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법을 활용한 2015 과학과 교육과정 평가 분석 및 논의: 과정 중심 평가와의 연계를 중심으로

        김유정,장원형,홍훈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9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2 No.3

        This study conducted the analysis of the frequency of key words in wordcloud and the analysis of network structure in igraph package for 475 key words derived from total 134 sentences of ‘evaluation methods and precautions’ presented in 2015 science curriculum by utilizing Text Network Analysis(TNA) method, and reviewed for the connection with process-centered evalu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frequency of all the key words, the evaluation in science curriculum centered on ‘process’, focusing on evaluating ‘reports, observation, result, attitude, and writing’ under the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 of ‘experiment, activity, survey, observation, exploration, data, discussion’, but no mention about essay-type evaluation. The analysis of the frequency of key words by school level shows that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are focused on the evaluation of ‘observation’, ‘experiment’ activity each, while high school focuses on the achievement level, and reports are main at higher school level. The analysis of network structure between key words reveals that the evaluation of science curriculum is centered on ‘observation’, ‘process’, and emphasizes on the way of observation evaluation and report evaluation during student activities such as experiment in order to evaluate whether students have mastered learning or no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network structure between core competencies in science curriculum, scientific communication competency represents the highest centrality in science curriculum, whereas scientific thinking, scientific problem solving, scientific participation and lifelong learning competencies are relatively marginalized. As a result of a review of the connection between process-centered evaluation and science curriculum evaluation, some characteristics of process-centered evaluation are relatively well described in science curriculum, such as curriculum-teaching and learning-evaluation linkage, comprehensive evaluation of student’s multifaceted characteristics, and the diversification of data collection using various evaluation methods, but the rest are poor or not at all.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makes a suggestion to introduce a diagnostic and prescribing program for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to improve the quality of observational evaluation rubric that is a key to process-centered evaluation, a suggestion to present specific and diverse evaluation methods appropriate for evaluation elements, a suggestion to adopt essay-type evaluation and to adopt problem-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like SSI and PBL for evaluating core competencies in science curriculum in a balanced manner, a suggestion of a well-thought-out process and systematic skills for the new concepts introduced in the revision of the curriculum, a suggestion to revise curriculum with a focus on the link between the general curriculum and the particular one in order to establish a tight relationship between the general and the particular. 본 연구는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법(Text Network Analysis, TNA)을 활용하여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평가 방법 및 유의사항’ 총 134문장의 핵심어 475개에 대하여 wordcloud의 핵심어 빈도 분석, igraph의 네트워크 구조 분석을 실시하고, 과정 중심 평가와의 연계양상을 검토하였다. 전체 핵심어 빈도 분석 결과, 과학과 교육과정 평가는 ‘과정’을 가장 중시하고, ‘실험, 활동, 조사, 관찰, 탐구, 자료, 토의’의 교수·학습 상황에서 ‘보고서, 관찰, 결과물, 태도, 서술’ 평가를 강조하지만 논술형 평가는 언급하지 않았다. 학교 급 별 핵심어 빈도 분석 결과, 초·중등은 각각 ‘관찰’과 실험’ 활동의 평가에, 고등학교는 성취수준에 대한 평가에 중점을 두고 있고, 학교 급이 올라갈수록 보고서 평가가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어 간 네트워크 구조 분석 결과, 과학과 교육과정 평가는 ‘관찰’과 ‘과정’을 중심으로, 실험 등의 학생 활동 중에 관찰평가와 보고서 평가를 실시하고 학생의 학습도달 여부를 평가하는 방식을 강조하고 있었다. 과학과 핵심역량 네트워크 구조 분석 결과, 과학과 교육과정 평가에서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이 가장 높은 중심성을 가지는 반면,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문제해결력, 과학적 참여와 평생학습 능력은 상대적으로 소외되고 있었다. 과정 중심 평가와의 연계양상을 검토한 결과, 교육과정-교수·학습-평가의 연계, 학생의 다면적 특성에 대한 종합적 평가, 다양한 평가방법을 활용한 자료수집의 다원화에 관한 부분은 비교적 충실히 반영되어 있으나 나머지는 내용이 빈약하거나 전혀 반영되지 않고 있음이 드러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과정 중심 평가의 핵심인 관찰평가의 질 향상을 위해 예비·현직교사를 위한 관찰평가 루브릭 진단 및 처방 프로그램 도입을, 평가요소에 따른 평가방법을 구체적이고 다양하게 제시할 것을, 균형 있는 과학과 핵심역량 반영을 위하여 논술형 평가, SSI, PBL 등의 문제 중심 교수·학습법을 제시할 것을, 교육과정 개정에 도입되는 새로운 개념에 대한 충분한 숙고의 과정과 체계적 기술이 필요함을, 마지막으로 총론과 각론 사이의 유기적 관계 구축을 위하여 총론-각론 간 연계성에 초점을 두어 교육과정 개정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한다.

