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레이몽 부동과 자유주의

        민문홍(Min Moon-Hong) 한양대학교 수행인문학연구소 2008 수행인문학 Vol.38 No.2

        This article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liberalism by means of the social theory of Raymond Boudon, one of France’s leading contemporary sociologists. Having made a unity of his sociological thought, it examines his liberalism through the following five chapters: a definition of modern liberalism; anti-liberalist thoughts in post-modern society; the mechanism of diffusion of anti-liberaist thoughts; a case of a successful paradigm of sociology; expansion of liberalism and human sciences’s task for the future. After this analysis, it suggests three theses as a conclusion. Firstly, Boudon’s sociology demonstrates the advantage of methodological individualism in comparison with methodological holism in explaining the various phenomena of modern society. This advantage is rooted in the fact that liberalism recognizes, better than any other thoughts, the complexity of social system and phenomena. His methodology in particular has a strong point in explaining the microbasis of macrosocial phenomena by linking social phenomena in macrodimension to individual autonomy and preferences in microdimension. Secondly, Boudon successfully criticizes the various thoughts of methodological holism-neo-marxisms, secular structuralism, and so on-by emphasizing the fact that these thoughts consider the individual as a simple support of social structure and rules. In this sense these thoughts have a weak point in explaining the complexity and uncertainty of post-modern society. And this means that they ignore the liberty and autonomy of an individual action in treating social phenomena. Thirdly, Boudon’s sociology has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liberalism in post-modern society in three domains, which are as follows: modern sociological theories with his sociological paradigm of “perverse effects”; the ideological debate in post-modern society with his methodological individualism; the diagnosis and the reform of civil society in the post-modern era with liberal perspective sociology.

