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로젝트 접근법과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관련 유아교육 연구의 동향 비교

        장상옥(Jang, Sang Oc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3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젝트 접근법과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관련 유아교육 연구의 동향을 연구 연도, 연구 대상, 연구 유형과 연구 주제에 따라 비교ㆍ분석하여 프로젝트 관련 연구 시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분석 대상은 한국학술정보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을 통하여 관련 주제어를 검색한 후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에 게재된 논문 164편을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연도별 동향을 보면, 프로젝트 접근법 연구는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연구보다 많았으며 대체로 매년 4-6편의 연구가 최근까지 이루어졌으나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연구는 최근 1-2편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연구 대상은 두 접근법 모두 유아 대상이 가장 많았고, 교사 대상은 최근에 증가하였다. 연구 유형은 프로젝트 접근법 연구는 양적 연구, 질적 연구, 문헌 연구의 순이나,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연구는 질적 연구, 문헌 연구, 양적 연구의 순으로 질적 연구가 많은 특성을 보이면서 다양한 질적연구 유형이 나타났다. 연구 주제는 두 접근법 모두 교수․학습방법과 교사교육 주제가 가장 많이 연구되었으나,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에서는 교육과정, 교육환경 등 다양한 주제의 연구가 더 이루어졌다. 두 접근법 관련 연구를 비교하고 논의하였으며 앞으로 프로젝트 관련 유아교육 연구가 더 활성화되기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rends of project approach research and Reggio Emilia approach research according to research year, research subjects, type of research and research themes and provide basic data for project related research.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were 164 papers in the academic journals registered in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roject approach research was more than the Reggio Emilia approach research, generally, four to six studies have been conducted each year, but the Reggio Emilia approach research has recently been reduced to one to two. According to the trends of the study subjects, both approaches had the highest number of young children in the human subject, and the study of teacher subjects was on the rise in recent years. In terms of research types, project approach research was followed by quantitativ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Reggio Emilia approach research was in the order of qualitative research, literature research, and quantitative research. In both approaches, qualitative research showed many characteristics and various qualitative research types appeared. According to the trends of the research theme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teacher education themes were most often studied, while the Reggio Emilia approach included studies on various topics, such as curriculum and educational environment. The two approaches have been compared and discussed, and further project related studies have been suggested.

      • KCI등재

        초등 교사의 프로젝트 접근법 실행에서 실천적 지식의 변화

        김평국,송진영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10 교육과학연구 Vol.41 No.1

        이 연구는 한 초등학교 교사가 대학원에서 프로젝트 접근법을 학습하고 학교 현장에서 실행하는 동안 실천적 지식이 어떻게 변화되는지에 대하여 내러티브 탐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S교사가 교직 생활 초기에 지녔던 학생, 교과, 학부모에 대한 실천적 지식의 내용에 대하여 탐구하였다. 둘째, S교사가 대학원에서 프로젝트 접근법을 학습하고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예비와 1차와 2차 프로젝트를 실행하는 동안 경험한 실천적 지식의 변화에 대하여 탐구하였다. 셋째, S교사가 프로젝트 접근법의 실행 후 학생, 교과, 학부모에 대하여 경험한 실천적 지식의 변화를 탐구하였다. 그 결과, S교사는 학생이 수동적이며 산만하다는 지식에서 능동적이며 몰입한다는 지식으로의 변화, 교과 내용을 주어진 대로 가감 없이 전달해야 한다는 지식에서 이를 재구성할 수 있다는 지식으로의 변화, 학부모를 멀리하고 배제해야 한다는 지식에서 학부모로부터 도움을 받으며 협력할 수 있다는 지식으로의 변화를 경험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S교사의 경험이 교사의 교육과정과 교수법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육과 연수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conducted a narrative inquiry into how a Korean elementary teacher acquired new personal, practical knowledge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project-based instruction. During the inquiry, the researcher and the participant went through a process of collaboration involving mutual storytelling and restorying. The study investigated what contents of practical knowledge the teacher held in the early stages of her career, how she realized her lack of expertise in curriculum and instruction, and how she acquired new practical knowledge after implementing project-based instruction. Results showed that the teacher acquired new practical knowledge by overcoming her assumption that students are passive and inattentive, she must deliver subject matters as they are given, and she must prevent parents from intervening in students' learning in the classroom. The teacher realized that: 1) students can be active and immerse themselves in learning; 2) she can reorganize subject matter according to students' needs; and 3) she can get help from and cooperate with, parents to maximize students' learning. The study suggested some implications for in-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training that could help teachers broaden their curricular and instructional expertise.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프로젝트 접근법 활용: 유아중심, 놀이중심 교육과정 경험

