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고유적 활용 방안 연구

        신희권 (사)한국문화유산협회 2014 야외고고학 Vol.0 No.19

        The growth of public interest in heritage, in recent years, has positioned the use andpromotion of it as an essential part of heritage management in Korea. The past attitudetoward heritage to view as ‘a barrier of national development’, had made an argument forthe conservation of heritage being defeated when it competes with that of economic benefit. However such attitude is no longer prevailing since the heritage has been recognised as an‘valuable asset to conserve and tool to benefit the public’ in recent years. Archaeological heritage contains an extensive range of values in promoting heritageas an useful tool in educating young generation and raising social inclusiveness. Theattitude of managers and heritage professionals toward archaeological sites should bechanged to the one to reading public need and meeting it by opening archaeological sitesto the public so that they could access to the sites where the excavation is on process andunderstand its significance. The restoration of the site above the ground or construction ofon-site museum can be another way of meeting changing need of the public. Such attitudewould help not only in re-establishing local identity and encouraging tourism but also inenhancing archaeological value of it. However it should be stressed that the use of the site is not an ideal answer forall cases. Any use to change its original form and neglect the significance of it shouldbe restricted. Since the use of archaeological sites can be facilitated by the scientificexamination and research on the original form, a search for the historical authenticityshould be accompanied along with the documenting of all process of doing it. In conclusion a rational way of heritage use can be set out only if it is devised bypossible scenarios by each on the basis of understanding conservation principles. Suchapproach would be able to make cultural heritage which includes archaeological sites besustainable cultural resource for future generation. 현대는 가히 문화유산 활용의 시대라 할 만큼 우리 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에 대한 국민적ㆍ사회적 관심이 증대되었다. 사실 그동안은 문화유산을 올바로 보존한다는것 자체가 역부족이었으나, 대다수 국민들에게 문화유산은 더 이상 ‘개발의 걸림돌’이아니라 ‘고이 가꾸고 한껏 누려야 할 가치’로 통하기에 이르렀다. 고고유적은 문화유산 가운데 가장 큰 활용 가치를 지닌 유산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과거 보존 일변도에서 탈피하여 과감하게 일반인들에게도 발굴 현장을 공개하고 중요 유적에 대해서는 현장에서 직접 보고 느낄 수 있도록 노출 전시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지상에 유적을 복원, 재현하는 방안과 기념관이나 전시관을 건립하는 방안도필요하다. 이 밖에 지역 문화자원 및 관광자원과의 연계 활용이나 개별 유적에 내재된무형의 요소 등 다양한 가치를 개발하는 방법도 고고유적의 가치를 높이는 방안이 될수 있다. 그러나 무조건적인 활용만이 능사가 아니라는 점 또한 명확히 인식해야 한다. 당해문화유산이 가지고 있는 원형을 훼손하거나 핵심적 가치를 망각한 활용은 철저히 제한되어야 한다. 고고유적의 활용은 과학적인 조사와 연구를 통한 철저한 고증이 요구되는작업이기에 역사적 진정성을 찾기 위한 부단한 노력이 수반되어야 하고, 그러한 일련의과정들도 빠짐없이 기록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보편적 원칙에 입각하여각각의 상황에 적합한 사례들을 만들어 최상의 조합을 이룰 때 우리는 비로소 바람직한문화유산 활용의 전범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고고유적을 포함한 문화유산은지속가능한 핵심 자원으로서 후대에 길이 전승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고고유산의 효율적 보존 관리를 위한 제언 - ‘고고유산의 보호와 관리 헌장’의 원칙을 중심으로-

