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일과 삶의 관계 그리고 통일-하위문화

        이경묵(Lee, Kyungmook)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2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41 No.1

        현재 통일담론의 당위성이 약화됨으로써 삶에 밀착한 통일 담론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통일과 삶의 사이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양자의 ‘연결방식’이 변형되고 증식하는 양상을 검토하기 위해 통일-하위문화 개념을 제안하였다. 하위문화란 한 사회에서 권위적·정통적·전통적인 위상을 지닌 문화에 대해, 그 사회의 일부 집단에 한정된 위상과 의미를 지니는 부분-문화이다. 통일-하위문화는 통일(담론) 전체를 대표하지는 않지만 여전히 주류 문화와의 관계에서 하위(sub)에 놓여 있기에 일반적인 통일(담론)과 동떨어져 존재하는 것도 아니다. 이 글에서 검토할 통일-하위문화영역의 예는 북한이탈 주민, 남북한 접촉지대, 이북5도청이다. 각각의 예에서 공식적인 통일 담론과 정책에 큰 영향을 받지만 그것을 전용하여 또 다른 의미가 생산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미 존재하고 작동 중인 통일-하위문화는 정치체제 중심에 놓는 통일담론과 삶 중심 혹은 생활담론을 포함한 통일 담론을 그 내부에서 종합한다. 각각의 통일-하위문화는 통일에 대한 전제, 정의, 실현방안 등을 서로 다른 방식으로 정의하며 이에 기대어 또 다른 통일담론을 만들어낼 수 있다. As the justification of the discourse of unification is weakened, the need for a discourse of unification close to life is being raised. This article proposes the concept of unification-subculture in order to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fication and life. Unfication-subcultures do not represent the whole unification discourse as subculture has a limited status and meaning to some groups in that society. Using the concept of sub-culture I review three examples of unification-subculture: North Korean defectors, contact zones of two Koreas, and the five northern korea province. In each example, it is greatly influenced by formal unification discourse and policy, aach unification-subculture defines and realizes a scheme for unification in different ways, and provides clues to create another discourse on unification.

      • KCI등재

        청소년의 한국전통문화인식, 한국무용이미지, 문화유산보존 그리고 한국무용체험의도의 관계

        서희정,박세혁,이윤정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10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한국전통문화인식, 한국무용이미지, 문화유산보존 그리고 한국무용체험의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편의표본추출법을 통해 서울과 경기도의 중·고등학생 482명에게 자기평가기입법으로 설 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중 459부의 설문지를 SPSS 25.0과 AMOS 25.0로 자료처리를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 다. 첫째, 한국전통문화인식 중 한국전통문화관심만 한국무용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한국전 통문화교육과 한국전통문화활용능력은 한국무용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무용 이미지는 한국문화유산보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타나났다. 셋째, 한국무용이미지는 한국무용체험의도에 유 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타나났다. 마지막으로, 문화유산보존은 한국무용체험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Korean traditional culture awareness, Korean dance image,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and the intention for Korean teens to experience Korean dance. The respondents were 459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in Seoul and the Gyeonggi Provinc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off, it was discovered that only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cultur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mage of Korean dance. Also that Korean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and utilization create the overall impact on the image of Korean dance. Secondly, the image of Korean danc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reservation of Korean cultural heritage. Next, the image of Korean danc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ntention of teens to experience Korean dance. Finally,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was not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teens intention to experience Korean dance.

