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큐멘터리 영화 오프닝 타이틀시퀀스의 탈전형적 사례에 관한 고찰

        김정환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0 조형미디어학 Vol.23 No.1

        In the case of genre film, the direction of developing the title sequence is easily presented due to the clarity of composition, mood, and narrative development. On the other hand, non-fiction films such as documentaries can also obscure the direction of the title sequence, which is often understood and created as an extension of the documentary film while maintaining the formal weight of the documentary. This paper is presented for the empirical consideration of the 'expressive extensibility' of the documentary film title sequence. To this end, we examined how the original function and purpose of the film opening title sequence, which enables active conveyance of audiences, is working on documentary films. Through the analysis of documentary film title sequence cases that have escaped the typical form, we examined the possibility of producing and directing the title sequence in the form of a post-document with flexibility while enhancing the interest and immersion of the audience. As a result, even a documentary film containing facts and reality can be used to express various expression elements and expression techniques that can be used in the title sequence. Through this, the implied meaning of the film can be more effectively transmitted to the audience. Although it does not take the typical form of documentary,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quality as an opening title sequence more effectively when implicitly conveying the contents of the documentary film through change and transformation based on artistic creativity. I expect the creativ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director in the opening title sequence of documentary films. 장르영화의 경우 구성, 무드, 내러티브 전개 등의 명확함으로 인해 타이틀시퀀스 전개 방향은 수월하게 제시되며 이를 바탕으로 창작자의 예술성이 가미될 수 있는 여지가 충분하다. 이에 반해 다큐멘터리와 같은 논픽션 영화는 타이틀시퀀스의 방향 설정 또한 모호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다큐멘터리의 형식적 무게감을 유지한 채 마치 본 다큐멘터리 영화의 연장선처럼 이해되고 창작되는 경우도 많다. 본고는 다큐멘터리 영화 타이틀시퀀스의‘표현적 확장성’에 대한 실증적 고찰을 위해 제시되었다. 이를 위해 수용자에 대한 적극적인 의미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영화 오프닝 타이틀시퀀스의 본연의 기능과 목적이 다큐멘터리 영화에는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를 사례를 통해 살펴보고 그 결과를 통해 다큐멘터리 영화 오프닝 타이틀시퀀스의 전형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전형적 형태를 탈피한 다큐멘터리 영화 타이틀시퀀스 사례의 분석을 통해 수용자의 흥미도와 몰입감을 제고하며 동시에 유연성을 갖춘 탈(脫)다큐 형태의 타이틀시퀀스 제작 및 연출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사실과 실재를 담는 다큐멘터리 영화라고 할지라도 타이틀시퀀스에서 활용될 수 있는 표현요소와 표현기법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영화의 함축된 의미는 관객에게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비록 다큐멘터리의 전형적 형식을 취하지는 않으나 예술적 창의성에 기반하여 변화와 변형을 통해 다큐멘터리의 영화의 내용을 함축하여 전달할 때 더욱 효과적인 오프닝 타이틀시퀀스로서의 양질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다큐멘터리 영화의 오프닝 타이틀시퀀스에서도 연출자의 창의적인 작품해석과 적용을 기대해 본다.

