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개성 太平館의 역할과 위상

        이현진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3 규장각 Vol.62 No.-

        본고는 조선시대 개성에 설치한 태평관의 객관으로서의 역할과 위상을 시대별로 살펴서 변화하는 양상을 검토하는 것이 목적이다. 조선이 건국된 후 고려의 정동행성을 수리하여 태평관이라 명호를 고치면서 개성의 객관으로 활용했다. 정동행성은 고려 말에 객관의 기능을 하고 있었으며, 이를 태평관이라 명명한 것은 원-고려의 관계를 부정하고 명-조선의 관계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의미가 있었다. 한양으로 천도하기 이전에는 개성의 태평관이 주요 객관으로 활용되었고, 천도한 이후에는 한양에 설치한 태평관이 그 기능을 대신했다. 이후 개성에 있는 태평관은 그 명칭을 바꾸지 않은 채 명 사신이 한양으로 오기 전 각 지역에 설치한 여러 객관들 중 하나로 기능했다. 개성의 태평관은 임진왜란으로 건물이 소실되어 다른 건물을 활용함으로써 위치가 바뀌기는 했으나 기능에는 변화가 없었다. 청 사신이 한양으로 올 때에도 명 사신과 같은 동선으로 이동해서였다. 이처럼 개성의 태평관은 조선시대 내내 명과 청 사신이 머무는 객관 중 하나였다. 그러다가 19세기 말 청 사신이 수로를 이용하여 인천으로 들어오면서 개성의 태평관은 지역의 객관으로서 더 이상 유용하지 않게 되었다. 그리고 일제강점기에 개성 태평관은 인삼전매국으로 바뀌었다.

      • KCI등재

        15세기 漢城의 使臣 客館 형성과 그 의미

        장지연 서울역사편찬원 2020 서울과 역사 Vol.- No.104

        This paper examines the process and meaning of the formation of three guesthouses-Taepyoung-gwan(world peace), Dongpyoung-gwan(peace eastward), and Bukpyoung-gwan(peace northward)- in the capital Hanseong built from King Taejo to King Sejong periods. The system of these guesthouses was born from the concept of an international order formulated in the late Goryeo periods and then accomplished in King Sejong period. They however completely disappeared through the dynasty changes from the Imjin War through Ming to Qing in the 17th century. Converted from JeongdongHaengseong in Gaekyung, Taepyoung-gwan was established with the founding of Choseon and it accommodated and served envoys from Ming. This reflected the efforts to make Goryeo-Ming's relationship into a tributary system from King Gongmin in Goryeo periods. This Taepyoung-gwan, built in King Taejo period conventionally following the earlier ones, was renovated in King Taejong and King Sejong periods respectively. The renovation in King Taejong period was more for an aesthetic purpose rather than for a ritual as King Taejong intended to obliterate his father’s traces. The renovation in Sejong period, on the other hand, was a full-scale one for a ritual practicing purpose to serve envoys from Ming. It was not until King Sejong period that the establishment of Dongpyoung-gwan and Bukpyoung- gwan were thoroughly planned. While both Dongpyoung-gwan and Seopyoung- gwan(peace westward) were initially constructed in King Taejong period, their detailed objectives (e.g., for whom and the system of hospitality) were not systematically established. These two were later named as Dongpyoung- gwan to serve Japanese & Ryukyu envoys in King Sejong period, and Bukpyoung-gwan was also built to serve Jurchen envoys. This was done so by developing an exchange system with Japan and Jurchen through pressure and appeasement. The concept of an international order is adequately reflected in the names for those three guesthouses -Taepyoung, Dongpyoung, and Bukpyoung. This means Choseon took the lead in practicing “serving the great and caring for the little” in the form of a tributary system to establish peace and stabilize the relationship between Choseon and Ming as well as with neighboring countries. 이 논문에서는 수도 한성의 세 객관-태평관, 동평관, 북평관-이 태조~세종대 형성되는 과정과 그 의미를 살펴 보았다. 이 세 객관의 체계는 고려 말 이래의 국제질서에 대한 구상 속에서 형성되기 시작하여 세종대 완성되었다가, 17세기 임진왜란 및 명・청 교체를 거치며 모두 사라졌다. 조선은 건국 후 개경의 정동행성을 바꾸어 태평관을 설치하여 명 사신의 접대를 준비하였다. 이는 공민왕대 이래 고려・명의 관계를 책봉-조공체제로 만들고자 하는 노력이 반영된 것이었다. 고려 시기의 것을 인습적으로 따라 지은 태조대의 한성의 태평관은 태종과 세종대 수리되었다. 태종대 수리는 예제보다는 미학적인 목적이 컸으며 아버지의 장소를 지우고 자신을 현창하는 공간을 만들려고 한 것과 관련이 깊었다. 이에 비해 세종대 수리는 본격적으로 명의 사신 의례가 확대 설행되면서 이를 제대로 실천하기 위한 것이었다. 동평관과 북평관은 조선 초부터 태종대까지는 건립 계획이 분명하게 서 있던 것은 아니었으나, 세종대 후반 왜인과 야인 접대를 위한 관서를 두고 동평관의 이름을 바꾸며 북평관을 건립하면서 그 체계를 갖추었다. 이는 일본, 여진에 대한 압박과 회유를 통해 교류 체계를 갖추면서 가능해진 것이었다. 세종대 완성된 국제질서의 이념형은 태평-동평-북평이라는 세 객관의 이름에서 잘 드러난다. 이는 조선이 중심이 되어 책봉-조공체제의 형식으로 事大字小의 내용을 실천함으로써 조선・명의 관계를 안정시키고, 조선의 주변국, 혹은 주변의 집단도 안정시킴으로써 동쪽의 평화와 북쪽의 평화, 궁극적으로는 천하의 태평을 구축한다는 것이다.