      • KCI등재

        뒤르케임 탄생 150주년에 다시 읽는 에밀 뒤르케임의 사회학

        민문홍(Moon Hong Min) 한국사회이론학회 2008 사회이론 Vol.- No.34

        필자는 뒤르케임 탄생 150주년을 계기로, 한국사회학 공동체가 뒤르케임과 그 전통의 사회학을 읽어야 할 다음의 10가지 이유를 찾아보았다. 1) 뒤르케임 사회학의 후반기 인식론적 입장은 해석학이다. 2) 뒤르케임 사회학은 19세기말-20세기초반 과격한 사회주의 운동들에 대한 학문적 대안으로 등장했다.3) 신뒤르케임주의자들이 추구하는 강한 프로그램으로서의 문화사회학은 그 이론적 기반을 뒤르케임의 <종교생활의 원초적 형태>에 두고 있다. 4) 뒤르케임의 사회학은 후기 현대 사회의 가치관 혼란의 문제를 해결할 이론적 자원을 제공해 준다. 5) 한국사회의 새정부 출범 이후 크게 부각된 실용주의를 평가할 이론적 자원을 뒤르케임에게서 찾을 수 있다. 6) 현대사회의 지식인의 역할에 대한 성찰적 근거를 제공한다. 7) 뒤르케임의 교육사회학 분야의 저서들을 그 지성사적 맥락과 함께 번역, 소개할 필요가 있다. 8) 뒤르케임의 시민종교론을 한국사회 맥락에서 다시 논의해 볼 필요가 있다. 9) 프랑스의 2세대 뒤르케임주의자들에 대한 보다 체계적 연구가 필요하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미국사회학자 중 로버트 우드나우의 문화사회학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10) 한국사회학 공동체에서 뒤르케임과 그 학파의 사회이론을 어떻게 가르쳐야 할것인가에 대한 진지한 논의가 필요하다. 필자는 이러한 10가지 문제제기를 기초로, 뒤르케임 탄생 150주년을 계기로 한국사회학 공동체에서 지난 30년 동안 뒤르케임과 그 학파들에 대해 이루어졌던 한국 사회학자들의 작업들을 한눈에 조감하고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사회학의 사회학적 작업을 시도해 보았다. 이것은 한국의 사회학 이론의 현재를 반성하고, 그 바탕 위에서 우리식의 사회이론을 만들어내는 데 필요한 기초 작업을 하는 데 필수적이다. 우리는 현재 사회학의 위기상황을 돌파하기 위해 한국사회의 특수성만을 강조할 것이 아니라, 세계로 눈을 돌려 세계화의 커다란 흐름 속에서 서구 사회학이 이 위기상황을 벗어나기 위해 고전사회학으로부터 무엇을 다시 배우려 하는 것을 크게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것은 고전 사회힉자들의 소명의식의 재학습과 사회학의 인문과학화를 통한 고전사회학 문제의식의 재발견이다. In this article, I try to find the 10 reasons why korean sociological community should still read Durkheim and the durkhemian tration books. The 10 reasons are as follows. 1) the late durkheimian`s epstemological position is that of hermeunitics 2) we must keep in mind the fact that one of the purposes of the establishment of durkhemian sociology in France is to find the academic alternative against the challenge of various streams of radical socialisms 3) the neodurkheimian`s cultural sociology as strong program is based on the theoretical interpretation of <The Elementary Forms of religious Life(1912)>4) durkhemian sociology helps us to solve the problem of decline of social values in post-modern society 5) we can find the theoretical ressources for evaluating the pragmatism as political philosophy of new korean government 6) we can find the theoretical basis by which we can evaluate the role of intellectuals in late modern society 7) we need to translate the durkheimian books in the domain of sociology of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its intellectual context 8) we need to introduce the intellectual debates about civil religion in korean context in consideration of actual religious conflict and the decline of value system in Korea 9) we need to do more systematic study about second generation durkhemians-Marcel Granet, Marcel Mauss, Celestin Bougle etc-. And at the same time we need to supplement the study of american neodurkhemians in doing additional study about Robert Wuthnow as sociologist of culture 10) we need to develop the more serious debate about the teaching method of durkhemian and his school`s books. On the basis of these ten arguments, I try to reexamine the various works of korean sociologists in interpreting and translating durkheimian and his school`s academic works during past 30 years. As conclusion, I argue that to overcome the actual crisis of korean sociology, we need to learn the sociological lessons of western sociologists in reinterpreting the sociological classics in the era of globalization.

