization of taking the X-ray views was an important factor. Magnification, center of X-ray beam and the accurate position of the hip should be considered in taking preoperative X-rays. Templating technique was another factor. Postoperative acetabular center shifted frequently compared with preoperative estimation. The size of the stem was not always matched with preoperative templating, and this resulted in different leg length changes. Templating does not always tell accurate postoperative leg length change. To minimize the discrepancy of pre and postoperative measurement above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n peroperative estimation.

      • KCI등재

        고관절 치환술에서 술 중 방사선 촬영으로 하지부동의 최소화를 하는 유용한 방법

        김종원 ( Jong Won Kim ),장영수 ( Young Soo Jang ),박현수 ( Hyun Soo Park ),라종득 ( Jong Deuk Rha ),양진필 ( Jin Phil Yang ),최재혁 ( Jae Hyuk Choi ),배성주 ( Sung Ju Bae ) 대한고관절학회 2011 Hip and Pelvis Vol.23 No.4

        목적: 고관절 치환술에서 하지 부동을 최소화 하는 방법에 대한 방법과 유용성에 대한 많은 의견이 있다. 저자는 술 전 가늠술(templating)과 더불어 술 중 방사선 촬영을 이용하여 하지 부동을 줄이는 방법의 유용성을 평가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5월부터 2009년 2월까지 대퇴골 경부 및 전자간 골절 외상 환자의 치료로 고관절 치환술을 받은 환자 46예에 대하여 후향적 연구로 수술 전과 후의 골반부 방사선 사진을 검토 분석하였다. 골반부 전후 방사선 사진상 좌골 최하부를 연결한 수평선에서 대퇴골 소전자 최원위부의 수직거리를 측정하여 하지 부동을 측정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술 전 가늠술을 시행한 후 술 중 골반 전후 방사선 사진을 통해 한차례 더 교정하였다. 결과: 술 후 하지 부동은 평균 0.3 mm(SD 3.1 mm)로 측정되었으며, 5.9 mm 연장에서 5.8mm 단축까지의 범위 내로 측정 되었다. 결론: 술 전 가늠술과 더불어 술 중 골반부 전후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인공 고관절 치환술 후 유의한 하지 길이의 단축 혹은 연장은 발견 되지 않았으며 하지 부동을 최소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re are numerous opinions about the methods and usefulness of minimizing leg length discrepancies after hip arthroplasty. In this study, we tried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an intraoperative x-ray in addition to preoperative templating for minimizing leg length discrepancy.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pre- and post-operative pelvis AP x-rays of 46 patients who underwent hip arthroplasty due to a traumatic femoral neck fracture or intertrochanteric fracture between May 2008 and February 2009. A leg length discrepancy is the difference in vertical distance between a horizontal line drawn along the bottom of the ischial tuberosities and the most inferior points of the lesser trochanter. It was measured in a pelvis AP x-ray. In each case, pre-operative templating was performed and an intraoperative pelvis AP x-ray was taken again to assess the accuracy of preoperative planning. Implant positions were readjusted when necessary. Results: The mean post-operative leg-length discrepancy was 0.3 mm (SD, 3.1 mm). The range was from -5.8 mm to +5.9 mm. Conclusion: Combining preoperative templating and intraoperative x-rays is a useful method of minimizing leg length discrepancy during hip arthroplasty.

      • KCI등재

        고관절 전치환술 후 하지 부동

        박원로 ( Won Ro Park ),문규필 ( Kyu Pill Moon ),서근택 ( Kuen Tak Suh ) 대한고관절학회 2010 Hip and Pelvis Vol.22 No.1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함에 있어서 femoral offset과 하지 길이 등 고관절의 생역학적인 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고관절 전치환술 후의 하지 부동은 요통, 좌골 신경통, 보행장애, 환자의 불만족, 탈구 등을 초래할 수 있는 주요한 요인이다. 심한 하지 길이 연장은 신경 손상을 초래할 수 있고, 고관절 전치환술 후 법적 소송의 흔한 원인이 되고 있다. 고관절 전치환술에서 하지 길이와 고관절의 안정성 사이에는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정확한 하지 길이의 회복은 불가능할 수도 있다. 고관절의 전치환술을 시행함에 있어서 고관절의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것이 더 중요하므로 안정적인 고관절의 재건을 위해서 하지 길이의 회복을 포기해야 할 수도 있다. 고관절 전치환술 후의 하지 부동을 완전히 예방하기는 어렵지만, 이학적 검사, 방사선학적 평가, 술전 templating, 술 중 확인 등의 여러 단계를 통하여 최소화시킬 수 있다. Restoration of the hip biomechanics, including the femoral offset and leg length, are the desired goals when performing total hip arthroplasty. A leg length discrepancy following total hip arthroplasty is a significant source of back pain and sciatica, gait disorders, general dissatisfaction and dislocation. Significant lengthening of the leg can be a risk factor for nerve injury and it is a relatively common cause of litigation. There is a fundamental interrelationship between leg length and stability when performing hip arthroplasty. There are a multitude of situations in which achieving both stability and perfectly equal leg lengths is simply not possible. Stability is the primary objective, and the surgeon may need to sacrifice leg length equality on the altar of stability. Although a leg length discrepancy cannot be eliminated after hip arthroplasty, it can be minimized through a series of steps, including a physical examination, radiographic evaluation, preoperative templating and intraoperative confirmation of the preoperative plan.