        신희권 (사)한국문화유산협회 2023 야외고고학 Vol.- No.46

        The 「Charter for the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the Archaeological Heritage」 is the only international charter for archaeological heritage, and it proclaims important principles related to the protection, investigation and conservation of archaeological heritage. Archaeological heritage is a product left by humans in the past, and should be protected, managed, and passed down so that the present and future generations can study them. The principles proclaimed in this charter contain the value to be applied mutatis mutandis in Korea, and efforts are being made to uphold these principles through laws and systems including the 「Act on the Protection and Investigation of Buried Cultural Properties」. Archaeological heritage has a characteristic that once destroyed, it is difficult to restore to its original state. Therefore, excavation is restricted by law, and it is institutionalized so that investigations are conducted to a minimum only in unavoidable cases. In principle, excavated sites should be covered and preserved in situ, but relocation for purposes such as adaptive reuse is permitted. The restoration of archaeological heritage must be carried out carefully based on thorough historical evidence. However, it cannot be said that the principles of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archaeological heritage are properly applied in Korea. In particular, for excavated sites, measures such as in situ preservation, relocation preservation, and record preservation are being taken. Most of the sites are taken as records of investigation, and only a few are preserved locally or moved to another location. However, post-management of the preserved sites is not done properly.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damage to the value of heritage by preparing measures to maintain the authenticity and integrity of the site and to protect its value as much as possible.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protection and management system of archaeological heritage in Korea will be established through active discussions on conservation principles and application methods suitable for our reality as well as meeting international standards regarding the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archaeological heritage. 「고고유산의 보호와 관리에 관한 헌장」은 고고유산을 대상으로 한 유일한 국제 헌장으로 고고유산의 보호 및 조사, 보존과 관련된 중요한 원칙을 천명하고 있다. 고고유산은 과거 인간이 남긴 산물로 당대는 물론 미래 세대들 또한 이들을 연구할 수 있도록 보호 관리하여 물려주어야 한다. 이 헌장에서 천명한 원칙들은 국내에서도 그대로 준용할 가치를 담고 있으며, 『매장문화재 보호 및 조사에 관한 법률』을 위시한 법령과 제도를 통해 이러한 원칙을 지키기 위한 노력을경주하고 있다. 고고유산은 한번 파괴되면 원래의 모습대로 되돌리기 어려운 특성이 있다. 그래서 법으로 발굴을 제한하고 있으며, 부득이한 경우에 한하여 최소한으로 조사가 이루어지도록 제도화하고 있다. 발굴이 완료된 유적은 원래 위치에 복토하여 보존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활용 등의 목적으로 이전보존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 고고유산의 복원은 철저한 고증을 바탕으로 신중하게 실시해야 한다. 그러나 고고유산의 보호 및 관리 원칙이 국내에 올바로 적용되고 있다고 볼 수는 없다. 특히발굴이 완료된 유적은 현지보존, 이전보존, 기록보존 등의 조치를 하고 있는데, 대다수 유적은조사 기록을 남기는 것으로 조치하고, 극히 일부만 현지에 또는 다른 자리에 옮겨 보존하고 있다. 그나마도 보존 조치된 유적의 사후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실정이다. 앞으로는 유적의진정성과 완전성을 유지하고 그 가치를 최대한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서 유산의 가치훼손을 최소화해야 할 것이다. 향후 고고유산의 보호 및 관리와 관련하여 국제적 기준에 부합하는 것은 물론 우리 현실에적합한 보존 원칙과 적용 방안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이어져 국내 고고유산의 보호 관리 체제가확립되고, 이를 통해 고고유산이 효율적으로 보존,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호남 서부지역 원삼국∼삼국시대 수혈주거지의 취사 공간 연구

