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평생교육강사 퍼실리테이션 역량 강화 비대면 프로그램이퍼실리테이션 역량과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최금미,류정희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1

        The Effect of the Non-face-to-face Program of LifelongEducation Instructors to Strengthen Facilitation Competencyon the Facilitation Competency and Teaching EfficacyKeummi Choi & Jeonghee Lyu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non-face-to-face program of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to strengthen facilitation competency on their facilitation competency and teaching efficacy. This study consisted of 8 sessions and 6 sessions of the identical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performance enhancing program activities and was conducted non-face-to-face with the two groups of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Participants in the program were conducted with pre- and post-tests consisting of measurement tools of facilitation capabilities and adult education instructor efficacy,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examined through matching sample t-test. It was found that the non-face-to-face program to strengthen the facilitation competen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the facilitation competency and teaching efficacy of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in both the 8th and 6th sessions. It describe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the competency building program for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Key Words: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 Facilitation, Non-face-to-face, Facilitation Competency Enhancing Program, Teaching Efficacy 평생교육강사 퍼실리테이션 역량 강화 비대면 프로그램이퍼실리테이션 역량과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최 금 미**ㆍ류 정 희*** 요약: 이 연구는 평생교육강사 퍼실리테이션 역량 강화 비대면 프로그램이 평생교육강사의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교수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는 동일한 평생교육강사 퍼실리테이션 역량강화 프로그램 활동을 8회기와 6회기로 구성하여 두 집단의 평생교육강사에게 비대면으로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참여자들에게 퍼실리테이션 역량, 성인교육 교수효능감 척도를 사전, 사후 검사로 실시하였고, 대응표본 t검증을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살펴보았다. 퍼실리테이션 역량 강화 비대면 프로그램은 8회기와 6회기 집단 모두 평생교육강사 퍼실리테이션 역량 향상과 교수효능감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이 연구가 평생교육강사 대상 역량 강화 프로그램에 갖는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를 기술하였다. 핵심어: 평생교육강사, 퍼실리테이션, 비대면, 퍼실리테이션 역량 강화 프로그램, 교수효능감 □ 접수일: 2022년 1월 10일, 수정일: 2022년 1월 30일, 게재확정일: 2022년 2월 20일* 이 논문은 주저자의 박사학위논문 연구결과 일부를 활용하여 새롭게 구성하였음. ** 주저자, 에듀로인재개발연구소 소장(First Author, Director, Edu-Ro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Email: ddunguris@hanmail.net)*** 교신저자, 광주대학교 조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Gwangju Univ., Email: teodosia@naver.com)

      • KCI등재

        토의수업 활성화를 위한 퍼실리테이션(Facilitation) 전략

        박창균(Park Chang-Gy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토의수업 활성화를 위한 퍼실리테이션 전략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토의수업 맥락을 고려하여 퍼실리테이션의 개념을 정의하고 토의수업의 지향점을 참여적 의사결정으로 설정하였다. 성공적 토의를 위한 참여적 의사결정의 원리는 ‘완전한 참여’, ‘상호 이해’, ‘협력’, ‘포괄적 해결책’, ‘공유된 주인의식’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참여적 토의수업을 위한 퍼실리테이션 전략으로는 ‘토의 분위기와 환경 조성하기’, ‘퍼실리테이션 도구와 기법 활용하기’, ‘참여 형식 바꾸기’, ‘참여자의 갈등 조정하기’, ‘토의 관찰 및 피드백 제공하기’, ‘퍼실리테이터의 책임 이양하기’를 제안하였다. 이러한 퍼실리테이션이 토의수업 전략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퍼실리테이션 기법에 대한 교사 연수, 퍼실리테이션에 대한 인식 확대, 거시적 차원의 토의수업 설계와 실행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to propose facilitation strategies for facilitating discussion classes. In the context of discussion class, the concept of facilitation was defined and the direction of discussion class was set as participatory decision making. In the discussion classes, the principle of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presented full participation , mutual understanding , cooperation , inclusive solution and shared ownership . And the facilitation strategies for participatory discussion classes suggested creating a discussion atmosphere and environment , using facilitation tools and techniques , changing the participation format , managing the conflicts of participants , monitoring discussion and providing feedback’, and ‘transferring responsibility of facilitator’. In order for facilitation to be strategies for discussion classes, it is necessary to train teachers on facilitation techniques, expand perspective of facilitation, and design and implement discussion class at the macro level.