      • 조선시대 太平館과 東平館의 특징

        서동천(Seo Dong-Chun),한동수(Han Dong-Soo) 대한건축학회 2007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7 No.1

        Sadae-gyorin(事大交隣) was the ruling principle of the foreign policy in Joseon dynasty(朝鮮時代). Sadae(事大) is concerned with China, means to serve the powerful country, and Gyorin(交隣) is concerned with neighboring countries except China, means to make relationships on equal terms with neighboring countries. Therefore there were the discriminations between China and the neighboring countries; in the aspects of the procedures, the scale of facilities and the sites in greeting envoys. In the early years of the Joseon dynasty, the facilities of greeting envoys were Taepyoung-gwan, as the acquainting facility of Chinese envoys, and Dongpyoung-gwan, as the acquainting facility of Japanese envoys. It's limited to understand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facilities clearly because those don't exist. But it's possible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cilities through historical records which still exist. Therefore this study compared the distinctions of characteristics between Taepyoung-gwan and Dongpyoung-gwan, through the analysis of 『Joseonwangjo-sillok(朝鮮王朝實錄)』, 『Gukjo-oryeui(國朝五禮儀)』, map handwritings and envoy's records. This study is expected to apply to understand international relationships of East Asia at that time, also, is made use of grasp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sitor house(客舍), especially, related envoys.

      • KCI등재

        조선 초 한양 太平館의 건립과 운영

        이현진 동양고전학회 2024 東洋古典硏究 Vol.- No.94

        Examined in this article is the Tae’pyeong-gwan Hall, which was constructed in the Han’yang(漢陽) Capital city during the reigns of Kings Taejong and Sejong. Focus of such examination included the name of the hall, its main functions, and how its overall size and scale were established over the years. In 1393, Tae’pyeong-gwan was first constructed in Gaeseong(開城), and then in Han’yang in 1395. Both halls were meant to receive, greet and accommodate Ming Chinese envoys visiting the Joseon dynasty on the Korean peninsula, and because Gaeseong in 1393 and Han’yang in 1395 were both capitals of Joseon, they shared the same name as well. These halls served as guest quarters for the envoy members. Naturally banquets were held, while paying honors or bestowing items all took place in these halls as well. The location of Tae’pyeong-gwan was inside the Sung’rye-mun(崇禮門) gate. Originally there was a Main office space(Daecheong, 大廳) and the East and West corridors(Dong’rang, 東廊 and Seo’rang, 西廊), but during King Taejong’s reign the North tower(Buk’ru, 北樓) and East and West operational zones(Dong’heon, 東軒 and Seo’heon, 西軒) were added. During King Sejong’s reign mainly repairs of existing structures went on, but a chamber for the King(Eoshil, 御室) was newly erected with thatched houses(Cho’ok, 草屋) additionally built. Because the original space was too small and narrow, more structures were needed while the entire area had to be enlarged.