      • KCI등재

        통일 독일의 문화예술 정책이 통일 한국에 주는 시사점

        이미재 한독사회과학회 2015 한독사회과학논총 Vol.25 No.1

        분단 이후 한국은 북한 사회주의에 반해 자본주의 문화예술을 바탕으로 발전해 왔다. 분단국에서 벗어나지 못한 한국은 25년 전 분단을 뛰어 넘은 독일을 조사· 분석하여 모델로 삼아야 한다. 독일은 정치 외교적 화합과 주변국 도움으로 평화 통일을 이루었다. 한국은 평화통일을 이룩한 독일의 통일 경험을 토대로 해야 한 다는 점이 이 논문의 관점이다. 분단을 극복하는 길은 여러 가지 있겠으나, 동일문 화권의 두 체제는, 동질성회복을 위한 문화예술 교류가 중요하다. 한국은 분단극 복을 위한 통합과 협력의 대안모색이 필요하다. 이러한 대안으로 한국은 독일통일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문화예술분야 정책을 연구하여 한국 환경에 적합한 방안을 찾아야 한다. 한국은 정치외교, 안보, 경제발전이 중요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문화예술을 통한 동질성회복을 통해 남북이 화합할 수 있는 융합정책을 찾 아야 한다. 이러한 사례가 개성공단 조성과 북한관광지 개방이며, 이 과정을 통해 북한 주민의 생활이 향상되는 결과가 나타날 것이다. 결국 남북한 격차를 좁히는 일에 남한의 주도적 지원으로, 디오니소스적 비전이 요구된다. 또한 유엔을 통해 보다 적극적인 인권문제에 접근해야 한다. 그리하여 북한 주민 스스로 일어서게 할 방안을 연구해야 한다. 또한 탈북 주민들이 평화통일에 기여할 수 있는 접근도 모색해야 한다. 끝으로 한국은 성숙한 외교정책으로 인접 국가들의 이해와 협조를 얻어내야 한다. 독일통일의 주역을 담당했던 헬무트 콜(Helmut Kohl) 전 총리는 구동독을 “젖과 꿀이 흐르는 땅으로 만들어 준다.”고 했다. 이 약속을 25년 동안 지속적 으로 실천한 결과, 현재 구동독은 문화예술의 눈부신 발전상이 나타나고 있다. 바 로 이러한 문화예술의 발전 경험을 통일한국을 위해서는 잘 활용할 수 있어야 한 다고 생각한다. 결국 통일독일의 경험이 주는 시사점은 냉전체제에서 벗어나 한반 도 통일을 추진하고 있는 한국에 참고할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25 years ago, Germany achieved peaceful unification with the help from their neighboring countries. Since the Germany has become a role model for both South and North Korea as precedents. The following thesis asserts that both Koreas should take Germany as a model to work towards their peaceful unification: thus in the present century of 21st, which we call it as an era of globalization, both Koreas should carefully and thoroughly scrutinize and learn from the experience of Germany. cultures and Arts in South Korea have evolved along with capitalism since the Korean War unlike the North. As two Koreas share same culture, enhancing exchanges between the two Koreas through restoring culture homogeneity can be one way of over coming the divided nations. Cooperative policies in the field of cultures and Arts may even be more effective as an alternative road towards peaceful unification. The joint venture Kaeseong Industrial Complex (KIC) and Mountain Kumgang tour project are one of good examples of such an alternative policy. This was a case in which South Korea took a lead in supporting to improve their standards of living and to open North Korean tourism. Moreover South Korea should look for ways to approach North Korea's human rights issues through the United Nations (UN): in this way North Koreans can come to realization or movement on their own. At the same time South Korea should seek ways to work towards peaceful unification through making good use of defected North Koreans. Lastly, South Korea should gain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of such an alternative North Korean policy from its neighboring countries through more mature foreign policies. Helmut Kohl, a former prime minster of Germany, who took a major lead in German unification, once promised Eastern Germans blooming landscapes and a new Western-style life. Such promises have been kept for the past 25 years and is shown through the current development of cultures and Arts in former East Germany. Circumstances of South and North Korea may not be all that identical to that of East and West Germanys yet somethings can surely be studies and learned as precedents.

      • KCI등재

        분단과 통일의 문화적 기억: 기억의 공간 그리고 분단 국가의 문화적 통일

        이진 ( Jean Yhee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6 美學·藝術學硏究 Vol.47 No.-