      • KCI등재

        한국사회의 이념적 정체성과 자유민주주의

        민문홍(Moon Hong Min) 한국사회이론학회 2012 사회이론 Vol.- No.42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 심각한 이념적 혼란 중에 있는 한국 자유민주주의 체제의 현실을 진단하고, 이러한 이념극복을 넘어 국민통합ㆍ사회통합을 위한 인문사회학적ㆍ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 작업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첫 번째 부분은, 최근 유럽에서 레이몽 부동교수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자유민주주의 체제의 위기와 그 이론적 대안에 대한 다양한논의를 체계적으로 재구성하여 한국사회의 이념 논쟁 분석을위한 이론적 틀을 만들어 보았다. 둘째 부분은 한국사회의 이념논쟁들을 분석하고 진단한 후, 그것에 대한 인문사회학적ㆍ정책적 대안을 찾아보는 것이다. 이 작업을 위해 나는 고전적 사회학자들의 논의에 입각해서 자유민주주의 체제와 그 문제점들을 탐색해 보았다. 그리고 이들이 기존의 의회민주주의를 보완하고 심화시키기 위해 어떠한 문제의식과 이론적 대안을 가지고 있는가를 검토해 보았다. 이러한 작업 후에, 한국적 상황에서 자유민주주의 이념 논쟁이 등장하게 된 지적 맥락을 재구성해 보았다. 특히 그 과정에서 온건한 중도 좌파지식인들이 제기한 공화주의 모델에 관한 논의의 배경과 그들의 정책적 대안을 검토해 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진보적 공화주의 이념모델을 적극 수용함으로써, 한국 자유민주주의 체제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정책적ㆍ인문사회학적 대안을 찾아보았다. 이렇게 새롭게 적극적으로 정의된 자유민주주의 이념은, 한국사회의 온건한 진보 세력과 합리적 우파 세력으로 하여금 공화주의적 민주주의 체제라는 최소한의 합의점을 찾게함으로써 한국사회를 통합시키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할수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아담 스미스의 _도덕감정론_과 프랑스 제 3공화정 당시의 공화주의 모델에 대한 연구가 소중한 교훈을 줄수 있다고 주장한다. In this article, I try to make a diagnose of the serious ideological situation in korean society for overcoming the ideological conflicts and suggesting the alternative policy solutions. To make a solid theoretical frame work for our diagnosis, I try to reconstruct the theories of Raymond Boudon on Liberal Democracy Ideology. This article consists of five chapters. First chapter describes our problematics concerning the crisis of korean liberal democratic regime. Second chapter summarizes the theory of Raymond Boudon on Liberal Democracy Ideology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classical sociologists from Montesquie to Boudon, and suggests the policy solution for overcoming the ideological conflicts in contemporary liberal democratic regime. Chapter three describes the intellectual background of ideological debates on the liberal democratic regime in Korea. Chapter four suggests the new development model for our society on the sociological analysis of the ideological debates in our society. Chapter V, as a conclusion, suggests the new defined liberal democracy ideology on the basis of the republican model proposed by professors of middle left intellectual orientation. And I suggest to overcome the actual ideological crisis of our liberal democratic regime in extending and deepening our conception of liberty and liberal democracy regime. This conception contains the active participation, solidarity and responsibility of each citizen in making a new moral community with caring culture.

      • KCI등재

        자유민주주의의 이념적 기초와 인문사회학의 역할

        민문홍(Moon Hong Min) 한국사회이론학회 2011 사회이론 Vol.- No.39

        이 연구의 목적은 유럽의 대표적 사회학자인 레이몽 부동(Raymond Boudon)의 이론적 작업을 중심으로, 유럽사회가 동구권 몰락 이후 좌/우의 이념대립을 극복하기 위하여 어떠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가를 탐색해보는 것이다. 즉, 정통 자유주의적 전통을 계승한 사회학이, 네오 맑시즘 이론 전반과 그것을 뒷받침해 온 상대주의 철학에 대해 어떠한 인문사회학적 대안들을 모색하고 있는가를 찾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을 하게 된 궁극적인 지적 동기는, 한국사회에서 심각하게 전개되고 있는 이념논쟁을 이데올로기 투쟁에서 학문적 논쟁으로 승화시켜 정책적 대안 모색이 가능한 지적 분위기를 지닌 공동체를 조성하기 위해서이다. 이 점에서 21세기 서구 자유민주주의 제도의 이념적 기초와 인문사회학의 역할에 대한 부동의 이론적 성찰은, 한국 사회의 이념 논쟁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적 틀을 제시해준다. 특히 현대 사회의 상대주의와 해체주의적 입장을 지닌 다양한 인문사회학들이, 현대 민주주의 사회가 필요로 하는 새로운 인문사회학적 이념적 기초와 시민적 가치관을 크게 손상시킨다는 부동의 주장은 우리에게 두 가지 교훈을 준다. 하나는 이념논쟁을 다루며 당파적 감정을 불러일으키지 않는 지혜로운 아카데믹한 우회적 접근방법을 가르쳐주고 있다. 둘째는 한국사회의 인문사회학 연구들과 그 뒤에 숨은 정치적 담론들을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학문적 기준을 제공해 준다. 이 작업을 기초로 나는 현재 한국이 처한 심각한 이념대립을 정책경쟁으로 유도하기 위한 선결과제는, 대한민국의 건국정신인 자유민주주의 이념에 충실한 인문사회학 전통을 되살리는 것뿐이라는 결론을 내린다. 그런데 이 작업은 21세기 시대정신에 맞게 고전 인문사회학 문헌들을 다시 읽는 것을 의미한다. 21세기 한국사회가 필요로 하는 이념적 정체성-새로운 시민적 가치관과 자유민주주의 의식-은 이러한 기초 위에서만 다시 확립될 수 있다. In this article, I try to reconstruct the efforts of western European societies to overcome the ideological conflicts in 21st century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sociological theories of Raymond Boudon, world-known french sociologist. The ultimate intellectual motivation for this research is to diagnose the reasons of decline of social & human sciences and to find the alternatives for overcoming the ideological conflicts of korean society. Through this work, we find that behind the neo-marxism and the other human sciences challenging the existing liberal democracy systems, there are conceptual deviation of two philosophies-relativism and constructivism. Therefore, the renewal of classical tradition of human & social sciences is very important for the reinforcement of ideological foundation of liberal democracy system. This work will contribute to make favorable conditions for our intellectuals to build up new strong academic community in the domain of human & social sciences, and to facilitate the positive competition for policy makings. Through this work, I find that the ideological foundation of liberal democracy and the role of human & social sciences are interrelated to support each other. Therefore, to overcome the ideological conflicts in Korea of 21st century, it is urgent and necessary to diagnose the underlying philosophical foundation of human & social theories-for example, neo-marxism-and its conceptual deviations. On the basis of these reflections, I think this theoretical and philosophical approach is one of the best ways to overcome the fierce idelogical conflicts in Korea not arousing emotional and sentimental opposition of the civil groups concerned.