      • KCI등재

        과정 중심 평가 개념 분석 및 적용 방안 탐색

        김순남 ( Kim Soonnam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5

        이 연구는 2015개정교육과정에서 도입된 과정 중심 평가의 개념을 명확히 제시하고 과정 중심 평가의 핵심 요소를 도출하여 적용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내용으로는 과정 중심 평가의 도입 과정 및 과정 중심 평가의 개념 분석, 현 과정 중심 평가 개념 문제점 분석, 과정 중심 평가 개념의 핵심 요소 정립 및 적용 방안 제안 등으로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은 주로 문헌고찰과 현장 방문을 통한 교원 면담 등으로 이루어졌다. 이 연구를 통해 과정 중심 평가와 수행평가 및 형성평가를 차별화하고 과정 중심 평가의 핵심 개념 요소를 설정하였다. 과정 중심 평가 개념의 핵심 요소는 학생의 학습 과정을 직접 평가, 수업 내 평가로서 수업에서 학생 활동을 포함한 수업 모델과 연계한 평가, 학생의 학습 성장 정도를 알 수 있는 평가로 설정하였다. 나아가 과정 중심 평가를 현장에 적용하는 방안으로 과정과 결과의 연속선상 적용 방안, 학생 학습 과정, 수업, 평가 연계 방안, 4세대 평가방법 통합적 평가 방안, 과정 중심 평가 지원 방안 등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is to define and clarify the concept of the “Process-based Assessment” which was applying to Korean schools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reviews the introduction background and overall analysis of the 2015 Curriculum, preceding research analysis of the process-based assessment, and core element and application proposal of the assessment. The process-based assessment has the following three core elements. In detail, the assessment has to consider the process of student learning. Second, the process of student learning should be tested by class situation, Third, the process should provide the growth process of student learning. Lastly I propose the application of this evaluation : continuous application method of process and result, connecting method of student learning process, instruction, evaluation, a new extension assessment model, the integral method which combines the entire previous four generation evaluation model, support system for the growth of teacher professionalism and work reduction of teacher.

      • KCI등재

        음악과 표현 영역의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과정 중심 평가 설계 방안: 초등학교 5~6학년 국악을 중심으로

        한윤이(Han, Yun Y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 5~6학년 국악을 중심으로 음악과 표현 영역의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고 과정 중심 평가를 설계하여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분석하고 각 성취기준에 해당하는 국악 교수·학습 활동을 음악 교과서를 통해 살펴보았으며, 이를 근거로 과정 중심 평가를 위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였다. 이렇게 재구성한 내용을 기반으로 과정 중심 평가 계획을 세우고 계획에 따라 적합한 평가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평가 도구의 실행 결과에 따른 피드백 방안을 구체적으로 모색해 보았다. 평가 도구의 개발 과정에서는 교수·학습 활동과 평가의 연계 운영안을 마련하고 평가 과제별로 2개의 수행 과제를 제시하여 과정 중에 수시로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수행 과정에 대한 피드백 실행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과정 중심 평가의 특징을 최대한 반영하였다. 연구 결과, 과정 중심 평가의 내실화를 위해서는 수업과 평가의 연계 계획이 철저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수행 과정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와 학교 현장에 실행 가능한 평가 도구를 개발해야 하고, 피드백의 구체적인 계획과 적극적 활용 그리고 교과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피드백 방법의 개발이 필요함을 밝혔다. This study designed and presented a process-based evaluation of the expression area through the reorganization in the music curriculum, focusing on Korean music for the 5th and 6th grades in elementary schools. To this end, it analyzed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curriculum, examined the teaching-learning activities for Korean music corresponding to each achievement standard through music textbooks, and, based on this, reconstructed a curriculum for process-based evaluation. Grounded on the reconstructed content, the study formed a plan for process-based evaluation, developed evaluation tools appropriate to the plan, and specifically sought a feedback plan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utcomes of evaluation tool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evaluation tools, it prepared an operational plan for linking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nd evaluation, presented two performance tasks for each evaluation task to be frequently evaluated during the process, and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based evaluation as much as possible by suggesting feedback action plans on performance proces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revealed that in order to substantialize process-based evaluation, the plan for linking classes and evaluation must be thoroughly mapped out, and evaluation tools that can assess performance process and that can be implemented in the school field must be develop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need for a detailed plan and active use of feedback and the development of various feedback method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ar subject.

