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도시재생계획 수립 시 탄소저감사업 계획에 따른 이산화탄소 발생량 분석

        최창규 ( Chang-gyoo Choi ),박기용 ( Ki-yong Park ),박희경 ( Hee-kyung Park ) 한국환경기술학회 2014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15 No.6

        본 논문은 대상지역의 탄소발생량 현황과 도시 재생에 있어서 탄소저감 사업에 따른 탄소 저감량을 분석하여 도시재생 계획이 탄소저감에 어느 정도 기여하는지를 평가하고, 중장기적으로 탄소저감 시나리오별 탄소 발생량 저감치를 예측하여 BAU 대비 탄소저감 목표치를 달성하는지 여부를 평가하였다. 현황분석에서 대상지역의 탄소발생량은 73,368 tCO<sub>2</sub>eq로 산정되었으며, 특히 건축물 및 수송 분야의`에너지`에 해당하는 부분이 44%로 도출되어 이 지역은 건축물 및 수송 분야의 에너지 저감사업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2011년 대비 2020년 탄소 발생량이 74,214.7 tCO<sub>2</sub>eq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타 시도에 비해 낮은 증가율을 보이는 것으로 이는 도시쇠퇴에 의한 상가 공실률 증가 및 거주인구 감소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도시재생사업에 의한 탄소 저감량은 3,552 tCO<sub>2</sub>eq로 약 11.5%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2020년 BAU 대비 탄소저감 목표의 5.3%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이러한 도시재생에 따른 탄소 저감량을 높이기 위해 시나리오 A, B, C로 구분하여 각 사업별 목표치를 설정하여 예측한 결과, 시나리오 A가 약 5%, B가 11%, C가 15%로 분석되어 최소한 11% 이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시나리오 B를 도시재생 사업의 탄소저감 목표치로 설정하여 중장기 사업을 수립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This paper estimated a generation mass of GHG (Greenhouse Gas) at objective area and diminution mass of carbon dioxide on the urban regeneration schemes, and forecasted the diminution mass of GHG within the objective period. Thus, it evaluated that urban regeneration schemes can contribute the GHG reduction in urban area. Total mass of GHG generation was 73,368 tCO2eq in an objective area, and the sector of `Energy` accounted for 44%. It found that urban regeneration schemes were focused to the reduction of energy consumption at `shopping and public building`. The GHG mass was measured with 73,367.4 tCO<sub>2</sub>eq in 2011, and it predicted that GHG mass might be increased to 74,214.7 tCO<sub>2</sub>eq in 2020. The diminution mass on urban regeneration schemes estimated 3,552 tCO<sub>2</sub>eq, it expected that GHG mass might decrease to 11.5% at an objective period, and it is 5.3% of a goal of GHG reduction mass in 2020. In the analysis of a GHG diminution mass on scenario A, B and C, scenario B and C, which presented the strong GHG reduction standards, expected to achieve 11% indicating the target of GHG reduction rate based on BAU.

      • KCI우수등재

        전자정부 G2B 시스템 도입에 따른 탄소저감효과 분석을 위한 모델 및 방법론 개발

        임규건(Gyoo Gun Lim),이대철(Dae Chul Lee),임미화(Mi Hwa Lim),문종인(Jong In Moon) 한국전자거래학회 2010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15 No.3