      • KCI등재

        프랑스 제3공화정 당시의 이념갈등과 사회통합 -뒤르케임의 공화주의 이념과 사회학의 역할을 중심으로

        민문홍 ( Moon Hong Min ) 한국사회역사학회 2012 담론 201 Vol.15 No.4

        이 논문은 프랑스 제 3공화정 시기에 활동했던 에밀 뒤르케임과 그 학파가 어떻게 그 당시의 이념갈등을 극복하고 사회통합을 성공적으로 끌어낼 수 있었는지, 공화주의 이념의 형성이라는 지성사적 맥락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한 것이다. 이 작업이 중요한 이유는 이 당시 새롭게 태어난 사회학이 그 학문적 정체성을 수립해가는 과정에서 현대 인문사회학자들이 주목해야 할 다음의 몇 가지 중요한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첫째 다른 인문·사회과학들과의 협조를 통해서 사회현상을 통합적·학제적 시각에서 다루는 학문적 전통을 만들어냈다. 둘째 자유방임주의에 머물러 있던 19세기말 20세기 초 프랑스의 자유주의 이념을 적극적으로 확장해, 사회적 자유주의라는 이름으로 복지국가가 탄생하는 데 필요한 사회 철학적 이념을 제공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 셋째, 자유방임주의와 사회주의라는 양극단의 사회발전 모델들 사이에서 공화주의라는 제 3의 발전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제3공화정 초기 프랑스 사회의 양극화 현상과 극단적 이념의 혼란 상황을 수습하는데 결정적 기여를 했다. 이 작업을 통해 저자가 주장하는 바는 프랑스 제3공화정당시 뒤르케임과 그 학파의 탄생배경을 공화주의라는 이념모델로 접근할 때, 뒤르케임 이론의 핵심을 차지하는 주요개념들-유기적 연대, 도덕적 개인주의, 민주주의, 현대국가, 직업집단 이론이 유기적으로 더 잘 이해되고, 그의 사상 및 이론체계가 사회통합에 관심을 갖는 사회학도들에게 더욱 분명한 이론적·실천적 함의를 갖는 사회학적 교훈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intellectual context of the French 3rd republic with special emphasis on Emile Durkheim and his sociological school`s republicanism to clarify their successful strategy for overcoming ideological conflicts and achieving social integration. This work is significant for Korean sociology because French sociology, born in this period of searching for identity, gives us some important sociological lessons. First, Durkheimian sociology of this period shows us the role model in explaining social phenomena from the wholistic and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Second, his sociological school played an active and important role in transforming the 19th century`s laissez-faire ideology to the social liberalism. And this contributed to providing the socio-philosophical ideology for launching the French welfare state. Third, the republican ideology, suggested by Durkheimian sociological school as an ideological alternative between laissez-faire ideology and socialism in French 3rd republic, made a decisive contribution to overcoming the critical situation of polarization and chaotic ideological crisis. The thesis I want to argue on the basis of this work is as follows. If we approach the Durkheimian theoretical system and his problematics with republican model, we can better understand the organic connections in the key concepts - organic solidarity, moral individualism, democracy, modern state, and theory of professional groups-of Durkheimian social theory. And this will help sociologists who are interested in social integration to learn more explicitly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Durkheimian social theoretical systems.