      • KCI등재

        대학 말하기 교육 교수자의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수업운영방안

        이연주(Lee Yeonjoo),송영선(Song Young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9

        본 연구는 최근 중요도를 더해가는 대학의 말하기 교육에서 교수자가 퍼실리테이터로서 역할이 필요함을 인식하도록 돕고, 퍼실리테이션 기법을 적용한 효과적인 수업운영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대학 말하기 교육과 교수자의 특징을 이론적 배경으로 검토하고, 효과적인 말하기 교육을 위해 말하기 교육의 교수자는 퍼실리테이터로서 역할 인식과 역량이 필요함을 도출하였다. 또한 퍼실리테이션 기법을 적용한 수업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선행연구를 검토한 결과, 대학의 말하기 교육은 암묵적이고 절차적 지식의 특성을 가지며, 교수자는 다양한 경험과 전공을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촉진자의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절차적 지식으로서 말하기는 참여 학생이 다양한 말하기 상황 속에서 반복적인 말하기 경험과 피드백을 통해서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교수자는 학생들의 자발적 참여와 효과적인 팀 활동을 촉진하는 퍼실리테이터로서의 역할을 필요로 한다. 퍼실리테이션 기법은 학생들의 학습을 촉진하고 효과적인 팀 활동운영 방안을 포함한다. 대학 말하기 교육에 퍼실리테이션 기법을 적용하여 학생들이 팀 활동과 상호 협응과정을 통해서 암묵적이고 절차적인 지식이 명시적이고 선언적 지식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경험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말하기 교수자는 퍼실리테이션 역량을 가져야 하며, 퍼실리테이션 기법을 수업에 적용하여 프로세스 설계, 프로세스 관리, 피드백과 평가 스킬을 활용하여 수업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This study was recently conducted to help professors recognize their roles as a facilitator in the increasingly important university s speaking education and to suggest effective ways to operate classes using facilitation techniques. To this end, It is reviewed the role of the professor and the speaking education in university through prior study and derived that for effective speaking education, the professor of speaking education needed role recognition and competency as a facilitator. It also proposed a plan for class operation using facilitation techniques.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prior study, the university s speaking education is tacit and has the characteristics of procedural knowledge, the professor is based on various experiences and majors and requires the role of facilitator. The nature of procedural knowledge that a participant has can improve his or her ability through repeated speaking experience and feedback in various speaking situations. Therefore, a professor needs to play a role as a facilitator to encourage students voluntary participation and effective team activities. The facilitation techniques also include ways to promote learning and effectively manage team activities for students. By applying the facilitation techniques to university speaking education, students can experience the transition of tacit and procedural knowledge to explicit, declarative knowledge through team activities and mutual co-ordination processes. Therefore, a speaking professor must have a competence of the facilitator and can apply a facilitation technique to a clas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 by utilizing process design, process management, feedback and evaluation skills.

