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주 소로리볍씨’의 오늘과 내일 -소로분교를 박물관으로-

        이융조,우종윤 한국박물관학회 2020 博物館學報 Vol.- No.38

        Rice, the first food that mankind has cultivated, is the world's second-largest food along with wheat, and is a grain that more than half of the world's population eat as a staple food. The rice seed that is able to reveal the origin of the first domesticated rice was unearthed from the Sorori peat site of Cheongju City. Four peat layers of rice seed were found to be very stable in the area, which was excavated from two peat beds. Cross-measurement of rice seeds and peat layers in the U.S. and Republic of Korea has shown that they are the oldest in the world so far, earning the age standard of 17,000 years ago. Thus, we would like to call Cheongju Sorori rice seed as the ancestral rice. Meanwhile, from the 4th edition of Archaeology(2004) to the 7th edition (2016)by C.RENFREW and P. BAHN, which is widely read in the world as an archaeological textbook, Cheongju Sorori rice seed is being introduced as the oldest ‘first domesticated rice’ in the world, proving that it is recognized by the world's academic circles. The symbolic symbol of Cheongju, a life and cultural city, is the result of the recognition of the academic importance of rice seed, even though the symbol of Cheongju, Cheongju's Symbol mark, is a CI based on the cultural archetype. Therefore, the value of utilization of Cheongju Sorori rice seed is highly estimated as a future source of Cheongju, a life and cultural city, such as ecological and historical experience resources, educational resources, cultural and industrial resources, tourism resources, and location marketing resources. Sorori, where rice seeds were excavated, is the best place to experience rice seeds and education. It is rational argument to utilize the closed Soro Branch of Oksan Elementary School as the Cheongju Sorori Rice Museum. 인류가 가장 먼저 가꾼 먹거리인 쌀은 밀과 함께 세계인의 2대 먹거리이며, 전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이 주식으로 먹고 있는 곡물이다. 이러한 쌀의 기원을 밝힐 수 있는 볍씨가 소로리유적에서 출토된 청주 소로리볍씨이다. 볍씨 출토지 일대는 4매의 토탄층이 매우 안정된 퇴적양상을 보이는데, 볍씨는 2토탄층에서 출토되었다. 볍씨와 토탄층을 미국과 한국에서 교차측정한 결과 17,000년 전의 연대값을 얻어 지금까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볍씨임이 밝혀졌다. 그래서 청주 소로리볍씨를 “원조벼”로 부르고자 한다. 한편 고고학 교재로 세계에서 널리 읽히고 있는 Archaeology 제4판(2004년)부터 현재 7판(2016년)까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첫 순화벼(first domesticated rice)”로 청주 소로리볍씨가 소개되고 있어 세계학계에서 인정받고 있음을 증명한다. 청주시 심벌마크가 소로리볍씨를 문화원형으로 한 CI로 생명문화도시 청주의 상징기호로 정했음도 볍씨의 학술적 중요성이 인정된 결과물이다. 따라서 청주 소로리볍씨는 생태 및 역사체험자원, 교육자원, 문화산업자원, 관광자원, 장소 마케팅자원 등 생명문화도시 청주의 매래 자원으로 활용가치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볍씨 체험과 교육공간으로 볍씨가 출토된 소로리가 최적지이다. 이곳의 폐교된 옥산초등학교 소로분교를 청주 소로리볍씨 박물관으로 활용함이 타당한 주장이다.

      • KCI등재
      • 정족산 무제치 늪의 성인과 자연환경

        최기룡 한국제4기학회 1998 제사기학회지 Vol.12 No.1

        한반도는 산악지형이 우세하기 때문에 늪지나 호수의 발달이 불량하다. 현재 소규모 의 자연늪지는 낙동가 하류지역에 분포하며 동해안을 따라 일부 해안지역에 발달하여 있을 뿐이다. 고산지역에도 소규모의 늪지가 최근에 발견되었는데 그중에서도 무제치늪이 국내의 가장 남동쪽에 위치하고 있다. 정족산 정상부를 향하여 4개의 늪지가 차례대로 발달하여있 는데 이들의 성인은 온도차이에 의한 기계적풍화와 암석 차이에 의한 화학적 풍화적작용의 결과로 해석된다, 이들의 형성시기는 제 2늪의 습원퇴적이 가장 오래되 지층으로서 100~ 105cm 심도에서 탄소동위원소 연대측정으로 5,960$\pm$110yr BP. 의결과를 보이고 있드며 제 1늪의 습원 퇴적은 지표로부터 64~69cm 심도의 토탄층 최하부 부분에서 1,785$\pm$120yr BP. 의 연대측정 결과를 확인하였다.

      • KCI등재

        청원 소로리 토탄층에서 고대 볍씨와 함께 출토된 뿌리잎벌레류의 화석

        남상찬,이성균,안승락,이융조,조수원,Nam, Sang-Chan,Lee, Seong-Kyun,An, Seung-Lak,Lee, Yung-Jo,Cho, Soo-Won 한국응용곤충학회 2008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7 No.4