        최근 온난화 현상에 따른 범세계적 위기가 초래됨에 따라 선진국을 중심으로 교토의정서가 체결되었으며, 이를 계기로 온실가스 규제가 본격화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교토의정서의 교토유연성체계라는 시장메커니즘이 도입되어 온실가스 배출에 대한 소유권이 설정되고, 수급에 따라 배출권 가격이 형성되는 등 새로운 무형의 자원을 거래하는 탄소시장이 등장하게 되었다. 학계에서는 탄소배출효과를 측정하는 방법론과 이를 탄소배출권의 경제적 비용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태동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정부 정보화사업 중 하나인 G2B 시스템을 통해 전통적인 조달업무 프로세스가 온라인화 됨에 따라 저감되는 탄소 배출저감효과 즉, e-transformation화에 따른 탄소저감효과를 측정하는 ECRE(Evaluation of CO₂ Reduction in E-transformation)모델과 절차를 제시하고자 한다. ECRE 모델은 세계기후협의체(IPCC)의 방법론을 근간으로 하여 크게 ‘이동 수단에 따른 탄소저감효과’, ‘종이문서 절감에 따른 탄소저감효과’ 2가지의 탄소배출량을 측정하고 이를 탄소배출권의 경제적 비용으로 환산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탄소저감효과를 효과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5단계와 10개의 세부절차로 구성된 절차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ECRE 모델과 절차를 이용하여 정부기관은 물론 온실가스 규제를 받게 되는 에너지 환경기업 등에서 정보화사업을 통한 탄소감축 실적의 추정 및 추가적인 정보화사업 추진으로 기대되는 탄소저감효과를 사전에 시뮬레이션해 볼 수 있는 도구로서 활용이 기대된다. As a part of efforts to reduce the global emissions of greenhouse gases, the Kyoto Protocol was signed by major developed countries (“Annex I” countries). According to the Kyoto protocol, the Emission Trading Scheme that derives a trading market of the CO₂ emission rights is appeared. It causes that business institutions give lots of efforts to reduce CO₂ by using new environmentally sound technologies or increasing efficiency in production. On the while there have been several studies trying to develop a methodology to measure the effect of CO₂ reduction and its monetary value. In this research we suggest ECRE (Evaluation of CO₂ Reduction in E-transformation) model which can measure the CO₂ reduction effect through the introduction of G2B system. ECRC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the IPCC methodology. ECRC model measures the two major effects of the CO₂ reduction which are ‘CO₂ reduction effect from transportation’ and ‘CO₂ reduction effect from the decrease of paper use’. In this paper, we calculate the economic effect of CO₂ reduction with the case of the G2B system in Korea. This research suggests a basic methodology to measure the CO₂ reduction performance for the e-transformed institution.