      • KCI등재

        조선후기 국왕 국장에 弔問 온 청 사신의 설행 의례와 의례 공간

        이현진 진단학회 2023 진단학보 Vol.- No.140

        Examined in this article are the ritual protocols that were observed by official emissaries from the Qing(淸) dynasty, who came to Joseon to pay condolence for the death of Joseon kings. Cases analyzed here cover Qing envoys that visited Joseon since the death of King Injo(仁祖) through the death of King Cheoljong(哲宗). And the spaces they used to observe required protocols are examined here as well. Whenever a Joseon king is announced dead, the Joseon government would dispatch an envoy(Gobu-sa, 告訃使) to China to notify the Qing government of the king’s passing. Then the Qing court would reciprocate by sending an emissary to Joseon to pay proper condolence. Upon arrival, the Qing emissary would hold a memorial service for the deceased Joseon king, bestow a posthumous title(諡號) for him, and also invest a new king who would succeed the last one. In terms of protocol, there was nothing dramatically different from how things had been with the Ming dynasty emissaries. There were some differences, however, with regard to certain issues. While the Ming emissaries would observe protocols at the Geunjeong-jeon(勤政殿) Hall at the Gyeongbok-gung(景福宮) palace, the Qing emissaries did so at the Injeong-jeon(仁政殿) Hall of the Changdeok-gung(昌德宮) palace. The residence for the Ming and Qing envoys were also different, as the former stayed at Taepyeong-gwan(太平館) while the latter resided at Nambyeol-gung(南別宮). Another thing to note: While the Qing envoy did not stay long in Joseon and returned to Qing as soon as their mission was completed, the Ming envoys would go on traveling or sightseeing to famous locations such as Mt. Geumgang or the Han river. 본고는 조선의 국왕 국장에 청에서 조문 온 사신이 행한 의례와 그 의례를 설행한 공간을 검토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조선의 국왕이 세상을 떠나면 중국 조정에 죽음을 알리는 사신을 파견했다. 국왕 국장에서 명과 청 조정에 보내는 사신은 고부청시청승습사 혹은 고부사였다. 왕후 국장은 명 조정에는 부음을 알리는 사신이 파견되지 않았고 청 조정에 파견한 사신은 고부사라고만 일컬었다. 고부청시청승습사 혹은 고부사는 국장이 발생한 지 6일째되는 성복하는 즈음에 차출되었다. 그리고 정사와 서장관 2원으로 구성한다는 『통문관지』의 규정과 달리 정사․부사ㆍ서장관 3원으로 구성했다. 3원으로 구성하는 동지사ㆍ사은사ㆍ주청사 등이 고부청시청승습의 임무를 겸한 것에 기인했다. 이 역시 국왕 국장에 해당하고 왕후 국장에는 고부사와 서장관 2원으로 구성되었다. 고부사가 북경에 도착하면 청 조정에서는 조선의 요청에 상응하는 조문 칙사를 보냈다. 조문 칙사는 조선에 와서 새로 즉위한 국왕인 권서국사자를 조선국왕으로 책봉하고, 죽은 왕을 위해 제사를 지내고 그에게 시호를 내리는 임무를 담당했다. 여기까지는 명 조정에서 조선의 국왕 국장에 파견했던 사신이 행한 것과 거의 달라진 점이 없다. 다만, 청 칙사들은 대개 만주인이었고, 이들이 머무는 객관은 태평관이 아닌 남별궁이었다. 그리고 청 사신은 명 사신에 비해 체류기간이 짧아 도성 밖에서의 유관은 시행하지 못했다. 청의 조문 칙사가 조선에 와서 행하는 의례는 『국조상례보편』과 『통문관지』에 수록된 의주가 참고된다. 전자는 「영사시제급조부의」, 「사부의」, 「사시의」, 「사제의」, 후자는 「교영의」, 「인정전접견의」, 「편전수칙의」, 「책봉의」, 「조제의」 등이다. 실제 조문 칙사는 모화관에서 창덕궁 인정전으로 와서 칙서와 고명, 부물을 전달하고 조선의 권서국사자를 국왕으로 책봉한 뒤 조제를 지냈다. 이는 『국조상례보편』에 있는 의주 중 「사부의」와 「사제의」를 제외한 두 의주는 제대로 시행되지 않고 『통문관지』에 있는 의주가 대부분 실행되었음을 뜻한다. 그중 「책봉의」는 새로 마련한 의주로 청이 조선의 책봉국임을 드러내기 위한 의도, 의례적으로 강조하고자 한 의도가 내포된 것으로 보았다.