      • KCI등재

        중등학교 교감의 퍼실리테이션 역량이 교사리더십, 학교조직문화, 조직몰입 및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정연수,최은수 한국교원교육학회 201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교감의 퍼실리테이션 역량이 교사리더십, 학교조직문화, 조직몰입 및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 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교육청 소속 중등학교 교사 9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후 최종 843부를 AMOS 18.0과 SPS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감의 퍼실리테이션 역량은 교사리더십과 학교조직문화에 직접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감의 퍼실리테 이션 역량은 교사리더십과 학교조직문화를 매개로 조직몰입에 간접적인 영향이 있었으며, 교사리더십과 학교조직문화와 조직몰입을 매개로 학교조직효과성에 간접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교감의 퍼실리테이션 역량은 구성원의 마음을 움직이게 하여 자발적인 헌신, 즉 조직몰입에 이르게 함은 물론 학교조직효과 성에도 영향을 주는 변인임을 확인함으로써 교감의 퍼실리테이션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또한 본 연구로 기업을 대상으로 한 퍼실리테이션 역량이 학교조직에서도 그 효과성이 밝혀졌으며, 중등학교 교감의 퍼실리테이션 역량이 학교조직 효과성을 극대화하는데 필요한 역량임을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후보

        소그룹 퍼실리테이터의 역할과 주요역량에 대한 중요성 및 수행수준 인식 차이분석에 관한 연구 - CPF(Certified Professional Facilitator)와 기업 내 HRD담당자를 중심으로 -

        염우선,송영수 한국산업교육학회 2011 산업교육연구 Vol.22 No.-

        본 연구의 목적은 소그룹 퍼실리테이터의 역할과 주요역량에 대한 중요성과 현재 수행수준 인식 간 인식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국내 전문퍼실리테이터들과 기업 HRD담당자들에게 퍼실리테이터로서의 성공적 역할 수행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퍼실리테이터협회(KFA)의 인증전문퍼실리테이터(CPF) 20명과 국내 주요 기업 HRD담당자 124명을 대상으로 소그룹 퍼실리테이터의 역할과 주요역량에 대한 중요성 및 수행수준 인식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연구결과로써 첫째, 소그룹 퍼실리테이터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 분석결과 CPF집단은 프로세스 관리자, HRD담당자 집단은 의사소통자를 가장 높은 중요도로 인식하고 있었고, 역할에 대한 수행수준 인식은 각각 회의 촉진자, 의사소통자에 대한 인식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소그룹 퍼실리테이터의 각 역할에 따른 주요역량에 대한 중요성에서 의사소통자 역할과 관련해서 CPF집단은 질문스킬, HRD담당자 집단은 적극적 경청을 가장 중요한 역량으로 나타났고 프로세스 관리자 역할과 관련해서는 각각 프로세스 계획 수립과 관계형성능력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각 역할에 따른 주요역량에 대한 수행수준 인식에서 성과 창출 지원자 관련하여 CPF집단은 문제해결능력, HRD담당자 집단은 다양성에 대한 이해를 가장 높은 역량으로 나타났고, 프로세스 관리자의 경우 각각 프로세스 계획 수립과 관계형성능력을 수행수준 인식이 가장 높은 역량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전문퍼실리테이터들과 국내 기업의 HRD담당자들이 조직 내 퍼실리테이터로서의 역할과 주요역량을 규명하고, 향후 전문퍼실리테이터로서 성공적 역할 수행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Korean existing Certified Professional Facilitator(CPF) and HRD professional of companies with implications for their successful role performance as a facilitator by analyzing differences in their recognition about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s of a major role and required competencies as a small group facilitator.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20 Certified Professional Facilitators of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 and 124 HRD practitioners working in domestic businesse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recognition about importance of facilitator's major role showed that CPF group put the greatest importance on process manager, while HRD professional group did so on communicator. Also the analysis of recognition of performance levels about small group facilitator's major role revealed that in case of CPF group, they thought of meeting facilitator as major role in which they showed the highest performance levels. On the other hand, HRD professional group chose communicator as the major role in which their highest performance levels were shown. Second, in recognition about importance of required competencies for small group facilitator, about communicator role, CPF group thought that question skill is the most important competency, and HRD professional group chose active listening. When it comes to process manager role, CPF group recognized planning process, while HRD professional group considered relationship-making ability as the most important competency. Third, the analysis of recognition about performance levels regarding required competencies of small group facilitator, about the role of performance-creating supporter, CPF group responded problem-solving skill and HRD professional group responded understanding of diversity respectively as the most important competency. In the role of process manager, CPF group and HRD professional group answered respectively planning process and relationship-making ability for competency in which they showed their highest performance level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basic data for HRD professionals accomplishing their successful role performance as a facilitator and give a clear definition about major roles and required competencies of facilitators in a corporate setting.