      • KCI등재

        레이몽 부동의 ‘일상적 합리성이론’에 관한 시론

        민문홍(Min, Moon-Hong) 한국이론사회학회 2014 사회와 이론 Vol.25 No.-

        이 논문은 세계적 석학이고 현대 사회학 이론 분야에 커다란 기여를 한 레이몽 부동의 사회학을 그 후반부 저작들을 중심으로 소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부동은 자신의 후반부 저작을 관통하는 생각을 ‘일상적 합리성이론’이라고 부르며 기존의 이론 없는 경험적 사회학과 네오 맑시즘에 대한 이론적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여기서 필자가 그의 일상적 합리성 이론에 주목을 하는 이유는, 이 이론이 현대사회의 이념적 양극화와 가치관의 혼란에 대한 긍정적 대안을 제시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경제학의 지배적 패러다임인 합리적 선택이론을 극복하고 새로운 통합 과학적 인문사회학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다음과 같은 차례로 기술되었다. 1장은 문제 제기로서 어째서 21세기 이 시점에서 우리가 부동의 일상적 합리성이론을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는지를 알리려 했다. 2장은 부동의 ‘일상적 합리성이론’을 체계적으로 소개하려 했다. 이 이론이 어떤 점에서 경제학의 합리적 선택 이론을 넘어설 수 있는가를 보여줌과 동시에, 일상적 합리성이론의 핵심적 주장들을 살펴보았다. 3장은 ‘일상적 합리성 이론’이 어떤점에서 합리적 선택이론이 처해 있는 논리적 딜레마를 해결하고, 현대 사회학 이론에 새로운 지평을 열어줄 수 있는가를 보여주었다. 4장에서는 일상적 합리성이론이 의회민주주의의 기초인 일상생활 속의 상식을 회복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으며, 이 작업을 통해 후기 현대사회의 가치관회복과 의회민주주의 제도의 정상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고 보았다. 5장의 맺는말에서는 ‘일상적 합리성이론’이 현대 민주주의의 이념적 기초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표류하고 있는 인문사회학의 새로운 소명의식을 제공하고 후기 현대사회의 위기 극복에 필요한 사회학의 역할을 가르쳐줄 수 있다고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scribe the main problematics of a great french scholar, Raymond Boudon’s sociology on the basis of his later works. Boudon calls his sociology as a theory of ordinary rationality from about 2005, whose objective is to propose an alternative to the empirical sociology without theoretical problematics and also to the neo-marxist sociology. The main reasons why I pay attention to his theory of ordinary rationality are as follows. Boudon’s theory of rationality has two merits. One is to suggest the contructive alternative to the ideological polarization and the confused value system in late modern society. The other is to propose the integrated paradigm of human sciences against the dominant paradigm of economic science, rational choice theory. This paper is composed of five chapters. Chapter I presents the reasons why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theory of ordinary rationality of Raymond Boudon in this period of late modernity of 21st century. Chapter II introduces systematically the theory of ordinary rationality of R. Boudon. Examining the main arguments of ordinary rationality theory, I suggest this theory can overcome the logical impasse of rational choice theory. Chapter III tries to show in what way this theory can solve the logical impasse of the rational choice theory and open the new prospects for contemporary sociological theory. Chapter IV argues that ordinary rationality theory can contribute to the restauration of the common sense in our every day life, and this also makes for the recovery of the value system of our society and for the normalization of representative democracy system. Chapter V concludes that the theory of ordinary rationality will help us not only to understand the ideological foundation of modern democracy but also to provide the new sense of calling for the scholars of human sciences to assume the responsibilities of sociologist to overcome the crisis of late modern societ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우수등재
      • 뒤르케임 문화사회학의 지평과 과제