      • KCI등재

        도시재생사업 적용에 따른 탄소저감 효과 - 전주TB지역을 대상으로 -

        박기용,이상은,박희경 대한토목학회 2016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6 No.1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urban regeneration project as a countermeasure to resolve climate change issues by analyzing the carbon-reduction effect of Jeonju test-bed cases. First, an urban regeneration project is designed for city, Jeonju by analyzing its environmental problems and potential improvement. Then, carbon emission and reduction amounts are evaluated for different businesses and scenarios. Carbon emission source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a standard suggested by IPCC, and the emissions are calculated by various standard methods. The result shows that carbon emission amount in Jeonju test-bed is 102,149 tCO2eq. The fact that 70% of the emission from energy sector originates from buildings implies that urban regeneration projects can concentrate on building portions to effectively reduce carbon emission. It is also projected carbon emission will decrease by 3,826tCo2eq in 2020 compared to 2011, reduction mainly based on overall population and industry shrinkage. Whe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re applied to 5 urban sectors (urban environment, land use, green transportation, low carbon energy, and green buildings) total of 10,628tCO2eq is reduced and 4,857tCO2 (=15.47%) when only applied to the green building sector. Moreover, different carbon reduction scenarios are set up to meet each goal of different sectors. The result shows that scenario A, B, and C each has 5%, 11%, and 15% of carbon reduction, respectively. It is recommended to apply scenario B to achieve 11% reduction goal in a long term. Therefore, this research can be a valuable guideline for planning futur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relative policies by analyzing the present urban issues and suggesting improvement directions. 본 연구는 도시 환경 개선을 위해 각광받고 있는 도시재생사업계획시 탄소저감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며, 전주시TB지역에서 논의되었던 실제 사업을 중심으로 실증코자 한다. 우선, 전주시의 구도심인 TB지역을 대상으로 문제점 및 잠재력을 분석하여, 이를 극복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이고 적합한 도시재생사업을 전략적으로 계획하였다. 그리고 각 사업별, 저감시나리오별 탄소 발생량 및 저감량을 분석하였다. 탄소배출원 분류는 IPCC에서 제시한 자료를 토대로 분류체계를 작성하였으며, 분석방법은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가이드라인을 통한 배출량 산정법, 기존 탄소 배출량 산정 결과를 바탕으로 한 Down-Scaling 산정법, 원단위를 활용한 배출량 산정법, 에너지 시뮬레이션을 통한 산정법(건축물 분야)을 서로 연개하여 탄소배출량을 분석하였다. 현황분석에서 대상지역의 탄소발생량은 102,149tCO2eq로 산정되었으며, 특히 ‘건축물’ 부분의 배출 비중이 약 70%으로서, 도시재생사업시 건축물 분야에 집중하는 것이 탄소배출량 감소를 위해 효율적인 전략이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대상지역의 2020년의 탄소배출량은 2011년 대비 3,826tCo2eq 만큼 자연적으로 감소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상가 공실률 증가와 산업체 수 및 주거지역 인구수 감소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 대상지역에 대해 5개의 분야(도시환경, 토지이용, 녹색교통,저탄소 에너지, 녹색건축물)에 걸쳐 도시재생 전략사업을 적용 하였을 경우 총 10,628tCO2eq 만큼이 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축물 부문에 한정하여 세부적인 사업계획을 세웠을 경우 탄소 저감량은 4,857tCO2로 15.47%의 저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도시재생에 따른 탄소저감량을 높이기 위해서 시나리오 A, B, C로 구분하여 각 사업별 목표치를 설정하여 예측한 결과, 시나리오 A가 약 5%, B가 11%,C가 15%로 분석되어 최소한 11% 이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시나리오 B를 도시재생 사업의 탄소저감 목표치로 설정하여 중장기 사업을 수립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는 향후 정부 정책과 연계한 도시재생사업의 구체적인 계획 수립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시의 환경정비를 위한 재생의 이슈와 함께, 기후변화저감에 기여하기 위한 지역차원의 노력을 종합해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탄소저감량 산정 사례를 통한 도로 설계요소별 기법 적용방안 마련 연구

        손원표,강전용,박경석 한국도로학회 2013 한국도로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초록집 Vol.2013 No.09

        지구온난화로 인한 이상기후는 자연재해의 발생 등 큰 피해를 초래하여, 범지구적 차원의 기후변화 협 약이 체결되고 세계 각국은 온실가스 배출을 저감하기 위한 가시적인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특히 탄소배출의 주요 원인으로 교통부문이 부각되면서 도로는 자연환경을 훼손하고 자동차는 탄소발 생을 증대시키는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실제 기존의 도로는 기능성과 경제성, 안전성 위주로 조성되어 주변 자연환경을 훼손하고 탄소배출에 대한 고려가 소홀하여, 도로건설에 따른 자연환경의 훼손을 최소화하고 자연환경에 순응하여 탄소발생을 저감시키는 설계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나 현재 도로부문에서의 탄소저감을 위한 기술개발은 일부 시설물에 국한된 초기단계에 있다.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여 도로의 선형, 횡단면, 환경시설대, 구조물(교량)을 주요 설계요소로 하는 탄소 저감을 위한 ‘그린네트워크 도로설계 기법’ 개발을 위한 연구를 수행함으로서, 도로의 설계요소별 기존 도로설계 대비 그린네트워크 도로설계기법 적용을 통한 탄소배출량과 저감량을 산정하여 요소별 탄소저감 효과분석에 따른 최적의 설계기법을 적용하고자 한다. 따라서, 도로설계시 설계요소별 탄소저감량 산정 사례 연구를 통하여 최적의 도로설계 기법의 적용 방 안을 마련하고, 그린네트워크 도로설계 절차를 정립하여 향후 과제 도출을 위한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본 연구의 목표로 한다.