      • KCI등재

        조선 중기 이후 국왕의 혼례형태의 변화 -별궁의 운영과 ‘別宮親迎禮’의 성립-

        장병인 조선시대사학회 2010 朝鮮時代史學報 Vol.55 No.-

        조선초기 국왕의 혼례절차인 ‘命使奉迎’은 국왕의 체모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었다. 즉 국왕이 구차스럽게 몸소 私家로 나아가서 신부인 왕비를 맞이해 오는 대신 使者로 하여금 대신 궁궐로 모셔오게 한 것이다. 16세기 중종대에 오면 『주자가례』에 따라 국왕의 혼례절차가 친영제로 바뀌게 되지만 이 때의 친영도 국왕이 직접 왕비집으로 가서 왕비를 맞아오는 것이 아니라, 왕실과 왕비집의 중간지점에 관소를 설치하여 국왕이 그곳에 가서 신부를 맞아오는 절충적인 방법인 ‘假館親迎’이었다. 가관친영례에 의한 국왕의 혼인은 중종대에 한차례, 선조대에 두차례 모두 세차례 시행되었다. 이후 17세기 인조대에 이르러서는 관소인 태평관을 거치지 않고 왕이 직접 별궁으로 가서 신부를 맞이해 오는 ‘別宮親迎’으로 바뀌게 되었다. 이때의 변화는 병자호란 후 재정상의 어려움 때문에 혼례절차를 간소화한다는 외양을 띠었지만, 왕과 신하의 예는 같다는(君士夫同一禮) 의식이 상대적으로 강한 서인의 정권 장악과 무관하지 않다고 보인다. 그러나 초월적인 왕의 권위를 어느 정도 살려주던 가관친영의 폐지가 갑자기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가관친영에서 별궁친영으로 바꾸는데 대한 거부감을 해소하는 데에는 별궁이 큰 역할을 하였다고 보인다. 즉 궁궐의 하나인 별궁에서 신부를 맞아오게 함으로써 별궁을 태평관과 유사한 역할을 하는 장소로 받아들이게 했기 때문이다. 별궁은 그 기원을 연산군 12년으로 잡을 수 있고, 국왕의 혼인에 별궁이라는 명칭을 가지고 실제 운영된 것은 선조 35년이 처음이라 할 수 있다. 별궁은 한편으로는 왕실가족으로 선택된 왕비나 세자빈의 높아진 지위를 유지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왕실의 혼례라는 성대한 의식을 순조롭게 진행하여야 한다는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운영되었다. 별궁의 운영은 왕비로 하여금 왕실가족으로서의 지위를 견지할 수 있게 하였을 뿐 아니라, 왕이 사가로 왕비를 직접 맞으러 갔을 때 일어날 수 있는 국왕체모의 손상을 막을 수 있고 동시에 친영 본래의 의미를 최대한 살릴 수 있는 방안으로 기능하였다. 인조 16년 이후, 별궁제의 정착과 함께 간택된 왕비를 임시로 그곳에 거주하게 하여 의제적 왕비집으로 삼게 되었으나, 별궁은 왕비집으로서의 역할을 완벽하게 수행할 수 없는 몇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수단으로 당시 위정자들이 택한 방법은 왕비의 본가를 잠정적으로 별궁 가까이로 옮겨 별궁과 이전된 왕비집 두 곳에서 혼례절차를 진행토록 하는 것이었다. 왕비 본가를 별궁과 가깝고 규모가 큰 집으로 옮김에 따라 혼례절차의 원활한 수행 및 점차 성대해지는 왕실혼례의 구색을 맞추기에 적합하게 되었다. 조선중기 이후 국왕의 혼인은 관소를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사서인과 동례인 진친영에 접근하였고 경우에 따라서는 별궁을 의제적 왕비집으로 하여 진친영의 외관을 과시하려고 하였으면서도, 별궁의 공적 역할을 부각시킴으로써 끝내 국왕 혼례의 독자성을 유지하였다. 결국 별궁친영은 국왕혼례의 독자성과 진친영의 이행이라는 양면성을 모두 갖춘 기묘한 타협책으로 마련된 것으로, 이렇게 탄생된 별궁친영은 이후 대한제국기까지 확고히 정착되어 『주자가례』의 혼례에 따라 국왕의 혼례를 치르려는 노력을 최대한 반영한, 조선왕조 특유의 최종적인 귀결책이 되었다. It was for the purpose of keeping the king's authority that MyeongSa-BongYeong(命使奉迎) was adopted in the early Choseon period. Namely, instead of receiving the queen in person, the king required that the queen be guided to the palace by his messenger for the marriage ceremony. Gaguan-Chinyeong(假館親迎), implemented under the reign of Joongjong(中宗) in the 16th century, was changed from the previous ceremony procedure in accordance with Juja-Garye(朱子家禮). However, it wasn't the same way of having the king receive the queen from queen's house personally; it was only a compromise in which the king receive the queen in a middle place, Tai-Pyoung Guan(太平館), between the court and the queen's house. After Joongjong's reign, Gaguan-Chinyeong was performed twice in the SeonJo(宣祖) Dynasty. However, at the time of the Injo(仁祖) dynasty, the form of the king's marriage ceremony was changed into BeolGung-Chinyeong(別宮親迎), in which the king received the queen from Beol-Gung(別宮) in person. On the surface this change was presented as a result of the difficulty of finance after the war of ByungJa-HoRan(丙子胡亂); however in reality it was deeply connected with the appearance of the SeoIn(西人) party who believe that propriety is the same between the sovereign and his subjects, namely “GunSabu-Dongilrye"(君士夫同一禮). However the Gaguan-Chinyeong, which maintained the transcendental king's authority, was not abandoned easily. It appears that Beol-Gung played an influential role in diminishing the reaction to the changing practice of Gaguan-Chinyeong to BeolGung-Chinyeong. As Tai-Pyoung Guan was devastated by the war at that exact time, the adoption of the policy of receiving bride from Byeol-Gung was implemented on a more simple and less extravagant scale. The origin of Byeol-Gung expected the bride of the crown prince to live apart from her native family. Its purpose was to strengthen the authority of the bride who will be a member of the royal family. Afterwards, choosing one of the palaces to be used for Byeol-Gung became a habitual practice. And then, Byeol-Gung was utilized as the place where the bride of the king or crown prince trained to become a member of the royal family. Therefore Byeol-Gung had two faces of meaning: one was public space which was one of the palaces, and the other was private space where the selected bride of the king or crown prince was living. Finally, Byeol-Gung not only made the queen keeping the authority of royal family, but also made the best use of the point of Chinyeong by receiving the queen at the place where she is living. And what is more, Byeol-Gung enabled the king to reduce the loss of his authority which was caused by visiting private house in order to receive the queen. It was because Byeol-Gung where king received his bride, the queen, was not a private house but one of the palace. After middle Choseon period, the propriety of king's marriage got near to his subject's propriety, by rejecting Gaguan-Chinyeong. But the peculiarity of king's marriage was maintained by emerging public role of Byeol-Gung. After all, Byeol-Gung was prepared for the compromising plan of two faces; one was reflection of peculiarity of king's marriage ceremony, and the other was transitional stage for performing Gin-Chinyeong(眞親迎) which was mentioned in Juja-Garye. From this time to Teahan Empire era, BeolGung-Chinyeong was lasted.