        본 논문에서는 문화적 통일이라는 주제에 접근하기 위해서 분단 시기의 이질적 기억들이 통일 전후의 독일에서 집단적 기억으로 공식화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문화학적 기억연구의 관점에서 문화적 기억을 담지하는 세 가지 종류의 문화적 제도의 사례를 검토한다. 첫째, 독일통일과정의 기록화 프로젝트와 관련해서 정전적(正典的) 기억과는 달리 기록 기억은 이질적 기억들에 대한 더 큰 포섭 능력을 보인다는 점이 논의되었다. 둘째, 독일통일 후의 미술논쟁과 관련하여 예술의 창작뿐만 아니라 그 전시 및 관련 담론을 통해 공적인 문화적 기억으로 전화(轉化)된 기억은 그 공동체의 문화적 정체성을 형성하기에 통일 이후 동독지역의 문화적 기억에 대한 기억의 공간을 보장하는 것이 사회적인 과제로 대두하였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마지막으로 독일 마리엔펠데 긴급수용소 기념관의 전시를 중심으로, 탈동독 주민의 기억의 공간으로서의 탈주민수용소가 통독 이후 어떻게 기념되고 있는지를 냉전으로 인한 왜곡된 분단 기억을 통일 이후 어떻게 포섭해야 할 것인지의 문제의식 하에서 논의하였다. 상이한 배경을 가진 집단들 간에 또 그 집단 내의 구성원들 간에도 서로 이질적일 수 있는 분단 및 미래 통일 과정에 대한 기억들은 단지 중립적이고 기술적(記述的)이기만 한 것이 아니라, 흔히 가치 평가적이고 규범적인 성격을 지닌다. 이 상이한 가치체계들이 반영된 기억들을 포섭하고 분열적 갈등을 창조적 갈등으로 승화시킬 기억의 공간으로서의 문화적 제도들이 우리 사회에 존재하는지, 그렇지 않다면 그를 어떻게 마련해야 할지가 문화적 통일이라는 대명제를 통해 던져지는 질문이다. Social and cultural institutions and rituals influence the political itinerary of both divided and unified nations significantly, especially when the presumed future images of the reunified nations have been projected from the collective memories of the past. Considering possible critical consequences of such a development, this paper looks into dynamic mechanisms of the cultural memories of the divided past during the Cold War in reunified Germany to examine the following question: How are the conflicting, diverse memories of the past between citizens of divided nation-states during the Cold-War eras to be preserved or dealt with, especially when the normative and restorative voice to achieve a ‘re’-unified nation often leads to a failure in seeing this diversity? German Reunification), Art (the German Image Dispute or der Deutsche Bilderstreit), and History Memorials (the Refugee Center Museum in Berlin-Marienfelde). Each of these cultural institutions offers different possibilities to maintain the diversity of the cultural memories of the past, which is enabled by and strengthens the continuing development of value-pluralistic democracy in postwar Germany. It is argued that the approaches of Cultural Memory Studies on the collective past memories could contribute to the reconciliation and tolerance-building process in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