      • KCI등재

        모션그래픽스의 화면전환 특성에 관한 연구 - TV 프로그램 타이틀 시퀀스를 중심으로

        최장섭 한국영상학회 2021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9 No.6

        영화와 마찬가지로 모션그래픽스의 화면전환은 장면과 장면 사이를 연결함으로써 내러티브 구조를 만들고 이야기를 전달한 다. 또한 전체 구조에 리듬을 부여함으로써 감정과 분위기를 만든다. 본 연구의 목적은 모션그래픽스가 주로 사용되는 형식인 TV 프로그램 타이틀 시퀀스의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모션그래픽스의 화면전환의 종류와 특성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연구 방 법으로 영화의 화면전환의 종류와 특성 그리고 모션그래픽스의 혼종적 성격을 알아봄으로써 모션그래픽스의 화면전환을 분 석하기 위한 선행연구를 진행한다. 이어서 모션그래픽스를 사용하는 대표적인 형식인 TV 프로그램 타이틀 시퀀스 중에서 다 섯 편의 타이틀 시퀀스를 선별하여 내용부터 구간별 화면전환 기법에 이르기까지 집중적으로 분석한다. 다섯 시퀀스는 다음 과 같은 순서로 화면전환 형식으로 분류된다 - 연속성을 위한 컷의 사용, 리듬과 의도된 효과를 위한 컷의 사용, 와이프의 사용, 보이지 않는 와이프의 사용, 카메라 이동과 유사한 화면전환. 이후 12편을 추가로 분석한 결과 타이틀 시퀀스는 다양한 방식의 화면전환들을 사용하며 일부의 타이틀 시퀀스는 1~2개의 기법 위주로 구성되지만 대부분의 타이틀 시퀀스는 여러 기 법을 혼용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모션그래픽스 기법의 TV 프로그램 타이틀 시퀀스의 화면전환의 특성을 도출한다. 첫째, 영화에 비해 와이프 화면전환을 많이 사용하는 경향을 보인다. 둘째, 영화에 비해 디졸브와 페이드는 매우 드물게 사용된다. 셋째, 의도된 효과를 위한 컷이 많이 사용되고, 그 중에서 특히 매치 컷과 인비저블 컷이 매우 많이 사용된다. 넷째, 빠른 카메라 이동처럼 보이는 화면전환이 많이 사용된다. 다섯째, 화면전환의 특성은 TV 프로그램의 장르가 아니라 기법에 따라서 달라지는 경향이 있다. Like film, transitions in motion graphics create a narrative structure and tell a story by connecting scenes. They also create emotions and moods by providing rhythm to the overall struc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screen transitions in motion graphics by analyzing TV program title sequences as a type of format mainly used in motion graphics. As a research method, a prior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screen transitions of motion graphics by examining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movie screen transitions and the hybrid nature of motion graphics. Next, TV program title sequences, a typical format using motion graphics, were analyzed. The five title sequences used here were intensively analyzed from the content to the screen transition technique for each section. The five sequences a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transition type in the following order - use of cuts for continuity, the use of cuts for rhythm and intended effect, the use of wipes, the use of invisible wipes, and transitions similar to camera movement. As a result of a further analysis of 12 title sequences, various screen transitions were noted; some title sequences are mainly composed of one or two techniques, but most title sequences use multiple techniques. Based on this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itions in TV program title sequences in terms of the motion graphics technique were derived as follows. First, there is a tendency to use more wipe transitions compared to the number off this type used in films. Second, dissolves and fades are used very rarely compared to how often they appear in films. Third, cuts for intended effects are often used, and among them, match cuts and invisible cuts are used very often. Fourth, screen transition resembling rapid camera movements are often used. Fifth, the characteristics of screen transitions tend to vary depending on the technique and not on the genre of the TV program.