      • KCI등재

        ‘관계융합 퍼실리테이팅’의 의미 탐색을 위한 해석학적 연구

        김현경(Hyun-Kyoung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

        목적 본 연구는 ‘관계융합 퍼실리테이팅’의 의미를 탐색함으로써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첫째, VUCA의 시대에 융합을 구현할 수 있는 관계기반의 본질 중심적인 퍼실리테이팅의 의미를 제시하기 위함이다. 둘째, VUCA의 시대적 변화에 보다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퍼실리테이션 또는 퍼실리테이터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언하기 위함이다. 방법 ‘관계융합 퍼실리테이팅’의 의미를 탐색하기 위하여 이론적 텍스트가 의미하는 바를 가능한 한 정확하게 해석하고자 하는 문헌 형태의 해석학적 연구방법을 취하였다. ‘퍼실리테이팅’, ‘관계’, ‘융합’의 의미를 탐색하기 위하여 각각의 해석 틀로 선정한 이론적 텍스트를 중심으로 부분과 전체를 오가는 Schleiermacher 방식의 해석학적 순환을 반복하였다. 결과 ‘관계융합 퍼실리테이팅’의 의미는 세 측면에서 중층적 의미를 드러냈다. 첫째, ‘존재론적 통합성’은 간주관적 교수행위와 간객관적 교수행위를 포괄하는 통합적인 퍼실리테이팅을 의미한다. 둘째, ‘인식론적 확장성’은 퍼실리테이팅 맥락에 대한 관계 인식을 넓히고 본래적 관계맺음을 실천하여 양립 가능한 재귀적 관계를 확장하는 것을 뜻한다. 셋째, ‘방법론적 통찰성’은 거시적 차원에서 문제상황과 관련된 이항대립구조를 해체하고, 중심과 주변에서 드러나는 다양한 의미들을 통찰하는 활동을 뜻한다. 미시적 차원에서는 해석의 다양화와 의미의 융합, 공감의 유형별 특성을 조율하는 관계론적 관점의 실천방법을 통찰하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 ‘관계융합 퍼실리테이팅’의 의미는 VUCA의 시대에 융합을 필요로 하는 실생활의 문제해결을 위해서 ‘존재론적 통합성’, ‘인식론적 확장성’, ‘방법론적 통찰성’에 관한 중층적 의미를 해석학적 순환과 지평융합(구조접속)을 통하여 삶 속에서 실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퍼실리테이션과 퍼실리테이터 교육에 각각 두 가지 측면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tried to achieve two objectives by exploring the meaning of ‘Relations-Convergence Facilitating’. First, it is to suggest the meaning of relations-based, essence-centered facilitating that can realize convergence in the era of VUCA. Second, it is to suggest implications for facilitation or facilitator education that can more appropriately respond to the changes in the times of VUCA. Methods To explore the meaning of ‘Relations-Convergence Facilitating’, the hermeneutical method in the form of literature was taken to interpret the meaning of the theoretical text as accurately as possible. To explore the meaning of ‘facilitating’, ‘relations’, and ‘convergence’, Schleiermacher’s hermeneutical cycle was repeated, centering on the theoretical text selected as each interpretation frame, going back and forth among the parts and the whole. Results The meaning of ‘Relations-Convergence Facilitating’ revealed the multilayered meaning in three aspects. First, ‘ontological integration’ means integrated facilitating that superimposes inter-subjective and inter-objective teaching behaviors. Second, ‘epistemological scalability’ means expanding compatible recursive relations by expanding awareness of relations in the facilitating context and by practicing authentic relationships. Third, ‘methodological insight’ means deconstructing the binary oppositional structure related to the problem situation at the macro level and insight into various meanings revealed in the center and the periphery. At the micro level, it means insight into the practical methods of relational perspective that coordinates the diversification of interpretation, the convergence of mean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empathy. Conclusions The meaning of ‘Relations-Convergence Facilitating’ is to solve the problems of real life that require convergence in the era of VUCA. It is to practice the meaning in life through hermetical circle and fusion of horizon(structural coupling). This study presented the implications of two aspects of the existing facilitation and facilitator education.