        민문홍(Min Moon-Hong) 한국문화사회학회 2006 문화와 사회 Vol.1 No.-

        이 논문의 목표는 한국의 사회학자들에 의한 뒤르케임의 문화사회학에 대한 연구 현황을 초창기부터 현재까지 검토해봄으로써, 뒤르케임 전통의 문화 연구에 보완되어야 할 점들을 찾아보고, 이러한 평가를 기준으로 향후 뒤르케임 전통의 문화이론 연구가 오늘날 한국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 해결에 적실성을 가지고 가르치고 연구될 수 있도록 성찰의 기회를 마련해보는 것이다. 이 글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첫째, 필자는 뒤르케임의 문화사회학과 관련해서 한국 사회학 공동체의 주목을 가장 크게 받은 알렉산더(Jeffrey Alexander)의 저서를 중심으로, 그가 뒤르케임의 문화사회학을 강조하게 된 지적 배경과 그가 분류한 뒤르케임 전통의 학문적 후계자들(벨라, 실즈,기 어츠, 우드나우 등)의 이론적 문제의식의 계승을 검토해보았다. 둘째는, 프랑스 사회학 공동체가 주목하는 뒤르케임의 전통을 발전적으로 계승한 2세대 뒤르케임주의자인 마르셀 모스, 마르셀 그라네, 모리스 알박스 등의 이론적 문제의식을 간단히 정리해보았다. 특히 2세대 뒤르케임주의자인 이들이 그의 스승인 뒤르케임의 이론적, 방법론적 문제의식을 어떻게 혁신하고 계승해서 현대 문화와 타 문화권에 대한 새로운 문화사회학적 연구 전통을 성공적으로 확립해나갔는가를 탐색해보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초창기부터 현재까지 한국 사회학자들이 해온 뒤르케임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을 조감하고, 그 특징을 몇 가지 유형별로 기술한 후에 이러한 지적 자원을 가지고 한국에서 뒤르케임의 문화사회학 전통을 연구와 교육 분야에서 더 적실성있게 계발하려면 어떠한 이론적, 방법론적 전략이 필요한가를 탐색해보았다. This article purports to draw some sociological less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korean cultural sociological studies on the basis of study in durkhemian tradion’s sociological studies by korean sociologists. For this purpose, it delves into the intellectual background and some more detailed academic projects of diverse efforts of korean sociologists in this domain. This article composes of three parts. First part examines the intellectual background and analyses the detailed academic programs of korean sociologists’ cultural sociological studies. Within this work, author also includes the academic efforts of translation of major works of french second generation’s (Marcel Mauss, Marcel Granet, Maurice Halbwachs) durkhemian sociology. Second part makes typologies of these works and evaluates the academic activities of korean sociolgists in this domain. On the basis of this work, author suggests some future tasks of korean sociologists in cultural sociological studies. These tasks are as follows: We must more clarify the epistemological position of post-phase Durkhemian sociology and need to develop durkhemian tradtion’s sociology on this basis. We need to explore the second generation durkhemian school’s works. Third part suggests some sociological lessons from the above mentioned analyses. In conclusion, it suggests that we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e intellectual background of durkhemian and neo-durkhemian cultural sociology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korean cultural sociology. And for this purpose, we need to develop durkhemian tradition’s cultural sociology around the themes of civil religion, new community value system, trust building works through new social move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