        한반도 통일 상황의 이해를 위한 문화인류학적 고찰

        김광건 한국선교신학회 2015 선교신학 Vol.38 No.-

        기독교 선교의 차원에서 외면할 수 없는 가능성으로서의 한반도 통일에 대한 준비는 매우 중요하다. 특히 한국 통일 상황을 이해하고 상황화하기 위하여 문화인류학적인 시각에서 선교적으로 접근하는 것은 유용한 방법이 될 것이다. 본고는 이를 위하여 경계(境界) 이론을 소개하고, 이것에 의하여 통일의 역사적 사례인 독일 통일을 간단히 살펴보고, 나아가서 한국 통일 상황을 단계별로 알아보고자 한다. 여기서의 경계이론은 정치적인 내용을 배제하고 문화인류학적 견지에 서 경계의 발생과 소멸, 그리고 재형성 등을 고찰하기 위해 활용되었다. 이러한 경계론의 선이해를 위하여 범주와 분류 등의 인문학적인 이해에 근거하여 남북한 간의 경계 유지 상황을 각각의 고상황적 문화 (high-context culture)들의 범주화 및 대립의 상황으로 이해한다. 경계이론은 남북한 통일 상황을 문화적으로 초기 단순화하여 이해하기 위한 일종의 토대적 틀로서 경계는 장벽이자 동시에 번역과 소통 등의 상황화의 장이라는 전제를 도입하였다. 그리고 이 경계는 역동적인 것으로서 경계 유지, 즉 경계화, 그리고 탈경계화, 그 다음에는 새로운 경계의 설정 등으로 변이하는 것이다. 독일 통일도 이와 같은 과정을 겪었음을 자료들을 인용하여 간략히 설명하였는데, 초기 통일 직후의 탈경계의 단계에서는 환희와 흥분의 단계였지만 혼돈과 갈등의 발생하면서 신경계의 단계로 이동하게 됨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최근 통일 완성의 단계에서는 새로운 통합의 긍정 적인 결과를 보여주고 있었다. 또한 동서독 간의 경계 상에 있는 Kella라 는 마을의 문화기술적인 연구 사례를 참조하여 장차 한국 통일 상황에 대한 단서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한반도 통일 상황에 대한 단계별 예측을 다음과 같이 시도하였다. 1) 구경계화 단계: 통일 전 단계로서 남북한 간의 여러 차원에서의 뚜렷한 경계화의 상태이다. 2) 탈경계화 단계: 한국 통일의 개시적 단계로서 기존의 여러 경계들, 특히 본고에서는 기존의 문화적 경계들의 붕괴가 발생하는 단계로 보았다. 3) 초기 통합 단계: 어느 정도의 물리적 통합으로 한국 통일이 진전되는 단계이다. 4) 신경계화 단계: 새로운 문화적 경계의 형성이 통일 한국 내부에서 발생하게 되는 단계이다. 그리고 5) 후기 통합 단계: 이것은 물리적 경계만이 아닌 문화적이고 심리적인 경계도 해소되어 다차원적인 통합이 완료되는 단계이다. 본고는 이렇게 단계별로 한국 통일 상황을 예측하고, 그에 따라 한국교회의 다양한 선교적 헌신과 기여를 기대한다. This article is for the basic understanding of the situation of the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r as the one of the highly possible historical events. It must be so significant for Korean Christianity to comprehend and prepare for that future in the dimension of the cultural-anthropology as well as missiology. The theory of boundary, which is regarded as the effective tool to approach to the unification situation by the cultural-anthropological insights, is briefly introduced, and, moreover, the theory of categorization and sets, etc. are mentioned to explain the concepts of boundary. The unification process initiates by the demolition of a certain boundary between two sets, that is, the stage of out-of-boundary. In other words, the unification typically experiences the maintenance of boundary, out-of-boundary, and the establishment of new boundaries. In order to clarify this phenomena, the case of German unification was explained according to such transition of cultural boundaries. Even though, in the beginning stage of German unification, there have been various negative conflicts and chaos, more positive unification has been accomplished. In addition, Kella, the small German town in the boundary between the East and West Germany, has been simply refered as an ethnographic example of unification. And the situation of Korean unification is tried to be divided into 5 stages by cultural boundary perspectives: 1) the stage of old boundary, 2) the stage of out-of-boundary, 3) the stage of early unification, 4) the stage of new boundary, and 5) the stage of final unification. Consequently, this article tried to investigate the missiological implications on the Korean unification according to the above cultural-anthropological insights

      • KCI등재

        일제 강점기 통신교육의 미디어 실천과 문화적 배치

        윤상길(Sangkil Yoon)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7 언론정보연구 Vol.54 No.1