      • KCI등재

        퍼실리테이션(Facilitation)에 기반을 둔 뮤지컬의상 디자인 및 제작 교육

        노은영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learner-centered efficient education method based on the ‘experience of learners’ by applying facilitation techniques to the education of design and production of musical stage costumes. The research method used was a case study based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papers, books and Internet materials. The case of research was a subject related to the design and production of costumes for musical at a university in Seoul in the School of Performing Arts. The teacher participated in the course as a teacher and a facilitator and conducted a one-to-one interview with the learner after the completion of the course. The following are the research results. First, the teacher explained to the students the concept of facilitation in detail before offering classes using various kinds of facilitation tools. Second, the teacher listened to the students carefully as a facilitator and asked effective questions to tap their potential capability. Third, in general, the student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teaching method using facilitation than the existing teaching method. In screenplay analysis, the students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ir learning when they participated in a Brainstorming session and used a Rich Picture. In the process of cloth cutting and sewing, the students were very satisfied with the pair work done together with their partners. Fourth, it was found out that the teaching method using facilitation tools can increase the degree of students’ participation in the class, help the students solve a given problem through teamwork, and enhanc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of study and the level of concentration by actively acquiring the knowledge and skills necessary for problem solving. The following are the suggestions for continuou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education on design and production of musical stage costumes using facilitation. First, the student-centered teaching method based on facilitation needs relatively more teaching hours than the teacher-centered teaching method as there are more courses that require interaction among students. Thus, it is necessary for both the teacher and the students to adjust the teaching and learning load in order to finish the given volume of learning and assignments during limited class hours. Second, the teacher should promote smooth communication among the team members by offering counseling time for each team to evaluate and understand well one another during non-class times so that the team members could communicate well among them. Third, the one-to-one interviews in this study were conducted after class to hear students’ opinions in detail. However, this method does not guarantee anonymity. Thus, in-depth thoughts of students could be grasped if observation method and survey method are used together for collection of students’ opinions. Fourth, if the education using facilitation is conducted continuously in the education area related to performing arts costumes, it will be of help to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methods in related areas through accumulation of objective data necessary for confirmation of the educational use of facilitation and the scope of its appli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퍼실리테이션(Facilitation) 기법을뮤지컬의상의 디자인 및 제작 교육에 적용시켜 ‘학습자의 경험’에 기반을 둔 학습자 중심의 효율적인 교육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국내⋅외 논문, 단행본, 인터넷 자료 등을 토대로 한 사례연구로 진행하였다. 연구 사례는 서울 소재 대학교의 공연예술학부에서 진행된 뮤지컬을 위한 의상 디자인 및 제작관련 교과목으로 설정하였다. 연구자는 이 교과목의교수자이자 퍼실리테이터로 참여하고 학습과정 종료후 학습자와 1:1 면접을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자는 학습자들에게 퍼실리테이션의 개념을 자세히 설명한 후, 다양한 퍼실리테이션 도구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둘째, 교수자는 퍼실리테이터가 되어 학습자들의 의견을 경청하고 이들의 역량을 이끌어낼 수 있는 효과적인 질문을 하였다. 셋째, 학습자들은 전반적으로 기존의 수업방식보다퍼실리테이션을 적용한 수업방식에 만족하였다. 대본분석 과정에서는 브레인스토밍과 리치픽쳐를 사용하는 경우 학습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재단 및 봉제과정에서는 짝활동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넷째, 퍼실리테이션의 도구를 활용한 수업방식은 학습자들의 수업참여도를 높여주고 팀워크를 통해 주어진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고 문제해결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능동적으로 습득함으로써 학습내용에 대한이해도와 집중도를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퍼실리테이션을 적용한 뮤지컬의상 디자인 및 제작교육의 지속적인 개발과 적용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같다. 첫째, 퍼실리테이션에 기반을 둔 학습자 중심의 수업 방식은 교수자 중심의 수업 방식보다 학습자들 간의 상호 활동을 이끌어내는 과정이 많아 상대적으로많은 수업시간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교수자와 학습자들 모두 한정된 수업시간 동안 주어진 학습량과 과제를 진행하기 위해 수업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수자는 학습자들이 수업 이외의 시간을 가질 수 있게 하여, 팀 구성원들이 원활하게 의사소통하면서 적극적으로 팀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와 1:1 면접을 시행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익명성이 보장되지 않으므로관찰법을 병행하여 학습자들의 의견을 수렴한다면 좀더 심도 있는 학습자들의 생각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넷째, 공연예술의상 관련 교육 분야 및 패션디자인교육, 타 전공 교육에서 지속적으로 퍼실리테이션을적용한 교육을 진행한다면 퍼실리테이션의 교육적 활용도 및 적용 범위를 확인할 수 있고 객관적인 자료가 축적되어 관련 분야의 교육방법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 KCI우수등재