      • 소아에서의 성장 예측: 골종양의 치료와 관련된 소아 하지 부동

        정성택,정광철,박형원,Jung, Sung-Taek,Jeong, Kwang-Cheul,Park, Hyeong-Wo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1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7 No.1

        악성 골종양의 치료의 주된 목적은 장기 생존기간을 연장 및 삶의 질적 개선이나, 소아의 경우 골격 성장이 지속되어 종양 치료 후 성장 완료 시 나타나는 하지 부동(leg length discrepancy)이 치료에 있어 중요한 문제 중 하나이다. 성장기 소아의 하지 부동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먼저 소아의 정상적인 성장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며, 성장 과정에서의 하지 부동의 정도를 예측하는 것은 이에 대한 수술적 치료의 시기 및 방법의 선택에 있어 필수적이다. 또한 이러한 성장 예측 방법들을 적절히 사용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추시 관찰이 필수적이므로 환아의 부모와의 긴밀한 협조 또한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main goals of treatment of malignant bone tumor are the prolongation of life survival and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In growing children, however, leg length discrepancy (LLD) is one of major problem in the treatment of malignant bone tumors. Therefore, the precise understanding of growth in children is essential, and the prediction of LLD is critical in deciding the time and options of surgery. In addition, to use the adequate method of growth expectation, periodic follow-up and collaboration with patient's parents are needed.

      • KCI등재

        현성 하지 부동 영아에서의 고관절 선별 검사

        정호진(Ho Jin Jung),장우영(Woo Young Jang),조일엽(Il Youp Cho),이순혁(Soon-Hyuck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2 No.3

        목적: 본 연구에서 현성 하지 부동으로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developmental dysplasia of the hip, DDH)을 감별 진단하기 위해 의뢰된 영아들에서 태아기 자세성 변형의 양상을 조사해보고 이러한 태아기 자세성 변형이 DDH와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후향적 연구로, 2013년 3월부터 2015년 3월까지 현성 하지 부동으로 DDH가 의심되어 외래에 내원한 영아 150명의 의무기록과 영상의학적 검사를 조사하였다. 결과: 현성 하지 부동은 좌측 하지가 짧은 경우가(n=86, 57.3%) 많았으며, 62명(41.3%)에서 사두증, 124명(82.7%)에서 체부 만곡이 관찰되었다. 여아의 경우 생식기 방향을 통해 간접적으로 유추하여 평가한 골반 경사(pelvic obliquity)가 62명(63.3%)에서 관찰되었다. 고관절 진찰에서 이상 소견을 보이지 않은 139명에서는 DDH가 발견되지 않았으며, 고관절 진찰에서 이상 소견을 보인 11명 중에 6명에서 DDH로 진단되었다. 결론: 태아기 자세성 변형과의 동반 여부에 상관없이, 고관절 진찰에서 이상 소견이 있는 영아에서만 DDH가 진단되었다. 따라서 일차 DDH 선별 검사 시에 고관절 진찰을 함께 시행함으로써 DDH의 추정 진단에 대해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염두해 두어야 한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linical features of congenital postural deformities and lower extremity asymmetry with respect to the presence of developmental dysplasia of the hip (DDH) in infants with a discrepancy of the limb length referred for suspected DDH.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and radiographs of 150 infants who visited Korea University Anam Hospital Orthopedic Clinic for suspected DDH between March 2013 and March 2015. Results: There were greater numbers of infants with a shorter lower extremity on the left side (n=86, 57.3%) than the right. Plagiocephaly was present in 62 infants and trunk curvature in 124 infants (82.7%). Pelvic tilting—indirectly assessed by a skewed direction of the external genitalia in female infants—was present in 62 infants (63.3%). None of the 139 infants with normal physical examination of the hip were diagnosed with DDH. Of those 11 infants with abnormal findings from the hip physical examination, a total of 6 infants were diagnosed with DDH. Conclusion: Regardless of the associated findings of congenital postural deformation, all infants diagnosed with DDH had abnormal findings from the physical examination of the hip joint. Thus, we conclude that the hip examination is important as the primary clinical screening in aiding the diagnosis of DDH.