      • KCI등재

        조선전기 국왕 국장(國葬)에서 명(明) 사신의 의례설행과 그 공간

        이현진 조선시대사학회 2018 朝鮮時代史學報 Vol.- No.85

        Before announcing itself as the Daehan Empire in 1897, Joseon had been situated in a Sino-centric order, as part of the Chinese periphery and also as a subordinate lord state to the majestic empire which China was at the time. In order to maintain that kind of relationship, whenever a Joseon king died and a new king was to be enthroned, Joseon was obliged to notify the Chinese government and seek approval for the entire process. The emissary Joseon dispatched to China for this very purpose was called ‘Gobu-sa(告訃使, emissary to inform the death of the king).’ This envoy officially informed the Chinese government the death of the Joseon king, asked the Chinese Emperor to bestow a posthumous title for that former leader, as well as approve the enthronement of the new one. The leadership of the Gobu-sa delegation was composed of three main figures(Samsa, 三使): Head delegate(Jeongsa, 正使 or Sangsa, 上使), Vice delegate(Busa, 副使), and Associate delegate(Seojang-gwan, 書壯官). After completing their mission in China, they would return to Joseon with the Ming delegation dispatched by the Chinese emperor. The protocols the members of this Ming delegation observed in Joseon were specified in the Funeral Protocols (Hyung’rye, 凶禮) section inside the Dynastic Code, such as Yeong-Sashije-geub-Jobu’eui(迎賜諡祭及弔賻儀, Protocols to Greet the Chinese Emissary who is coming to bestow posthumous title, a funeral, and also provide condolence), Sabu-eui(賜賻儀, Providing Condolence Protocols), Sashi-eui(賜諡儀, Bestowing Posthumous Title Protocols), and Saje-eui(賜祭儀, Bestowing a Funeral Ceremony Protocols), etc. The first one, Yeong-Sashije-geub-Jobu’eui, dictated that either the Provisional Leader in Charge(Gweonseo Guksa-ja, 權署國事者, the successor to the deceased king, before China’s approval) or the King(after being approved by China) would go to the Mohwa-gwan(慕華館) Hall, greet the Chinese condolence delegation and escort(or accompany) them to the Taepyeong-gwan(太平館) Hall which would serve as their staying residence, and then receive the Posthumous title order(Go’myeong, 誥命), Imperial Eulogy[祭文], and condolence materials[賻物] with respect. The other three protocols were also important. Sabu-eui was the ritual in which the Ming delegate would hand over the condolence material sent from the Ming Emperor to the new Joseon king, and this protocol was observed in the Geunjeong-jeon Hall of the Gyeongbok-gung palace. Sashi-eui was the ritual in which the Ming Emperor would provide an order containing the posthumous title for the deceased king, while Saje-eui was the ritual for the Joseon king and officials when they received the Imperial Eulogy given from the Ming Emperor. The last two protocols were observed in the Honjeon(魂殿) Chamber of the dead king, as the true recipient was not the new king but the deceased one. It should be noted that Joseon dynastic codes do not contain protocols designed for the newly enthroned king. The rite for the new king’s enthronement was performed when the Joseon king would announce the Ming edict approving the new king as the ‘Joseon King’ at the Gyeongbok-gung palace’s Geunjeong-jeon hall, on his way to Taepyeong-gwan to observe the Yeong-Sashije-geub-Jobu’eui protocol. 조선은 1897년 대한제국을 선포하기 전까지 중국의 번방으로서 중국과는 천자국-제후국이라는 계서적 질서 속에 놓여 있었다. 이러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조선의 국왕이 승하하고 새로운 국왕이 즉위할 때 반드시 중국 조정에 알려서 그들의 승인을 받는 것이 제후국의 분의(分義)였다. 