        이근영(Lee, Keun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이 프로젝트 접근법을 경험해보고 주체적으로 주제를 깊이 있게 탐구하는 교육방법에 대해 반성적·실천적 의의와 가치를 파악하는데 그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A대학의 유아교육과 학생 47명이 6주 동안 프로젝트 접근법을 경험해 보았다. 프로젝트 진행과정 포트폴리오, 참여자의 반성적 자기평가, 참여자의 프로젝트 평가, 면담자료 등을 수집하여 질적 연구의 분석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은 프로젝트 접근법을 직접 경험해봄 으로써 프로젝트 접근법에 대한 실제적인 이해뿐만 아니라, 이를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해 볼 수 있을지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고 평가하였다. 둘째, 프로젝트 접근법 경험은 유아중심, 놀이중심 교육과정인 현 2019 개정누리과정을 바탕으로 수업과 활동을 계획, 수행, 평가하는데 의미 있는 학습과정이 될 수 있다고 평가하였 다. 셋째, 프로젝트 접근법을 통해 참가자들은 자기 개발과 발전을 요구하는 학습자로 서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교과과 정으로 프로젝트 접근법의 활용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flective and practical value by applying project approach to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is study, 47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d the project approach for 6 weeks. Portfolios of project progress, reflective self-evaluations, project evaluation, and interview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qualitative research.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assessed that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the project approach in the curriculum gav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 opportunity not only to understand the project approach, but also to think about how to apply it in the field. Second, it was evaluated that the experience of the project approach could be a meaningful learning process for plann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the current revised nuri curriculum, which is a child centered and play centered curriculum. Therefore, it implies that there is a need to discuss the use of the project approach as a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curriculum.