      • KCI등재

        크리스티앙 메츠의 거대 통합체 구조에 따른 영화 타이틀 시퀀스 분석

        최장섭 ( Jang Seop Choi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5

        영상기호학은 1960년대 영화이론에 대한 본격적인 기호학의 도입 이래 활발하게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영상기호학의 연구 대상은 주로 서사 장편영화에 한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고 영화 타이틀 시퀀스의 기호학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많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크리스티앙 메츠(Christian Metz)의 대표적인 연구인 ‘거대 통합체(Grande Syntagmatique)’를 타이틀 시퀀스 분석에 적용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다양하고 자유로운 표현 양식을 가지는 타이틀 시퀀스 분야가 서사 장편영화와 달리 영화기호학의 관점에서 어떻게 조직되고 배열되는가를 탐구하고자 했다. 그 방법으로 메츠가 정리한 여덟 가지의 거대 통합체 유형을 서사를 가지고 있는 영화 타이틀 시퀀스에 적용해 보았다. 그 결과 영상기호학의 기반에서 서사 장편영화와 영화 타이틀 시퀀스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타이틀 시퀀스는 영화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나름대로의 독자성과 예술성을 평가받고 있으며, 무엇보다 실험적인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장르이다. 따라서 새롭게 변형되고 시도되는 다양한 타이틀 시퀀스의 유형을 분석하고 종합함으로써 타이틀 시퀀스의 영상기호학을 발전시켜나가는 것이 후속 연구의 과제라고 하겠다. Film semiotics has been actively investigated since the inflow of semiotics research into the film study. However the research has a partiality for a narrative feature film and the research on the semiotics of film title sequence has not been sufficient. This research tries to investigate how images are organized and arranged in the film title sequence in which unrestrained and various styles exist in comparison with the narrative feature film by applying Christian Metz`s Grande Syntagmatique into an analysis on film title sequences. In order to do that, this researcher applied Metz`s eight kinds of Grande Syntagmatique into film title sequences that has narrative structure. As a result, this researcher was able to find som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narrative feature film and film title sequence based on the film semiotics. A film title sequence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a feature film and at the same time it has its own artistic traits. Above all, it is a fast-changing genre in which various experiments have been tried out. Thus, many subsequent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based on the film semiotics studies of the film title sequence.

      • KCI등재

        타이틀 시퀀스의 시각적 수사법에 대한 연구

        엄기준(Um, Gi Jun),김민정(Kim, Min J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4

        본 연구는 타이틀 시퀀스의 함축적이고 상징적인 특성들이 시각적 수사법 관점에서 어떻게 해석될 수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우선 타이틀 시퀀스의 시각적 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시각적 수사법의 표현사례에 대해 분석하였다. 주요 사례 분석 대상으로는 타이틀 시퀀스의 대표적 인물인 솔 바스와 카일 쿠퍼의 작품들을 중심으로 분석하였고, 그 연구 결과 움직임 측면의 강조법, 변화법의 공통적인 표현기법이 나타났다. 차이점으로는 솔 바스의 경우, 스토리텔링은 없으나 형태에 대한 상징성, 간결성을 위해 비유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카일 쿠퍼의 경우 실사를 중심으로 하기에 수사법이 나타나진 않으나 모션과 타이포그래피, 스토리텔링 측면에서는 비교법, 강조법, 변화법 등이 다양하게 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에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타이틀 시퀀스 제작과 구현이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To understand how a title sequence’s implicative and symbolic characteristics can be interpreted in the perspective of visual rhetoric, first, this author draws the visual elements of a title sequence and analyzes the cases of visual rhetoric expressions based on that. As subjects for case analysis, the works of Saul Bass and Kyle Cooper, representative figures in the field of title sequences, are chosen. According to the results, common expression methods like the emphasis or alteration of motional aspects are found. Regarding differences, Saul Bass does not adopt storytelling but uses analogy mainly for the sake of symbolicity and simplicity in forms. As Kyle Cooper uses real objects mostly, rhetoric is not shown; however, in the aspects of motion, typography, and storytelling, methods like comparison, emphasis, or alteration are diversely used. Based on the results, in the future, it would be possible to produce and realize more systematic and efficient title sequences.