        청주 근교 청원군 소로리의 토탄층에서 고대 볍씨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던 중 다른 여러가지 유기물들과 함께 곤충의 파편으로 보이는 조각들이 함께 출토되었다. 비록 완전한 개체의 형태는 아니지만 딱정벌레의 외골격은 두껍고 단단해 지금까지 보존되어온 것으로 보인다. 그 중 일부는 종 수준까지의 동정도 가능하였는데, 앞날개의 형태 등을 기준으로 현세종과 비교 분석한 결과, Plateumaris sericea 및 Donacia flemola와 동일 또는 매우 근연한 종으로 동정되었다. 이들은 딱정벌레목(Coleoptera), 잎벌레과(Chrysomelidae), 뿌리잎벌레아과(Donaciinae)에 속하는 종류로, 습지식물인 사초과나 벼과 식물을 주로 가해하며, 유충기에는 물 속 뿌리부분을 가해하면서 수서생활을 한다. 그들의 상세한 생태적 정보를 바탕으로 할 때, 이러한 증거는 당시의 소로리 환경이 습지였음을 분명하게 증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고대 볍씨의 연구에 있어서 이들 곤충화석의 증거는 소로리의 당시 환경이 벼등 습지식물이 자라기 좋은 환경이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During the excavation to find ancient rice seeds from the peat layer (12,500-14,800 bp based on 14 dating samples) of Soro-ri, Cheongwon-gun near Cheongju city, we found not only old rice seeds, but also other organic materials including insect fossil skeletons. Although no complete specimen was found in this study, some body parts were diagnotic enough for identifying species. Among the identified insect fossils, two species were successfully identified based on their characteristic forewing morphologies, e.g., cross-ridges on forewing. The two identified species, Plateumaris sericea and Donacia flemola or near, belong to Donaciinae in Chrysomelidae, and their larvae are known to feed on the root of wetland plants, mainly in Poaceae or Cyperaceae. Such finding proved that a wetland environment was maintained in Soro-ri at that time, and was suitable for such insects to survive. Therefore, evidence from the fossilized rice seeds, together with these insect fossils, clearly proved that the environment at that time was suitable for rice, a common Poaceae species, growing.

      • KCI등재

        우리나라 청동기시대의 생업경제 : 경기도를 중심으로 한 시론

        신숙정 한국상고사학회 2001 한국상고사학보 Vol.35 No.-

        이 글은 우리나라 신석기 시대 후기와 청동기시대 이른 시기의 연속성을 경기도 지방 생업경제의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현재까지 나타난 자료에 의하면 청동기시대의 생업경제는 신석기시대 이래의 사냥·채집·물고기잡이가 항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가운데 농경을 하는 정주취락이 형성되었다고 여겨진다. 간석기와 무문토기의 조합은 이러한 배경으로부터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벼농사짓기는 신석기시대인 BC 3,000~2,500년 경 일산-김포 지역의 토탄층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다가 점차 계곡의 谷間, 谷口 저습지를 사용하고 마침내 수전이 출현한 것으로 여겨진다. 당시의 농작물로는 흔암리에서 쌀·보리·조·수수 등이 나오며 전국적으로는 밀·기장·참깨·들깨·삼·콩·팥 등이 나와 오늘날 주로 먹는 곡식류가 청동기시대에 거의 다 길러진 것으로 나타난다. 수전이란 당대 기술의 총화이자 농경문화의 완성단계를 보여주는만큼 그 어떤 자료의 출현보다도 의의가 크다. 이러한 수전체계와, 수전체계를 채택하여 완성된 청동기시대의 농경문화 성립체계를 도식화해보았다.

      • KCI등재

        김포지역 벼농사 개시에 관한 식물고고학적 검토

        김민구,김영준,김우락 (사)한국문화유산협회 2019 야외고고학 Vol.0 No.35

        Gimpo is located on the hypothetical diffusion route of rice from the Yangtze River basin to the Korean Peninsula, and was claimed to contain the earliest rice cultivation site in Korea. We found waterlogged rice husks from Tae-ri, Gimpo, but the remains were dated to ca. AD 500, well after the beginning of rice agriculture on the peninsula. The lowest sediment that retained Oryza -type pollen in Tae-ri was not earlier than 800 BC. We found no botanical evidence that could possibly validate the claim that people in this region cultivated rice as early as 2000 BC. The SPD (summed probability distribution) of 282 AMS dates shows that there was a drastic population decrease in the Neolithic communities of the peninsular inland region after 2000 BC. Rice cultivation, if it was indeed practiced by the people of the coastal areas, is very unlikely to have spread eastward. Bronze Age settlements and dolmens distributed across Gimpo suggest that a full-scale transition to rice farming occurred with the immigration of Mumun people. 중국 양자강 유역에서 시작되어 한반도로 유입된 벼농사의 확산경로상, 김포지역은 한반도 내에서도 이른 시기의 벼농사 증거가 발견될 가능성이 높은 지역으로 거론된 바 있다. 김포시 고촌읍 태리 유적의 토탄층에서 벼 껍질이 다량 출현하여 벼농사가행해졌음을 나타내는 직접적인 증거가 된다. 하지만 발견된 식물유체의 연대는 삼국시대이다. 퇴적물에서 벼속(Oryza)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화분이 발견되었는데, 퇴적물의 AMS연대 측정값은 청동기시대에 해당하는 800 BC 전후이다. 김포시 통진읍가현리에서 신석기시대 탄화미가 발견되었다는 주장이 있었지만 식물유체 분석을 담당한 스즈키 미츠오(鈴木三男)는 벼의 증거가 없었음을 확인한 바 있다. 김포지역에는 청동기시대 취락과 지석묘가 분포하며, 벼농사 시작은 청동기시대 전기까지 올라갈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벼농사 개시가 이 시점을 상회함을 나타내는 자료는 극히 빈약하다. 2000 BC경 경기 내륙지역에는 인구공동화(人口空洞化) 현상이 있었으며, 해안지역으로 중국 벼농사 문화가 전파되었어도 내륙까지의 파급 가능성은 높지 않았다.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