이를 위해 조선에서 파견하는 사신을 ‘고부사’라고 한다. 이들은 국왕의 죽음을 알리고 그의 시호를 청하며, 새로 즉위한 국왕의 즉위를 인정해줄 것을 청하는 세 가지 임무를 띠었다. 고부사의 전체 구성원은 대체로 정사 혹은 상사, 부사, 서장관의 삼사(三使)를 주축으로 종사관, 종인 등으로 구성되었다. 중국에서 임무를 완수한 고부사는 중국 황제가 파견한 명 사신과 함께 조선에 당도했다. 한편, 국가전례서 흉례조에 명 사신이 설행하는 의례가 재록되어 있다. 곧, 「영사시제급조부의」, 「사부의」, 「사시의」, 「사제의」 등이다. 「영사시제급조부의」는 권서국사자 혹은 국왕이 모화관으로 가서 조문 사신을 맞이한 뒤 그들과 함께 숙소인 태평관으로 가서 그들이 가지고 온 고명과 제문, 부물을 안치하는 절차이다. 「사부의」는 황제가 상주(喪主)인 조선의 국왕에게 내리는 부물을 명 사신이 전달하는 의례로 경복궁 근정전에서 이루어졌다. 「사시의」는 황제가 시호가 기록된 고명을 선왕에게 내리는 의례이고, 「사제의」는 황제가 내린 제문을 받는 의절이다. 「사시의」와 「사제의」는 죽은 선왕을 대신하여 현 국왕이 고명과 제문을 받는 절차이기 때문에 행례 공간은 선왕의 신주가 봉안되어 있는 혼전이었다. 주의할 점은 조선의 새로 즉위한 국왕에 대한 책봉례가 국가전례서에 실려 있지 않다는 점이다. 책봉례는 「영사시제급조부의」를 행할 때 태평관으로 가기 전 경복궁 근정전에서 ‘조선국왕’으로 책봉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는 조칙을 선포하면서 이루어졌다.

      • KCI등재

        조선전기 북평관의 설치와 기능

        박정민 서울역사편찬원 2023 서울과 역사 Vol.- No.115

        북평관은 조선전기 여진 외교의 중심 공간으로 내조 여진인의 접대와 교역, 외교교섭 및 정보 수집 등 다양한 역할을 담당했던 장소이다. 이곳에서 조선은 임진왜란 이전까지 여진관계를 안정적으로 유지해 나갈 수 있었다. 고려말부터 조선이 한양으로 천도할때까지 여진인은 개경으로 내조하였고, 이들을 위한 관사가 마련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한양 천도 이후에 조선은 태평관을 먼저 설치한 뒤 태종대와 세종대에 이르러 동평관과 북평관을 설치하였다. 북평관으로 확정되기 전인 1423년(세종 5)부터 야인관을 설치하여 계속 유지된 것으로 보인다. 1438년(세종 20) 3월에 동평관을 정비하면서 야인관도 북평관으로 명칭을 변경하였고, 각종 체제도 갖추었다. 한편, 지금의 동대문역사문화공원 자리에 있던 북평관이 1506년(연산군 12)에 경주‧안동의 京邸로 옮겼다. 여기에 대해 선행연구에서는 모호하게 처리하였으나 각종 사료를 살펴본 결과 경주와 안동의 경저로 쓰이던 장소로 이설했던 것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북평관은 늦어도 1426년(세종 8)부터 임진왜란까지 운영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생각한다. 북평관은 접대와 무역뿐만 아니라 여진인의 정보 수집, 여진인뿐만 아니라 중국인과 왜인 등이 잠시 머무는 공간, 만남의 장소, 일탈의 장소 등 다양한 기능과 역할을 가지고 있었다. 이번 기회를 토대로 북평관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보완하여 그 실체를 파악하는 단초가 되기를 기대한다. Bukpyeonggwan(北平館) is a central space for Jurchen(女眞) diplomacy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played various roles such as entertainment, trade, diplomatic negotiations, and information collection of Jurchen who came to Hanyang. Here, Joseon was able to maintain stable Jurchen relations before the Imjin War. From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until Joseon moved to Hanyang, Jurchen in visited Gaegyeong(開京), and it seems that official residences were prepared for them. After Hanyang(漢陽) cheondo, Joseon installed Taepyeonggwan(太平館) first, then Dongpyeonggwan(東平館) and Bukpyeonggwan From the time of King Taejong to the time of King Sejong. It seems that the Yaingwan(野人館) was installed and maintained from 1423 before it was confirmed as Bukpyeonggwan. In March 1438, when Dongpyeonggwan was renovated, the name of Yainggwan was also changed to Bukpyeonggwan, and various systems were established. Meanwhile, Bukpyeonggwan, which was located in the current Dongdaemun History Park, was moved to GyeongJeo in Gyeongju and Andong in 1506. This was handled vaguely in previous studies, but after examining various historical sources, I think it was moved to a place used as a landscape house in Gyeongju and Andong. Therefore, I think it is very likely that Bukpyeonggwan was operated from 1426 to the Imjin War at the latest. Bukpyeonggwan had various functions and roles, including not only entertainment and trade, but also information collection of Jurchen, a space where not only Jurchen but also Chinese and Japanese people stay for a while, a meeting place, and a place of deviation. Based on this opportunity, we hope that it will be a step to understand the reality by supplementing the existing research on Bukpyeonggwan.