      • KCI등재

        특발성 편측 비대증에 의한 하지 부동

        옥인영(In-Young Ok),김석중(Seok-Jung Kim),강현택(Hyun-Taek Ka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1

        목적: 특발성 편측 비대증 환자들의 성장에 따른 하지 길이의 차이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85년 9월부터 1996년 12월 사이에 내원한 임상적으로 하지 길이나 두께의 차이를 보이는 33명의 편측 비대증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은 특정 질환이나 증후군이 동반되지 않았으며, 가족력, 전신 이학적 검사 및 복부 초음파 검사상 특이 소견이 없었다. 환자는 8년 이상 추시하였고, 매 6개월마다 scannogram을 시행하여 양측 하지 길이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처음 내원 시 평균 연령은 1.6세(범위 1-5세)였고, 평균 추시 기간은 9.1년(범위 8-15년) 이었으며, 남지는 16명, 여자는 17명이었다. 결과: 연령별 환자의 하지 길이 차이는 평균적으로 서서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변화 양상은 5개의 형태로 나눌 수 있었다. 길이의 차이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계속 증가하는 형태는 제1형으로 하였고, 제2형은 길이 차이가 서서히 증가하다가 어느 시점부터는 차이가 유지되는 경우, 제3형은 처음에 발견된 길이 차이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경우, 제4형은 처음에는 길이 차이가 증가하다가 서서히 감소하는 경우, 제5형은 처음에 발견된 길이에서 서서히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는 경우로 하였다. 이들 중 서서히 길이 차이가 증가하거나, 증가 후 그 차이가 지속되는 제1형과 제2형의 경우가 25예05%)로 가장 많았으며, 하지길이의 차이를 나타내는 원인으로는 대퇴골과 경골 중 경골에 의한 길이 차이를 나타내는 경우가 22예(67%)로 더 현저하였다. 결론: 특발성 편측 비대증에 의한 하지 부동은 임상적 진행 양상이 다양하므로 성장이 끝날 때까지 주기적인 관찰이 필요하다. Purpose: To evaluate the changes in the leg length discrepancy in idiopathic hemihypertrophy as a function of time. Materials and Methods: A lower extremity scannogram was performed on 33 patients (16 boys and 17 girls) who were clinically diagnosed with idiopathic hemihypertrophy from September, 1985 to December, 1996. The leg length discrepancy was compared every 6 month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on the first visit was 1.6 years (range, 1 to 5 years) and the average follow up period was 9.1 years (range, 8 to 15 years). Results: Not all the discrepancies continued to increase at a constant rate with time. The developmental discrepancy patterns identified were classified as follows: type Ⅰ, increasing pattern; type Ⅱ, increasing-plateau pattern; type Ⅲ, plateau pattern; type Ⅳ, increasing-decreasing pattern; type Ⅴ, decreasing pattern. Twenty five patients (75%) had types Ⅰ and Ⅱ discrepancy patterns. Conclusion: A continual periodic follow up of the leg length is important in idiopathic hemihypertrophy patients because the developmental patterns of a discrepancy in the length of a lower extremity can vary.

      • KCI등재

        소아 대퇴골 간부 골절의 치료 결과 분석 : 보존적 치료와 역행성 유연성 골수정 삽입술의 비교 Comparison between conservative treatment and retrograde flexible intramedullary nailing