      • KCI등재

        국제관광객을 위한 협력 및 사법적 접근에 관한 헤이그국제사법회의의 동향

        이병화(Lee, Byung Hwa) 한국국제사법학회 2020 國際私法硏究 Vol.26 No.1

        오늘날 급격한 사회변화로 인하여 관광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급증하였고, 관광객에게 각종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산업이 발전하게 되었다. 또한 국제관광의 경제적 중요성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향후 더욱 양적 및 질적으로 발전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국제관광객들은 각국의 정보 차이로 인해 그들의 권리와 법적 구제방법을 명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방문국에서의 짧은 체류기간 및 언어장벽과 같은 한계들로 인해 조정/화해/중재 등의 대안적 분쟁해결절차를 이용하기 곤란할 수밖에 없다. 또한 소송비보증(cautio judicatum solvi)과 같이 재판 이용에 대한 방해요인들이 지속되고 있으며, 국경을 넘는 사건들에 대하여 소액소송절차의 이용이 거의 불가능하고, 관광객들이 사법적 접근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부 차원의 기관이나 단체들이 부재하거나 적절한 연락메커니즘이 부재하여 실제로 많은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는 국제관광객을 위한 협력 및 사법적 접근에 관한 헤이그 협약을 통해 각국의 중앙당국 간에 국제적인 협력메커니즘을 설정하여 여러 가지 어려움들을 극복할 수 있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고에서는 국제관광객을 위한 협력 및 사법적 접근에 관한 헤이그국제사법회의의 최근 동향을 분석하고 있다. 우선 지금까지 진행되어온 관광프로젝트를 개괄적으로 고찰하고, 관련된 주요 개념 및 현황 통계를 제시함으로써 각국의 현실 상황을 올바르게 이해하고자 한다. 또한 관광객의 특정 취약성과 관광객들이 직면한 다양한 어려움을 파악하고, 국제관광객의 사법적 접근에 관한 향후 가능한 방법을 모색해보고 있다. 본고에서 다루고 있는 관광프로젝트는 헤이그국제사법회의의 권한과 다른 포럼들에서 행해진 업무와 함께, 국제관광객들을 위한 협력 및 사법적 접근에 관한 협약 초안의 제안에 대한 추가적 업무의 적정성과 시행가능성에 관한 연구로 구성되어 있다. 요컨대 최종보고서는 현재 적절한 사법적 접근을 제공하는 일관된 체제가 없으며, 관광객 보호에 있어 현재 많은 결점을 극복하기 위해 국제기구가 고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관광프로젝트를 위해 계획된 협력메커니즘은 기존 헤이그협약 하에서 이미 효과적으로 운영되는 중앙당국의 네트워크를 모델로 하며, 최종보고서는 관광프로젝트에 대한 작업이 적정하고 시행가능하다고 생각한다. 특히 HCCH와 UNWTO의 지속적인 협력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관광프로젝트는 UNWTO 업무와 중복되거나 양립할 수 없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것을 보완한다는 결론에 이른다. A drastic social change of the day led to a surge in the attention and demand for tourism and to the development in industry with the aim of offering several services to tourists. Also, the economic importance of international tourism is rising continuously. And it will be developed more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from now on. Nevertheless, international tourists generally fail to clearly grasp their right and legal remedy method due to a difference in information on each country. Because of the limitations such as short stay length and language barrier in a visiting country, they cannot help being difficult to use ADR(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such as mediation/conciliation/arbitration. In addition, obstacle factors on the trial use like legal expense guarantee(cautio judicatum solvi) are being continued. Many difficulties are being actually confronted by the unavailability of a small claims procedure tailored for cross-border cases and by the absence of government-level agencies or groups or of appropriate liaison mechanism supporting tourists for them to make judicial approach. Accordingly, an effort is needed down the road for possibly overcoming a lot of difficulties through establishing international cooperation mechanism among Central Authorities in each country through the Hague Convention on Cooperation and Access to Justice for International Tourists. In relation to this, this study is analyzing a recent trend of HCCH(Hague Conference on Private International Law) pertinent to cooperation and access to justice for international tourists. First of all, the aim is to rightly understand a real situation in each country through comprehensively considering a Tourism Project that has been progressed so far, and through suggesting the relevant major concept and the present condition statistics. Furthermore, it is figuring out tourists" specific vulnerabilities and diverse difficulties that tourists faced, and is seeking for a possible method in the future with regard to international tourists" access to justice. The Tourism Project, which is being addressed in this study, is composed of the mandate of the HCCH, of the tasks done by other forums, and of a Study on the desirability and feasibility of further work on the Proposal on a Draft Convention on Co-operation and Access to Justice for International Tourists. In a few words, the Final Report considers that it is desirable for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to be devised to get over existing many flaws in protecting tourists while there is no consistent system now that provides the appropriate judicial approach. The planned cooperation mechanism for the Tourism Project has a model as a network of the Central Authority that is already operated effectively under the Hague Convention. The Final Report regards the work on Tourism Project as desirable and feasible. Especially from the perspective of continued collaboration between HCCH and UNWTO(United Nations World Tourism Organization), the conclusion is reached as saying that the Tourism Project neither overlaps nor is incompatible with the UNWTO work, but rather complements it.