      • KCI등재

        디즈니 장편애니메이션 타이틀 시퀀스 분석

        김설미(Kim, Seol-Mi),김규정(Kim, Kyu-Jung)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5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39

        디즈니는 오랜 세월동안 가족을 타겟으로 하여 가족중심, 보수적 이데올로기, 해피엔딩 등의 세계관을 담은 애니메이션을 만들어 왔다. 시대적인 상황과 관객의 요구가 조금씩 변하긴 했지만 현재까지도 디즈니는 애니메이션 산업적으로 명실공히 가장 성공한 기업이다. 성공의 비결에는 철저히 계산되어 만들어진 스토리와 이미지라는 조작된 애니메이션환상세계가 있다. 관객이 애니메이션을 감상할 때 그 환상 속으로 충분히 몰입하도록 하는 것은 현실을 잊게 만드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디즈니애니메이션은 타이틀 시퀀스를 사용하여 작품 초반에서부터 관객의 이목을 집중시킨다. 타이틀 시퀀스의 역할은 관객의 호기심 자극, 앞으로 이어질 내용의 분위기와 사전 정보 전달 등이 있으며 특히 디즈니 애니메이션에서는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방법으로 아래 4가지 방법을 빈번히 사용하고 있다. 디즈니가 빈번히 사용한 타이틀 시퀀스는 첫 번째, 동화책 표지가 열리면서 시작되는 방법, 두 번째는 스토리텔러가 직접 이야기를 들려주며 시작하는 방법, 세 번째는, 실사 영화로 시작하여 애니메이션으로 이어지는 방법, 네 번째는 뮤지컬 방법이다. 이 네 가지 방법은 관객의 현실과 디즈니의 환상에 명확히 선을 긋는 출입문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과정은 현실과 환상의 모호한 경계로 불안한 관객을 안심시키고 애니메이션 안에 마음 놓고 충분히 몰입하게 하는 계기를 만들어 준다.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타이틀 시퀀스는 관객으로 하여금 가상의 세계라는 것을 충분히 인지하고 확인하는 절차를 거침으로서 현실의 스위치는 끄고 환상세계의 스위치는 켜게 하는 것이다. For a long time, Disney has made animations including world views such as family-focused, conservative ideology, happy ending, etc. for families. Periodical situation and spectators" demands have been changed little by little, but Disney is still a company who is the most successful both nominally and virtually in animation industry. For the secrets of their success, there is fantasy world of fabricated animation, thoroughly organized story and image. When spectators watch animations, their sufficient immersion in the fantasy is to let them forget realities. In the introduction of Disney animations, spectators turn off the switch of realities and turn on the switch of fantasy world through the procedure to recognize and confirm virtual world sufficiently. In the switch of the introduction used frequently by Disney, there are four methods. First is to start while opening the cover of storybook. Second is to start while storyteller gives a talk directly. Third is to start with live action film and continue to animation. Fourth is musical method. Those four switches play a role of the gate which distinguishes spectators" realities from Disney"s fantasy clearly. The process makes an opportunity to set spectators who feel uneasy due to the vague boundary between realities and fantasy at ease and let them immerse in animation sufficiently with mind at ease.

      • KCI등재

        키네틱 타이포그래피를 활용한 영화 오프닝타이틀 시퀀스 표현연구

        방윤경(Bang, Yoon-Kyeong)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3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31