        김은정 (사)한국문화유산협회 2022 야외고고학 Vol.- No.4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tore one aspect of cooking and food culture at the time by analyzing fireplaces, flues, cooking utensils, tableware, storage containers, and plant remains in the pit dwellings from the Proto-Three Kingdoms to Three Kingdoms Period in the western Honam. To this end, this study divided quarter and period of the pit dwellings from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to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the western Honam, into Period I and Period II,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results, in consideration of the detailed properties of the dwellings and the burial aspect of excavated relics, then it reviewed the data. Period II is a period in which the material culture of Mahan society changed in its relationships with Baekje. Mahan’s cooking fireplace, which consisted of clay, pot(egg-shaped pottery), pot stand, and flue, was a cooking system that not merely boiled but also steamed food using a pot and a steamer. The diversification of cooking methods identified from this cooking system made it possible to eat food using more diverse ingredients, which seems to hav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ople’s nutritional status at that time. It is understood that cooking and food storage containers were naturally located around cooking fireplaces, and the cooking space in dwellings was formed around cooking fireplaces. In addition, a flue added to the cooking fireplace let the heat generated during cooking stay in a house for a while so that it can also serve as heating in cold winter. These cooking fireplaces were made of clay structures during the Mahan period, but from the period that was influenced by Baekje, stone was used to build cooking fireplaces, or bedrock was excavated to install the both walls of furnaces and smoke exhaustion facilities. In particular, it is characteristic that the flue, which had been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dwelling for the purpose of smoke exhaustion, was placed outside the dwelling, and earthenware (fireplace rim) attached to the fireplace also newly appeared. In the dwellings where these changes occurred, not only changes in the detailed shape and tanal(paddling/beating technique) of egg-shaped pottery or steamers used as a pot, but also the representative pottery types of Baekje, such as Gaebae, Gobae, and Samjok, were found. This suggests that the cooking space of Mahan society was transformed and developed in relationships with Baekje. 이 글의 목적은 호남 서부지역 원삼국∼삼국시대 수혈주거지에 남겨진 부뚜막과 연도, 취사기, 식기, 저장기, 그리고 식물 유체 등을 분석하여 당시 취사 및 식문화의 일면을 복원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기존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주거지 세부 속성 및 출토유물의 부장 양상을 고려하여 호남 서부지역 원삼국∼삼국시대 수혈주거지의 분기 및 연대를 Ⅰ∼Ⅱ기로 구분한 후 자료를 검토하였다. Ⅱ기는 마한사회의 물질문화가 백제와의 관계 속에서 변화가 나타나는 시기이다. 점토와 솥(장란형토기), 솥받침, 연도 등으로 구성된 마한의 부뚜막은 단순히 음식을 끊는 방식으로 조리할 뿐만 아니라 솥과 시루를 활용하여 쪄낼 수 있게 했던 취사 시스템이었다. 이러한 취사 시스템을 통해 나타난 취사 방식의 다변화는 좀 더 다양한 식재료를 활용한 음식을 섭취할 수 있게 해주었고 이는 당시 사람들의 영양 상태에까지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면서 부뚜막 주변으로는 취사기와 식재료 보관을 위한 저장기 등이 자연스럽게 자리하게 되고 주거 내 취사 공간이 부뚜막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것으로 이해된다. 이에 더하여 부뚜막에 부가된 연도는 추운 겨울을 지낼 수 있도록 취사 시 발생한 열기를 집안에잠시 머물게 해줌으로써 난방까지 겸할 수 있게 해주었다. 이와 같은 부뚜막은 마한시기에 점토 구조물로 만들어지다가 백제의 영향이 있던 시기부터는 석재를 부뚜막 구축에 사용하거나, 기반토를 굴착하여 부뚜막의 양 벽과 배연 시설을마련한 것이 등장한다. 특히 배연을 위한 목적으로 주거지 안쪽 벽에 시설되었던 연도가주거지 밖에 배치되는 것도 특징적이며, 아궁이에 부착했던 토제품(아궁이테) 역시 새롭게등장하는 것을 살펴 볼 수 있다. 이러한 변화가 나타나는 주거지에서는 솥으로 사용된 장란형토기나 시루에서도 세부 형태와 타날방식에서 변화가 간취될 뿐만 아니라 백제의 대표 기종인 개배, 고배, 삼족토기등이 함께 발견된다. 이는 마한사회의 취사 공간이 백제와의 관계 속에서 전환이 이루어지고 발전되어 갔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동북아시아 철겸의 변천과 완주 갈동유적 주조철겸의 등장배경

        김상민 (사)한국문화유산협회 2019 야외고고학 Vol.0 No.34

        Casted iron sickle excavated from Tomb 2 and 3 of the Wanju Galdong site have been widely found in the center of Yan (燕) State to Liaoning (遼寧). It is known that the iron sickles were introduced to the Korean Peninsula from the relationship with Yan State, but research on this issue has faced limitations as the iron sickles had not been discovered continually in the southern area of the peninsular. This paper classified the type of iron sickles excavated in Northeast Asia from the Warring States period (戰國時代) to the Pre-Han (前漢) Dynasty, and examined the changes of the iron sickles by time and region. This paper also compared the casted iron sickles of the Wanju Galdong site with the same type of iron sickles in different times and regions to identify their features and presume the background how the casted iron sickles had been introduced to Galdong with the diffusion of iron culture in Northeast Asia. As a result, this paper concluded that the iron sickles of the Wanju Galdong site presented the most similarity to those of the Huadian Xiaohuangshantun (樺甸 小荒山屯) and Fushun Lianhuabao (撫順 蓮花堡) sites, did not show a big difference in time with those of the Wiwon Yongyeondong (胃原 龍淵洞) site. It is assumed that iron sickles were introduced to the Wanju Galdong site at some point between the late Warring Sates period and the Qin (秦) Dynasty. This paper also determined that iron sickles were treated only as burial accessories in the Wanju Galdong site, while practically used and recycled in Liaoning during the same period. It is considered that casted iron sickles were introduced to the Korean Peninsula via trades or migration under the indirect influence of Yan State, and the discontinuity of the relics in the peninsular implies that the migration might have been a temporary event. 완주 갈동유적 2·3호묘에서 출토된 주조철겸은 연나라의 중심지에서 요령지역에 걸쳐 넓게 분포한다. 이 철겸은 연나라와의 관계 속에서 한반도로 유입된 것으로 평가되고 있지만, 한반도 남부지역에서는 한정적인 출토 양상을 띠고 있어 연구 대상으로 한계가 있다. 본고에서는 전국시대~전한대 동북아시아 철겸의 형식을 분류하고 시기와 지역에 따른 그 변화양상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완주 갈동유적 주조철겸과 동일 형식의 철겸을 비교하여 그 특징을 살피며, 동북아시아 철기문화의 확산과정 속에서 완주 갈동유적 주조철겸의등장배경을 추정하였다. 이를 통해 완주 갈동유적에서 출토된 주조철겸은 화전 소황산둔, 무순 연화보유적의 주조철겸과 가장 유사하며, 위연 용연동유적 주조철겸과도 차이가 크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그 시기는 적어도 진한교체기의 어느 시점으로 여겨지는데, 동시기 요령지역에서는 철겸이 실제 사용되고 재활용되는 반면, 갈동유적의 경우 사용하지 않고 그대로 부장된다. 주조철겸은 연나라의 중심지와의 상호작용이나 이동에 의해 유입되는 것으로 연속성을보이지 않는 점은 향후 신중하게 해석하여야 한다.