      • 멘토링에 참여한 만 3세 사랑반 교사의 경험과 변화 - 프로젝트 접근법을 중심으로 -

        이유희,이숙재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1

        본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프로젝트 접근 활동을 중심으로 처음 프로젝트 접근 활동을 경험한 김교사의 어려움은 무엇이며 프로젝트 접근 활동을 전개해 가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변화 모습을 어떠한지, 그리고 프로젝트 접근법을 경험한 만 3세반 유아들의 변화 모습은 어떠한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연구자가 근무하고 있는 기관의 만 3세 담임교사로 프로젝트 접근법의 경험이 없는 교사를 멘티교사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프로젝트 접근법을 처음 전개하는 교사의 어려움으로 낯설음에서 오는 어색함, 주제 선정의 어려움, 주제망과 유목화의 어려움, 조사·탐구활동의 어려움, 그리고 생활주제 중심 활동과의 혼돈 등이 있었다. 멘토링을 통한 프로젝트 접근법을 전개하면서 어려움 속에서 재미있는 활동들을 발견하게 되었고, 환경구성에 깊은 관심을 보였으며 교사 스스로 반성적 사고를 통한 수업에 대한 계획과 평가를 하게 되었다. 또한 프로젝트 접근법의 마지막 단계로 전시회를 통해 성장해 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활동에 함께 한 사랑반 유아들은 새로운 프로젝트 활동에 대한 기대감을 가지게 되었고 그 기대감은 다음 활동에 대한 적극성으로 연결되었다. 또한 다양한 활동을 통해 표현력이 확장되며 사랑반 유아들의 표현 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프로젝트 접근법을 경험한 교사와 다양한 연령의 유아들에게 필요한 교육적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유아의 정보처리유형에 따른 프로젝트접근법의 효과 : 과학교수 효능감을 중심으로

        김판희,이미연 미래유아교육학회 2004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1 No.2

        본 연구는 유아의 프로젝트 활동이 유아의 자기효능감과 학습흥미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그 효과는 유아의 정보처리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7주간에 걸쳐 프로젝트접근법에 따라 프로젝트 활동을 한 집단(n=20)과 교사중심의 단원중심 수업을 한 집단(n=20)을 비교한 결과, 사회적 자기효능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습흥미에서 프로젝트 집단이 단원중심 집단보다 높은 증진을 보였다. 이 프로젝트의 효과는 유아의 정보처리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동시적 정보처리유형의 유아에게서는 모든 요인에서 프로젝트가 단원중심보다 효과적인 반면, 계열적 정보처리유형의 유아에게서는 프로젝트와 단원중심 사이에 차이가 약하거나 대부분 유의하지 않았다.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roject approach on young children’s social and academic self-efficacy as well as the level of learning interest, and also to find out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in these effects in relation to the children’s information processing type. K-ABC intelligence tests were conducted on 186 children of age from 4 to 5 in “D” Kindergarten in Daegu City in Korea in order to separate the children into two different groups according to their information processing type. Then from the two groups, 20 subjects of the sequential processing type and another 20 subjects of the simultaneous processing type were chosen by random sampling. Each of these two groups was then randomly divided into another two groups, each of which consisted of 10 subjects-one group for a project approach and the other for a unit approach. The project approach groups engaged for seven weeks in activities based on Helm and Katz’s(2001) project approach for young children. During the same period, children of the other groups engaged in unit-based activities of regular classes for the purposes of comparison. In order to assess the effects of the project approach, self-efficacy tests and an academic interest test were administered immediately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s. The self-efficacy test consisted of a social efficacy test and an academic efficacy test. These efficacy tests were constructed based on questionnaire by Hee-Jug Woo(1993), Harter and Pike(1984), Ah-Young Kim & In-Young Park(2001), and Jinks & Margan(1999). The academic interest test was based on the concept of interest suggested by Pintrich and Schunk(2002). For the data analyses, MANCOVA was applied with the IQ scores as the co-variants with a = .05. The results of the analyses were as follows : 1. The project approach was more effective than the unit approach in increasing young children’s social and academic self-efficacy as well as their academic interest level. 2.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teaching approach a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type. The simple effect analyses of the interaction showed that children of the simultaneous processing type showed a greater increase in the project approach than in the unit approach in all sub-factors of social self-efficacy(interpersonal relations efficacy, prosocial behavior) and academic self-efficacy(confidence, perceived self-confidence,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as well as academic interest level(concern for learning, a better learning attitude, and an increased learning persistence). However, children of the sequential processing type showed a greater increase only in social self-efficacy and in perceived self-competence(a sub-factor of academic self-efficacy) in the project approach than in the unit approach. These children didn’t show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approaches in any of the other sub-factors. In conclusion, the project approach appeared to be more effective than the unit approach in increasing the self efficacy as well as academic interest, mainly for children of the simultaneous information processing type.