      • 이산화탄소 배출량 분석을 통한 저수지 제체 침투누수 저감공법 평가

        노수각 ( Sookack Noh ),김태완 ( Taewan Kim ),봉태호 ( Taeho Bong ),박재성 ( Jaesung Park ),손영환 ( Younghwan Son ) 한국농공학회 201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2 No.-

        현재 한국의 68,000여개의 농업생산기반시설 중 약 47%가 1971년도 이전에 건설되었으며 저수지 제체의 50%이상이 1945년 전에 지어져 많은 시설들이 노후화된 실정이다. 특히 저수지 제체에서는 노후화로 인하여 침투누수, 사석 결함, 풍화, 활동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 중에서 침투누수로 인한 문제가 가장 크게 나타나고 있어 저감공법을 통한 제체 안정화 대책이 필요하다. 제체에 침투누수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많은 현장에서 경제성과 효율적 측면을 고려하여 저감공법을 선정한다. 하지만 침투누수 저감 공사와 같은 건설 사업은 환경 파괴적 성향으로 인식되어 정량적 환경성 평가를 실시를 통한 지속가능한 건설사업 추진이 필요하다. 최근 정량적 환경성 평가로 많은 산업분야에서 온실가스 저감 대책의 실시로 인하여 이산화탄소 배출량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 제체 침투누수 저감공법 시공 중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 분석을 통하여 저감공법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산화탄소 배출량 분석을 통한 저수지 제체 침투누수 저감공법 시공 과정의 정량적 환경성 평가를 통해 농업생산기반시설건설 사업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건설사업 시공 중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배출 특성 분석을 통하여 농업생산기반시설 건설 부분에서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을 위한 정책수립에 대한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Mitigation Potential in Non-CO<sub>2</sub> Greenhouse Gases

        문승현,박찬영,김영주,김현식 한국공업화학회 2016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6 No.1

        지구온난화에 대한 대응방안으로 온실가스의 저감 방안이 전세계적인 흐름으로 논의되고 있으며, 2015년 12월 파리에서 열린 COP21의 결과로 195개국이 자발적인 온실가스 저감계획을 제출하였다. 우리나라도 2030년까지 BAU대비 37%의 온실가스 저감 계획을 제시하여 목표 저감량 달성을 위한 전 방위적인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온실가스 저감으로는 신재생에너지를 비롯하여 다양한 방법이 필요 하지만 최종적으로는 배출되는 온실가스의 저감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지구온난화지수가 높은 비이산화탄소의 저감은 비용효과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본 고에서는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특히 비이산화탄소의 발생원과 가스 종류별로 저감기술 적용가능성, 저감효울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비이산화탄소 분야의 저감잠재량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전기화학적 이산화탄소 환원을 통한 일산화탄소 생산 공정의 전과정평가 : 온실가스 저감 잠재량 분석

        노고산 한국청정기술학회 2022 청정기술 Vol.28 No.1

        Electrochemical carbon dioxide (CO2) reduction technology, one of the promising solutions for climate change, canconvert CO2, a representative greenhouse gas (GHG), into valuable base chemicals using electric energy. In particular, carbonmonoxide (CO), among various candidate products, is attracting much attention from both academia and industry because of itshigh Faraday efficiency, promising economic feasibility, and relatively large market size. Although numerous previous studieshave recently analyzed the GHG reduction potential of this technology, the assumptions made and inventory data used are neitherconsistent nor transparent. In this study, a comparative life cycle assessment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potential for reducingGHG emissions in the electrochemical CO production process in a more transparent way. By defining three different systemboundaries, the global warming impact was compared with that of a fossil fuel-based CO production process. The resultsconfirmed that the emission factor of electric energy supplied to CO2-electrolyzers should be much lower than that of the currentnational power generation sector in order to mitigate GHG emissions by replacing conventional CO production withelectrochemical CO production. Also, it is important to disclose transparently inventory data of the conventional CO productionprocess for a more reliable analysis of GHG reduction potential. 전기화학적 이산화탄소 환원 기술은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대표적인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유용한 기초 화학제품으로전환시킬 수 있는 유망한 기술 중 하나다. 특히, 다양한 후보 제품 중 일산화탄소는 높은 Faraday 효율과 우수한 경제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학계와 산업계의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과거 여러 연구진이 본 기술의 온실가스 저감 잠재량을 정량적으로 분석했으나, 분석 과정에서 도입된 과정과 사용된 인벤토리 데이터의 일관성 및 투명성에 문제가 제기된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화학적 이산화탄소 환원을 통한 일산화탄소 생산 공정의 온실가스 저감 잠재량 분석을 위한 전과정평가를 수행했다. 세 종류의시스템 경계를 정의 후 각각의 지구온난화지수를 화석연료 기반 일산화탄소 생산 공정과 비교했다. 분석 결과, 전기화학적 일산화탄소 생산 기술을 도입하여 온실가스를 저감하기 위해서는 전해조 구동에 필요한 전기에너지의 배출계수가 현재 국내 발전부문의 배출계수보다 충분히 낮아야 한다는 점을 확인했다. 또한, 신뢰성 있는 온실가스 저감 잠재량 분석을 위해서는 기존의 화석연료 기반 일산화탄소 생산 공정의 인벤토리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는 것이 중요함을 밝혔다.