      • KCI등재

        김포지역 벼농사 개시에 관한 식물고고학적 검토

        김민구,김영준,김우락 (사)한국문화유산협회 2019 야외고고학 Vol.0 No.35

        Gimpo is located on the hypothetical diffusion route of rice from the Yangtze River basin to the Korean Peninsula, and was claimed to contain the earliest rice cultivation site in Korea. We found waterlogged rice husks from Tae-ri, Gimpo, but the remains were dated to ca. AD 500, well after the beginning of rice agriculture on the peninsula. The lowest sediment that retained Oryza -type pollen in Tae-ri was not earlier than 800 BC. We found no botanical evidence that could possibly validate the claim that people in this region cultivated rice as early as 2000 BC. The SPD (summed probability distribution) of 282 AMS dates shows that there was a drastic population decrease in the Neolithic communities of the peninsular inland region after 2000 BC. Rice cultivation, if it was indeed practiced by the people of the coastal areas, is very unlikely to have spread eastward. Bronze Age settlements and dolmens distributed across Gimpo suggest that a full-scale transition to rice farming occurred with the immigration of Mumun people. 중국 양자강 유역에서 시작되어 한반도로 유입된 벼농사의 확산경로상, 김포지역은 한반도 내에서도 이른 시기의 벼농사 증거가 발견될 가능성이 높은 지역으로 거론된 바 있다. 김포시 고촌읍 태리 유적의 토탄층에서 벼 껍질이 다량 출현하여 벼농사가행해졌음을 나타내는 직접적인 증거가 된다. 하지만 발견된 식물유체의 연대는 삼국시대이다. 퇴적물에서 벼속(Oryza)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화분이 발견되었는데, 퇴적물의 AMS연대 측정값은 청동기시대에 해당하는 800 BC 전후이다. 김포시 통진읍가현리에서 신석기시대 탄화미가 발견되었다는 주장이 있었지만 식물유체 분석을 담당한 스즈키 미츠오(鈴木三男)는 벼의 증거가 없었음을 확인한 바 있다. 김포지역에는 청동기시대 취락과 지석묘가 분포하며, 벼농사 시작은 청동기시대 전기까지 올라갈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벼농사 개시가 이 시점을 상회함을 나타내는 자료는 극히 빈약하다. 2000 BC경 경기 내륙지역에는 인구공동화(人口空洞化) 현상이 있었으며, 해안지역으로 중국 벼농사 문화가 전파되었어도 내륙까지의 파급 가능성은 높지 않았다.