        퍼실리테이션 워크숍의 퍼실리테이터와 참여자 간 상호작용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한선미(Han, Sun-Mi),이희수(Lee, Hee-Su)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2

        퍼리실리테이션 진행자로서 퍼실리테이터는 교량적, 중립적 위치에서 역할 수행을 해야 하지만, 보이지 않는 권력이 주어진 역할 수행에 장애가 된다는 점에서 비판적 성찰을 통한 의도적 실천이 필요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퍼실리테이터 상호작용 형태라든지 대응 방식 차이에 대해서는 충분히 규명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퍼실리테이터가 목표달성을 위해 참여자와 어떤 형태의 상호작용을 하는가에 대해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퍼실리테이터 상호작용 형태는 퍼실리테이터 개입의 공적영역과 참여자의 공적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전자는 구별 짓기, 활동 통제하기, 참여자 존중하기, 역량 절충하기 등 적극적 형태로 나타났고, 후자는 참여자로부터 답 찾기, 참여자 힘 확장하기를 통해 지식을 재구성할 수 있는 소극적 형태로 나타났다. 두 가지 차원에서 나타난 상호작용 형태는 중첩된 하나의 통합 시스템으로 나타나지만, 순차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전개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두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퍼실리테이터는 퍼실리테이션 워크숍의 상호작용 형태와 특징을 다각적인 관점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둘째, 퍼실리테이터와 참여자 간에 형성된 신뢰 관계는 퍼실리테이터 개입의 공적영역과 참여자의 공적영역에서 비판적 성찰의 상호작용을 위한 주요 동인이 되었다. As a facilitation host, the facilitator has to play a role in a bridge and neutral position, but it is pointed out that intentional practice through critical reflection is necessary in that invisible power is an obstacle to the performance of a given role. Prior studies have not sufficiently identified differences in the form of interaction of facilitators and their response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forms of interaction facilitators has with participants to achieve their goals. Studies have shown that the interaction form of facilitator consisted of the public domain of facilitator intervention and the public domain of participants. The former appeared in active forms, such as distinguishing, controlling activities, respecting participants, and compromising competencies, while the latter appeared in passive forms that could reconstruct knowledge through finding answers from participants and expanding participant forces. The interaction forms in two dimensions appear as one superimposed integrated system, but we can see that they are not constructed sequentially but are deployed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actual situation. Two implications have been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facilitator needs to understand the interaction forms and features of the facilitation workshop from a multifaceted perspective. Second, the trust relationship formed between the facilitator and the participants became a major driver for the interaction of critical reflection in the public domain of the facilitator intervention and in the public domain of the participants.