        이 글은 통신교육이 시작되었던 일제 강점기를 중심으로 한국에서 이뤄졌던 통신교육의 흔적을 살펴봄으로써, 현재의 통신교육 미디어 실천을 이해하는 ‘마중물’을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새로운 것’과 ‘오래된 것’을 평행선상에서 사고함으로써 ‘현재를 진단하는 학문 분야’로 정립되고 있는 미디어 고고학(media archaeology)의 방법을 채용하고자 한다. 그러나 미디어 문화를 ‘침전되고(sedimented)’ ‘겹겹히 쌓인(layed)’ 시간과 물질성의 주름(fold)으로 이해하고 있는 미디어 고고학의 시각이 서구 중심의 시각을 일반화시키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이 글은 미디어 고고학과 역사학을 결합시키는 연구 전략을 취하였다. 이러한 역사학과 계보학의 조합으로서의 ‘이중의 역사화’ 전략에 따른 본고의 연구 작업은 통신강의록의 물질성과 통신강의록이 근거하고 있는 문자와 인쇄 테크놀로지의 물질성에 닻을 내리고 있는 작은 주기와 교육 실천(교육/학습적 실천)이 각인되는 역사적 국면에 존재하는 작은 주기 사이의 상호작용에 주목하는 기획이라 할 수 있으며, 특히 ‘교육의 자동화’라는 맥락 속에서 이뤄지는 통신교육 미디어 실천이 근대 한국의 교육 제도들과 아비투스의 역사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는 문화적 배치와 양식들과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었는지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식민지 조선의 통신교육은 식민지 조선의 식민지 교육 체계와 그로부터 촉발되어 형성된 입신출세주의의 아비투스, 그리고 비균질적이고 폐색된 문자 사회라는 역사적 국면 속에서 등장하였다. 때문에, 키틀러적인 의미에서 ‘1800년식 기록 체계’를 근거로 하여 작동했던 보편사로서의 초기 근대 통신교육과 교육 자동화는 1900년대 식민지 조선이라는 시공간 속에서 수많은 균열과 파열을 만들어내었다. 우선 1920년대 이후 조선통신중학관의 <(조선)중학강의록>과 각종 일본어 기반의 통신강의록은 식민지 교육 제도와 조선 청년의 아비투스와 밀접히 결합되어 있었기 때문에, 당대의 통신교육 미디어 실천에서는 ‘국권 상실의 시대에 입신출세의 길이 차단된 식민지 현실 상황’에서 수양(修養)을 통해 입신출세의 꿈을 실현하고자 하였던 당대 일상인의 모순적 인식이 투영되었다. 한편, <중학강의록>의 문자성과 물질성에 주목하여 <중학강의록>에 내포되어 있는 ‘교육자동화’의 미디어 실천적 가능성을 검토해 본 결과, 비균질적이고 폐색된 식민지문자 사회의 문화적 배치 양상 속에서 국한문 혼용체로 쓰여진 <중학강의록>에서는 오히려 선명하게 인쇄된 활자의 물질성을 도드라짐으로써 읽기의 자동화가 방해되는 양상이 나타났다. 더 나아가, ‘교육의 자동화’라는 맥락 속에서 이뤄진 통신교육 미디어 실천은 식민지 조선의 식민적 교육 제도와 아비투스의 역사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는 ‘다언어 다문자 상황’라는 문화적 배치 속에서 조선인들 간의 연대에 기여하기보다는, ‘고독한 학습’이라는 미디어 실천적 측면이나 이질적인 언어 상황이 종족적 연대를 차단하는 장애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종합해 볼 때, 식민지 교육 체계와 그로부터 촉발되어 형성된 입신출세주의의 아비투스, 그리고 비균질적이고 폐색된 문자 사회라는 식민지 조선의 문화적 배치 양상은 통신강의록의 물질성과 통신강의록이 근거하고 있는 문자와 인쇄 테크놀로지의 물질성에 닻을 내리고 있는 작은 주기와 상호작용함으로써, 읽기와 쓰기의 자동화가 상호 결합된 1800년식 기록 체계를 근간으로 한 ‘교육 자동화’의 보편사적인 미디어 실천은 식민지 조선에서 파열적인 양상으로 전개되어, ‘학습자의 자기주도성’과는 거리가 먼 방식으로 발현되었다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is a media-archaeological exploration on education automation of Korea, examining media practices and cultural dispositions of distance education in Korea of Japanese colonial era. Distance education in Korea of Japanese colonial era appeared in a historical context of colonial education system, habitus of careerism, and ‘society based on literacy blocked heterometrically’. Therefore, distance education and education automation of modern Korea as universal history based on ‘Aufschreibesysteme 1800’ in Kitter’s sense made many fractures and ruptures in colonial Korea. Firstly, desire of careerism was reflected in the media practices of distance education in colonial Korea, like showing case analysis of student of Chosun Correspondence School. Secondly, students of Chosun Correspondence School was hindered in automatical reading, like showing case analysis on materialities of lecture notes which was written in a Korean and Chinese mixed up style. Finally, media practices of ‘lonely learning’ and habitus of careerism in colonial Korea was an obstacle to ethnic solidarity between Korean people. To sum it up, as cultural dispositions of colonial Korea in the shape of colonial education system, habitus of careerism, and ‘society based on literacy blocked heterometrically’ have interacted with the ‘short cycle’ based on materialities of lecture notes and materialities of writing technology and printing technology, distance education and education automation based on ‘Aufschreibesysteme 1800’ in Kitter’s sense came into action in modality of rupture in colonial Korea, being far from self-paced individualized instruction.