      • KCI등재

        “친구”프로젝트 접근법을 통한 집단 따돌림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과정

        유승희 ( Seung Hee Ryu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2 한국초등교육 Vol.2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친구’ 프로젝트 접근법을 통하여 초등학교 집단 따돌림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과정이 어떻게 변화해 가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연구의 의의는 이 연구를 통해 오늘날 초등학교에서 만연되고 있는 집단 따돌림 아동들이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여 원만한 인격체로 자라날 수 있도록 돕고, 나아가 학급에서 이러한 문제에 대처해야 하는 교사들에게 교육적 자료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D시 Y 초등학교 6학년 1개 학급 32명이며 연구 방법은 질적 연구 중 문화 기술적 방법으로 참여관찰, 심층면접 그 외 기타 자료를 활용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프로젝트 접근법을 통해 자신과 인간관계에 대한 존중감이 형성 되었고 특히 자존감이 향상 되었으며 사회적 인간관계가 개선되었다. 2. ‘친구‘프로젝트 접근법을 통해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감이 증진 되었는데 특히 학교생활이 편안해졌고 수업시간이 즐거워 졌다. 결론적으로 ‘친구’ 프로젝트 접근법은 초등학교 집단 따돌림 아동들이 학교생활에 적응해 나가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children suffering from being ostracized come to adjust to school through the project ``Friend``. Study subjects settled to accomplish the study purpose are as follows. How the children suffering from being ostracized come to adjust to school through the project ``Friend``?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to help children suffering from being ostracized adjust to school and grow as human beings. Furthermore, it attempts to provide teachers who should deal with the problem with proper educational materials. Participants were 32 6th grade children in Y elementary school in D city. Ethnography was employed as a method including participant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 work results, teacher diary, children diary, parents letters, and class internet homepag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project approach built children respect for selves and other humans 1-1. The project ``Friend`` increased children`s self-esteem by giving supports from peers and teacher. 1-2 The project ``Friend`` improved children`s social relationship by enabling relationship and cooperation centered learning. 2. The project approach embedded school satisfaction in children. 2-1. The project ``Friend`` helped children feel secure by making them have good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2-2. The project ``Friend`` encouraged children to attend class more delightfully by having them more closely interact with peers and teacher. Consequently, the project ``Friend`` showed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 suffering from being ostracized to adjust to school.

      • KCI등재

        프로젝트 접근법에서의 도덕적 성취: 드러난, 잊혀진 그리고 숨겨진 목표

        윤은주 ( Eun Ju Yun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3 초등도덕교육 Vol.0 No.43

        본 연구는 프로젝트 접근법의 사회 및 도덕적 성취에 대한 논의이다. 최근 유아뿐만이 아니라 초등에서 프로젝트 접근법이 활발히 적용 중이다. 그러나 그 적용과 평가가 지적 성취중심으로 이루어져 프로젝트 접근법이 마치 인지나 사고발달을 위한 교수학습법으로 오인될 양상이 커지고 있다. 이런 오해와 편향된 추이에 대해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 아울러 프로젝트 접근법이 사회 및 도덕적 성취에 기여하는 부분을 알아보기 위해 먼저 프로제트 접근법의 연구경향을 분석한 후 프로젝트 접근법 개정판에서 추가된 목표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unfold and highlight the moral contribution of the Project Approach to educational achievments. There has recently been a growing number of efforts to apply the PA in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classrooms. But With the matter of its application and evaluation. there is a strong tendency to focus only on the intellectual aspect of the PA, particularly thinking and cognitive development by ignoring the rest aspects of the PA. social and moral. Therefore. research purpose is to pay attention to the social and moral achievement of PA and to regain their values in the classrooms. especially faced with the chronic diseases of Korean educational system which are for example bullying, lethargic students etc. by reviewing the 2nd version of “Engaging children`s mind: The Project Approach.”