      • KCI등재

        교육과정 평가 개념에 관한 고찰

        박일수,권낙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clarifying concept of curriculum evaluation. There has been lack of enough discussion on concept of curriculum evaluation. It is expected this research will help curriculum evaluator and teachers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for curriculum evaluation.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reviewed literature of curriculum evaluation. First, researcher reviewed historial background of curriculum evaluation. Second, for understanding concept of curriculum evaluation, analyzing of concept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each other. Third, for clarifying of concept of curriculum evaluation, related evaluation activities reviewed which educational evaluation, education institutional evaluations, teacher evaluation, program evaluation, instruction evaluation, student evaluation. With this review of literature of curriculum evaluation, this research study represents the view of curriculum evaluations as a process that deals with both description and judgement about the merit and worth of a curriculum in all its three phases(the intended curriculum, implemented curriculum and achieved curriculum) in order for curriculum evaluation decisions to occur. 본 연구는 교육과정 평가의 개념을 명료화하기 위하여 관련 문헌을 분석하였다. 교육과정 평가 연구가 교육과정의 하위 연구 영역으로 자리 잡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과정 평가에 관한 개념이 명확하게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 의식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연구의 역사적 동향, ‘교육과정’의 개념과 ‘평가’의 개념, 교육과정 평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교육 평가’, ‘교육기관 평가’, ‘교사 평가’, ‘프로그램 평가’, ‘수업 평가’, ‘학생 평가’ 등을 살펴보고, 교육과정 평가의 개념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 의하면, 교육과정 평가에 대한 의미는 교육과정 평가의 시대적 동향, ‘교육과정’과 ‘평가’의 개념을 규정하는 방식에 따라서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 할 수 있었다. 또한 교육과정 평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평가 활동을 비교한 결과, 교육과정 평가는 여타 평가 활동과 구별되는 독자적인 성격과 영역이 존재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상의 활동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평가의 개념을 다음과 같이 규정하였다. 교육과정 평가란 교육과정이 진행되는 각 단계, 즉 교육과정의 계획, 실천, 성과로서의 교육과정과 관련된 의사결정을 하기 위한 자료를 수집하여, 이들의 가치 판단을 하는 행위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육과정 평가의 개념은 교육과정 평가에 관심을 갖는 연구자들에게 교육과정 평가의 의미를 명확하게 제공함으로써, 이 분야에 관한 연구의 촉매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함께, 교육과정 평가 연구를 활성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교육과정-수업-평가 일체화를 통한 과정 중심평가의 실제 : 고등학교 영어과 수업을 사례로

        김태현(Kim, Taehyun),김석우(Kim, Sukw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