      • KCI등재

        다문화 사회 속에서 한국교회의 디아코니아 역할에 관한 연구

        김옥순 한국실천신학회 2014 신학과 실천 Vol.0 No.41

        21세기 지구화 시대에 인류는 인구이동과 그에 상응하는 상호간 문화교류 속에 살아가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로 인 해 많은 이주민들이 한국사회에 살고 있다. 그동안 우리 한국인은 단일민족의 동일한 문화를 공유하는 것이 보장되는 것 처럼 생각해왔다. 이러한 근본적인 컨셉은 더 이상 현실적이지 않다. 왜냐하면 우리는 이제 다양한 문화와 종교를 가진 이 주자들과 함께 살아가야하며, 그들의 문화가 우리문화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그래서 다문화사회에서는 다양한 문 제들이 발생한다. 한편으로 본토인들은 그들의 전통적인 정체성을 잃을까 염려하며, 이주자들은 그 사회에서 기본권리를 침해당하는 것에 불평한다.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우리는 점점 더 증가하는 이러한 문제들에 직면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 는 다문화 사회 속에서 그들과 함께 평화롭게 살수 있는 새로운 접근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한국의 신앙인과 교회들은 우리사회에서 함께 평화롭게 살수 있도록 서로 다른 문화를 가진 이주자들에 대해 변화된 새로운 인식을 발전시 켜가야 한다. 나아가 신앙인은 사회구성원 모두가 통합하는 공동체를 발전시켜야 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다문화 사회 속에서 한국교회와 신앙인이 디아코니아활동을 통해 긍정적인 역할을 함으로써 한국사회 에 기여할 수 있는 삶의 양식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물론 성서에 나타난 다문화 사회와 오늘날 사회 와는 차이가 있겠으나, 성서에 나타난 다문화 사회 경험으로부터 출발한다. 우리는 신앙인이기에 성서의 이러한 경험으로 부터 다문화 사회의 근본적인 잣대를 얻을 수 있다. 이는 결코 신앙인들이 맹목적으로 종교적인 관점에 고착된 이데올로 기를 형성하려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긍정적인 신앙의 토대를 상실하지 않은 채 관점을 변화시켜 오늘날 신앙인의 정체 성을 지키기 위함이다. 따라서 오늘날 한국교회들은 다문화 사회 속에서 증가하는 문제들에 대해 신앙의 정체성을 가지고 해결하도록 노력을 기 울여야 한다. 이를 위한 하나의 근본적인 해결책은 이주자들이 한국사회에 통합하도록 시도하는 일임에 분명하다. 물론 가장 궁극적인 해결책이 아닐 수 있지만, 이러한 통합정책은 이미 선진산업국가 다문화사회에서 경험한 해결책이다. 우리 나라도 외국인주민 정책이 통합정책으로 나가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신앙인과 교회의 디아코니아활동은 통합정책 틀 안에서 이주자들에게 사회에서 통합할 수 있게 도와야 한다. 이를 위해 인적 물적 자원으로 외국인주민을 지원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교회와 신앙인은 성서에 나타난 디아코니아원리인 하나님사랑과 정의를 가지고 그들을 돌봐야 한다. 이러한 신앙적 디아코니아 돌봄이 연대성과 상호작용에 의한 돌봄으로 함께 행복한 다문화사회를 가능하게 만들어 줄 수 있다. 이처럼 한국교회는 디아코니아 활동을 통해 다문화사회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것이 바로 다문화 사회에 기여하는 한국교회의 새로운 삶의 양식을 제시해 주는 것이다. 따라서 한국교회들과 신앙인은 디아코니아활동을 통해 모 든 사회구성원들을 통합시키는 공동체를 발전시켜 가야 할 것이다. At the beginning of the 3rd millenium mankind lives in a state of globalization caused by a worldwide migration and its consequent mutual exchange of cultures. Caused by these epochal changes many non-Korean people immigrants live in the Korean society. For a long time Koreans assumed it for granted that they were a uniform people sharing an identical culture. This fundamental conception is not realistic any longer because Koreans are now obliged to live together with immigrants whose variety of cultures and religions exert their influence on our Korean culture. Therefore, at any rate the multi-cultural society causes a variety of problems in the world. On the one hand native inhabitants are worried about losing their traditional identity, on the other hand migrants complain that they are deprived of fundamental rights. Today the society of South Korea is increasingly confronted with these problems. Therefore Koreans need a new approach that enables them to live together peacefully in multi-cultural society. In this situation the Korean Christian and Churches are particularly challenged to develop a new model of understanding for migrants shaped by different cultures that enables us to live peacefully together in our society. Furthermore the Korean Christian should develop a community that integrates all members of society. Consequently this article aims at furthering a new approach that enables the churches to play a positive role in this new multi-cultural society with the help of their diaconical work, so that the Christian believes can help to provide in a convincing way of the life for the Korean society. In order to achieve this aim this article is based on the experience of multi-cultural society described in the Old and New Testament. Of course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a multi- cultural society as found in the Bible and our contemporary society. In spite of these differences we, an faithful christians, can receive a fundamental standard from the Biblical experience. Nevertheless this cannot mean that christians are blindly set on an ideology based on fixed religious views, but it rather enables them to achieve an identity for modern christians through exchange of views without losing basic christian positives. A fundamental solution would certainly try to integrate the migrants into the Korean society, a solution with which certain highly industrialized countries have a lot of experience, although it has not proved as a final solution. The Korean state is oriented toward a policy of Integration for migrants. Using the means of their diaconical work the christian churches can do a lot to integrate migrants within the framework of the Korean policy of integration. The churches can support these efforts with the migrants with their personal and material resources. Most of all the christians can help with their diaconical principle of God's love and justice that is revealed in the Bible. Help of this kind can make possible a multi-cultural society, I.e. a society based on solidarity and mutual influence. In this way they can play a positive role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This might create a new model of life serving the multi- cultural society. Therefore, with their diaconal work, the christian believers and the Korean Churches should develop a community that integrates all members of society.