      • KCI등재

        고대 창녕지역 묘제의 다양성과 그 의미

        하승철 (사)한국문화유산협회 2023 야외고고학 Vol.- No.46

        The Changnyeong area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Nakdong river, and was a center of exchange that connected Gaya and Silla, and an important military and transportation hub. Based on these geographical advantages, the ancient Changnyeong area grew into a unique space where the cultures of Silla and Gaya were fused. In the Changnyeong area, two central ancient tombs are identified: Gyeseong tombs, Gyodong and Songhyeondong tombs. In the Changnyeong area, various Tomb style such as Wooden chamber burial, Stone-lined chamber burial and Corridor-chamber tomb are built. A stone-lined chamber with its internal space divided by a wall. Changnyeong’s distinctive form of the corridor-chamber tomb that has a side opening Since the 5th century, various burial facilities have been devised to maintain a huge burial mound as large mounded tombs have emerged in Silla and Gaya areas. Dominant groups in each region share information on ancient tomb construction through networks established from the previous period and choose a theme that reflects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identity through trial and error. Various tombs built in the Changnyeong area show these circumstances at that time. The ancient political organization in Changnyeong was called Bisabeol(比斯伐) and was established based on two influential groups, Gyeseong and Gyodong. The political bodies of the Changnyeong area were dominated by powerful forces, forming networks with various political bodies along the Nakdong river. 고대 창녕지역은 낙동강 교통로를 통제할 수 있는 지리적 이점을 바탕으로 신라, 가야의 문화가 융합된 독특한 공간으로 성장하였다. 창녕지역에는 200기 이상의 고분으로 이루어진 두 개의 중심고분군이 확인된다. 계성고분군과 교동·송현동고분군이 그것이다. 고대 창녕지역에 관한 연구는 가야와 신라의 역학관계에만 집중되었다. 본 글에서는 묘제를 통해 창녕지역 입장에서 주변 문화를 어떻게 수용하고 주체화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했다. 창녕지역에는 목곽묘, 수혈식석곽묘를 비롯하여 日자형 주부곽식 수혈식석곽묘, 횡구식석실묘, 판석조 수혈식석곽묘, 횡혈식석실묘 등 다양한 묘제가 축조된다. 계성지구는 日자형 주부곽식 수혈식석곽묘, 교동지구는 횡구식석실묘가 대표적인 묘제이다. 계성지구의 日자형 주부곽식 수혈식석곽묘는 당시 선진지역이었던 경주·김해·부산지역의 목곽묘에서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보았다. 고령·합천·의령 등지에서 확인되는 주부곽식 묘제는 계성지구 묘제와 관련된다. 교동지구의 횡구식석실묘는 낙동강 상류지역 고분 축조기술을 수용하면서 출현했다. 교동지구의 횡구식석실묘와 판석조 수혈식석곽묘는 창녕과 대구·구미·선산·상주지역과의 교류 관계를 보여준다. 5세기부터 신라, 가야지역에는 고총고분이 출현하면서 거대한 봉분을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매장시설이 고안된다. 각지의 지배집단은 이전 시기부터 마련된 네트워크를 통해 고분 축조 정보를 공유하게 되고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지역적인 특성과 정체성이 반영된 묘제를 선택하게된다. 낙동강 연안에 축조되는 각양각색의 묘제는 당시의 이러한 사정을 잘 보여준다. 고대 창녕지역 정치체는 ‘비화’, ‘비사벌’ 또는 ‘비자발’로 불렸으며 계성과 교동, 두 개의유력집단을 기반으로 성립되었다. 신라 진흥왕 창녕비에는 2인의 촌주가 기록되어 있다. 이들이각각 계성과 교동의 대표자였을 것이다. 고대 창녕지역 정치체는 낙동강 연안의 다양한 정치체와네트워크를 형성하며 강력한 세력으로 군림하였다.