        교육과정-수업-평가 일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process-centered performance assessment(PA) through alignment of Curriculum-Instruction-Evaluation called the total instructional alignment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develop an example of the high school English process-centered PA on Achievement-Based Assessment. The process-centered PA based on the total instructional alignment is designed to apply the reconstruction of English curriculum and achievement standard with a semester plan learning. With the revised learning objectives and assessment, the process-centered PA were produced and revised with the process clarification, development of criteria, PA implication and result assessment. With the result demonstrating, this research proves that process-centered PA is able to contribute to the total instructional alignment to help administrate various subjects fo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본 연구는 2019학년도 현재 고1, 2 대상으로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도입 일환으로 현재 성취평가제에 따른 교육과정, 수업, 평가간의 일체화를 위한 과정중심 수행과제의 개발에 목적을 두고 있다. 현재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에 기반한 과정 중심 수행평가 설계 절차에 따라 이를 개발하고 교육과정의 원활한 수행을 위한 수행평가 과제를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본 과정중심 수행평가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언급한 역량을 다루는 수업에 기반하고 성취기준에 따른 평가를 설계하는 과정에서 추후 고등학교에 도입 될 여러 정책의 방향성을 담을 수 있도록 하였다. 과정중심 수행평가를 위해 2015 영어과 교육과정 분석을 학기가 시작되기 전에 수행하였으며 교육과정 성격, 목표(총괄목표, 세부목표), 내용체계 및 성취기준,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 이해하고 영어과 성취기준 및 교과역량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평가계획 및 교과지도 계획을 수립하였다. 교육과정 변화 패러다임 과도기 단계에서 변화하는 교육과정을 제대로 반영하기 위하여 학생 분석 후 수업과 평가를 동시에 진행하는 과정중심 수행평가 과제 특성을 고려하여 문제 상황을 결정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역량이 강조되고 그에 따라 수업과 평가에서 역량 강화로 방향을 옮기고 있듯 현재 교육과정 운영에 맞도록 교육과정-수업-평가에 대한 운영 방향을 제대로 설정해야 할 것이며 교과의 성취기준에 따른 교육과정 설계 능력도 필요하다.

      • KCI등재

        과정의 내재성은 어떻게 설계할 수 있나?: IBDP의 평가와 수업의 원리를 중심으로

        조현영,손민호 한국교육과정학회 2019 교육과정연구 Vol.37 No.1

        This article was intended to examine what c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design a process-based assessment. The introduction of process-based evaluation in Korea is now at an early level, and has been implemented with various interpretations. In this article, we wanted to present the principles of design for this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how to design the intrinsic nature of the process in which students could participate actively. The intrinsic experience of the process in learning is the key to the growth of competence in students. Process-based assessments for learning and evaluating the intrinsic nature of the process are concerned with how students experience inquiry process in their own. The understanding and design of the intrinsic nature of the process strongly requests the participatory viewpoint in students. This article suggests as much as possible what the participatory viewpoint in design of evaluation. Furthermore, in order to prevent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principle from proposing on an abstract level, IBDP, curriculum at the high school level, which is well known as a typical example of process-based evaluation, is referred as a case to the principle of evaluation and class. We propose that the principle of design for the intrinsic nature of the process will help develop the process-based evaluation in the future. 이 글에서는 과정중심평가를 설계하기 위해 짚어봐야 할 조건들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했다. 과정중심평가의 도입은 이제 초기 수준으로 그 개념에 대해 여러 해석과 설계가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과정중심평가의 취지가 심층학습, 즉 탐구과정에의 참여를 통한 학습력의 성장을 꾀하는 데에 있다고 보았다. 이에 따르면 과정중심평가는 학생들로 하여금 탐구 과정의 내재성을 경험하도록 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그리고 과정의 내재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평가가 어떻게 설계되어야 할 것인가에 관한 사안이다. 이를 위해 과정중심평가의 전형적인 사례로 잘 알려져 있는 IBDP, 즉 고교단계의 IB 교육과정에서 평가와 수업의 원리를 참고하였다. ‘과정’ 참여에의 내재성을 감안하여 학습자 중심의 심층학습과 평가 방안으로서 과정중심평가를 둘러싼 담론과 실천이 발전하는 데 일조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대학교 교수의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인식 및 실태