        컴퓨터의 발달과 함께 영화 오프닝 타이틀 시퀀스도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다. 초기에는 타이틀 및 스텝들의 이름을 몇 장의 텍스트로 촬영하여 옵티컬 방식으로 표현하는 방식에서 시작되어 현재는 영화 도입부와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시퀀스부터 영화 중간에 삽입되는 형태, 나아가 2D, 3D 등의 다양한 표현 기법들로 독립적인 형태를 보이고 있다. 이렇게 오프닝타이틀 시퀀스가 하나의 독립적인 예술로 발전되고 있는 것은 짧게는 60초 길게는 10분 남짓의 짧은 영상만으로 영화의 콘셉트를 전달하는 동시에 줄거리의 함축적인 내용을 암시하고 흥미를 유발하는 기능 등 감독의 의지에 따라 다양한 목적으로 영화와의 독립적이면서도, 분리가 아닌 영화와 하나의 유기체 적이며 독창적인 예술의 창조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이론과 분석 방법을 기반으로 2012년도 한국 흥행 영화 10편의 영화 오프닝 타이틀 시퀀스의 제작 방식을 다양한 방법으로 분석하여 앞으로의 나아갈 오프닝 타이틀 시퀀스의 방향을 예측하고 미학적, 기술적인 모델을 제시해 본다. With the advancement of computers, opening title sequences in movies are continuously improving. Initially, titles and opening credits were created using what is called the optical method, whereby text was photographed on separate film and then copied onto the movies film negative. In contemporary movie making, however, the title sequence may be seamlessly integrated into the beginning of the movie by an insertion method that not only allows for more diverse technical expression, including the use of both 2D and 3D graphics, but also for its emergence as an independent art form. As such a title sequence, in as little as 50 seconds or up to 10 minutes, is able to convey the films concept while also suggesting more implicit intricacies of plot and thereby eliciting greater interest in the movie. Moreover, according to the directors intent and for a variety of purposes, the title sequence, while maintaining its autonomy, is inseparable from the movie as an organic whole; therefore, is inseparable to create works that are highly original in na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kinetic typography that appears in title sequences of ten films produced by the Korean entertainment industry in 2012. Production techniques are analyzed in a variety of ways in order to predict the future direction of opening title sequences, as well as present aesthetic and technical models for their creation.

      • KCI등재후보

        솔 바스의 타이틀시퀀스에 대한 디자인 고찰

        김정연 ( Jung Yeon Kim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09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29 No.-

        영화가 시작되면서 영화의 타이틀은 단순히 텍스트만으로 상영되었다 솔 바스(Saul Bass)는 그래픽디자이너로 상징적인 그래픽과 실험적인 방법을 통하여 고전적이면서 원시적인 방식의 타이틀시퀀스를 한 단계 진보하는데 기여하였다. 영화의 내용을 충격적으로 압축했던 솔 바스의 타이틀시퀀스는 오늘날 기술 발전을 발전했어도 그의 작품을 능가하는 타이틀시퀀스는 보기 힘들다. 그의 작품에는 단순한 텍스트만으로 극중 장면을 배경으로 배우와 감독, 제작 관계자들의 이름만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움직임을(animation) 제작하기 위하여 로고타입과 같은 타이틀디자인을 하였고 움직임을 도입하여 `Title in Motion`의 선구자로 실험적이고 다양한 영상표현을 왕성히 하였다. 그의 작품에서 표현적이고 구성적인 특성을 파악해서 고찰한다. Since beginning a film, the title of film play just text. Saul Bass was graphic designer, and contributed to improve title sequence that is a classic and a primitive way through symbolic graphics and experimental method. Even though these days technique grow up, it is hard to find surpass a title sequence of Saul Bass that story of film summarize as a shock. He is not only layout a name of director, actor, and staff on capture image in film but also design title to look like a logotype for animation. And he attempt a various and experimental expression in film to take the lead `Title in Motion` by starting animation. His works contemplate to grasp expressive and constitutive characteristic.

      • KCI등재

        영화 타이틀시퀀스 제작을 위한 물질성

        신승윤(Seung-Yun Shin),김미진(Mi-Jin Kim),문요한(Yo-Han Mun)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0