      • KCI등재

        조선시대 국왕 嘉禮의 절차와 규범

        임민혁 동양고전학회 2012 東洋古典硏究 Vol.0 No.47

        이 글에서는 의례의 시공간에 대한 인식체계를 기초로 국왕의 가례를 거행하는 공간으로서의 궁궐과 별궁, 妃氏의 본가 그리고 가례의 단계별 의절을 살펴보았다. 국조오례의 등 국가전례서에 수록되지 않은 규범을 자세히 밝혀, 종법사회의 특징인 국왕 가례의 역사적⋅문화적 의미와 가치를 복원해 보고자 했다. 妃氏의 별궁 사용은 단종 2년에 처음 기록이 나온다. 선조 때까지만 해도 육례를 거행하는 비씨가는 궁궐 인근의 대군의 집을 임시로 사용하고, 왕비가 태평관으로 거둥하여 그곳에서 임금이 친영했다. 이것이 인조대에 이르러 효종의 잠저였던 어의동본궁을 별궁으로 지정함으로써, 비씨의 생활공간이면서 친영을 거행하는 국왕 지정 관소가 되었다. 비씨의 본가는 그 인근의 집을 세내 사용했다. 삼간택에서 낙점된 처자 ‘妃氏’는 즉일로 별궁으로 갔다. 가례 업무는 局과 동격인 가례도감에서 수행했다. 비씨는 왕비에 준하는 대우를 받았으며, 별궁생활과 비씨 본가의 혼례에 드는 모든 비용은 국가에서 충당했다. 삼간택이 끝난 다음날 國婚定例의 기준대로 비씨의 친정에 聘財를 보내고, 3일째에는 별궁에 예물을 보냈다. 국왕의 가례는 사서인례와는 달리 고례의 형식을 따라, 납채⋅납징⋅고기⋅책봉⋅친영⋅동뢰연 등의 육례로 정형화되었다. 사전 준비로는 별궁의 수리와 생필품의 완비, 정사와 부사 이하 제집사의 차출, 육례 길일시의 길흉점, 예행연습인 習儀 등이 이루어졌다. 사직과 종묘에 告由하는 것으로 시작하는 육례는 궁전에서 친행하였다. 이는 본가인 국왕의 家에서 행해야 하기 때문이었다. 비씨가의 주인도 본가에서 이 예를 받아들이는 의례를 거행했다. 납채 이후 3일째에는 비씨가에 선조연간부터 시작된 定親예물을 보내고, 납징 하루 전에는 ‘本房禮物’이라 하여 비씨의 부모 앞으로 聘財를 수송했다. 납채 다음 절차인 납징은 혼사를 성립시키는 의절이다. 이어서 중국 송나라의 제도를 수용한 조선에서는 請期가 아닌 告期를 거행했다. 친영에 앞서 국왕은 왕비를 책봉했는데, 국왕은 동등한 지위의 여성과 혼인해야 하는 명분 때문이었다. 이날 비씨는 왕비의 권한과 지위를 상징하는 교명문과 책보⋅명복 등을 받음으로써, 국모요 주부로서의 권위를 획득하기에 이르렀다. 이처럼 국왕 가례는 毋不敬이라는 예의 정신이 관통하고 있었다. 그 절차는 부부의 예를 완성하고, 인륜과 상하존비의 질서를 확립해 가는 과정이었다. 이로써 국왕은 종법의 정통을 계승하고 비씨는 점차 왕비로서의 권위를 높여갈 수 있었다. 각 규범의 이행은 별궁의 지정 등으로 사서인례와 차별적인 왕조례의 특수성을 제도화하고, 혼수의 국가 부담 등으로 절제를 장려하고 갈등의 요소를 없애며, 민간의 습속을 채용하여 전통을 존중하고, 습의의 철저로 기강을 바로잡는 등의 파급효과를 나타내 사회의 질서와 안정에 크게 기여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There is definite protocol for performing a wedding ceremony of a king. Napbi-eui(‘a ceremony for choosing a queen’) stipulated like a law in National Five Rites is euiju(‘a book of court rites’) and deals with ritual formalities of yuklye(‘six rites’). Additional protocol, tool, institution etc were required in order to perform yuklye in accordance with euiju. Euiju is a kind of manual that stipulated in detail ceremonial sections for each rite and proceedings and methods of ceremonies including bodily movements like moving forward and backward, seunggang(‘to rise and fall’), jwagi(‘to sit and get up’), eupyang(‘to gather hands and bow’) etc, and directions, attires, utensils etc. Among them, content except ceremonial sections and yeyong(‘polite attitudes’), that is, euitaeyongmo(‘ceremonial attitudes and attires’), cannot be carried in euiju. Concrete ritual formalities that couldn’t be carried in euiju required additional protocol. Thus, enacted that way, many ceremonial sections and institutions were performed in king’s wedding ceremony like a standard or regulation. This protocol belongs to the category of yeje(‘a ritual institution’). Byeolgung(‘a separate palace for a queen or a crown princess’), gilhyungjeom(‘divination’), symbolic objects for a queen etc are constituent elements of ceremony that belongs to yeje. The nature of protocol in various ceremonial rituals performed in king’s wedding ceremony is closely related to the tradition of inheriting rules. Although there could be additions and