      • KCI등재

        근린환경재생사업에서 탄소배출 저감형 최적 대안 평가 방안

        김영환(Kim, Young Hwan) 한국지적정보학회 2015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는 근린환경재생사업에서 탄소배출 저감형의 대안을 평가하고 최적 대안을 선정할 수 있는 탄소배출 평가체계를 구축하고 평가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근린재생지구 탄소배출 평가체계를 정의하고 탄소배출 평가요소의 구성 및 평가절차를 수립하여 근린재생지구 탄소배출 평가체계를 구축한 후, 이를 사례 대상지에 적용하여 모의실험 함으로써 탄소배출 평가체계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근린환경재생지구에서의 탄소배출 평가 절차는 기초조사 분석, 기본구상, 기본계획 수립, 기본설계, 탄소배출량 평가 등 다섯 단계로 구성된다. 둘째, 대상지의 현황 탄소배출량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부문은 녹색교통체계 부문이고 에너지 효율화 부문이 그 다음을 차지하였다. 셋째, 기존 현황 대비 11%의 탄소감축 목표하에 네 가지 시나리오별로 탄소 저감 요소기술을 도입하여 탄소배출량을 산정한 결과 배출량 부분에서는 녹색교통체계, 에너지 효율화, 건축물 정비 순으로, 저감량 부분에서는 녹색교통체계, 건축물 정비, 에너지효율화 순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근린재생사업에서 탄소저감 요소기술 도입비용 대비 탄소저감 효율이 높은 정비 방식은 건축물 리모델링>기존현황 유지>재건축>리모델링+재건축방식 순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This study tries to define and construct the carbon emission evaluation system in neighborhood regeneration district, and abstract optimum alternatives by simulating it in case study area.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ly, carbon emission evaluation process is consist of basic condition survey, basic scheme, basic plan, basic design, and carbon emission evaluation stage. Secondly, green traffic system and energy efficiency sector occupy most of existing carbon emission. Third, the result of accounting of carbon emission by four kinds of scenario reveals that green traffic system mostly affects on both carbon emission and reduction. Lastly, in view of cost benefit for introduction of carbon reduction element techniques, building remolding type neighborhood regeneration is most efficient in carbon emission and reduction.

      • 저급탄 고품위화 기술인 하이브리드석탄의 이산화탄소 및 대기오염물질(PM, SOx) 저감 연구

        이영주(Young-Joo Lee),송규섭(Gyu-Seob Song),락와더르지(Shagdarsuren Lkhagvadorj),김진성(Jin Seung Kim),최영찬(Young-Chan Choi),박세준(Se-Joon Park),강승창(Seung Chang Kang) 한국에너지기후변화학회 2021 한국에너지기후변화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1