      • KCI등재

        디지털고고학 국외 사례 현황과 과제

        최인화 (사)한국문화유산협회 2023 야외고고학 Vol.- No.48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팬데믹의 영향으로 고고학 분야에도 다양한 기술을 활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국외에서는 이를 디지털고고학(Digital Archaeology)이라고 하며,고고학 조사, 연구, 분석, 보존, 복원, 활용 등 고고학의 한 분야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현재 한국의 디지털고고학은 고고학의 한 분야라기보다는 3D 측량,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 등 기술적 보조 수단에 국한되어 해당 기술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우리는 다량의 데이터와 콘텐츠를 생산하고 있지만 이를 제대로 관리․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디지털고고학에 대한 정책과 제도, 교육, 이에 대한 전문 인력 또한 부족한 현실이다. 국외에서는 1960년대 비교적 이른 시기에 디지털고고학이 시작되어 다양한 문제에 대한 고민과 해결 방안, 새로운 연구가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외 디지털고고학의 개념과 분야, 관련 정책과 교육, 분야 및 기술별 대표 사례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이를 국내에 적합한 연구, 정책, 제도, 교육, 기술 적용 방안으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관련 논문, 단행본 등 최신 자료 조사와 함께 영국 등 국외의 박물관, 전시관, 학회 등을 직접 방문하여 조사한 결과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국외에서는 고고학 전공자들이 고고학 조사와 연구, 보존과 복원, 전시와 교육 등을 위해 관련 기술을 최대한 활용하여 다채로운 연구 성과물이 도출되고 있다. 또한 이를 위해 대학의 고고학과 등에서는 GIS, 3D 스캔, CAD 등의 기술 관련 강의를 개설하고 지속적으로 전문가를 양성하고 있다. 또한 국가 차원의 정책과 제도, 예산 등이 이를 체계적으로 뒷받침하여 디지털고고학 분야를 활성화하고 산학 협력을 유도하며, 이를 통해 대중 참여 확대와 일자리,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디지털 기술은 고고학 분야의 스펙트럼을 넓히고 새로운 조사와 연구의 가능성을 열어줄 것이다. “디지털고고학”을 붙여 쓴 것은 대중고고학, 선사고고학처럼 하루빨리 고고학의 한 분야로 빠르게 자리 잡고 연구되기를 희망하는 마음에서이다. 본고의 여러 사례가 관련 연구자에게 유용한 참고가 되기를 바라며, 관계 기관의 정책과 제도, 예산, 교육 등의 추진에 원동력이 되기를 기대한다. Due to recent advancements in digital technology and the impact of the pandemic, various attempts to utilize technology have been made in the field of Archaeology. Overseas, this is referred to as “Digital Archaeology”, and it is actively researched as a field of Archaeology, such as excavation, investigation, analysis, preservation, restoration, and utilization. Currently, Digital Archaeology in South Korea tends to be limited to technical support tools such as 3D scanning and VR content, rather than being recognized as a field of Archaeology. Furthermore, although we produce a large amount of data and content, we struggle with management and preservation. The policies, regulations, and education regarding Digital Archaeology are also insufficient. Digital archaeology began relatively early in foreign countries and is actively being researched. This study aims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definition and fields of Digital Archaeology overseas, along with relevant policies, educational status, and representative case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dapt this knowledge to suitable research, policies, regulations, education, and technological applications in Digital Archaeology of Korea. To achieve this, researching recent papers, publications, as well as field investigations in relevant conferences, museums, and organization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archaeologists abroad are utilizing relevant technologies to the fullest extent in order to achieve diverse research outcomes in archaeological survey, analysis, preservation, restoration and exhibition. Additionally, several Universities has opened lectures related to technology to nurture experts. Furthermore, policies, regulations, and budgets are systematically supporting Digital Archaeology by promoting industry-academia collaboration, expanding public participation, and generating employment opportunities and economic value through this. Digital technology will broaden the research spectrum in the field of archaeology and open up new historical possibilities. It is hoped that the various cases presented in this paper will serve as a reference for archaeologists, as well as policies, regulations, budgets, and education from relevant organizations, will be gradually achieved.