      • KCI등재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공유리더십의 매개효과

        이명희(Myung-Hee Lee),정기수(Ki-Soo Jung)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

        본 연구는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팀 효과성의 관계에서 공유리더십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했고, 이를 위해 팀제를 운영하는 조직의 구성원 37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의 하위요인인 커뮤니케이션 및 참여 분위기 조성은 팀 효과성(팀 성과, 팀 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과업 및 조직화는 팀 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의 커뮤니케이션 및 참여 분위기 조성, 과업 및 조직화 모두 공유 리더십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유리더십은 팀 효과성(팀 성과, 팀 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공유리더십은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팀 효과성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이 확인됐다. 본 연구는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다른 변인들 간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퍼실리테이션 연구를 이론적으로 확장하고, 현대 조직에서 요구하는 리더와 구성원의 역할과 역량에 대한 방향을 제안하여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hared leadership between team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y and team effectiveness.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377 members in the team-operated organiz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6.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communication and creating of participation climate as a subcomponent of team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y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eam effectiveness(team performance, team commitment). Also the task and systematization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team commitment. Secondly, not only communication and creating of participation climate of team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y but also task and systematization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shared leadership. Thirdly, the shared leadership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eam effectiveness(team performance, team commitment). Lastly, the shared leade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y and team effectiveness was confirmed to have a partially mediated effec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theoretically expanded the facilitation research by fi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y and other variables as well as suggested practical implications by presenting directions for the roles and competencies of leader and member required by the modern organization.

      • KCI등재

        평생교육강사 퍼실리테이션 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연구

        최금미(Choi Keum Mi),류정희(Lyu Jeong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8

        목적 본 연구는 평생교육강사에게 필요한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구성요소를 구체화하고, 각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주제와 활동을 구성하여 인간중심 촉진 방법을 적용한 평생교육강사의 퍼실리테이션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문헌분석을 통해 평생교육강사에게 필요한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구성요인을 도출하고, 델파이 조사를 2회 실시하여 구성요인과 프로그램 회기별 주제를 확정하였다. 각 주제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효과적인 다양한 기법을 검토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결과 퍼실리테이션 역량은 효과적 커뮤니케이션, 학습활동 촉진, 창의적 사고 촉진의 3개 역량과 8개의 구성요인으로 도출되었고, 구성요인을 각 회기의 주제로 설정하여 프로그램 활동을 구성하였다. 결론 개발된 평생교육강사 퍼실리테이션 역량 강화 프로그램은 퍼실리테이션을 학습자중심 교육의 관점에서 정의하여 평생교육 강사들이 프로그램에서 접한 내용을 현장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였다. 또한 이 프로그램은 교수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평생교육강사를 양성하고, 이들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body the facilitation competency and components required for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Based on this, the purpose is to develop a program to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applying human-centered promotion methods by organizing topics and activities that can improve each capability. Methods For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the literature analysis derived the required qualification capabilities and components for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and the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wice to determine the subject of each component and program session. The program was developed by examining various techniques effective in achieving the objectives of each topic. Results As a result, the Facilitation Competency was derived from three capabilities and eight components of effective communication, learning activity promotion, and creative thinking promotion, and program activities were organized by setting the component as the theme of each session. Conclusions The developed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 facilitation competency building program defined the performance in terms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increasing the possibility that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can use what they have encountered in the program on-site. The program could also be used as a program to train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and strengthen their expertise by specifically presenting teaching meth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