      • KCI등재

        ‘김치’ 프로젝트 수업에 적용한 프로젝트 접근법의 관찰 및 효과

        지경옥,윤지현 한국실과교육학회 2008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and application probability of project approach method purpose by Katz & Chard on "Kimchi" theme on elementary Practical Arts subject. For this process the 6 grade 30 students in Hwa-Sung City J Elementary School executed "the Kimchi project" on 7 weeks. Also the research results analysed through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hich observe and record the process of project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using survey complemented. 1. The changes of student's attitudes and recognition about Kimchi are as follows. First, on the beginning step, they couldn't recognize concretely about Kimchi's importances, effects, kinds etc. So they couldn't think that the Kimchi is also a traditional food. Learning about traditional food, they gradually broaden understandings and appreciate of the traditional food and Kimchi. Second, on developing steps, the students understood the Kimchi activelly through investigation and field trip. They recognized the various knowledge about importances, effects, kinds and etc of Kimchi as traditional food concretely and their recognition was get formed. Third, the project was advanced and on finishing steps the students was formed rightly and expanded in some attitudes and recognition about the traditional food. 2. The change of interaction of the students are as follows. First, on starting steps, interaction of the students did not become accomplished well and mainly the personal activities were center. Second, on project's developing steps, the students accomplished for interaction between them and it started to appear cognitive troubles. Third, project was advanced and the students with initially differently the efficient characteristic of cooperation, the interaction which is active led from finishing phase. 3. The change of learning effects are as follows. First, after the project the attitude regarding Practical Arts subject appeared positively than before the project(p<0.05). Second, it also appeared to improve significantly the change of attitude and recognition about traditional food(p<0.1). Consequently, not in planned and got structured well systematically, but in the revelation curriculum heading for divergent results, it can appear the change of proper recognition, desirable interaction and learning effects. 본 연구의 목적은 Katz와 Chard의 프로젝트 접근법을 ‘김치’라는 주제에 적용하여 초등실과교육에서의 프로젝트 접근법의 학습 효과 및 적용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총 20차시에 걸친 ‘김치’ 프로젝트를 화성시내 J초등학교 6학년 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프로젝트 과정을 관찰하고 기록하는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학생들의 전통음식에 대한 태도 및 인식의 변화와 상호작용의 변화를 살펴보고, 양적 자료의 측정을 병행하여 학습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젝트의 수행과정이 진행되면서 학생들은 전통음식을 이해하는 폭이 넓어지고 다양해져 갔으며, 전통음식 중의 하나인 김치에 대한 다양한 지식을 구체적으로 인지해나가면서 전통음식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바르게 형성되어 갔다. 둘째, 학생들의 상호작용은 개인적인 활동으로부터 점차 학생 상호간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협력의 효율성을 깨달았으며, 토의를 통해 합리적으로 문제를 해결하였다. 셋째, 프로젝트 수업 후에는 실과 학습에 대한 태도가 유의한 변화의 차이를 보였으며(p<0.05), 전통음식에 대한 태도 및 인식의 변화도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p<.01). 따라서 계획적이고 구조적으로 잘 짜여진 교육과정이 아닌 발현적 교육과정을 통해서도 바람직한 인식 및 상호작용의 변화와 학습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 프로젝트 접근법이 초등학교 학생의 장애수용 태도에 미치는 효과

        김정일 ( Jung Il Kim ),서영 ( Young Seo ) 한국초등특수교육학회 2014 초등특수교육연구 Vol.16 No.1

        통합교육이 성공적으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긍정적인 수용태도가 전제되어야 하며, 긍정적인 태도변화를 위한 교육적 접근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장애이해교육을 적용한 프로젝트 접근법이 비장애학생의 장애수용 태도변화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장애학생의 효율적인 사회적 통합을 지원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 연구의 대상은 대구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에 재학중인 4학년 2개 학급의 52명을 의도적 표집방법으로 선정하여 각 학급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이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인 SPSS 1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이해교육을 적용한 프로젝트 접근법은 비장애학생의 통합에 대한 태도를 향상 시킨다. 둘째, 장애이해교육을 적용한 프로젝트 접근법은 장애학생의 능력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인식을 향상시킨다. 셋째, 장애이해교육을 적용한 프로젝트 접근법은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행동의도를 향상시킨다. 넷째, 장애이해교육을 적용한 프로젝트 접근법은 학급동료의 인식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를 향상시킨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