        김진희(Kim ji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0

        본 연구는 대학 교수를 대상으로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인식과 실태를 조사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조사에 경남에 소재한 A대학의 교수 156명이 참여하였으며, 약 2주에 걸쳐 설문조사가 이루어졌다. 설문 내용은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인식, 운영 경험, 정착화 방안에 관한 것으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수들의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과정중심평가의 의미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이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정중심평가의 필요성에 크게 공감하고 있었다. 교수들의 과정중심평가의 실태는 전반적으로 과정중심평가를 실시하고 있으며, 교양보다는 전공과목에서, 1학년과 4학년보다는 2학년과 3학년 과목에서 실시하고 있었다. 반면 과정중심평가 교과목 경험이 전혀 없는 교수들을 대상으로 그 이유를 물어본 결과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이해 부족’이 가장 높았다. 과정중심평가 경험을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학생의 수행 과정을 평가하고 있으며 상시적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과정중심평가 실시함에 있어, 교수의 과도한 평가 업무 부담을 가장 큰 어려움으로 인식하였으며 또한 교수들이 과정중심평가의 성공적 시행을 위한 가장 필요한 사항으로 수업과 평가에 전념할 수 있는 교수 업무 환경 조성을 꼽았다. This study targets university professors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awareness and actual conditions of process-based assessments and to derive implications. 156 professors from A university, located in Gyeongnam, participated in a survey that was conducted over two weeks for this study. A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related to the awareness, experiences, and establishment methods regarding process-based assessment are as follows.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awareness of professors regarding process-based assessment showed that they had a high level of understanding on the meaning of process-based assessment and that they greatly agreed on the need for process-based assessment. The actual conditions of process-based assessment by professors were that process-based assessment was conducted across the board, and that it was conducted more in specialized major subjects than in liberal arts subjects, and more for second and third year classes than for first and fourth year classes. On the other hand, when professors that had no experience with process-based assessment subjects were asked why they do not have process-based assessments, the most common response was a “lack of understanding regarding process-based assessment”. The results of analysis on process-based assessment experience showed that professors were assessing the overall performance process of students and that they were continuously making assessments. In addition, regarding the implementation of process-based assessment, excessive work burdens related to assessment by professors were perceived to be the greatest hurdle, and the cultivation of a work environment for professors that allows them to solely concentrate on classes and evaluation was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aspect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process-based assessment.

      • KCI등재

        IPA 분석을 활용한 초등학교 교사의 과정중심평가 지원 요소 탐색

        김은주 ( Kim¸ Eunju ),김은라 ( Kim¸ Eunra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1 초등교육연구 Vol.3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IPA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과정중심평가의 중요도와 실행도를 살펴보고, 과정중심평가 실행을 위해 우선적으로 지원해야 할 요소를 탐색하여 각 과정별 지원 전략 수립 및 내실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B지역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를 편의표집하여 최종 188부를 설문한 후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과정중심평가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 수준을 살펴본 결과,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피드백 및 결과 기록’이 중요도의 인식 수준과 실행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초등교사의 변인별로 살펴본 결과, 중요도에서는 연령, 교육경력, 실행도에서는 연령, 교육경력, 연수경험에 따라 집단 간 차이가 확인되었다. 셋째, IPA 매트릭스 분석을 실시한 결과, 중요도와 실행도가 모두 높아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한 항목에는 ‘과정중심평가 실시 및 채점’,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피드백 및 결과 기록’ 영역이 분포, 중요도는 높지만 실행도가 낮아 집중적인 지원을 요구하는 영역으로는 ‘과정중심평가 과제 개발’, 중요도와 수행도 모두가 낮은 영역은 ‘과정중심평가 채점 기준 개발’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정중심평가 운영의 내실화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교육과정 자료 개발 측면에서 학습자의 과정을 평가할 수 있는 과정중심평가 과제로 활용할 수 있는 교과서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둘째, 과정중심평가의 객관성과 공정성이 확보된 평가 기준 및 방법·절차·도구의 개발· 보급과 더불어 과정중심평가를 드러낼 수 있는 다양한 평가 용어들을 개발해야 하고, 셋째,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연수 과정을 보다 촘촘히 설계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degree of process-based assessment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rough the IPA technique to explore the factors that should be first supported for the execution of process-based evaluation and to establish support strategies for each evaluation process. To this end, 188 elementarcy school teachers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level of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importance and perception on the process-based evaluation, the level of ‘feedback and result recording for process-based evaluation' was high.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each variabl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age, educational experience, training experience. Third,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IPA matrix analysis, in the first quadrant where items that need to be supported continuously due to their high importance and performance are distributed, the areas of ‘execution and scoring of process-oriented assessment' and‘recording of feedback and results of process-based assessment' were distributed. However, the areas requiring intensive support due to their high importance but low level of performance were‘development of process-oriented assessment tasks', and areas with low importance and performance were‘development of process-oriented assessment scoring criteria'. Based on the results, strategies to establish support for each assessment process such as the development of textbook that can evaluate the learner's process, development and execution of evaluation criteria focused on ensuring the objectivity and fairness of the process-based evaluation, development of various evaluation terms that can reveal the process-based evaluation, and the execution of training courses for process-based assessment were proposed.