        오창욱,박병철,인주철,소형태,백승훈 대한골절학회 2002 대한골절학회지 Vol.15 No.2

        목 적 : 소아 대퇴골 간부 골절환자에서 보존적 치료와 역행성 유연성 골수정 삽입술 시행후 동통 및 파행 등의 임상증상, 회복기간, 각형성 및 하지부동 등의 합병증을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2년 1월부터 2000년 6월까지 4~11세의 대퇴골 간부 골절 환자 46명 51례를 대상으로 하였고, 수상시 연령은 보족적 치료군이 평균 6세11개월, 수술적 치료군이 평균 7세였다. 보존적 치료군이 24례, 수술적 치료군이 27례로, 보존적 치료군은 견인술후 3~6주에 고수상 석고고정을 하였고, 수술적 치료군은 자체제작한 3.0 mm 스테인레스 강선으로 대퇴원위부에서 폐쇄적 정복 삽입술을 시행하였다. 결 과 : 두 치료군에서 동통 및 주변관절의 운동장애, 불유합이 나타난 예는 없었다. 방사선적 평가에서 보존적 치료군은 10도이상의 각형성이 4례 있었으나, 수술적 치료군에서는 없었다. 10mm이상의 심각한 하지부동은 수술적 치료군은 없었으나, 보존적 치료군에서 4례 발생하였고, 그중 파행이 보존적 치료군에서 2례 있었다. 부분 체중 부하시기는 수술적 치료군이 평균 7.5주로 보존적 치료군의 10.8주보다 빨랐다. 결 론 : 소아의 대퇴골 간부 골절에서 역행성 유연성 골수정 삽입술은 보존적 치료에 비해 각형성 및 하지부동 등의 합병증이 비교적 적고, 조기재활이 가능한 치료방법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o compare clinical outcomes and complications between pediatric patients with femoral shaft fracture who had undergone conservative treatment and retrograde flexible intramedullary nailing. Materials and Methods : 51 cases of 46 pediatric patients who had femoral shaft fracture were retrospectively studied. Hip spica cast was applied 3∼6 weeks after traction in 24 cases of conservative treatment group and closed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ith flexible nails were performed in 27 cases. Results : Neither pain, limitation of joint motion, nor nonunion was reported in both groups. In radiologic evaluation, 4 cases of angulation more than 10 degrees were observed in conservative treatment group and none of surgical treatment group. In leg length discrepancy(LLD) over 10 mm, there was none in surgical treatment group, but 4 cases were seen in the conservative group. Two cases of limping were observed only in the conservative group. Mean time to weight bearing was earlier in surgical treatment group(7.5 weeks) than that in the conservative group(l0.8 weeks). Conclusion : As treatment of pediatric femoral shaft fracture, retrograde flexible intramedullary nailing had less complications such as LLD and angulation and enabled earlier rehabilitation than conservative treatment.

      • KCI등재

        하지부동이 있는 감염성 고관절염의 후유증에서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의 추시 결과

        이중명(Joong-Myung Lee),이철우(Churl-Woo Lee),왕원준(Won-Joon Wang),탁효철(Hyo-Chul Tak)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2

        목적: 심한 변형을 동반한 감염성 고관절염의 후유증 환자에서 길이 교정을 동시에 시행한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의 최소 3년 이상 추시 결과를 분석하과 한다. 대상 및 방법: 1987년 12월부터 2003년 5월까지 수술한 102예 중 최소 3년 이상 추시가 가능한 74예를 대상으로 술 후 합병증 및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평균 연령은 42.8세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4년 11개월(3년 0개월-15년 4개월)이었다. 원인은 결핵성 감염이 50예, 화농성 감염이 24예였으며 강직인 경우는 23예였다. 하지 진성 단축은 평균 4.1 ㎝ 0.0-10.0 ㎝)였다. 결과: 임상적으로 Harris hip score는 수술 전 평균 65.0 (25.0-92.5)에서 수술 후 평균 90.2 (80.2-98.2)로 개선되었으며, 하지 진성 단축은 평균 0.4 ㎝ (0.0-3.0 ㎝)로 교정되었다. 방사선학적으로 재치환술을 시행한 3예를 제외하고 완전 해리 범주에는 해당되지 않았다. 술 후 합병증으로 결핵의 재발이 2예, 신경마비는 대퇴 신경 마비가 3예, 좌골 신경 마비가 3예 있었으나 현재 완전 치유되었고, 술 전 미확인된 대퇴 동맥 폐색이 있어 부행 동맥으로 혈액 순환이 되던 1예에서 수술 후 혈액 순환 장애가 악화되어 하퇴 절단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감염으로 인한 후유증으로 심한 하지 단축 및 변형을 보이는 환자에서 길이 교정을 동시에 시행한 경우 수술 수기가 어려울 뿐 아니라 술 후 합병증도 비교적 높게 예상되나, 장기적으로 보면 술 후 환자의 만족 및 보행의 개선을 이룰 수 있었다. Purpose: To analyze the results of a minimum of three-year follow-up in patients with a severely deformed sequelae pyogenic hip, who had undergone total hip arthroplasty with a simultaneous limb length correction. Materials and Methods: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 clinical and the radiographic results were analyzed in 74 out of 102 patients, who were followed for a minimum of three years between December 1987 and May 2003. The average age was 42.8 years. The average follow-up duration was 4 years and 11 months. There were 50 tuberculosis infections, 24 pyogenic infections, and 23 fused hip cases. The average leg length shortening was 4.1 ㎝ (range, 1.0-10.0 ㎝). Results: Preoperative Harris hip score improved to 90.2 postoperatively from 65.0 (range, 25-92.5) preoperatively. Leg length shortening was corrected by 0.4 ㎝ (0.0-3.0 ㎝). Radiographically, excluding the 3 revisions, no case met the criteria of definite loosening.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cluded the recurrence of tuberculosis (2 cases), and variable nerve palsies, including femoral nerve (3 cases), and a sciatic nerve (3 cases). These patients completely recovered from nerve palsy. B-K amputation, after the postoperative exacerbation of circulation to the affected limb, was needed in one case with a preoperatively undetected femoral artery occlusion. Conclusion: Although, restoring the normal limb length in the severely deformed pyogenic hip sequelae patients requires highly demanding surgical techniques, with a relatively higher incidence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t is possible to achieve a higher level of patient satisfaction and definite gait improvement.