      • KCI등재

        LiDAR를 활용한 예산산성의 고고학적 조사와 시각화 연구

        안형기,오규진,조윤재 (사)한국문화유산협회 2023 야외고고학 Vol.- No.46

        In general, mountain fortresses are relatively easy to investigate, unlike temples, kilns, and dwellings, as the remains are exposed. However, it is difficult to confirm the overall shape only by ground survey because it is large and is located in the forest. Overseas, there are many examples of using LiDAR to identify ruins such as settlements or roads in the jungle. However, there are few related cases in Korea so far. Although there are cases in which aerial archeology analysis method was introduced under the name of paleomorphological analysis and estimated and restored alluvial sites and damaged walls, there are currently few remote sensing studies using LiDAR. In this paper, we attempted to restore the historical landscape using LiDAR for Yesan Mountain Fortress located in Yesan-gun. LiDAR data was processed using image visualization and GIS technology to provide objective archaeological informa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overall landscape of Yesan Mountain Fortress was viewed and a research method for LiDAR utilization was presented through comparison with existing excavation reports. Research using LiDAR makes it possible to grasp the shape of ruins distributed in remote areas or forests with poor access. In particular, the property of LiDAR, which can detect buildings on the ground surface and observe specific objects despite various types of natural and artificial obstacles, can provide technical objectivity to related researchers. This can be effectively utilized for the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Korea, where most of the land is mountainous. 일반적으로 산성은 사찰, 가마터, 주거지와 달리 유구가 드러나 있어 상대적으로 조사는 쉽다. 다만 규모가 있고 산림 속에 있어 지상 조사만으로는 전체적인 형태를 확인하기는 어렵다. 해외에서는 LiDAR를 활용하여 밀림 속의 정착지나 도로와 같은 유적을 확인한 사례는 많이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지금까지 관련 사례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항공 고고학 분석 방법이고지형분석이란 이름으로 도입해서 충적지 및 훼손 성벽을 추정 · 복원한 사례가 있으나 LiDAR를활용한 원격 탐사 연구는 현재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예산군 소재 예산산성을 대상으로 LiDAR를 활용한 시각화를 시도하였다. 객관적인 고고학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이미지 시각화 및 GIS 기술을 활용하여 LiDAR 데이터를가공하였다. 결과를 근거로 예산산성의 전체적인 경관을 조망하고 기존 발굴 보고서와의 비교를통해 LiDAR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방법을 제시하였다. LiDAR를 이용한 연구는 접근도가 떨어지는 원격지 혹은 삼림 등에 분포하는 유적의 형태를파악할 수 있게 한다. 특히 다양한 종류의 자연적, 인공적 장애물에도 불구하고 지표면의 건축물을발견하고 특정 대상을 관찰할 수 있는 LiDAR의 속성은 관련 연구자에게 기술적 객관성을 제공해줄 수 있다. 이는 국토 대부분이 산지로 이루어진 한국의 지형적 특성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 석재의 산지 연구

        황창한 (사)한국문화유산협회 2019 야외고고학 Vol.0 No.34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에 사용된 석재는 안산암 재질에 해당하는데 경주 인근에서몇 곳의 후보지가 확인된다. 후보지를 답사한 결과 울산 당사동 일대에 분포하는 당사리안산암과 외형 및 암석의 구조적 특징이 동일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당사리안산암의 분포는울산 당사동 일대에 널리 분포하는데 산출상태가 석탑에 사용된 석재에서 보이는 판상의절리, 암자색 산화철 성분의 산화면 등이 동일하다. 특히 암자색으로 산화되는 절리면은후대에 풍화된 것이 아니고 절리면을 따라 산화된 것이다. 이러한 암석의 구조적인 특징은 산화된 면을 따라 절리되거나 채석을 하기에 용이하여 석탑의 재료로서 최적의 산출 상태를 보인다. 석재의 인식은 당사리안산암 산지 일대의 유적을 검토한 결과 강동지역에 거점을 두고 생활했던 삼국시대인들로 부터 알려졌을 것으로 추정하였고 이 지역의 불교문화와도 관련이 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현재로서는 정확한 채석지의 흔적을 확인할 수는없기 때문에 석재가 다량으로 확인되는 계곡부와 해안가의 석재를 채석하여 사용한 것으로 추정하였으나 당사리안산암이 분포하는 일대로 넓게 비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판단된다. The stone used Bunhwangsa pagoda is andesite. This stone isn’t checked around Gyeongju. Therefore, checking the result of surrounding area, it is understood the identical things of Dangsari-Andesite. Dnagsari-andesite is widely spread around Dangsadong in Ulsan. The state of andesite is same with stone used Bunhwangsa pagoda and structural features. The feature is identical with sheeting joint and red oxidation on the stone used pagoda.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se stones are come off with oxidized side or easy to quarry stones. So it appears the optimum production state as the materials of pagoda. The recognition of these stones are known from the Three Kingdoms era’s people according to checking remains. Also, through this stone, we thought that it had something to do with Buddhist culture of this area As of now, we don't check exact trace of stone pit but it seems reasonable that this is a range of Dangsari-Andesite.