      • KCI등재

        중학교 과정중심 평가에 대한 교원의 인식 분석

        조용(Yong Cho),김소영(So-Young Kim),박상현(Sang-Hyun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4

        목적 본 연구는 업무 담당 교사와 교과 담당 교사의 심층 면담을 통하여 중학교에 과정중심 평가가 도입되어 운영하면서 나타나는 성공 요인과 문제점을 찾고, 과정중심 평가가 중학교에서 널리 활용될 수 있도록 내실화 방안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서울시교육청의 정책연구학교인 학생평가 선도학교 중 2019년부터 2021년까지 3년 연속 지정된 학교 9개교를 우수사례로 선정하여 운영 사례보고서를 분석하였고, 2022년 10월 7일부터 20일까지 학생평가 선도학교 9개교 중 4개교를 선정하여 학교별 학생평가 담당교사와 학교당 2개 교과의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결과 서울시교육청 학생평가 선도학교의 심층 면담을 통해 (1) 과정중심 평가 인식, (2) 학교의 과정중심 평가의 운영 수준 및 체계 현황, (3) 교과의 과정중심 평가의 운영 현황, (4) 학생평가 선도학교로 과정중심 평가 추진 성과의 한계 (5) 포스트 코로나 시대 내실화 방안 등 다섯 측면에서 이에 대한 의견을 파악하였다. 또한, 과정중심 평가 운영 보고서를 통해 선도과목별 운영 학년⋅형태⋅학기, 실시 연도, 학기별⋅교과별 평가 영역, 운영 교과별 과정중심 평가의 장⋅단점, 수행평가 100% 운영시(혼합형 포함) 어려움, 과정중심 평가 활성화를 위해 요구되는 점, 해당 교과의 성격과 특성에 적합한 과정중심 평가 등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결론 첫째, 과정중심 평가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명시된 바와 같이 학생들의 핵심역량을 함양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확대되어야 한다. 둘째, 교육청의 명확한 지침을 바탕으로 학교의 전체적 분위기를 조성한다면, 교사들이 과정중심 평가 관련 연수와 교사 모임(교원학습공동체, 교과협의회 등)을 통해 평가 전문성을 제고해야 한다. 셋째, 과정중심 평가의 비율을 높이고 지속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학생과 학부모를 설득하기 위한 홍보가 적극 필요하다. 넷째, 교사의 업무부담을 줄일 수 있는 제도적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Objectives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ways to substantiate process-oriented assessment so that it can be widely used in middle school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s in charge of work and subjects while introducing and operating process-oriented assessment in middle schools. Methods To this end, among the student evaluation leading schools, which are policy research schools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nine schools designated as excellent cases for three consecutive years from 2019 to 2021 were selected and operational case reports were analyzed. Four out of nine leading schools for student evaluation were select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achers in charge of student evaluation at each school and teachers in charge of two subjects per school. Result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leading schools in student evaluation by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1) recognition of process-oriented assessment, (2) current status of operation level and system of process-oriented assessment, (3) current status of operation of process-oriented assessment, (4) student Opinions on this were identified in five aspects, including the limitations of performance in promoting process-oriented evaluation as a leading school in evaluation (5) internalization plan in the post-COVID-19 era. In addition, through the process-oriented assessment operation report, the operating grade/form/semester for each leading subject, the year of implementation, the evaluation area for each semester/subject,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process-oriented assessment for each subject operated, difficulties in operating 100% performance evaluation (including mixed type) In this study, implications were drawn by diversifying the points required to vitalize process-oriented evaluation and process-oriented evaluation suitable for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Conclusions Firstly, as specified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process-oriented assessment should be continuously expanded to cultivate students' core competencies. Secondly, if the overall atmosphere of the school is created based on the clear guidelines of the Office of Education, teachers should enhance their evaluation expertise through process-oriented assessment-related training and teacher meetings (teacher learning community, subject council, etc.). Thirdly, in order to increase the rate of process-oriented assessment and continuously operate it, publicity to persuade students and parents is actively needed. Fourthly, institutional measures to reduce the workload of teachers should be prepared.