      • 감염된 종양 대치물 제거와 하지 단축 보정 후 시행한 사지 구제술 - 증례 보고 -

        권영호,김재도,정소학,조율,Kwon, Young-Ho,Kim, Jae-Do,Chung, So-Hak,Cho, Yool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6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2 No.2

        좌측 대퇴골 원위부 골육종 진단 받은 9세 여아로 광범위 절제수술과 재활용 자가골 이식술을 받은 후 하지 부동과 성장판 손상이 있어 확장형 종양 대치물로 치환수술을 시행하였다. 그 후 종양 대치물에 심부 감염 발생하여 종양 대치물 제거 후 감염을 조절하기 위한 시멘트와 골수내정을 이용한 한시적 공간 대치물을 삽입하였다. 감염이 조절된 후 외고정 장치를 이용한 하지 부동(10 cm)에 대한 교정을 시행하였고, 마지막으로 종양 대치물 재삽입을 통한 관절 기능 보존을 시행한 1례를 보고 하고자 한다. In 1996, a nine-year-old girl was treated with recycling autograft after wide resection of the distal femoral osteosarcoma. The leg lengthening and revision with growing tumor prosthesis were performed due to limb leg discrepancy and epiphyseal problem. However, deep infection developed after operation, and a temporary spacer with cement and Ender nail was inserted. After infection was controlled completely, the final leg lengthening was performed with mono-external fixator for limb length discrepancy (10 cm). Lastly, Tumor prosthesis was reinserted to preserve the joint function.

      • 레이몽 부동과 자유주의

        민문홍(Min Moon-Hong) 한양대학교 수행인문학연구소 2008 수행인문학 Vol.38 No.2

        This article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liberalism by means of the social theory of Raymond Boudon, one of France’s leading contemporary sociologists. Having made a unity of his sociological thought, it examines his liberalism through the following five chapters: a definition of modern liberalism; anti-liberalist thoughts in post-modern society; the mechanism of diffusion of anti-liberaist thoughts; a case of a successful paradigm of sociology; expansion of liberalism and human sciences’s task for the future. After this analysis, it suggests three theses as a conclusion. Firstly, Boudon’s sociology demonstrates the advantage of methodological individualism in comparison with methodological holism in explaining the various phenomena of modern society. This advantage is rooted in the fact that liberalism recognizes, better than any other thoughts, the complexity of social system and phenomena. His methodology in particular has a strong point in explaining the microbasis of macrosocial phenomena by linking social phenomena in macrodimension to individual autonomy and preferences in microdimension. Secondly, Boudon successfully criticizes the various thoughts of methodological holism-neo-marxisms, secular structuralism, and so on-by emphasizing the fact that these thoughts consider the individual as a simple support of social structure and rules. In this sense these thoughts have a weak point in explaining the complexity and uncertainty of post-modern society. And this means that they ignore the liberty and autonomy of an individual action in treating social phenomena. Thirdly, Boudon’s sociology has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liberalism in post-modern society in three domains, which are as follows: modern sociological theories with his sociological paradigm of “perverse effects”; the ideological debate in post-modern society with his methodological individualism; the diagnosis and the reform of civil society in the post-modern era with liberal perspective soci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