      • KCI등재

        청소년의 통일 · 인성교육을 위한 전통문화와 茶文化 적용의 탐색

        곽미숙(Mi-Sook Kwag),주영애(Young-Ae Ju)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6

        70여년 남북 분단은 기성세대에서 발생하였지만, 통일은 지금의 청소년 세대가 담당하게 된다. 따라서 통일시대의 주도적 주역세력으로서의 청소년이 자기의 시대적 소임을 성실하고 책임성 있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이성적인 정치․경제 이론의 학습과 연구뿐만 아니라 기본적인 인성의 훈련도 필요하다. 이는 분단으로 인한 정서적 이질감과 반목을 극복할 수 있는 내적인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사회통합과 통일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완화하고 조절하며 타협할 수 있는 인성교육은 공감이 용이하며 가치 지향적이어야 한다. 남북한 공동의 역사를 바탕으로 한 전통문화는 한 민족의 정체성과 언어의 유사성을 토대로 공감이 용이하므로 통일 · 인성교육에 있어서 구심점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고에서는 통일과 사회 · 문화적 통합을 지향하는 인성교육에서 전통문화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전통문화의 구체화 된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되고 있는 차문화를 청소년의 통일 · 인성교육을 위해 적용 가능한 콘텐츠로서 제안하고자 한다. The division of the South and North of 70 years has occurred in the old generation, but the reunification is now handled by the youth gener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rain basic human nature as well as learning and research of rational political and economic theory in order for young adolescents as leaders in the unification era to carry out their own duties faithfully and responsibly. In this paper, I rediscover the value of traditional culture in the human nature education that aims for reunification, social and cultural integration, and propose tea culture as contents that can be applied to reunification and the human nature education of youth as reunification culture contents as a concrete program of traditional culture do.