        탈석탄 정책이 전 세계적으로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으나 가까운 미래에도 여전히 석탄 화력발전소는 기저부하로서 전력생산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석탄 화력은 지구온난화와 각종 대기오염의 주범임으로 청정한 화력발전소 운영에 필요한 각종 기술이 필요한 상황이다. 하이브리드석탄은 발전소의 이산화탄소와 대기오염물질 배출을 심화시키는 저급탄을 고품위화(발열량 향상, 수분 제거 목적)하는 기술로 저급탄의 수분을 당밀, 글리세롤과 같은 바이오매스로 대체하여 건조/탄화하여 제조한다. 본 연구에서는 0.1MWth 유동층 연소 설비를 이용하여 하이브리드석탄과 저급탄의 이산화탄소 및 대기오염물질 배출을 동시에 비교하였다. 연소 테스트 결과 하이브리드석탄은 저급탄에 비해 이산화탄소 14%, 일산화탄소 35%, PM 58%, SOx 24%가 저감되었으며, NOx 배출은 유사하였다. 하이브리드석탄과 고급탄을 혼소하는 경우 저급탄을 혼소할 때 보다 이산화탄소 7%, 일산화탄소 15%, PM 25%, SOx 9%가 저감되었다. 따라서 하이브리드석탄은 온실가스 및 대기오염물질 저감에 매우 뛰어난 연료라고 판단된다.

      • KCI등재

        녹색물류를 위한 탄소저감정책 평가항목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임미순(Mei-Shun Lin),박종흠(Jong-Hum Park),안승범(Seung-Bum Ahn) 한국항만경제학회 2009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25 No.4

        녹색물류는 21세기 지구촌시대의 번영을 위해 피할 수 없는 과제로서 역물류의 활성화, 화석에너지 사용 절감을 통한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 공동화 등을 통한 시설이용 효율화를 들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녹색물류에 따른 탄소저감 관련 정책을 수립하여 시행해 오고 있는 일본, 미국, 유럽 등의 정책 내용과 선진 사례를 광범위하게 고찰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친환경 물류정책을 수립, 평가하는데 있어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 외 항만 및 물류센터에서의 탄소저감사업의 주요 내용과 동향에 대해 고찰하고 그에 따른 예비평가항목 및 예비평가지표를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설문결과에 근거하여 구성항목들의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수송수단 이용에 대한 제한 및 전환과 대체연료의 사용에 대한 평가지표의 가중치에서, 대체연료의 사용의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시설ㆍ장비의 개선, 탄소배출량의 제한/감축, 물류체계의 개선, 대기시간 단축 평가지표의 상호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물류체계의 개선의 가중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저감시스템 구축, 오염원 배출 저감, 친환경소재의 이용 평가지표에서는 저감시스템 구축항목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탄소저감정책 관련 각 예비평가항목 및 예비평가지표들에 대한 상호중요도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에서 녹색물류 관련 정책입안자나 관련 기업담당자에게 탄소저감 사업추진에 있어 핵심이 되는 항목을 선정하는데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줄 것이다. Green logistics is regarded as an inevitable global trend in the 21st century. It can be accomplished through more broad and active reverse logistics globally, resulting in use of less fossil fuels, finally reducing carbon dioxide and other pollutants. Many countries such as U.S., Japan, EU nations have already set up policies related to carbon reduction, so-called 'green policies.' This paper aims to identify evaluation criteria for logistics policies and relative importance among those criteria, especially in the field of ports and in-land hub terminals. We examined projects related to carbon reduction from domestic and foreign ports and logistics centers and found evaluation factors and assessment indicators. With pre-evaluative items and pre-assessment indicators, we have done a survey and selected evaluation factors and assessment indicators for ports and inland hub terminals in Korea. By analyzing the mutual importance of each pre-evaluative items and pre-assessment indicators related to carbon reduction policies, this research provides guidelines on selecting the key items for the propulsion of carbon reduction projects. This study shows the importance of preliminary evaluation items and indexes with AHP in evaluating carbon reduction policies and the result shows the restrictions and change in transportation and use of alternative fuels. Lastly, it provides a guideline to policy-makers and firm managers in the field of green log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