      • KCI등재

        영산강유역 전기 횡혈식석실 재해석

        복문강,이성민 (사)한국문화유산협회 2023 야외고고학 Vol.- No.46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first-made date, origin, and development of the early stone chamber with corridor in the Yeongsan river basin in the 5th and 6th centuries based on the accumulated research results. First, I classified the early stone chamber with corridor in the Yeongsan river basin into three types(Ⅰ2·Ⅱ1·Ⅱ2) by combining the shape of construction of the lowest floor stone and the planar form and classified the periodical transition into four periods based on the release of the highest prestige items and the combination of some of the artifacts excavated together. Next, as some researchers pointed out, there is a lack of archaeological data show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early stone chamber with corridor in the Yeongsan river basin and the stone chamber with corridor in Kyusu(九州) area. In particular, the use of large size building stone and door-shaped entrances, which were pointed out as important grounds in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origin, were confirmed in the Baekje stone chamber of Hanseong period, and the similarity with the Baekje stone chamber of Hanseong period was observed in the order of construction of the lowest floor stone. Finally, the development of the early stone chamber with corridor in the Yeongsan river basin is as follows. In the phase I, highest prestige items of Baekje are buried, but only a small number of stone chambers are built in the core area of the Yeongsan River basin. As a result, the stone chamber was adopted by some of the core groups of the Yeongsan River basin, which had a certain relationship with Baekje during the phase I. In the phase Ⅱ, the stone chamber type was dualized locally, and the keyhole-shaped burial mound influenced by Japan was built, while the opening of the area influenced by the indigenous Yugong mine and Baekje was accompanied. Although Baekje's influence on the Yeongsan River basin expanded, the indigenous group of the Yeongsan River basin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aekje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and it is estimated that various tomb cultures appeared in the process. In the phase Ⅲ, the regionally dualized construction pattern was maintained, but the appearance of clustered tombs were confirmed, the baekje pottery such as Tripod and Bottle were excavated. Based on this, it is estimated that the influence of Baekje was gradually strengthened in the phase Ⅲ. In the phase IV, the expansion of the clustered tombs around the Yeongsan River downstream area the burial artifacts have been simplified like the Baekje tombs of the same period was observed. At the same time, the indigenous multi-buried manners was maintained around the middle of the Yeongsan River and the coffin loops were excavated in the keyhole-shaped burial mound. In this respect, it can be assumed that Baekje's influence on the Yeongsangang River basin was further deepened, but there were some groups that maintained their identity even in the phase IV.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까지의 고고학 조사성과를 바탕으로 5~6세기동안 영산강유역에 축조된 전기 횡혈식석실의 형식분류와 편년을 새롭게 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원과 전개양상을 재검토하는 것이다. 먼저 필자는 영산강유역 전기 횡혈식석실을 최하단석의 축석형태와 평면형태를 조합하여 세형식(Ⅰ2 .Ⅱ1 .Ⅱ2)으로 분류하였고, 최상위 위세품과 빈번하게 출토되는 일부 유물의 조합양상을근거로 그 시기적 변천을 네 시기(Ⅰ~ Ⅳ)로 구분하였다. 다음으로 일부 연구자가 지적한 바 있는 영산강유역 전기 횡혈식석실과 (북부) 구주지역 석실간 구조 분석을 통해 연관성이 낮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특히 기원과 관련한 기존 연구에서 중요근거로 지목된 요석의 사용과 문틀식 입구 등이 한성기 백제석실에서도 확인되었고 최하단석의축석형태에서도 한성기 백제석실과의 유사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필자는 영산강유역전기 횡혈식석실의 기원을 기존 연구에서 지목한 (북부) 구주지역 석실이 아닌 한성기 백제석실로판단하였다. 마지막으로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영산강유역 전기 횡혈식석실의 전개를 살펴보면 다음과같다. Ⅰ기에는 다양한 백제 위세품이 부장되지만 토착적인 다장습속과 영산강유역의 거점 지역에한정하여 소수의 석실이 축조되는 점에서 백제와 일정한 관계를 맺었던 영산강유역 내 일부유력집단에 의해 석실이 채용된 것으로 여겨진다. Ⅱ기에는 지역적으로 석실 형식의 이원화가이루어지고 일본의 영향을 받은 전방후원형분이 축조되는 한편 토착적인 유공광구소호와 백제의영향을 받은 개배가 공반되는 점에서 영산강유역에 대한 백제의 영향력이 확대되는 동시에영산강유역의 토착집단이 백제-일본열도의 관계에서 상당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그 과정에서영산강유역만의 다채로운 고분문화가 형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Ⅲ기에는 군집화된 고분군의등장과 함께 백제토기인 삼족기와 병형토기의 부장을 통해 백제의 영향력이 점진적으로 강화된것으로 추정된다. Ⅳ기에는 영산강 하류역을 중심으로 군집화된 고분군의 확대와 동시대의백제처럼 부장유물의 박장화가 관찰되는 동시에 영산강 중류역을 중심으로 토착적인 다장습속과전방후원형분의 축조가 유지되는 점에서 해당 시기에 이르러 영산강유역에 대한 백제의 영향력이한층 심화되는 동시에 여전히 지역적 독자성을 유지한 일부 집단 역시 존재하였던 것으로 볼 수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