      • KCI등재

        초등학교 국어과 과정중심평가의 의미와 방법

        최규홍 ( Choi¸ Kyuhong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4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실시와 함께 논의되고 있는 과정중심평가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역량중심의 교육과정이 도입되면서 평가에 대한 관점도 새롭게 바뀌었다. 이에 따라 부각된 용어가 ‘과정중심평가’이다. 하지만 사용되는 용어의 빈도만큼이나 다양한 해석이 이루어지고 있어 교육과정을 구현하는 교실 수업에는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이에 초등학교 국어과교육에서는 과정중심평가를 어떻게 해석하고 실천할 수 있을지를, 국어과의 평가 이론과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부 훈령, 학교생활기록부 작성 지침, 시·도교육청의 학업성적관리 시행지침 등의 분석을 통해, 탐색해 보았다. 그 결과 초등학교 국어과 과정중심평가는 크게 ‘수업 과정의 평가, 수행 과정의 평가, 사고 과정의 평가, 변화 과정의 평가’로 해석할 수 있음을 밝혔다. 이는 평가 시기, 평가 방법, 평가 대상, 평가 기 록의 측면을 고려하여 구분한 것이다. 수업 과정의 평가는 교수·학습의 과정 속에서 수업과 평가가 함께 이루어지는 것이고, 수행 과정의 평가는 수행 평가를 할 때 수행 결과보다 수행의 과정에 초점을 두고 평가를 하는 것이다. 그리고 사고 과정의 평가는 국어과 교육에서 다루는 수행이 결국 인지적 활동임을 고려할 때 학습자의 사고 과정을 평가해야 한다는 것이고, 변화 과정의 평가는 성취도를 도달하는 것에 중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출발점 행동에서 도달점 행동으로 바뀌는 수업 속에서 학습자의 변화 과정과 성장에 초점을 두고 평가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각각의 평가를 구체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방법으로, 수업 속에서 학습자의 언어 사용 현상 (언어 발달 현상)에 대해 피드백을 하는 방법, 학습자의 수행 과정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 교수·학습의 과정 속에서 학습자의 사고 과정을 들여다 볼 수 있는 방법, 한 차시뿐만 아니라 한 학기(또는 한 학년) 동안에 학습자의 변화 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국어과 교수·학습의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전략까지 제시하지는 못하였지만 초등학교 국어과 과정중심평가의 의미를 명확하게 정의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는 데 의의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specifically the meaning of the process-based assessment being discussed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o explore ways to realize it. With the introduction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e perspective on evaluation has also changed. As a result, the term highlighted is "process-based evaluation." However, there are as many interpretations as the frequency of the terms used, adding to the confusion in classroom classes that implement the curriculum. Therefore, we explored how to interpret and practice course-based evaluation in elementary school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analyzed the theory of assessment of Korean language department and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department, the instruct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guidelines for preparing school records, and guidelines for implementing academic performance management by municipal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As a result, the process-oriented assessment was largely interpreted as 'assessment of the course, evaluation of the performance process, evaluation of the thinking process and evaluation of the change process'. This is distinguished by considering the timing of the assessment, the methodology of the assessment, the object of the assessment and the aspects of the assessment record. The evaluation of the course of a class is done together in the course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the evaluation of the course of performance is to focus on the course of performance rather than the results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And the assessment of the thought process is that the learner's thought process should be evaluated, and the assessment of the change process is that the focus is on the learner's change process and growth in the class that changes from starting point behavior to reaching point behavior. In addition, they presented ways to specifically implement each assessment, such as how to give feedback in class, how to evaluate the learner's performance, how to look into the learner's thinking process, and how to look at the learner's changing process in one class or semester. Although it did not provide specific strategies that can be used in the course of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it is meaningful that it provided an opportunity to clearly define the meaning of the Korean language and course-based evaluation of elementary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