      • 독일 통일 후 동독문화의 변천과정을 통한 지속가능한 남북사회문화공동체 형성의 방향 고찰

        이혜주(Hyejoo Lee),서리인(Lyun Suh) 지속가능과학회 2014 지속가능연구 Vol.5 No.1

        오늘날 독일의 경제적 발전은 동·서독의 체제통합뿐 아니라 사회·문화통합을 통해 창조적 경제발전을 이룩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기서 통일 후 독일 사회에 역동적 문화를 부여한 것은 서독문화가 아닌 동독의 문화변동에 의한 결과라는 연구가 제기되고 있다. 즉 서독주도형 정책에 의해 파괴된 동독문화, 동독문화의 부활과 동·서 이질적 문화의 병존, 생산적 혼합, 그리고 새로운 아방가르드 문화 혁신 등의 일련의 진화과정을 통해 동독문화가 오늘날 주류문화로 부상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독의 문화변동 과정에 대해 크게 3단계로 분류, 체계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사회문화공동체 형성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그 결과 동독의 문화변동 과정은 이질적 문화의 공존, 생산적 융합, 새로운 ‘제 3의 고유한 문화’ 등 아방가르드 문화 창출 그리고 문화적 역동성의 전체사회로의 영향 등으로 진화되었고 이러한 무형적 자산은 독일의 새로운 문화경제 창출에 기여하는 원천이 되었다. 이렇듯 통일독일의 이질적 문화의 창조적 진화과정의 사례는 그동안 남한중심의 동질화에 치우쳤던 우리나라의 남북사회·문화통합 정책을 위한 교훈으로 작용할 것이라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on the sustainable integration of the inter Korean socio-cultural community from the lessons of the cultural changes in Unified Germany. The Unification exposed several glaring religious, linguistic, social and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and among the inhabitants from the East and West Germany in new nation.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analysis of the three steps in terms of the cultural changes of the East Germany after the reunification of Germany. The first step means the period of the collapse of the culture of East Germany dew to the execution through the West German centered policy. The second step means the period of the cultural restoration and renaissance of the East Germany and the last step, the dynamic cultural changes effect on the whole society of the Unified Germany as well as on the cultural area. The main three steps of the evolution are, coexistence of two different cultures of East and the West, productive convergence, and the innavative creation of "the 3rd cultural revolution" as avangard culture and help for the development for the new society and to assist the cultural economic value. This case shows how to overcome the heterogeneous cultural conflicts into create intangible assets for the new cultural economics and suggests how to create a growth engine through the integration of the inter Korean socio-cultural community.

      • KCI등재

        다문화가족의 의사소통 강화를 위한 다문화가족지원조례 개정 방안 -다문화가족지원법, 경기도와 충청북도, 안산시와 충주시 비교를 중심으로-

        민기채(Kichae Min),고대영(Daeyoung Ko),김은수(Eunsu Kim),이효은(Hyoeun Lee),박은경(Eungyeong Park),박종범(Jongbeom Park),주희지(Heeji Joo)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20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35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족 관련 상위 법률, 광역단체 조례 및 기초단체 조례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다문화가족의 의사소통 강화를 위한 조례 개정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상위 법률인 다문화가족지원법에 기초하여, 경기도와 충청북도, 안산시와 충주시의 조례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문화가족지원법을 기초로 하여, 경기도, 충청북도, 안산시 지원조례는 다문화가족 의사소통 욕구를 해결하기 위한 조항들이 상대적으로 상세하게 규정되어 있는 반면, 충주시 지원조례는 부재한 조항이 많고, 명시된 조항조차도 구체성이 부족하고 모호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충주시다문화가족지원조례에서 다문화가족을 위한 통·번역서비스 조항 신설, 통·번역 인력 양성 조항 신설, 다국어 서비스 지원 조항 신설, 한국어 교육 지원 사업을 실시하기 위한 접근성 조항 강화, 다문화 이해 교육 인력 양성 조항 신설, 이중언어교육 신설이라는 구체적인 조항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문화가족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조례 제정 노력이 전국적 범위에서 확산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amendment to the ordinance to strengthen communication among multicultural families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with the upper laws related to multicultural families, the ordinances of regional organizations, and the ordinances of basic organizations. To this end,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ordinances of Gyeonggi-do, Chungcheongbuk-do, Ansan-si and Chungju-si, based on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ct, which is a higher law.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ased on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ct, Gyeonggi-do, Chungcheongbuk-do, and Ansan-si support ordinances have detailed provisions to address the need for communication for multicultural families, while the Chungju support ordinance has many absent provisions and even the specified provisions. It was lacking in concreteness and vagu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new provisions for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services for multicultural families, new provisions for training interpreter and translation personnel, new provisions for multilingual service support, reinforced provisions for accessibility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support projects, new provisions for fostering human resources for multicultural understanding, and bilingual education A specific provision called new establishment was presented.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efforts to enact ordinances to improve communication with multicultural families will spread across the coun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