subtractions due to restrictions like king’s arbitrary will or external conditions, the nature of sustainability in protocol is obvious in king’s wedding ceremony. This text has introduced the procedures of king’s wedding ceremony in detail. It is necessary to approach rituals in various ways within the system of awareness of time and space. Spaces for performance of king’s wedding ceremony are categorized into three areas of palace, byeolgung and the maiden home of the queen. The study investigated in detail byeolgung and the maiden home of the queen among them to which had been paid less attention. The historicity of national ceremonies has conservative tendency that doesn’t change prominently in accordance with the flow of the times. Though there appeared some changes in certain elements in ceremonial formalities, they did not alter the protocol of rituals. So, the study tried to explain such partial changes throughout the entire period of Joseon Dynasty and simultaneously endeavored to grasp, in a profound and practical manner, the procedures of each ceremonial section in stages, beginning from the preparation of wedding ceremony. I hope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restoring historical and cultural meaning and values of king’s wedding ceremony with utmost authority that achieves the ideologies of jongmyo(‘royal ancestral shrine’) service and familial inheritance, both characteristic of jongbeop(‘laws governing familial relationships’)-dominated society.

      • KCI등재

        실록에 나타나는 15세기 태평관·모화관 건축과 관련 인물연구

        김버들,조정식,Kim, Bue-Dyel,Cho, Jeong-Sik 한국건축역사학회 2016 건축역사연구 Vol.25 No.4

        This study is based on the 15th century's architecture Mohwagwan and Taepyeonggwan and the architects behind i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line with Ming dynasty's protocol, the King of Joseon marched with honor guard in front of his people. Therefore, the Joseon dynasty needed to match space was implemented and result in Mohwagwan and Taepyeonggwan. Second, King Taejong founded Mohwaru to share the role with Taepyeonggwan. He appropriately utilized Mohwaru as a place in manners before people enter the Seoul city wall. And He organized this architecture on the level of the palace. Third, Pak Jacheong was overseer the whole constructive process, from the selection of site, landscaping, construction, maintenance to civil engineering of Mohwaru. There are many difficulties, but he completed through the construction work owing to the protection of King Taejong. Forth, Hong Li worked with Pak Jacheong to build Taepyeonggwan and Mohwagwan from Taejong to Sejong. Supervisors in King Sejong times were required not only private capability but also understanding the Confucianism ritual. Hong Li was faithfully performed the role. Fifth, Sejong was recognized only an excellent ruler but he was also a great coordinator with a professional knowledge about architecture. These Sejong's action fully can be seen as an archit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