        타이틀시퀀스에서 활용된 물질은 영화의 스타일과 내용을 포괄적으로 내포하고 있다. 그러므로 어떤 물질을 선택하는가에 따라 정서적 표현의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최근 20년간의 여화 타이틀시퀀스 42편을 수집하여 소재를 분류하고 기호학사각형을 이용해 물질의 범주를 정의하였다. 물질도의 강약을 검증하기 위해 설문하여 3단계의 물질도를 구분하고 영화의 장르에 따라 어떤 범주의 물질성이 활용되었는지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물질성은 장르의 구분 없이 내용에 따라 선택되었으나 물질도의 차이는 있었다. 강한 물질도는 스릴러와 SF·미스테리 장르에서 사용되었고, 중간 물질도는 전반적으로 활용되나 특히 드라마 장르와 액션에서 활용되었다. 약한 물질도 또한 다양한 장르에서 활용되었으나 특히 공포, SF·미스테리 장르에서 활용되었다. 본 논문은 영화를 상징적으로 시각화하는 타이틀시퀀스 제작에 있어 물질의 선택에 의한 표현 방법 연구를 제안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materials used in the title sequence connotes a style & a content of film comprehensively. Therefore, the effect of emotional expression can be changed according to what materials are selected. Thus, the materials of which 42 title sequences are collected for the last 10 years are classified, and the category of materiality & material degree are defined with the semiotic rectangle. To investigate intensity of the material degree, the survey was done.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intensity was classified into 3 levels of material degree. The category of materiality used according to the genre of film wa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ateriality was selected according to the content regardless of genre, but theres any difference in the material degree. The intense material degree was used in a thriller and an SF?ystery genre, and the medium one was used in the general genre, but, above all, drama and action genre. The weak one was used in a variety of genre, but specifically horror, SF· mystery genre.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suggested the expression method in accordance with selection of materials in producing a title sequence to visualize film symbolically.

      • KCI등재

        영화사 타이틀 시퀀스의 의미분석 연구 - 로만 야콥슨(Roman Jakobson)의 커뮤니케이션 기능 모델 중심으로 -

        손창범,최광춘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19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20 No.60

        The title sequence is an image that notifies a viewer image that compressed a title/ a content or one that notifies viewers the contents related to the movie. The film distributor "Top mark", one of the title sequences, has been exposed to the viewers repeatedly for a long time and become a familiar image. ‘Top mark’ simply started with showing the symbol of a film distributors, and is being developed into fantastic expressions containing the content of a movie or using computer graphic techn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for what contents film distributors’ Top mark contains ther than symbols and then we would propose expression of symbol mark in movie. For this, we analyzed the images using the communication functional model of Roman Jakobson.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op mark, the title sequence of the film distributor, emphasizes the symbol in addition to showing it, and furthermore there is forwarding and sharing functions that makes viewers have an expect to company and movies with the meaning of it and its name, value and scale, separate story. Moreover, the symbol mark representation in the image implies following contents. The light or scene composition emphasizes the meaning of symbols; make them expect the company or images. As decorating fantastically via separate storytelling, it conveys corporate image to viewers. 타이틀 시퀀스는 영화 등의 영상에서 제목이나 내용을 압축한 영상, 또는 영화와 관계된 내용을 관객들에게 알리는 영상이다. 타이틀 시퀀스의 하나인 영화배급사 ‘톱 마크’는 오랜 시간 동안 관객들에게 반복적으로 노출되어 익숙한 영상이 되어왔다. ‘톱 마크’는 단순히 영화배급사의 심벌을 보여주는 것에서 시작하여 영화의 내용을 담거나 화려한 컴퓨터그래픽 기술을 동원한 환상적인 표현들로 발전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화배급사의 ‘톱 마크’가 심벌 이외에 어떤 내용을 담는가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영상에서 심벌마크 표현 방법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로만 야콥슨의 커뮤니케이션 기능 모델을 이용하여 영상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영화배급사 타이틀 시퀀스인 톱 마크는 심벌을 보여주는 것 이외에 심벌을 강조하고, 기업과 기업명의 의미, 가치와 규모, 별도의 이야기로 관객에게 기업과 영화에 대한 기대를 갖게 하는 전달적 기능과 공유적 기능이 있다. 또한, 영상에서 심벌마크 표현은 뒤에 나올 내용을 암시한다. 빛이나 장면구성으로 심벌의 의미를 강조하거나 기업이나 영상에 기대를 하게 한다. 별도의 스토리텔링으로 환상적으로 꾸며 관객에게 기업의 이미지를 전달한다.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